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제성` 제고를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 활용의 원리 고찰 - 『세종한국어』의 대화문을 중심으로 -

        이윤진 ( Lee Yun-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7 국제어문 Vol.0 No.72

        이 글은 국외의 폭넓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표준 한국어 교재를 사용할 때의 `실제성` 제고 원리에 관심을 두고 전 세계 세종학당의 주교재인 『세종한국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논의이다. 이 글이 갖는 실제성 관련 앞선 연구와의 차별점은, 한국어 교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교재의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성 구현을 위한 `교재 활용` 원리를 중심으로 고찰했다는 데에 있다. 실제성은 목표어의 교수·학습에 있어서 교실이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및 활동이 `교실 밖 세계`로 나갔을 때 학습자에게 얼마나 의미 있는가와 직결되지만, 실제성의 추구가 곧 언어 교육을 이루는 모든 사항(자료, 내용, 방법 등)들이 실제적이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실제성에 대한 기존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수용하는 입장에서 이 글이 『세종한국어』의 대화문에 특히 주목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문 자체를 익히는 것만으로도 학습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이끌어내고 목표어의 `실제적 대화`를 접하며 `실제 구어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하는데 국외의 한국어 교육 상황과 학습자 변인이 천차만별이라는 점, 두 번째로 한국어 비원어민 화자인 현지인 교사가 이상적인 한국어 교재 활용을 실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다인수의 한국어 교실의 경우 표현 교육 수업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를 고려해 볼 때 교재 활용 원리 모색은 매우 절실하다. 이 글의 3장에서는 실제성 제고를 위한 대화문의 활용 원리를 크게 `대화 참여자`, `상황 맥락`, `대화 구성과 내용`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 한국어 학습자가 스스로를 교재 속 대화 참여자 중 한 사람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능동성을 유도하고 (2) 대화문의 상황 맥락을 `현지의 한국어 사용 가능 장소`나 학습자의 입장에서 방문 가능성이 있는 한국의 구체적인 장소를 가정하여 학습 동기를 높이며 (3) 대화 구성과 내용을 학습자의 현실과 가장 근접한 어휘나 정보로 교체하여 현실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사소한 배려와 교육적 의도가 학습자로 하여금 목표어인 한국어로 `홀로서기`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이어서 이 글의 4장에서는 교재 대화문의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교사가 어떤 변형을 고려했을 때 좀 더 학습자 중심의 교재 활용이 가능할 것인가를 보여주는 몇 사례(식당에서 주문하기, 고향/지역 소개하기)를 논하였다. 실제성 제고를 위한 이상적인 교재의 활용은 교육 현장의 교사에게 치밀한 계획과 보이지 않는 조작을 끊임없이 필요로 한다. 이것이 바로 교재 자체의 중요성 못지않게 교재 활용의 측면이 간과되어서는 안 되는 까닭이며 본고를 통해 이러한 사실이 부각되었기를 바란다. 교육 현장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실제성 관련 논의가 후고에서도 더욱 폭넓고 심도 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authenticity of using standard Korean textbooks in the various Korean education field overseas, based on < Sejong Korean > which is the main textbook used worldwide in Sejong Korean language institutes. This article distinguishes itself from previous ones in that it focuses on making efficient use of the textbook to enhance authenticity, rather than analyzing or improving the classroom materials. Authenticity is directly related to the extent that learners find the learned knowledge of target language valuable, in the world outside the classroom. However, pursuing authenticity does not mean that the teaching methods used in the classroom, such as text materials and covered topics, should all be practical. Thus taking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authenticity, this article mainly targets the dialogues of < Sejong Korean >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practicing the dialogues should familiarize the learners with spoken language,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erefore induce them to talk about themselves using the learned language, but the environmental, individual variables of the learners around the world are far from being homogeneous. Second, it is no easy matter for the local teachers who are not native speakers of Korean, to make the full use of the textbook especially when there are various restrictions in large classroom settings. In the third chapter of this article, principles on raising authenticity of the textbook dialogue use are suggested in three regards: dialogue participants, situational context and the content of the dialogue. (1) Suggesting the learners to think of themselves as the dialogue participants given in the textbook, to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2) Modifying the situational context of the dialogue to more likely settings that the learners might find themselves in, such as a trip to Korea or a visit to a nearby Korean speaking place. (3) Substituting the vocabulary and information used in the dialogue with the on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learners, considering individual and regional differences. It is assumed that these small changes sprang from educational intent and consideration for the learners will facilitate them to stand on their own using the target language. In the following chapter, a few examples of dialogues in which relative modifications were made while maintaining the core structure are demonstrated (e.g. ordering at a restaurant, introducing one`s hometown). Ideal use of the textbook to raise authenticity requires the teachers in the field to plan constant and careful coordina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ere needs to be no less attention towards the use of the textbooks than the textbook itself. This article accentuates the importance of authenticity issue, and urges extensive and thorough investigation in the same regard.

