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경 히브리어 동사 체계 내에서의 발화수반행위 이론과 양태성 개념에 기초한 텍스트의 기능에 대한 소고

        장성길(박사) ( Sung Gil J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0 성경과신학 Vol.54 No.-

        텍스트의 의미를 찾는 데 있어서 성경 히브리어 동사체계와 그 기능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본 논문은 히브리어 동사체계 내에서 yiqtol과 weqatal유형의 동사들이 구약 성경 텍스트 상에서 무슨 기능을 하는지를 규명해 내는 데 있다. 히브리어 동사 체계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과 비교했을 때, 본연구는 하나의 문법적 현상으로서 시제나 상의 관점보다는 양태 개념에 논의의 초점이 있다. 그러나 이 말은 필자가 시제나 상의 중요성을 간과한다는 의미가 결코 아니다. 무엇보다 성경 히브리어의 yiqtol과 weqatal 동사들의 주기능을 밝히려면 양태 개념이 필수적이라는 말이다. 일찍이 일반 언어학계에서는 양태를 두 가지 서로 다른 범주(인식 양태와 의무 양태)로 구분하였다. 인식 양태는 주어진 명제가 참인지 아닌지 그리고 그 명제의 사실성에 대한 화자의 시각과 가치 판단을 비쳐준다. 반면에 의무 양태는 지식이나 정보의 사실성보다는 행위자의 개인적인 동작 수행에 초점이 있다. 한편, 필자는 히브리어 동사 체계의 기능에 대한 우리의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또 하나의 언어분석 장치인 화행 이론을 도입하고자 한다. 화행이론은 언어철학자 오스틴(Austin)과 그의 제자 설(Searle)에 의해 체계화된 언어 철학 개념이다. 오스틴은 모든 발화는 본질적으로 수행적이라는 생각에서 언어 행위를 세 가지 범주(발화 행위, 발화수반 행위, 발화수단 행위)로 구분하였다. 화행 이론의 핵심 원리는 이것이다. 화자는 발화시에 명제 내용과 함께 화수력을 통하여 자신의 의도를 전달한다는 가설이다. 설에 의하면 각각의 발화 행위는 언어 사용에 있어서 주장, 약속, 지시, 표현, 또는 선언행위와 같은 화수점들을 갖고 있다는 이론이다. 그런데 필자가 화행 이론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발화수반행위이론이 양태성 개념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사실에서다. 이러한 이론적 바탕 위에서 히브리어 동사 체계의 기능은 언어의 문법적 현상인 양태와 화수력을 통하여 설명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즉, 성경 히브리어의 동사 체계 내에서 yiqtol과 weqatal 동사들의 주 기능이 양태의 속성을 나타내는 데 있음을 알게 된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하여 우리는 화자의 발화 의도와 텍스트의 기능을 좀 더 분명하게 설명해 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describe a new system of textual analysis of yiqtol and weqatal in Biblical Hebrew verbal system(BHVS). What distinguishes it from previous studies is that the intention is not on the grammatical concepts of tense and aspect but that of modality. I am also agreed significance of tense and aspect in BHVS. However, the reason I have focused on modality is that modality is a key device to explain functions of yiqtol and weqatal in BHVS. In general linguistics, modality system can be illustrated by two different categories: deontic and epistemic modality. Epistemic modality is concerned with the speaker’s attitude to factual status of the proposition. By contrast, deontic modality relates to the speaker’s internal ability or personal activity. In this respect, recently some Biblical Hebrew linguists suggest that deontic modality is expressed by the verbal forms of yiqtol and weqatal. In order to set this study, however, another linguistic device is primarily necessary. That is speech act theory which focuses on the character of actions of performative utterances. Speech act theory has its roots in J.A. Austin’s and J. Searle’s philosophy of language. In speech act theory all utterances are performative in nature. According to Austin, there are three distinctive component acts: locutionary act, illocutionary act, and perlocutionary act. In this category, a fundamental idea is that in utterances speaker makes his intention as propositional contents with a certain illocutionary force. According to Searle, individual utterances have primary illocutionary points of language use, such as assertive, commissive, directive, expressive, and declarative. So, my hypothesis is that these illocutionary acts are deeply connected with a grammatical concept of modality in Biblical Hebrew. As I mentioned above, the main function of yiqtol and weqatal verbs in BHVS is to describe the character of modality. On this basis, we can interpret the speaker’s intention and textual function of yiqtol and weqatal verbs in Biblical Hebrew.

