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실용음악계열 학과의 개설 행태

        이정선(Lee, Jung Sun) 한국대중음악학회 2013 대중음악 Vol.- No.12

        실용음악교육이 한국 대학에서 시작된 지 20여 년이 지난 지금은 41개 전문대학과 30개 대학 등 70여 개의 대학에 실용음악계열 학과 (전공)가 개설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일반화되어가고 있는 용어인 실용음악의 의미를 찾아보고, 대학 실용음악학과의 시작과 그 변천과정, 그리고 학과 개설형태를 2 년제 대학과 4 년제 대학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실용음악을 교육하는 학과의 개설형태를 다음의 세 가지 패턴으로 구분하다. 1) 처음부터 실용음악학과로 개설되었거나 다른 명칭의 학과에서 실용음악계열 학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 기존의 음악과나 생활음악과의 내부전공으로 실용음악 전공이 개설되었다. 3) 내부전공에서 발전하여 실용음악과로 확대발전하였다. Since “Applied Music” education began in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20 years ago, currently 41 colleges and 30 universities offer degrees in “Applied Music”.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the etymology and evolution of the term “Applied Music“, the history of college-level education of applied music, and the survey of the program structures in the present college/university system. In this study the academic structures of applied music programs in colleges are categorized into 3 types: 1. Departments specifically designed and designated as “Applied Music” from the inception, and those changed the title to “Applied Music” only later. 2. Programs began as a part of the existing music department and still operate as such fashion. 3. Departments began as the complementary programs (as in type 2, above) and eventually developed into the independent “Applied Music” departments of the present.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실용신안제도의 혁신 - 한중일 실용신안제도의 비교를 통하여 -

        이승주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8 동북아법연구 Vol.12 No.1

        실용신안제도는 우리 산업발전사에서 나름대로 역할을 다 해왔고, 이를 통해 많은 중소기업 및 개인 발명가들이 제도의 혜택을 받았다. 그러나 소위 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과 더불어 기술의 고도화 및 제조업 환경의 변화로 인해 실용신안제도의 실효성 에 대해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가 국내 실용신안출원 및 등록의 급격한 양적 감소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실용신안제도가 갖고 있는 한계의 극복과 활성 화 방안을 모색해보고, 급변하는 지식재산 생태계에 적합한 실용신안제도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실용신안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실용신안권의 가치를 증대시킴으로써 발명자들이 실용신안제도를 보다 더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 방안으로 실용신안권의 보호대상을 그동안 비보호대상이었던 물질이나 방법발명 등에도 확장시키고, 보호기간도 연장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기업 등의 실용신안출원을 제한하고 중소기업이나 개인발명자 위주로 실용신안제도를 재편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끝으로 발명자의 선택권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하여 한 번의 출원으로 특허/실용신안 등록가능여부를 통지해주는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술 환경 및 발명자의 인식 변화로 인해 실용신안제도의 활용도는 지속적으로 낮아 질 것으로 예상되는 바 혁신을 도모하고 4차 산업혁명의 시대성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보다 일관 되고, 이용하기 편리하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특허제도로의 통합이 필요하다. The utility model system has played its part in the history of industrial development, which has benefited many SMEs and individual inventors. But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ffects of the utility model system have been highly questioned due to the elevation of technologies and changes in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The results are seen as a sharp reduction in the number of utility model applications and registrations in Korea.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ways to overcome and activate the limitations of the system, and to look at the utility model suitable for the rapidly changing intellectual property eco-system. First, it is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utility model so that the inventor can use it more actively. As a measure, it is desirable to expand the protection targets of the utility model to include the invention of substances and methods that had been subject to protection, and extend the protection period. It may also be possible to restrict the application of large companies to utility models and to enable them to be used mainly by small businesses and individual inventors. Finally, to ensure the maximum choice of the inventor, it introduces a system that informs the user of the possible registration of a patent / utility model in a single application. However, as the use of the utility model is expected to be continuously decreased due to changes in the technology environment and the inventor’s perception, it is recommended that patent and utility system should be unified for the inventor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KCI등재

