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방사선(학)과 현장실습 의무화에 따른 인식 조사

        이정무,이용기,안성민 한국방사선학회 2024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8 No.3

        2023년 10월 31일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에 따라 방사선사 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현장실습과목을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 현장실습의 실태를 조사하여 개정된 의료기사법을 알리고, 현장실습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2023년 3월부터 4월까지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국내 포털사이트인 N사의 폼을 통해 받았으며, 응답자는 120명이었다. 현장실습 학생의 교육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68.3%인 82명이었다.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방사선사면허를 취득하기 위해 현장실습이 의무화된 사실을 알고 있는 응답자는 58%로 나타났다.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9조 무면허자의 업무 금지 등에 따라 대학 등에서 취득하려는 면허에 상응하는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위하여 실습 중에 있는 사람의 실습에 필요한 경우는 해당 의료기사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응답자는 50%로 나타났다. 현재 현장 실습 시 어떤 교육을 하는지 묻는 질문에 참관, 환자 안내 및 환자 자세 유지와 이동 외에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행위를 하게 한다는 응답자는 6%로 나타났다. 면허 취득을 위한 현장실습이 의무화됨에 따라 앞으로의 교육 방향에 묻는 질문에 77%의 응답자가 현행보다 더 많은 것을 교육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현장실습의 적절한 전체 시간을 묻는 질문에는 12주 480시간이 35%, 8주 320시간이 33%, 16주 640시간이 27%로 나타났다. 현행 현장실습은 각종 규제에 따라 부실한 교육여건이며, 학생들의 만족도 또한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방사선사 면허를 취득하기 위해 현장실습이 의무화되었으며, 현장실습의 교육여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원자력안전법과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을 준수하며, 표준화된 실습 목표와 평가 시스템 도입, 수련 병원 지정과 교육 전담 방사선사 지정, 확대된 실습 기간과 모의실습을 도입하여 현장실습 교육의 내실화가 필요하다. On October 31, 2023, the revision of the Medical Technologist Act made it mandatory to complete field training courses in order to obtain a license as a radiologic technologist. Therefore, we would like to survey the actual situation of field training in medical institutions to inform the revised Medical Technologist Act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ield training.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April, 2023, among radiologic technologists working in medical institutions. The questionnaire was sent through a form on a domestic portal site, Company N, and 120 respondents completed it. Eighty-two respondents, or 68.3 percent, had experience in educating on-the-job training students. 58%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fact that the amendment to the Act on Medical Technologist etc. made field training mandatory to obtain a radiologic technologist license. In accordance with Article 9 of the Medical Technologist Act, which prohibits unlicensed persons from practicing, 50%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that those who are in training to complete an education course equivalent to the license they are seeking to obtain at a university or other institution are allowed to practice as medical Technologists. When asked what is currently taught during fieldwork, 6%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are required to perform radiation-generating activities in addition to observing, guiding patients, and positioning and moving patients. When asked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as fieldwork becomes mandatory for licensure, 77%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will teach more than they currently do. When asked about the appropriate total length of fieldwork, 35% said 12 weeks and 480 hours, 33% said 8 weeks and 320 hours, and 27% said 16 weeks and 640 hours.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on-the-job training is inadequate according to various regulations, and students' satisfaction is low. However, with the revision of the Act on Medical Technologists, field training has become mandatory to obtain a license as a radiologist,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field trai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ly with the Nuclear Safety Act and the Rules on the Safety Management of Diagnostic Radiation Generating Devices, introduce standardized training objectives and evaluation systems, designate training hospitals and radiologists in charge of training, and introduce extended training periods and simulation exercises to internalize field training.

