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약성경 석의와 텍스트언어학 적용의 예(시편 23편) : 그 유용성을 찾아서

        조휘 ( Cho Hwi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9 ACTS 신학저널 Vol.39 No.-

        텍스트언어학은 1960년대 이후 등장해서 상당히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다양한 이론과 접근이 시도되고 있는 언어학 연구 분야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텍스트언어학은 텍스트(본문) 차원에서 언어의 활용과 규칙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전의 언어연구는 단어와 문장 단위에 집중했던 반면에 텍스트언어학은 텍스트 단위의 언어연구에 집중한다. 텍스트언어학이 등장하기 전까지 언어학은 주로 문장의 결속구조와 의미구조를 연 구했다. 하지만 텍스트언어학의 등장으로 언어학의 연구범위가 문장 이상의 텍스트로 확장된다. 특히 텍스트언어학은 의사소통을 위한 텍스트의 생성과 사용 및 수용에 작용하는 기준(또는 법칙)과 요인들을 규명하려는 시도에 집중해 왔다. 이와 더불어 텍스트를 유형화하는 기준을 파악하는 것 역시 텍스트언어학의 주요 관심이다. 일반 언어학계의 관심은 텍스트성, 텍스트유형, 텍스트의 규칙성과 정형성을 규정하려고 한다. 반면에 성경신학에서 텍스트언어학적 접근은 텍스트언어학 연구의 결과물을 성경본문 해석에 적용하고 그 유용성을 언급하려고 한다. 물론 구약성경이나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텍스트의 유형 및 개별유형의 규칙성과 정형성을 발견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본 소고에서는 텍스트언어학의 기본개념과 연구 결과물에 따른 석의적 적용을 시도하고 그 유용성을 언급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1) 텍스트언어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본문성(Textuality)의 주요요소인 결속성에 대해 언급하고, (2) 결속성 분석 방법에 따라 시편 23편의 결속성을 살피고, (3) 텍스트언어학의 관점에서 시편 23편을 주해할 것이다. 달리 말하면 구문론(syntactics), 의미론(semantics), 화용론(prgamatics)의 차원에서 시편 23편을 분석하여 적용의 예를 제시하고 텍스트언어학의 유용성을 서술할 것이다. Since textlinguistics was introduced in 1960’s, a significant amount of researches have been done, yet various theories and approaches are still suggested. Before the emergence of textlinguistics, linguistics has focused on lexeme and the syntactic and semantic connectivity of sentences. Yet with textlinguistics the area of linguistic investigation has extended to the area beyond the sentence, that is, the text. Especially textlinguistics has attempted to define the regularities, rules, and elements working in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the text for communication. It also has identified the standards for the classification and function of texts. While secular textlinguists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research on textuality, text types and function, and the regularity of the text, biblical textlinguists apply the results and contributions of textlinguistics to biblical exegesis and present its usefulness. In the present article, we present an example of the exegesis on Psalm 23 according to the textlinguistic concepts and approaches, and then comment on the usefulness of textlinguistics. In so doing, we will briefly explain the concept of connectivity which is the main element of textuality, examine the connectivity of Psalm 23 on the surface level as well as the deep level according to analytical methods, and exegete Psalm 23 from the textlinguistic perspective. In other words, Psalm 23 will be exegeted in the realms of syntactics, semantics, and pragmatics in order to provide an example. Textlinguistics is useful for biblical exegesis in providing a systematic and holistic analysis, appreciating pragmatic elements, focusing on authorial meaning, and appreciating pragmatic elements and the author’s characteristics.

