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광주전남지역 여성운동의 성격 변화에 관한 연구 - 진보적 여성운동단체들을 중심으로 : 광주전남지역 여성운동의 성격 변화에 관한 연구

        안진(Jean Ahn)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7 여성학논집 Vol.24 No.1

        이 연구는 광주전남지역의 진보적 여성운동단체의 조직과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1990년대 이후의 광주전남지역 여성운동의 성격 변화와 현황을 분석한 것이다. 본론의 분석은 광주지역여성운동이 1990년대를 거치면서 민중여성운동으로서 진보적 여성운동의 정체성을 해체하고 조직과 이슈가 분화, 다원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지역의 진보적인 여성운동단체들이 이 지역에서 독자적인 토대를 가지고 성장한 점은 특징적이다. 그러나 조직이 분화되고 활동 내용이 다양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 내의 풀뿌리 여성 대중조직은 여전히 취약하다. 또, 운동조직의 양적 팽창이나 사업의 다양화에도 불구하고 운동단체들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다. 앞으로의 과제는 여성운동단체들이 각각의 주체와 운동의 내용을 명확히 하면서 광주전남지역이라는 지리적 공간에서 살아가는 여성들의 생활상의 이해와 욕구를 담아내는 운동 의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지역여성운동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생활정치의 과제를 발굴해야 할 뿐만 아니라 여성 대중조직의 확대를 위해 기존의 다양한 여성조직들을 활용하고 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여성 내부의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지역에 기반을 둔 다양한 풀뿌리 조직을 활용하는 ‘포용적 연대’의 전략을 필요로 한다. 민주화운동에서 독자적 여성운동으로 분화, 발전한 여성운동은 정책의제의 개발의 측면에서 또, 운동조직의 포용의 측면에서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지역화되었을 때 전국화되고 지구화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feminist movement in the Gwangju-Jonnam area. The feminist movement in this region is differentiated in terms of the organizations and issues as well. However, there are not many women"s organizations which are based in the community in spite of the increase in the size and number of movement organization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find the differences on their activities. The first reformist women"s organization, Songbakhoy, had contributed to the Gwangju Uprising in 1980. The independent feminist organization Gwangju-Jonnam Women"s Organization appeared in 1988. Economic activity of women increased during the 1990s. The political empowerment of the city council was also promoted through this period. It is very important to point out that the feminist movement in the Gwangju -Jonnam area was separated from the democratic movement and became an independent activist group. The feminist group which had been concentrated in the Gwangju-Jonnam Women"s Organization separated into various sections such as Women"s Hotline, Womenlink, The Female Disabled, The Female Peasants, and The Family of Political Detainees for Democratization through the 1990s. The issues and agenda of the feminist movement were diversified and flourished at this moment. The present feminist movement organizations in the Gwangju Jonnam area need to clarify the contents of their activities and to formulate the movement agenda which can contain the daily interest of women living in this region in the future. The growth of the local feminist movement requires identifying issues in the ordinary life as well as utilizing the existing women"s organizations. In short, it requires a strategy of comprehensive solidarity. The feminist movement can be nationalized and globalized when it is localized not only in terms of the formulation of movement agenda but also in terms of the comprehensiveness of movement organizations.

