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공감과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천순미,이경민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emotional expressiveness, parenting attitude and infant's social emotional competency,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infant's social emotional competen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sampled and surveyed 400 infants aged 3-5 years old and mothers of infants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Busan, and the final 341 copies were used as data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final analysis data, the research question was verified by analyzing mediating effects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coefficient calcula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mother's empathy on infa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 it was found that empathic interest in empath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fa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mpathic interest of mother's empath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infant's social emotional competenc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y,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not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finding ways to educate parents considering mothers' empath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in order to enhance children's social emotional competency. It also suggests that various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workshops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mothers' empathy, emotional expression, and parenting attitude. 본 연구는 어머니의 공감, 정서표현성,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공감과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3-5세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400명을 임의표집 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 34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최종분석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계수 산출,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공감이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감의 공감적 관심이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의 하위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어머니 공감의 공감적 관심이 유아의 정서적 유능감과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공감과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어머니 공감과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어머니의 공감, 정서표현성을 고려한 부모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어머니의 공감, 정서표현성 증진과 양육태도 개선을 위한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및 워크샵 등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

        유신복,손원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chool happiness. Also we identified the sub-groups by a cluster analysis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n explored their differences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3 students sampled from eigh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 city and K province. We hypothesized a structural model in that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influenc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onomy, and autonom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ir competence, or relatedness and in turn, thes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influence their school happiness. The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chool happiness in either direct or indirect ways, while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on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chool happiness in terms of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from a cluster analysis suggested that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can also play a positive role for the child’s psychological needs and happi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maternal expressiveness can contribute to their child’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Finally, it was discussed that future work with the person-oriented perspective is needed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arent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ts effects on other psychological trai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크게 두 가지의 방법론이 적용되었다. 먼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 등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한 정서표현성의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정서표현성 프로파일별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D광역시 및 K지역에 위치한 8개 초등학교 5, 6 학년 총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변인 측정을 위하여 자기보고식 형태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지각된 어머니의 긍정 정서표현성은 자녀의 기본심리욕구뿐 아니라 학교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다. 반면 어머니의 부정 정서표현성은 자율성 및 학교행복감에는 부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으나, 자녀의 유능성 및 관계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지각된 어머니의 긍정 또는 부정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자율성-관계성, 자율성-유능성 등 이중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유능성 및 관계성은 긍정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의 관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단순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지각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프로파일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는데, 긍정과 부정 정서표현성이 모두 평균 이상인 집단, 모두 낮은 집단, 또한 둘 중 하나의 정서표현성이 높은 집단 등이었다. 이 중 긍정과 부정 정서표현성이 균형을 이루거나 긍정 정서표현성만 높은 프로파일의 경우가 다른 프로파일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기본심리욕구와 학교행복감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정 정서표현성의 효과와 더불어서 보다 적응적인 형태의 정서표현성 유형을 탐색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준아(Han, Ju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계가 어떠한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증진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하는 3∼5세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11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 양육행 동에 대한 평정은 어머니 보고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내적 합치도,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 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 각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 인은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정적 정서표현성 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이며 어머니의 일관적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 긍정적 정서표현성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애정적, 일관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애정적, 거부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어머니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는 거부적, 과보호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parenting behavior of preschooler s mother with mother s self-esteem,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 s self-esteem,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114 mothers of preschoolers from four day care center and one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ot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ir parenting behavior, self-esteem,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arenting stres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mother s self-esteem,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2)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maternal expressiveness, mother s self-esteem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warmth. Maternal negative expressiveness, maternal parenting stress, mother s low self-esteem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rejection. Maternal parenting stress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overprotection. Maternal expressiveness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consistency.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이 만 2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효선,정미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이 만 2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정서환경 구성방안과 정서조절능력 발달을 지원할 수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2세 영아 308명과 담임교사 96명으로, 교사가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을 평가하고, 어머니가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을 평정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홍계옥(1995)이 26문항으로 번안ㆍ수정한 IPBI(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Mother Form: Crase, Clark & Pease, 1978)를 영아용으로 수정한 김현(200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서혜린이(2007)이 수정한 Halberstadt(1986)의 SELF-Expressivenessin the Family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은 김주영(2011)이 개발한 30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으로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증, Pearson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전체와 하위영역 중 정서관리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합리적 지도, 정서표현성 전체와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일부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합리적 지도는 영아의 정서관리와 정서조절능력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은 영아의 정서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영아의 정서조절능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어머니합리적 양육행동이 중요하며,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이 주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양육 실제를 제공할 수 있는 부모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김수연,김상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과 유아의 자기표현력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만 4, 5세 유아와 그의 어머니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통해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은 유아의 자기표현력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어머니의긍정적 정서표현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영향에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이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표현성이 낮아져 유아의 자기표현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와 어머니와의 조화적합성을 해석할 때 영아기와는 다른 상황과 맥락이 있음을발견하였으며 향후 관련 연구 및 양육에 대한 실제에 있어 유아기 자기표현을 위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학문적이며교육적인 논의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mother goodness of fit and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n young children’s self-assertiveness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o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mother goodness of fit and young children’s self-assertivenes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12 4,5-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young children-mother goodness of fit on the young children’s self-assertive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of the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to the effect of young children-mother goodness of fit on the young children’s self-assertiveness was conducted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4. Results First young children-mother goodness of fi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self-assertiveness, and young children-mother goodness of fi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the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young children-mother goodness of fit on the young children’s self-assertiveness.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young children-mother goodness of fit, the lower the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whiich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self-assertiveness. Thus, this study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t circumstances and contexts for interpreting goodness of fit in young children compared to in infant. and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material that can activate scholarly and educational discussions regarding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mother for the self-assertiveness of young children in future related research and practical parenting contexts.