      • KCI등재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리터러시 교육 연구

        오지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1

        본 연구는 언어는 곧 문화라는 일체론적 관점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언어문화교육의 초점을 ‘리터러시’에 두고 있다. 이는 언어문화교육의 목표를 단순히 언어 표현, 기술을 위한 지식에서 벗어나 ‘삶의 방식’을 경험하는 문제로 확장시키고자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문화 간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복합 양식적 특성을 지닌 광고 텍스트를 통해 지식, 기술, 태도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한국 언어 문화를 경험할 수 되는데, 텍스트 이해에 있어서 텍스트성 기반의 해석의 초점화 문제는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광고 텍스트를 활용한 언어 문화 교육’에서 학습자들은 자신과 광고 텍스트 내의 언어 문화적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텍스트 해석을 하게 되고, 이때 해석의 방향은 언어 문화적 정보를 ‘초점화’하는 양상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텍스트성 기반의 초점화를 통한 텍스트 이해에서 학습자들은 주표제(헤드라인)를 생산함으로써 언어 문화적 표현 활동을 하게 된다. 즉, 독자로서 학습자들은 동일한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텍스트성에 주목하여 텍스트 전체에 걸쳐 전달하는 정보 가운데 가장 중요한 정보에 초점화하여, 스스로 의미를 선택, 조직, 재구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자신의 언어문화적 지식, 기술, 태도, 비판적 인식에 따라 해석의 초점화 양상을 달리함으로써 광고 텍스트를 이해, 수용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문화 간 리터러시가 향상됨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literacy’ for language-culture education from the integrated viewpoint of language and culture. To achieve the objectives, this paper suppose Korean language-culture teaching using advertisement texts for learners’ intercultural literacy. Eventually Korean learners comprehend texts and enhance intercultural literacy by focusing their own language-cultural information regarding texts from four aspects, knowledge, skills, attitude, critical awareness.

      • KCI등재후보

        텍스트언어학과 인접학문

        안정오(An Cheung-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한국학연구 Vol.23 No.-

        텍스트 언어학은 여러 학문 분괴들과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화용론, 기호학, 수사학, 문체론, 언어교육 등이 그것이다. 화용론의 하위범주인 대화분석과 같은 분과에서는 텍스트언어학과 동일한 응집성과 응결성을 추구하고 있다. 수사학과 수사학의 하위범주인 문체론에서도 텍스트언어학과 상관성이 상당히 크다. 예를 들어 수사학의 연설법은 구상, 배열, 표현, 기억, 발표인데, 이 형식은 바로 텍스트언어학의 연구대상이다. 또한 텍스트언어학의 서사구조, 논증구조 대화구조 등은 바로 수사학의 논리관계유형들로 대비시켜 생각해 볼 수 있다. 텍스트언어학의 응집성과 응결성은 수사학의 연상과 연쇄에 해당하고, 주제 전개 방식에서 평행, 대조, 환언, 비유 등에 대응되고 상호텍스트성은 수사학에서 인용과 인유에 해당한다. 수사학에서 서술문채는 말 장식의 수단인데 전환, 추가, 생략, 병행 등이 이에 속하고, 텍스트언어학에서 이런 범주들이 바로 주요 연구대상이다. 작문연구나 교육도 이제는 많은 부분에서 전통적 방향을 탈피하고 있다. 종래에는 주어-동사간의 일치, 통사구조, 구두점, 문법사항 등의 표층적인 특성을 교육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으나 이제는 이런 것들은 작문에서 중요하지 않고 텍스트가 중요함이 드러났다. 그래서 텍스트언어학의 연구결과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Textlinguistics has a deep relationship to many neighboring disciplines, such as Pragmatics, Semiotics, Rhetoric, Stylistics, and Writing-Education. Dialog analysis in Pragmatics is concerned with the cohesion and coherence of the discourse, as is Textlinguistics. For example, an oration in the field of Rhetoric consists of Inventio, Dipositio, Elocutio, Memoria and Actio. These are all subjects of Textlinguistics research. In addition, narrative-structure, demonstrative-structure and dialogic-structure are similar to logic-relation types of Rhetoric. Coherence and cohesion in the area of Textlinguistics are subjects of research in Rhetoric. For example, how cheuasme, epanalepse, paralipse and hypallase techniques are used in the method of theme development of Rhetoric are options for research in Textlinguistics. Intertextuality is similar to quotation in Rhetoric. Such usages appear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contemporary training texts or manuals for writing. Therefore, writing education also uses the results of studies in textlinguistics.

