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 역학(易學) 도상(圖象)의 역사(歷史)에 관한 연구

        유권종 ( Kwon Jong Yoo ) 東洋哲學硏究會 2007 東洋哲學硏究 Vol.52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유학자들에 의하여 제작된 역학 관련 圖象들의 역사를 정리하고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된 결과에 따라 조선시대 역학 도상의 역사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향후 더 진전된 연구를 위한 초석에 불과한 것이므로 잠정적인 것이다. 우선 역학에 관한 도상의 제작에 『역학계몽』이 끼친 영향이 매우 중요했다고 판단된다. 특히 역학이 의리를 위주로 하여 그것에 치우치기 보다는 象數를 중시하는 주자의 역학을 계승하면서 그것을 심화시켜 가는 흐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조선 중엽 이황에 의하여 『계몽전의』가 저술됨으로써 상수 역학에 관한 논의가 활성화되면서 도상의 내용도 더욱 상세한 분석을 보이게 되었고, 특히 상수역학의 연구가 꾸준히 진전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후기로 가면서 『역학계몽』의 구도를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역학의 소주제를 함께 편집함으로써 도상의 주제와 내용도 더욱 다양하고 풍부하게 되었다. 그리고 매우 많은 수의 역학 도상집이나 역학 도상들이 『역학계몽』의 체계나 주제를 공동으로 추구함으로써 주희의 『역학계몽』에 의한 역학이 대세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에도 역학 전반에 걸친 연구가 심화되는 과정을 도상의 발전사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선우협의 『역학도설』은 역학 전반에 관한 도상의 제작과 설명을 보여주었고, 장현광의 『역학도설』은 역학이 여타 경학들과의 상호 관계를 설정하는 근원이 된다는 사고에 입각해서 역학을 오경 전체의 범위로 확장한 점에서 매우 특징적이다. 그 외에 김석문의 『역학이십사도해』는 역학이 인간사 뿐 아니라 자연 현상의 다양한 면을 모두 포괄하는 원리임을 도상으로 표상함으로써 역학의 범위와 내용의 포괄성을 보여준다. 그 밖에도 인역, 심역 등의 역학 체계가 나타난 것은 역학의 맥락에서 창발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들의 도상도 매우 특징적이고 그 주제도 천지 자연보다는 인사 내지 심성정에 더욱 커다란 비중을 두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역학의 전개사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된다. This paper has a purpose to study history of diagrams, which had been made by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Dynasty, relating to Zhou-yi(周易) and their features. Even though this result is tentative and will be complemented with advanced research, the history and its features are as follow. First, influence of Yixueqimeng(易學啓蒙), written by Zhuxi, to making the diagrams is to be thought very important. Specially why context of Zhou-yi learning, Yixue(易學) in Chosun Dynasty had not made too much of interpretation of meanings as a method of studying Zhou-yi and had kept its balance with interpretation of images and numbers as another one is thought to have been just due to the influence of Yixueqimeng. In the middle of the Dynasty, Gyemongjuni(啓蒙傳疑) was published by Yi Hwang and after this discussions and studies on interpretation of images and numbers of Zhou-yi had been activated. In addition many kinds of diagrams which showed and analysed details of principles of Zhou-yi had been made continually until the end of the Dynasty. The others, the history of the diagrams also shows that studies about the whole and various aspects of Zhou-yi had been deepened. For example Diagrams of Zhou-yi Learning, Yokhakdosul(易學圖說) made by Seon Wuhyup showed general principles of Zhou-yi with diagrams and explanations, another Diagrams of Zhou-yi learning made by Jang Hyun-kwang show comprehensible phase of Zhou-yi which includes all the other 4 classics of Confucianism. 24 Diagrams and explanations of Zhou-yi Learning, Yokhakyisipsadohae(易學二十四圖解) by Kim Seokmun show that Zhou-yi learning includes principles not only of human affairs but also of natural phenomena. Finally the history of diagrams has shown new systems of Zhou-yi learning. They are In-yok(人易) and Sim-yok(心易). The first means the learning of Zhou-yi principles focused to human affairs and the latter means the principles focused to human mind affairs. They had emerged form the context of the history and must be important target of study.

