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양육방식이 청소년 자녀의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아(Jeongah Ki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3 창의력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방식이 자율성 지각을 매개로 청소년 자녀의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8차년도(고2)와 9차년도(고3) 5,286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모 양육방식의 하위 집단을 구분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양육방식 유형을 바탕으로 집단 간 차이 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양육방식은 평균 양육방식, 방임적 양육방식, 권위주의적 양육방식, 구조화된 양육방식, 민주적 양육방식으로 구분되었고, 이 중 민주적 양육방식을 경험한 청소년 자녀의 창의적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방임적 양육방식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한 청소년 자녀의 창의적 태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녀의 창의적 태도 간의 관계를 자율성 지각이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민주적 양육방식을 경험할 때, 청소년 자녀는 더 높은 자율성을 보고하였고, 이는 높은 창의적 태도로 이어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adolescents' creative attitude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perceived autonomy.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on 5,286 data from the 8th and 9th Gyeonggi Education Panel Research (GEPS) to identify specific parenting styles. Then, ANOVA and mediat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styles on creative attitudes. The study identified five parenting styles: average parenting, indifferent parenting, authoritarian parenting, systematic parenting, and authoritarian parenting. Adolescents with authoritative parents had the highest levels of creative attitudes, while those with indifferent parents had the lowest. The study found that adolescents' perceptions of autonom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their creative attitudes. Specifically, th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fostered adolescents' sense of autonomy, leading to more creative attitudes. With regards to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아버지의 우울과 부부관계 및 자녀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진영,김진희,김영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아버지의 우울과 부부관계 및 자녀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경로 를 알아보고, 가족체계 내에서 유아의 문제행동을 경감시킬 수 있는 예방책을 탐색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청주시와 영동군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각 6곳에 다니는 만 3,4,5세 아버지 563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아버지의 우울은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 양육방식과 부정적 양육방식을 통하여 외현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관계는 긍정적 양육방식을 통하여 외현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아버지의 우울은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양육방식을 통하여 외현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관계는 긍정적 양육방식을 통하여 외현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의 경우 아버지의 우울은 내면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 양육방식을 통하여 내면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관계는 긍정적 양육방식을 통해 내면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의 경우 아버지의 우울은 내면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양육방식을 통해 내면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관계는 긍정적 양육방식을 통하여 내면화 문제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paternal depression, marital relationship, and parenting style on problem behaviors in Young childre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3 fathers who had 3-5 aged children attending 6 kindergartens and 6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Cheongju city.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Cronbach’s α, Pearson’s correlation through using SPSS 12.0 program, and path model was analyzed by using AMOS 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boy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paternal depression appeared have a 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an in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styles. Father’s marital relationship had an in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positive parenting style. Second, for boy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Paternal depression appeared have a 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an in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positive parenting style. Father’s marital relationship had an in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positive parenting style. Third, in the case of girl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paternal depression appeared to have a 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an in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negative parenting style. Father’s marital relationship had an indirect effect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positive parenting style. Fourth, in the case of girl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paternal depression appeared to have a direct effect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an indirect effect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negative parenting style. Father’s marital relationship had an indirect effect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ough positive parenting style.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양육주체와 방식의 효과연구