      • KCI등재

        언어의 잉여성과 독자의 텍스트 이해: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4장 ‘언어학의 기본 전제들’을 토대로

        김도남 ( Kim Do Nam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4 한국초등교육 Vol.35 No.2

        이 논의는 독자와 텍스트 사이에 작용하는 언어의 잉여성을 탐구한다. 읽기는 독자와 텍스트 사이에 읽기 상황을 형성한다. 이 읽기 상황은 텍스트 밖에 존재하는 잉여적인 것과 관련된다. 들뢰즈와 과타리는 『천 개의 고원』(Deleuze, & Guattari, 1980/2003) 4장에서 우리의 언어 인식에 내재하는 네 가지 전제(공리)를 비판한다. 이 논의는 그 첫 번째, ‘언어는 정보 전달과 의사소통에 관련되어 있으리라’라는 전제에 대한 비판을 토대로 한다. 읽기는 언어로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이 읽기 행위는 텍스트와 독자 사이에 읽기 상황을 형성한다. 읽기 상황은 텍스트 내부의 언어 내적 기능에 의존하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텍스트 외부의 언어의 잉여적 기능에 의해 작용한다. 이 읽기 상황에 작용하는 언어의 대표적인 잉여의 기능이 명령어이다. 텍스트 내부의 언어 기능이 정보 전달과 의사소통과 관련되어 있다면, 텍스트 외부의 언어 기능은 명령어의 작용과 관련되어 있다. 독자의 텍스트 읽기는 생생한 읽기 상황을 형성하는데, 그 읽기 상황은 텍스트 외부에서 이루어진다. 이 텍스트 외부에 작용하는 언어 기능이 명령어의 작용이다. 독자는 이 읽기 상황에서 명령어를 인식한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는 이 명령어의 수용과 관련된다. 명령어는 독자에게 지시, 의문, 서약, 단언 등의 명령을 전달한다. 이 텍스트 명령은 텍스트마다. 독자마다, 읽는 상황마다 다르다. 텍스트 명령은 쉬울 수도 있고, 어려울 수도 있다. 당장 실행할 수도 나중에 수행할 수도 있다. 텍스트 명령의 수행은 독자의 의지에 달려있다. 텍스트가 독자에게 전하는 명령 중 본질적인 것은 자기 생성과 관련되어 있다. 독자가 텍스트 명령 수행으로 자기를 생성할 때, 고유한 자기를 가질 수 있다. 텍스트 읽기는 독자가 읽기 상황에서 전달된 명령어의 명령을 수행하여 자기를 생성하는 일이다. This discussion explores the language redundancy between a reader and a text. Due to the surplus that exists outside the text, a reading situation occurs between the reader and the text. In Chapter 4 of < A Thousand Plateaus >(trans, Kim Jae-in, 2003), Deleuze and Guattari criticize the four premises (axiom) inherent in the perception of language.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first criticism of the premise, which claims that “language is related to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Reading is performed through language and takes place between the text and reader. Although reading depends on the language system within the text, it is also essentially related to the language system outside the text, that is, the reading is achieved through the operations of the language system outside the text; therefore, its function is redundant. A representative language function outside the text is a command. The redundant language functions are revealed when a reader understands the content of the text. If the language function inside the text convey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 language function outside the text is related to command actions. Therefore,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creates a vivid reading situation related to the reading situation outside the text. As the language functions operating outside the text are command operations, such as instructions, questions, pledges, and assertions, the reader recognizes that their understanding is based on the acceptance of the command. Text commands vary from text to text, from reader to reader, and from reading situation to reading situation, and can be easy or difficult and impact the reading in the currently or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the execution of the text commands depends on the reader’s will. One essential command conveyed to a reader is related to self-creation. When a reader creates a self by executing text commands, a unique self develops. Therefore, the reader creates the reading texts by executing the commands for the particular reading situation.