      • KCI등재

        여성폭력추방운동의 역사적 맥락과 제도화 과정의 차이

        신상숙(Shin Sang-Sook) 한국여성학회 2007 한국여성학 Vol.23 No.3

        이 연구는 강간위기센터(RCC)와 여성쉼터(BWS) 조직의 활동이 가장 먼저 시작된 미국과 영국의 여성폭력추방운동을 고찰함으로써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두 나라 운동의 국가별 차이와 성폭력/가정폭력 부문의 차이를 역사적 맥락 속에서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오늘날 각국의 여성폭력추방운동은 ‘제도화’와 관련된 논란에 둘러싸여 있다. 제도화가 과연 운동의 성공이냐 실패냐의 논란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흔히 비가역적인 과정이나 결과로 간주되고 자율성의 상실과 직결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자율성과 제도화에 관한 이항대립적인 접근이나 역사적 맥락으로부터 추상화된 논의는 운동과 국가의 역학 관계를 비롯하여 제도화 과정의 실질적인 차이를 변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여성폭력추방운동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역사적 맥락이 상이하다면, 자율성을 뒷받침하는 운동의 역량은 물론 제도화의 과정 역시 동일하지 않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과 영국의 초기 RCC/BWS와 같은 페미니스트조직의 자율성을 재검토하고, 영미 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나는 조직의 변화와 제도화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그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영미의 여성폭력추방운동은 급진적 담론의 정치를 배경으로 소집합체의 특성을 갖는 현장운동이 활성화됨으로써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미국은 강간 피해자들을 상담하고 지원하는 RCC 형태의 조직들이 먼저 출현하였고 영국은 매맞는 여성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하는 BWS 조직이 우세를 점하는 가운데 RCC가 뒤늦게 나타났다. 두 나라에서 RCC/BWS 조직을 특징짓는 연대의 발전은 차이가 있으며, 영국의 경우 가정폭력 부문의 BWS 조직은 여성주의 원칙과 자율적 역량을 바탕으로 영향력을 갖게 되었으나 성폭력 부문의 RCC 조직은 국가로부터 배제되었다. 영미 운동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RCC/BWS 조직에 초점을 맞춘 분석의 결과는 자율성과 제도화의 딜레마가 단순히 국가의 재정 지원을 수락하느냐의 여부로 풀릴 수 없는 문제이며, 현실의 제도화 과정이 ‘자율적 운동’과 ‘제도화된 운동’의 선명한 구분으로 환원되지 않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포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women's movement to end violence against women(the VAW movement) in the U.S. and the U.K. where rape crisis center(RCC) and battered women's shelter(BWS) firstly started their activities. Its aim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shown in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es between the sexual violence and the domestic violence sectors in the two nations, focusing on the historical context that has constru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s. Although the violence against women wa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raised by the radical politics of the second-wave feminism, the VAW movement has become the site of heated controversies over the 'institutionalization'. The adverse effects caused by the institutionalization, which has often been pointed out in the debate over the VAW movement, can be encapsulated into bureaucratization, professionalization, and service-oriented change of the organization. In spite of the debate over whether the institutionalization is a success or a failure of the movement, it has been regarded as an irreversible process or a result and the cause to the loss of autonomy. However, the binary-oppositional approach to autonomy or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discussion abstracted from historical contexts are likely to fail to clarify the actual differences shown in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such as power dynamics between the movement and the government. If the movement has been formed and developed in different historical contexts, not only the capacities of the movement to claim for autonomy but also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would not be the same. In order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the above claim, I reviewed the autonomy of the feminist organizations such as the early RCC and BWS of the U.S. and the U.K. and examined the organizational change and the various aspect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ir movements. Analyzing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VAW movement of the two nations, this study put focus o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of RCC and BWS and the difference of their coalition-building process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nations. They bear some similarities in that the VAW movement was firstly initiated by the small groups in the local regions in the background of the politics of radical discourse. However, in the U.S. RCC types of organizations that gave empowerment and support to the rape survivors firstly appeared, while the BWS that provided shelters to the battered women appeared earlier than RCC in the U.K. The two nations also show differences in the coalition or alliance development of the two organizations. In the U.K., the BWS has exerted the influence, staying at the feminist principle and autonomous power, while the feminist RCC has been excluded from the government. The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movements in the U.S. and the U.K. and the analysis centered on the RCC/BWS organization show the findings that the dilemma between autonomy and institutionalization cannot be solved only by the decision whether to accept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r not. The current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has a variety of aspects, in which the ‘autonomous movement' cannot be sharply separated from the ‘institutionalized movement.'

      • KCI등재후보

        광주전남지역 여성운동의 연대를 위한 모색

        안진 ( Ahn Jean ) 한국여성사학회 2013 여성과 역사 Vol.- No.18

        광주전남지역 여성운동은 이 지역에서 독자적인 토대를 가지고 성장해왔으며, 1990년대를 거치면서 조직과 이슈가 분화, 다원화되었다. 이 지역여성운동은 1990년대 들어서서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이라는 상설연대조직을 통해 여성운동단체간의 연대뿐만 아니라 여성운동 외부의 사회운동단체들과도 연대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 지역여성운동의 연대활동은 여성운동단체의 활동가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여성대중들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연대에는 취약했다. 지역여성운동은 국가의 여성정책 집행과 관련되는 서비스 제공에 치중할 것이 아니라, 회원들의 생활상의 요구를 결집하여 풀뿌리 대중조직을 확장해나가야 할 것이다. 지역공간에서 살고 있는 여성들의 실제 욕구와 지역 실정에 맞는 여성운동의 의제(agenda)를 개발했을 때, 즉 운동이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지역화되었을 때 진정한 연대는 시작될 수 있다. 앞으로 지역여성운동은 여성운동단체들의 상근활동가들을 중심으로 한 연대가 아니라, 일반 시민대중여성들과 연대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또, 한미FTA 반대 운동, 광우병 쇠고기 반대운동, 평화운동 등과 같은 전지구적 운동의제에 대해서는 지역을 넘어, 전국적 차원의 연대뿐만 아니라 국제적 연대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how to construct the solidarity of feminist movement in the regional level. The feminist movement in Gwangju Jonnam region was differentiated in terms of the organizations and movement issues as well through 1990s.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organizations which are based in the community in spite of increasing the size and numbers of movement organizations. Feminist movement organizations had constructed Gwangju Jonnam Women`s Associations United in this region in 1990s. Gwangju Jonnam Women`s Associations United has made the stable solidarity with the general socail movement organizations as well as with the feminist movement organizations. But this solidarity is quite limited since it doesn`t embrace lay female citizens. The solidarity has been made only among feminist activists. Feminist movement organizations in Gwangju Jonnam area need to formulate the movement agenda which can contain the daily interest of women living in this region and to build the grass-roots organizations based on the community in the future. Feminist movement can be nationalized and globalized when it is localized not only in terms of the formulation of movement agenda but also in terms of expansion of movement organizations. Local feminist movement need to make more efforts to construct a solidarity among common female citizens.