        실용신안 권리보호에 대한 중국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의 유효성 연구

        호효림(Hyo-rim H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1

        중국의 실용신안은 발명 특허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신청기한이 짧고 수권속도가 빠르며 발명 특허와 마찬가지로 독점권이 있어 기업이 빠른 속도로 시장을 선점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실용신안권은 실질 심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이 낮은 편이고 무효 기각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발명특허보다 보호에 어려움이 있다. 중국은 국내 중소기업의 발명과 창조 활동을 적극 장려하고 자국의 실용신안을 보호하기 위해 실용신안에 특허권평가보고와 비슷한 특허보호정책을 제정하였고 특히 특허침해소송 시 특허권평가보고를 근거로 삼아 실용신안 특허권자와 특허권 권리분쟁의 당사자를 사법적으로 구제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 많은 전문가들은 특허권평가보고 제도를 구축함으로서 실용신안 특허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피고가 답변기한 내에 특허권 무효심판요청 시 특허권평가보고가 실용신안 특허권에 신규성, 진보성의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거나 특허권이 안정성이 없다고 기록하지 못할 상황에서 법원은 심판을 중지하지 않고 재심사위원회의 특허권 무효심판 결정의견을 기다리지 않아도 되어 사법 절차의 효율을 높이고 특허권자의 권리유지 시간을 가속화하는 데 유리하다. 그러나 실질적인 특허권 침해 분쟁에서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와 무효심판제도는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본문에서는 현행 중국의 실용신안제도를 분석하고 한국의 실용신안제도와의 비교를 통해 중국의 특허권평가 보고서제도의 본질과 역할을 확인하고 실용신안 특허권 침해 소송의 실제 사례를 통해 특허권평가보고의 결과로 인한 변수를 분석하여 특허권평가보고와 무효심판이 충돌하는 실질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의 유효성과 권리 보호를 위한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의 활용에 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China’s utility model as a supplement to the invention patent, has short application duration, fast authorized speed, and has the same exclusive rights with patents, so companies can quickly dominate the market. But the utility model does not need to carry out substantive examination, so has lower stability, high frequency of invalid to accepted, so compare with the invention patent, difficult to be protected. In order to actively encourage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promote their inventions, and protect domestic patents, China established a protection policy of patent evaluation report for the utility model rights, especially the patent evaluation report can be used as evidence in a patent infringement trial, to provide judicial remedies for utility model patentee and the party of patent disputes. Many experts believe that the establishment of patent evaluation report system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utility model patent right, and when the defendant request for invalidation of the patent right in the defense period, if there is no novelty, creativity lost or no other reason has not led to the stability of patent right given in a patent evaluation report of the utility model patents, the court may not suspend the trial, without having to wait for the Patent Reexamination Board makes the patent invalid declaration decisions,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judicial process, accelerate the patentee’s time. However, in practical patent infringement, the patent evaluation report system and invalidation system are in conflict. In this pap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hina utility model system and compared with the South Korean utility model system, review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patent evaluation report system, and through the actual cases of the utility model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analysis possible variates from the decision of patent evaluation report, to find out the reason of the patent evaluation report system being in conflict with the invalidation system, and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for protecting Utility Model with China’s Patent Evaluation Report.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실용음악 예술분야 지원제도 거버넌스에 대한 소고