      • KCI등재후보

        텍스트언어학의 방법과 과제

        이성만(Lee Seong-m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한국학연구 Vol.23 No.-

        본고는 텍스트언어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을 위하여 다음의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으면서 텍스트언어학의 연구 현황과 방법 그리고 과제를 조명하였다: (1) 텍스트는 어떤 방법으로 연구되었는가? (2) 텍스트는 무엇인가? (3) 텍스트는 어떻게 연구될 수 있는가? (4) 텍스트언어학은 앞으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텍스트언어학은 1970년대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자리를 잡았다. 초창기 텍스트언어학에서도 분석대상을 언어체계의 단위들로만 잡지 않고 거시단위인 ‘텍스트’와 그 구성성분들에 따라 행위참여자들의 사회적인 행위로 넓혀나갔다: 문법적-구조주의적 텍스트이해 → 의사소통-기능적 텍스트이해 → 다층모델(하이네만과 피베거 1991). 이런 생각이 현대 텍스트 연구의 출발점이자 목적지가 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텍스트는 이제 더 이상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고립적인 표현형태가 아닌, 복잡한 상호작용에서 도구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그래서 텍스트는 자체에 의미와 기능은 없고 언제나 상호작용 맥락에서 텍스트를 생산하고 수용하는 행위 참여자와 관련해서만 의미와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게 되었다. 텍스트언어학의 전망을 4가지로 요약하였다. (1) 텍스트는 문법의 단위이자 화용의 단위이기도 하다. 텍스트구성과 텍스트처리의 절차적 국면들도 텍스트의 개념정립과 텍스트성의 자질연구에서 중요하다, (2) 텍스트유형화의 문제이다. 텍스트종류는 세계(또는 그 일부)가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인 공동체에서 다양하게 파악되고 다양하게 ‘습득’되는 의사소통 모형이자 판박이다. (3) 텍스트생산과 텍스트처리의 과정연구이다. 텍스트언어학의 시각에서 지식표상으로서의 텍스트, 여러 텍스트종류들의 텍스트범례들을 생산하고 수용하는 전략, 텍스트이해의 문제, 텍스트모형 활성화 훈련, 언어습득에서의 텍스트종류 습득, 정보를 기억하고 보존하는 문제 등이 집중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4) 텍스트연구의 응용분야이다. 특히 모국어와 외국어 수업에서 텍스트언어학의 적용과 응용 가능성은 무한하다. Die Arbeit beschaftigt sich fur die Interessierten an der Textlinguistik mit Tendenzen, Methoden und Aufgaben der textlinguistischen Untersuchungen, indem die folgenden Fragen beantwortet werden: (1) Wie wurde der Text bisher aus methodischer Sicht untersucht? (2) Was ist die Grosse 'Text' eigentlich? (3) Wie ist der Text zu analysieren? (4) Worauf kann man die textlinguistischen Methoden anwenden? Seit den 70er Jahren des 20. Jahrhunderts betrachtet man in Deutschland die Textlinguistik als ein neues Paradigma. Die Textlinguistik hat von Anfang an ihre Fragestellungen immer mehr ausgeweitet: ein grammatisch-strukturalistisches Textverstehen → ein kommunikativ-funktionales Textverstehen → Mehr-Ebenen-Modell(Heinemann/Wiehweger 1991). Das letzte besagt, dass fur die Textkonstituierung das Zusammenspiel von Parametem auf unterschiedlichen Ebenen wichtig ist. Demnach betrachtet man den Text nicht als eine isolierte Form der kommunikativen Handlung, sondem als ein Instrument in der komplexen Interaktion. Daraus folgt, dass der Text selbst keine Bedeutungen und Funktionen hat, sondem dass er sie nur bezogen auf die Handlungsbeteiligten erhalt, die ihn immer im interaktiven Kontext herstellen und rezipieren. Die Perspektiven der Textlinguistik lauten: (1) Der Text als die Einheit von Grammatik und Pragmatik. Wichtig sind die prozeduralen Aspekte der Textkonstitution und -verarbeitung, urn den Text konzeptuell zu bestimmen und die Merkmale der Textualitat zu untersuchen. (2) Die Textklassifikation gehort zu den Hauptfragen der Textlinguistik. Textsorten sind heterogene, prototypisch strukturierte Kategorien mit vagen Grenzen. Sie sind als kulturell gepragte Grossen zu verstehen. Damit wird die Welt in verschiedenen sozio-kulturellen Gemeinschaften unterschiedlich erfasst. (3) Die Textproduktion und -verarbeitung. (4) Anwendungebereiche der Textanalyse, vor allem im Unterricht der Mutter- und Fremdsprache.

