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도시대 출판물 속 단군신화

        김영주(Kim Young Ju),이시준(Lee Si J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3

        고조선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는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일제강점기를 전후로 한일 양국에서 크게 주목을 받았다. 특히 일본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고려시대 성립설과 일본신화 속의 신 스사노오와의 동일설을 둘러싼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이러한 연구경향의 배경에는 식민지지배라는 정치적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조선의 고대사를 부정하고, 일본과의 동일성을 강조하는 이른바 일선동조론을 뒷받침하는 연구는 식민통치에 적극적으로 이용되었다. 단군신화가 일본에 처음으로 알려진 것은 에도시대였다. 에도시대는 목판인쇄의 발달로 출판문화가 융성하던 시대였다. 서적의 대량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화한삼재도회』와 『에혼조선정벌기』 등의 에도시대의 출판물에 단군신화가 수록되었다는 사실은 큰 의의를 가진다. 식민주의사상의 영향을 받기 이전의 단군신화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임과 동시에, 이들 출판물은 학자층은 물론 다수의 일반인 독자를 대상으로 대량으로 유통되었기에 그 속에 담긴 단군신화는 당시의 일본인이 조선을 이해하는 주요한 매체로 작용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에도시대를 대표하는 백과사전으로 당대의 사상과 지식을 정리하여 수록하고 있는 『화한삼재도회』는 에도시대의 보편적인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절호의 소재라고 할 수 있겠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에도시대 출판물 속의 단군신화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수록화의 내용분석과 함께, 출처문헌과의 비교를 통해서 작자 및 편자의 의도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에도시대 단군신화에 대한 인식과 그 위상을 밝히고자 한다. Dangun myth was introduced to Japan in the Edo period at the first time. During the Edo Period, publications culture did prosperity by development of a printing technique. Dangun myth was included in publications such as WakanSansaizue and EhonChosenSeibatsuki. This fact has the important significance. Because we can confirm the state of the Dangun myth before the influence of the colonialistic through these data. At the same time, Dangun myth contained in publications would have been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about Korea, because these publications were distributed in mass to target a number of public as well as scholars. Especially WakanSansaizue is a perfect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universal recognition of the era. This paper will examine the myth about Dangun in the Edo Period publications in this respect. This paper is considered about the meaning of Dangun myth in the Edo Period, focusing on the analyzing the story and investigating the intent of the writter.

