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액티브시니어의 여가 및 문화 기회 확장을 위한 O4O 문화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디자인 제안

        김지영,전재연,류라임,구유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3

        This study predicted that entered an aging society, seniors would change their lifestyles and values, and intended to study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for ‘Active Seniors’ who entered the old age and became more interested in life after retirement. Using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Living Culture Center provided to seniors and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centered on the younger generation were analyzed, and the direction fo the leisure and cultural content platform was proposed through user survey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ctive Seniors’ definition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life culture status and poli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4O platform were analyzed. A useful survey method ‘Probes’ was conducted for active seniors aged 55 to 69 who are about to retire to identify potential needs of us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ser survey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 Seniors’ were redefined, and the value of service provision and core functions were deduced. It proposed three services : “Expanding leisure and cultural opportunities through O4O platforms linked online and offline”, “Providing various customized contents and communities for ‘Active Seniors’”, and “Sharing experiences and selfdevelopment through creator activities.”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value of qualitative experience through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by reflectig the lifestyle characteristics of ‘Active Sen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cted to expand ‘Active Seniors’ leisure and cultural opportunities by supplementing with an O4O cultural content platform that links local deviations and content limitations of existing living culture centers online and offlin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increase the value of quality experiences in old age, such as generating profits through various leisure and cultural contents and creator experiences. In the future, the integrated platform for leisure and culture O4O is not limited to Active Seniors, bu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living culture policies by expanding it to the younger generation.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로 들어서며, 시니어가 이전세대와 생활 및 가치관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 예측하였고, 노후 세대에 진입하여 은퇴 후의 삶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 액티브시니어를 대상으로 여가⋅문화 서비스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인‘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시니어에게 제공되고 있는 생활문화센터의 현 상황과 젊은 세대 중심의 여가⋅문화 서비스를 분석하고, 사용자 조사를 통해 여가⋅문화 콘텐츠 플랫폼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액티브시니어 정의와 라이프스타일 특성과 생활문화현황 및 정책, O4O 플랫폼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은퇴를 하거나 앞둔 55~69세의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사용자의 잠재적 니즈 파악에유용한 조사 방법 ‘프로브(Probe)’를 진행하였다. 사용자 조사 분석결과를 토대로 액티브시니어의 특성을재정의하였으며, 서비스 제공가치와 핵심 기능을 도출하였다. ‘온⋅오프라인 연계한 O4O 플랫폼을 통해 여가⋅문화 기회 확장’,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다양한 맞춤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크리에이터 활동을 통한 경험 공유 및 자기계발’ 세 가지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이는 액티브시니어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을 반영하여 여가⋅문화활동을 통해 질적 경험 가치 상승을 시킬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생활문화센터의 지역 편차 및콘텐츠 한계를 온⋅오프라인 연계시킨 O4O 문화 콘텐츠 플랫폼으로 보완하여 액티브시니어의 여가⋅문화 기회를 확장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다양한 여가⋅문화 콘텐츠 및 크리에이터 경험을 통해 수익 창출 등 노후의 질적 경험 가치도 높여주는 데 의의가있다. 향후, 여가⋅문화 O4O 통합 플랫폼은 액티브시니어에게 국한되지 않고, 젊은 세대로도 확장시켜 생활문화정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인스턴트 이모티콘 디자인제언 - 카카오톡 유료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