        안영희(Ahn Younghey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실용음악 예술분야 지원제도 거버넌스 중 문화기본법 관점에서 살펴본 지방자치단체실용음악 예술분야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지방자치단체별 실용음악 산업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인 실용음악관련 문화 예술분야의 정부와 지 자체 간 재정관계 구축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현재 지방자치단체의 실용음악 문화 예술분야에서 추진 중인 주요 정책과 향후 전반적 문화 예술분야의 정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고하는데 기초자료로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지방자치단체의 시장성 있는 실용음악에 대한 공감에 비해서 각 시 도별 문화재정에 관한 세입구조는 지역 간 문화격차의 심화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의 개선을 위하여 교육적영역에서 지방자치단체는 음악산업에서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다양한 실용음악 전공 커리큘럼을 신설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지속가능한 실용음악 발전을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지방자치단체의 실용음악진흥원 등과 같은 중간 매개체와의 안정적인 연계가 구축되어야 함을 보고하였다. 이러한일련의 실용음악관련 문화 예술분야의 정부와 지 자체 간 재정관계 구축을 통하여 지역 음악 생태계의 차이를극복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governance of local governments practical music and arts secto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ramework Act on Culture among the governance of the local governments’ practical music and arts support system and the status of the practical music industry by local governments. Through this, a direction for establishing a stable finan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related to practical music was suggest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was intended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policy effectiveness of the major policies currently being pursued in the field of practical music culture and arts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overall culture and arts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ompared to the local government’s sympathy for marketable practical music, the tax revenue structure for each city/province had the potential to deepen the cultural gap between regions. In order to improve this, in the educational field, it was suggested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a new curriculum for various practical music majors that are practically required in the music industry. It was also reported tha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practical music by local governments, a stable linkage betwee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local governments, and intermediaries such as the Practical Music Promotion Institute of local governments should be established. This series of practical music-related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raised the need to overcome the differences in the local music ecosystem by establishing a finan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비교법적 관점의 小발명 보호 제도 검토 - 주요국의 실용신안제도를 중심으로 -

        손승우 한국지식재산학회 2020 産業財産權 Vol.- No.63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61개국에서 ‘小발명(micro-inventions)’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서 특허제도와 유사한 체계를 갖춘 ‘실용신안 (utility model)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그 구체적인 태양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기존 제품을 개량하는 등 일정한 창작성 을 갖추었나 그 개량의 범주가 사소하여 특허의 보호요건을 충족하 기가 어려운 경우에 그러한 보호를 하고 있다. 각 국가에서 실용신안 제도를 도입하는 주요 목적은 자국의 중소기업이나 개인발명가들의 小발명을 보호하고 장려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실용 신안제도는 특허보다 더 완화된 보호요건과 간소한 등록절차를 둔 반면 짧은 보호기간을 부여한다. 반면, 실용신안은 일반적으로 단순 한 형식심사만으로 등록이 가능한‘선등록 후심사 정책’의 시행으로 불필요한 실용신안권이 창출될 수 있고, 또한 법적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실용신안제도는 근본적으로 특허제도와 차별성이 부 족하고 잦은 분쟁 등으로 잘 활용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특허·실 용신안 출원 건수 중 실용신안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9%에 불과할 정도로 활용률이 낮아 동 제도의 존치 여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이 글은 소발명을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제대로 수 행하지 못하는 현 제도의 전면적인 개편의 필요성을 위하여 주요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실용신안제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글은 실용신안의 활성화를 위하여‘권리의 신속한 획득’과 ‘권리 행사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호주의 혁신특허와 같이 신규성만을 심사하는 방안은 시사점을 준 다. 또한, 실용신안의 진보성 기준을 특허와 확실히 차이가 나도록 새롭게 정립하는 것이 중요한데, 호주의 혁신특허에서 ‘혁신성 (innovation step)’이라는 요건을 만들어 진보성보다 현저히 낮은 기준 을 정립하는 방안을 지지하는 바이다. 그 밖에도 ‘실용신안’이라는 명 칭을 ‘실용특허’로 변경하여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거나, 실용신안의 대상을 현재 물품발명에서 생산방법발명이나 물질발명 까지 포섭하도록 확대하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As a system to protect 'micro-inventions' in 61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the 'utility model system', which has a system similar to that of the patent system, is in operation. Although the specific aspect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it basically has certain creativity, such as improving existing products, but it provides such protection when it is difficult to meet the protection requirements of the patent due to the minor category of improvement. The main purpose of introducing a utility model system in each country is to protect and promote the small inven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r individual inventors in their country. Therefore, in general, the utility model system provides a shorter period of protection while providing a more stringent protection requirement and simpler registration procedure than patents. On the other hand, the utility model has the disadvantage that unnecessary utility model rights may be created and legal stability may be deteriorat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registration post-examination policy', which can be registered only by simple formal examination. Korea's utility model system is fundamentally lacking in differentiation from the patent system, and is not well utilized due to frequent disputes. Recently, the proportion of utility models in the number of patents and utility model applications was only 2.9%, and the utilization rate was low enough to raise the fundamental problem of whether the system remained or not.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compared and analyzed the utility model system operated by major countries for the necessity of a thorough reorganization of the current system, which does not function properly to protect small invention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system needs to be changed in order to revive the utility model and to 'quickly acquire rights' and 'convenience of right'. In particular, a method to examine only novelty, such as an Australian innovation patent, has implication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newly establish the utility model's progress standard to be distinct from the patent. In Australia's innovation patent, the requirement of 'innovation step' is created to support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standard that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ogress level. In addition, it is also proposed to change the name of 'utility model' to 'utility patent' to make it easier for the public to understand, or to expand the object of the utility model from the current product invention to production method or material invention.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실용무용 교육 동향 분석 :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김이재(Kim Yi-Jae),이연주(Lee Yeon-Ju),최수진(Choi Su-Jin)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2