      • KCI등재

        일반논문 : 에도 시대 여성교육과 리터러시 -교훈형 여성용 “왕래물”(往來物)에 주목하여

        이미숙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4

        본고는 일본 에도 시대(江戶時代) 교훈형 여성용 ‘왕래물’에 주목하여 에도 시대 여성교육의 양상 및 여성의 ‘리터러시’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먼저 에도 시대를 전후하여 여성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떠하였는 지를 분석하고, ‘데라코야’(寺子屋)라는 민간 교육기관에서 ‘왕래물’이라는 교과서로 여성들이 획득한 문자 해득이라는 ‘기능적 리터러시’의 내용뿐만 아니라 여성용 ‘왕래물’을 통해 어떠한 여성지식을 획득하였는가 하는 ‘문화적 리터러시’의 측면 또한 함께 고찰하였다. 왜냐하면 ‘여대학’으로 대표되는 여성용 ‘왕래물’은 여성의 문자 해득에 기여함과 동시에 여성의 성별지식을 재생산하였다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기때문이다. 나아가 같은 유교적인 여성지식을 담았다고 하더라도,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의 「와조쿠도지쿤」(和俗童子訓) 권5 「교여자법」(敎女子法, 1710), 「여대학 다카라바코」(女大學寶箱, 1716) 전권, 그리고 여성 교훈서의 대명사로 일컬어지고 있는 「여대학」 순으로 갈수록 더욱더 여성에게 유교이념을 고취시키고, 나아가 가부장적인 사회 속에서 여성의 위치를 종속화하려는 여성지식으로 기능하였다는 점을 밝혔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 첫째로 에도 시대 여성의 리터러시가 읽고 쓰기라는 ‘기능적 리터러시’의 측면에만 머무르지 않고 그 시대의 규범및 가치관이 반영된 역사성을 띠고 있다는 점, 둘째로 에도 시대의 여성교육은 여성에게 일정 정도의 소양을 갖추게 하여 가족제도를 존속·강화시켜 가부장제를 공고히 하려고 하는 측면만 있었던 것은 아니며, 집 안에서 폐쇄적으로 이루어지던 에도 시대 이전의 소수에 한정되었던 여성교육을 확대하여 균질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그 결과 여성들이 읽고 쓰기 능력과 교양을 갖추면서 지배층의 의도와는 달리 자신과 세계를 바라보는 여성들의 의식 또한 제고되었다는 측면 또한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에도 시대 여성교육 및 여성의 리터러시는 봉건제사회 속에서 여성이 자신의 자리를 확보하고 확장해나갈 수 있는 시발점이 되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아울러 지니고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더욱더 적극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本稿は江戶時代における敎訓型の女性用「往來物」に注目し、江戶時代の女性敎育の樣相及び女性のリテラシ-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このような考察から、先ず、江戶時代の女性のリテラシ-は讀み書きという「機能的なリテラシ-」の側面に止まらずその時代の規範及び價値관が反映された歷史性を帶びているということが確認できた。次に、同じく儒敎的な女性知識でありながら、貝原益軒の「和俗童子訓」卷五の「敎女子法」(1710)、「女大學寶箱」(1716)、そして女訓書の代名詞と言われる「女大學」などにおける女性知識に違いがあ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最後に、江戶時代の女性敎育は女性にある程度の素養を身につけさせ家族制度を存續·强化させることによって家父長制を强固化しようとする側面を當然持っている。その一方、江戶時代以前の限られた女の人-に家の中で閉鎖的に行われてきた女性敎育の樺を越え、多くの女性たちに均質な敎育の機會が提供されるようになり、女性たちが讀み書き能力と敎養を備えることによって支配層の意圖とは裏腹に自分自身と世界を見つめる意識をも高めたということをも推察できた。要するに、江戶時代の女性敎育及び女性のリテラシ-は近代的なジェンダ-論の관点からは限界を持っているとしても、封建制社會の中で女性たちが自分自身の居場所を確保し廣げていく始發になったという側面をも持っており、この点をより積極的に評價すべきであると思われる。

      • KCI등재

        에도명소와 우키요에풍경화에 관한 일고찰

        이미림(Ryee MiLim)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일본문화연구 Vol.0 No.61

        본 논문은 에도시대에 제작된 우키요에 풍경화에 그려진 테마 즉, 에도명소와의 연관관계와 그 제작 경위에 대해 고찰한 연구이다. 에도 명소관련 에도 명소그림에는 에도시대의 다양한 요소 즉 풍속과 민속 그리고 신불습합 등 종교적인 요소가 상호 작용하여 제작된 시대정신의 결과물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우키요에 명소그림을 단지 순수한 회화로서 감상하기보다는 이를 기획하고 제작한 우키요에시들의 시대 의식과도 연관시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실재로 에도 명소그림의 대가인 히로시게를 비롯한 우키요에시의 작품에는 화면의 서정적인 이미지와 달리 그들이 에도를 와유(臥遊)하여 얻은 우키요(浮世-현세)의 모습과 에도 일반 서민계층의 다양한 메시지가 담겨져 있다는 점도 시야에 넣어 고찰하였다. The attraction sights during the Edo period, the Mayshow-e (Pictures of Edo Attraction Sights), reflect the spirit of the age from a variety of interactions. An appreciation of the works should consider the stream of consciousness of the ukiyo-e painters who planned and produced them. The study of manners, customs, and folk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of those days is necessary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works. The pictures that were painted by the ukiyo-e masters, including Hiroshige, depict the stories of common people and they are not rendered as idealized images. The theme contains two opposing elements: one portrays a religious ceremony for common people while the other shows the secular side of life, such as irrigation and Kabuki entertainment, and is presented as a solid structure with the scenery of the Edo period.