      • KCI등재

        朱子『易學啓蒙』의 體系的 理解

        徐根植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3 No.-

        본 논문은 朱子의 『易學啓蒙』에 관한 것이다. 朱子易學의 형성과정에 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易學啓蒙』은 그 이후 30종의 연구서가 나 온 것에 비하면 연구성과를 4편으로 매우 적다. 이 글은 朱子의 『易學啓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서가 되고자 한다. 朱子는 「河圖」와 「洛書」를 수용함으로써 『周易』 해석에 있어 象數易 學의 의미를 다시 드러낸다. 『周易』에 있어 義理易學은 王弼의 ‘得意忘 象論’으로 해서 새로운 힘을 얻었듯이 朱子는 『易學啓蒙』을 통해 象數 易學의 의미를 되새기려고 노력으로 『周易』을 해석하는 방법은 나날이 발전하게 된다. This paper is about Zhuzi(朱子) writings entitled Yixueqimeng(『易學啓蒙』). There are only four research articles on Yixueqimeng(『易學啓蒙』), although it had take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Zhuzi(朱子) study of changes, comparing with 30 different kinds of research on his works after this Yixueqimeng(『易學啓蒙』). In line with this, the author intends to make this paper as a full-scale research article on Zhuzi(朱子) work - Yixueqimeng(『易學啓蒙』). Zhuzi(朱子) exposes the meaning of the Xiangshuyixue(象數易學), to wit, the emblem and numerology of Emblem and Numerology in interpreting Zhouyi(『周易』) again by accepting Hetu(「河圖」) and Luoshu(「洛書」). When discussing the Zhouyi(『周易』), Yiliyixue(義理易學) had drawn supports from Wangbi(王弼) Deyiwangxianglun(得意忘象論). Likewise, Zhuzi(朱子) tried to ruminate upon the meaning of the Hetu(「河圖」) and Luoshu(「洛書」) through the Yixueqimeng(『易學啓蒙』). As he interprets all things through Hetu(「河圖」) and Luoshu(「洛書」), these two systems of emblem have become essential. Even in Shifa(筮法), he elicited Dayanzhishu(大衍之數) from Hetu(「河圖」) and Luoshu(「洛書」) so that he related the divination rule to Hetu(「河圖」) and Luoshu(「洛書」). By doing so, Zhuzi(朱子) concatenates Dayanzhishu(大衍之數) to Hetu(「河圖」) and Luoshu(「洛書」) too. Furthermore, by interpreting Yongjiu(用九) and Yongliu(用六), which belong to Qiangua(乾卦) and Kungua(坤卦) as prognostication that will be referred to when all six-line symbols are changed, he ha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Zhouyi(『周易』) study. Zhuzi(朱子) is responsible for a sizable part of the history of Zhouyi(『周易』) study as much as Wangbi(王弼) and Chengyi(程頤). Of course, there are some parts where efforts were made in vain, however, the method to interpret the Zhouyi(『周易』) have developed day by day owing to the efforts of Zhuzi(朱子).