      • KCI등재

        중세 여성 종교운동에 대한 페미니즘 철학적 연구: 젠더화된 공간 개념의 관점에서

        양정호 ( Yang Jeong-ho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0

        중세의 여성 종교 운동은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할 수 있는데, 종교 운동의 일부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수도 있고, 또 여성과 중세 기독교라는 관점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 허버트 그룬트만이 중세 종교 운동을 연구하면서 제도로서의 교회나 교리로서의 기독교를 다룬 것이 아니라 종교문화로서 접근한 까닭에 후대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길을 열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관점은 중세 여성 종교 운동을 이단 운동의 일부라는 점에서 파악함으로써 가부장적 가톨릭 역사 연구자들의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 자신의 관점 혹은 융복합 방법론으로 중세 여성 종교운동을 접근함으로써 그룬트만의 관점에서 벗어나서 여성 종교 운동을 중세종교개혁의 일부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공적 - 사적 공간 이데올로기라는 개념과 젠더화된 공간이라는 개념을 결합할 때, 여성 종교 운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는데, 그것은 젠더화라는 관점에서 중세 여성 종교운동을 파악하는 것이다. 젠더화라는 개념은 중세 여성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방법론의 하나로서 젠더링이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중세 여성 종교 운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페미니즘 철학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여성의 역사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젠더라는 관점에서 융복합 방법론을 사용하여 중세의 종교운동을 바라볼 때, 중세의 모든 여성 종교운동들은 가톨릭의 기존 질서를 부정하는 것이라기보다 주체성과 영성의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Women’s religious movements in the Middle Ages can be approached in various ways, not only as a part of religious movements but also as a part of feminism and medieval Christianity. Even if Grundmann’s work focuses on religious culture, instead of institution and doctrines, his view seems to represent the perspective of Catholic clerical historians: regarding women’s religious movements as a part of heretical movement. Therefore, we need to reconstruct women’s religious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and philosophy of religion in terms of feminist philosophy with women’s own eyes. This approach leads women’s religious movement to be interpreted as a self-expression of women’s subjectivity and spirituality. When we use the notion of gendered space, a new approach to women’s religious movement can be suggested; namely, feminist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n women’s religious movement in the Middle Ages in terms of gendering. Gendering is quite important to understand women’s role and functions in Christianity in the Middle Age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ing women’s religious movements in the Middle Ages, all the significant movements of the Middle Ages can share their commitment to the aim of improving souls, in terms of subjectivity and spirituality.