      • 에도 시대의 六合釋 연구에 관하여

        강형철,Kang. Hyong-chol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0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3

        본 논문은 일본의 에도 ( 江戸 ) 시대에 활발하였던 산스크리트어의 6가지 명사복합어를 의미하는 육합석에 관한 연구의 배경과 시대적 역할에 관하여 살펴본다 . 중국의 한역 경전의 신역 시대부터 육합석에 관한 저술이 나타났고 ,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중기인 18 세기 무렵부터 이에 관한 연구가 유행하였다 .당시의 육합석에 관한 저술은 현재 17 종이 확인되는데 , 이들의 대부분이 규기( 窺基 ) 「大乘法苑義林章」의 일부분을 편집한 유통본인 「六合釋」의 주석서다 . 그 중 선구적인 저술이 유코 ( 融光 )의 「六合釋節要」키벤( 基辨 )의 「法苑義林殺三磨婆釋未詳訣」 등이며 그 외에도 호쥬( 法住 )의「分別六合釋」, 카이도 ( 快道 )의 「殺三磨婆釋未詳訣辨誤」,「六合釋精義」등이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우선 「大乘法苑義林章」의 「六合釋」을 일본의 승려들이 연구의 대상으로 선택한 원인을 고찰하고 , 에도 시대의 육합석 연구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본다 . 또한 에도 시대의 육합석 연구의 성과와 역사적 의의를 찾아보고 , 이들 연구가 갑자기 유행하게 된 이유와 또 갑자기 사라지게 된 이유를 알아본다 . This paper considers popularity of studies on Sanskrit grammar among many buddhist monks in the Edo Period in Japan. In the 18th century numerous buddhist monks in Japan made researches for Sanskrit compound, and its representative works are 六合釋節要 by Y ū k ō ( 融光 ), 法苑義林殺三磨婆 釋未詳訣 by Kiben( 基辨 ), 分別六合釋 by Hoj ū ( 法住 ) and 六合釋精義 by 快道(Kaid ō ).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be into the phenomenon, social background, and its meaning.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 provided an overview of the specific character of works about sanskrit grammar in China and Japan. I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I have firstly examined 六合釋 included in 大乘 法苑義林章 the Yog ā c ā ra teaching materials in China written by Kuei-chi( 窺 基 ) and secondly I observed how the Kuei-chi's works held a key post of the researches among the buddhist monks on Sanskrit compound. The last two parts searched for the reason why Sanskrit grammar had popularity among Japanese monks in Edo Period and suddenly disappeared. And It made an observations of historical significance of it.

      • KCI등재

        근대일본의 태동(胎動)과 에도시대 회화로 본 일본의 근대성

        강옥희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동양예술 Vol.43 No.-

        일본은 에도시대에 근대화를 이루기 위한 모든 선행조건이 거의 결정되었고, 근대에는 동아시아에서 선두를 달리는 선진국·강대국이 되었다. 에도시대의 시대적 특징은 천하보청과 산킨고타이제도, 실학과 박물학의 발달, 도시와 상업 발달, 신분제도 붕괴, 서양화풍 유입, 교토중심 문화적 영향력 축소, 그리고 근대성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세기 에도시대의 시대적 배경과 근대성을 바탕으로 미술이 근대화를 일으키는 데 주요도구로 활용된 그 당시 회화인 난핀하(南蘋派)·우키요에·에도양풍화의 흐름과 특성을 고찰해봄으로써 일본의 근대화 태동과 근대성을 확인해보고, 일본문화와 역사를 국제적인 안목에서 이해하는 폭을 넓혀보고자 함이다. 18∼19세기 동아시아의 삼국은 청대·조선후기·에도시대였다. 이 시대는 서민문화의 융성이라는 공통적인 근대성문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나가사키항을 통해 들어온 중국과 네덜란드의 선진문물은 에도회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중에서 사실화풍 화조화인 ‘난핀하(南蘋派)’는 ‘에도양풍화’가 원활히 전개되게 하는 가교(架橋)역할을 했고, ‘우키에(浮絵)와 요지경화’는 투시원근법이 적용된 초기풍경목판화인데 ‘우키요에’ 동판풍경화로 발전하였고, 에도양풍화는 실학과 박물학의 발달로 도보(圖譜)제작과 같은 실용목적으로 회화성보다는 기술적 성격에서 출발한 정밀한 사실주의 화풍이었다. 에도 문화를 대표하는 풍속화인 우키요에는 판매 목적을 위한 대량생산·화풍개발·첨단 출판물·최신 정보매체 등의 근대성을 띤 시대적 유행의 역동적 변화물이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후기와 동시대 일본의 연지화장의 양상에 대한 고찰