      • KCI등재후보

        『시편촬요(詩篇撮要)』(1898) 내의 양태어미와 3종 19세기 중국어역 성경 「시편」의 양태동사 비교연구 - 『신구약전서(新舊約全書)·시편』(1862) 중 ‘宜’와의 대응을 중심으로 -

        한경호 진단학회 2017 진단학보 Vol.- No.129

        『시편촬요』는 러시아 출신의 유대인인 알렉산더 피터스(Alexander Albert Peters. 1871~1958)가 구약성경의 한 권인 「시편」의 총 150편 중 축복편인 62편만을 선역(選譯)하였으되, 구약성경의 한국어 번역한 서적으로서는 첫 자료가 되는 문헌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시편촬요』가 특히나 중국어역 성경 영향을 어떻게 받았는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신구약전서』에 나타난 중국어의 양태동사(modal verb) ‘宜’와 대응되는 『시편촬요』의 양태어미 및 나머지 2종의 중국어역 성경에 보이는 양태동사, 및 KJV와 히브리어 원서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고에서는 이하와 같은 면을 발견하게 되었다. 중국어 기준으로 ‘개연성’과 ‘당위양태’ 중의 ‘지시 & 결의’란 특성을 중심으로 지녔던 『신구약전서』의 ‘宜’와 대응된 『시편촬요』의 양태어미는 ‘명령’과 ‘청유’를 나타낸 양태어미와 대응되었다. 또한 그 중에서 『신구약전서』의 ‘宜’와 가장 많은 대응을 보인 양태어미는 ‘-ㄹ 지어다’로서, 이종(異種) 중국어역 성경에서 대응된 어휘와 비교하였을 때에도, ‘-ㄹ 지어다’와 가장 많이 대응되는 중국어의 양태동사는 『신구약전서』의 ‘宜’였다. 마지막으로는 『시편촬요』의 양태어미와 중국어역 성경의 ‘양태’를 체계적으로 대조하려면, ‘-ㄹ 지어다’나 ‘-쇼셔’ 등과 대응되는 중국어역 성경의 어휘를 고찰해야 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의무 양태 동사‘득(得)’의 변별적 기능에 관한 연구

