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싱크탱크의 발전과 정책연구 : 미국의 주요 싱크탱크 사례연구

        김판석(Pan Suk Kim) 한국공공관리학회 2007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1 No.1

        싱크탱크(Think Tank)는 아이디어 브로커(Idea Brokers)로서 정부와 국회 및 여러 공공기관들의 공공정책 개발 과정 등에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연구가 절실하며 아울러 한국의 싱크탱크 육성과 발전을 위해서도 외국의 주요 싱크탱크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싱크탱크는 국내정치 및 국제적인 이슈에 대해서도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 미국 워싱턴 정가의 주요 싱크탱크들은 정책엘리트로서의 위상을 구축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한국관련 정책에도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미국 싱크탱크의 발전상(싱크탱크의 정의, 싱크탱크의 발전, 싱크탱크의 이념성향, 싱크탱크의 정책 영향력 등)을 우선 개괄해보기로 한다. 그리고 워싱턴 디씨 지역의 주요 싱크탱크들(헤리티지재단, 브루킹스연구소, 미국기업연구소, 케이토연구소, 국제전략연구소 등)의 운영사례를 살펴본 다음, 한국에서의 시사점(싱크탱크 육성, 미국사례가 한국에 던지는 정책적 함의 등)을 모색하였다. Generally speaking, think thanks play a significant role as idea brokers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policy for both executive and legislative branches, and many public agenci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ase study of major leading think tanks in advanced countries because sucha case study could provide a valuable lesson for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think tanks. In fact, think tanks are playing a pivotal role not only in a domestic dimension but also i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around the world. For example, leading think thanks in Washington, DC exercise a substantial influence as policy elite groups not only in the process of public policy agenda building but also in Korea-US relationships. Therefore, it would be a good idea to conduct a case study of those leading American think tanks. This paper first deals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merican think thanks (definition of think thank, growth of think thanks, ideological orientation of think tanks, and policy influence of think tanks), followed by discussion of a brief case study of five major leading think tanks in Washington, DC (i.e., the Heritage Foundation, the Brookings Institution, the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the Cato Institute, and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and policy implication (lessons learned for the development of think tanks in Korea) and conclusions.

      • KCI등재

        中國 소수민족지역의 고등교육기관 싱크탱크 발전 환경에 관한 연구

        金洪培(Jin Hongpei),黃芳(Huang Fang)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2