        김현정 ( Hyun Jung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7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후기와 동시대 일본(에도시대와 메이지 시대)의 연지화장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특징 등을 고찰하여 비교해 본 것이다. 연지를 한국에서는 연지로, 일본에서는 ``베니(紅)``라고 부른다. 연지화장에 있어 볼연지나 입술연지 등의 화장문화의 양상은 양국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볼과 입술에 하는 연지화장은 양국 다 진하게 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았으며 생기있게 보이도록 연하게 표현했다. 그러나 입술연지의 표현 방법에서 차이점이 보이는데, 우리나라와 다른 점이라면 일본에서는 작고 아담한 입이 아름답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원래 입술보다 작게 보이도록 연지로 입술모양을 그려서 칠했다는 점이다. 또 조선시대와 크게 다른 점은 바로 입술 색깔에 있다. 기본적으로는 진하지 않게 붉은 색으로 표현한다는 점에는 공통된 양상을 보이지만, 에도시대 대유행했던 ``사사이로베니(笹色紅)``처럼 입술이 풍뎅이 색처럼 초록빛의 금속광택이 나도록 했던 점 등은 조선시대 입술화장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와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하면, 눈가에 붉은 색을 넣는 일본의 화장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에도시대 유행했던 가부키 배우들의 화장법이 일반 여자들에게 유행하게 되어서, 눈가에 붉은 색 화장품을 발라 포인트를 주는 화장법으로 정착되게 된 것이다. 이런 화장법은 현대에도 일본의 전통화장법으로 그대로 남아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와 같은 화장법은 고대부터 존재한 적이 없어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에도시대부터 일본에서는 연지화장품도 가내수공업 이외에 브랜드명을 가지고 판매가 되는 화장품이 있었다는 점, 또 전통 연지화장 문화와 도구가 서양화장품으로 대체되는 시기가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훨씬 빨랐다고 하는 점도 큰 차이점으로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I examined and compared the common features, differences, and distinctive features of the rouge makeup culture between the late of Chosun dynasty and contemporary Japan(the Edo Age and the Meiji Age). Rouge is called ``Yonji`` in Korea and ``Beni`` in Japan. The aspects of the makeup culture of rouge were almost alike between the two countries. People in both countries didn`t like to make up deeply in their cheeks and lips but made up lightly to look lively. However,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s in the expressing methods of roug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Japanese women used to make up their lips with rouge after drawing their lips smaller than their original lips because they thought the small and refined lips are more beautiful. Moreover, a wide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ies was the very color of lips. Basically there seemed a common aspect in the expression of lips with red color in both countries. But Japanese women used to make up their lips shined in green metal called ``Sasairo veni``. It`s color was like a goldbug. It was in great fashion in the Edo Age, but that kind of lip color was not seen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Furthermore, the wide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the Japanese rouge makeup around the eyes. The makeup method of Gabuki actors in the Edo Age was in fashion among the common women and settled down into the makeup method giving the point of making up around the eyes with red rouge. Although such a red rouge makeup around the eyes remains alive as the Japanese traditional makeup method in the present age, the makeup method of making up rouge around the eyes in Korea was never existed from the ancient times. This is a wid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We can see another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at the period of the traditional rouge makeup and the dressing cases replaced with the western cosmetics in Japan was much earlier than that in Korea.

