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7~8세기 唐代 譯經事業과 新羅學僧

        郭磊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0 동국사학 Vol.48 No.-

        불교가 중국에 공식적으로 전해진 시기는 後漢 明帝 永平 10年으로 알려져 있다. 명제가 꿈에서 금빛의 사람이 서쪽으로부터 내려오는 모습을 보고서 인도에 불교가 있음을 알고 사신을 보내 불교를 구하게 하였는데, 사신들이 인도로 가던 도중에 마침 중앙아시아에서 포교활동을 하고 있던 迦葉摩騰, 竺法蘭 등을 만나 중국으로 데려옴으로써 불교가 중국에 전해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중국에 온 迦葉摩騰, 竺法蘭은 『四十二章經』등을 한문으로 번역하여 중국 사람들에게 불교를 가르쳤는데 이것이 최초의 한역경전이다. 범어로 된 불경의 한역은 중국불교의 출발을 알리는 가장 구체적인 사건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한역은 송나라 때까지 1000年에 걸쳐 지속되었으며 한역된 경전은 그 수를 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역경사업에 종사한 역경승도 그 숫자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지만 그 중에서 5세기 초의 鳩摩羅什, 6세기 중엽의 眞諦, 7세기 중엽의 玄?, 8세기 중엽의 不空이 가장 뛰어난 역경가로 손꼽히고 있다. 흔히 이들을 4대 역경가라고 부른다. 唐代 역장의 조직 또한 긴밀해져 갔다. 北宋 贊寧이 쓴 『宋高僧傳』 권3, 「譯經篇」에 의하면, 職制가 총10개로 세분화 되어 있었다. 이 새로운 역경 방식을 통해 번역 사업은 이전보다 많은 진전을 이루었다. 신라의 불교는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가 중국이라는 토양을 거쳐 한번 정화된 것을 다시 받아들인 것이다. 그것의 수용에는 중국 승려들과 함께 신라 유학승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그리고 수용된 불교를 신라화하는 작업 역시 유학승의 역할 중 하나였다. 신라유학승들의 불교교리와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깊어지고 풍부해짐에 따라서 唐代부터 점차 역경사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당나라의 東京과 西京의 주요한 역장에서 활약한 신라학승들로는 神昉, 智仁, 圓測, 玄範, 惠日, 勝莊, 無著, 慧超 등 여덟명이 있다. 역장에서 譯主 이외에 필수, 철문, 증의가 가장 중요한 직책이었다. 그 일은 반드시 한문과 범문에 모두 능통하고 大小乘, 內外學, 經律論에 모두 익숙한 사람만이 감당할 수 있었다. 그런데 번역에 참여한 8명의 신라 승려들 가운데 대부분이 필수, 철문, 증의의 직무를 담당하였던 것이다. 당 정관 19년(645)~정원 12년(796) 연간 역경사업 속에서 신라학승들이 참여한 역경사업의 내용과 그들의 저술을 구체적으로