        이 논문에서는 싱크탱크 관련 이론을 토대로, 중국 소수민족지역 고등교육기관의 싱크탱크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국가 정책 등 거시적 환경, 지역경제와 사회 등 일반 환경, 그리고 싱크탱크사이의 협동과 경쟁 등 미시적 환경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소수민족 지역의 고등교육기관 싱크탱크의 발전을 살피고, 나아가 현재 중국 소수민족지역 고등교육기관 싱크탱크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들을 짚어, 당면한 발전 기회와 위협에 대해 알아보았다. 복잡한 외부환경 변화와 중국의 행정 의결 시스템이 점차 체계화됨에 따라 중국의 당과 정부 지도자들이 관련 정책 입안에 많은 관심과 후원을 보내고 있다. 이 같은 거시적 환경 변화는 고등교육기관 싱크탱크의 발전에 양호한 발전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소수민족지역의 독특한 사회, 경제, 인문, 지리, 문화는 해당 지역 고등교육기관 싱크탱크에 나름대로의 독특한 성격을 부여해주고 있다. 그러나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중국특색의 행정의결 시스템, 공공 의결 체계의 부재 및 법률제도의 미비, 인근 국가들과의 복잡하게 엮여 있는 국제관계 등 거시적 환경은 소수민족지역 고등교육기관의 싱크탱크에서 산출해낸 콘텐츠에 대한 이용률을 떨어뜨리고 있다. 또 상위 고등교육기관 싱크탱크의 적극 개입 내지는 그들의 콘텐츠는 소수민족지역 고등교육기관 싱크탱크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각자 나름의 대응책을 수립하여 차별화 발전 전략을 모색해나갈 필요가 있다. In fact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nk tanks in nationality areas are a kind of research organization or research institution consisted of experts and specialists from multidisciplinary research fields, facing with the complex and changing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from internal and external, propose thoughts and theories for public policymakers from governments at all levels, provide decision-making consultation plan and specific policy recommendations or social civilization service. In Chinese scenario, how 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nk tanks in nationality areas determine their development pattern and path i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national macro management mode, policies, systems, regional economy, Geo-social relation,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nk tanks? On the cas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nk tanks in nationality areas, its development environment is analyzed from three levels in this paper, the first level is from national governance mode to policies and systems and other macro-environment. The second level is from regional economy and Geo-social relation and other medium-environment. The third level is from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think tanks and other micro-environment, which aims to provide reference for strategic positioning and option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nk tanks in nationality areas to discuss the essential influence factor of the develop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nk tanks, which means opportunity and threaten. The macro-environment such as the complex and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 the scientification of Chinese administrative decision model, the high value payed by China"s national party leaders, and the relative supportive polices has given the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nk tanks great development opportunities. The development of new science and technology sustain the scientific and reality of think tanks" function. The specificity of society, economy, humanity, geography and culture in nationality areas provides the differential development practical possibility. At the same time, the macro factors such as high degree of centralism of administrative decision-making power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e imperfect public decision-making mechanism and legal system, complex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neighbors, the low applying frequency and service efficiency of think tanks" products, the intervene of trans-regional and high level think tanks, and th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research fields, thus the corresponding and differential development strategy shall be taken. The research results will provide reference for strategic positioning and choic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nk tanks in nationality areas.

      • KCI등재

        정책결정과정에서의 민간싱크탱크 역할과 발전방안 연구

        황윤원 한국거버넌스학회 2009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6 No.3

        This study examines how Korean private think tanks play in governmental policy making process for the benefits of whole society. To do so, the study employs a descriptive analysis based on the current and historic data due to the nature of research issue. Three types of private think tank of private enterprise think tank, NGO think tank, and profit-seeking consulting think tank are selected for exploration of the causes and future strategies. This research has found six major obstacles for Korean private think tank playing little impact on the governmental policy making: a relatively low level of policy production capacity and little influence in comparison with governmental think tank, an inadequate public policy production infra-structure, an insufficient marketing efforts to governmental agencies, an unsatisfactory awareness of public investment, a little concern of public donation for private think tank activation, and a heavy dependency on profit-seeking consulting think tank. The study finally proposes six strategies for curing those problems respectively: enhancing policy production capacity and bigger influence with respect to governmental think tank in policy making, more investment in internal research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moting government marketing for policy sale, accelerating publicness in private think tank's research, encouraging public donation for private think tank research, and lowering a heavy dependency on profit-seeking consulting think tank. 이 논문은 우리나라 민간싱크탱크들이 정부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연구(descriptive study)이다. 이 연구는 먼저 민간싱크탱크의 운영 실태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후, 이들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시대별로 분석한다. 우리나라 민간싱크탱크들이 정부의 정책결정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실태분석을 통해 탐색한 후 향후 발전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민간싱크탱크가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역할이 미진한 이유로는 크게 스스로의 정책 생산역량의 상대적 입지 미흡, 자체 인프라의 미진, 대 정부 정책 마케팅 노력의 부족, 기업의 공익적 정책 투자 의식 미흡, 공익적 민간싱크탱크 설립 기반을 위한 기부문화의 비활성화, 영리형 싱크탱크에 대한 의존도 심화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서는 정책생산 역량의 상대적 입지 강화, 내부 인프라의 강화, 대정부 정책 마케팅의 강화, 기업의 공익성을 강조하는 정책개발 투자의 강화, 공익성을 강조하여 민간싱크탱크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기부문화의 선진화, 영리형 싱크탱크에 대한 지나친 신뢰의 경계 등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일반 논문 : 한국에서 "시민사회 싱크탱크"의 발전과 특성: 33개 시민사회 싱크탱크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홍일표 ( Il Pyo Hong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1 시민사회와 NGO Vol.9 No.1