        본 논문에서는 실용무용 교육 시기별 키워드 분석, 실용무용 교육 동향 분석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빅카인즈를 통해 검색된 총 3,324건의 언론보도 기사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파이썬과 빅카인즈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처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실용무용 교육의 시기별 상위 5개 핵심 키워드를 통하여 실용무용 교육의 동향은 실용무용이라는 용어가 기사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실용무용 교육 1기를 제외하고 실용무용 교육 2기부터 실용무용 교육 4기까지의 주요 키워드는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2기는 실용무용 학과의 개설 및 학생 모집에 중점을 둔 언론보도 자료가 주로 확인되었고, 3기에는 2기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대회, 개최, 청소년’ 등의 키워드가 등장하면서 실용무용학부가 포함된 교육기관에서 교내 행사를 적극적으로 개최하고 있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실용무용 교육기관의 행사에 대한 참여도가 급증하였다는 것을 확인했다. 4기에는 2기와 3기에서 등장하지 않았던 ‘운영, 꿈, 사업, 인재, 지원, 공연, 행사, 콘텐츠, 무대’ 등의 키워드가 등장한 것으로 보아 2020년대의 실용무용 교육은 단순한 강의식 교육이나 교내 행사에서 더 나아가 학위 취득 이후 학생들의 일자리 지원 및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역량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는 실용무용 교육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정량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33년간의 실용무용 교육의 주요 키워드를 시각화시켰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가진다.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keywords by period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and trends in practical dance education. As a way to do this, a total of 3,324 media report articles searched through BigKin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data preprocessing and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Python and BigKines. The top five key keywords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derived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ain keywords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were very similar, except for the first phase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which was not directly used in articles. In the fourth term, keywords such as "operation, dream, business, talent, support, performance, event, content, stage" that did not appear in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appeared, confirming that practical dance education in the 2020s is focused on educational capabilities that can help students support and find jobs after obtaining a degree.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quantitativ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flow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and visualizes major keywords of 33 years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using text mining.

