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헤겔의 동양과 여성이해 그리고 다문화주의의 가능성

        이정은 한국여성철학회 2007 한국여성철학 Vol.8 No.-

        이 글은 다문화주의에 기초하여 여성 이해의 새로운 지평을 마련하 기 위해 서양인이 동양을 어떻게 바라보는가를 헤겔의 중국관 내지 여성관을 통해 접근하고자 한다. 헤겔은 역사 철학, 철학사, 예술 철학의 서두를 동양에서 출발하지만, 동양에는 주체성과 자유가 결핍되어 있다는 이유에서 출발점 내지 실마리의 위치에서 동양을 배제한다. 헤겔은 중국의 공자 철학에 대한 감탄에도 불구하고 공자 사상을 철학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헤겔에게 동양 철학은 근대 철학의 토대가 되지 못하며, 동양과 서양 근대 간에는 어떤 공통적인 본질적 원리도 없다. 중국은 역사의 시작이지만 몰 역사적이라서 세계사의 실마리가 될 수 없다. 중국은 역사 철학과 철학사와 예술 철학 모두에서 기본적으로 보편적 양식을 지니고는 있지만 개인의 주체성, 자유, 자기의식이 상실된 망아상태이기 때문에 보편성보다는 종교적 표상 양식에 가까운 것으로 격하된다. 헤겔은 동양인, 중국인이 기본적으로 자기의식이 없으며, 자기의식의 결핍은 가부장제 문화와 연결된다고 본다. 가부장제는 중국에서 가족 정신으로 이어지며, 가족의 기본 정신은 사랑이다. 이때 사랑은 개성과 인격이 방기되는 것이다. 인격의 방기는 가족 안에서만 그치지 않는다. 황제 개인이 전권을 행사하면서 드러내는 가부장제적 족장의 모습은 종교적 사제 역할까지 담당하는 신정 정치의 모습을 담고 있다. 헤겔은 가부장제 가족 문화에서 가족을 이끄는 정신은 가족의 경건심, 신적 법이며, 이러한 신적 법의 대표자는 여성이라고 한다. 그러나 여성은 자기의식이 없는 존재라서 가족의 정신도 가부장제도 자기의식이 없다. 그러므로 가부장제 문화 속의 동양 남성은 자기의식이 없으며 역사의, 철학의 실마리도 될 수 없는 존재이다. 게다가 헤겔은 동양 여성에 대해서는 그다지 언급하지 않으며, 심지어 동양 남성의 망아상태에서조차 관심 대상으로 부각시키지 않는다. 헤겔은 (근대) 서양 남성과 서양 여성을 비교할 때는 남성의 자기의식적 측면을 부각시키고, 그에 반해 여성은 자기의식이 없다고 강조하지만, 자기의식이 없는 서양 여성조차도 헤겔 저작 곳곳에서 자기의식에 대한 암묵적 자각과 자기의식적 분열을 시사하는 측면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헤겔이 동양관, 중국관을 거론할 때 동양 남성은 서양 근대 여성이 지닌 분열 의식조차도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동양 여성, 한국 여성은 헤겔의 논의 지평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적 존재들이다. 헤겔의 동양관, 동양 여성관은 알게 모르게 동양의 신비 내지 동양 여성의 신비라는 단어 속에 은폐되어 있다. 헤겔의 동양 이해, 여성 이해를 다문화주의적 차원에서 새롭게 여성을 이해하는 대척점으로 반전시키려면, 서양의 나르시스적 동양관을 극복해야 한다. 동시에 서양의 나르시스적 동양관의 영향을 받아 이미 그에 물들어 있는 우리들은 그 속에서 새로운 지평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여성과 결혼이민여성의 효의식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영동 지역을 중심으로