        본 논문은 한국의 ``시민사회 싱크탱크``가 어떠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등장하고, 2011년 현재의 실태와 특징은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시민단체들은 ``준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하며, 시민사회 정책역량을 결집해 냈지만 점차 정책생산능력의 한계에 직면하였다. 이에 ``시민사회 싱크탱크`` 설립을 통해 시민사회의 정책역량을 다시 결집하고 있다. 2006년 전후 시민사회 싱크탱크들이 많이 설립되기 시작하였고, 이후 꾸준히 그 숫자와 규모, 위상이 높아져 왔다. 33개 시민사회 싱크탱크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재정과 인력 규모는 매우 영세하였고, 사회운동단체 출신 연구자가 25%나 되었다. 그러나 기존 국내의 싱크탱크들에 비해 훨씬 다양한 연구자 구성의 조직적·인력적 잡종성을 갖춘 것이 확인되었다. 연구보고서나 이메일 뉴스레터를 가장 중시하고 있으나, 아직 소통 방식의 혁신을 충분히 이뤄내지는 못하고 있었다. 최근 시민사회 싱크탱크들이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조직 내와 조직 간 ``이중의 혼성결합``을 시도하고 있음은 중요한 변화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how ``civil society based think tanks in Korea`` were emerged and what are their current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in 2011. NGOs in Korea played a role of "psudo-think tanks" and could gather the policy capacities of civil society. However, they faced the limits of policy capacities. They started to recollect policy capacities through building civil society based think tanks(CSTTs). From around 2006, CSTTs had started to be established and their numbers, size and status were increased. Examining the result of survey on 33 CSTTs, we found that their size of finance and manpower were still very small. The rate of researchers who have background from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are about 25%. It shows that many of civil society based think tanks in Korea rooted from social movements. However, CSTTs are composed of researchers who have colorful backgrounds, comparing to other established think tanks. We can find the organizational hybridity of them. They make much of producing research paper and e-mail newsletter, but they couldn`t develop the innovation of communication repertoires, yet. It is important that for CSTTs to make ``network of networks`` and to build ``the dual hybrid combination`` inside the organization and between organizations.

      • 세계화 시대 싱크탱크의 역할 증대와 한국적 수용에 관한 연구

        박인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0 신안보연구 Vol.- No.165

        This research has been designed to introduce the conceptual foundation on the role of ‘think-tank’ which would handle with the inefficiency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ublic policy after the democratization of the Korean society. In many developed countries we often witness a very active role of ‘think tanks’ by which they have achieved a comprehensive and professional policy making process. Even though a large number of think tanks have appeared in Korea after 1990s, we are quite underdeveloped in terms of the theoretical discussion regarding the role of think tanks in the decision-making procee of public policy. Within this paper many theoretical frameworks such as such as elite theory, pluralist approach, statist approach,and institutional approach have been introduced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hink-tank. Think tanks has becom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layers of international society as well by actively participating 'global community of policy knowledge.' Considering those expanded role of think tanks, Korea needs to carefully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think tanks, and to engage in an active academic analysis regarding the role of think tanks. This will consolidate the degree of democratization of the Korean society, and increas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s well. 본 연구는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가 주요 정책결정과정에서 경험하고 있는 불필요한 국가자원낭비와 국론분열을 극복하고,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정책결정과정을 정착시키기 위해 싱크탱크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선진국에서는 ‘정책논의 단계’와 ‘정책결정단계’에서 싱크탱크라는 ‘정책연구기관(policy esearch institution)’을 매우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 인해 정책결정과정의 포괄적인 전문화를 추구하고 있다. 90년대 이후 우리 사회에도 싱크탱크가 급속히 늘어났지만 아직까지 정책결정과정의 전문화에 적극적으로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 등지에서는 싱크탱크를 통한 풍부한 정책지식 생산 및 전문가의 기여가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관련하여 엘리트 이론, 다원주의 접근, 국가주의 접근, 제도주의 접근 등을 동원한 활발한 연구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와서는 세계 주요 싱크탱크간 글로벌 네트워크가 형성되면서 세계적 차원의 정책지식 공동체가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글로벌 이슈에 대한 공동정책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 사회는 싱크탱크 기능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정립하고 관련 연구활동의 기반을 확대함은 물론, 우리의 정치문화적 특성에 적합한 싱크탱크 활용방안을 개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민주주의 책임성(accountability) 강화와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싱크탱크들간의 자유로운 경쟁을 유도하고, 재정지원을 확대하며, 또한 외부 정치적 영향력으로부터 독립성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세계화시대의 외교정책과 싱크탱크: 정책지식의 전문성과 글로벌 네트워크