        이예랑,김인성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3

        최근 디지털 문화에서 소외되었던 계층인 시니어들의 카카오톡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모티콘을 감정 표현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액티브 시니어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모티콘 디자인은 트랜드 변화에 민감한 2030세대의 감성에 맞춰 디자인되어지고 있다. 최근 시니어층의 감성을 반영한 이모티콘 디자인들이 일부 출시되고 있으나 시니어의 니즈를 반영하여 디자인되었는지 검증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연령층이 청장년계층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중장년계층 이후의 취향을 알아내는데 어려움이 있는 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이모티콘 디자인의 범위는 카카오톡의 유료 이모티콘으로 한정하였다. 선행연구와 설문조사를 근거로 노화에 대한 인지와 ‘노화 인지 감수성’에 대해 정의한 후, 노화에 대한 페르소나를 기준으로 분류법을 설계하였다. 또한 심층 인터뷰 설문조사를 구성하고 1,2차에 걸쳐 정성조사를 실시했다. 1차에서는 설문지를 바탕으로 액티브 시니어의 이모티콘 선호도와 그에 따른 시각적 형태를 조사하였다. 2차에서는 표적집단연구로 이들이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이모티콘 디자인의 종류와 선택한 이유를 알 수 있었으며, 사용 및 구매행동 등 심층 관찰 조사도 이뤄졌다. 이를 통해 액티브 시니어가 젊은계층에 비해 노화에 대한 인지 감수성이 높고 흥미로운 이모티콘에 대한 관심도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액티브 시니어는 더 이상 문화적 소외계층이 아니며, 이 세대를 타겟으로 하는 시각적 형태, 유머코드, 노화 인지 감수성을 기반한 이모티콘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Recently, the use of Kakao Talk by seniors, a marginalized group in the digital culture has been increasing. However, emoticons are designed to suit the sentiments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agile and responsive to changing trends whereas active seniors increasingly use emoticons to express their emotions on Kakao Talk. Although some of the recently released emoticons take the fancy of seniors, no study has been conducted to verify if the emoticons reflect their needs. Thus, this study attempts to expand the scope of previous studies which focus on young and middle adults by identifying the tastes of older age groups.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limited to Kakao’ paid emoticons. After defining the concepts of ‘awareness of aging’ and ‘sensitivity to ag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survey results, this paper classify elderly personas according to seniors’ attitudes to aging. We also conduct two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rstly, active seniors’ preferences of emoticons and visual styles are surveyed. Secondly, targeting a focus group, in-depth observation is made on the types of daily used emoticons, the reasons of their choices and their purchasing behaviors.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active seniors show higher sensitivity to aging and interests in interesting emoticons than young adults. Consequently,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emoticons based on their preferred visual styles, the codes for their jokes and their sensitivity to aging.

      • KCI등재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패키지디자인의 개념과 기능 고찰 -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윤혜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2

        첨단 기술의 발달로 미디어가 융합되고 소비자 행동도 변화됨에 따라 패키지디자인의 전통적인 개념과 기능도 시대에 맞게 재 고찰해야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글로벌 마켓을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는 패키지디자인의 새로운 개념과 기능을 고찰하는 것을 1차 목적으로 하고, 더 나아가 국내 패키지디자인이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패키지디자인의 영역과 기능을 확대시키고자하는데 2차 목적을 갖는다. 본 연구는 문헌과 사례를 바탕으로 기술적 측면에서 패키지디자인의 개념과 기능을 분석한 논문이다. 이를 위하여 마케팅의 배경이 되는 주변요소들의 변화된 개념을 분석하고, 해외 글로벌 마켓에서 이미 실행되고 있는 패키지디자인의 연구와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개념을 재정립하고 확장된 패키지디자인의 기능과 역할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변화된 패키지디자인은 스마트패키지디자인이란 포괄적 개념아래 크게 액티브패키지디자인과 인텔리전트 패키지디자인으로 분류된다. 액티브패키지디자인은 보호와 보존, 운반, 안전의 기능을 강화한 패키지디자인이고 인텔리전트패키지디자인은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강화한 패키지디자인으로, 두 개의 새로운 개념은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패키지디자인의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고 확장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패키지디자인의 새로운 개념과 기능을 고찰함으로서 미래의 트렌드를 예측하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여 더욱 가치 있는 미디어로서의 패키지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Given the convergence of advanced technologies and changing consumer behavior, the traditional concept and function of package designs should be reconsidered.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new concept and function of package design and functionality that is changing around the global market, and to seek ways to expand the scope and function of the package design, and expand the scope and function of package design.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s and functions of package designs in terms of technical aspects based on literature and examples. Analyzed the changed concepts of peripheral elements in the marketing context, analyzed the study and design examples of package designs that are already running in global markets, and analyzed the functionality and role of package designs. As a result, package designs are categorized as active package designs and intelligent package designs under the broad concept of smart package designs. The active packaging design is packaged, preserved, carried out, and secured with the ability to protect, preserve, transport, and secure safety. Intelligent package design is a package design that enhances consumers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the two new concepts are the concept of enhancing and expanding the capabilities and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packaged designs based on advanced technolog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esent future direction of package design as more valuable media by considering new concept and function of package design and presenting future direction.