      • KCI등재

        중등교사의 스마트기기 수업활용요인과 성별, 연령, 경험의 조절효과 분석

        정현민 ( Hyun Min Chung ),이정민 ( Jeong Min Lee ),조보람 ( Bo Ram Ch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UTAUT(통합기술수용모형)를 바탕으로 중등교사의 스마트기기 수업활용에 관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 수업활용의도와 실제활용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성별, 연령, 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고등학교 교사 304명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을 진행하였고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 수업활용에 대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은 수업활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촉진조건 및 수업활용의도는 실제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은 수업활용의도를 매개로 실제활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조적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연령은 촉진조건-실제활용 경로만 유의하였고, 그 외 경로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경험은 촉진조건-실제활용, 활용의도-실제활용 경로에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스마트기기의 수업활용 촉진을 위해 교원연수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성공적인 수업사례, 활용사례, 컨텐츠를 공유하고 이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연령, 경험 정도에 따라 차별적인 전략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 smart device usage intention, and actual behavior in secondary classrooms with teacher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moderator effects of gender, age, and experience. In order to examine this purpose, 304 second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and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s a result, the proposed model acceptable with a good fi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between factors. The specific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significantly affected smart device usage intention; second, facilitating condition and smart device usage intention significantly affected actual behavior;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smart device usage intention was significant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actual behavior;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as not signifiant on all path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between facilitating condition and actual behavior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would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to facilitate smart device usage intention and actual behavior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평생학습 측면에서 본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의 활용방안 고찰

        김영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5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pplications of school age evidence-based transition education practices for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independent living by person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from perspectives of lifelong learning. School age evidence-based transition education practices refer to the aspect of teaching method, and they include teaching strategies and techniques utilized by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in the scope of transition education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ce. This study granted the values to school age evidence-based transition education practices based on the aspect that emphasizes the needs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develop independence under the life cycle support system in which school age is connected to adulthood. Literature review was used as the method of study, and components of teaching strategies and teaching techniques included in school age evidence-based transition education practice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by collecting data from different types of previous studies (ex: literature review, survey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In addition, as this study examined school age evidence-based transition education practices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for independent living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mponents of teaching on the lifelong learning aspect (e.g. basic independence adaptation, vocational adaptation) were also analyzed and used as secondary grounds for school age evidence-based transition education practice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Furthermore, this study formed the basis to examine the final study results analyzed in regards to school age evidence-based transition education practices, focusing on the four aspects to be focused by adult learners in performing independent learning compared to school age learners. As the results, mutually connective procedure was considered in the order of integrative application, self-directed application, individual application and generalized application. 본 연구는 평생학습 측면에서 발달장애인이 자립생활을 습득 및 관리하기 위하여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란 교수방법의 측면을 의미하며, 발달장애학생이 자립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전환교육프로그램의 범주에서 활용한 교수전략과 기법들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이 학령기와 성인기가 연계된 생애 주기별 지원체제 속에서 자립능력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측면에 입각하여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에 가치를 부여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로 실시되었는데, 다양한 유형(예: 문헌연구, 조사연구, 실험연구 등)의 선행연구 자료들을 수집함으로써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에 포함된 교수전략과 교수기법의 구성요소들을 추출 및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평생학습 측면에서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를 고찰하므로, 그 평생학습 측면에 대한 교수내용(예: 기초자립적응능력, 직업적응능력)의 구성요소 역시 분석하여 연구목적의 주된 대상인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의 연계적이고 부차적인 근거로 활용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가 학령기 학습자에 비해 자립 학습을 수행하는데 비중을 두어야 할 네 가지의 측면들을 중심으로, 학령기 증거기반 전환교육 실제와 관련해 분석된 결과들을 최종적으로 연구결과로써 고찰할 토대를 형성하였다. 결과적으로, 상호 복합적인 절차에서 통합적 활용방안, 자기 주도적 활용방안, 개별적 활용방안, 일반화 활용방안과 같이 네 가지를 고찰하였다.