        박재승 ( Park Jae-seumg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2 No.-

        본 논문은 ‘의무 양태 범주’의 구성원 중 하나인 ‘得’의 변별적 기능에 대한 연구이다. 논문의 제목을 그냥 ‘기능 연구’가 아닌 ‘변별적 기능’으로 명명한 이유는 ‘得’가 ‘必鬚’나 ‘應該’에 상대적으로 의무 양태 범주에서 기능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고는 크게 세 개의 소주제로 구성이 되어있는 데, 첫 번째는 ‘得’가 ‘화자 지향적 양태(주관성)’ 인지 ‘규칙 지향적 양태(객관성)’인지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得’는 ‘공감 요청 표지’이며, 화자의 의견 제시가 우선 된다는 점에선 ‘주관성’을 기반으로 한 개념이지만, 의무의 생성이 화자 내부에서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청자의 동의를 구한다는 점에선 ‘객관성’인 측면도 존재하는 ‘하이브리드 형’ 의무 양태 동사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정확한 기능 분석을 위해선 ‘화자 기준’분석뿐만 아니라, ‘청자 기준’ 분석도 함께 진행해야만 했다. 본고는 ‘必鬚, 要, 應該’와의 일대일 내적 대조를 진행하여 ‘得’의 변별적 기능을 도출하였다. 내적 대조에서 중점을 둔 점은 ‘화자 지향적 양태’와 ‘규칙 지향적 양태’가 ‘절대적인 기준’에 의해 대별되어지는 것이 아닌 ‘상대적인 기준’을 근거로 하여 정해지는 개념임을 밝혔다. 두 번째는 ‘공기 성분 분석’에 따른 ‘得’의 변별적 기능을 도출해내었다. 의무 양태 동사가 ‘可能’과 같은 ‘[+추측]어휘’와 공기가 가능하기 위해선 화자가 특정 행위의 필요성에 대해서 ‘강압’ 보단 ‘유보’와 같은 ‘모호한 입장’이어야만 한다. 이러한 [+추측]성분이 나타내는 모호성은 청자의 부담감을 경감시켜서, 의무의 필요성에 대하여 청자가 공감을 나타낼 수 있는 화용적인 공간을 화자가 제공해준 것이다. 또한 ‘공감 요청 표지’인 ‘得’는 ‘공손함’이라는 화용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이러한 ‘得’에 ‘필연의 인식 양태 동사’인 ‘一定, 肯定, 必定’ 등을 사용하게 되면, 청자에 대한 ‘공손함’을 유지한 상태에서 ‘必鬚’와 같은 행위 요구가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동사구가 [+부정적 의미]를 담고 있을 경우에 화자는 행위를 제어할 수 없으며, 때문에 ‘의무 양태’를 나타낼 수가 없게 된다. 이러한 ‘得’를 ‘非양태적 표현’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要’와의 치환 가능 여부를 통해 ‘得’의 ‘양태적 표현’과 ‘非양태적 표현’을 검증하였고, 이 경우에 주어 인칭에 따른 양태 의미의 차이도 아울러 밝혔다. This paper describes the function analysis of the obligation modality verb ‘得(dei)’. Based on “the obligatory reference point”, we developed the method of analyzing the distinctive functions of ‘得(dei)’ in each functional category. First, the obligatory reference point of ‘得(dei)’ begins with obligations within the speaker, but is completed through empathy with the audience. For this reason, 'dei' is equipped with a modal verb function that combines the speaker's subjective obligatory and politeness. Second, because the speaker 's attitude is not ‘convincing’, it collocates with the ‘guessing meaning vocabulary’. We can control the degree of compulsion through adverbs while maintaining a polite attitude. Third, ‘得(dei)’ was replaced with ‘要(yao)’, and the sentence was established as ‘modal expression’, while the sentence was not established as ‘non-modal expression’. ‘Non-modal expression’ means that the actor can not control the action and the speaker can not intervene in the proposition.