      • KCI등재

        액티브시니어 제작 공예품의 디자인상품화를 위한 연구

        최은정(Eun Jung Choi),최소현(So Hyun Choi),신윤재(Yoon Jae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시민디자인의 관점을 통해 공공과 민간부문의 시니어 공예활동에서 생산되는 공예품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키고, 수익구조를 보유한 새로운 시니어의 일자리 창출을 지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액티브시니어 및 시니어 공예품의정의와 범위 규정, 특성에 대한 기초연구 및 조사진행, 시니어 중심 공예활동에 대한 현황 파악 및 분석을 통해 상품화의 가능성 탐색, 프로세스 및 지원방안에 대한 항목을 도출하는 등 ‘통합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수립하는 것이며, 연구의 방법은, 시니어 공예활동의 현황과 국내외 사례조사 및 전문가 인터뷰를 시행하고, 액티브시니어 공예품의 디자인상품화 단계별전략을 도출하여, 제안한 전략에 대한 보완을 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로, 낮은 디자인경쟁력과 일회성에 그치는 공예활동, 판로개척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단계별 지원전략을 제안하였으며,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한 시범 프로젝트에서는 시니어 디자인 워크숍과 시니어 인터뷰를토대로, 공예품의 통합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을 개발및 제작하였다. 그리고 지속적인 디자인개발안의 활용을 위해 지역 커뮤니티에 디지털데이터를 기증·공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시니어의 장점을 디자인으로 극대화한 공예품 상품화가 활성화되고, 자생적인 생태계를지속할 수 있는 지원서비스가 마련되어 새로운 형태 의 시니어 일자리가 증가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of enhancing the commercial value of handicrafts produced by senior citizens from a social design perspective and create high-income jobs for them. The aim of the study was to set the definition and scope of active senior citizens and the handicrafts produced by them, conduct a basic study of the relevant features, look for possibilities of commercialization by examining the status of senior citizens’ handicraftmaking activities, and establish an ‘integrated design process’. Thus, the status of senior citizens’ handicraft production was examined,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held, surveys concerning the relevant cases -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re conducted, and a strategy was formulated for each stage of commercialization of senior citizen-produced handicrafts. This study proposes a strategy concerning the need to provide per-stage support aimed at resolv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low design-related competitiveness and the fact that handicraft-production sessions are generally held only as one-off events, and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exploration of markets. In a pilot project carried out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contents of the study, an integrated brand of handicrafts and package designs were established based on design workshops and interviews with senior citizens. This study also came up with a means of sharing digital data with the local community in in a bid to ensure that the newly developed designs will continue to be us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create new types of jobs for senior citizens through the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of well-designed handicrafts produced by them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designed to help senior citizens achieve become self-reliant and independent.

      • KCI등재

        모바일 철도 예매의 시니어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

        이혜연,윤재영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3 No.-

        초고령화가 가속화 되고 사회문제들이 대두되면서 고령자의 대중교통 이용을 지원하는 정책이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고령자가 대중교통 이용 과정에서 느끼는 불편에 대한 디자인적 고민과 장기적 관점에서의 정책은 아직 부족하다. 본 연구는 고령자의 이동권 확보를 위해, 대표적 대중교통 수단인 철도를 예매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인 코레일톡 조사를 통해 고령자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개선안 제안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고령자 중에서도 스마트폰 이용에 익숙한 액티브 시니어를 우선적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철도 어플리케이션에서의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 관찰조사를 통해 페인포인트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액티브 시니어 범주에 들어가는 50대 이상 남녀 스마트폰 사용자 10인을 대상으로 코레일톡 예매 과정을 관찰하고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액티브 시니어의 공통적인 페인포인트를 도출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개선안은 워킹 프로토타입으로 정리하여 액티브 시니어 사용자가 사용해 보도록 하고 반복적인 인터뷰를 통해 개선 여부를 검증하였다. 사용자 관찰 조사 결과, 액티브 시니어 사용자는 기존 코레일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예매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액티브 시니어의 불편을 유발하는 6요소로는 해독하기 어려운 글자, 작은 터치영역, 혼란스러운 정보 아키텍처, 이해하기 어려운 아이콘 이미지, 흐름을 끊는 돌발적 요소, 생소한 어휘가 있었다. 사용자 관찰조사로 도출한 고객여정지도와 6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사용자경험을 보완한 개선안을 제작하였다. 개선안의 검증 결과 피험자들이 기존 코레일톡 어플리케이션 예매에 비해 자연스럽게 시나리오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 반응도 긍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프로토타입은 한정된 사용자와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조사되었다는 점과 조사대상을 50대 이상 10인으로 한정하여 진행된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있다. 액티브 시니어를 넘어, 더 넓은 범주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후속연구가 진행된다면 고령자 대중교통 예매와 이동권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super-aged population accelerates and social problems emerge, policies are emerging to support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by the elderly.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design concerns and long-term policies regarding the inconvenience the elderly feel i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posing improvement plans for the smooth use of the elderly through the KorailTalk survey, an application that allows the reservation of railways, a representative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in order to secure the right of the elderly to travel. Among the elderly, active seniors who are familiar with using smartphones were given priority. To improve the experience in railway applications, Pain poi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user observation surveys. Ten male and female smartphone users in their 50s and older who fall into the active senior category were interviewed after observing the process of booking KorailTalk. Through this, the common paint point of the senior was derived and the user experience and interface design was modified and produced to improve it. The improvements produced were organized into working prototypes for use by active senior users and repeated interviews to verify improvements. According to a user observation survey, senior users feel variou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making reservations through existing KorailTalk applications. Among the six factors causing inconvenience for the senior were difficult to decipher, small touch area, confusing information architecture, hard-to-understand icon images, unexpected elements that cut off the flow, and unfamiliar vocabulary. Customer journey guidance derived from user observation surveys and improvement plans were produced to complement user experience based on 6 factor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improvement pla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s naturally proceeded with the scenario compared to the reservation of the existing KorailTalk application and that the interview response was positive. There is a limit to the research in that the prototypes produced in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based on a limited number of users and scenarios, and that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10 people in their 50s and older. If follow-up research is conducted on senior citizens in a wider category beyond Active Senior, it is expected to help the elderly book public transportation and secure the right to travel.