      • KCI등재

        UCR활용수업의 실제학습시간 및 소실된 수업시간 분석

        백제은 ( Je Eun Baek ),김경현 ( Kyung Hyun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5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8 No.3

        수업시간의 적절한 분배와 활용은 효과적인 수업의 필수 조건이며 기본 조건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수행된 UCR(User Created Robot)활용수업 관련 연구 중에서는 수업시간에 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UCR활용수업 수행을 위하여 UCR활용수업의 실제학습시간과 소실된 수업시간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4학년 통합학급 학생 3인을 대상으로 집중관찰을 실시하였고 UCR활용수업 전·후에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UCR활용수업은 일반수업에 비해 실제학습시간이 적게 나타났다. 또한 UCR활용수업에서 소실된 수업시간의 대부분은 로봇매체를 준비하거나 정리하는 시간으로 활용되었고, 일부는 학생들의 수업무관 행동 및 비집중 하거나 외부의 영향으로 수업시간이 소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Appropriat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learning time in class are regarded as essential and basic conditions for successful education. Nonetheless, among studies about UCR(User Created Robot) based instruction so far is difficult to find the research related to the class. For these reasons, we attempt to analyze the ALT(Actual Learning Time) and unuse of learning time in UCR based instruction. For these purpose, we observed three students who were with third and fourth grade integrated class of elementary school and interviewed the teachers at pre-post clas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UCR based instruction present lower ALT than traditional classes. (2) Most of the unnecessary time used in their classes tend to be used in preparing and arranging the robot module, a little is used unnecessarily because of the students`` unrelated behaviors for their learning, decentralized behaviors and other external influences.

      • KCI등재

        초등교사의 AI활용교육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김소망 ( Somang Kim ),이정민 ( Jeongmi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UTAUT모형을 기반으로 초등교사의 AI활용교육에 대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수용의도, 실제수용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성별, 교직경력, 담당학년, 사전실행경험의 조절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초등학교 교사 273명이 참여하였으며, 제안된 모형을 검증하고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이 AI활용교육의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수용의도는 실제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수용의도의 간접효과는 수행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 실제수용 사이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전실행경험의 조절효과는 모든 경로에서 유의하지 않았지만, 촉진조건과 수용의도 간에 성별, 교직경력, 담당학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또한 노력기대와 수용의도 사이에서 담당학년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AI활용교육의 수용의도와 실제수용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초등교사가 AI활용교육을 지도할 때 수업의 성과를 향상시키며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유용할 것이라 생각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간구해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교사가 AI활용교육을 지도할 때 개개 교사가 소속된 학교 구성원의 AI활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함께 키울 수 있는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AI활용을 위한 조직적, 기술적 및 인적 지원의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제언을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AI활용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전략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s, and facilitating conditions,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age intention and actual usage of ‘Learning with AI’.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d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teaching experiences, grades, and prior experience. To examine this purpose, 273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participat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and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s a result, the proposed model was acceptable with a good fi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rect effects between factor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s, facilitating conditions significantly affected usage intention of ‘learning with AI’; second, usage intention significantly affected actual usage; third, the indirect effects of usage intention were significant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s, facilitation conditions, and actual usage;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experience was not significant on all path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teaching experiences, and grade between facilitating conditions and usage intention were significant. In addition, between effort expectancy and acceptance intention was moderated by grade.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practical guidelines to facilitate ‘learning with AI’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교 정규교과에서 로봇활용수업 적용 사례 연구

        박정호(Jung-Ho Park),조혜경(Hye-Kyung Ch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8

        본 논문은 초등학교 정규교과에서 로봇활용수업의 효과 분석을 위해 교과별 목표 달성에 적합한 로봇 및 PC연동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수업적용을 통해 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후 이미지 프로파일의 대부분의 항목에서 로봇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으며 특히, '이론적-실천적', '비협동적-협동적' 두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p<.05). 또한 학습자가 그린 사후 이미지 분석 결과 사전에 비해 구체적인 학습상황과 연계된 로봇 이미지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로봇활용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면담결과 로봇의 직 간접 체험 모두 긍정적인 학습참여를 유도하고 실제적 학습경험을 제공하였다고 나타내었다. 또한 로봇활용수업을 통해 모둠 구성원과 자연스러운 협력활동이 관찰되었고 학생들도 동료와 협력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로봇활용 교육이 새로운 학습 패러다임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n using robots in elementary regular classes. The robots and PC-linked applications were developed considering the school subjects' academic goals and the learners' responses were carefully examined while applying the robots in the class. The image profile after the robot application shows positive feedbacks in most of the contents an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ntents such as 'theoretical-practical', 'uncooperative-cooperative'(p<.05). Moreover, the analysis on the learners' image drawings shows that more robot images are formed related to the concrete learning environment. The learners have answered in an interview to evaluate their understanding of Robot based instruction that both direct and indirect robot experience induce positive participations and provide authentic learning experience. During the robot based instruction, the learners cooperate with their group members and recognize the cooperation as a positive activity. It proves that the robot based instruction can lead to a possibility of new education paradigm.