      • KCI등재

        에도시대 일본무사들의 주자학 수용과 검술적 변용 - 『兵法家傳書』를 중심으로

        김용훈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3 No.-

        본 논문은 에도시대 일본 무사들의 주자학 수용과 검술적 변용을 탐색하는데 있다. 에도시대 일본 검술의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주자학을 토대로 논의해야 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에도시대 일본 무사들의 주자학 흡수를 통한 궁극적인 수양의 목표와 변용된 철학적 의미에 대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에도시대에는 주자학을 관학으로 지정하고 통치 이념으로 삼았다. 이러한 주자학은 자연스럽게 무사들의 검술사상에도 녹아들었다. 구체적인 주자학의 수양론으로 무사들은 ‘격물치지(格物致知)’와 ‘인심도심(人心道心)’, ‘경(敬)’ 사상을 받아들였다. 다쿠앙 소호(澤庵宗彭, 1573∼1646)와 야규 무네노리(柳生宗矩, 1571∼1646)는 ‘敬’을 마음을 한 곳으로 모아 몰입하는 정신통일의 개념으로 보았다. 그러나 ‘敬’은 단계가 낮은 수련법이고 더 높은 단계는 불교의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이라고 했다. 즉 검술적 측면에서 마음은 자유롭게 풀어놓는 것이 붙잡아 두는 것 보다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처럼 일본의 선승과 무사들은 주자학의 이론들을 받아들였으나 검술의 실전 경험과 함께 불교식으로 재해석 하였다. 검도가 긴 역사를 거듭 하면서 갖춘 문화적 특징 중에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정신성에 역점을 둔 것이다. 이러한 정신성에 관한 문제는 적과 대면했을 때의 마음 상태와 함께 수련을 통한 인격도야에 있다. 이것은 검술의 최고 경지는 검과 마음이 하나가 되는 것을 뜻한다. 결국 일본무도가 주자학의 철학적 기반을 통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했던 것은 ‘무심/평상심(無心/平常心)’이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and swordsmanship transformation of Japanese warriors during the Edo period. In order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Japanese swordsmanship in the Edo period, it must be discussed based on Neo-Confucianism. Through this consideration, it will be easier to understand the ultimate goal of cultivation and the transformed philosophical meaning of Japanese warriors in the Edo period through the absorption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Edo period, Neo-Confucianism was designated as a government school and used as a governing ideology. This Neo-Confucianism naturally melted into the swordsmanship of warriors. As a specific theory of cultivation of Neo-Confucianism, the warriors accepted the ideas of ‘Gewuzhizhi(格物致知)’, ‘the way ward human mind, the Moral min(人心道心)’, and ‘Jing(敬)’. Takuang Soho(澤庵宗彭, 1573∼1646) and Yagyu Munenori(柳生宗矩, 1571∼1646) saw ‘Jing(敬)’ as a spiritual unification that concentrates the mind in one place and prevents it from being scattered elsewhere. However, ‘Jing(敬)’ is a low-level training method, and a higher level is Buddhism's ‘one should generate a mind that is not fixed on anything(應無所住, 而生其心)’. In other words, in terms of swordsmanship, it was more important to release the mind freely than to hold it. As such, Japanese Zen monks and warriors accepted the theories of Neo-Confucianism, but reinterpreted them in a Buddhist way along with their practical experience of swordsmanship. The most notabl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endo over its long history are its emphasis on spirituality. The problem with this spirituality lies in the view of personality through training along with the state of mind when facing the enemy. This means that the highest state of swordsmanship is that the sword and the heart become one. In the end, what Japanese martial arts ultimately wanted to pursue through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Neo-Confucianism was ‘composure(平常心)’.

      • KCI등재

        에도시대[江戶時代] 朝鮮 繪畵의 收藏과 鑑評

        박은순(Park, Eunso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0 美術史學 Vol.- No.40

