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가 심성론의 분석심리학적 해석을 위한 시론

        최일범(Choi, Il-Beom) 한국양명학회 2014 陽明學 Vol.0 No.39

        이 논문의 목표는, 유학(儒學)의 심성론(心性論)을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유학의 심성론의 본의(本意) 및 그 현대적 해석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분석심리학이란 Freud의 정신분석학의 기반위에 Jung이 구축한 현대 심리학의 한 체계를 가리킨다. 지금까지 유가의 심성론은 주로 철학의 한 분야인 인식론의 범주에서 해석되어 왔다. 다 아는 바와 같이, 인식론이란 앎이 무엇인지, 앎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앎의 조건이 어떤 것인지, 보편타당한 앎이 어떤 것인지를 연구한다. 즉 인식론이란 앎의 문제를 대상으로 하는 철학적 탐구인 것이다. 철학과 달리 분석심리학은 원래 hysteria를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진 심리치료법으로서 인지적 기능(사고의 장애), 감정적 기능(정서적 고통), 또는 행동적 기능(행동의 부적절성)에서 생기는 심리적, 신체적 고통을 개선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유가의 심성론을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자는 필자의 제의는 유가의 심성론을 현실적, 구체적, 경험적으로 인간의 심리문제를 분석하고 치료하는 학문으로 이해하자는 뜻이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유학의 심성론과 공부론이 단순히 철학적 인식론이 아니라 심리치료의 의미를 의외로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음을 설명하겠다. 그리고 유학의 심성론의 이론과 공부론, 수양론의 실천이 심리학 특히 분석심리학의 이론 및 실천과 깊은 유사성이 있음을 밝힐 것이다. 불교의 止觀공부나 禪수행은 이미 승단이라는 특수한 종교전문가 집단의 전유물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 병리현상을 치유하고 뇌와 정신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새로운 과학으로 알려져 있다. 유학의 심성론, 敬공부 역시 이와 같이 현대과학에 의해 재해석될 수 있고, 그뿐 아니라 어떤 의미에서는 불교보다 현대 과학에 더 깊은 영향을 주고 새로운 길을 밝혀줄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y to interpret the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in the point of analytic psychology and clarify the modern significance of it. It is the system of modern psychology developed by Freud and Jung that the analytic psychology in this paper mentioned. Until now,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is a part of epistemology in philosophy. But Confucianism seek realistic, concrete, and empirical world. Therefore, we have to interpret this theory for an practical aim. It is why this report assert to interpret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as a method of psychotherapy, especially in the point of the analytic psychology. Buddhistic Zen asceticism has been a new science healing human pathological phenomenon, like hysteria, and analysing the relation of human brain and mind. Why Confucian Piety asceticism should not be a new level fusion of Confucianism and modern science?