      • KCI등재

        텍스트언어학의 혁신과 도약을 위한 `인문 텍스트언어학`

        박용익 ( Bak Yong Ik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7 텍스트언어학 Vol.42 No.-

        This article assumes that the text linguistics does not achieve its own academic goal and show any further progress in the last years. There are two main reasons. Since the begin of the text linguistic it concerned mainly to develop the theories and methodologies, while ignoring the analysis of the individual concrete text sorts. It concerned also to analyze almost only the formal structures of the texts, while dis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text reflecting the human mind and social phenomena. To overcome the status quo the research of the text linguistics must be innovated and have the new research perspectives relating to its possibilities of the interdisciplinary and practical application. For the innovation and new perspectives the text linguistics must concentrate, firstly, on researching the concrete text sorts. The theories and methodologies of the text linguistics should be developed only on the basis of the researching the concrete text sorts. Secondly, the text linguistic should deal with the contents of the texts, which enables to understand the human mind and social phenomena, to find the human and social problems and to contribute to solve such problems. I suggest to call this art of text linguistics `text humanities`. As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resources of `the text humanities` we can use the existing theories and methodologies of the (text) linguistics, for example text linguistics of the sense according to Coserio, permutation tests int the structural linguistics like deletion, substitution and supplement, macro rules of the van Dike, the theory of illocution hierarchy, the theory of text pattern. These theories and methodologies enable to promote the detailed and accurat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text, which desiderata of the research disciplines which also aim the analysis of the text contents like qualitative research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KCI등재

        동화의 텍스트 유형에 따른 유아의 언어적 반응과 어머니의 언어적 조언의 비교

        윤진주(Youn Jinju),김미재(Kim Mijae),김영실(Kim Youngsi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5

        본 연구에서는 동화의 텍스트 유형에 따라 유아의 언어적 반응 유형과 어머니의 언어적 조언 유형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세 유아 19명과 그들의 어머니로, 동화의 텍스트 유형은 서술적 텍스트, 반복적 텍스트, 정보전달 텍스트로 구분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동화책 읽기 녹음 및 테이프 수집과 전사, 그리고 자료 분석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언어적 반응 내용은 정보전달 텍스트에서 등장인물과 어휘에 대한 언어적 반응 내용이 반복적 텍스트에서는 장면에 대한 언어적 반응 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언어적 반응 유형은 정보전달 텍스트에서 정보적 언어 반응 유형이 서술적 텍스트에서는 개인적, 평가적 상상적 언어적 반응 유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적 조언 유형은 반복적 텍스트에서 내용에 대한 간접적 조언과 이야기 구조에 대한 조언이 정보전달 텍스트에서는 기술적인 면에 대한 언어적 조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verbal response and mothers' linguistic advice by the storybooks' text type.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analyzed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by using taped reading sessions during which three kinds of storybooks were read to th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5-year-old children of a kindergarten in M-city, Jeollanam-do, and their mothers. The storybook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the narrative text (The rainbow fish), the predictable text (We're Going 011 a Bear Hunt), and the informational text (Rainy Day, See You Again). The analysis tools were the criteria developed by Kang Eun-jin(1996) for the analysis of contents and types of verbal responses, and the criteria developed by Kim Mi-jae (2006) for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mothers' linguistic advi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a pilot study, the collection and transcription of recorded tapes, and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storybook type-related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verbal responses. In terms of content, the children responded most to characters and vocabularies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al text. When the predictable text was read, the children showed the most response regarding scenes. As for the linguistic types, the children mostly showed informational responses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al text, whereas they showed personal, evaluative and imaginative response in the case of the narrative text.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orybook type-related differences in mother's linguistic advice. In the case of the predictable text, the mothers mostly gave advice regarding story structures, content and technical aspects.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al text, the mothers gave advice mostly about technical aspects.