      • KCI등재

        말레이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여성주의 운동 참여와 정체성 형성

        이수인(Lee, Sooin) 한국여성학회 2013 한국여성학 Vol.29 No.1

        본 연구는 말레이시아의 무슬림 가부장제가 여성을 부당하게 억압하고 불평등하게 대우함으로써 이슬람의 진리에서 벗어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이슬람의 정의 아래 여성 억압적 현실과 싸우는 무슬림 여성주의자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여성주의 운동조직 참여와 관련해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우 여성주의에 친화적인 자아정체성의 특징들이 성장기 경험 속에 축적되고 있었다. 성불평등한 성역할 훈련과 무슬림 여성으로서의 복장훈육을 매개로 부모와 학교의 종교교사와 갈등을 빚으며 여성억압과 성불평등에 대한 잠재적, 현재적 인식이 형성되고 있었다. 여성주의적 인식 자각의 계기로서 사회운동 역사의 세대전수, 외국문화의 경험, 성적 억압, 여성 운동조직에의 참여 등이 발견되었다. 여성주의 인식의 자각단계는 아직 참여에 이르기에는 충분하지 못하지만 여성주의운동에 동조적인 정체성이 구성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말레이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여성주의운동가 정체성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전 재해석을 통해 중요한 타자인 알라에 대한 이해와 여성주의적 인식을 결합하는 일이었다. 신에 대한 새로운 자각과 재해석에 용이한 경험의 궤적들이 토대가 되는 가운데 개혁적인 무슬림집단과의 연결이 경전재해석을 위한 발판 구실을 했다. 대안적 경전해석을 통해 이들은 무슬림으로서의 정체성을 적극 승인하고, 더 깊어진 신앙을 통해, 그 신앙의 이름으로 무슬림 여성들의 권리와 평등을 위해 싸울 수 있게 된다. 여성주의적으로 해석된 꾸란에 대한 이해는 이렇게 여성주의운동의 강력한 지지기반이 되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주체적 역량을 강화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여성주의 운동가로서의 분명한 정체성 전환이 출현하는데 이 과정은 다양하고 중층적인 정체성 구성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cess of identity construction as a feminist activist of Muslim women in Malaysia which is related with the participation of feminist movement. They have belief that Muslim patriarchy suppresses women and gives women unfair treatment, so they are involving in fighting against it for women’s justice and gender equality. Research participants formed feminism-friendly identity during childhood. Conflicts with parents and(religious) teachers formed their latent and manifest perception about women suppression and gender unequality. Awakening feminist consciousness was made through the conveyance of social movement―Dakwah movement―experience from parents, sudden experience of foreign culture, experience of gender suppression, participation in women movement organization. In the step of awakening feminist consciousness, the identities of participants were constructed so as to enhance the congruence with identity of feminist movement group but not enough to ensur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identity construction as a feminist activist is to merge feminist consciousness with understanding of Allah through feminist interpretation about Quran. Joining in the reformative muslim group takes decisive role in conducting that. Alternative interpretation strengthens Muslim identity, stronger belief gives Muslin feminists the power for fighting against gender unequality. Feminist interpretation for Quran empowers research participants and works as stronger base for feminist activities than prevailing interpretation. In the process of combining feminist consciousness with new interpretation of Allah, identity transformation appeared through various and multiple process of identity construction.