      • KCI등재

        착용특성을 고려한 액티브시니어 브라탑 디자인 요소 추출

        전정일 ( Jun Jung-il ),오순 ( Oh S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8 No.-

        브라탑은 가슴의 형태를 보정하여 심미성을 높이고 적절한 압력으로 가슴을 감싸주어 가슴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는 기능성의복이다. 따라서 연령별, 체형별 적절한 형태와 기능이 요구되는데, 최근 시판되고 있는 50대 이상의 시니어를 타깃으로 하고 있는 대다수의 브라탑 제품의 경우 20대 브래지어 형태와 기능을 기초로 하여 시니어용으로 전개하고 있어서 시니어 여성의 체형과 감성이 적용된 형태의 브라탑을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50대 액티브시니어 여성의 브라탑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판 제품의 착의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50대 액티브시니어 여성의 브라탑 최적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실험의 피험자는 액티브시니어 브라탑 중심사이즈 구간 80A에 해당하는 50대 여성 3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복은 50대 여성이 선호하는 유사 디자인 제품 4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은 피험자 주관적평가, 전문가 외관평가, 의복압 평가, 3차원 인체형상 단면분석을 실시하였다. 디자인요소를 추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깨에서 느껴지는 하중과 동적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11자형의 넓은 어깨끈, 가슴을 잘 커버할 수 있는 깊이의 가슴선과 겉옷 착용 시를 고려하여 적절히 파인 목둘레선, 시니어의 젖가슴형태에 맞는 브라컵 형태, 가슴을 모아주고 받쳐줄 수 있는 브라컵 형태, 겨드랑 부위와 옆구리, 등 부위의 군살 커버가 가능한 넓은 날개폭의 디자인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ra tops are functional clothes which will revise the shape of the breast,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breast, and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breast through holding up the breast with appropriate pressure. Therefore, they require an appropriate shape and function for each age and stature. Yet, most of bra top products, which are recently put on the market and which are targeted at seniors in their 50s or older, are rarely those suitable to the stature and sentiments of senior women since they a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shape and function of a brassiere manufactured for consumers in their 20s. So, this research is aimed to evaluate the wearable-ness of such products as are on the market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derive optimum design elements for bra tops worn by active senior women in their 50s, with a view to developing designs for bra tops worn by such women. In this experiment, thre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ose who had 80A size which is included in a central size zone of bra tops for active seniors. And as for the experimental clothes, four kinds of products of a similar design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likings of women in their 50s. The experiment comprises the subjects` subjective evaluation, specialists` exterior view evaluation, an evaluation of clothing pressure, and a 3-dimensional and sectional analysis of a human body shape. The following are the design elements extracted from the final results. Desired designs are for the purpose of securing 11-shaped wide shoulder bands which minimize the load and dynamic discomfort felt from the shoulders, lines around the neck which are appropriately cut in consideration of breast lines and an outer garment which are as long as to cover up the breast well, a bra cup shape which is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breast of seniors, such a bra cup shape as can put together and hold up the breast, and a wide blade which can cover the armpit & the flank and the back part & superfluous flesh.