      • KCI등재

        역경에 관한 욥기의 영성교육적 전망-인간의 온전성과 역경의 가치 필연성-

        이명기 한국종교교육학회 2015 宗敎敎育學硏究 Vol.47 No.-

        본 연구는 ‘역경과 인간’을 다루는 욥기를 중심으로 역경의 영성교육적 전망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욥기 안에서 역경으로 인한 개인의 성격변화와 인간의 ‘온전성’의 관계를 탐구한 결과는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인간의 ‘온전성’은 역경에 의해 짓눌리거나 파괴되지 않는다. 둘째,역경은 한 개인의 일만이 아니라 공동체 전체가 그 영향을 주고받는 삶의 일부이다. 이러한 탐구결과 인간의 ‘온전성’과 역경의 가치 필연성에 관한 영성교육적 전망은 다음 세 가지로 제시된다. 첫째, 역경은 초대이다. 역경을 지탱하는 신앙심은 본래 하느님이 인간 안에 심어놓은 씨앗이기에 천성 안에 있는 것이고, 역경이 올 때마다 인간의 영성은 깊어진다. 이를 볼 때 영성교육자들은 특히, 어린나이의 피교육자들을 교육할 때 날마다 기도하고 감사하며 하느님을 사랑하는 일 그리고 공동체 안에서 살아가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끊임없이 수련시켜야 한다. 둘째, 공동체형성의 중요성이다. 영성의 그 깊이는 공동체 삶에서 드러난다. 자신의 역경과 위기를 견뎌내는훈련 자체가 이웃의 역경과 위기를 함께 견뎌주는 열매로 맺어지는 것, 이것이 공동선이다. 셋째,종교영성이 지향하는 것이 각 개인의 영성훈련이라면, 개인에게 역경이 올 때 이를 변화와 영적성숙의 기회, 그리고 새로운 세계로 넘어가는 징검다리로 안내하는 일이 필요하다. 우리의 영성교육이 학생들에게 줄 희망은 이것이다. 우리가 겪는 역경은 우리를 찌그러트리거나 우리를 죽음에이르게 하지 않는다. 우리가 누구인지를 알게 하며, 살아계신 하느님을 만나는 다리가 되고, 우리를 그분의 사람이 되게 한다.

      • KCI등재

        청대이부손(李富孫)의『역경이문석(易經異文釋)』초탐

        임재규 한국중어중문학회 2024 中語中文學 Vol.0 No.95

        This paper is an introductory study on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one of the YIxue(易學) works by Li Fusun(李富孫) of the Qing Dynasty. This is a study on Yiwen(異文) of Yijing(易經).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can be said to be the most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work on Yiwen(異文) of Yijing(易經) among the works of Chinese history of YIxue(易學). In other words, in the history of Chinese YIxue(易學), there is no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writing on Yiwen(異文) of Yijing(易經) that is comparable to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Second,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is one of the works representing ancient textual research of the Qing Dynasty among works on the history of Chinese YIxue(易學).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meticulously researches the vast writings of the greatest archaeological scholars of the Qing Dynasty, including Hui dong(惠棟), Qiandaxin전대흔(錢大昕), and Duan yu-cai(段玉裁), to create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The point is that it presents the most consistent interpretation of Yiwen(異文) of Yijing(易經). Meanwhile,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pretation of Yijing(易經)‘s Yiwen(異文) in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can be cited as follows. First, in the interpretation of Yijing(易經)‘s Yiwen(異文) in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Li Fu-sun(李富孫) mainly develops textual research focusing on Lu De-ming(陸德明), Zheng Xuan(鄭玄), Yu fan(虞翻), Xun Shuang(荀爽), and thi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Hanxue(漢學) in the interpretation of Yijing(易經)‘s Yiwen(異文). Second, in interpreting Yijing(易經)‘s Yiwen(異文) of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Li Fu-sun(李富孫) not only cited Jing(經), Shi(史), Zhuan(傳), and Zhu(注), but also cited even the epigraphy of Han, Tang, and Song dynasties, which can be sai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Kaojuxue(考據學) in the interpretation of Yijing(易經)‘s Yiwen(異文). Third, in interpreting Yijing(易經)‘s Yiwen(異文) in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Li Fusun(李富孫) attaches importance to the restoration of Yijing(易經)‘s Guwen(古文). This is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interpretation of Yijing(易經).