        정정애,박영숙 한국효학회 2009 효학연구 Vol.0 No.10

        우리의 전통사상인 효의식을 회복하고 생활화하여 다문화사회에 뿌리내리고 자리매김하는 것은 우리가 마땅히 수행하여야 할 과제인데 다문화사회에서 여성들이 자신의 에너지와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고 스스로에 대한 성취감과 기대감이 충족될 수 있도록 자기효능감을 고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여성과 결혼이민여성의 효의식과 자기효능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다문화시대에 우리의 소중한 전통생활양식인 효의식을 잘 보존하여 살아갈 수 있는 방법과 여성들의 자기자신에 대한 효능감을 고양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 하였다. 통계를 통해 한국여성들의 효의식은 결혼이민여성들의 효의식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효의식이 위협을 받고 있음을 보여 주는 근거이므로 한국여성들의 효의식에 대한 회복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다문화사회에서 한국여성들이 효의식에 대한 모범을 보이지 못할 경우 현재 보다 더 심각한 가정의 문제가 우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예방하고 행복한 미래를 위해서는 우리의 아름답고 고유한 전통윤리인 효의식을 한국여성들이 모범을 보일 때 결혼이민여성들이 지니고 있는 효의식이 사라지지 않고 그들의 생활양식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생활 수준이 향상되더라고 효의식이 높아질 수 있는 교육이 시급하다고 본다.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교육과 연습 및 학습을 통한 효의식의 회복이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또한 연구분석결과 결혼이민여성들의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온 결과는 이들의 성취감과 자신감 그리고 자신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관심과 지지가 요구되고 이들이 한국생활에 작 적응하여 자신감있는 여성으로서 가정생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앞으로 다문화사회에서 우리의 소중한 생활양식인 효의식을 회복하고 현대사회와 미래사회에 걸맞는 효의 식을 잘 보존하여 살아가도록 하고 여성들이 자기자신에 대한 효능감을 고취시켜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도록 힘써야 한다.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yo consciousness and self-efficiency who are Korean women and marriage immigrants women. I analyzed that how korean's Hyo consciousness different through Korean women and marriage immigrants women. And we consider the relationships between Hyo consciousness and self-efficiency and analyze a influence between the factors. I wish to recover the Hyo consciousness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keep it that is suitable to today's and future society. Also we are looking forward to inspire the efficiency about themselves. This shows through the statistics that Korean women's Hyo consciousness is lower than the marriage immigrant's women. It means Korean's Hyo consciousness is threatened. So it is important to recover that consciousness. It is because if Korean women isn't became the model about the Hyo consciousness, it can be caused the serious problem of family in multicultural society. Consquently, we must prevent this problem and Korean women must model to Hyo consciousness. Then the marriage women will have Hyo consciousness and will preserve it and can be their life.

      • KCI등재
      • KCI등재

        메리 스크랜튼의 여성 교육 활동과 개화기 한국 ‘여성주의 의식’의 태동

        양현혜 한국교회사학회 2015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2 No.-

        스크랜튼은 기숙제 학교인 이화 학당과 보구여관이라는 여성 전용 병원 그리고 공옥여학교를 비롯한 수많은 여자매일학교를 세우고 여성교회와 부인성경학교를 세워 여성을 교육하고 여성지도력을 개발했다. 이것은 여 성교육 활동이었을 뿐만 아니라 개화기의 한국 여성들에게 ‘여성의 공간’ 의 창출이었고, ‘여성 주의’ 의식의 개발이기도 했다. 특별히 그녀가 설립 한 이 나라 최초의 여성 교육 기관이었던 이화 학당은 스크랜튼이 뿌린 ‘여성주의’ 의식이 싹을 틔우고 태동하는 중요한 묘판이 되었다. 이화학당 이라는 기독교적 여성 고등 교육 시설 안에서 개화기 한국 여성들은 사물 을 규정하고 명명하며 자신과 세계를 표현할 수 있는 ‘여성주의 의식’에 각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자기의식을 현실화하여 당당한 사 회적 전문인으로서 혹은 민족 독립 운동가라는 정치적 주체로서 자립해 가 게 되었다. 이화라는 공간 안에서 여성들은 무지로부터 해방되었고 가정이 라는 공간에서 해방되었고, 아내, 딸, 어머니라는 전통적인 역할로부터 해 방되었으며, 무엇보다도 여성을 자신의 삶과 역사의 주체로 세우고 사회적 존재로 확장해 가는 의식해방을 이루었던 것이다. 개화기 이화학당에서 태동된 ‘여성주의’ 의식이 가부장제적 성적 위계질서를 완전히 청산하지 못 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나, 개화기의 ‘여성주 의’ 의식은 자유주의적 ‘여성주의’ 의식이나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의식을 가능하게 하는 저변을 이룬 우리 나라 ‘초기 여성주의’로서의 의의가 크다. 그러한 의미에서 스크랜튼은 이 나라 여성 교육의 개척자임과 동시에 ‘여 성주의’ 의식의 개척자이자 여성 운동의 개척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Mary F. Scranton was the founder of Ewha Haktang, a residential school, PoKuNyoKwan, a women’s only hospital, Gongok Girls’ School and many other day schools for women. She also founded a training school for Bible Women in order to educate and develop the leadership skills of Korean women. What she did was not only for women's activities, but also for the creation of “space for women” and the development of a “feminist” perspective for Korean women at the time of modernization. Ewha Haktang was the first educational institution for women in Korea, especially, because it became a crucial nursery for the “feminist” perspective to grow. Defining things and designating them, Korean wome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were awakened by the “feminist” perspective taught at which Ewah Haktang, a place of Christian higher education for women, which made them to be able to express themselves and the world they lived in. These women became professionally confident members of the community by actualizing their new self-consciousness. They began to stand on their ownpolitically as independent activists. In the “space” called Ewha, Korean women were emancipated from ignorance and restrictive traditions relating to the family roles of wives, daughters and mothers. Most of all, women became aware that they were subjects of history and life itself which freed them to be more a part of society at large. Even though the “feminist” perspective that was begun at Ewha Haktang in the time of enlightenment showed its limits on failing deconstruction of patriarchal authority, the fact that the "feminist" perspective in this era formed the “feminist” libertarian or socialistic “feminist” perspective was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early feminism of Korea. In that sense, Scranton is regarded as being on the forefront of the “feminist” perspective and women's movement in Korea.