      • KCI등재

        연구논문 : 관광학 전공 학생들의 실습가치 인식과 실습유형 선호도

        심재명 ( Jae Myung Shim ),주재훈 ( Jae Hun Joo ),최정자 ( Jeong Ja Choi ),김남현 ( Nam Hyun Kim ),박종구 ( Joung Koo Park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2

        대학교육에서 현장실습이 점점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관광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실습에 대한 가치와 이들이 선호하는 실습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실습가치 26개 항목과 실습교육의 운영에 구체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5개요인을 조합해 도출된 여덟 개의 실습유형을 조사에 이용하였다. 자료수집은 경북지역에 소재한 대학에서 관광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132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문화합의분석(cultural consensus analysis)을 이용하였는데, 문화합의분석은 응답자들의 동의유형을 통해 문화적으로 정의된 올바른 답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사방법이다. 분석결과 실습가치와 선호하는 실습유형에 학생들 간에 응집된 문화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합의가 없어 의미가 약화되었지만 학생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실습가치는 “외부에서 보는 업무와 현실적인 업무의 차이 파악”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문화적 합의가 관찰되지 않은 것은 현장실습이 학생들에게 미지의 영역이며 또한 다측면적인 인지대상임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결과는 실습과목의 개발에 있어 학생보다는 교수와 기업실무자의 전문성에 의존한 위로부터의 결정방식이 적합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Field experiences have been gaining importance in higher education in Tourism., This study examined the benefits of field studies classes and type of the class formats preferred by students. 26 benefit items adopted from another study and eight different class formats created by the researchers were used for the study. 132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in a university based in Kyungsangbuk-do region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ultural consensus analysis. Cultural consensus analysis aims to find culturally defined correct answer using patterns of agreement among respondent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as no consensus in the two proposed areas. Although less meaningful due to the lack of consensus, "understanding the gap between the external view and first-hand experience of the job" appeared to be the most important perceived benefit associated with field studies. The lack of consensus might be due to that field class is relatively unknown an area for the students with only vague knowledge of what to expect and/or it is a multifaceted theme that contains varied aspects to consider. Such a result seems to suggest that developing field education program requires not so much inputs from the students but it needs to rely more on knowledges and experiences of educators and practitioners.

      • KCI등재

        전시ㆍ컨벤션산업에서의 현장실습에 대한 실습생과 직원간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이은성 한국무역전시학회 2016 무역전시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관광전공 학생들과 기업체들의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장실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33개의 속성을 도출하고 부산지역 학생 및 기업체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31개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과 학생 간의 인식에는 ‘실습환경’과 ‘실습계획’에서, 업종 간 인식 차이에는 ‘실습환경’과 ‘실습계획’에서, 기업체 직원의 직급에 따른 인식 차이 검증에서는 ‘실습계획’과 ‘인적요인’에서 그리고 성별에 따른 인식차이 분석에서는 학생의 성별에 따라 ‘실습계획’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연구를 통하여 현장실습을 좀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현장실습에 투입되기 전에 현장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students in internship programs and the employees in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industry. Through a theoretical study on internship, 33 factors were examined and were used in the surveys of students and employees in Busan who had participated in an internship program. A total of 231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sed in the analysis.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employees, as well as between the convention and exhibition industry and the tourism industry, were found in the “practice environment” and “practice planning” areas. Between working-level employees and management-level employees, the differences lay in the “practice planning” and “human resources” areas, and between men and women they were found in the “practice planning” area. As a result, to operate an internship program more efficiently, it is more desirable to run a system that is capable of understanding the field prior to beginning field training procedures.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를 활용한 교육실습 운영: 실습지도교사들의 역할 수행과 경험