      • KCI등재

        반성폭력운동과 여성주의상담의 관계에 대한 연구

        변혜정(Byun Hea Joung)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3

        본 논문은 상담/전화라는 이름아래 반성폭력운동이 진행되는 것에 주목하여 반성폭력운동과 여성주의상담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반성폭력운동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 쓰여졌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법제화로 대표되는 반성폭력운동이 여성주의 상담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질문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여성주의 관점에서 성폭력이 왜 문제인지, 성폭력피해로 고통을 호소하는 자들과 어떻게 상담으로 만날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성폭력문제를 최초로 다룬 두 단체의 상담원교육자료집, 소식지 등의 간행물과 반성폭력운동에 관여했던 상담지원자 심층면접을 통해 성폭력피해경험자와 만나는 방식인 여성주의 상담의 전제, 내용, 효과 등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피해자‘ 관점을 가진 상담지원자의 입장에서 ‘서로 말하기(듣기) : 상/담’을 반성폭력운동의 하나의 가능성으로 제시하였다. 이제까지의 반성폭력운동이 상담을 통해 피해여성의 고통을 가시화하고 그 고통을 약화하거나 해결해주는 제도적인 기반을 만들어놓았다면, 앞으로의 운동은 피해경험자들이 주체가 되어 ‘서로 말하기(듣기) : 상/담’을 통해 피해경험들을 다른 의미로 만드는 운동이어야 한다. 이는 피해경험자가 피해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그것과 자신의 관계를 성찰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말하기와 듣기를 통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담지원자들은 피해경험자들의 피해와 고통은 무엇이며 그것에 대한 다른 의미 체계(re-storytelling)가 어떻게 구성될 수 있을지를 분석하여 피해경험자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고 말 할 수 있도록 하는 상/담 운동을 구성해야 한다. 피해경험자들이 자신들의 피해의미를 다르게 말할 수 있도록 잘 듣고 다른 대안적 지식들과 만나도록 하는 것이 상담지원자의 역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담지원자와 성폭력피해경험자들의 새로운 관계 맺기를 통해 제도화된 지원만이 아닌 다른 식의 성적, 몸적, 정서적, 사회문화적 지식을 새롭게 구성하고 말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여성운동에서의 상담지원자의 역할이라는 것을 주장한다. 즉 여성의 정체성을 이루는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이며 정치적인 것은 개인적이어서 그 경계를 상/담을 통해 새롭게 의미화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주장은 여성의 주체성이 서로 말하기(듣기)-새로운 관계 맺기를 통해 새롭게 구성될 수 있다는 전제에서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담이란 자기 능동성을 구성하는 ‘주체되기’의 과정으로서 여성운동이 될 수 있으며 특히 피해의미를 해체하여 고통의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는 반성폭력운동의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and feminist counseling, by focusing on the process of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under the name of sexual assault counseling/hotline (counseling by phoning), and expects to open a new chapter in the movement. It begins with questioning how feminist counseling is accepted in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represented legalization. It discusses what makes sexual violence problematic,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nd how we can meet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appealing their pain through counseling. To examine premises, details, and results of feminist counseling, as a way of meeting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it refers to counseling manuals, issued by two counseling centers dealt with the sexual violence issue for the first time, newsletters, and other journals, and includes in-depth interviews with counseling supporters/activists engaged in movement against sexual exploitation as well. In doing this, this study comes out with 'counseling/counseled37)(co-counseling; speaking and listening reciprocally)' as a new alternative in the position of counseling supporters/activists from the victim's point of view. Laying the systematical foundations that make visible and relieve the pain of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through counseling so far,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should reinterpret the meaning of ‘counseling/counseled' to help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become subjects from now on. It is possible through various ways of speaking and listening that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are encouraged to understand the very victimized experiences and reflect how to relate the incidents and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this, counseling supporters/activists have to figure out what is the victimization and pain of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and how re-storytelling on which can be made up. It is aiming for the counseling/counseled movement to promote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to make stories and speak for themselves. It is a counseling supporters/activists' role to give support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to voice themselves by listening and giving their full attention to acknowledge alternative information and knowledge. Accordingly, the article argues what feminist counseling/counseled as a part of the women's movement is supporting a counselee to make up and speak different sexual, bodily, emotional, and sociocultural knowledge other than offering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by forming an alternativ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ing supporters/activists and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In other words, the personal coinciding with women's identity is political and the political is personal, the division of which should be necessarily reinterpreted through counseling/counseled. It is argued on condition that women's agency can be newly constructed in the method of counseling/counseled, a new way of forming a relationship. Counseling/counseled is the process of 'becoming a subject' with self-agency to be part of women's movement; in particular, it will be the vital resources for movement against sexual violence by de-constructing the meaning of victimization and re-constructing the connotation of the pain of the experienced of sexual violence.