        박인휘 한국국제정치학회 2012 國際政治論叢 Vol.52 No.2

        This research has been designed to introduce the conceptual foundation on the role of 'think-tank' which would handle with the inefficiency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foreign policy after globalization. In many developed countries we often witness a very active role of 'think tanks' by which they have achieved a comprehensive and professional policy making process in the area of foreign policy. In particular, the leading think-tanks of the United States have shown many critical roles in which the American government has substantially relied on in terms of information gathering, the production of policy knowledge, the communication between government and public, etc. Regarding the role of think-tanks in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cases of the Bush administration and the Obama administration have been explored, and tired to figure out some implications to Korea. Some of the theoretical frameworks such as elite theory, pluralist approach, statist approach, and institutional approach have been used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hink-tank. Think tanks has becom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layers of international society by actively participating 'global community of policy knowledge.' Considering those expanded role of think tanks, Korea needs to carefully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think tanks, and to engage in an active academic analysis regarding the role of think tanks. This will consolidate the efficiency of decision-making process of foreign policy, and increas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general as well.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민주화 이후 외교안보분야의 정책결정과정에서 경험하고 있는 논의 방식의 비효율성과 그 결과로서 나타나는 국론분열적인 현상을 극복하고, 국가자원의 효율적인 자원 사용과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정책결정과정을 정착시키기 위해 싱크탱크를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세계화 시대의 네트워크화된 외교환경 하에서 국민들은 각자 서로 다른 이익을 추구하고 또한 스스로의 이익 실현을 위해 정책결정과정 상의 다양한 단계에 적극 참여하게 된다. 따라서 행정부는 더 이상 유일한 외교행위자로 존재할 수 없으며, 대신 다양한 외교자원과 관련 전문가를 개발하여 외교정책결정과정의 전문성을 추구해야 한다. 정책지식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전문가 집단인 싱크탱크는 이러한 세계화 시대의 외교정책 결정과정의 중요한 행위자로 등장하였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싱크탱크라는 ‘정책연구기관(policy research institution)’을 활용하여 정책결정과정의 포괄적인 전문화를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시 행정부의 글로벌 안보전략은 이념적 정체성을 공유한 싱크탱크들과의 공고한 네트워크적 결합을 통한 결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오바마행정부의 경우 소위 제 4세대 싱크탱크 유형을 발전시키면서 전문가집단의 이해관계를 더욱 정교한 방식으로 실현시켜 나가고 있다. 최근에 와서는 세계 주요 싱크탱크간 글로벌 네트워크가 형성되면서 세계적 차원의 정책지식공동체가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글로벌 이슈에 대한 공동정책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 사회도 외교안보 관련 싱크탱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전문화된 정책지식 생산은 물론 국가의 포괄적인 외교경쟁력을 제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네트워크 코디네이터(network coordinator)’의 등장