        강정진(Kang Jung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교육실습을 운영하는 실습지도교사들의 실습지도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과 수행, 그리고 교사학습공동체가 실습지도교사의 역할 수행과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본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자발적으로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교육실습을 운영하는 4개 학교 실습지도교사 41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11월에 걸쳐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한 후 양적,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사학습공동체에 소속된 실습지도교사들은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역할 수행이 상당히 높았으며, 둘째, 역할 수행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영향에 대해 역시 높은 긍정의 반응을 보였다. 셋째, 학교, 성별, 경력에 따른 실습지도교사 역할 인식, 수행, 공동체의 영향 평균값을 분석했으나 성별을 제외하고는 학교, 경력에 따른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개방형 질문 분석 결과 실습지도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교사학습 즉, 개인 학습, 사회적 학습, 성찰적 학습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인지적·정서적인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를 활용한 교육실습 운영에 대한 장, 단점과 교사로서의 성장에 대한 경험을 제시하였으며, 효율적인 교육실습 운영을 위한 제도적, 교육적, 행정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and performances of the role of cooperating teachers(CTs) who are operating educational practice by forming teacher learning community(TLC), and how the TLC influenced the performance and experience of the CTs. For this study, four schools that voluntarily formed TLC and operated educational practice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the roles of CTs were set as a teaching and learning expert, an educational practice operator, a communicator, and a teacher researcher. A total of 36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 total of 41 teachers in four schools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CTs, who belonging to the TLC had a very high recognition of their role and the role performance. Second, the CTs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he influence of the TLC on the role performance. Third, school, gender, and teaching career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CT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e open ques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Ts experienced various types of teacher learning in the TLC, namely, self-directed learning, social learning, and reflective learning, and received cognitive and emotional suppor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stitutional,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plans for efficient educational practice management are suggested.

      • KCI등재

        어린이집 사전실습에 참여한 영유아보육과 학생들의 생각 변화 탐색

        한남주,이경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1

        In this paper, we focus on changes in thinking of infant car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daycare center pre-practice and intend to provide the basis for effective prior educ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practice for them. 16 sophomores in two-year child care college participated in the pre-practice weekly during 11 weeks. Reflective journal writing was required after weekly pre-practice and furthermore, small group discussion was conducted during the pre-practice. We us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nalyze journal of 16 books and the recording of discussion. The result shows that student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re-practice but they thought it was difficult in parallel with the class and did not recognize their role fully before the pre-practice. During the pre-practice, they applied the knowledge, understood the content of observation and learned by watching guidance teachers. Meanwhile, they was thinking about how to teach infants, the propriety of guidance teachers' method and what lead to change in a positive direction of infant behavior. After the pre-practice, students revealed a multitude of thoughts about practice direction to understand infants of various age and the desired age in charge during the practice. A variety of pre-practicum experience should be provided for infant care students to obt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daycare center field. 본 연구는 어린이집 사전실습에 참여한 영유아보육과 학생들의 생각 변화를 탐색하고, 보육 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실습과 관련한 보다 효율적인 직전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2년제 영유아보육과 2학년 16명으로 11주간 주1회씩 사전실습에 참여하였다. 매주 사전실습을 마친 뒤 반성적 저널쓰기를 하였고, 사전실습 기간 중 소그룹으로 진행 중인 사전실습에 대한 토의를 실시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수집된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이 작성한 저널 16권과 녹음된 토의내용을 전사한 자료로,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사전실습 초기에 학생들은 사전실습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있었다. 그러나 수업과 병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하였고 사전실습 기간 중 자신의 역할에 대하여 혼란스러움을 느끼고 있었다. 사전실습 중 학생들은 알고 있는 지식을 적용하고, 지도교사를 보며 배우고, 관찰한 내용을 이해하였다. 그러나 영유아를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 지도교사의 지도 방법은 맞는 것인지, 영유아의 행동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된 것은 무슨 이유인지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사전실습 후, 학생들은 여러 연령을 이해하기 위한 실습의 방향, 실습에서 담당하고 싶은 연령은 몇 세인지에 대해 여러 가지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어린이집 현장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사전실습의 경험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사전교육 내용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요구분석