      • KCI등재후보

        현장답사 보고서를 활용한 대학 실용글쓰기 수업사례 연구

        김윤경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7

        This article is intended for concepts and categories, and “practical writing” educational goals of the curriculum of the ‘practical’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Practical Writing] curriculum covers mainly the writing of a new genre that was beyond the scope of traditional university writing. Above all, the goal of the course in terms of strategic acquisition of the writing method considering the reader’s expectations and objectives, based on the existing culture and nature writing distinctly different.[Practical Writing] In addition to the case that many universities are established by a single subject and operate the newly added document practical cartography such as self-introduction, how to write a resume, roadmap and portfolio for job creation in the existing curriculum writing. Not as such “practical writ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alled business documents cartography. In other words, practical writing is geotinde learn the business documents recipe nourishing the writing skills that can be immediately utilized in the real world, which means that the company is earnest introduction of a business document cartography of the skills required to prospective workers to college writing curriculum areas do. This phenomenon based on job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internal corporate training is coming to the University System Is a natural change. Should practical writing a college education based writing has a certain identity to pursue any educational value. This article is to evaluate a college’s general education through initiatives such question the educational value of 'practical writing. This is simply not possible even inspire mass of trained professionals, students self-motivation to comply with the order and give the internal market by finding practical motivation for writing the value of a college educa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social communication and academic communication. 이 글은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실용성’의 개념과 범주 및 ‘실용적 글쓰기’ 교과의 교육목표 설정을 위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실용적 글쓰기] 교과는 기존의 대학글쓰기에서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장르의 글쓰기를 주로 다룬다. 무엇보다 강좌의 목표가 ‘독자의 기대와 목적을 고려한 전략적 글쓰기 방법의 습득’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기초교양 글쓰기와 성격이 확연히 다르다. [실용적 글쓰기]가 단일 교과로 개설된 사례 외에도 많은 대학들이 취업용 자기소개서 작성법, 이력서 작성법, 로드맵, 포트폴리오 작성 등 실용문서 작성법을 기존 글쓰기 커리큘럼에 새롭게 추가하여 운영하고 있다. 주지하듯 이러한 ‘실용적 글쓰기’는 이른바 비즈니스 문서작성법과 관련이 깊다. 즉, 실용적 글쓰기는 비즈니스 문서작성법을 익혀 실생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글쓰기 능력을 기르는 것인데, 이는 기업이 예비노동자에게 요구하는 직무능력 중 하나인 비즈니스 문서작성법을 대학 글쓰기 교과영역에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에서 요구하는 기초직무역량 교육이 대학제도 내부로 들어오는 이러한 현상은 당연한 변화인가. 이러한 변화가 ‘비판적 지성인의 양성’이라는 대학 교양교육의 본령과 상충하는 것은 아닌가. 대학 기초교양 글쓰기로서 실용적 글쓰기는 어떤 정체성을 갖고 어떤 교육적 가치를 추구해야하는가. 이 글은 이러한 물음을 통해서 대학의 교양교육으로서 ‘실용적 글쓰기’의 교육적 가치를 구상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실용적 글쓰기 장르로 분류되는 자기소개서, 이력서, 제안서 등은 특수한 목적에 따라 제한적 독자를 상대로 작성되는 글이다. 따라서 글쓰기의 성공여부는 이러한 특수한 상황과 맥락을 충분히 고려하였는가에 달려 있다. 독자의 상황과 글쓰기의 목적을 파악하여 전략적인 정보의 재조직, 아이디어의 채택과 실현을 위한 구체적 실행계획 작성 등이 실용적 글쓰기 전략의 핵심이라 하겠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글쓰기 훈련이 대학교육 안에서 온전히 추구되어야 하는지 고민해 봐야한다. 현장 실무 의사소통 능력 외에 실용적 글쓰기 수업에서 추구해야 할 가치가 있다면 무엇인가. 실용적 글쓰기 교과운영 사례를 통해 내린 잠정적 결론은 대학 교육의 연구방법론 및 이론을 현장/시장에 적용하여 ‘학문과 이론의 현장성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 대학 실용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교육방법 모색에 유용한 참조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이는 단순히 시장질서에 순응하는 훈련된 직업인의 양산이 아니라, 학생들 스스로 학습의욕을 고취하고 사회적 소통과 학문적 소통의 결합을 통해서 대학교육의 실용적 가치를 발견함으로써 글쓰기에 대한 내적 동기부여도 가능하리라고 본다.