      • KCI등재

        현대중국어 양태동사 ‘可以’에 관한 연구

        박재승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6 No.-

        본고는 양태 동사‘可以’의 핵심기능을 원형범주론에 입각하여 추출하고, 각 양태 범주에서핵심 기능을 기반으로 한 ‘可以’만의 변별적인 기능을 분석하였다. 능력양태범주에서 ‘可以’는‘극복 가능한 최대치’이기에 정도부사와 공기할 수 없으며, 청자 관점에 대한 반박과 더불어예측 불가능한 개별적인 정보 표현에 사용되었다. 구속양태범주에서 ‘可以’의 무표적 기능은‘허가 양태’이고, 특정한 맥락에서만 ‘의무 양태’로 기능하게 된다. 아울러 ‘可以’는 의무 양태의 구성원이기에 화자가 ‘장애 형성의 주체’로서 역할하게 하지만, ‘화제-평언 구조’와 관련된‘值得’는 이러한 장애 개념과 무관하다. 인식 양태 범주에서 ‘可以’는 ‘특정사건과 관련된 경우’ 는 ‘인식 양태’이다. 특정 사건 실현과 관련이 없는 경우는 주어의 인칭과 동작의 수혜대상 유무에 따라 양태가 달라지는 데, 2․3인칭 주어문에선 동작의 수혜대상이 있을 경우엔 ‘인식양태’이지만, 동작의 수혜 대상이 없을 경우엔 ‘능력 양태(동적 양태의 하위 범주)’이다. 1인칭주어문의 경우엔 만약 동작의 수혜대상이 있는 경우는 ‘의무양태 범주(공약 양태 범주)’으로, 동작의 수혜대상이 없는 경우는 ‘동적 양태 범주(능력 양태 범주)’로 분류해야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functional analysis of ‘Keyi(可以)’. In this paper, we extract the core functions of ‘Keyi(可以)’, Based on these core functions, we developed the method of analyzing the distinctive functions of ‘Keyi(可以)’ in each functional category. The core function of ‘Keyi(可以)’ is ‘recognition and elimination of disability’, and this core function gives distinctive function to ‘Keyi(可以)’ in each functional category. First, ‘Keyi(可以)’ in the dynamic modality category has the following distinctive functions. 1) Because it is the maximum value of the ability to overcome, it is impossible to collocate with degree adverb. 2) It contains the meaning of refutation to the audience viewpoint. 3) Unpredictable information that is not universal and is used to convey individual experience-based information. Second, ‘Keyi(可以)’ in the deontic modality category has the following distinctive functions. 1) The unmarked function of ‘可以’ is the ‘permission modal category’, and the ‘deontic modal catagory’ is the marked function expressed in the specific context. The role of the speaker changes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keyi’. In the ‘permission function’, ‘speaker’ is a ‘disability eliminator’, but when it is ‘deontic function’, it plays a role as ‘disability creator’. 2) In the previous research, ‘deontic function of keyi’ and ‘zhide’ were treated as the same functional language. In this paper, I analyzed their functional differences. 3) The ironic syntactic meaning is ‘forbidden’, and ‘forbidden’ is a ‘deontic modal catagory’ because the speaker is a ‘disability creator’. On the other hand, in ‘concessive clause’, ‘keyi’ is ‘hypothesis about the extreme situation’ and ‘the maximum value that can be overcome’, so the role of speaker should also be regarded as ‘permission modal catagory’. third, ‘Keyi(可以)’ in the epistemic modality, ‘keyi’ has the following distinguishing features. 1) In the case of ‘epistemic modality category’, it is ‘the speaker's guess about the realization of a certain event’. On the other hand, case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specific events can be divided into ‘dynamic modality category’ and ‘deontic modality category’. If there is no beneficiary of the action, it is a ‘dynamic modality category’, and if there are beneficiaries of the action, it is a ‘deontic modality category’. In fact,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modal verbs has already been completed in the previous research stage. However, research based on recognition semantics is still in its infancy, It can be said that the field of research has been made in order to have an interpretive power. I will try to reveal the part of this article which has not been clarified in the following study.