      • KCI등재

        郭店楚簡 『性自命出』의 心性論 연구

        유흔우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4 No.-

        이 논문은 <性自命出>을 儒家 心性論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유가 심성론은 크게 人 性論과 道德 修養論의 두 분야를 포괄하고 그 가운데 本體論(宇宙論)과 認識論을 포함하며, 性․心․情․天․命․道․敎․物 등등에 대한 토론을 포함한다. <性自命出>은 子思 또는 門人의 저작으로써 郭店竹簡의 儒簡 11종 14편중의 한 편이지만孟子이전의 유가 심성론의 초기 정립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五 行>․<成之聞之>․<尊德義>․<六德>과 더불어 ‘五行’(仁․義․禮․智․聖의 五德) 사상 체계를 구성하는 <性自命出>은 孔子에서 孟子에 이르는 100여 년간의 자료 공백의 문제를 복원하게 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孟子에 의해 처음으로 체계화되기 이전의 유가 심성론 사상을 가장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성론 체계가 아직 성숙되기 이전 단계의 심성론의 기본 개념들 및 관계에 관한 토론은심성론이 성숙되었을 때와 어떤 차이가 있는가 하는 문제는 매우 복잡한 것인데, 이에 따라국내외의 많은 연구자들은 <性自命出>․<中庸>․<孟子> 등의 심성론 사상 비교에 관심을 갖는다. 이들은 모두 <五行>을 사상적 근원으로 하고 서로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性’에 대한각기의 다른 해석으로 말미암아 서로 다른 사상적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性自命出>은생리적이고 심리적인 情感․欲望 등으로 ‘性’을 해석하여 告子에서 荀子로 이어지는 性惡說 의 근원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孟子 性善說의 단초도 드러내고 있다. 이런 점에서 <性 自命出>은 戰國時期 유가 인성론의 두 가지 노선의 분기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性自命出>을 분석한 것이다. 이는 戰國時代 儒家의 초기심성론을 복원하는 작업의 일환이고, 공자와 맹자 사이의 유가 심성론의 특징을 고찰하는 의의를 갖는다. This paper analyzes Xing Zi Ming Chu(性自命出) of Guodian Chumu Zhujian (郭店楚簡) in terms of Human Nature and Moral Cultivation. Specifically, this paper discusses Xin-Xing-Lun(心性論) between Confucius and Mencius, focusing on the key concepts like Xin(心), Xing(性) and Qing(情) and their relationship. Xing Zi Ming Chu contains the most philosophical contents among 11 volumes of Guodian Chumu Zhujian, along with the Wu Xing Pian(五行篇). Each provides theories of xin(心) and xing(性) that are developed in different ways. Both are presumably written before Mencius. Wu Xing Pian and Xing Zi Ming Chu can fill the gaps that are caused because of the limited amount of context in the theories of Xin and Xing (eg. Analects( 論語), Doctrine of the Mean(中庸), Book of Mencius(孟子 and Book of Xunzi(荀子)). It is almost certain that the author of Wu Xing Pian is Zisii(子 思), however there are several opinions for the authorship of Xing Zi Ming Chu: possibly Zis, Gongsun Ni(公遜尼), Shi Shi(世碩) etc. Although neo-confucianists argue that the Mencius theory of nature is in line with the Doctrine of the Mean by Zisi, there are differences. In Wu Xing Pian, the relatedness of the nature can be found from the vertues of jen(仁), yi(義), li(禮), chih(智), sheng(聖) that are inhered in xin(心). However, Xing Zi Ming Chu provides the similar account as Doctrine of the Mean, which focuses the discussion on qing(情). Hence, we have to consider Doctrine of the Mean, Wu Xing Pian, Xing Zi Ming Chu and Book of Mencius together, to reconstruct the essence of the theories of Xin(心) and Xing(性) in Confucianism.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cepts and moral cultivation in Xing Zi Ming Chu. This paper reconstructs the Confucius theories of Xin(心) and Xing(性), and clarifies that the Mencius theories of nature are in fact independent from Zisi(子思).

      • KCI등재

        맹자와 초기 선종의 심성론 비교연구

        박상현 ( Park Sang-h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5

        전통 유교 사상에서는 심성(心性)을 체용(體用)의 관계로 해석하여 심(心)과 성(性)을 불가분한 것으로 해석하기는 하지만, 동일한 개념으로 해석하지는 않았다. 반면 보리달마(菩提達磨)로부터 시작된 선종의 심성론은 전통 중국 사상에 따라 방편적으로 서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는 하지만 종래에는 심성이 서로 다른 개념이 아님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초조로부터 육조혜능(六祖慧能)에 이르기 까지 점차적으로 심성을 구분 짓는 색채가 약해짐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흐름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통 중국 철학 기반 위에서 즉, 격의불교(格義佛敎)식으로 불교 및 선불교를 설명하였지만 거기서 멈추지 않고 불교만의 색채를 찾아 갔음을 짐작케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도 불교와는 다른 중국 선불교가 새롭게 정립되었을 것이고, 그러한 일련의 과정은 동아시아 불교만의 독특한 사상 및 문화를 만드는 하나의 조각을 제공하였다. 결국 초기 선종에서의 심성론은 중국 철학적 심성론을 차용하면서도 불교적 교리에 대한 함의를 각 선사들 마다 자신만의 화법과 지혜로써 잘 녹여냈으며, 초조에서 혜능으로 갈수록 심과 성을 구분하지 않는 태도를 보여 주었다. 이에 현대 학계에서도 유교철학자들은 심과 성을 분명히 구분지어 설명하고 분석하지만, 불교계에서는 심과 성을 그다지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 또한 이러한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traditional Confucian thought, Xin-Xing (心性)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i-Yong (體用). Therefore, the heart (心) and sex (性) are interpreted as indivisible. On the other hand, Xin-Xing-Lun (心性論) in Zen Buddhism derived from Puti-Damo (菩提達磨) was initially explained with a logic similar to Xin-Xing-Lun (心性論) in traditional Chinese thought. However, gradually Zen Buddhism built their own Xin-Xing-Lun (心性論). These results can be found in the process of gradually weakening the color that distinguishes Xin (心) and Xing (性) from Da-Mo (達磨) to Hui-Neng (六祖慧能). In this process, Chinese Zen Buddhism, which was different from Indian Buddhism, would have been newly established, and such a series of processes provided unique ideas and cultures unique to East Asian Buddhism. In the end, Xin-Xing-Lun (心性論) in early Zen Buddhism adopted the Chinese philosophical Xin-Xing-Lun (心性論). However, gradually Zen Buddhism reorganized its own Xin-Xing-Lun (心性論). Therefore, even in modern academia, Confucian philosophers clearly distinguish between sex and heart, explain and analyze it, but in Buddhism, the use of Xin (心) and Xing (性) without distinction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 KCI등재

