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심리적 계약 위반은 조직구성원들의 심리적 웰빙과 주관적 웰빙을 낮추는가?

        조윤형(Cho, Yoon-Hyung)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심리적 계약 위반이 조직구성원들의 웰빙(well-being)인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며, 이들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심리적 계약에 관한 이론과 더불어 긍정심리학 이론에서 중요하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행복과 연결된 조직구성원들의 심리적, 주관적 웰빙과의 연결성을 살펴보는 것은 이론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심리적, 주관적 웰빙은 조직구성원들에게는 직장에서의 삶의 질(quality of working life)이 삶의 질(quality of life)이라는 것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실무적 의의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계약 위반을 정서적 심리적 계약 위반과 인지적 심리적 계약 위반으로 구분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주효과 가설, 매개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설문은 총 557부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심리적 계약 위반은 심리적 웰빙과 주관적 웰빙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반면 정서적 심리적 계약 위반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정서적, 인지적 심리적 계약 위반은 조직구성원들의 심리적 웰빙과 주관적 웰빙을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심리적 계약 위반이 조직구성원들의 심리적, 주관적 웰빙에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심리적 계약 위반이 결과로 이어지는데 있어서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설명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ffect to employe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more specially organization-based self-esteem(OBSE) mediates relationship between those relationship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divided into emotional and cognitive factors. we build up main effect and medi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survey method are performed. total 557 questionnaires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emo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doesn’t. second, emotional and cognitiv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OBSE. third, OBSE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OBSE fully mediate between emo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ubjective well-being. also partially mediate between cognitiv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 for management and organization on reflected employee and organization relationship change and employees quality of life.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심리적 웰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직업적 웰빙의 매개효과

        량양링,김미숙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4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웰빙 수준을 파악하고, 유아교사의 심리적 웰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사의 직업적 웰빙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193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심리적 웰빙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의 우울과 스트레스로 인해 다소 열악한 심리적 웰빙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적 웰빙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심리적 웰빙, 직업적 웰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그리고 모든 하위변인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심리적 웰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직업적 웰빙의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심리적 웰빙을 중시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은 심리적 웰빙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통해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하는데 심리적 웰빙과 직업적 웰빙이 모두 중요하며, 이는 교사에게 동시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운동열정과 심리적 웰빙 및 수행만족의 관계: 심리욕구만족, 의도적 연습의 매개효과 검증

        오영택 ( Oh Young-taek ),김선욱 ( Kim Seon-uk ),양명환 ( Yang Myung-hwan ) 대한무도학회 2018 대한무도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선수들의 열정, 심리적 웰빙 및 수행만족의 관계가 심리적 욕구만족과 의도적 연습에 의해서 매개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들은 제45회 전국대학태권도 개인선수권대회에 참가한 대학부 선수들로 총 251명이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열정, 심리적 웰빙, 수행만족, 심리욕구만족, 및 의도적 연습을 측정하는 검사지를 완료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과 Amos 18.0, SPSS PROCESS Macro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화열정은 심리욕구만족, 의도적 연습 및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강박열정은 의도적 연습, 심리적 웰빙에 정(+)의 직접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심리욕구만족은 의도적 연습, 심리적 웰빙 및 수행만족에 정(+)의 직접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의도적 연습은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웰빙은 수행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조화열정은 심리욕구만족, 의도적 연습 및 심리적 웰빙을 경유하여 수행만족에 유의한 정(+)의 간접효과를 유발하였다. 다섯째, 강박열정은 의도적 연습, 심리적 웰빙을 경유하여 수행만족에 유의한 정(+)의 간접효과를 유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조화열정과 수행만족의 관계에서 심리욕구만족 및 의도적 연습의 매개역할을 지지하였다. 아울러 조화열정은 심리적 웰빙을 경유하여 수행만족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반면, 의도적 연습은 강박열정과 수행만족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of Taekwondo athletes is mediated by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intentional practice. The participants were 251 college athletes participating in the 45th Korea National Taekwondo Championships. The subjec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which measures pa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performance satisfaction,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deliberated practice. SPSS 18.0, Amos 18.0 and SPSS PROCESS Macro statistical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armonious pa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deliberated practi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other hand, obsessive passion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deliberated practi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eliberated practi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Third, deliberated practice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satisfaction. Fourth, harmonious passion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performance satisfaction through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deliberated practi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ifth, obsessive passion induce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performance satisfaction through deliberated practi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deliberated practice in relation to harmonious passion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In addition, harmony passion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performance satisfaction through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trast, deliberated practi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ssive passion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 KCI등재