      • KCI등재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이해

        한국양명학회 2011 陽明學 Vol.0 No.28

        <P>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은 조선의 상수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 문헌이다. 이 논문은 조선의 『역학계몽』 관련 연구들 가운데,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이해를 살펴본 것이다. 이황(李滉)의 『계몽전의(啓蒙傳疑)』는 조선의 『역학계몽』 관련 저작 가운데 최초의 본격적 연구서라 할 수 있으며, 이 저작은 특히 후대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본고에서는 이황이 『계몽전의』를 저술한 문제의식이 무엇이며, 『계몽전의』에서 다룬 주요 쟁점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그것이 후대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연구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밝힌다. 그리하여 퇴계학파 『역학계몽』 이해의 종합적 특징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P><P> 『역학계몽』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도모하였던 이황의 태도는 후세의 연구자들에게도 일관된 모습으로 드러나며, 주석들 간의 불일치를 해소하고자 하는 연구방식 역시 동일하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는 『계몽전의』를 묵수하거나 옹호하는데 있지 않으며, 『계몽전의』를 통하여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을 다시 쟁점화하고, 그에 대한 조선의 선배학자들의 견해를 검토하며 자신의 견해를 제시한다. 이렇게 『계몽전의』를 중심으로 연구사의 축적을 통해 『역학계몽』 이해의 완전성을 추구해가는 모습은 다른 학파와 구별되는 퇴계학파 『역학계몽』 연구의 특징이라 할 것이다.</P><P> 『계몽전의』에 나타난 태극논의는 이황이 상수학(象數學)을 통하여서도 리(理)의 필연성과 주재력을 확보하고자 하였음을 보여주며, 이는 『계몽전의』 가상수학 저술이지만 그 안에 이학적(理學的) 관심이 내재하였음을 의미한다. 다만 후대 퇴계학파의 『역학계몽』 연구에서는 이학적 관심이 뚜렷한 경우와, 이학적 관심과는 별도로 도수적(度數的) 연구에 치중한 경우로 나뉨을 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19세기 저작들에서 뚜렷이 드러나며 이는 퇴계학파 안에 내재하던 하나의 흐름이 19세기에 이르러 결실을 맺은 것으로 생각된다.</P>

      • KCI등재

        투고논문 : 소옹(邵雍)의 선천역학(先天易學)에 대한 王夫之의 비판

        조우진 ( Woo Jin Cho ) 한국공자학회 2014 공자학 Vol.2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소옹의 선천역학(先天易學)을 바탕으로 한 송대(宋代) 상수역(象數易)의 흐름을 살펴보고 왕부지의 비판적 입장을 고찰하는데 있다. 필자는 이러한 과정에서 상수역의 본래 모습을 확인하고자 한다. 왕부지는 자신의 역학체계를 바탕으로 선천과 후천의 개념, 선천의 전수과정, 선천도(先天圖)의 체계, 선천역학의 원리, 괘(卦)의 형성의 과정 등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의 비판 논리는 경전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실증주의적 사고방식에 근거하고 있다. 왕부지의 입장에서 보자면 소옹의 선천역학과 관련된 이론이나 내용은 경전에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것이며, 도가(道家)의 술수가들에 의해 전수된 것에 불과할 따름이다. 왕부지는 소옹의 선천역학을 비판하는 근거를 여러 가지로 제시하는데, 가장 결정적인 것은 점(占)과 관련된다. 선천역학의 핵심원리인 가일배법(加一倍法)은 아래로부터 위로 쌓아서 괘(卦)를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점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왕부지는 소옹의 선천역학을 술수학일 뿐만 아니라 점역(占易)에 치우친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점학일리(占學一理)’를 주장한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of Xiangshuyi(象數易) in Song dynasty(宋代) based on Shao-Yong(邵雍)’s Sunchenyeokhak(先天易學) and consider Wang-Fuzhi(王夫之)’s critical position. By this critical examination, we can ascertain the true features of Xiangshuyi. Wang-Fuzhi severely criticised the concept of Sunchen(先天) and Huchen(後天), the transmission process of Sunchen, the system of Sunchentu(先天圖), and the principle of Sunchenyeokhak,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Gua(卦) through his Yeokhak(易學) system. His criticism is especially based on positivistic thinking on the contents of Jingzhuan(經傳). For Wang-Fuzhii, the content and theory concerning Shao-Yong’s Sunchenyeokhak aren’t found in Jingzhuan(經傳) and are nothing but brought by Zhushujia(術數家) in Daojia(道家). Wang-Fuzhi presents the several evidences of criticising Shao-Yong’s Xiangshuyi. Among them, the most decisive evidence is related to Zhan(占). Jiayibeifa(加一倍法) as the key principle of Sunchenyeokhak is a process of making Gua by stacking one on top of another and this process is the same as that of Zhan. In conclusion, Wang-Fuzhi maintains Zhanxueyili(占學一理) criticizing that Shao-Yong’s Sunchenyeokhak is only Zhushuxue and is biased toward Zhanyi.