        임성택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3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family structural incompleteness and parenting styles on social development of adolescence. The study assumed that parenting styles, which are functional aspects of family environments, are likely to have mor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adolescents' social development than family structural incompleteness. 85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arly adolescence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asking about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parenting styles, and family structures. As expected, parenting styles had much mor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adolescents' social development than family incompleteness. Especially, family structural incompleteness did not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dolescents' sociability when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parenting styles. Adolescents had higher sociability in warm and domineering parenting styles rather than cold and permissive ones. All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for child rearing practice and policy. 본 연구는 청소년의 양육주체와 양육방식 각각이 그들의 사회성 발달과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비교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남부지역에 위치한 중소도시와 농어촌지역의 초기 청소년 758명이 이 연구의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사회성’, ‘양육주체’, ‘양육방식’을 알아보기 위한 척도와 문항이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양육방식은 양육주체에 비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과 더 밀접한 관련성을 가졌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성에 대한 양육주체와 양육방식의 공통 설명력은 미미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사회성에 대한 ‘수용적 양육방식’과 ‘허용적 양육방식’의 관계방식은 서로 달랐다. 즉, 수용적인 양육방식이 두드러질수록 청소년의 사회성은 높았으며, 반대로 허용적 양육방식이 두드러질수록 사회성 수준은 낮았다. 마지막으로 수용적 양육방식과 허용적 양육방식을 교차하여 분류된 4가지 양육방식(권위형, 전제형, 방임형, 익애형)중 권위형이 가장 높은 사회성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익애형 이었으며, 전제형과 방임형은 가장 낮은 사회성 수준을 보였다. 이 모든 연구결과들이 가정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유아의 애착, 어머니의 양육방식,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김인숙,김유진,김영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교육과학연구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tachment to the mother, mother's parenting style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on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mothers whose children were 3, 4, and 5 years old and who were attending fiv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Chungju City and Chungbuk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WIN 12.0. The test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 matrix in AMOS 5.0 using a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found that boys' insecure attach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both their relational aggression and overt aggression, and all boys' secure and insecure attachment, mothers' affectionate and controlled parenting style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Boys' secure attachment appeared to have a direct effect on mothers' affectionate and controlled parenting style, while insecure attachment appear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only mothers' controlled parenting style. Second, it suggested that girls' insecure attach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both their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as for boys and all of girls' secure and insecure attachment, mothers' controlled parenting style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emotional regulation, while girls' secure attach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only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and girls' insecure attach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only mothers' controlled parenting style. Third, it showed that mother's parenting style had a indirect effect on young children' emotional regulation and aggression through the medium of their attachment. Both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and their controlled parenting style appeared to influence boys' aggression through emotional regulation, while only mother's controlled parenting style appeared to have a indirect effect on girls' aggression through emotional regulation. Both boys' emotional regulation and girls' emotional regulation appeared to have both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heir respective aggression. Fourth,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ve influence that mother's parenting style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had on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While boys' insecure attachment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ir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girls' insecure attachment appeared to have the great effect on their relational aggression and their emotional regulation appeared to strongly influence overt aggression.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세워진 이론적 모델을 통해 유아의 애착이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매개로 유아의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그 결과를 유아의 공격성에 대한 조기 개입의 방안으로 탐색해 보고 부모교육이나 유아교육 및 상담현장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청주시와 진천군 소재의 사립유치원과 어린이집 5곳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를 가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이 유아의 공격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남아와 여아간의 차이가 있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남아는 안정애착이 온정적 양육방식과 통제적 양육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안정애착은 온정적 양육방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통제적 양육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는 안정애착이 통제적 양육방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온정적 양육방식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불안정애착은 남아와 여아 모두 온정적 양육방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통제적 양육방식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결과는 남아와 여아 모두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대인관계 공격성과 외현화 공격성을 경감시키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 KCI등재

        부모의 양육방식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정서발달 특성: 중학생 3학년의 자아인식, 정서문제, 또래애착을 중심으로