        시각예술가의 성격특성이 창작환경위험요인을 매개로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서희선(Hee-Sun 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시각예술가의 성격특성이 창작환경위험요인을 매개로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SNS상 ‘서양화가, 미술작가, 개인전, 화가, 한국화가’로 검색된 계정으로, 본 연구의 취지를 안내한 문자를 발송 후 최소 3년 이상 개인전 1회 이상 활동한 시각예술가 75명의 자발적인 참여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에 회귀분석 모형에서 독립변수인 성격특성, 매개변수인 창작환경위험요인, 종속변수인 심리적 웰빙을 선정하였다. 결과 시각예술가의 일반적인 특성은 심리적 웰빙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격특성 중 외향성과 성실성이 심리적 웰빙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작환경위험요인의 하위요인인 역할모호성이 낮을수록 심리적 웰빙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하위요인들은 심리적 웰빙 수준을 설명하기에 영향력이 다소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역할모호성은 외향성과 함께 심리적 웰빙에 완전 매개효과를, 성실성과 함께 심리적 웰빙에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bel 검증 결과 상 그 효과가 유의하였다. 결론 시각예술가들은 높은 외향성과 성실성을 바탕으로, 창작환경위험요인에도 불구하고 자아수용과 자율성, 삶의 목적을 통한 심리적 웰빙을 달성하여 사회구성원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작 업무 특성상 역할 지침이 모호하고 책임 범위가 명료하지 않아 심리적 웰빙을 저해할 수 있음이 시사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visual artists' personality trai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creative environment risk factors was analyzed. Methods To this end, 75 visual artists who have been active at least one solo exhibition for at least three years after sending a text message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 account searched for ‘Western painter, artist, solo exhibition, painter, Korean painter’ on S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participation. Therefore, in the regression analysis mode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creative environment risk factors as paramete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visual artists were not significant in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among the personality traits, extro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role ambiguity, a sub-factor of creative environment risk factors, the higher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other sub-factors were found to have little influence in explaining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particular, role ambiguity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long with extraversion, and a partial mediating rol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long with conscientiousness, and the Sobel test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 was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high extro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it was found that visual artists function as members of society by achiev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elf-acceptance, autonomy, and life purpose despite the risk factors in the creative environment.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creative work, it is suggested that role guidelines are ambiguous and the scope of responsibility is not clear, which can hinder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 KCI등재

        생활체육 탁구참여자의 참가동기와 심리적웰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분석

        김종모,추문식,오연풍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생활체육 탁구참여자의 참가동기와 심리적웰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탁구동호회에서 활동하는 탁구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탁구참여자의 참가동기, 심리적웰빙 및 긍정심리자본은 하위변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탁구참여자의 참가동기는 심리적웰빙에 직·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재, 생활체육 탁구참여자의 참가동기는 긍정심리자본에 직·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체육 탁구참여자의 참가동기와 심리적웰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간접효과에 대한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생활체육 탁구참여자들의 참가동기는 심리적웰빙과 긍정심리자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이 규명되었다. 또한 참가동기와 심리적웰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간접효과, 즉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able tennis participants in sport for life. For this purpose, table tennis participants who were active in table tennis clubs in Jeollabuk-do were selected as the sample to conduct a survey. Through this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participation motiv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positively correlated among all sub-variables. Second, participation motivation had a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participation motivation had a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urth,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indirect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verified.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is the main variable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an indirect effect, or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발달장애 아동을 둔 어머니의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상용(Sang Yong Kim)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

