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역교육청 실행공동체의 전개양상과 동인 탐색

        최은희(Choi Eun-Hee),권대봉(Kwon Dae-B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3

          지식경제시대 기업의 새로운 학습 전략이자 지식경영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실행공동체가 최근 공공부문에도 도입?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부문, 특히 국민과의 접점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방행정기관의 실행공동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지방공무원 실행공동체의 전개양상을 CoP의 대표적 주창자인 Wenger 등(2002)이 제시한 ‘살아있는 실행공동체 배양의 법칙’의 구현 여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자율적이며 활력 넘치는 실행공동체를 추동하는 원인을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실행공동체의 개념, 구성요소 및 배양 법칙 등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함께 교육인적자원부 산하 지방교육청에서 2006년도에 운영하였던 학교 및 관리부서의 행정직원으로 각각 구성된 8개 실행공동체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례의 실행공동체는 공통적으로 단 연도 주기의 단편적 영역 설계 위주로 조직 및 운영되었고, 공동체의 활동성과를 일정 부분 조직에 알리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행공동체의 활동 양태 및 수준은 사례마다 크게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두 개의 사례는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공동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활력 있는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 ‘자기주도적 유형’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6개의 사례는 대다수 구성원들이 실행공동체 활동을 다소 부담스러운 신규과제로 여기며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업무연장형’으로 파악되었다. 끝으로, 이와 같은 자기주도적인 실행공동체를 추동하는 원인은 교육활동 위주의 학교사회에서 소외를 경험해 온 행정직 공무원들의 내면적 갈망, 즉 모임의 욕구, 학습의 욕구, 조직의 가치 있는 일원으로 인정을 받고자하는 욕구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공직사회의 업무 구조 및 관행, 구성원의 필요와 동기 등 그 고유한 맥락에서 지방공무원 실행공동체를 조명함으로써, 이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향후 실행공동체를 공직의 토양 위에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Nowadays, communities of practice(it is marked as CoP from now on) which emerge as an organizational learning strategy and an alternative of knowledge management of companies in the global knowledge economy era, are spreading out into the public sector. However, research on the CoP in the public sector is not enough. Especially research on those in the local government, which serve the nation directly has been scarcely done so far.<BR>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oP in the local adminstration institution are being develop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cultivating CoP’ presented by Wenger(2002), one of representative advocate of them, and to find out driving forces to make communities alive. To do this, it carried out case study on the eight CoP cases composed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had worked for A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in 2006.<BR>  The study found that the CoP were operated on a yearly basis, lacking recogni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at outcomes of CoP were introduced and shared to some degree with the organization. It also found tha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activation level among CoP. Two cases of CoP showed self-directed participation of members and embodied well ‘the principals for cultivating CoP’ in community activities and the other cases deals with CoP as a newly added task in respect of elongation of their established business. Finally, the driving forces to facilitate self directed CoP was detected to be the internal needs of members who work for school as administrative staffs: need to meet each other for overcoming estrangement; need to study and grow; and need to be recognized as a full member in organization.

      • 실행공동체 활동중심의 등급제 기반 정량적 성과관리 및 보상 체계 개발 : 철강업체 사례를 중심으로

        홍대근,서의호,이수철 한국경영정보학회 2010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

        실행공동체는 지식경영의 중요한 도구로써 국내외 조직에 널리 사용되면서 실행공동체의 성과측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실행공동체의 성과를 균형성과지표 기반, 성숙도 기반의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해서 진행되어왔으나, 대부분 기업에서는 실행공동체 성과측정 에 있어 실행공동체의 전체적인 측면에 집중하거나 설문을 통한 개별 커뮤티니의 진단 및 평가를 수행 하여 지속적인 현황 파악이 어렵고 정성적인 결과만을 제시하는 한계점을 가진다. 또한, 실행공동체 운 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실행공동체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활동들을 파악하고, 이 러한 활동들의 실행 수준을 주기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미흡한 부분들을 지속적으로 개선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를 위한 기준개발 및 적용 그리고 적절한 보상시스템의 구축 및 운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행공동체 활동중심 등급제 기반의 정량적 성과관리 및 보상체계 개발을 위한 연구모형을 제안한다. 제안된 연구모형은 실행공동체 유형별 중점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평가 영역, 실행공동체 주요 활동별 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평가 내용으로 구성된다. 또한, 공동체와 구성원 관점에서 각각 활동 수준을 평가하여 등급을 부여하고, 산정된 등급에 따라서 보상을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철강업체 사례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여 실행공동체 성과측정체계와 보상체계의 효과적인 연계를 지원한다.