      • KCI등재

        독일어 수업에서 텍스트문법

        권영숙(Yeong Sook Kw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2 No.-

        현대 외국어교육은 창의적이고 주도적인 글로벌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며 학습자의 의사소통역량(kommunitative Kompetenz) 및 언어행위능력(sprachliche Handlungskompetenz) 그리고 문화간 역량(interkulturelle Kompetenz)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외국어 교육현장에서는 행위 중심적(handlungsorientiert) 이론을 중심으로, 학습자가 수업을 통하여 외국어를 주도적이고 창조적으로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행위 중심적 언어역량 및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논문은 현재 한국 독일어 학습현장에서의 문법수업이 현대 외국어 교육목표와는 달리 여전히 문장 내 언어요소의 의미 및 활용을 주요 문법학습내용으로 다루고 있다는 안타까운 우리현실과 아울러, 이러한 문법 수업으로는 학습자들의 창의적이고 주도적인 의사소통역량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사실에서 독일어 문법 수업에서의 텍스트 문법의 활용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텍스트 문법은 일상 언어생활에서의 언어행위가 문어나 구어형식의 텍스트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구두나 문구로 작성된 정보구조체로서 텍스트의 특성 및 지시적 구조 그리고 언어표현수단들의 기능을 주요내용으로 다룬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언어학을 바탕으로 하는 텍스트 문법이, 학습자가 텍스트내의 구조적 그리고 내용적인 연관성을 인지할 수 있게 하여 학습자의 텍스트 수용(Rezeption) 및 산출(Produktion) 등의 행위 중심적 언어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텍스트의 구조적·내용적 지시구조 및 텍스트구성 원칙 및 언어표현수단들의 텍스트 기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Contemporary foreign language lessons enable learners to acquire new language skills and use them creatively through lessons based on the behavior-oriented theory. Furthermore, the language lessons improve the learner"s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and multi-cultural capacity. Grammar lessons in foreign language classes are no longer independent learning objectives, but have become the basic language resources necessary for the learner to express written or orally in a given dialogue context with suitable vocabulary. For example, in the test of "Goethe Zertifikat B1", which can be taken since in 2013, the structure of the text grammar is evaluated as a basic language resource for solving communication problems in writing and speaking. The evaluation of writing and speaking is assessed by four points of view: achievement of given tasks, coherence of writing, grammar and vocabulary. The result are given in grades from A-E, depending on how much grammar errors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xtgrammar and its application in German classes. The textgrammar based on text linguistics enables the learner to recognize the content relevance and structure within the text.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arner"s behavier-oriented language ability such as acceptance and calculation of the text. At first, we will examine the nature of textuality as a content unit of learning in German language education. Secondly, we will introduce text models that represent the theme development in texts such as themes and lemmas as “In-Language Strategies” that express the association of sentences within the text. Our third objective is to examine the language tools used to express the development of topics in text and their functions. This paper will conclude by suggesting some practical exercises related to the textgrammar, which can be used in actual classes to enhance learner’s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비언어 텍스트에 대한 개념적 고찰