      • KCI등재

        朱子易學評議

        서대원(徐大源) 한국동양철학회 2012 동양철학 Vol.0 No.37

        본 논문은 주자 역학의 공로에 대한 평가와 주자 역학 연구자들이 풀어야 할 문제들에 대한 논의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고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주자 역학을 다음과 같은 세 시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①『周易本羲』 및 이 시기의 역학 자료 ②『易學啟蒙』 및 이 시기의 역학 자료 ③『朱子語類』에 보이는 역학 관련 자료 및 이 시기의 여타 자료에 보이는 역학 사상. 우선 주자 역학의 공로에 대한 살펴보자. 주자는『周易』의 본래면목을 회복시켰으며, 協韻說을 활용하여 구두와 훈구에 대하 상당한 공로를 세웠다. 이런 부분들은 부정할수 없는 역학상의 공로이다. 주자는‘『易』本是卜筮之書  ’를 주장한다. 그리고 伏羲 ㆍ文王 ㆍ周公 ㆍ孔子 의 易觀이 다름을 주장하며 “伏羲自是伏羲易; 文王自是文王易; 孔于自是孔子易.”라고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자의 설명은 나름대로의 설득력을 가지고 있지만 또한 다음 문제에 대한 해명이 요청된다고 생각한다. 즉 ① 理ㆍ 數ㆍ象ㆍ 占의 관계에 대한 문제 ② 聖聖異揍의 문제 이 이외 ③『周易本義』 入選之由도 보다 명료하게 밝혀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들이 밝혀지면 주자 역학은 보다 명료하게 해명될 것이다. 本稿之嵐的令一以評價朱子之經學貢獻二以討論朱于易學所當解朗的街區問題。為分析之便將朱于易學分成三個時期而進行探究。三個時期 :①『周易本義』及此時期的易學文獻 ②『易學啟蒙』及此時期的易學文獻 ③『朱于語類』及此時期的易學文獻 先論朱于的貢獻。朱于力求恢復『周易』的本來面目,且讓協韻說 釐正句讀L 發明割!詰。還是不可磨誠的朱子易學貢獻。 朱于聲稱『易』本是卜笈之書又主張伏羲﹒ 文王﹒ 周公﹒ 孔于各有不同之易。其云“伏羲自是伏羲易,文王白是文王易,孔子自是引L于易。"朱于此說雖然不無垠擾, 亦有相當的說服力。但為深入朱子易學思路, 或為朱于易學之春山安立, 做 乎必須解明幾個閑適: ①理﹒ 數﹒ 象﹒ 占之間的關係 ② 如何解決聖聖異的問題③何為r周易本義」入選之由。