      • KCI등재

        한국교회 초기 부흥운동과 여성

        이덕주(Rhie Deok-Jo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6 No.-

        이 논문은 1903년 원산 부흥운동으로부터 시작하여 1907년 평양 부흥운동에 이르는 한국 교회 초기 부흥운동 과정에 나타난 토착교회 여성들의 종교 체험과 그 결과 형성된 여성의식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초기 부흥운동은 한국 토착교회 성격 형성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바, 한국교회 여성사에서도 마찬가지 의미를 지닌다. 우선 한국교회 여성들은 부흥운동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03년 원산부흥운동의 시발이 된 여름 선교사 연합 기도회는 원산에 주재하거나 원산을 방문한 여성 선교사들이 조직한 것이었다. 이 모임에 성경공부 인도자로 초청을 받아왔던 하디가 기도회를 인도하던 중 ‘성령 감동’을 느끼면서 자신의 한계와 실수를 인정하고 자백한 것이 부흥운동의 출발이 되었는데 현장에 있던 여성 선교사들도 같은 ‘성령 체험’을 하였다. 이후 하디는 개성과 서울, 평양, 인천 등지로 가서 부흥회를 인도하였던 바, 이들 지역에서 사역하고 있던 전도부인과 교회여성들이 죄를 자백하고 회개하는 운동이 전개되었다. 이들 여성 사역자들은 부흥운동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였다. 부흥운동에 참여한 교회 여성들은 부흥회에 참여하여 회개와 중생과 성화의 체험을 하였다. 기독교의 기본 체험이라 할 수 있는 이런 체험을 통해 교회 여성들은 기독교의 본질을 체득하였고 이를 통해 기독교와 다른 종교의 차이를 확연히 깨닫게 되었다. 또한 토착교회 여성들은 자신들에게 익숙한 ‘토착적’ 문화 양식을 통해 자신의 신앙을 표현하기 시작했는데 그 결과 서구 기독교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한국 특유의 토착적 신앙 양태들이 나타났다. 초기 부흥운동 기간 중에 자연 발생적으로 나타난 새벽기도회와 날연보, 성미 등이 그 대표적인 것들이다. 이러한 토착적 신앙 양태를 통해 기독교는 ‘서구적’ 종교가 아닌 한국의 토착 종교와 문화속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또한 토착교회 여성들은 부흥운동 체험을 통해 여성의식이 변화되었다. 기독교 선교가 이루어지기 전 봉건적, 가부장적 제도 하에 의사 표현도 자유롭게 할 수 없었던 여성들이 부흥회 중에 공개 자백이라는 형식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성령에 감동된’ 여성들은 남성들도 참석한 모임에서 집회를 인도하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초이성적 종교체험이 여성들에게 그런 자신감과 용기를 불어넣어주었던 것이다. 초기 교회 여성들의 지도력은 이런 체험과 고백을 통해 형성되었다. 부흥운동 기간 중 이루어진 종교체험과 의식 변화는 개인적 차원에서 끝나지 않고 가정과 사회, 민족 차원에서 자유와 해방운동으로 연결되었다. 봉건시대 가부장적 제도의 폐해인 축첩 문제가 부흥회 기간 중 심각한 죄악으로 인식되면서 축첩 폐지현상이 기독교인 가정에서 나타났으며 교회 안에서 여성은 남성과 동등한 지위와 의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자유와 해방 체험은 한말 민족이 처한 위기 상황에서 민족 해방운동으로 연결되었다. 남성들의 경우, 부흥운동이 교회의 비정치화를 촉진시킨 요인으로 작용한 면이 강했으나 교회 여성들은 일제의 침략과 지배 현실에서 나라와 민족을 위한 구국 운동에 적극 나세게 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1905년 11월 을사 5조약 체결 직후 이화학당 교사와 학생들이 전개한 구국기도회를 들 수 있다. 1904년 봄 하디 부흥회 이후 이화학당 교사와 학생들은 신앙적 성격의 기도회를 정기적으로 갖았던 바, 민족적 위기 상황에서 기도회의 주제가 구국으로 바뀌었던 것이다. 이런 식으로 초기 부흥운동을 통해 한국 토착교회 여성들로 하여금 기독교라는 종교의 본질이 무엇인지 깨닫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여성의식의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교회 안에서, 가정과 사회, 국가와 민족에서 여성의 역할이 남성과 동등한 것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한국 토착교회 여성들에게 초기 부흥운동은 자유와 해방을 체험하고 실천하도록 만든 ‘영적 축복’이었다. This paper aims for declar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role and experience of the Church women in the early revival movement from 1903 to 1907. This movement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history of Korean Church for promoting of Christian initial experience for native Christians, accelerating of the Church growth and shaping of indigenous Christian characteristics in Korea. From the beginning, the Church women took initiative roles and get religious experiences in this revival movement. Especially on the Aug. 24th of 1903, the birthday of Wonsan revival movement, a few female missionaries took a week prayer meeting at Wonsan mission station and requested Dr. R.A. Hardie to lead Bible study in which Hardie himself enthralled by Holy Spirit, became aware of the reason of past failure in mission work, confessed it publicly and was strengthened with full spiritual power. Female missionaries who had invited him were also experienced Holy Spirit and empowered in fullness in this meeting. After this meeting Hardie took revival meetings for Korean Church leaders in which they also received Holy Spirit, repented their sins and got renewal life. Thereafter consecutive revival meetings were held in Songdo, Incheon, Seoul and at last in Pyongyang on Jan. of 1907 that made a turning point for a rapid growth of the Korean Church. In these revival meetings female missionaries and Korean Bible women also experienced a bountiful grace and took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revival fever to countries. Church women who had participated in the revival meetings had experienced the Christian initial experiences such as repentance, renewal, reconciliation and sanctification, which was the most characteristic phenomena of the early revival movement, By these experiences Korean Church women could understand and discern Christianity from the other native religions. And the inspired Korean Church women began to express their faith in their familiar native religious metaphor as 'Sung mee'(rice offering), 'Nal Yunbo'(day offering) and 'Sae Byuk Gidohoi'(Daily early morning prayer meeting) etc. which formulated the Korean indigenous faith. In this way, Church women took a important role in the indigenization of Christianity on the Korean soil and culture. Revival experiences also changed the consciousness of Korean Church women toward gender, family, society and nation. At the days of beginning of Christian mission, Korean women were under the oppressive male-centered confucian social system so requested only silence and submission to determination of men in family or society. But in the midst of revival meetings, Church women empowered by Holy Spirit stood up or interrupted speeches of male preachers during the session to confess their sin and opinion publicly. By these extraordinary religious experiences Church women could acquire a consciousness of liberation and freedom from male-centered social custom and applied it to their family and social life. Their sense and value of equality in gender was embodied as the voluntary evangelistic campaign by women to women, extension of the education for women in Church and abolition of concubine custom in Christian home, They also engaged in patriotic movements that were monopolized by men in ancient times. In Oct. of 1905, just after signing of unequal treaty between Japan and Korea, Church women spontaneously held ‘Gukuk Gidohoi'(save-nation prayer meeting) in which they prayed for liberation and freedom of nation in the critical times by Japanese imperial invasion. In this way, the Korean Church women obtained the feministic consciousness on equality of gender by initiative engagements in the early revival movement and embodied it in voluntarily evangelism, educational works for women and nationalistic movements by women. That is the reason which I call the early revival movement as the 'spiritual' gift of liberation and freedom to Korean women who were oppressed and victimized so l