        이번 연구는 한일 회화교류에 대한 연속적인 2차 연도 연구 중 두 번째 논문으로서 에도시대 19세기 중 일본과 조선의 회화 교류와 소통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增訂古畵備考』 중 50권과 51권에 수록된 「高麗朝鮮書畵傳」(이하 서화전이라 함.)을 중심으로 19세기 일본에서 유통되던 한국 서화의 정보와 이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 및 평가 등을 검토하였다. 본고에서는 특히 일본의 상황과 조건을 전제로 한일 회화교류의 문제를 접근하는 방법론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서 한국 측의 입장과 시각을 강조하여 온 그간의 연구를 넘어서 한일회화교류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더하고자 하였다. 먼저 서화전에 수록된 고려와 조선 회화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수록된 주요한 작품과 기록을 제공하거나 수장한 일본의 수장가 및 수장처를 발췌하여 1. 가노파 인사, 2. 개인 수장가, 3. 다이묘, 4. 사찰, 5. 출판물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에도지역에서 활동하던 서화전의 著者가 한국 관련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하였고, 다양한 계층의 인사들을 접촉하였으며, 에도 뿐 아니라 조선과의 교류가 많았던 지역이나 수장처의 자료를 적극적으로 수집한 것을 확인하였다. 서화전의 저자가 가노파[狩野派]와 긴밀한 관계를 가졌던 배경에서인지 수장가 및 수장처의 경우에도 가노파와 관련된 사례가 많았다. 개인 수장가의 경우에는 原本 『古畵備考』의 정보 제공자들 중 주요한 인사들이 서화전의 정보 제공자, 또는 수장가로서 인용되었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개인들이 인용되었다. 조선과의 교류가 많았던 지방의 다이묘들과 에도 및 지방의 여러 사찰들도 주요한 수장가 및 수장처 역할을 하였다. 다이묘와 사찰의 수장품들은 작품의 수준이나 중요도 면에서 주목할 만한 경우가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 회화의 작가, 국적, 화풍, 진위 등을 거론한 감평을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대표적인 사례를 고찰하면서 감평의 양상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감평의 경우에도 가노파 관련 인사 및 수장가의 의견을 인용한 사례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작가나 국적, 화풍에 대한 서화전 저자의 의견이 인용된 기존의 견해와 다를 경우에는 기존의 의견과 저자의 의견을 함께 수록하여 감평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저자는 화풍이나 기법 뿐 아니라 관서의 서체, 도장의 진위 문제 등도 거론하면서 본격적인 감정을 하기도 하였다. 에도시대에 유행한 古畵趣味를 배경으로 숙련된 감식안과 기준을 가졌던 서화전의 저자는 한국 관련 서화 정보를 발췌하고 작품을 평가, 감정하는 데 있어서 전문가로서의 기량을 발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화전에 수록된 작가, 국적, 화풍 등에 대한 논의를 현재의 시점에서 분석하여 보면 때로는 잘못된 판단과 불충분한 정보를 제시한 경우들도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에도시대 19세기 중 한국회화에 대한 정보와 지식의 상황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는 곧 서화전의 특징인 동시에 한계라고 할 수 있다. 한국 서화에 대한 서화전의 정보를 인용하거나 활용하려는 경우 서화전이 가지는 이와 같은 특징을 감안하여 비판적으로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second in series of a research on the cultural exchange of painting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details of cultur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that took place during the Edo period. Firstly, the study is based upon “the Records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of Goryo and Joseon periods”, included in Vol. 50 and Vol. 51 of The Revisied Version of the Records on Old Paintings 『增訂古畵備考』. It focuses on information and reputation of painting and calligraphy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Japan. “The records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of Goryo and Joseon periods” includes calligraphy and paintings of Goryo and Joseon, or records of them and representative collectors and collections of Japan, suggested and organiz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1. Gano school members, 2. Personal collectors, 3. Daimyos 4. Temples, 5. Publication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fact that the author, who’s active mainly in Edo, collected a wide variety of materials related to Korea, contacted with people of diverse classes, and actively gathered materials from regions or collections that made frequent connections with Joseon. Furthermore, possibly owing to the fact that the author of “the records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of Koryo and Joseon periods” made intimate realtionships with the Gano school, collections and collectors were often linked to the Gano school. Some private collectors were overlapped with information providers of the original The Notes of Old Paintings 『古畵備考』. Some daimyos of regions that had frequent relationships with Joseon took the role of collectors at the same time. Various temples provided important collections as well. These collections or collectors were worthy of notice in terms of importance or quality. Secondly, criticisms on the artist, nationality, painting style, authenticity of Korean calligraphy and painting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eir aspects and characteristics are suggested upon analysis of representative cases. Opinions of Gano School personnels were also referenced often in criticism on paintings. The author’s opinion was suggested along with ideas of other critics, in order to secure objectivity. The calligraphic characteristic of a sign and the authenticity of a seal were also a subject of discussion in some cases of these criticisms. The author of “the records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of Goryo and Joseon periods”, who had a sophisticated standard of criticism on paintings owing to the trend of tasting old paintings during the Edo period. He was able to perform professional criticism upon evaluation and appraisal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related to Korea. However, some of the included discussions seem misjudged to the perspective of present standards. Moreover, some cases of criticism seems to be inadequately supported as well. This means the limita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19th century Edo period and at the same time can be regard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records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of Goryo and Joseon periods”. When one refers the information on Korean paintings and calligraphy included in “the records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of Koryo and Joseon periods”, it is important to take notice of this limitation and characteristic.