      • KCI등재

        『역학계몽요해(易學啓蒙要解)』의 도서역학적 의의

        양순자(Soon-ja Yang) 한국동양철학회 2013 동양철학 Vol.0 No.40

        『역학계몽요해』는 조선 최초의 『역학계몽』 주석서이다. 최항은 한계희(韓繼禧)와 함께 세조의 명을 받아 많은 동료 학자들과의 공동 작업으로 『역학계몽』에 대한 문답형식의 『역학계몽요해』를 간행한다. 이 논문에서는 『역학계몽요해』를 통해서 조선 도서역의 초기 모습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세조가 『역학계몽』에 주목한 이유를 살펴보고자 하며, 『역학계몽요해』의 구성과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런 과정을 통해서 조선 도서역의 단초를 규명하고자 하고, 더 나아가 조선 역학의 성리학적 정초과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고려 말 대체적으로 학자들은 정이의 『역전』을 수용하였고, 이런 경향은 조선 초기에 이어졌다. 조선 초기의 유학자들은 정이의 유가적인 도덕적 원리와 의리역학적 해석방법론을 부분적으로 받아들여 자신의 역학 이론을 성립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세조의 『역학계몽요해』는 상수를 토대로 의리를 종합하는 주희의 역철학에 대한 관심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즉 『역학계몽요해』는 의리역학이 주된 흐름을 차지하고 있던 조선 전기 역학사에 주희의 상수와 의리를 종합한 이론을 소개함으로써 조선 전기 도서역의 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역학계몽』을 통한 주자학적 또는 성리학적 세계관의 정립은 『역학계몽요해』에서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장 큰 요인은 세조 전 기간 동안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아직 미성숙했고, 불교가 유학보다 더 우대받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학계몽요해』는 자신만의 독자적인 관점에서 『역학계몽』을 이해하기보다는 기존의 중국학자들의 주석에 의존하는 한계를 보인다. Yeokhakgemongyohae is the first commentary of Yeokhyakgemong in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Han Gyehee and other colleagues, Choi Hang published the Yeokhakgemongyohae by the order of King Sejo.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early Joseon studies of Diagram- Picture study of the Yijing. I examined why King Sejo had interest in the Yeokhyakgemong and discussed the structure and major feature of the work. In the process, I examined a start of the Joseon Diagram- Picture study of the Yijing and furthermore revealed how the Joseon Confucianism made the foundation. Confucianists accepted Cheng Yi's Yeokjeo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Joseon Confucianists succeeded the tradition. The early Joseon Confucianists established their own theories of the Yijing on the basis of Cheng Yi's Confucian moral principle and ethical interpretation of the Yijing in some parts. The Yeokhakgemongyohae provided a trigger for interest in Zhu Xi's theory of the Yijing, which synthesized Image- Number study of the Yijing with morality. In other words, the Yeokhakgemongyohae has a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that it introduced Zhu Xi's theory to the early Joseon academy whose main study was focused on the ethical interpretation of the Yijing. However, the Yeokhakgemongyohae could not establish its original Confucian world through the Yeokhakgemong. The biggest reason for it is that Confuciansits did not have a though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in the period of King Sejo. In addition, Buddhisim was more popular than Confucianism. The Yeokhakgemongyohae has also a limitation of relying on Chinese scholars' s interpre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Yeokhakgemong.

      • 정신과 역학

        조맹제(Maeng-Je Cho),김장규(Chang-Kyu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1

        역학은 전염병이나 만성신체질환들을 주로 다루어 왔으며, 정신장애에 대해서는 주로 지역사회조사들을 대상으로 하여왔다. 1980년대에 정신장애의 조작적 진단기준의 발달과, DIS나 CIDI 같은 비전문가에 의해 면담이 가능한 진단적 면담도구의 개발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한 대단위 정신과 역학조사를 훨씬 용이하게 하였다. 본 종설에서는 정신과 역학에서의 기본개념들과 연구방법들, 그리고 역사 등을 기술하고 더 넓은 의미에서의 정신과 역학과 이용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하였다. 유병율과 위험도 측정이 가장 기본적 개념이다. 기술적역학, 분석적 역학, 그리고 실험적역학등이 있으며, 연구 디자인별로는 횡단면적, 코호트, 그리고 대조군 연구등이 있다. 역학연구의 가치는 사례판정을 위한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대표성을 갖는 표본 추출방법에 크게 의존한다. 최근에 급격히 발전하는 유전학, 뇌영상 및 횡문화 비교연구 등에 힘입어 진단 타당도가 더욱 높아질 것을 기대한다. 향후 지역사회 역학연구에서 비용-효과성을 고려한 각종 방법의 개발과 전향적 연구들이 기대된다. Epidemiology has usually been associated with epidemics of infectious diseases, and recently with prevalent chronic illnesses. As for psychiatry, it has been discussed almost exclusively within context of community surveys. Psychiatric epidemiology, based on community, has been greatly advance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criteria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of diagnostic interview instruments such as DIS and CIDI, which could be administered by lay interviewer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escribed basic concepts, methodology, and history of psychiatric epidmiology. In addition brief introduction of width of scope and utility of psychiatric epidemiology were explained. The rates, especially the prevalence rather than incidence, and risk ratio are basic concepts in epidemiology. Various kinds of designs and methods of psychiatric epidemiology have also been described.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results are largely dependent on how valid the interview instruments are, and how much representative the selected samples are. Diagnostic validities will get higher through the recent advances in genetics, neuroimaging and neurobiology. Devlopment of the new methods to improve cost-effectiveness in community surveys in psychiatric epidemiology are needed.