      • KCI등재

        액티브 시니어 여성을 위한 애슬레져 룩 연구

        양정희 한국비즈니스학회 2024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운동과 건강관리에 관심이 많고 경제력을 갖춘 액티브 시니어 여성을 대상으로 한 애슬레져 룩 연구로 대표적인 애슬레져 의류로 각광받으며 일상복으로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요가 및 필라테스 웨어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150명의 액티브 시니어 여성을 대상으로 요가 및 필라테스 웨어 디자인 선호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액티브 시니어 여성들의 애슬레져 룩 디자인 선호 결과 S/S 시즌의 선호하는 애슬레져 룩의 형태 중 상의는 골반 길이를 가장 선호하였고, 소매는 길이가 짧은 소매를, 네크라인은 라운드 네크라인과 V형, 스퀘어 네크라인을 선호하였다. 하의는 발목 길이의 하의를 가장 선호하였고 다리를 드러내는 짧은 길이도 선호하였다. 하의 형태는 일반 레깅스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실루엣은 여유가 있으며 라인이 살아있는 실루엣과 몸에 핏 되는 실루엣을 선호하였다. F/W 시즌의 선호하는 애슬레져 룩의 형태는 상의는 노출이 없는 골반 길이를 많이 선호하였고 소매길이는 길이가 긴 소매와 반팔 소매도 선호하였다. 네크라인은 라운드 네크라인을 가장 선호하였고 하이 네크라인과 보트 네크라인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의는 발목 길이의 일반 레깅스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실루엣은 여유가 있으며 라인이 살아있는 실루엣과 몸에 핏되는 실루엣을 선호하였다. 색채는 S/S 시즌은 검은색, 남색, 파란색, 하얀색의 파스텔 톤과 밝은 톤을 선호하였으며, F/W 시즌은 검은색, 남색, 회색의 어두운 톤과 중간 톤이 선호되었다. S/S, F/W 시즌 모두 무늬 없는 애슬레져 룩과 장식 없는 심플한 디자인, 컬러 배색 포인트 디자인을 선호하였고 모던, 캐주얼, 스포티브 이미지의 애슬레져 룩을 선호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는 고령화 사회 속 액티브 시니어 애슬레져 룩 디자인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새로운 소비 주체인 액티브 시니어 세대의 니즈에 맞는 패션 제품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n athleisure look study for active senior women who are interested in exercise and health care and have economic power. To this end, a yoga & Pilates wear design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50 active senior women. As a result of active senior women's preference for athleisure look design, pelvis length was the most preferred top among the preferred athleisure look types of the S/S season. They also preferred short sleeves and round and V shape, square necklines. As for bottoms, general leggings were most preferred, and silhouettes that were relaxed and fitted to the body were preferred. As for the preferred athleisure look of the F/W season, the pelvic length with no exposure was preferred. As for the sleeve length, long sleeves and short sleeves were preferred. As for the neckline, round neckline was preferred, and high neckline and boat neckline were also preferred. As for bottoms, ankle-length leggings were most preferred. The silhouette is relaxed and fitted to the body was preferred. As for colors, pastel tones and bright tones of black, navy, blue, and white were preferred in the S/S season. For the F/W season, dark and medium tones of black, navy blue, and gray were preferred. In both the S/S and F/W seasons, athleisure looks without patterns, simple designs without decorations, and color scheme point designs were preferred, and athleisure looks with modern, casual, and sportive images were preferred. The above survey results can serve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active senior athleisure look design in an aging society, which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fashion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of the active senior generation, a new consumer group.

      • KCI등재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모바일 이모티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