      • 실행공동체 활동중심의 등급제 기반 정량적 성과관리 및 보상 시스템 구축

        홍대근,서의호,이수철 한국경영정보학회 2010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

        본 연구에서는 실행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활동 수준을 자동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급제 기반의 정량적 성과평가 및 보상체계 모형을 기반으로 실행공동체 성과평가 및 보상을 지원하는 성과관리시스템(CAERS)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CAERS의 정의 및 특성을 규명하였다. 둘째, 실행공동체와 구성원 두 가지 측면에서 시스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CAERS의 주요기능, 제공할 정보내용, 정보의 가공 및 제공방법을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CAERS의 아키텍처를 모델링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CAERS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실행공동체의 성과를 진단하고 평가결과를 이용자에게 알려준다. CAERS를 통해 관리자 및 KM 팀은 실행공동체와 구성원들의 지식공유 활동 현황 및 등급, 보상 정보를 쉽게 조회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실행공동체 관리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 KCI등재

        실행공동체 참여를 통한 다중언어주의에 대한 교사 인식변화

        장은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2 한국언어문화학 Vol.1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다중언어ㆍ다중문화시대에 교사교육의 한 방안으로서 교사 실행공동체(a community of practice)의 가능성을 주장하며, 실제로 실행공동체를 구성하고 운영함으로써, 다중언어주의와 다중언어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변화를 탐구하는 데에 있다. 연구 참여자는 8명의 현직교사이며, 약 10개월간 정기적인 줌 미팅과 상시적인 온라인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질적 연구방법(의도적 표집과 맥락적 자료수집 등)을 활용하였으나 사전ㆍ사후 설문을 통해 양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실행공동체를 통한 교사들의 변화를 요약하면, 첫째, 생소한 영역이었던 다중언어주의 및 다중언어교육에 대해 지식적인 이해 및 인식 확장, 둘째, 이주배경 학생의 언어경험에 대한 인식 변화, 셋째, 언어 및 언어교육 전반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다중언어교육 실천을 위한 적극적인 태도로의 전환이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 다중언어 교사교육을 위한 실행공동체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한 신념을 공유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으로서 실행공동체이다. 둘째, 다양한 교육 환경의 이해와 간접 경험의 기회로서 실행공동체이다. 셋째, 지속적인 배움과 토론을 통해 지식과 이론적 이해에 기반한 수업 실행을 가능케하는 실행공동체이다. 이 연구에서 시간과 지속성의 한계, 참여자들의 서로 다른 환경으로 인한 협력적 문제해결의 제한과 동료코칭의 한계 등의 어려움을 발견하였으나 이는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며, 지속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실행공동체 구축을 통해 해결가능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constraints of a Community of Practice(CoP) in changing the participating teachers’ perceptions of plurilingualism and plurilingual education. Eight in-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regular and irregular online meetings for about ten months. This study adopted main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but conducted pre- and post-surveys to report the teachers’ perceptions as a group.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CoP, the teachers were foun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unfamiliar’ topics of plurilingualism and plurilingual education through learning about theories and concepts; to re-think migrant students’ language use; and, to gain new perspectives on language and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proactive attitudes towards plurilingualis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argues that the CoP showed potentials for plurilingual teacher education in that it served as: a safe space to share teachers’ uncertain beliefs; an opportunity for indirect experiences of language diversity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and, a drive to develop pedagogical professionalism in plurilingual education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The constraints of the CoP were difficulties in sustainable learning due to limited time, hesitation in critical peer coaching, and difficulties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due to the participants’ different teaching contexts.