      • KCI등재

        강경애의 작품 속에 나타난 계급의식과 여성성의 길항관계

        이덕화 한국문학연구학회 200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37

        Even though Kang is a woman who has acute observation and delicate sensibility, she can not get out of idealism and schema when she stick to class consciousness. This is because desperate reality of poverty that she experienced in her childhood or in Kando is something different from ideological concept she acquired through study. Feminity could not also be shown in full when her writings were based on ideology of class which let to reality of bias. However, when they were based on her feminine experiences, her observation and sensibility are well revealed. Eagerness towards humane life through her writings from experience shows how consciousness of others as a woman worked properly in the relationship of antagonism with class consciousness in her times. In her early pieces like [Pagum] and [Vegitable garden], it brings sudden endings of story due to trials to set her ideas into the reality not to show enough course of event through her experience or sense. There also exists discrepancy between her description of circumstance and class consciousness which proves her sensibility of feminity could not be fully displayed under her idea of class. After some criticism on her early writings for ideality and schema at the time, she wrote [Salt] which she described extreme poverty through her own experience and acquired considerable positive comments. And this led to her writings more based on experience covering class consciousness. [Human problem] also covers class consciousness telling a woman’s alienation due to violence of patriarch and sexual suppression. Her endings become more realistic, not in schema or idealistic, when her characters newly realize her own reality. [The woman] and [200 Won, as a fee of an article] show characters going though introspection of human initiated by class consciousness and Kang showed reflection of her own experiences. In [Salt], Kang described a woman’s consciousness fell into contradiction between economic poverty and her position of the time. The character has to fight for her reality of poverty but also for typical recognition of woman in feudalism. She showed desperate poverty through a man who became regardless of other people due to his circumstances in [Underground town]. In Korean literature, Kang was the most successful to show class consciousness together with woman’s experience. She was very insightful in her low class life but again, specific in experience as a woman. Identical life style of every women in the time Kang lived, which consists of man’s violence, alienation, maternity to overcome those defects of their lives, is fully revealed in Kang’s writings. 초기 작품에서 강경애는 작품성보다는 계급의식에 대한 열망이 더 강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난의 체험들을 빨리 계급의식을 매개로 작품을 형상화하고 싶었을 것이다. 이것은 강경애의 하층민 의식이 장하일과의 만남을 통해서 뚜렷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조급성을 보여준다. 강경애의 이런 조급성으로 인해 초기의 작품에서 계급문학을 향한 집념은 계급의식이 현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소통되지 못하고 자신의 관념 속에서만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강경애가 자신의 주위 체험을 매개했을 때 강경애의 예리한 관찰력과 섬세한 감각이 올바르게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형적인 여성적 글쓰기를 보여주는 체험적 글쓰기에서 여성으로서의 강경애의 감각과 관찰력이 훨씬 돋보인다. 체험적 현실을 통해서 드러내는 인간적인 삶에 대한 열망에는 강경애의 여성으로서 가지는 타자의식이 당대의 현실적 모순 속에서 계급의식과의 길항 관계 속에서 올바르게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파금][채전] 등의 초기 작품에서 보여주는 급작스런 결말은 강경애의 여성적 경험들이나 여성적 감각들이 현실의 충분한 매개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관념에 현실을 조급하게 적용시킨 결과이다. 또 환경의 세부적 묘사가 계급의식과 일체감을 가질 수 없는 정서적 불일치를 보여줌은 계급의식의 당위성에 의해서 강경애의 여성으로서의 감각과 섬세한 관찰력이 발휘를 제대로 할 수 없는 경우이다. 초기 작품에서 관념성과 도식성 등을 당대 비평가들로부터 지적받은 강경애가 자신의 주위 체험을 바탕으로 처절할 정도의 가난을 묘사한 『소금』을 발표해 상당한 평가를 받은 이후, 이런 체험을 바탕으로 강경애는 계급의식에 집착하는 것보다 자신의 체험에 입각, 계급의식을 매개하는 작품을 쓰기 시작한다.『인간문제』의 서술 과정 역시 여성적 체험, 즉 남성의 가부장적 횡포와 성적 억압을 중심으로 한 여성적 소외를 바탕으로 계급의식이 매개된다. 그리고 인물이 현실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그 이전 작품처럼, 도식적이나 관념적인 결론이 아니라, 현실적 체험 속에서 얻은 ‘법’에 대한 천착을 통해서 현실을 자각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그 여자][원고료 이백원]에서는 여성의 특징인 과거로의 회귀, 자전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심리적 갈등의 서술은 그 앞의 몇몇 소설에서 보여준 관념성과 도식성을 벗어나고 있다. 이것은 계급의식으로부터 시작된 인간에 대한 성찰을 확대, 여성의 자전적 체험을 매개로 현실에 대한 통렬한 반성을 통하여 그 이 전의 작품에서 보여주었던 관념성과 도식성을 벗어나고 있다. 『소금』에서는 경제적 모순과 시대적 질곡이라는 이중 모순에 빠진 여성의 삶을 철저히 파헤치고 있다. 남성에 대해서 타자이고 신여성에 대한 타자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구여성, 철저하게 타자화 된 봉건 여성을 통해서 당대의 현실의 모순을 극대화, 봉건 여성의 리비도적 경험을 매개로 한 질곡의 삶을 핍진하게 그리고 있다. [지하촌]에서는 칠성이의 환경적인 요인과 생래적 특징에 의해서 철저히 타자화된 인간을 통하여 처절할 정도의 가난이 드러난다. [소금]이나 [지하촌]에서 철저히 타자화된 인물들은 강경애의 여성적 감각과 여성만이 가지는 소외의식에 의해서 만들어진 인물이다. 또 이 작품 속에 매개된 강경애의 하층민에 대한 계급적 관심은 인물 ...