      • KCI등재

        한국어 보조동사 ‘내다’의 중국어 대응양상 비교연구

        유창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75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보조동사 '내다'와 중국어 표현의 대응 양상을 분석하고 대조하는 데에 있다. 우선 보조동사인 ‘내다’의 ‘종결'을 나타난 상 의미와 '관철, 어려움이 극복, 주어 의지, 화자의 기대 부응'의 양태의미를 고찰하였다. 보조동사 ‘내다’를 중심으로 문맥에 따라 '내다' 앞에 붙이는 본동사가 형용사와 결합할 수 없으며, 상태성 동사와 자동사 등의 결합도 제한이 된다. 다만 일부 타동사와 결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동사 ‘내다’와 결합하는 동사들 '창조, 이동, 획득, 제거, 상태변화, 상태지속'의 6가지의 하위분류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객관성을 보장하기를 위해 본고의 자료 수집은 한국은 ‘조선일보’ 및 ‘동아일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판 기사를 대상으로 6개월간의 신문기사로 했다. 한·중 대조 기사에서 나타난 '본동사+내다'의 보조동사 구조만 선정하였고 복합동사와 복합서술어를 제외하였다. 마지막 보조동사 '내다'와 결합하는 본동사의 6가지의 하위분류에 따라 기사에서 나온 보조동사 '내다'의 예문을 제시하며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을 살펴보았다. 첫째, ‘창조류 동사+내다’에서 ‘내다’는 방향보어 ‘出(來)', 결과보어 ‘'成’과 대응한다. 둘째, '획득류 동사+내다’에서 ‘내다’는 방향보어 ‘出(來), 起(來),上’, 결과보어 ‘到, 住,掉’와 대응한다. 셋째, ‘이동류 동사+내다’에서 ‘내다’는 방향보어 ‘出(來), 开'와 대응한다. 넷째, ‘제거류 동사+내다’에서 ‘내다’는 방향보어 ‘出(来), 下来’, 결과보어 '掉, 除'와 대응한다. 다섯째, ‘상태변화류 동사+내다’에서 ‘내다’는 방향보어 '出(来), 过来', 결과보어 '成'과 대응한다. 여섯째, ‘상태 지속류 동사’와 결합하는 '내다'는 방향보어 '下来,下去', 결과보어 '住’, 시태조사 '着'과 대응한다. 서술한 연구 과정을 통해 한국어 보조동사 '내다'와 중국어의 대응양상을 밝히면서 중국인 한국어를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양태 표현을 활용한 감성분석

        장지원(Jang Ji-won),김지은(Kim Jee-Eun)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7 영미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감성어를 포함하고 있는 영어 문장의 극성값에 영향을 미치는 양태 표현들을 감성분석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분석하고 분류한다. 양태 표현은 화자가 취하는 다양한 의미론적 태도를 드러내는 문법적 요소이다. 양태 특유의 속성상 양태화된 문장의 의미는 정확히 해석하기가 쉽지 않고 양태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감정가치 또한 정확히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양태 표현이 문장에서 화자의 감성을 표현·해석하는 데 핵심적 방법이자 단서가 되므로 감성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양태 표현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작업은 감성분석의 중요한 연구과제일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분석의 정확 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영화 리뷰 데이터에서 양태 표현을 포함하고 있는 문장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류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양태동사를 포함하고 있는 표현의 유형, 문장 내의 문맥 구성요소, 계산된 극성값 등을 기준으로 양태 표현을 분류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양태 표현들을 분석했을 뿐 아니라 이를 포함하고 있는 문장의 극성값을 판단하여 감성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감성분석 시스템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This research presents a classification of English modal expressions which affect polarity values in sentiment analysis. Modality, commonly encountered in sentences, conveys various semantic attitudes of a speaker. Because of its special characteristics, the meaning of a modalized sentence is challenging to be correctly interpreted. The sentiment expressed with modal expressions is also difficult to evaluate.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in evaluating sentiment values, modal expressions are collected from movie reviews and analyzed with selected linguistic cues to classify. The classification includes the expressions, its contextual components to co-occur, and the resulting sentiment value. Since it also lists up the classes which have not been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performance improvement of a sentiment analysis system.

      • KCI등재

        중국어 동사복사문의 문형에 따른 한국어 대응 관계 고찰 - 상태보어와 결과보어를 수반한 문형을 중심으로

        尹翡翠(Beach Yoon) 중국어문논역학회 2021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48