      • KCI등재

        실용무용교육의 재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실용무용의 연구동향과 실용음악의 사례를 통해

        정한결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실용무용교육의 재개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로써, 실용무용 연구의 동향 분석을 통해 용어의 개념 적 사용 실태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타 예술 영역인 실용음악 사례를 고찰하여 실용무용교육의 재개념화에 있 어 개념적 맥락에서 요구되는 사고의 틀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실용무용의 영역적 범위에 대한 사고의 틀 구축이 요구된다. 실용무용교육의 교과과정 편성에 있어 특성화된 세부지침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실용무용 의 영역적 범위에 대한 사고의 틀 구축은 피할 수 없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실용무용교육에 있어서 실용무용 관련 산업에 필요한 다양한 인력양성교육 및 세부 장르에 대한 사고의 틀 구축이 요구된다. 즉, 여러 형태의 장르들이 공존하고 있는 실용음악의 장르적 문제에 있어서 실용무용의 정체성 측면을 위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re-conceptualization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and the conceptual use status of the term was grasped through the analysis of trends in practical dance research. And by studying the practical music’s case, the other art field, the study derived the framework and implications of thoughts required in the conceptual context of the re-conceptualization of practical dance education. First, building mindset for territorial scope of practical dance is required. In order to prepare detailed guidelines specialized in the designing a curriculum of practical dance, building mindset for territorial scope of practical dance is inevitable. Second and lastly, building mindset for various human resources training and detailed genres necessary for industries related to practical dance in practical dance curriculum. In other words, in-depth consideration for identity of practical dance on the problem of practical music’s genre where various forms of genres co-exist is needed.

      • 실용무용 전공자의 중도포기 문제에 대한 고찰

        박한솔(Park Han-Sol)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2

        본 연구는 실용무용 전공자의 중도포기 문제에 대한 경험을 탐구하고,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실용무용 중도포기 문제의 본질적 문제와 그 원인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다중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실용무용을 중도포기한 전공자 5명을 대상으로 실용무용 경험과 중도포기 문제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였다. 다음으로, 도출된 결과물을 토대로 실용무용 경험과 중도포기에 대한 문제와 원인을 논의함으로써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실용무용의 참여 경험은 ‘자존감 향상과 인정욕구’, ‘댄서로서 명성 제고’, ‘자유로움과 불규칙한 생활’, ‘직업의 부정적 인식’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용무용 전공자의 중도포기 문제 인식은 개인적 문제와 원인으로 ‘경제적 난고’, ‘진로와 취업의 형국’, ‘신체적 고통’, ‘타인에 대한 열등감’으로 나타났고, 조직적 문제와 원인으로는 ‘희박한 성공률’, ‘집단 내 구설수’로 나타났다. 사회·환경적 문제와 원인으로는 ‘댄서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정책 및 재정적 지원 부족’, ‘인권 보호와 복지 부재’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논의된 본질적인 실용무용의 문제와 한계를 타파하고, 해결하기 위한 강구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실용무용의 발전과 성장을 꾀하기 위한 이론적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실용무용 전공자의 중도포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촉매제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ractical dance majors on the dropout problem, and to reflect the voice of the field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 problem to examine the essential problem of the practical dance dropout problem and its causes. To this end, first, by applying the multi-case study method, 5 students who majored in practical dance who gave up on practical dance were explored for their practical danc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the problem of giving up. Nex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ovided by discussing the problems and causes of practical dance experience and dropout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ractical dance was 'self-esteem improvement and enjoyment', 'reputation improvement as a dancer', 'freedom and irregular life', and 'negative perception of the job'. Second,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of giving up midway by practical dance majors was shown as 'economic difficulties', 'career and employment patterns', 'physical pain', and 'inferiority towards others' as personal problems and causes, and as organizational problems and causes It appeared as 'a rare success rate' and 'the number of rumors within the group'.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causes were identified as 'social awareness of dancers', 'lack of policy and financial support', and 'lack of human rights protection and welfa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to overcome and solve the essential problems and limitations of practical dance discuss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presents a theoretical paradigm for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practical dance and serves as a catalyst to solve the problem of giving up on practical dance maj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