        발달장애 아동을 둔 어머니의 행복이 곧 발달장애 아동의 행복을 가져다준다는 관점에서 만 12세 이하의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리적 웰빙 수준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웰빙의 수준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어머니들 간 편차 자체는 매우 적게 나타났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어머니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원이 많을수록, 가족응집력이 강할수록, 종교가 없는 경우에 비해 있는 경우가, 그리고,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심리적 웰빙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심리적 웰빙에 있어서 발달장애 자녀의 장애로 인한 환경과의 관련성은 적다고 해석할 수 있다. 심리적 웰빙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사회적 지원과 가족응집력은 어머니의 웰빙 증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어머니의 건강을 증진시킬 프로그램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기존의 스트레스 변인을 중심으로 한 접근법과 비교하여 볼 때 어머니의 웰빙 변인을 중심으로 한 긍정적인 접근을 시도했다는 것이다. 발달장애 어머니의 웰빙 수준을 높이는 주요 변인인 사회적 지원과 가족응집력 증진을 위한 각 가족의 욕구와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가족지원 정책이 필요하며, 나아가 이를 제도적으로 지원해 주는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을 위한 중추적인 전문화된 특화기관 설립이 요구된다. Based on the aspect that the wellbeing of the mothers who have children under the age of 12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directly affect their children's wellbeing, this study identifies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measures the level of i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level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others surveyed is in average level with a rather small variation among the surveye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t is found tha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s better, as social support increases, family cohesion is strong, they are religious, and physical health is good. These results may show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is less related to the environment itself formed by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of their children. Factors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cohesion, such as development of wellbeing-enhancing programs, give some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efforts that can enhanc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existing studies with the positive approach oriented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approach oriented to the stress of mothers. Based on this new approach and findings,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a new individual family-support policy considering each family'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eds for enhancing the social support and family cohesion, which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order to institutionalize the above findings, it is also recommended to establish a new specialized institute that can suppor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ir family.

      • KCI등재

        골프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심리적 웰빙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석규(Suk Kyu Kim),정윤덕(Yun Duk Jeong),하정희(Jung Hee 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는 골프 활동 참여자를 대상으로 참여동기와 심리적 웰빙 및 만족도,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 효과를 규명하여 골프 산업 저변확대와 대중화를 위해 현장에서 적용가능 한 실천적 합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 년 5월~6월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3곳의 골프장과 2곳의 골프연습장을 직접 방문하여 골프 활동 참여자 400명(유효표본 380명)을 대상으로 참여동기 척도, 심리적 웰빙 척도, 만족도 척도, 행동의도 척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 료는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동기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참 여동기의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이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동기가 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참여동기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동기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참여동기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웰빙이 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심리적 웰빙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심리적 웰빙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심리적 웰빙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actical agreements applicable to the field for low growth and popularization of the golf industry through analysis of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of golf players and their tendency toward satisfaction and behavior. For this paper, the subjects were 380 students in 5 golf center. Survey data was process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states, first,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Third,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 Fourth, psychological well-being for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Fifth, psychological well-being for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 군인의 개인적 특성과 셀프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오센틱 리더십, 심리적 웰빙, 정서적 웰빙이 조직웰빙에 미치는 영향

        박정화 ( Jeong Hwa Park ),유성모 ( Seong Mo Y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3 뇌교육연구 Vol.11 No.-

        본 연구에서는 군인의 개인적 특성과 셀프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오센틱 리더십, 심리적 웰빙, 정서적 웰빙의 요인들이 단계적으로 조직웰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K지역 남녀 군인과 군무원을 대상으로 212명을 조사하였고 실증분석을 위해서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분산분석 결과, 성별, 부부군인, 신분, 학력, 수입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을 부분매개로 오센틱 리더십에 영향이 있고, 심리적 웰빙이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셀프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오센틱 리더십, 심리적 웰빙, 정서적 웰빙 순서대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웰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크기는 오센틱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셀프 리더십 순이었으며, 오센틱 리더십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웰빙, 정서적 웰빙은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으나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설명력은 77.5%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심리적으로 강한 군대, 긍정적인 조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육군 인적자원개발의 정책적 제언으로서 군인의 조직웰빙에 미치는 다섯 가지 영향요인이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how personal trait, self-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uthentic leadership,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well-being with regard to soldiers have influenced on their organizational well-being by stages. For this study, 212 soldiers or army civilians in the military from K-region were investigated. Both variance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adop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of variance analysis showed that five personal traits-gender, status (army-rank), education level, inco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these were used for control variables.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well-being to authentic leadership. Based on existing research,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an order of self-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uthentic leadership,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well-being, authentic leadership was most effective for organizational well-being, then followed in an order of these three variables.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well-being on organizational well-being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we develop an improvement program of soldier`s organizational well-being in order to change the army to a psychological that these factors were important antecedents for organization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