        유지연,황혜정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4 No.1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parents' parenting style by clustering the parenting method used by them.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2,061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using Korea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asic trends of research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Four types of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K-mean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classify parental parenting methods. We also conducted a One-Way ANOVA to verify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a child'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method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rregular parenting group 1, overprotective parenting group 2, attachment parenting group 3, and permissive parenting group 4. Second,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ocio-emotional development (self-awareness, emotional problem, peer attachment) according to different parenting styles showed that overprotective parental style inhibits self-perception formation and irregular parenting style resulted in emotional problem. Also, peer attachment was high when attachment parenting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styles were used. The study concluded that parents need to provide consistent care and affection to their children to raise them as healthy adults.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방식을 군집화하여 부모의 양육방식에 따라 청소년의 사회․정서발달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 초4패널 2015년도 6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교 3학년 청소년 2,061명과 그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기본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적 통계를 시행하였으며, 부모의 양육방식을 유형화하기 위해 계층적 군집분석과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4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방식은 불규칙 양육집단 군집 1, 과보호적 양육집단 군집 2, 애착 양육집단 군집 3, 허용적 양육집단 군집 4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방식 유형에 따라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자아인식, 정서문제, 또래애착)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방식은 자아인식 형성을 저해하며 불규칙 양육방식은 정서문제를 나타나게 하였다. 그리고 애착 양육방식과 과보호적 양육방식일 때 또래애착이 높음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부모가 자녀를 건전한 성인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일관된 양육과 애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양육방식이 청소년진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김용진,권일남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19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진학 만족도에 미치는 종단효과를 확인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데이터 중 중1 자료의 1차, 4차, 7차 자료이다. 종단연구를 위해 잠재성장 모형을 통해 양육방식의 초기 값과 기울기그리고 공분산의 유의미함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선형성장 추정치를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진학 만족을 변수로 하는 조건모형을 구성하여 양육방식이 청소년 진학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첫째, 부모의 양육방식의 초기 값과 변화율은 정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공분산은 부적인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부정적인 양육방식을 인식한 청소년이시간이 지날수록 초기 긍정적인 양육방식을 인식한 청소년보다 양육방식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둘째, 양육방식의 초기 값이 청소년진학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R값이 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것은 초기 양육방식을 긍정적으로인식할수록 청소년진학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양육방식의 변화율은 청소년진학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육방식은 청소년진학만족도에 종단적인 영향력이 있음을 증명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방식이 유아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임현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Mothers’ Parenting Style on Child’s Self-controlHyunju L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yle on child’s self-control. The data of 1,565 child and mothers were extracted from the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ool was confirmed by Cronbach's valu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method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mothers’ parental competence and parental anxiety impacted on child’s self-control by 13.7%. Secondly, Mothers’ warm parenting style and permit-threshold setting parenting style on child’s self-control by 2.8%. Among these influences, mothers’ parental competence, mothers’ warm parenting style, permit-threshold setting parenting style showed positive effects, and parental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efforts to positively enhance the mothers parental competence, mothers’ warm parenting style, permit-threshold setting parenting style and to reduce mothers’ parental anxiety are necessary for the positive child’s development. Key Words: Mother,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yle, Child, Self-control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방식이 유아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임 현 주** 연구 목적: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방식이 유아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일반에게 공개한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1,565쌍이다.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으로 확인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부모유능감, 부모불안감), 양육방식(온정적, 한계설정)이 유아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유아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1차로 투입한 어머니의 부모유능감과 부모불안감은 13.7%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온정적 양육방식과 한계설정 양육방식은 유아의 자기통제에 2.8%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영향력 중에서 어머니의 부모유능감, 온정적 양육방식, 한계설정 양육방식은 정적 효과, 부모불안감은 부적 효과를 지니고 있었다. 결론 및 제언: 이를 통해, 어머니의 부모유능감, 온정적 양육방식, 한계설정 양육방식의 긍정적 제고와 부모불안감의 저감을 위한 노력이 유아의 긍정적 발달을 위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핵심어: 어머니, 양육효능감, 양육방식, 유아, 자기통제 □ 접수일: 2022년 10월 5일, 수정일: 2022년 11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2022학년도 배재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됨. ** 배재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Professor, Paichai Univ., Email: misungkid@pcu.ac.kr)

      • KCI등재후보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상배 ( Lee Sang-bae ),박정미 ( Park Jeong-mee ),박은아 ( Park Eun-a ),박제일 ( Park Jae-il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7 동서정신과학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 및 인터넷 게임중독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B광역시와 U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의 양육태도는 부의 의사소통 방식 및 모의 의사소통 방식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인터넷 게임중독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모의 양육태도는 부의 의사소통 방식 및 모의 의사소통 방식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인터넷 게임중독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부의 의사소통 방식과 인터넷 게임중독 및 모의 의사소통 방식과 인터넷 게임중독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의 양육태도 중 애정과 합리적 양육태도는 부의 의사소통 방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의 양육태도 중 애정, 성취, 합리적 양육태도는 모의 의사소통 방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애정 변인이 자녀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 중에서 개방형 의사소통 방식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학생들의 인터넷 게임중독의 예방적 접근방향을 찾고, 치료적 개입이 필요한 중학생들에게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식의 관계를 통한 인터넷 게임중독 치료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parental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communication styl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In order to ve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sts about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parental attitud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were carried out all 369 students from 1 to 3 grade of Middle school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U metropolitan cit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carried ou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influence between the variables influ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ve and rational rearing attitudes among father`s caring attitude affected father`s communication statistically. In case of mother is love, achievement and rational rearing attitudes affected mother`s communic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atic. Second, It is shown a factor of love in parental rearing attitude affected internet game addictio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ed communication style which is one of communication styl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is shown direct and negative statist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love of parents, achievement and rational rearing attitudes gave effects of positive, strong and meaningful. And rational rearing attitudes and communication style affected bad effects into internet game addiction in the light of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parental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communication styl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Therefore, it needs to consider and keep the factors of communication style and parental attitude for developing program about the internet game addiction and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family factors of parental attitude and communication style which gives affection on internet gam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uggestion for further studies, it needs to examine about personal factors and school environment. Also it has got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results by using behavior observation or clinical interview in a follow-up study.