      • KCI등재

        지식창출 및 공유전략으로서의 실행공동체(CoP: Communities of Practice)발전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최미나,유영만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지식경영의 한계나 문제점을 보완하고 인재육성의 대안적 방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실행공동체의 개념 및 특성을 고찰하고, 실행공동체의 활동 주제 영역과 발달단계에 따라 팀의 창출배경 및 목적, 팀 구성 방식, 리더 선정방법, 활동주제 유형 및 주제 선정방법, 팀 운영방식, 실행(Practice) 내용 및 공유방법, 팀원간 신뢰구축방법 등에 대한 차별적 특성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규명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는 실행공동체를 활용한 지식창출 및 공유과정을 심층분석하기 위해 우선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실행공동체의 개념과 구성요소, 발달적 특성을 규명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실제 인재육성의 한 방편으로 실행공동체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 사례를 실행공동체의 활동 주제 영역과 발달 단계에 따른 차별적 특성에 비추어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향후 실행공동체를 지식경영과 인재육성의 대안적 접근방법으로 도입할 경우, 실행공동체 발달단계별 고려해야 될 사항과 지식창출 및 공유과정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실행공동체를 도입하기 위한 처방적 지침을 마련하는 기반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conceptual definition and major features of CoP(Communities of Practices) and identify background and purpose of CoP, the ways of organizing team and choosing the leader, the method of selecting project, the ways of managing, practices itself and creating and sharing practices, the methods of building trust, leading to provide a fundamental rationale and a practical consideration for initiating CoP's character for application in Industrial education.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to examine CoP's concept, major components and developmental stages was conducted and case study to explore different features of a classified CoP according to domain of knowledge and developmental stages. CoP constructs a shared domain of knowledge, community and practice. CoP are groups of people who share a common concern, a set of problems, or a passion about topic based on trust among members of community. CoP was classified into research-oriented and production-oriented according to domain of knowledge. And CoP has a developmental pattern from the formation phase, maturation phase and to stewardship phase according. Major findings from this research were differential attributes in the areas of project issues to be tackled, the operating principles of community, the types and nature of practices, the way of building trust among members of community. Next, in the case of introducing CoP to the alternative approach to knowledge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CoP for facilitating knowledge creation and sharing process were drawn to take the practical prescriptions for future CoP implementation in the specific area. Finally,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make bridge between CoP and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was conducted, providing som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to be tackled.

      • KCI등재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영향요인이 만족도 및 학습문화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오성호(Sungho Oh),김보영(Bo-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연구는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영향요인이 공동체 활동 만족도와 조직 내 학습문화 활성화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고, 실행공동체의 성숙도에 따른 성숙 집단과 미성숙 집단의 비교를 통해 기업의 실행공동체 담당자들에게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실행공동체 영향요인을 개인요인, 상호작용요인, 지원요인, 환경요인으로 구성하고, 수집된 총 371개의 설문을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연구 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활동에 있어 개인요인, 상호작용요인, 지원요인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환경요인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행공동체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문화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활동 강화가 조직문화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구개발 직군의 경우 성숙도에 따른 집단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아 성숙도 보다는 실행공동체 내 상호작용 요인을 강화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CoP(Community of Practice) influence factors on satisfaction and learning culture activation in R&D groups.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is designed the relationship the effect factors for CoP which are consist of personal factor, interacting factor, support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 and satisfaction and the learning culture activation focused on comparing between maturity and immaturity CoP member group. It conducted an analysis based on 371 survey responses significantly. Hence, interacting, supporting and personal factor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but environmental factor was negative effect to it. CoP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culture activation. However average between two groups h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factors. At the result, interacting between member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the successful CoP development of R&D groups.