      • KCI등재

        現當代詩歌中的女性意識探幽

        鄭鶴順(Zheng He-shun) 중국문화연구학회 2004 중국문화연구 Vol.0 No.5

        詩歌는 마음을 표현하는 형식의 하나로 또 다른 차원에서 보면 의식의 변화과정을 드러낸다. 後現代主義가 요란한 가운데 女性詩歌는 과거 여성 언어가 공백이었던 교착 국면과 달리 여류 시인들이 자유, 抗爭을 외치면서 용감하게 남성언어 중심의 模式을 해체하여 當代 시단에서 여성 詩歌를 개척하였다. 그러나 詩 속에 자기 언어 방식을 찾아내는 것은 마치 여성이 실생활 속에서 자기 언어방식을 찾아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어려운 것이다. 여성들의 생활 체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여성 시가 중에는 苦難과 불안의식이 여성 자신의 익숙한 情感 체험 중에 집중되어 있으며, 심지어 지나칠 정도로 여성 자신의 신체적 경험과 자신의 운명에 집중되어 있다. 現當代 詩歌 중 女性의 主體意識 중에는 고난과 어려움이 숨겨져 있다. 스스로 자신의 길을 선택하고, 스스로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 속에서 女性詩歌 중의 女性意識은 전반적으로 어슴푸레한 안개 속에서 흔들거리는 것과 같다. 사회, 역사, 문화, 생리 등의 원인으로 말미암아 여성들은 남성보다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여성들은 남성과 똑같이 어렵고 예측할 수 없는 세계에 직면해야 하면, 또한 남성이 지배하고 조종하는 세계에 직면해야 한다. 여성심리는 세상의 온갖 풍파를 이겨내야 하며, 더욱이 남성세계의 어려움과 거리를 감당해야 한다. 세상의 수많은 억압에 직면하면서 女性意識 중의 고난체험과 불안감이 한꺼번에 밀어 닥치게 된다. 이러한 의식들이 여성 주체의식 중에 침투되어 女性意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男性主義의 역사 속에서 女性 자신의 역사는 알 수 없게 되며, 여성의 역사는 남성에 의해 정해진 역사일 뿐이다. 그러므로 여성들은 관찰의 대상을 女性 자신의 內心世界로 전환하여 女性心理 세계의 탐색으로부터 여성 자신의 생존 의미와 가치-여성 자존심 회복의 갈망, 여성의 사회로부터의 이해와 인정 획득 갈망, 여성의 남성과 동일한 인생에서의 중요한 역할 갈망-을 발견하게 된다. 사실 여성의식은 여성 詩歌의 휴식처의 하나로 과거에도 현재도 그러하며 미래에도 그와 같을 것이다. 이는 앞으로도 여성 詩歌창작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또한 여성 詩歌의 독특하고 아름다운 특징으로 지속될 것이다.

      • 직업을 가진 조선시대 여성에 대한 연구방법 고찰

        최미정(Choi Mi Jeo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6

        본고는 조선시대 여성의 공적영역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직업을 가진 조선시대 여성을 고찰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을 다룬 것이다. 전반부에서는 조선시대 여성의 직업의 개념, 조선시대 여성의 실제 직업들, 당대의 개념과 실제 사이의 거리 및 그것을 발생시키는 사회적 맥락에 대해 현대의 여성직업에 대한 것들과 비교해 이론적으로 논의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녀, 의녀, 무녀, 궁녀 및 수공업에 종사하는 여성, 사노비를 대상으로 확정하였다. 또한 직업의식과 직업적 성취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후반부에서는 그 중의 하나인 기녀를 대상으로 하여 기녀의 직업의식을 기녀제도와 당대 사회의 구조 속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직업을 가진 조선시대 여성에 대한 연구방법을 확정하기 위하여 먼저 '직'에 대한 조선시대의 논의 및 신분에 따라 다르게 주어지는 의무인 '직역'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이에 해당하는 개념을 고찰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직업이라는 용어가 없었을 뿐 아니라, 조선시대 여성에게는 현대적 개념으로서의 직업은 존재함에도 담론화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예외적으로 여성의 일을 인정하는 다산의 논리로써 조선시대에서 여성의 직업을 논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확고히 하였다. 