      • KCI등재

        소강절역학(邵康節易學)과 왕부지역학(王夫之易學)의 비교분석 ― 괘(卦) 생성구조(生成構造) 비교와 동이점(同異點) 모색을 중심으로

        조희녕 ( Cho Hie-yo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3 No.-

        邵康節의 先天易學(이하 ‘邵易’)과 王夫之易學(이하 ‘王易’)은 역학을 보는 관점이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또 왕역이 소역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다. 필자는 두 이론에서 같은 점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卦의 생성구조’와 두 역학의 ‘同異點 모색’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邵易은 괘의 기원을 「河圖」로 보고 있다. 소강절은 「하도」의 數에서 易이 나왔다고 말하지만 「하도」나 그 數에서 바로 易卦를 추출하지는 않는다. 邵易이 역괘 생성의 근거로 보는 것은 계사 상 11장의 ‘易有太極’장으로 ‘태극[1]-양의[2]-사상[4]-팔괘[8]’의 단계이다. 이 과정은 2를 배수한 ‘加一倍法’이다. 王易의 역괘 생성구조도 「하도」에 기초한다. 특이한 것은 「하도」 층위의 수에서 8괘를 직접 추출한다는 데 있다. 이 점이 邵易과 다르다. 왕역은 64괘가 몇 가지 경로로 나온다고 한다. 하나는 四象論과 重卦法을 결합한 것이고, 또 하나는 ‘錯綜說’과 ‘消長說’에 의한 것이다. 다 乾坤竝建說을 기본으로 한 64괘 구조론이다. 건곤병건이 그의 역학의 존재원리라면 착종은 구체적 실현모형이라 할 수 있다. 邵易과 王易의 가장 큰 차이는 四象論과 건곤병건설이다. 邵易의 四象은 8괘 생성 이전인 2획의 단계로 易卦가 아니다. 또 64괘는 가일배법으로 일시에 나온다고 한다. 王易에서 사상은 8괘를 음양별로 4가지로 구분한 역괘라 하고 또 건곤이 병건하여 64괘가 나온다고 한다. 이런 것을 제외하고 두 이론에서 같은 점이 있다. 역의 기원을 伏羲에 두고 괘는 「하도」에서 나왔다고 보는 점이 같다. 역의 전승관계를 소역은 복희-문왕-주공-공자의 네 성인의 계통으로 여기며 이를 ‘四聖一心’이라 한다. 왕역도 같은 전승관계를 인정하면서 ‘四聖同揆’라 한다. 두 이론은 이처럼 뿌리는 같으나 가지가 다르고 할 수 있다. 이는 근본적인 부분에서 역학관이 일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 다 易文에 없는 易外別傳的 요소도 있다. 본 연구를 기회로 두 역학은 대립적인 이론이라는 종전의 선입견에서 벗어나 둘 사이의 同異點을 좀 더 심층 분석하면 역학연구의 새로운 지평이 열릴 수 있을 것이다. It is known that the point of view of Shao Yong'I-ching(邵易) and Wang Fuchih'I-ching is different. I think that there will be the same thing in both theories. I focused on the structure of trigrams(卦) and analyzed it and got the following results. Shao Yong'I-ching sees the origins of the trigrams as 'He tu(河圖)'. This position came from the Han Dynasty Gong-angug(孔安國), Yuheum(劉歆). In particular, Shao Yong say that the trigrams came from the number of He tu. It is the eleven chapel gyesa sang(繫辭上 11장) that Shao Yong'I-ching sees as the basis for the creation of the trigrams. The contents are the stage of the eight trigrams(8卦), 'Taegeuk[1]-Yang ui[2]-Sasang[4]-eight trigrams[8]' and 64 ruling is '1-2-4-8-16-32-64'. This process is the key to Shao Yong'I-ching double method, which is a multiple of two(加一倍法). The structure of the generation of the Wang Fuchih'I-ching(王易) of trigrams is also based on the number of He tu. The unusual thing is to extract eight trigrams directly from the number of He tu level. This point is different from Shao Yong'I-ching. Production of 64 trigrams occurs in several ways. One is a theory of 64 trigrams structer that combines Sasanglon and Junggwaebeob(四象論과 重卦法), and the other is Chagjongseol(錯綜說) and Sojangseol(消長說). Although all of them are based on Geongonbyeong-geonseol(乾坤竝建說).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Shao Yong'Iching and Wang Fuchih'I-ching can be attributed to the Sasanglon and Geongonbyeonggeonseol.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the two theories. The same point in both theories is that one recognizes the tradition of the Four Saints with the origin of the I-ching in Fuxi(伏羲), and the other is that it is derived from He tu. Like this, This is the same as the origin of production of trigrams, but the path is different. Most of the researchers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Shao Yong'I-ching and Wang Fuchih'I-ching, but they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same point, but found that they share some points of view. Therefore, in-depth comparison of the two theories will be able to take an opportunity for I-ching's development.