      • KCI등재

        역경후 성장 변인들의 군집유형에 따른 역경후 성장과 적응의 차이

        이옥희,이지연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5

        Based on the post-traumatic growth and adaptation model of Triplett et al.(2012), the present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clustering appearance by the combination of variables that determine post-traumatic growth and adaptation and the difference in the levels of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satisfaction with life. With 617 midlife adults grouped the posttraumatic growth related variables (Core Beliefs Inventory, Event-related Rumination Inventory,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into 5 clusters (Struggling growth group, Unchallenged group, Adaptative growth group, Group that quitted and gave up solutions, and Maladaptive vulnerable group) with a cluster analysis,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and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Satisfaction with Life. Adaptative growth group is a high levels of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satisfaction with life. Struggling growth group, although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in this group is high, satisfaction with life is low and psychological pain is high. Unchallenged group did not try for cognitive processing and is slow in feeling pain, and stands at the lowest level in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satisfaction with life. Group that quitted or gave up solutions is a group, the level of meaning in life and satisfaction with life is high. Maladaptive vulnerable group is a low level of meaning in life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ype of coping with traumatic experience is grouped according to Core Beliefs Inventory, Event-related Rumination Inventory,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resulting in different levels of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us, different approaches should be applied to counseling and therapy. 본 연구는 Triplett 등(2012)의 역경후 성장과 적응모형에 근거하여 역경후 성장의 주요 변인들의 조합별 군집양상과 역경후 성장, 삶의 의미, 삶의 만족 수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로써 한국의 중년기 성인의 역경후 성장과 적응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중년기 성인 6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신념 도전, 침투적 반추, 의도적 반추, 심리적 고통, 인지적 정서조절 변인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군집(투쟁 중인 성장 집단, 도전되지 않은 집단, 적응적 성장 집단, 해결을 중단․포기한 집단, 부적응적 취약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5개의 군집 간 역경후 성장, 삶의 의미, 삶의 만족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응적 성장 집단은 역경후 성장, 삶의 의미, 삶의 만족 수준이 모두 높게 나타나 역경을 해결하고 적응을 잘한 건강한 집단이며, 투쟁중인 성장 집단의 경우 역경후 성장 수준이 높지만 삶의 만족 수준이 낮고 심리적 고통이 큰 집단이다. 도전되지 않은 집단은 인지처리 노력을 하지 않고 심리적 고통이 낮은 집단으로 역경후 성장, 삶의 의미, 삶의 만족 수준 모두 최하위 집단이다. 해결을 중단․포기한 집단은 역경의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을 중단했을 가능성이 높은 집단으로 삶의 의미, 삶의 만족 수준이 높다. 부적응적 취약집단은 핵심신념 도전이 낮은 수준임에도 심리적 고통이 높은 취약한 집단으로 삶의 의미, 삶의 만족 수준이 낮은 편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역경 경험에 대응하는 유형이 핵심신념 도전, 침투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심리적 고통,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수준에 따라 구분이 되고, 그에 따른 역경후 성장, 삶의 의미, 삶의 만족 수준이 다르므로 이에 따른 상담․치료적 접근이 달라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李富孫의 『易經異文釋』과 項安世의 『周易玩辭』 비교 고찰

        임재규 동양고전학회 2024 東洋古典硏究 Vol.- No.94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by Li Fusun(李富孫) of the Qing Dynasty and Zhouyiwanci(周易玩辭) by Xiang Anshi(項安世) of the Song Dynasty. In Chapter 2 of the main text, Li Fusun(李富孫)’s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and Yiwen(異文) were examined. The discussion in Chapter 2 was developed focusing on Li Fusun(李富孫)’s biography in the Qingshigao(清史稿), and I tried to prove the evaluation of Qingshigao(清史稿) with the related contents of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In other words, Qingshigao(清史稿) evaluated that Li Fusun(李富孫) attempted to restore Guwen(古文) of Yijing(易經) through research on Yiwen(異文) of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In Chapter 3, Xiang Anshi(項安世)'s Zhouyiwanci(周易玩辭) and Ci(辭) were examined. The discussion in Chapter 3 was developed focusing on the summary of Zhouyiwanci(周易玩辭) of Sikuquanshuhuiyao(四庫全書薈要). Siku(四庫) official assessed that Xiang Anshi(項安世)'s Yixue(易學) basically inherited Chengzi(程子)‘s Yixue(易學), but that did not mean that Xiang Anshi(項安世) accept uncritically Chengzi(程子)‘s Yixue(易學). Furthermore, Siku(四庫) official evaluated Xiang Anshi(項安世)'s Yixue(易學) as a combination of Yili(義理) and Xiangshu(象數). In Chapter 3, I tried to prove this evaluation of Siku(四庫) official on Zhouyiwanci(周易玩辭) with related contents of Zhouyiwanci(周易玩辭). Chapter 4 compares Yiwenshi(異文釋) of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and Wanci(玩辭) of Zhouyiwanci(周易玩辭). The common point between Yiwenshi(異文釋) of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and Wanci(玩辭) of Zhouyiwanci(周易玩辭) is that both wanted to restore the original meaning of Yijing(易經), and the difference is the methodology to restore the original meaning of Yijing(易經). In other words,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uses the methodology of philology and archaeological studies as its main methodology, and Zhouyiwanci(周易玩辭) uses the methodology of combining Yili(義理) and Xiangshu(象數) as its main methodology.