      • KCI등재

        지구화와 지역 여성운동 정치학의 재구성

        허성우(Songwoo Hur)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3

        이 글은 1990년대 이후 변화된 사회적 조건, 특히 지구화의 맥락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 진보 여성운동 정치학의 재구성을 시도한다. 첫째, 이 글은 대전 지역 사례연구를 통해 지역 여성운동의 현실은 중앙 수준에서 생산된 담론과 다름을 밝힌다. 중앙 수준의 담론은 한국 여성운동이 보수와 진보 여성운동이라는 양대 구도라고 말하지만 지역현실은 새마을부녀회라는 보수적이며 발전주의에 기초하고 풀뿌리 수준에 영향력이 큰 거대한 조직과 소규모이며 풀뿌리에의 영향력이 미약한 진보 여성운동 조직 간의 불균형으로 나타난다. 둘째, 이 불균형적 구조는 고립적으로 지역 내에서 형성된 것이라기 보다는 국가와 중앙 수준의 여성운동을 매개로 하여 지구적 수준의 페미니스트 여성발전 정책/이론들과 불가분의 상호 영향관계 안에서 발전해 온 것이다. 지구적 수준의 페미니스트 발전 정책/이론들은 기본적으로 아래로부터의 지구화를 지향했으나 한국에서 WID(Women in Development)는 국가발전정책과 보수여성운동과 결합되어 발전주의 이데올로기에 편입되었고, 진보 여성운동의 젠더주류화에 기반을 둔 젠더정치학은 그것이 저항하고자 했던 신자유주의적 정책에 포섭되어감으로써 위로부터의 지구화의 일부를 구성하는 역설을 보인다. 따라서 지역 여성운동이 지구화의 부정적인 영향에 저항하고 이에 개입하여 남녀평등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아래로부터의 지구화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국가 중심적 젠더 정치학이 지역-국가-지구적 수준의 다층적 정치 공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This paper seeks a reconstruction of local women's movement politics in S. Korea in the context of globalisation through the case of local women's groups in Taejon city. This paper explores the difference between women's movement discourses produced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reality of local women's movements and reveals the tricky balance between the political activities towards the state politics and the daily activities with grassroots women that local women's movement activists face. It also argues that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local women's movements are constructed through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women's movement groups and the global feminist approaches to gender and development mediated by the state development policy and women's movements at the national level. Though global feminist approaches to development originally intend to resist negative impact of globalisation,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the local, the national, and the global result in an irony of boosting top-down globalisation in Korean context. If the state-centred politics of the gender politics, which tends to obscure differences between local women and women's political apparatus within their personal lives,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new politics that accounts the multiple political spaces across the local, the national, and the global.