      • KCI등재

        유해물질소송에서 역학적 증거에 의한 인과관계의 증명

        이선구(Sun Goo Lee) 한국법학원 2015 저스티스 Vol.- No.146_1

        역학은 특정한 인구집단에서 질병의 발병과 관련한 위험인자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역학조사에 의하여 그 인구집단 내의 위험인자와 질병의 발병 사이의 상관관계(association)를 파악할 수 있는데, 역학자들은 상관관계에 드러난 상관성의 강도, 일관성 등을 고려하여 위험인자와 질병 사이의 인과성을 추론(causal inference)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처럼 추론된 역학적 인과성은 어디까지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결과물에 해당하므로, 불법행위소송에서 문제되는 위험인자와 개인의 질병 사이의 인과관계와는 구별된다. 따라서 역학적 증거를 토대로 법적 인과관계를 인정하기 위해서는 역학적 상관관계의 분석, 역학적 인과성의 추론, 그리고 법적 인과관계의 인정이라는 세 단계의 판단 과정을 거쳐야 한다. 대법원은 베트남전 참전군인 고엽제 피해 손해배상청구 사건(대판 2013. 7. 12, 2006다17539?17553) 등 역학연구결과에 의한 인과관계의 증명이 쟁점이 된 사건들에서 역학은 “집단현상으로서의 질병에 관한 원인”을 조사하여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역학적 상관관계가 인정된다 하더라도 그로부터 불법행위소송상 쟁점이 되는 인과관계, 즉 “집단에 속한 개인이 걸린 질병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판명할 수는 없다고 판시하였다.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는 개연성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역학적 상관관계 외에도 위험인자에 노출된 집단에서 질병에 걸린 비율이 위험인자에 노출되지 않은 집단에서 질병에 걸린 비율을 상당히 초과한다는 점과 그 집단에 속한 개인의 건강상태, 생활습관, 가족력 등을 추가로 증명하여야 한다고 한다. 이러한 대법원의 입장은 집단이 아니라 개인(들)의 손해전보를 목적으로 하는 불법행위법의 제도적 틀 안에서 원고에게 가능한 증명의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타당하다. 다만 대법원은 역학조사에 과학적인 정당성(scientific validity)을 의심할 만한 사정이 있더라도 역학적 상관관계가 인정됨을 전제로 하여 인과관계의 개연성을 부정하여야 한다는 취지의 판시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정이 있다면 역학적 상관관계 자체를 부정하여야 한다. 한편 대법원은 ‘특이성 질환’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면서 특이성 질환과 비특이성 질환에 관하여 인과관계의 증명방법을 달리 보고 있다. 그러나 특이성 질환의 개념은 질병의 발병요인에 관하여 의학계와 보건학계에서 확립된 학설인 다요인설(多要因設)에 배치된다. 그리고 역학에서 말하는 특이성(specificity)은 역학적 상관관계로부터 집단을 대상으로 역학적 인과성을 추론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준들 중 하나에 불과하고, 현재 자연과학계의 지배적인 입장은 특이성 기준의 유용성에 대해서 회의적이다. 더구나 불법행위법의 영역에서 특이성 질환 개념을 도입하여야 할 필요성도 발견하기 어렵다. 따라서 특이성 질환의 개념에 대하여는 재고가 필요하다. Epidemiology is the branch of science that studies the determinants of health-related states or events (including disease) in defined populations. By using statistical models, epidemiological studies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 disease and its presumed determinants. Epidemiologists generally agree that such an association may provide the grounds for inferring causality between the two factors. Such inferred causation is a collective causation, meaning that a particular risk factor causes a disease in the group. Epidemiological evidence does not establish that an individual in the group contracted the disease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risk factor. Recently, the Supreme Court of Korea discussed the value of epidemiological evidence in proving the causation in several tort toxic cases. The Court held that the causation requirement cannot be established solely by epidemiological evidence (except for diseases with specificity) because epidemiology investigates the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a risk factor and disease within a group. The Court stressed that the causation element of tort law looks at what caused the disease of an individual who belongs to a group. The Court, in this context, held that in addition to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the court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ndividual"s habits, environment, family history, and so on. These findings are persuasive in that they reflect the nature of epidemiology, but the Court needs to articulate when epidemiological evidence can be used to establish causation. Currently, the Court weighs several factors when determining the weight of epidemiological evidence, a critical one being whether the patient"s disease is a "disease with specificity"; if the patient"s disease is considered one with specificity,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is considered to establish causation, whereas if the disease lacks specificity, additional evidence is needed to supplement the epidemiological studies to establish causation. The Court defines "disease with specificity" as "a disease that has a specific cause, and the cause and the disease exactly correspond to each other." But this specificity standard ignores the established theory in medicine that the great majority of diseases are caused by multiple factors and a disease seldom has one single cause. Currently, there are increasing numbers of toxic tort lawsuits where plaintiffs face difficulties in proving causation in the traditional way. Therefore, lawsuits using epidemiological evidence to prove causation are likely to become more common in the future, and the Korean courts need to clarify the standards they apply to determine the value of epidemiological evidence.