또한 현대에서도 여성의 일 및 취업에는 일, 가족, 국가의 정치학이라는 구조적 개입이 있음을 참고하여, 가부장제 및 신분제에서 약자인 여성에게 의무로 주어지는 직업수행의 의미가 사회구조적으로 연구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사회적 소외를 의식하며 일을 해야 하는 조선조 여성의 직업의식을 이해하기 위하여는 인간의 작업동기를 단계별 욕구의 충족으로 보는 Maslow의 직업동기이론에 의거하여 생리적 욕구를 넘어선 안정, 사회적 욕구, 자부심, 자기달성의 네 단계로 고찰하였다. 또 기녀의 직업의식의 고찰을 위하여는 妓役로서의 기녀제도를 고려하여 이 동기단계를 적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조선시대 여성의 직업의식은 남성에의 의존성을 여성의 기본적 특징으로 하는 중세사회의 구조 속에서, 자의, 타의에 의해 여성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도외시하고 생업을 가지는 것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동기와 목적의식에서 찾아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즉 신분에 따른 의무수행을 넘어서 직업적 성취의 가장 높은 단계에 도달하려는 욕구와 직업종사자의 자기정체성 확립의 의미를 고찰하여야 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그 결과, 기녀들이 직업의식을 통하여 도달할 수 있는 직업적 욕구달성은 첫째, 실리의 추구, 둘째, 여성으로 보호받지 못한다는 노출성에 대한 사회적 통념의 극복, 셋째, 조선시대 여성에게는 제한된 유혹을 전면에 내세운 사회적 금기에 대한 도전, 넷째, 풍류를 통한 자기 완성의 네 단계라고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consist of two parts : the former part is theorizing the method of study on those women having occupations in the Chosun period and the latter one is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the Kisaeng(妓女). I distinguish the concepts of women's obligatory working from the ideological concept of occupation in the middle ages. Because, at that time, women's occupation has existed actually, nevertheless they have never been existed lettered and systematically. In fact, women working in public were the performances of duty owing to their low classes inherited by their mothers. I argue that those public services were regarded as occupations by the theory of Jeong, Yak-yong(丁若鏞). As the result, I scope several occupations as the subject of the women's occupation in Chosun ; a Kisaeng(妓女), a female shaman(巫女), a court lady(宮女), a court female doctor(醫女), a handcraft woman working in public and a servant girl. I propose that those women's occupation achievements are studied by A Maslow's the needs hierarchy theory. As for the Kisaeng(妓女), the first stage is that they got a job satisfaction was the wealthy ; the second was the conquest over the commons which let women restricted within the wall of the house and the family ; the third was the aggressive defiant by seduction which were also forbidden to the honest women ; the fourth, the highest one was the perfection of self by the will for freedom through the high class of arts(風流).