        이혜정(李惠貞),최효선(崔孝先)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4

        비언어적 요소나 단서는 인간의 의사소통의 근본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교육을 위한 공간이 온라인으로 확대되면서 교육을 위해 필요한 의사소통에 몸짓이나 표정, 목소리 톤과 같은 전통적인 비언어적 단서나 뉘앙스 제공은 제한되거나 불가능해졌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나타난 것이 비언어 텍스트이다. 비언어 텍스트는 그간 교수?{학습에서 적극적으로 활용을 독려해온 요소라기보다는 기존 언어 문법을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언어파괴의 주범 및 교정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비언어 텍스트를 활용보다는 지양의 대상으로 보아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근본적 개념 고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언어 텍스트의 본질적 속성을 면밀하게 고찰해 보고, 그 속성을 이론적으로 논의하여 개념적 틀을 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논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비언어 텍스트는 ‘말’의 속성인 ‘구술성(orality)’과 ‘글’의 속성인 ‘문자성(literacy)’을 동시에 가지며, 이에 더하여 ‘말과 같은 글’의 속성이 두드러지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2차 문자성(Secondary Literacy)’으로 개념화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념적 확장의 근거를,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결합으로 가능하게 된 비언어 텍스트 구현 매체의 “동시성(synchronousity)”이라는 속성에서 찾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를 ‘글’로 정리된 지식을 ‘말’로 풀어 전달하는 ‘강의’라는 교육의 원형과 연결지어 교수학습의 상호작용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Non-verbal elements and cues are basic components in human communication. However, as the space for educations expands to online environments, non-verbal cues such as gestures or eye-contacts are limited or become impossible. Non-verbal texts appea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ffering non-verbal cues. However, non-verbal texts like emoticons in teaching and learning are not promoted to improve learn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non-verbal text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sing actively in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lassified into orality, literacy, and second literacy with synchronism based on Ong"s suggestion. And then we identified as non-verbal texts have the "secondary literacy" which presents literacy based on the "orality". As technologies are advanced, non-verbal texts with synchronism could appear. The non-verbal text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of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non-verbal text are very important technology in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It is important to design for using non-verbal texts in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

        L1(중국어)과 L2(한국어)에 따른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양상 비교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여-

        이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4 한국언어문화학 Vol.21 No.2

        이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별에 따른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을 때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학습자의 모국어로 된 중국어 텍스트와 제2 언어로 된 한국어 텍스트를 읽어나가는 과정을 시선추적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양상의 차이를 텍스트의 언어와 문화 변인에 따라 비교ㆍ분석하였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L1, L2로 된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은 양상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확인하였다. 첫째, L1, L2 텍스트의 언어 변인에 따른 읽기 양상에서 L1 텍스트는 시청각 양식을 중심으로 한 훑어 읽기, L2 텍스트는 문자 양식을 중심으로 한 꼼꼼하게 읽기의 양상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들이 한국어 고급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L2에 대한 듣기 불안을 갖고 있기에 읽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선이 주로 문자 중심으로 고정되었다는 데에서 알 수 있었다. 둘째, L1, L2 텍스트의 문화 변인에 따른 읽기 양상에서 학습자들이 텍스트 이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상업적 의도를 읽어내는 데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L1, L2 텍스트의 특정 부분을 단서로 삼아 그 단서와 자신의 배경지식 또는 자신의 경험과 결합하여 전체 텍스트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추론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차이에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tterns in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reading dynamic multimodal texts according to language. Specifically, the process of reading Chinese texts in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and Korean texts in their second language was examined in actual time using an eye-tracking devi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spects when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language and cultural variables of the L1 and L2 tex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how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read dynamic multimodal texts in L1 and L2. First, regarding reading patterns following the linguistic variables of L1 and L2 texts, L1 texts showed a pattern of skimming through audiovisual forms, whereas L2 texts demonstrated a pattern of meticulous reading that focused on written forms. This may be because the learners experienced listening anxiety regarding L2 despite their advanced level of Korean; hence, their gazes were mainly focused on letters during the reading process. Second, in the reading patterns of L1 and L2 texts, following cultural variables, learners had difficulty reading the various commercial intentions behind the texts. This emerged from differences in whether learners could use specific parts of L1 and L2 texts as clues and combine those clues with their background knowledge or experiences to infer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entire text.(Ewha Womans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