      • KCI등재

        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과 개인 및 조직성과의 관계

        이정은,김진모 한국직업교육학회 2008 職業 敎育 硏究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elements of community of practice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all member of community of practice in Korean corporate. Using the purposeful sampling technique, 530 members of 23 companie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search to collect the information needed for the study, which consisted of structural element scal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scale consisted of 5-point Likert-type. Two hundred eighty seven out of 53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 response rate of 59.8%), of which two hundred sixty nine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structural elements of community of practic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community of practice. The individual performance was explained by domain, community, and practice.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explained by domain and practice. That is individual performance will be high as the structural elements of community of practice prepared. Especially, it is important sharing and creating of the knowledge through the relationship and membership of members in individual performance.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is important to select and share adaptable topic, and share and create knowledge through the participation. And actual knowledge sharing and creation will make bett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이 연구의 목적은 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과 개인 및 조직성과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모집단은 기업체 임직원들 중 실행공동체 활동을 경험한 사람들이었으나, 이들에 대한 현실적인 접근성의 제약으로 인해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23개 기업의 실행공동체 참가자 53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실행공동체 구조적 요인, 개인 및 조직성과, 실행공동체 특성, 개인특성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내용 구조화, 전문가 검토, 예비조사를 거쳐 개발되었다. 최종 개발된 실행공동체 구조적 요인 척도는 지식의 영역 4문항, 공동체 9문항, 프랙티스 7문항으로 총 20개의 문항이었고, 개인 및 조직성과 척도는 개인성과 12문항, 조직성과 19문항으로 5점 척도로 반응하도록 구성되었다. Cronbach의 α값은 지식의 영역 0.87, 공동체 0.95, 프랙티스 0.85, 개인성과 0.94, 조직성과 0.96이었다. 자료수집은 우편조사 및 방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고, 총 287개가 수집되어 회수율은 약 59.8%였다. 이중 일부 자료는 무응답 및 불성실응답 등의 이유로 제거되어 최종분석에는 269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개인성과는 지식의 영역, 공동체, 프랙티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이들 모두가 개인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성과는 지식의 영역, 공동체, 프랙티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지식의 영역과 프랙티스만이 조직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이 잘 갖추어질수록 개인성과가 높아지며, 특히 구성원들 간의 유대감과 소속감의 향상과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지식의 공유와 창출이 개인성과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조직성과도 적합한 주제 선정과 이것의 공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지식 공유와 창출이 매우 중요하며, 개인성과를 넘어 조직성과를 항상 시키기 위해서는 실제로 지식 공유와 창출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야 한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실행공동체 구조적 요인에 대한 더욱 세부적이고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계속되기를 제안한다.

      • KCI우수등재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의 형성과정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연구

        박성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2 No.1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의 형성과 지속을 위하여 매개자로서의 사서의 필요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의 형성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문헌연구를, 실행공동체의 매개자로서 사서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공동체(CoP)는 영역, 공동체, 실천을 바탕으로 지식을 순환시키는 공동체이다. 둘째, 실행공동체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조직 내 리더와 조직 외 관리자의 중간 역할을 하며 운영을 지원하고 지식공유를 독려하는 매개자가 필요하다. 셋째, 공공도서관 사서가 발굴한 프로그램과 동아리는 잠재적 실행공동체이다. 이 잠재적 실행공동체는 참여자였던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의 수혜자가 프로그램의 제공자로 환원됨으로써 지속가능한 실행공동체로 발전한다. 넷째,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에서 실행공동체의 매개자는 사서이다. The study is to prove the necessity of librarian as the coordinator for the building and sustenance of “Community of Practice” in public libraries. Therefore, The study reviews literatures and conducts a survey how librarians think of their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Co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mmunity of Practice(CoP)” is the kind of community composed of “Domain”, “Community” and “Practice” for knowledge circulation; The coordinator neither leader in CoP nor manager outside of CoP is necessary to sustain CoP by supporting management of CoP and promoting knowledge sharing; The programs and clubs designed by public librarians are potential CoPs; The potential CoPs turn into the sustainable CoPs when the participants of programs turn into the directors of programs; It means the coordinator of CoP is librarian in case of public libraries.