      • KCI등재

        모윤숙의 ‘여성적 글쓰기’ : 시 텍스트의 문체적 특징과 의미 작용에 의한 페미니즘적 전유

        임은경(Lim Eun-kyung)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9 No.-

        이 논문은 모윤숙의 시 작품에 나타나는 여성화자와 남성화자의 문체적 특징을 페미니즘 관점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모윤숙의 시 작품을 페미니즘 관점으로 분석하는 배경에는 당대 남근중심주의 언어체계를 능가하는 조국과 민족에 대한 담론이 여성의식의 한 흐름으로 다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살피기 위해 유교적 가부장제와 식민사회에서 평가된 기존 문학의 비평을 재조명해야할 필요성과 여성 체험의 다양성을 내포한 ‘여성적 글쓰기(시)’ 양식을 살펴봄으로써, 당대 여성시인의 무의식과 의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근대는 과거와 구별되는 사회로 현대를 지향한 과도기적 질서를 갖는다. 여러 가지 모순과 혼돈 속에서도 질서를 찾아가는 시기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모윤숙은 35년여의 식민사회와 전통적인 가부장제의 이중적 지배구조 속에서 동시대의 순종적인 여성들과 달리 여성의 사회적 역할에 남다른 관심을 가졌다. 여성시인으로서 남성들의 전유라고 할 수 있는 조국과 민족에 대한 담론을 침묵으로 일관하지 않고 여성담론으로 대응함으로써, 여성해방의식과 여성의 주체성을 확립하는 등 공동체의 공리적 가치를 촉진하고 강화한 측면이 있다고 보았다. 모윤숙의 이러한 민족의식의 담론 양상은 단순히 시대적인 맥락에서 남성작가들의 민족의식을 모방한 데에서 기인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중요한 것은 그녀의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체험과 경험에 의해 주체적인 여성해방의식과 여성의 사회참여의식의 연장선상에서 여성의 담론으로 확장되고 강화한 측면이라고 보여 진다. 이에 ‘남성화자’로 대변되는 일련의 시적 언술은 여성작가의 민족에 대한 주체적인 면모가 전복적인 ‘여성적 글쓰기’로 표출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모윤숙은 당대 사회 현실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여성적 어조로는 저항할 수 없음을 인식하고, 가부장적 성 차이를 해소하려는 차원에서 남근 중심주의 언어 체계로 ‘여성적 글쓰기’를 시도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한국전쟁시기에 남성화자를 시에 적용함으로써, 탈식민주의적 민족의식과 가부장제를 넘어설 수 있는 일종의 전복적인 ‘여성적 글쓰기’를 시도했던 것으로 한국 페미니즘 의식의 긍정적인 발단으로 보인다. 그러나 자의든, 타의든 일제 말기 황민화 정책에 의해 친일에 부응했던 시인으로 일정한 시기에 민족의식이 상충되어 드러난 점은 여전히 한계로 남는다.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female and male speakers in Mo Yoon-sook’s poetry work in a feminist perspective. Mo Yoon-sook s poetry works are analyzed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because discourse on a country and people, which surpass the contemporary Phallic dominated language, is dealt with a flow of female consciousness. In this context,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the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of female poets of the time by examining the conventional literature criticism evaluated by Confucian patriarchy and colonial society and looking into the styles of female writing which connote the diversity of female experiences. Modernity is a society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the past and has a transitional order oriented toward modern times. It was a time to seek order amid various contradictions and chaos. In particular, Mo Yoon-sook had an extraordinary interest in the social role of women, unlike other obedient women of that time, in the dual governance structure of 35 years of colonial society and traditional patriarchy. As a female poet, she had responded with discourses for the nation and its people, not staying in silence but with her feminine discourse. It reveals that she had promoted and strengthened the utilitarian values of the community, including establishing female liberation consciousness and independent female identity. The aspects of her discourse on national consciousness cannot exclude a possibility that she might have imitated that of male writers simply in the context of the times, but the significant aspect is that it is extended and strengthened by the social experience during her growth. Thus, a series of poetic words which male speakers represented expressed subjective features of a female writer’s writing toward her nation through feminine writing. Mo Yoon-sook had recognized that she could not resist the social reality of her time in a traditional feminine tone and tried to write in a feminine stylistic way with a male-dominated linguistic system to resolve patriarchal gender differences. In particular, she had applied male speakers to poetry during the Korean War to try a kind of subversive feminine writing that could transcend postcolonial national consciousness and patriarchy. However, whether voluntarily or intentionally, as a pro-Japanese poet who responded to imperial citizen forming policy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onflict over national consciousness at a certain period remains an issue.