      • KCI등재

        대인관계 역경 경험 대학생들의 역경 후 부정적 정서에 대한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의 효능 및 조절변인으로서의 개입 전 우울증상

        조승연,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2

        본 연구는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이 여러 종류의 역경 후 부정적 정서들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 이러한 효 과가 개입 전 우울증상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인관계 역경을 경험했다고 보고한 대 학생들 중에서 30명은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을, 그리고 29명은 일상적 글쓰기 개입을 제공받았다. 분석 결과,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 조건의 참가자들은 일상적 글쓰기 개입 조건의 참가자들에 비해 역경 후 분노 수준이 종결 2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역경 후 배신감의 경우 개입 전에는 두 가지 조건 간에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개입 후에는 일상적 글쓰기 개입조건에 비해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조건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하지만, 다른 종류의 역경 후 부정적 정서들의 수준에서는 두 조건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다 음으로, 종결 2주후에 역경 후 공포와 역경 후 죄책감 수준 각각에 대한 일상적 글쓰기 대비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이 미치는 효과는 개입 전 우울증상 수준이 높을수록 더욱 컸고, 그 외에 다른 종류의 역경 후 부정적 정 서들에 대한 개입의 효과는 개입 전 우울증상 수준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이러 한 결과들은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이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의 역경 후 분노와 배신감 수준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며,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 중에서 개입 전 우울증상 수준이 높은 사람들에게서 역경 후 공포와 역 경 후 죄책감을 낮추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for several kinds of post-adversity negative emotions and evaluated the role of pre-intervention depressive symptoms as a moderator in the treatment effects. Of the university students who reported a history of interpersonal adversities, 30 were provided with the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and 29 with daily writing intervention. Compared with the participants in the condition, those in conditio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ost-adversity anger at 2-week follow-up assessment. For post-adversity betraya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and the daily writing intervention before intervention, but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terventions.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kinds of post-adversity negative emotions were not found between the two conditions. At the follow-up, the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was superior to the daily writing intervention in the levels of both post-adversity fear and post-adversity guilt among those with higher pre-intervention depression symptoms, but did not among those with lower pre-intervention depression symptom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is an efficacious treatment for post-adversity anger and betrayal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adversities, and that the intervention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post-adversity fear and post-adversity guilt among those who both experienced interpersonal adversities and reported higher pre-intervention depression symptoms.