        김옥주(Kim, Ok-J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예비유아교사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육실습 사전교육의 내용이 무엇인지 실습지도교사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을 돕는 사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유치원 실습지도교사 39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실습 사전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실습지도교사의 교육실습 사전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요구에서 8개 교육실습 영역의 22개 교육실습 내용 모두 현재수준과 요구되는 수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Borich 요구도 값을 계산하여 22개의 교육실습 내용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교수학습실제’ 교육실습 영역에서 3개 교육실습 내용이 예비유아교사 교육실습 사전교육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내용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 교육실습 사전교육에서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할 교육실습 사전교육 내용을 명료화하여 실습지도교사의 교육실습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 교육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ferential contents of pre-training education practicum for cooperating teachers. Based on its analysis, the study suggests basic references to design pre-training of education practicum contents that would help the teaching practice of the cooperating teacher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a total of 390 cooperating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 education at a three-year-course community college and a four-year-course university locat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Research participants completed the teaching practice in order to figure out the needs and priorities of the pre-training of education practicum contents before the teaching practice.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ree tests as matching sample t-test, Borich Needs Ans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erms of the pre-service teachers" needs for the 22 practicum contexts of education practicum contents in the eight teaching practice domain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demanding level. Next, the Borich Needs value was measured, and the priority of the 22 practicum contexts was determined. Lastly, via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three practicum contexts in the three teaching practice domains as “teaching-learning reality , “child protection”, “office work” and others were understood as the highest prior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make it clear what should be treated first during pre-service teachers" training of education practicum before the teaching practice. In this way, the study is believed to be a basic reference source for designing pre-service teachers" training of education practicum before teaching practice. This would, after all, improve the teachers" performance during teaching practice.

      • KCI등재

        실습선 승선실습 만족이 해기 교육생의 진로 동기에 미치는 영향

        안종갑,박유진,정유진,안영수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2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8 No.1

        본 연구에서는 실습선 승선실습 만족이 학생들의 진 로 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개인 또는 팀별로 주어지는 과제물에 대한 양적, 질적 만족 및 과제물의 수행 과정에서 성취하게 되는 만족감과 실습선 승선실습 동안 생활하는 거주공 간에 대한 만족은 진로 동기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과제물은 현재 자신의 학습 수준을 알고 향후 학습 목표를 설정할 수 있게 해주 며, 거주공간의 만족은 해기사로서 승선 여부를 결정짓 는 실질적인 요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시설이나 장비 상태 적정성에 대한 만족은 진로 동기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실습선 승선실습 동안 학생들에게 항해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들을 되도록 많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진로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요인들은 선박이라는 특수한 직업 환경 속에서 실제적인 경험을 통해 능력이나 적응력을 키울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 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실습선 승선실습을 통해 선원으로서의 진로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습선 승선실습 동안 선원이 가져야 할 능력을 직접 경험하고, 조작하고, 적응하는 과정이 제공되어야 할 것 이다. 이러한 결과는 실습선 승선실습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실습선의 유지보수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경상국립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수산·해양계 전체 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진로 정체성, 진로 통찰력, 진로 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지 않고 기각된 가설에 대해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직업재활 전공학생의 실습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강윤주(Kang Yun Ju),원성옥(Won Seong Ok) 한국직업재활학회 2005 職業再活硏究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학생들의 실습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언들을 파악하고, 둘째, 조사연구를 통해 각각의 요인에 기초하여 학생들은 실습지도자의 행동이나 수퍼비전에 비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셋째, 실습기관 몇 실습지도자의 자격유형에 따라 학생들이 지각하는 실습활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9월 직업재활사 인중대학으로 등록되어 있는 5개 대학에서 실습과목을 이수한 12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수퍼비전 정도는 5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 평균 3.8점으로 조사대상 학생들은 중간수준 이상이 수퍼비전의 제공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재활 전공학생들은 실습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수퍼비전의 정도를 들었고, 다음으로 개인의 실습활동을 들었다. 그리고 수퍼비전에서는 실습지도자가 함께 일할 때 어떠해야 하는지를 설병해 주었고, 나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설명해 주었다는 항목에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셋째, 실습기관과 실습지도자의 경력을 중심으로 실습활동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은 실습기관에 따라 실습시 참여 프로그램 수와 수행과제의 수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습지도자의 경력에 따라 기관활동의 참여 허용정도와 실습시 수행과제의 수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actice for students through reviews of previous studies; and secondly, to study how students perceive the behavior and supervision of practice instructors. based on each factor through research studies. Thirdl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practice activities perceived by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 qualification type of practice instructor and practice organization.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September 2005 with 123 student subjects who completed the course for practice subjects in the 5 universities that have been registered as certified universities for the educ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f supervision on 5 scales. the average point was 3.8, which means the students were provided with more than middle level supervision. Seco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practice performance of the students who majored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was the degree of supervision and the next factor was practice activities of an individual. As for the supervision factor, they showed the highest response when the practice instructor explained how they should be working together and what kind of assistance could be provided for them. Thirdly, as an analysis result of practice activities focusing on the career of practice instructors and practice organization. the respondents showed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rograms participated in and performance assignments according to practice organizations. They also showed differences in the permission level of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 activities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 assignments during the practice, according to the career of the instructors.