        이율곡의 『순언(醇言)』에 나타난 유도심성론(儒道心性論)의 회통(會通)

        최기훈 ( Choi Ki Hoo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이율곡의 『순언』은 『노자』를 주해한 저서이다. 그는 『노자』 중에서 원문을 선택하여 40장에 이르는 주해본을 썼다. 『순언』은 “도체(道體)―심체(心體)―수기치인(修己治人)”의 기본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구조는 실제적으로 유도(儒道) 심성론의 핵심내용을 담보하고 있다. 심성론의 견지에서 보자면 도체(道體)는 심성론의 첫번째 부분으로 도와 덕(性)의 관계를 포함하고 도체(道體)는 심성론의 이론근거를 이룬다. 심체(心體)는 심성론의 두번째 부분으로 심과 성의 관계를 포함하고 『순언』에서 심체(心體)는 허령(虛靈), 무아(無我), 무심(無心)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덕을 이룸은 심성론의 세번째 부분으로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도를 포함하고 덕을 이룸은 심성론의 확장및 목표를 이룬다. 비록 유도(儒道) 심성론간에는 상이함이 존재하지만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근본지향은 일치한다. 이율곡을 유학의 입장에서 도가를 해석함으로써 유도(儒道) 심성론의 회통(會通)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유도(儒道)간의 사상적 거리를 줄이는 학문적 논증을 시도한다. Lee Yulgok’s “Chun-yan” is a book of explaining “Lao-zi”. He selected “Lao-zi” and wrote a 40 chapter annotated version. The basic structure of this paper is "Tao-ti―Xin-ti―cultivating oneself and governing others”. This structure actually involves the core content of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in Confucianism and Tao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Tao-ti is the first phase of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ao and virtue(nature). Tao-ti i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Xin-ti is the second phase of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nature. Xin-ti has the characteristics of emptiness, selflessness, mindlessness and so on. Cheng-de is the third phase of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including the way of cultivating oneself and governing others. Cheng-de is the extension and goal of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about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the unity of man and heaven" is the same. Lee Yulgok explained Taoism with Confucianism, which showed the possibility that Confucianism and Taoism could get connected in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In this way, he resolved the ideological distance between the two schools of thought.