      • KCI등재

        현장이 초기에 역경한 유가행파 문헌들에 대한 대조 연구

        최종남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2 No.-

        Hyeon-Jang had gone on a Buddhism seeking travel in India for 17 years from August 629 until January 7, 645. Regarding Hyeon-Jang, after arriving in Jangan, because of the wish to translate the scriptures and the royal order of the Emperor The-Jong, Hyeon-Jang opened a translation institute at the Hongbok Temple in Jangan on March 1. And, from May, at the Buddhist temples at over 10 places, including the Hongbok Temple, he had translated the scriptures of 1335 volumes of 75 parts during 20 years until January 664. Regarding the Buddhist scriptures that had been translated by Hyeon-Jang,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and the diverse Buddhist scriptures by the era, the school, and the thought of Hwaeom, Junggwan, Yusig, etc. of Mahayana had been translated. In this thesis, among the 1335 volumes of the 75 parts regarding which the scriptures had been translated by Hyeon-Jang, the Hyeonyangron and the Yugaron, which are the Buddhist scriptures at the beginning of the translations, which are the scriptures that had been translated by the same person, and which are the early literatures that represent the Yogācāra, had been contrasted and considered philologically. Regarding the reasons why it is intended to study the two treatises, Hyeon-Jang had translated the two treatises, and, as the content of the Hyeonyangron is the literature that had reorganized the content of Yugaron, they have the important values as the materials with regard to understanding the points of the differences and the processes of the unfolding of the scripture translating method of Hyeon-Jang, the scripture translated literatures in the initial phase, or, in other words, the literatures (The Hyeonyangron) regarding which the scriptures had been translated in the year 645, and the literatures (The Yugaron) regarding which the scriptures had been translated in the year 646. In this thesis, regarding some of the phonetic marks, the liberally translated terms, the changes, the omissions, the additions, and the reduced translations of the structures of the sentences, and th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as the negatives, the particles in the classical Chinese, the prepositions and the verbs of doing that have been used in the two treatises, they had been contrasted and analyzed philologically. In the processes of th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of the Hyeonyangron, Hyeon-Jang had used the phonetic marks of the zones, the phonetic marks of the Pāli language, and the liberally translated terms in a lot of the parts just the way they were. However, in the processes of th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of Yugaron, the newly translated terms were converted into, and used as, the liberally translated terms, the phonetic marks were converted into, and used as, the liberally translated terms, and the phonetic marks of the Pāli language were converted into, and used as, the phonetic marks of the Sanskrit language and the joint translations. And, if the examples of the structures, the contents, and the grammar of the sentences are compared, in the Hyeonyangron, the structural changes, the omissions, and the reduced translations of the sentences are marked. However, in Yugaron, if they are compared to the original texts in the Sanskrit language, we can know that they are the scriptures that are centered on the quality that coincide with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texts and that they are th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of the new translations with which Hyeon-Jang entered the settlement phase. As a result, we can know that the Hyeonyangron, regarding which the scriptures had been translated in the year 645, has the scriptures that had been translated as the test translations for preparing a method for th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that are the new translations and for the systematization. 현장은 629년 8월부터 645년 1월 7일까지 17년간 인도에서 구법여행을 하였다. 현장은 장안에 도착한 후 역경하고자 하는 소원(願以所聞歸還飜譯)과 太宗의 칙명에 의해 3월 1일 장안 홍복사에 飜經院을 개원하고, 5월부터 홍복사를 비롯하여 10여 곳의 사찰에서 664년 1월까지 20년 동안 75부 1335권을 역경하였다. 현장이 역경한 불전들은 부파불전들과 대승의 화엄․중관․유식 등의 다양한 시대별․학파별․사상별의 불전들을 역경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이 역경한 75부 1335권 중에서 역경초기의 불전들이며, 동일인이 역경하였으며, 그리고 유가행파를 대표하는 초기문헌인 「顯揚論」과 「瑜伽論」을 문헌학적으로 대조․고찰하였다. 두 논서를 연구하고자 함은 두 논서를 현장이 역경하였으며 「顯揚論」의 내용은 「瑜伽論」의 내용을 재조직한 문헌이므로 현장의 역경방법(譯風)과 초기의 역경문헌들, 즉 645년에 역경한 문헌(「顯揚論」)과 646년에 역경한 문헌(「瑜伽論」)의 차이점과 전개과정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적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두 논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부 음사표기, 의역용어, 문장의 구조변화․생략․추가․축역, 그리고 부정어, ‘於’조사, ‘爲’의 조사․동사로서의 역경들에 대해서 문헌학적으로 대조․분석하였다. 현장은 「顯揚論」의 역경과정에서 구역의 음사표기․빨리어 음사표기․의역용어들을 많은 부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瑜伽論」의 역경과정에서는 신역 의역용어로, 음사표기를 의역용어로, 빨리어 음사표기를 산스크리트어 음사표기로, 합역들로 각각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문장의 구조․내용․문법의 예들을 대조하면 「顯揚論」에서는 문장의 구조변화, 생략, 축역들이 현저하다. 그러나 「瑜伽論」에서는 산스크리트어 원전과 대조하면 원전의 내용과 일치하는 質 중심의 역경, 그리고 현장이 정착단계에 든 신역의 역경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645년에 역경한 「顯揚論」은 신역의 역경방법을 준비하고, 체계화하기 위한 試譯의 역경이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 이학휘편(理學彙編) 경적전(經籍典) 역경부(易經部)에 대한 시론적 고찰