      • <진주는 주었으나>, <남편의 책임>을 통해 본 1920년대 염상섭의 젠더의식

        조미숙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논집 Vol.23 No.-

        염상섭은 신여성을 다룸에 있어 부정적인 시선으로만 일관하던 동시대 많은 작가들에 비하여 조금은 객관적인 시선을 견지하고 있다고 보였다. 신여성에 대한 극도의 혐오를 보인 남성 작가들이 신여성들의 역사적, 사회적 무지를 강조하여 신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되 그들에게 아무런 변론의 기회를 주지 않았던 것과 달리 염상섭은 신여성들을 주동인물로 다루면서 오류의 삶에 대한 자기변호의 기회를 주고 있으며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리가 가까워졌다고는 하나 신여성에 대한 작가의 시선이나 이해의 정도는 그렇지 않았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염상섭은 남성의 근대성은 긍정하면서도 여성의 근대성에 관하여 매우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였다. 그는 여성의 주체적 행보를 주시하기보다 전통적인 여성성을 공고히 견지하며 여성을 극단적으로 이분화하려 하였다. 전통적 아비투스를 답습하고 그 안에 안주하는 여성들을 긍정적으로 보는가 하면 전통적 여성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여성들을 부정, 그들의 존재를 위기로 담지하였던 것이다. 염상섭의 이런 위기의식은 작품 내에서 작중인물로 하여금 감상적인 토로와 한탄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연설 장면의 빈번한 활용이나 인물의 비분강개식 토로를 통하여 작가는 당시 사회에 대하여, 또 신여성에 대하여 하고자 하는 말을 지나칠 정도로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다소 미숙한 방식의 글쓰기 방식을 무릅쓰더라도 일제하의 경박한 근대성에 대한 경계 등 작가의 주제의식을 뚜렷이 하고자 하는 의도 때문이라 판단된다. 하지만 염상섭은 당시 부정하고자 하는 모든 부정적 가치를 신여성에게 전가함으로써 이율배반적 근대의식을 보이고 있다. 그의 이러한 극단적 젠더의식은 당시 사회에 진출하려는 여성 지식인을 배제하고자 한 남성 지식인들의 그것에 다름 아니다. Yeum Sang-sup was considered the objective point of view in dealing with New Woman than many writers were consistently negative attention to that. Other writers on the New Woman was expressed extreme disgust. They stressed the historical, social ignorance of New Woman and their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New Woman was created. But they did not give any chance of arguing to New Woman. In contrast, Yeum Sang-sup of the New Woman in the initiative when dealing with people, she's their fault for living is giving the opportunity to self-defense. And he is relatively familiar with her gaze, and depicted as has been observed. Yeum Sang-sup was evaluated having the eye when he deal with women as the objective character than any other male artists. But this time, we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he'd be a little prick with a distance female protagonist. Yeum Sang-sup have problems when dealing with New Woman or understanding of the degree of attention. Yeum Sang-sup didn't want to consider a way of life and the subjective self-awareness female protagonist like other writers. He terms reinforce the traditional femininity, and women were divided into two extremely. He was looking positive the women who followed the traditional habitus and settle in it. On the other hand, he denied the women to get away from the traditional to perspective on women. Yeum Sang-sup felt as a crisis such as the presence of women. Yeum Sang-sup was the antinomy tendencies that affirmed man's modernity, in contrary denied women's modernity and had negative attitudes. Yeum Sang-sup made characters resenting said while crying or sigh in the novels because he had such a gender-consciousness in contemporary society with a crisis awareness. He frequently wrote speeches scenes and how to talk through the hero reluctantly say they want to have overly direct expression. It is because author wanted to convey any message through even with low type. Soon it was because the writer's intentions over.