        신정은,윤주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2

        As of 2018, 94% of all adults in Korea own smartphones, being the highest ratio in the world, and the most commonly used social media platform is the mobile messenger ‘KakaoTalk’. Together with increased use of mobile messengers, the quantity of emoticons have increased according to demands for emoticons, but the number of emoticons desired by users over the age of 50 is limited. Emoticons are geared towards the younger generation from teenagers to those in their forties, and the needs of the older population at 50 years or older are not even included in statistic data. As of 2018, Korea’s aged population of over 65 years has exceeded 14% of the entire population and it has entered the ‘aged society’. Due to the continuing low birth rate and ‘active seniors’ from the baby boomer generation starting to retire, it is now necessary to conduct design research to meet different generations by focusing on the older population with more capital and consumer power. This study analyzed the use mode and preference of emoticons for men and women in their 50s and 60s who are ‘active seniors’ that are familiar with using digital devices and use Kakao Talk mobile messenger,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moticon designs preferred by the aged society. Qualitative survey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and then quantitative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form of online surveys for 162 Korean men and women in their 50s and 60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when using mobile messengers, active seniors had similar rates of using emoticons to that of their younger counterparts, and so there were strong needs for developing emoticon designs for seniors. Whil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features of emoticons preferred by different generation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is a universal emoticon design preferred by all age groups. The older population should not be viewed as a group that falls behind in using digital devices like the past, but as key groups for consumption, and design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ir living patterns and tastes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of senior groups. 2018년 국내 스마트폰을 보유한 성인 비율이 94% 이상으로 세계 1위를 기록하였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SNS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메신저의 사용률 증가와 함께 이모티콘 수요에 따른 이모티콘의 양은 증가하고 있지만 50대 이상의 시니어들이 원하는 이모티콘의 수는 제한적이고 10~40대의 젊은세대에만 편향되어 있을 뿐 시니어들의 니즈(needs)는 통계자료에서 배제된 채 반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2018년을 기점으로 한국은 65세 이상의 고령층이 전체 인구의 14%를 초과하면서 고령사회(Aged Society) 에 진입하였다.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베이비붐 세대의 ‘액티브 시니어’가 은퇴하면서 넉넉한 자본과 소비력을 갖춘 고령층이 핵심 소비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층이 선호하는 이모티콘 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국내 모바일 메신저 점유율 1위(95%)인 카카오톡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는 디지털 기기의 사용이 능숙한 ‘액티브 시니어’ 50~60대를 남녀를 대상으로 이모티콘의 사용 행태와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1차 심층면접를 통한 정성조사와 2차 대한민국50~60대 남녀 16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형태의 정량조사를 실시한 결과, 액티브 시니어들은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할 때 젊은층만큼 높은 이모티콘 사용률을 보였으며, 시니어들을 위한 이모티콘 디자인 개발에 대한강한 니즈를 발견할 수 있었다. 세대 간에 선호하는 이모티콘의 유형과 특징에 차이를 보였지만 전 연령층이 선호하는 유니버설(universal)한 이모티콘 디자인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령층은 과거의디지털 기기 사용에 뒤처지고 보수적인 세대가 아닌 세분화된 특성을 보이는 집단으로 시니어 집단의 다양성을이해하고 그들의 삶의 패턴과 기호에 적합한 디자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액티브 시니어 스마트 아이웨어 개발을 위한 감성품질 향상 연구

        이지훈,고영준,안희경,하병호,김기홍 한국안광학회 2023 한국안광학회지 Vol.28 No.3

        목적: 활동적 장년이라 불리는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능을 지닌 스마트 아이웨어 개발을 위해디자인과 착용성 관점에서 국내외 선진 개발 스마트 아이웨어의 감성공학적 비교를 통해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디지털 헬스케어, 아이웨어, 노인디자인 등과 관련된 120개 형용사 중 15쌍을 선정하여 액티브시니어 40명을 대상으로 의미미분법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요인분석을통해 사용자의 감성을 정량적으로 수치화해 독창성, 안정감 및 유행성 측면에서 사용자 감성 차이를 구분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어떠한 형태적 특징으로 인해 해당 감성을 도출하는지 확인하였다. 결론: 액티브 시니어가 스마트 아이웨어에 대해 감성 어휘를 활용해 평가했을 때 어떠한 형태적 특징으로 인해 해당 감성들이 도출되는지 유추할 수 있었으며, 액티브 시니어 스마트 아이웨어의 제품디자인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Purpose: In order to develop smart eyewear with digital healthcare functions for active seniors, called active adults, we suggested a design direction through emotional engineering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advanced smart eyewear in terms of design and wearability. Method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ith 120 adjectives related to digital healthcare, eyewear, and senior design, selecting 15 pairs of adjective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0 active seniors, an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e results classified the factors into the dimensions of “originality”, “stability”, and “trendiness”.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sign elements among different product groups based on the design forms of each product.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nfer the specific design characteristics that elicit these emotions when evaluating smart eyewear from the perspective of active seniors using emotional vocabulary. Additionally, suggestions could be made on the direction of design development to achieve the development go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