        임재규 ( Im Jaekyu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6

        본 논문은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에 대한 초탐의 성격을 지닌 글이다. 아직까지 중국 역학계나 한국 역학계에서 연구되지 못한 미개척의 분야인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에 대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앞으로 우리 학계에 새로운 자료와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는 易經部彙考, 易經部總論, 易經部藝文, 易經部紀事, 易經部雜錄, 易經部外編, 易經部易學別傳으로 구성되어 있다. 易經部彙考는 청초까지의 『역(易)』 관련 문헌 기록, 서, 목록서를 수집 정리한 것이고, 易經部總論은 청초까지의 『역(易)』 관련문헌 중 총론에 해당하는 글을 수집 정리한 것이고, 易經部藝文은 역대의 『역(易)』 관련 문헌 중 시, 부 등의 문학적 글을 수집 정리한 것이고, 易經部紀事는 역대의 『역(易)』 관련 문헌 중 역사적 글을 수집 정리한 것이고, 易經部雜錄은 앞의 易經部彙考, 易經部總論, 易經部藝文, 易經部紀事에 수록된 내용을 제외하고 기타 문집류 등에 기록되어 있는 『易』관련 내용을 수집한 것이고, 易經部外編은 전통적이고 주류적인 『易』과 관련한 내용을 제외한 기타 『易』관련 기록을 수집한 것이고, 易經部易學別傳은 경학적 성격의 역학서로 볼 수 없는 역학서를 수집 정리한 것이다. 이상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의 易經部彙考, 易經部總論, 易經部藝文, 易經部紀事, 易經部雜錄, 易經部外編, 易經部易學別傳에 대한 초보적인 연구를 통해서 필자는 대략 다음과 같은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의 특징 및 의의를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는 청초까지 수집 정리된 최고의 역학 관련 자료 집성이라 할 수 있다. 특히 易經部總論은 중국의 기타 유서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역학에 대한 총론적 성격의 자료집성이라 할 수 있다. 둘째,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는 청초까지 수집 정리된 최고의 역학 관련 목록학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수록된 역학 관련 목록은 청초까지 발행된 역학 관련 거의 대부분의 목록서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높은 학술적 가치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셋째,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 易經部易學別傳에 수록된 9종의 역학 문헌은 발간 시기로 볼 때 『四庫全書』에 수록된 동일 문헌보다 더 판본상의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is is an article with the character of first exploration on the Yijing Bu(易經部) of Gujin Tushu Jicheng(古今圖書集成). As it is the first study on the Yijing Bu(易經部) of Gujin Tushu Jicheng(古今圖書集成). this study is expected to present new data and new perspectives to our academia. The Yijing Bu(易經部) of Gujin Tushu Jicheng(古今圖書集成) are composed of Yijing Bu Huikao(易經部彙考),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Yijing Bu Yiwen(易經部藝文), Yijing Bu Jishi(易經部紀事), Yijing Bu Zalu(易經部雜錄), Yijing Bu Waibian(易經部外編), Yijing Bu Yixue Biezhuan(易經部易學別傳). Yijing Bu Huikao(易經部彙考) is a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records, books, and lists of literature related to Yi(易) up to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and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is a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articles that correspond to general discussions among the literature related to Yi(易), Yijing Bu Yiwen(易經部藝文) is a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literary texts such as poetry among the literature related to Yi(易), Yijing Bu Jishi(易經部紀事) is a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historical texts among the literature related to Yi(易), Yijing Bu Zalu(易經部雜錄) collects the contents related to 『易』, which are recorded in other writings, except for the contents of the preceding Yijing Bu Huikao(易經部彙考),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Yijing Bu Yiwen(易經部藝文) and Yijing Bu Jishi(易經部紀事), Yijing Bu Waibian(易經部外編) is a collection of other records related to Yi(易) except for traditional and mainstream Yi(易), Yijing Bu Yixue Biezhuan(易經部易學別傳) is a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Yixue(易學) books that cannot be seen as Jingxue(經學). Through a study on Yijing Bu Huikao(易經部彙考),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Yijing Bu Yiwen(易經部藝文), Yijing Bu Jishi(易經部紀事), Yijing Bu Zalu(易經部雜錄), Yijing Bu Waibian(易經部外編), Yijing Bu Yixue Biezhuan(易經部易學別傳), I was able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following. First, the Yijing Bu(易經部) of Gujin Tushu Jicheng(古今圖書集成) is the best data collection of Yixue(易學) ever collected and compiled up to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In particular,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can be said to be a generalization of data on the Yixue (易學)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Leishu(類書) in China. Second, it can be said that the Yijing Bu(易經部) of Gujin Tushu Jicheng(古今圖書集成) is the best catalogology of Yixue(易學) that has been collected and organiz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The list of Yixue(易學) included here is considered to have very high academic value in that it contains almost all of the lists of Yixue(易學) publish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Third, 9 kinds of Yixue(易學) documents in Yijing Bu Yixue Biezhuan(易經部易學別傳) are more valuable in edition than the same ones in Siku Quanshu(四庫全書).