      • KCI등재

        정약용 심성론의 변천에 관한 연구

        정소이(Chung, So-Yi)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3 No.-

        정약용의 심성론에 대해서 기존의 연구자들은 대부분 정합적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정약용의 저작들을 전기(1784~1801), 중기(1811~1816), 후기(1822년 이후)로 분류한 뒤 심성에 관한 내용을 추려보면 그 사이에는 미묘하지만 의미 있는 변화가 없지 않다. 초기 심성론의 특징은 이황의 성리학적 특색, 즉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을 따로 상정하는 것에서 벗어나, 기질지성과 도의지성을 합한 ‘하나의 성’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실 성호학파의 기존 입장을 그대로 계승한 것이다. 중기로 가면 성이 심의 속성임을 분명히 하여, 지각의 주체가 심이 되며 성은 순선한 도심의 기호로 한정 축소된다. ‘성 기호’는 정약용이 명제화한 것이기는 하지만, 이것 역시 경기 남인들 사이에 통용되는 정서가 바탕에 깔려 있다. 말기에는 인심의 기호(形軀之嗜好)를 도심의 기호와 동등한 수준으로 끌어올려, 두 가지의 성이 있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이는 양명학과 자신을 구별하려는 의도에서 강조한 것일 뿐, 중기의 심성론과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 초기부터 말기까지 정약용은 자신의 심성론을 조금씩 수정하면서, 그의 이론에서 형이상학적 색채를 점점 지워나가려고 노력한다. 이는 또한 그가 경기 남인의 전통을 이어나가면서 동시대의 다른 학파들과 구분 짓는 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정약용의 심성론에 대해서 연구할 때는 이러한 시대적 차이점을 고려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When previous researchers interpreted Chong Yagyong’s philosophy of the unity of mind and nature, few noticed the subtle ye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distinct periods of Chong’s philosophy, namely, the early period (1784~1801), the middle period (1811~1816), and the later period (1822~1827). During the early period, Chong unfettered himselffrom Yi Hwang’s moral metaphysics, which insisted on the existence of two kinds of human nature; he instead argued for the existence of one nature having both spiritual and corporal elements. This stance shows that Chong was still in line with the Sungho School’s traditional perspective, which held human nature responsible for moral perception. Moral agency shifted from one’s nature to one’s mind during the middle period, in which Chong narrowed the function of one’s nature down as an ‘inclination for goodness.’It should be noted that the idea of human nature as an inclination was, although coined by Chong, something quite familiar to southerners in Kyunggi Province, and not something that he created out of nowhere. Although Chong emphasized in innumerous places that human nature is only singular and only good, it seems that he changed this position during the later period. Humans after all have, besides an inclination for goodness, other kinds of inclination, namely, inclinations for food, comfort, and bodily indulgence. This stance, however, was suggested in an attempt to differentiate himself from the Yang-ming line of philosophy, and should not be seen as a dramatic change in his stance from the middle period. Throughout his life, Chong went about revising, however subtly, his philosophy of mind and nature. Although metaphysical connotations were dismissed, Chong’s identity as a southerner was still preserved as he constantly distinguished himself from other schools of Neo-Confucian scholars. Before one delves into analyzing Chong’s philosophy of mind and nature, the periodical differenc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 KCI등재