      • KCI등재

        K-CBCL 1.5-5와 Gottman의 양육방식 유형에 의한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와 어머니의 양육방식과의 관계

        유숙경 ( Sook Gyeong Yoo ),이승희 ( Seung Hee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최근에 개발된 K-CBCL 1.5-5와 Gottman의 양육방식 유형에 근거하여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와 어머니의 양육방식과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G시 소재 518개 어린이집 가운데 비율군집표집을 통하여 선정된 17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550명의 유아와 그 어머니들이었다. 선정된 550명의 어머니들에게 질문지를 배부한 결과 530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6%) 그 가운데 500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행동문제는 내재화문제가 외현화문제에 비해 다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내재화문제의 준임상비율과 임상비율이 외현화문제의 준임상비율과 임상비율보다 각각 다소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유형별 정도와 주양육방식 둘 다에서 감정코치형, 방임형, 축소전환형, 억압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와 어머니의 양육방식과의 관계는 먼저 어머니의 양육방식 유형에 따라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와의 상관관계에 차이가 있었으며, 다음으로 어머니의 주양육방식이 억압형인 경우 축소전환형 또는 감정코치형인 경우보다 외현화문제와 총문제행동에서 점수가 더 높았고, 마지막으로 외현화문제에서 준임상비율과 임상비율 모두 주양육방식이 억압형인 경우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 방임형, 감정코치형, 축소전환형 순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와 연계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 및 과제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style based on K-CBCL 1.5-5 and Gottman`s types of parenting styles. To do this, 550 mothers of children attending preschools in G city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ut of 550 questionnaires, 53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return rate: 96%) and 500 question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The data analyse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a) Children showed a little higher scores in internalizing problems than in externalizing problems and both clinical rate and borderline-clinical rate in internalizing problems were also a little higher than those in externalizing problems. (b) In terms of both the degree of each parenting style and the primary style of parenting, mothers showed the highest score on ``emotion coaching`` followed by ``laissez-faire``, ``dismissing``, and ``disapproving`` in the order of score. (c)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parenting styles in correlation between child`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style; children with disapproving mothers showed higher score in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 behaviors than those with dismissing or emotion coaching mothers; and both clinical rate and borderline-clinical rate in externalizing problems were highest in children with ``disapproving mothers`` followed by ``laissez-faire mothers``, ``emotion coaching mothers``, and ``dismissing mothers`` in the order of rate.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future related research.

      • KCI등재

        중국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기분화의 관계

        쉬슈오,임성택,홍송이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self-differentiation among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ample comprised of 200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in Liaoning province, Chin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self-differentiation by gender and grade, but only by the type of parent.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raditional families (with biological mother and father)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of their parents' emotional warmth in parenting style than those of single-parent families. The scores of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integration of self, and family regression of the participants in traditional famil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in single-parent families. When types of parents were controlled, the perceived rejective parenting styl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integration of self, family projection process, emotional cutoff, and family regression. The perceived emotional warmth parenting styl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integration of self, emotional cutoff, and family regression. The perceived overprotective parenting style predicted only family regression which is a component of self-differentia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presented for Chinese parents, educators, and educational policy makers. 본 연구는 중국 중학생의 성별, 학년, 부모 형태에 따라 지각된 양육방식, 자기분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그들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기분화의 관계를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요녕성 중학생 200명이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먼저 독립표본 t검증을 활용하여 성별에 따라 지각된 부모 양육방식과 자기분화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고,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사후검증을 활용하여 학년과 부모 형태에 따라 지각된 부모 양육방식, 자기분화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부모 형태를 통제한 상태에서 지각된 부모 양육방식이 중학생의 자기분화를 예측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집단 차이는 없었고, 부모 형태에 따른 점수 차이만 나타났다. 양친부모 가정의 중학생은 한부모 가정의 중학생보다 부모의 애정적 양육방식을 유의미하게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자기분화의 경우, 양친부모 가정 중학생들의 인지정서기능, 자아통합, 가족 퇴행 영역 점수가 한부모 가정 중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부모 형태를 통제하였을 때 지각된 거부적 양육방식은 자기분화의 하위요인인 인지정서기능, 자아통합, 가족투사 과정, 정서적 단절, 가족 퇴행을 모두 예측하는 변인임이 밝혀졌으며, 지각된 애정적 양육방식은 자아통합과 정서적 단절, 가족 퇴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과보호적 양육방식은 자기분화의 하위요인 중 가족 퇴행만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중학생의 자기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형태와 부모 양육방식 연구가 지니는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중학생의 자기분화를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