      • KCI등재

        이병헌(李炳憲)의 금문경학적 『역경(易經)』 이해 - 태괘(泰卦)와 비괘(否卦)를 중심으로 -

        安承宇 ( Seung Woo An )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9

        진암(眞菴) 이병헌(李炳憲, 1870~1940)은 일제강점기 유학자로서, 금문경학(今文經學)의 측면에서 유가 경전을 해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역경(易經)』을 비롯하여, 『시경(詩經)』, 『서경(書經)』, 『예경(禮經)』 등에 대한 연구 성과를 남겼는데 특히 생애 만년에 『역경』 연구에 몰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병헌이 금문에 기초한 『역경』 해석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역경』 연구가 가진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의 『역경』 관련 저작인 『역경금문고(易經今文考)』, 『수화개벽설(水火開闢說)』을 중심으로 하고 기타 『이병헌전집(李炳憲全集)』에 실린 관련 내용들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역경』에 공자의 미언대의(微言大義)가 담겨 있다는 이병헌의 기본 전제에 기초하여, 『역경』 상경(上經)의 괘서(卦序) 가운데 특히 태괘(泰卦)와 비괘(否卦)가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수화개벽설』에서 이병헌이 제시한 원세운회(元世運會)를 중심으로 하여 우임금 치수로 대표되는 태괘의 시대로부터 이병헌 당시의 비괘의 시대에 관한 그의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의 유학자로서, 유가경전 특히 『역경』을 프레임으로 하여 사회와 역사, 세상을 바라보았던 이병헌의 고민과 시대에 대한 성찰을 살펴보고자 한다. Jinam 眞庵 Lee Byung-hun 李炳憲(1870~1940) was a Confucian scholar during Japanese Ruling Era and he had a academic characteristic to interpreted the Confucian classics based on New Text Confucian. He left behind his studies on Yijing, Shijing 詩經, Shujing 書經, Lijing 禮經, and etc. Especially in his later years, he devoted himself to studying the Yijing. This paper explores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Lee Byung-hun’s research on the Yijing, which is based on New Text classics. To do this, this paper focuses on his Yijing-related works, the Yeokgyeong Geummungo 易經今文考 and the Suhwa Gaebyeokseol 水火開闢說 and explores relevant contests shown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Lee Byung-hun 李炳憲全集. This paper particularly analyses the meaning of Tai 泰卦 and Pi Hexagrams 否卦 in the “Shangjing 上經”’s Hexagram sequences based on the basic premise of Lee Byung-hun that the Yijing contains Confucius’ great principles in subtle words (微言大義). Futhermore, this paper explores his discuss on from the age of Tai Hexagram, which is represented by the Yu 禹’s controlling waters, to the age of Pi Hexagram, which means the ear Lee Byung-hun lived. From this, we can understands how Lee Byung-hun recognized society, history, and world by using the frame of Confucian classics, especially Yijing, as one of the Korean Confucian scholars who lived during Japanese Ruling Era.