        유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성론(心性論) 비교 연구

        윤용복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9 대순사상논총 Vol.32 No.-

        심성론(心性論)이란 말 그대로 인간이 지닌 마음의 본성에 대한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인간은 마음이란 것을 지니고 있는데, 그것이 과연 무엇인가, 그리고 어떤 성품을 지녔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유교의 심성론과 관련시켜서 대순진리회의 심성론을 이해하려 하였다. 유교와 마찬가지로 대순진리회에서도 마음에 관한 문제는 중요한 주제이다. 『전경』에서 제시한 마음에 대한 개념은 신과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마음이 선하거나 악하다는 전제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다만 마음은 인간과 우주의 중심이며 모든 사물이 마음에 의존하고 있다는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마음의 작용에 따라 선과 악이 드러나는 구조라고 이해된다. 『대순진리회 요람』에는 양심과 사심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양심을 공자의 인(仁), 또는 맹자의 양지(良知)로 이해한다면 보다 발전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그렇게 본다면 양심이 바로 마음의 본성이 되며 또한 인간, 또는 마음의 본성은 선하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심성에 관한 논의는 증산이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일심(一心)이라는 주제와 관련해서도 설명될 수 있다. 양심과 사심이라는 두 가지 마음을 제시하지만 본래의 마음이란 천성으로서의 양심일 뿐 사심은 허상에 불과한 것으로 성인(聖人)도 생각하지 않으면 광인이 된다는 주자의 설명처럼 자세히 살펴 그것이 허상에 불과함을 깨달아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래의 일심인 양심으로 돌아올 때 증산이 강조한 일심이 된다. 말하자면 사심이란 본래 없다가 물욕으로 인해 생겨나는 욕심이다. 인심도심론은 선진시대로부터 이후의 성리학에 이르기까지 마음을 이해하는 주요한 설명체계 가운데 하나였다. 도심은 선천적인 천성, 천리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순수하게 도덕적이고 선하다는 것이 주자의 도심에 대한 이해이다. 이에 비해 인심은 그 자체가 불선은 아니지만 감각기관에 의해 나타나는 모습과 욕구에 따라 불선으로 발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보자면 양심을 도심으로 바꾸어도 차이는 없겠으나 사심을 바로 인심으로 대치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다만 사심이 허상에 불과하다거나 아니면 마음이 정으로 드러날 때 사적인 욕심의 영향으로 드러나는가, 본래적 도심이나 양심으로 드러나는가에 따라 달리 드러날 뿐 본래 마음은 하나라고 이해한다면 가능하다. Theories on the nature of the mind aim to accurately describe the nature of the human mind. In other words, these theories are meant to discover what the human mind ultimately is and what its nature is. In this study, I try to understand the theory of the nature of the mind in Daesoon Jinrihoe in connection to similar theories in Confucianism. Like in Confucianism, the issue of mind is an important subject in Daesoon Jinrihoe. The concept of ‘mind’ as presented in ‘The Jeon-Gyeong’ is connected to gods. But in ‘The Jeon-Gyeong,’ there is no premise that the mind is good or evil. It suggests that the mind is the center of humanity and the universe and that all things depend on the mind.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good and evil are revealed according to the actions of the mind. Conscience (良心) and self-interest (私心) are mentioned in ‘Essentials of Daesoon Jinrihoe’. If conscience is understood as benevolence (仁) as spoken of by Confucius, or as Moral Knowledge in Mencius’s usage, more advanced discussion can be made. If looked upon in that way, one can conclude that conscience is the nature of the mind and thereby, the nature of humans and their minds is good. Discussions on the nature of the mind can also b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a Singularly-focused Mind (一心)’, which was frequently emphasized by Jeungsan. The two mindsets of conscience and self-interest are mentioned, but the original mind is only conscience which exists as the nature of heaven (天性). Self-interest is nothing but an illusion. As Zhu Xi explained that even if a saint (聖人) thought of utterly nothing, he would became a madman, and therefore people should look closely and realize that self-interest is nothing but a delusion. Accordingly, when returning to one’s conscience, the orignal state of a singularly-focused mind, it becomes the sort of Singularly-focused Mind that Jeungsan emphasized. In other words, self-interest is a form of greed that is born out of worldly desires.

      • KCI등재

        北宗의 心性論과 修證論 연구

        김경숙(지은) 한국선학회 2016 한국선학 Vol.44 No.-

        본 논문은 북종선의 심성론과 수증론을 논하고 있다. 먼저 심성론은 신수의 저작인 『관 심론』과 신수의 저작으로 인정 되는 『대승무생방편문』을 중심으로 논한다. 신수는 마음의 작용을 염심과 정심의 2종류로 나누고 정심은 진여의 마음이며 염심은 무명의 마음 이라고 하여 염정이심론을 설하고 있다. 그는 자기 마음이 체이고 체의 작용에는 정심과 염심이 있다고 본다. 심체가 청정함을 자각하고 지혜로써 염심을 제거하여 해탈을 얻을 수 있다고 논하고 있다. 다음은 수증론을 논한다. 남종의 하택신회는 북종선법을 온전히 점수라고 비판하고 있으나 남종선 못지않게 돈오적인 부분이 있다는 사실을 『대승 무생방편문』 등 돈황출토의 전적을 의지하여 밝히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대승무 생방편문』은 5종의 대승경전을 의지하여 체 [선정] 와 용 [지혜] 이 상즉하고 불이함을 논하여 돈오선법을 설하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theory of mind-nature (心性論) and the theory of cultivation and realization (修證論) . Firstly, the theory of the mindnature will be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Guanxin lun (觀心論) written by Shenxiu (神秀) and the Dàshèng wúshēng fāngbiàn mén (大乘無生方便門) supposed to be written by Shenxiu. He divided the two function of mind as the defiled mind (染心) and pure mind (淨心) . He teaches us the ‘two minds theory of the pure and defiled mind (染淨二心論) ’ by classifying the pure mind is the mind of Thusness (眞如) while the defiled mind is the mind of ignorance (無 明) . Shenxiu regards one’s mind is as substance (體) and that there are the defiled mind and pure mind in the function of the substance. He teaches us that the practitioners can reach liberation through realizing the pureness of mind substance and eliminating the defiled mind. Secondly, the theory of cultivation and realization will be discussed. Shenxiu focused that Northern School of Chan is not only gradual doctrine but the Northern School also has sudden character of practice, relying on the Dàshèng wúshēng fāngbiàn mén and other texts which were excavated in Dunhuang. Especially, the Dàshèng wúshēng fāngbiàn mén relying on the five kind of Mahayana scriptures explains the sudden method of meditation that substance (禪定 meditative concentration) and function (智慧 wisdom) are non-dual and inter-penetrated.