      • KCI등재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교사의 바람직한 역할

        한춘희(Han, ChoonHee),이경윤(Lee, kyungYoo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4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이 정립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교사의 바람직한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보다 실제적인 과제를 학생들에게 부과하고, 이를 통해 학생이 스스로 자신의 앎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은 단순히 디지털교과서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수용적으로 받아들이고, 웹검색을 통해 정보를 얻고 파워포인트 등의 저작물을 얻는 활동에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실제적 과제를 부과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교과서만 제공한다고 하여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저절로 향상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여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전략은 교사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 증진, 적절한 스캐폴딩의 제공을 들 수 있다. 셋째, 교사는 TPACK을 형성해야 한다. 즉, 교사는 디지털교과서 도입으로 인한 교실 상황의 변화를 인지하고, 이러한 상황의 변화와 학생들의 디지털리터러시 수준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를 꾀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desirable role of teachers in social studies class using digital textboo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ssign more practical challenges using digital textbooks to students. Through this challenge, the teachers make students should be able to create their knowledge by themselves. Social studies classes utilize digital textbooks currently being done is simply to accept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igital textbook as receptive, to obtain information through a web search activity was only getting a work such as PowerPoint. Therefore, teachers should assign practical challenges to the students to create their own knowledge more actively using the digital textbook. Second, teachers should use appropriate strategies to help students improv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using digital textbooks. Third, teachers should form the TPACK. Teachers are aware of the changing situations in the classroom due to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xtbooks and should seek a change in the way teaching and learning considering the students’ digital literacy levels.

      • KCI등재
      • KCI등재

        리더의 유머활용이 집단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윤형(Cho, Yoon-Hyung),방호진(Bang, Ho-Jin) 한국외식경영학회 2017 외식경영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67개 국내 레스토랑 프랜차이즈업체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리더의 유머활용이 집단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실증 분석하였다. 리더의 유머와 관련된 기존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리더의 유머 활용은 조직구성원들이 인지하는 집단성과 및 실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가설이 도출되었고,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통계적으로 지지되었다. 또한, 리더의 유머활용은 집단의 직무요구 수준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것이라는 비선형 조절 효과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차항회귀분석과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반응표면분석 결과, 직무요구의 비선형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직무요구가 적절한 수준보다 높아질 경우 리더 의 유머활용이 집단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감소됨을 의미한다. 이후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use of humor and group performance with the non-linear interaction effects of job demand. Using a sample group(411 employees from 67 group) from Korean franchise restaurants, Our study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use of humor and perceived group performance, and between leaders’ use of humor and actual group performance. Moreover, we found curvilinear moderation effect of job demand between leaders’ use of humor and perceived/actual group performance through response surface analysis. We used response surface analysis on the results of polynomial regression, since we assumed that those relationships could be essentially curvilinear.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of use of humor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철학 : 퇴계 공부론의 실제활용과 그 의의

        강진석 ( Jin Seok Ka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한국 철학논집 Vol.0 No.39

        퇴계의 거경 공부는 정좌와 독서라는 실제적인 방법 속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발현되었다. 그는 주자에 비해 정좌의 형식을 더 중시했는데, 그 중에서도 위좌(危坐)의 형식이 더욱 강조되었다. 정좌와 독서는 퇴계가 가장 즐겨 행한 실천 방법이었다. 그러나 정통 주자학의 입장과 다르지 않게 퇴계는 정좌와 독서가 하나의 목적이나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장하지 않았다. 공부의 궁극적인 목표는 나 자신의 편벽된 기질을 변화시키고, 의리를 궁구하고 마음을 함양하며, 사물을 대하는 데 있어서 절도에 맞게 행동하는 것이었다. 이밖에 퇴계는 심신의 수련과 치료, 그 중에서도 특히 육체의 질병을 치료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차원에서 부분적으로 도인술을 활용했다. 퇴계의 기록들로 볼 때, 그는 적어도 안마법과 호흡법에 정통했다고 말할 수 있다. 퇴계의 공부론은 주자 공부론에 비해 형식적인 면이 강조된 측면이 있고, 거경의 공부가 더 광범위하게 해석되어 적용된 측면이 있으며, 도인술과 같은 비정통적 공부론을 배격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도입하여 보완적인 요소로서 활용한 데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T`oegye placed great emphasis on the cultivation of quiet-sitting. His idea of quiet-sitting, like Zhu Xi`s, had various therapeutic effects as well. This can be highlighted as a real-life practice and a diverse application of the “abiding by Gyong” that he stressed; it is also associated with the treatment of physical diseases, composure in the mind, the benefits of reading, meditation in solitude, and many other areas. And We can easily infer that T`oegye would have set some premises before referring to Hualin Simbang. First, he would have been wary of quiet-sitting being the goal of cultivation: Too much obsession with and emphasis on Toinsul would actually obstruct the practice of “abiding by Gyong” and mislead one`s effort for the “preservation and nourishment of the mind” and “reflection and examination.” T`oegye would have probably used the physical and breathing exercises in Hualyin Simbang mainly as a reference to treat his physical illnesses. Also, his Toinsul would have been employed independently and partially as a sort of supplementary practice-without being used in parallel with quiet-sitting as one of the methods to achieve reverent seriou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