      • KCI등재

        직장역경과 직무열정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직무창의성 매개효과 중심으로

        임재성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4

        In a workplace, workers exhaust their resources due to workplace adversity or acquire resources through job-related pa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nversion of workers to entrepreneurs and through what paths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generated. To this end, the effects of workplace adversity and job-related pass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were explored with workers in Korea. Also,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s of workplace adversity and job-related pass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job-related creativity, this author attempted to derive the factors and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conversion of workers to entrepreneurs. Analyzing 333 workers’ data acquired through online surveys with the statistical packages of SPSS and AMOS, this study has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orkplace adversity i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implies that workplace adversity that is negatively regarded is rather a crucial variable that increases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workplace adversity has positive(+) effects on job-related creativity. It means that job-related creativity is an effective factor to overcome workplace adversity. Third, job-related passion i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passion to concentrate on the resources secured is an important factor to elevate entrepreneurial intention. Fourth, job-related passion is verifi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job-related creativity. It implies that creative methods can be effective in achieving the goal. Fifth, job-related creativity i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Creativity is an intention or action that precedes starting up a business, and it is judged that high job-related creativity reflects high expecta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success in starting up a business. Sixth, job-related creativity is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in correlation between workplace advers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eventh, job-related creativity is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in correlation between job-related pass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means that job-related creativity is an effective factor to alleviate the adversity of workers and increase job-related passion in the process of becoming entrepreneurs. Academically, there were few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adversity of workers in Korea. As this study targets office worker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differentiated study extending the range of subjects. Also, practically, it has been learned that negative workplace adversity, too,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positively. This is practically meaningful in terms of office workers’ career management because even in adverse situations that are negative, starting up a business through work experiences may work as an alterna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생활과정에서 직장역경으로 자원이 소진되거나 직무열정을 통해 자원이 획득하는 직장인이 창업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어떠한 경로를 통해 창업의도가 생성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직장인 대상으로 직장역경 및 직무열정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또한 직장역경과 직무열정이 직무창의성의 매개를 통해 창업의도 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함으로써 직장인이 창업으로 전환되는 요인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로 확보한 333명의 data를 근거로 SPSS와 AMO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역경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직장역경이 오히려 창업의도를 높이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장역경은 직무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직장역경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직무창의성이 효과적인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직무열정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확보된 자원을 집중하고자 열정이 창업의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직무열정은 직무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창의적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직무창의성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창의성은 창업 전에 선행되는 의도나 행동으로서 직무창의성이 높은 경우 창업에 성공 가능성에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직무창의성은 직장역경과 창업의도 간의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일곱째, 직무창의성은 직무열정과 창업의도 간의 사이에서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직무창의성은 창업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직장인의 역경을 완화시키고 직무열정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학문적으로는 국내에서 직장인 대상 역경 관련 선행연구가 거의 없었는데 본 연구에서 직장인 대상 연구라는 점에서 차별화 및 연구대상을 확장시킨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부정적인 직장역경도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직장인 경력관리 측면에서 부정적인 역경적 상황도 직장 경험이 반영된 창업이 대안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어 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