      • 우계 심성론 연구의 성과와 반성

        조장연 우계문화재단 2019 牛溪學報 Vol.37 No.-

        본 논문은 우계학의 과반을 차지하는 심성론 분야의 연구성과를 검토⋅반 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우계의 심성론에 대한 평가는 현재까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퇴계와 율곡을 ‘절충(折衷)’했다는 입장이 고, 다른 하나는 제3의 이론이라는 입장이다. 이 두 입장에서 최근까지 심 성론 부분에서 진행된 연구경향은 다양한 시각과 분석이 공존하며, 여전히 합의되지 않은 논점들이 존재한다. 이에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두 가지 측면 에서 제안한다. 하나는 문헌학적 접근을 통한 우계 심성론의 정당성을 확보 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형이상학적 명제에 대한 정합성의 문제이다. 정합성의 차원에서 심성론을 논의한다면, 단순히 이 형이상학적 명제의 특수성을 추론만이 아닌 최근의 연구 성과를 접목시키는 노력이 수반되어 야 한다. 예컨대 전통 성리학에서는 이와 기의 관계를 말과 말 탄 사람으로 많이 비유를 했다. 생각해보면 참으로 미묘한 문제이다. 이미 사람은 의지 와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것을 보면 에 은연중 목적성뿐만 이 아니라 의지를 담고 싶어 한 것 같기도 하다. 우계 심성론에 대한 평가에서 자주 거론되는 ‘折衷’은 ‘조정’이라는 의미 보다는 ‘최적화’ 또는 ‘바른 답을 구한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하여, 우계 의 철학을 대변하는 ‘절충’이라는 표현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절충이라는 용 어와 차별화할 필요를 느끼며, 그 대안으로 오해의 소지가 상대적으로 적은 ‘折中’이란 표현을 제안한다. 이 제안은 우계의 심성론이 그 자체로 정합성 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전제와 그 확인을 전제로 한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and reflect on the research achievements in Woogye (牛溪)’s theory of Human Nature. The evaluation of the psychology of Woogye is currently largely summarized in two. One is that they have compromised Toegye and Yulgok, and the other is that it is a third theory. From these two perspectives, recent research trends in psychological theory coexist with various perspectives and analyzes, and there are still controversial issues. Therefore, the research direction is proposed in two aspects. One is to secure the legitimacy of Woogye’s theory of Human Nature through a literature approach, and the other is the problem of coherence to metaphysical propositions. Discussing psychology in terms of coherence should be accompanied by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not just inferences from this metaphysical proposition. For example, in neo-confucianism, the relationship between Li(理) and Ki(氣) is much compared to the rider and the horse. This is indeed a subtle matter. For the human-being already has will and purpose. This seems to mean that he wanted to include not only his purpose but also his will. Often used in the evaluation of Woogye’s theory of Human Nature. ‘Jeol-Chung(折衷)' is used to mean ‘optimization' or ‘get the right answer' rather than ‘adjustment'. The term ‘Jeol-Chung(折衷)'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term ‘compromise', and as an alternative, the term ‘Jeol-Jung(折中)' is suggested. This suggestion presupposes and affirms that his theory of Human Nature can establish its own identity.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심성론에서 자유의지론의 문제와 윤리적 특징