      • KCI등재

        에도시대 산파 이미지: ‘토리아게바바(取り上げ婆)’에서 근대의 조산부(助産婦)로

        김정희 ( Jung Hui Kim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8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2 No.-

        이 논문은 에도시대에 유통되었던 인쇄물, 즉 여성 교육을 목표로 출판되었던 죠쿤쇼(女訓書)와 삽화를 포함한 짧은 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에혼(繪本), 그리고 산과(産科) 지식을 담은 산과서 속에 묘사된 산파의 이미지를 다룬 글이다. 특히 본 논문은 출산 장면 속에서 조력자로서 등장하는 산파와 아버지의 비중, 그리고 두 사람의 시각적 재현 방법이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에 주목하였다. 에도시대의 출산 장면은 주로 성공적인 출산 이후 산실(産室)의 모습을 보여준다. 흥미로운 것은 에도 초기와 중기에 그려진 출산 장면의 경우, 산고 후 휴식을 취하는 산모의 모습, 신생아를 위한 핵심적인 산후 의례인 우부유(産湯), 그리고 우부유의 집행자였던 산파의 존재 이외에는 아버지, 혹은 아버지로 대변되는 어떠한 남성의 모습도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그 원인을 고대일본에서 유래한 ‘케가레(穢れ)’ 관념에서 찾았다. ‘케가레’란 죽음이나 출산과 같은 생사 의례를 통해 생기는 오염이나 그 상태를 의미한다. 임부의 출혈로 발생한 출산의 케가레는 임부와의 접촉, 혹은 물이나 불의 공유를 통해 공동체 내로 확산되어 신도(神道)의 ‘카미(神)’를 분노하게 만든다고 여겨졌으며 따라서 케가레에 대한 두려움과 기피는 에도시대의 출산을 최소한의 인원만 참여하는 폐쇄적인 경험으로 만들었다. 아버지가 부재한 출산 장면에서 화면은 우부유를 실행중인 산파와 그 장면을 감독하듯 주시하는 산모의 모습에 초점을 맞추는데, 산파의 경우 거의 예외 없이 신생아를 목욕시키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에도시대의 생사관(生死觀)에서 우부유는 갓 태어난 아이가 이계(異界)에서 현세로 넘어오는 마지막 관문이자 생과 사의 공간이 연결되는 위험한 순간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이때 아이를 안전하게 이 세상으로 데리고 오기 위해 주술적 힘을 가진 존재가 필요했는데 그 역할을 담당했던 것이 바로 산파였다. 우부유의 담당자로서 산파의 이미지가 부각되었던 것은 출산 현장에서 중세의 미코(巫女), 즉 영매의 후예로서 케가레로 인한 신의 분노를 완화하고 신과 인간을 중재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로 그 위상을 인정받고 있었음을 반영한다. 출산 의례에서 산파의 지위와 산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하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후반 산과학(産科學)이 등장하면서부터였다. 카가와 겐에츠(賀川玄悅, 1700-1777)를 비롯한 산과의들은 ‘회생술(回生術)’과 같은 산과 지식과 기술을 설파하며 임신과 출산의 과정에서 산파들에 의해 오랫동안 고수되어 왔던 ‘오비이와이’, ‘산후(産後) 의자’와 같은 풍속들을 사라져야 할 인습이라고 비판했다. 뿐만 아니라 비전문성을 강조하기 위해 ‘노파’, ‘무학’, ‘무지’와 같은 단어들을 써가며 산파의 존재를 폄하했다. 산과의들이 저술한 산과서들은 산파의 역할을 출산 후 아이의 배꼽을 소독하는 것과 같은 주변적인 일로 한정했으며 출산을 ‘주도하는 산과의를 보조하는 산파’라는 관점을 유지했다. 산파와 산파술에 대한 산과 전문인들의 이러한 비판적인 평가는 결국 산파에 대한 에도 사회의 전반적 견해뿐만 아니라 죠쿤쇼와 에혼의 출산 장면에서 산파를 재현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주었다. 죠쿤쇼의 경우, 18세기 말 이전의 출산 장면은 각기 다른 연령대의 산파, 즉 젊은 여인이나 중년의 여인, 혹은 노파의 모습이 혼재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18세기 말을 기점으로 거의 대부분의 출산 장면에서 산파는 산과의들이 줄곧 사용했던 비판적인 언설에서처럼 노쇠한 ‘노파’로 묘사되었다. 18세기 말 에 혼에서는 흥미롭게도 아버지의 모습이 등장하는데 그들은 화면 속에서 우부유를 감독하듯 지켜보거나 산모에게 무언가 지시하는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히라노쥬세이(平野重誠, ?-1867)와 같은 산과의들은 자신의 산과서에서 산파의 출산전문가로서 산파의 부족함에 대해 피력하며 출산 시 아버지 혹은 남성의 조력을 얻을 것을 강하게 권유하였다. 또한 그는 출산에 참여한 남성이 어떤 식으로 산파를 도울 수 있는지 그 구체적 방법을 삽화를 동원해 설명하였다. 즉, 조력자 혹은 감시자로서의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등장은 출산에서 산파의 주도권과 독점권을 인정하지 않으려고 했던 산과의들의 강력한 의지와 출산 과정에서 주술적 존재로 확고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던 산파의 사회적 위상 저하를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images of midwives found in Edo-period printed materials such as educational books (jokunsho), picture books (ehon), and obstetric manuals, with a focu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dwife and the father figure, both of whom play an essential role as helpers in childbirth. Edo childbirth scenes typically depict post-natal care. They show a mother recuperating from delivery, an infant receiving ubuyu (first bath), and a midwife bathing the baby. Interestingly, early and mid Edo childbirth imagery does not include male figures.