      • KCI등재후보

        교육실습생의 갈등에 관한 분석연구 : 서울 · 경기지역 사립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정혜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교육실습 기간 동안 교육실습생들이 경험한 갈등상황을 사례로 작성하게 하여, 교육실습생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선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육실습생들이 지목한 갈등상황은 아동의 생활지도 영역이 가장 많았고, 교육실습생과 실습학교의 교육에 대한 견해 차이, 교육실습생이라는 불안정한 지위로 인하여 실습학급에 파급되는 부정적인 영향력, 그리고 학부모와의 관계 정립 순으로 나타났다. 보다 나은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에 관여하는 주체(대학, 실습학교, 교육실습생)간의 지속적 대화 및 관계 유지의 중요성, 각 주체의 책임의식과 역할 분담 논의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교육실습협력학교 교사의 교육실습지도에 대한 인식: A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김민조,이재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3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how teachers of partner schools perceive their training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and what implications could be provided for the teaching practice policy direction. Survey research was used with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s. As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sample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Scheffe post-hoc test, and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mainly perceive teaching practice as a pre-experience of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on the one hand, and a process to learn and formulate the competencies required to be a teacher, on the other hand. Secondly, improving professionalism in teaching is recognized less positively tha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eaching practice guidance of both trainees and trainers, while their training of teaching practice is positively perceived to be effective. Thirdly,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both trainees and trainers in the training is positively affected by the way of the lesson plan to be guided. However, both “training on school administrative affairs” and “teachers’ meeting after classroom instruction” influence more positively improving professionalism in teaching than lesson plan guidance according to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urthly, providing a manual for the training of teaching practice is perceived to be the most prioritized. Also, primary school teachers think “teaching practice evaluation to be reflected upon the selection process of teacher recruitment” is at a higher level than that in middle schools. 본 연구는 교육실습협력학교 교사의 교육실습지도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지도 및 정책 방향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도교육청 교육실습협력학교 교사들(업무담당교사와 지도교사)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방법은 연구자들이 개발한 조사 도구를 활용한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사후검증 Scheffe), 다변량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실습의 의미를 ‘교사로서 수행하는 교육활동 및 교직생활 경험’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배우고 형성하는 과정’이라고 보는 경향이 컸다. 일부 문항에서 학교급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지도 개선과제의 우선 순위를 살펴보면, ‘매뉴얼 제공’이 높게 나타났고 ‘교사임용시험 평가 요소에 실습평가 결과 반영’은 초등학교 교사가 중학교 교사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실습지도의 성과와 관련하여 교사 전문성 향상, 실습생과 지도교사의 만족도 차원에서 분석하였는데, 교육실습지도 교사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의 전문성 향상’ 항목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실습생 만족도와 교사 만족도 항목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넷째, ‘수업지도안 지도’ 측면이 교사 만족도와 실습생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 전문성 향상을 종속변수로 설정한 회귀모형에서는 ‘수업지도안 지도’의 영향력은 사라지고 ‘행정업무지도’와 ‘수업협의회 진행’이 교사 전문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지도 및 교육실습학기제의 목적 및 실시 학년 등 정책 방향 설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