      • KCI등재후보

        한국 교회여성의 의식 분석과 한국 교회의 과제

        임희숙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2 신학과 사회 Vol.26 No.3

        As the growth of membership in Korean churches slows down, the number of female believers has also been reduced. Historically, women have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church and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growth of Korean Protestant Church. Therefore, the reduction of female church members not only has negative impact on church growth and mission, but also raises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women's leadership. In such a situation it is crucial to ask how the lack of interest, especially among young women, can be interpreted. One of the major reasons in the lack of interest is that women have less time due to the simultaneous participation in the workforce and in the household. Moreover, the expansion of the leisure industry, the conscious cultivation of gender equality, the strong individualistic orientation and criticism on the undemocratic practices, and patriarchal tradition of the church contribute to the adverse development. This raises the need for a new recognition instead of evaluating women’s religiosity in terms of passivity and the theory of deprivation compensation.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Christian Feminist Association between March and June 2012 among 1,340 Church women with the title “Consciousness among young Church Women”. The survey has suggested the improvements of women associated with the church. The analysis of the Korean female church members’ consciousness focuses on the perception of the church,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women’s solidarity,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Church women see needs for church reform beyond gender stereotypes, including participation in the church activities, transparent church finances, and creation of a church community satisfying the individual spirituality. -Church women are aware of the need to improve gender awareness education in order to actualize gender equality in churches. They evaluate that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and sermons about gender equality. -Church women has reservations of creating unity outside the church, but they expect the church to create a bond with the female solidarity mission so that it can become more active in social mission. 한국교회의 성장률이 정체·둔화하면서 주목되는 현상은 여성교인의 감소 추세다. 역사적으로 교회여성들은 교회 구성원의 다수를 차지하고 교회성장에 지대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런 점에서 여성교인의 감소 현상은 교회성장과 선교에 끼치는 영향이 우려될 뿐 아니라 여성 지도력을 개발·전개하는 데 문제를 초래한다. 그렇다면 오늘 개신교 교회에서 젊은 여성교인이 감소하는 현상은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그 주요 배경 가운데 여성 관련 사안으로 추정되는 것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의 증가, 가사와 취업의 병행으로 인한 시간부족, 여가산업의 확대, 성평등 의식의 함양과 개인주의의 강화, 교회의 비민주적 관행과 가부장적 전통에 대한 비판의식의 발현 등이다. 이는 의존적 수동성과 박탈보상이론을 중심으로 여성의 종교성을 평가하는 기존의 관점에 새로운 인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갖고서 한국교회여성연합회가 2012년 3월부터 6월까지 3개월 동안 본 회에 속한 여성교인 1,3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젊은 세대 교회여성의 의식조사”의 결과를 분석하고 그와 관련된 교회의 과제를 제안하였다. 실태조사에 나타난 한국 교회여성의 의식 분석은 교회 인식, 성평등 의식, 여성연대의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그 각각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교회 여성들은 성역할 고정관념을 넘어선 교회활동의 참여, 투명한 교회 재정, 개인적 종교성을 만족시키는 교회 공동체를 지향하는 교회 개혁의 요구를 갖고 있다. -교회 여성들은 교회 성평등의 실현을 위해 성평등 의식화 교육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회나 교단에서 양성평등 교육과 설교가 매우 부족하다고 평가한다. -교회 여성들은 교회 외부의 연합 활동에 유보적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교회 내외적으로 여성 연대활동이 친교와 소속감을 형성하고 사회 선교로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