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omission of the father originated from the concept of kegare which regards parturient women as the source of defilement. Kegare is a polluted condition caused by bleeding, inevitable during the process of parturition. Contact with a birthing mother meant transmission of kegare. The fear of kegare made childbirth an isolated experience in which only a few attendants participated. The main component of childbirth imagery is the midwife performing ubuyu. Ubuyu marks the moment when the passageway between the other world and this world is open. This study argues that the emphasis on the image of the midwife can be explained by her ability to alleviate the anger of kami (Shinto gods) and pull the baby out of the other world, as the descendant of medieval miko (female shaman or shrine maiden).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however, the negative social perception of midwives came to prevail. Edo obstetricians criticized midwives, describing them as ‘ignorant, uneducated old hags’ and devalued old practices, such as ‘obiiwai (wearing a pregnancy wrap)’ and the use of birthing chairs, usually performed by midwives. Obstetric manuals written by male physicians relegated midwives to minor roles in the process of parturition. Obstetricians even suggested that midwives should seek help from the father or a male neighbor because their capabilities were insufficient for the task. Late Edo childbirth scenes in jokunsho feature the midwife exclusively as an elderly woman. This shows a transition from the earlier tradition of visualizing the figure as a youthful or middle-aged woman. In addition, fathers begin to appear in childbirth scenes in late eighteenth-century ehon. This paper maintains that these changes reflect the conflict between obstetrics and midwifery, marking a critical phase in the modernization of medicine in the Edo period.

      • 에도시대의 상키야 연구

        강형철(Kang hyong chol)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0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2

        본 논문은 일본의 에도(江戶)시대에 『金七十論』의 연구가 승려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현상에 관하여 그 소재와 사정을 탐색한다. 상키야 학파의 논서인 『金七十論』이 진제에 의해 번역된 것이 6세기이고, 일본에 전래된 것은 7∼8세기경이다. 그로부터 약 1000년 후인 에도시대 중기에 짧은 기간 동안 수많은 『金七十論』주석서가 찬술되었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교오 곤조(曉應嚴藏)의 『金七十論備考』, 치도 호쥬(智幢法住)의 『金七十論疏』, 코잔 슈로(香山宗朗)의 『金七十論解』, 린죠 카이도(林常快道)의 『金七十論藻鏡』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동아시아 불교계 일반에서의 『金七十論』에 대한 입장을 확인하기 위하여, 예비적으로 중국에서 『金七十論』이 어떻게 읽혀지고 취급되었는지를 조사하고l 다음으로 일본에서 『金七十論』과 관련하여 쟁점이 되었던 문제들의 속사정을 살펴본다. 또, 『金七十論疏』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주석방식의 특징과 이들이 취하는 입장을 확인하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현상의 시대적인 의의를 찾아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