        이영경 대동철학회 2007 大同哲學 Vol.38 No.-

        본 연구에서는 결정론과 자유의지 문제를 다산 심성론 분석의 틀로 삼아 다산의 인간론에 함축되어 있는 윤리적 의미를 해명하고자 한다. 자유의지론은 인간의 선천적 도덕성의 확증성 문제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주자학자들의 주장에 대해서 대립적인 입장을 취하는 논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자학적 심성론을 결정론이라고 문제 삼으면서 반박하는 다산의 자유의지론의 논거와 주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다산이 주자학의 심성론을 결정론이라고 논박하는 관점과 그의 자유의지론의 특성을 밝히면서 주자학적 심성론에 대한 다산의 비판이 완결적인 논거를 갖추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다산의 자유의지론의 윤리적 특성을 해명하였다. 다산은 도덕 선천성에 대한 주자학자들의 견해를 문제 삼으면서, 주자학의 논점은 인의예지의 덕이 인성에 결정되어 있는 것이라고 간주했다. 그러나 주자학의 심성론에서 인간의 도덕적 본성이 완결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주자학적 관점의 심성론에 의하면 인간은 어떤 경우에도 반드시 선할 수밖에 없다는 해석을 한 다산의 논점은 주자의 본의와는 다르다 하겠다. 인간의 자유의지를 역설하는 다산의 논지 중 마음의 靈明, 良知, 道心, 上帝 등의 개념에는 뚜렷한 性善的 지향성이 함축되어 있으며, 주자학을 논박하면서 자주지권을 강조한 맥락에는 도덕적 책임성의 문제가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다산은 인간이 도덕적 주체가 될 수 있는 것은 도억적 책임성의 문제를 자각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다산은 인간은 상제와의 교감을 통하여 온전한 도덕적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Dasan(Jeong yak yong) criticize the Chusi's mimd theory. Chushi insist that the human inherited 'the good nature(for instance ; benevolence, righteousness, politeness, wisdom)' just like a granule. In this point, Chusi's standpoint of mind theory is determination. Dasan assert that the Chusi's mind theory denied the responsibility in the human behavior. Dasan stressed that human don't need to cultivation of the mind according to Chusi's theory. Dasan submits free will theory that the human nature is instination of mind. Human mind inherited only the instination, so the importance of free will is stressed in the human mind. Because of having free will, human acquire the position of ethical existence. But some problem is situated in the Dasan's mind theory, those are relation to the determinism. In the strict sense, Dasan's mind theory having somewhat determinism. According to Dasan's mind theory, good nature is given to human innately. The good nature are spiritual brightness, good wisdom, innate God, righteousness mind. This good nature influence the human behavior, so we stipulate that Dasan assume somewhat the mind theory of innate good nature.

      • KCI등재

        주희 심성론의 체험주의적 해석

        장수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0 No.-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체험주의의 시각에서 주희의 심성론에 대한 경험적 재해석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주희의 심성론은 형이상학적 체계인 리기론을 근거해서 우주 본체론적 차원에서 인간의 존재, 본성, 인식, 가치 등의 문제를 확립하고 설명한다. 그런데 주희 성리학의 주축을 이루는 리기론이 은유적 구조물로서 이론적 요청의 산물이라는 것은 이러한 리기론을 바탕으로 이론적 구성을 하는 주희의 심성론에 대한 철학적 재반성과 더불어 인지적 차원에서의 새로운 해명을 제기한다. 체험주의는 최근 수십 년간의 인지과학의 탐구 성과들을 토대로 형성된, 인간의 신체화된 경험의 구조에 대해 더 포괄적이고 적절한 해명을 시도하는 철학적 시각이다. 이러한 체험주의 은유 이론에 따르면 모든 철학적 개념들과 이론들은 대부분 은유와 통속 이론들의 특수한 결합에서 비롯되며, 따라서 그 이론들 또한 이러한 은유적 구조를 벗어나지 못한다. 특히 그 은유적 구조화는 파편적인 특성이 있으며, 따라서 이렇게 만들어진 은유적 구조물은 객관성 또는 확실성이 없다. 체험주의 시각에서 볼 때 주희의 심성론은 일종의 평범한 통속 이론과 다양한 은유들의 다발들로 통합된 은유적 구조물이며, 특히 그것은 주희 성리학과 도덕 이론의 구축을 위한 이론적 요청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그의 심성론은 또한 형이상학적 특질 때문에 경험과학적 탐구 결과들과 상충하는 여러 가지 이론 남점들을 안고 있으며, 따라서 그것은 결코 인지과학의 경험적 발견에 합치하는 “경험적으로 책임 있는” 철학 이론이 아니다. 요컨대 주희 심성론에 대한 체험주의적 해명은 우리에게 그 이론적 본성에 대한 반성적 통찰을 통해 그것의 체계적 정합성과 경험적 타당성을 평가하며, 나아가 구성적인 이론화 과정에서 ‘몸의 철학’의 확장적 논의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열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