        본고에서는 동사복사문을 하나의 독립된 문형으로 보고 SVOV"C 문형의 의미기능에 따른 한국어 대응 관계를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동사복사문의 문형은 초래의미, 능동의미, 양태의미를 나타내며, 중국어 동사복사문과 한국어의 대응 양상이 완전히 규칙적이지는 않았다. 먼저, 상태보어를 수반한 동사복사문의 문형 중에서 [+평가]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 한국어는 주로 부사어의 수식을 받는 홀문장으로 표현되며 동사복사문의 중복 동사와 대응되는 한국어의 부사형어미는 생략되었다. 다음으로, 동사복사문에서 결과보어를 수반하거나 상태보어를 수반하여 [+묘사]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 한국어는 주로 부사절로 이어진 문장의 겹문장으로 표현되며 동사복사문의 중복 동사는 한국어의 부사형어미와 대응되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Verb-copying Sentence as an Independent Sentence Pattern and examines the Korean Correspondenc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Sentence Patterns of the SVOV"C Sentence Patter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ttern of Verb-copying Sentence express Causative Meaning, Active Meaning and Modality Meaning. and I confirmed that the Correspondence Pattern of Verb-copying Sentence between the Chinese and Korean was not completely regular. First, in the case which the Meaning of [+evaluation] is indicated in the Sentence Pattern of Verb-copying Sentence correspond to Korean Single Sentence with a Adverb. and I confirmed that V" in Verb-copying Sentence correspond to Korean Subordinate Connective ending is ommited. Second, in the case which the Meaning of [+description] is indicated with the Result Complement or the Status Complement in Verb-copying Sentence, the Korean was mainly expressed as a Sentence with a Adverbial Clause included as a Double Sentence of Consecutive Sentences. and I confirmed that V" in Verb-copying Sentence correspond to Subordinate Connective ending of Korean.

      • KCI등재

        현대중국어 동사복사문의 양태 의미 연구

        윤비취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0 中國硏究 Vol.83 No.-

        According to this point, this paper consider to Independent Construction. and tried to consider 'S+V1+O+V2+C' Structural features and Modality Meaning.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In the first, the Verb-copying Construction is not to express Special act, but represent an event. I confirmed that the whole sentence serves as a Noun phrase. Second, I confirmed that 'V1' limited verb's activity, and has the 'stagnant' in the 'S+V1+O+V2+C' Structure. On the other hand, 'V2' has the verb's 'activity'. And third, I tried to analyze the Verb-copying Sentence in relation to 'Modality', which represent a speaker's subjective attitude. As a result, the Verb-copying Sentence was related to the Modality of 'Certainty' or 'Probability' in Proposition. 본고에서는 동사복사문을 하나의 독립된 구조로 보고, 'S+V1+O+V2+C' 문형의 특징과 양태 의미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사복사구은 특정 동작 행위를 나타내려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건을 나타내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즉, 전체 문장은 하나의 명사구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S+V1+O+V2+C' 문형에서 'V1'은 동사의 동작성이 제한되어 '정태성'을 가진다. 반면에 'V2'는 술어의 '동태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동사복사구을 화자의 주관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양태'와 관련지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사복사구은 명제에 대한 '확실성' 또는 '개연성'을 나타내는 양태와 관련이 있었다.

      • KCI등재

        한국어 복합 이동동사 [V1+아/어+V2{가다/오다}]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 합성 유형