        홍일표(HONG Il-Pyo) 비판사회학회 2009 경제와 사회 Vol.- No.83

        ‘변화’와 ‘희망’에 대한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오바마행정부가 출범했다. 이 과정에서 미국 싱크탱크들 가운데 일부는, 지금까지의 전통적 역할과 구분되는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2008년 대선 과정에서 민주당과 진보진영의 싱크탱크들은 새로운 행정부에 필요한 다양한 정책들을 제안했고(정책의 제안), 대통령 후보 경선시기부터 인수위원회, 그리고 입각까지 수많은 정책전문가들을 배출했다(인물의 제공). 특히 2003년 ‘진보판 헤리티지재단’을 내세우며 창립된 미국진보센터는, 그동안 진보진영의 오랜 숙원이었던 크고 강력한 ‘종합형 싱크탱크’로서의 위력을 유감없이 발휘하며 공화당과 보수 세력과의 정치적 대결을 피하지 않았다(정치적 동원). 그러나 지난 수십여 년 간 미국 진보진영은 각자 자기 자신의 이슈에만 골몰하면서, 조직과 영역을 뛰어넘는 ‘조정’과 ‘협력’을 이끌어내지 못해왔다. 따라서 2008년 대선 과정에서는 다양한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를 ‘조정’해낼 수 있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는 거대한 미국진보센터가 아니라, 2001년에 설립된 작은 싱크넷 형태의 커먼윌연구소에 의해 수행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헤리티지 모델’을 넘어서기 위한, 미국 싱크탱크들의 도전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라는 새로운 정치적 역할로부터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With expectations of “change” and “hope” placed on it, the Obama Administration was launched. During and after the 2008 presidential campaign of Barak Obama, some U.S. think tanks began to play a new role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the conventional roles of the past. Throughout the campaign, the Democratic Party and progressive think tanks had suggested various policy ideas that would be needed by the new Administration (Policy Suggestion). From the Presidential race to the transition period and assembling the Cabinet, think tanks provided hundreds of experts(Revolving Door). In particular, the Center for American Progress(CAP), founded in 2003 with the aim of becoming a progressive Heritage Foundation, did not avoid political confrontations with both the Republican Party and Conservative groups(Political Mobilization). CAP demonstrated its power as a large and strong “multi-issue think tank,” a long cherished hope of U.S. progressive groups. In the past decades, U.S. progressive groups were focused on their own issues and were unable to cross over organizational and issue-oriented boundaries in order to lead efforts toward “coordination” and “collaboration.” Consequently, during the 2008 presidential campaign, there was an urgent need for a “network coordinator” to act as coordinator of the various “networks of networks.” This role was not carried out by the gigantic CAP, but instead, by the Commonweal Institute, a small think tank in the form of a “think-net,” established in 2001. In order to move beyond the “Heritage Model,” the challenge for U.S. think tanks starts with the new political role of the “network coordinator.”

      • KCI등재

        과학기술분야 정부 싱크탱크의 McGann지표 평가 : 기초기술연구회와 산업기술연구회 소속 싱크탱크를 중심으로

        황윤원 한국행정연구원 2013 韓國行政硏究 Vol.22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분야 싱크탱크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조건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문제 제기에서 출발한다. 분석대상은 미래창조과학부의 기초과학연구회와 산업기술연구회 산하 25개 싱크탱크 중 23개이며, McGann지표를 활용하여 이들의 역량평가를 실시한다. 역량평가에 활용된 지표는 자원지표와 수요지표이다. 자원지표로는 재정의 수준 및 안정도를 측정하는 재정자원지표와 인력의 수준을 평가하는 인적자원지표이다. 수요지표로는 간접 확산 지표와 직접 확산 지표로 나누어 평가한다.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i)재정자원지표 평가에서 과학기술 분야 싱크탱크의 규모는 여타 공공부문 싱크탱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며, 이는 연구에 필요한 장비나 재료의 비용이 크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출연금 의존도가 낮아서 재정자립도가 높은 편이며, 연구 사업에 대한 치중도가 비교적 높고, 부채비율이 낮아 재정안정도가 높다는 등 재정지표가 대체로 양호하다; ii)인적자원지표 평가에서는 총 연구인력 규모가 매우 크며, 인력의 연구숙련도도 높게 나타났지만, 신진연구 인력의 유입비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비정규직 인력 비중이 높아 연구 인력의 안정성은 낮은 편이다; iii)수요지표 평가에서는 언론노출도가 매우 낮아서 연구물의 홍보가 미흡하고, 연구보고서, 학술행사, SCI게재 등 직접 확산노력도 그리 양호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정당 싱크탱크의 다양성과 유형화 - 선진 민주주의 국가의 경험과 한국 -