      • KCI등재

        단위학교 교사공동체의 실행공동체 특성 및 참여의 기제

        조형미,김진희,나지연,김유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3

        This study interpreted the teachers’ community in a school from the viewpoint of community of practic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community and the participation factors for forming such communities so that teachers can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and research in their schools. A school in Seoul, which is actively interacting with its colleagues and open to the school's educational activities, was selected for the case study, and a surve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COP) were shared with the school's educational goals and core vision and were confirmed with the public-informal discussions about clas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at were common. In addition, we have formed a reciprocal relationship based on the trust of colleagues, and it is confirmed that teacher research study was actively explored (research) and there were applied educational activities with teachers possessing a sense of ownership of the school. Finally, program operations such as cloud systems, open meetings, and a self-training system were analyzed. We specifically analyzed the participation patterns of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 participation level of COP with respect to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the human, environmental, and performance aspects of the factors of forming a community of practice and discussed ways to support the unit school as a community of practice. 이 연구는 근무하는 학교가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공간이자 교육에 관해 연구하고 성찰하는 공간이 되도록 하기 위한 단위학교의 교사공동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이론적으로 학습을 공동체의 참여양식의 변화로 보는 실행공동체 관점을 취하였고, 단위학교의 교사공동체를 실행공동체로 간주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근무하는 학교에서 교사들이 전문성을 향상해가고있는 것으로 보이는 수도권 소재의 한 학교를 사례로 선정하고, 이 학교의 교사공동체를 실행공동체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그 특성과 참여의 기체를 조사하였다. 사례 학교 관련 보고서 및 각종 문서를 수집하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자료와 함께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행공동체의 특성으로는 학교의 교육목표와 핵심비전을 공유하고 있으며, 수업과 교육 활동에 대한 공적-비공식적 논의가 일상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호혜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고, 교육 활동을 탐구(연구)하고 적용하는 교사연구 학습이 활발하게 일어나며, 교사들이 학교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 시스템, 열린회의, 자체연수와 같은 실행이 공유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행공동체 참여의 기제는 인적 측면, 환경적 측면, 성과적 측면으로 분석되었다. 인적 측면에서는 교사의 개별적 특성과 리더십이 참여 기제로 분석되었고, 환경적 측면에서는 물리적 환경과 제도적 지원 그리고 정책이 그 기제로 분석되었다. 성과적 측면에서는 교사 개별적인 성과와 학교의 교수활동의 성과가 참여 기제로 분석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단위학교의 교사공동체를 교사의 학습이 일어나는 실행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 KCI등재

        중소기업 실행공동체 성과와 관련 변인 간의 인과적 모형

        장상윤,김진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sual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learning motivation, leader competency, top management support, and knowledge creation of communities of practices(CoP)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arget population as members of CoP in 334 SMEs who participated in 'Building a learning organization project 2011' hos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and conducted b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Consequently, a total of 305 out of 48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sed.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usal model of this study i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Second, CoP members's learning motivation, leader competency, and top management support in SMEs have direct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positively. Third, top management support has not indirect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However, top management support has indirect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leader competency. Forth, CoP leader's competency in SMEs has indirect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Fifth, top management support has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ixth, CoP member's learning motivation, leader competency, and top management support have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knowledge cre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소기업 실행공동체의 조직성과와 학습동기, 리더역량, 최고경영층의 지원 및 지식창출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는 고용노동부에서 주관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의 실행공동체 구성원으로부터 수집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485부를 배포하여 305부를 최종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기본적으로 기술통계방법과 공변량구조분석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간 인과관계 모형은 중소기업 실행공동체를 대상으로 한 실증자료를 분석하기에 적합하며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한다. 둘째, 중소기업 실행공동체 참여자의 학습동기, 리더역량, 최고경영층의 지원은 지식창출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중소기업 실행공동체에 대한 최고경영층의 지원은 구성원들의 학습동기를 매개하여 지식창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리더역량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중소기업 실행공동체를 이끄는 리더의 역량은 학습동기를 매개하여 지식창출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실행공동체에 대한 최고경영층의 지원은 실행공동체의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중소기업 실행공동체 참여자들의 학습동기, 리더역량, 최고경영층의 지원은 지식창출을 매개하여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