        김효진(Kim Hyo-jin) 한글학회 2015 한글 Vol.- No.309

        본고는 V1과 V2{가다/오다}가 결합하여 복합 이동동사를 이룰 때, 두 동사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가 어떠한 방식으로 합성되는지를 유형별로 나누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합 이동동사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의 합성 유형은 병렬적 합성 유형, 통합적 합성 유형, 혼합적 합성 유형/비통합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병렬적 합성 유형은 V1과 V2{가다/오다}가 결합할때, 각기 가지고 있던 논항 또는 하위 사건을 모두 포괄하여 나란히 합성시키는 유형이다. V1은 V2{가다/오다}와 결합하면서 착점/방향 논항을 도입하게 되는데 그렇게 도입된 논항은 사건 구조 내에 <BE-AT >라는 결과 상태가 포함된 하위 사건으로 표상된다. 통합적 합성 유형은 V1과 V2{가다/오다}가 동일한 속성의 논항을 취할 수 있는 경우로, 두 동사가 결합할 때 그 두 논항들이 하나로 통합된다. 이때 V1의 논항 구조는 V2와 결합한 이후에도 동일하게 유지된다. 사건 구조에서는 V1과 V2가 각각의 하위 사건 내에 가지고 있던 결과 상태들이 하나의 결과 상태로 합성된다. 마지막으로 혼합적 합성 유형/비통합 유형에는 V1이 취하는 논항이나 V1의 하위 사건이 복합 이동동사의 논항 구조나 사건 구조 내에서는 허용되지 않거나 반대로 V1에 의해 허용되지 않던 논항이 복합 이동동사의 논항 구조나 사건 구조 내에서는 허용되는 경우들이 해당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composition types of complex movement verbs in Korean according to their argument and event structures. This paper especially focuses on the complex movement verbs consisting of a sequence of two verbs, V1 and V2{gada/oda}. In this paper, the composition typ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ummation Type, Unification Type, and Heterogeneous/Nonintegrated Type. First, in Summation Type, the arguments and subevents of the two verbs are summed in parallel. The Goal/Direction argument, which is introduced by V2, is represented as the result-state subevent (i.e. <BE-AT___>) in the event structure of the complex movement verb. In Unification Type, both verbs take arguments which have similar properties. The argument structure of V1 remains the same even after the combination takes place. In the event structure, two result-states, which are included in the subevent of V1 and V2 before their combination, are unified into one. Finally, Heterogeneous/Non-integrated Type includes the cases in which the argument or subevent of V1 cannot appear in the argument or event structure of the complex movement verb. Heterogeneous/Non-integrated Type also includes the cases that the argument which cannot be introduced by V1 can be realized in the argument or event structure of the complex movement verb.

      • KCI등재후보

        성경 히브리어 동사형태 연구

        우상혁(Woo, Sang-Hyuk) 개혁신학회 2011 개혁논총 Vol.17 No.-

        성경 히브리어 동사체계에 대한 연구는 오래 전부터 있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였다. 앞으로 이 분야는 계속 연구되어야 한다. 성경 히브리어 동사체계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이해하고 앞으로 발전된 연구를 위하여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본적 문법 범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동사체계 논의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문법 범주는 바로 상, 시제, 양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이후 활발하게 논의된 연구결과과 그 과정을 이 세 개념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지금까지 지배적 역할을 하였던 것은 19세기 이후 시작된 에발트와 드라이브의 상 이론이었다. 하지만 오늘날은 상 이론 자체도 많이 발전하였을 뿐 아니라, 일반 언어학의 도움으로 시제와 양태 역시 성경 히브리어 동사체계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성경 본문의 구체적 예와 역사적 발전 과정을 통하여 상과 시제, 양태가 동사형태에 내장된 정보를 읽는 문법적 도구임을 보여준다.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grammatical categories such as aspect, tense and modality explored in the field of biblical hebrew, specially concerning verbal system. In the middle age a jewish circle considered that the verbal system of biblical hebrew was a tense system. Since Ewald and Driver in the 19th century, a theory of aspect which was the dominant one among scholars regards the verbal system as perfect vs. imperfect. According to Ewald and Driver, the perfect describes an event as complete and the imperfect as incomplete, irrespective of temporal frame. But now the aspect theory of the 19th century h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new aspect theory which also has a binary concept, perfective vs. imperfective, the perfective looks at the situation from outside, without necessarily distinguishing any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ituation, whereas the imperfective looks at the situation from inside. And a tense theory has also evolved in comparison to the tense theory of the jewish in the middle age. The tense system involves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temporal points: that of the speech (S), the event (E), and the reference of point (R). In a tense system, R may or may not coincide with S. R may be past to the speaker (R<S), it may be simultaneous (R=S), or it may be future (R>S). In this manner, a tense does not situate a process in time, but rather orders it relative to a point of reference as Binnick observes. Modality is generally defined as involving the speaker’s attitude or opinion toward an utterance. There are two kind of Modality: epistemic and deontic. Currently, aspect, tense and modality operates in relationship with one another. Deontic modality involves the speaker’s will, whereas epistemic modality the speaker’s judgment. The definitions of three categories introduced in this paper might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an actual debates among scholars and our research can help the exegete, the predicator and translator of the Old Testa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