        임유진 ( Yoojin Lim ),서현진 ( Hyun-jin Seo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정당 정책연구소가 정당정치의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정당 싱크탱크의 새로운 모델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서구 선진민주주의 국가들의 정당 싱크탱크들을 독립성과 영향력이라는 두 가지 차원을 통해 유형화한다. 다음으로 선진 민주주의 국가의 다양한 싱크탱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정당 싱크탱크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한다. 특히 고전적인 정당 싱크탱크의 모델로서 미국과 독일의 사례와 함께 영국과 미국에서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새로운 정당 싱크탱크의 실험들이 포함된다. 그리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간한 『2014년도 정책연구소 연간 활동실적 분석집 현황보고』를 통해 한국 정당정책연구소의 문제점을 비교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마지막으로 한국 정당 정책연구소의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과제들과 함께 새로운 정당 싱크탱크 모델의 가능성을 탐색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search measures the Korean policy research institutes can take in order to carry out the roles that suits its establishment purpose. Based on the Policy Research Institute Analysis of Annual Activity in 2014 published by the National Election Committee in Korea,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policy research institutes through main indicators such as their annual budgets and sub-organizations. Then, we categorize the various party think tanks in the advanced democracies into four types of party think tanks, including not only the classical models of think tanks in Germany and the US, but also the new types of think tanks emerging in the UK and the US. Lastly, we suggest effective ways to overcome institutional limits and invigorate the activity of policy institutes in Korea.

      • KCI등재

        일본형 외교안보 싱크탱크 모델: 외무성의 <외교 싱크탱크와의 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오승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22 국가안보와 전략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and influence of Japan’s foreign policy think tanks, focusing on data from the expert meeting report adopted b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MOFA), the Grant for Research on Diplomacy and Security Program, and the Grant for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Support Project (Territorial, Sovereign, and Historical Research Support Project). The MOFA has presented the key agenda of Japanese foreign policy, and think tanks have organized research groups with experts in the field and conducted studies by building 1.5-track cooperation at home and abroad. Also, think tanks have collected basic data and promoted activities related to Japan’s territorial and historical issues, such as Senkaku/ Diayudao, Dokdo, and the East Sea, which are key issues and challenges in Japan’s diplomacy and security. Japan’s foreign policy think tanks are presenting “creative initiatives,” improving public opinion at home and abroad by strengthening the global network and supporting Japanese foreign policy.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Cooperation with Diplomatic Think Tanks program to determine whether Japanese think tanks can play an independent role rather than operating subordinately to the MOFA.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 외무성의 전문가 간담회 자료와 <외교·안전보장조사연구사업비보조금>사업 현황, <국제공동연구지원사업비조성금> 사업의 연구 결과 등을 중심으로 일본 외교안보 싱크탱크의 역할과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외무성은 핵심 연구주제별 일본 외교 정책의 아젠다를 제시하고 있으며, 싱크탱크들은 해당 분야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연구회를 조직하여 관련 연구를 선도하며, 국내외적으로 1.5트랙 협력을 구축하는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일본 외교안보의 핵심 문제이자 난제인 센카쿠, 독도, 동해 문제 등 일본의 영토문제와 역사문제와 관련된 기초자료 수집과 홍보활동에 싱크탱크가 적극 참여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일본의 외교안보 싱크탱크는 ‘창조적 구상력’을 제시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일본 외교정책을 뒷받침하며 국내외 여론을 조성해오고 있다. 일본형 싱크탱크가 일본 외무성에 단순히 종속되는 위치가 아닌 외교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 독립적인 역할과 기능을 지속해나갈 수 있을 것인지 외무성의 싱크탱크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