      • KCI등재

        풀뿌리 운동으로서의 미국의 여성건강운동

        이건정(Lee, Gun-Jeong) 한국여성연구소 2013 페미니즘 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미국의 여성운동에서 여성을 의식화하고 조직화하여 여성주의 이념의 전파와 법제도적 개선에 지대한 성과를 이루었던 미국의 여성건강운동을 소개한 글이다. 여성건강운동은 1969년 미국 각지에서 다양한 분야의 여성들에 의해 동시다발적으로 터져 나와 1970년대와 80년대 초반에 급성장하면서 미국 전역에 2천개가 넘는 의식화 자조그룹과 3천개가 넘는 여성주의 건강센터를 만들었던 진정한 풀뿌리 여성운동이었다. 그 성과로 법제도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여성건강 연구를 위한 정부조직들을 만들어내었으나, 많은 여성건강운동 리더들이 정부기관이나 대학 등에 자리 잡게 되고, 상업적 또는 비여성주의 여성건강센터와의 경쟁에서 밀려나 자조 모임과 여성건강센터들은 90년대 들어 점차 소멸되었다. 하지만 참여 여성의 여성주의 의식과 풀뿌리 조직경험, 건강에 대한 폭넓은 접근들은 다양한 사회운동의 기반이 되고 있다. 그간 여성주의 이념이나 정치운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던 미국 여성건강운동의 전개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의 여성운동에 건강을 주제로 하는 활동과 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n introduction of women’s health movements in US. Women’s health movements was genuine grassroots movements which had created many feminist consciousness raising(CR) activitie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In the late 1960s, women’s health movements were burst out in many different areas by women with various backgrounds, including student activists, medical doctors, academic professionals, journalists, as well as ordinary mothers and sisters. There were over two thousand self-help CR circles and three thousand women’s health clinics at its peak in 1980s. However, the number of women’s CR circles and health clinics were diminished dramatically in 1990s by profit driven women friendly hospitals and non-feminist health clinics, due to the success of women’s health movement led ironically. Many women’s health movement activists became government workers or academic researchers, and they were away from grass-root activities. New coalition among women’s health movement organizations for better health care reform was created recently and actively involved in the process of health care reform, but its role and political power is limited. Women’s health movements in US change the perspective of health, as a social issue and the medical environment for the patients, as well as the lives of numerous women who participated in consciousness raising circles or feminist health clinics. Korea’s women’s movements just started. The experiences of US give us a great lesson on the issues of feminist grassroots movement.

      • KCI등재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

        조연정(Cho, Yeon-jung)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1 No.-

        1980년대의 민중운동과 여성운동의 관계를 탐색할 때 민중운동이라는 대의에 의해 여성운동의 명분이 약화되고 따라서 여성운동이 지연되었다는 사실은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문제적인 사실은 ‘민중’이라는 실체 없는 대상이 재현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젠더 위계화가 생겨났다는 점이다. 이때 민중을 둘러싼 도덕적 선의 영역이 남성적인 것으로 재현되며 여성적인 것은 부정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은 특히 강조될 필요가 있다. 실제 노동 현장의 여성들은 자신의 노동력을 부정당하거나 혹독하게 착취당했으며, 여성성이라는 관념 역시 도덕적으로 타락한 것으로 부정당하면서 여성들은 이중의 타자화를 겪는다. 이처럼 젠더적 관점에서 1980년대의 민중운동 혹은 민중문학론을 재인식하는 논리는 정치적으로나 도덕적으로나 절대적 당위성을 지녔던 당대 대항운동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낸다. 1980년대의 무크 동인지 『또 하나의 문화』를 중심으로 활동한 여성 지식인들의 목소리와, 그들과 여러 이슈를 공유한 여성문학의 사례들은 이에 중요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또 하나의 문화』에 적극 가담한 유일한 시인이었던 고정희의 문학적 발화들을 중심으로 1980년대 여성운동과 여성해방문학의 성과를 짚는다. 여성 평론가의 부재 현상을 문단의 주요한 과제로 요청한 것의 의미, 나아가 ‘마당굿시’와 ‘해방시’ 등 그녀 시의 다양한 전략적 장치들을 여성‘운동’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고정희에게 문학은 여성해방의식을 공론화하는 장으로서 기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When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opular movements and women’s movements in the 1980s, it is pivotal to consider the fact that the cause of women’s movements was considerably weakened and the movements delayed due to the cause of the popular movements. What is just as important is the problem that a gender hierarchy has been naturally formed as the “people,” which is an entity without substance, was reproduced. The fact that the area of moral good regarding the people was reproduced as something masculine and that femininity became the subject of denial should be emphasized in particular. Women in actual workplaces were denied of their labor or were severely exploited, and the concept of femininity was also deemed to be morally corrupt, resulting in the women to suffer a dual otherization. Attempts to reconsider the popular movement in the 1980s or the people’s literature theory in agender perspective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counter-movements which had absolute political and moral validity at the time. The voices of female intellectuals who took active parts in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An Other Culture in the 1980s and the cases of feminist literature which had various issues in common with the intellectuals need to be studied carefully. This study analyzes the achievements of the women’s movements of the 1980s and the literary works on women’s liberation by focusing on the literary works by Jung-hee Koh who was an active contributor to An Other Culture . This study looks into the implications of Koh requesting to have the nonexistence of female literary critics as a key issue of the literary scene and of her poetry foregoing aesthetic tension and written in a long form employing straightforward language in the perspective of women’s “movements.” To Koh, literature served as a platform to publicize female liber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