      • KCI등재

        소강절의 선천역학에 대한 청대 역학자들의 비판 고찰

        김진근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51 No.4

        이 논문은 소강절의 선천역학을 비판하는 청대 역학자들의 견해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소강절의 선천역학이나 이에 대해 비판하였던 청대역학이나 모두 한 시대를 풍미했던 사조(思潮)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후자가 전자를 비판하는 관점을 잡아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청대학자들과 관련하여서는 주백곤의 견해를 원용하여 소강절의 선천역학을 비판하였던 청대역학자들로 한정하였다. 논의의 순서로는 먼저 가일배법과 「선천도」를 소강절 역학의 정수(精粹)로 규정하고, 그 소강절 선천역학의 유래와 관련한 비판, 가일배법에 대한 비판, 「선천도」에 대한 비판을 차례로 고찰하였다. 그래서 청대 역학자들이 소강절의 「선천도」가 도교의 양생술에서 유래하였다고 함을 거론하였다. 따라서 ‘먼저 사람이 된 뒤 사회 활동을 하라’는 유가의 종지(宗旨)와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그들은 매우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함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일배법에 대한 청대 역학자들의 비판은 ‘20→21→22→23→24→25→26’와 같이 ‘2n’으로 표기할 수 있는 과정이 객관 세계나 『주역』 경전문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황종희․종염 형제, 모기령, 호위 등의 가일배법 비판론을 고찰하여 보았다. 「선천도」에 대한 비판과 관련해서는 먼저 왕선산의 비판 종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황종희, 호위, 황종염, 혜동 등의 비판을 고찰하여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