      • KCI등재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 변인: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 양식

        정윤경,박보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4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retrospecte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s a developmental correlate of their off-spring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For these ends, 547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aries including EEQ, AEQ, and retrospected SEFQ of their m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ir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are highly correlated to their retrospection of their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When they retrospect that their mother's expression of positive emotion was high, their positive and intimate emotional expression are high and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low. When they report that their mother' expression is low both in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they were also low in their emotional expression and most high in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본 연구는 개인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요인으로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547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정서 표현성, 정서표현양가성과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을 조사하여 그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정서 표현 정도는 자녀의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과 높은 관련을 맺음이 드러났다.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 표현이 높을수록 자녀의 친밀 정서와 긍정적 정서의 표현 수준은 높고 정서표현양가성은 낮았다.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 표현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긍정적 정서 표현 수준은 낮으며 정서표현양가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고된 어머니의 긍정적, 부정적 정서 표현 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구별된 네 군집(긍정상-부정하, 긍정상-부정중간, 긍정하-부정하, 긍정하-부정상) 간의 정서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긍정이 높은 두 집단의 자녀들이 긍정이 낮은 두 집단보다 낮은 정서표현양가성과 높은 긍정적, 친밀 정서 표현을 나타냈다.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

        이양순,정영숙,이기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06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2 No.1

        어머니의 정서환경은 유아에게 지속적이고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과 밀접한 상관이 있을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또래유능성간의 상호관계를 밝히고,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어머니의 바람직한 정서환경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충주시의 유아교육기관 만4∼6세 유아 361명과 그의 어머니 36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또래 유능성을 질문지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통계처리를 위해 SPSS/WIN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어머니의 학력과 가계 수입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성별, 연령에 따라, 또래유능성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는데, 어머니가 긍정적인 정서표현, 약한-부정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능력의 하위변인인 자기결정과 행동억제는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강한-부정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정서성이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표현성과 약한-부정 정서표현이 많을수록 유아의 또래유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조절 능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발달에 도움을 주는 어머니의 정서환경에 긍정적인 정서표현과 함께 약한-부정 정서표현의 영향을 밝혔으므로, 긍정적인 정서표현과 람께 부정적 정서표현이 바람직한 형태로 부모의 정서교육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및 언어통제 유형에 따론 유아의 정서지능

        남현정(Nam Hyun-Jung),서현아(Seo Hyun-Ah)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인문학논총 Vol.13 No.2

        본 연구는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언어통제유형, 유아의 정서지능이 어떠하며,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8군데에 다니는 만 4세, 만 5세 유아 320명과 유아의 어머니 320명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Window용 SPSS 12.0 통계 프로그랩을 사용하여 t-검증 및 F-검증,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어머니의 취업여부, 가정의 월수입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은 어머니의 연령, 어머니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취업여부, 가정의 월수입,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은 정서 지능 4개의 하위요인 중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Verbal Control Style according to background of social population, and tells how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s affected by Mother's Emotional Expressi veness and Verbal Control Style.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1. Mother's Emotional Positive Expressivenes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social population, differs statistically to mother’s age. Maternal Verbal Control Style according to background of social population differs to mother's job, monthly income. Mothers, without job was appeared to use humanity-directed language in many way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background of social population differs as mother’s job, their age, an educational standard, monthly income, and infant’s sex distinction. 2. There is no difference i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Mother’s Emotional Positive Expressiveness. 3.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Maternal Verbal Control Style differs to only Self-regula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전효진(Hyo-jin Jeon),문혁준(Hyuk-jun M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18곳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 307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질문지 방법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히하였다. 또한 측정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어머니의 놀이신념, 유아의 놀이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하위요인이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중 긍정적 정서표현과 어머니의 놀이신념 중 놀이지지 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및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해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유아의 놀이성 증진을 위해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 증진, 어머니의 놀이신념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lay belief affect child’s playfulnes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7 mothers with children in 18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surveys, using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Result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child's playfulness sub-factors appeared. And result of the study,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play belief affect to overall child’s playfulness. Conclusions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considering the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play belief on child's playfulness.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child's playfulness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play belief.

      • KCI등재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 및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손현주(Hyeonju Son),김희화(Heehw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1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성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한 어머 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와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유아의 놀이성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모교육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 248명과 그들의 어머니,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부 정적 정서성은 유아의 놀이성,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유아 의 놀이성은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성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정서성이 높은 유아의 놀이성이 낮아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자녀가 표현하는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적 태도가 중요하 고 평소 어머니가 긍정적인 정서를 더욱 많이 표현하려는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primarily aime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layfulness. It aimed to provide parent education materials. Data were gathered from questionnaires for three- and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N=248)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playfulness and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Children’s playful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mothers’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layfulness. Third,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layfulness. This suggests that mother’s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re important to prevent a decrease in playfulness of children with high negative emo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