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論文) : 신문학 운동과 현대문학의 역설

        차태근 중국어문연구회 2015 中國語文論叢 Vol.0 No.68

        在中國現代文學史中, 所謂“五四新文化運動”具有格外的意義。上個世紀末以來, 不少論者批評以“新文化運動”爲主線的文學史書寫和硏究, 但是這不能否認“五西新文化運”具有依舊劃時期的涵義。最近幾篇文章和著作從靈外的角度와掘“新文化運動”的意義値得人們思考。 這篇文章也循着那些硏究的思考重新分析“五四新文化運動”和文學的涵義。新文化運動之所以爲運動則是政治運動和民族意識形態所促發的, 而且作爲社社會改造的一部分開始受到社會的촉目。因此需要從更廣泛的社會的視角接近新文化運動。 與新文化運動有觀的靈一的焦點是文學的槪念。從前一般認爲從新文化運動以後才和確實確立了作爲literature的現代文學槪念。其實, 新文化運動以後, 文學的槪念仍然模糊和分岐。廣義和狹義兩種文學觀念齊肩和幷行。尤其是在學界則廣義文學觀念保持優勢。 最後, 這篇文章從新咀嚼進來被提出的人文學或文學的危機。文學的危機的呼聲就對文學回歸狹隘的文學園地而被周邊化的反應。這恰恰證明現代文學之所以文化和人文學的中心的, 因爲타具有强力的政治(非文學性因素)的後盾。

      • KCI등재

        사상 : 신문화운동시기리대쇠(新文化運動時期李大釗)의 인생관(人生觀)

        吳漢全,韓興植,韓美璟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12 No.-

        신문화 운동 시기 중국에는 중국의 전통적인 철학과 새로 전파된 서양의 철학이 뒤섞여 있었다. 리따자오(李大?, 1888-1927)는 사상 해방적 기치를 높이 들고 사회에서 유행하는 각종 타락한 인생관에 대해맹렬히 비판하였으며 동시에 낙관적이고 진취적인 “청춘인생관”을 제출하였다. 그리고 인생 가치문제에 대해 학술적 탐색을 시도하여 인생관에 대한 그 특유의 사상적 체계를 확립하였다. 리따자오의 인생관에 대한 이론적 탐색은 중요한 학술적 공헌이며 당시의 인생관에 대한 이론과 학술연구의 중요한 대표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대조 인생관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면서 모두 4부분으로 나누어 탐구하였다. 제1부는 리따자오가 당시 사회에서 유행하는 각종 낙후된 인생관에 대한 맹렬한 비판을 다루었다. 신문화운동 시기의 리따자오의 인생관은 그의 인생에 대한 심각한 사고, 사회문제에 대한 깊은 반성에서 비롯되었으며, 사상계몽과 사회변혁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각종 타락한 인생관을 비판하면서 그의 인생관을 확립하려고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인생관 방면에 대한 논술은 현실비판, 사회적 특징에 대한 반성이 담겨있다. 제일 먼저 리따자오는 비관 염세 자살적 인생관을 비판한다. 리따자오는 사회적 염세 자살적 인생관을 힘주어 비판하면서 당시 중국인들은 “정신이든 육체든 자살의 길로 가고” 있었는데 이들을 비관 실망적 정서에서 벗어나 인생에 대해 청년의 인생관을 갖도록 했다는 것이가장 큰 특색이다. 그 다음에 리따자오는 “권력”“금전” 지상주의를 비판하고 퇴폐 향락적 인생관을 비판한다. 리따자오는 중국인들이 물질생활을 추구하며 생활에서는 쾌락을 추구하고 부패해 있다고 비판한다. 끝으로 리따자오는 몰락적 “忍苦”인생관을 비판한다. 사회가 “忍苦” 인 생관에서 “求樂”인생관으로 변화되길 바라고 있다. 제2부에서, 리따자오는 ‘청춘인생“을 인생의 주제로 제시하며, 사회변혁적 실천가운데 인생을 실현하는 자아를 강조하고, 개인적 삶과 민족은 국가적 미래나 시대적 진보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강조한다. 첫째로 리따자오는 진취적 청춘인생관을 위해 노력할 것을 제창한다. 리따자오는 청년들이 적극적이고, 시간을 아끼며, 열심히 일하고 사회를 개조하며 자기의 인생가치 실현을 위해 ”靑年中華“ 건설을 위해 노력해 줄 것을 요망하였다. 둘째로 리따자오는 진리적 인생관을 추구할것을 제창한다. 리따자오에 의하면, 진리는 과학적 기초위에 건립해야하며, 사람들이 과학적 정신과 올바른 논리 추리에 의거해야만 계속해서 진리 인식이 가능하며 자신의 인생을 진리의 길 위에서 부단히 전진케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로 리따자오는 ”尊勞主義“인생관을 제창한다. 노동을 통해 물질적 재화를 획득하고 정신적인 해탈, 생활상의 즐거움을 얻게 됨으로써 인생가치를 알고 이를 실현하게 된다. 그가 볼때, 즐거운 인생관을 획득하려면 반드시 ”尊勞主義“를 증진해야 한다. 노동을 통해 물질적 재화, 정신적 해탈, 생활의 편의를 얻으며 이를 통해 인생가치를 알게 되고 동시에 인생가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넷째로 與時俱進적 인생관을 제창한다. 리따자오는 인생이란 ”과거-현재-미래’라는 시간의 연속적 진행 선상에 있으며 현재는 미래를 쟁취하는 것이라는 일종의 與時俱進적 인생관을 제시한다. 제3부에서 리따자오는 인생관의 이론적 부분을 탐구한다. 리따자오의 인생관적 주장은 “破” 와 “立” 양면에 대한 자기주장에 집중되어 있다. 먼저 그는 인생가치의 함의에 대해 토론한다. 리따자오가 보기에 각개인의 인생가치는 각자의 창조적 활동에 있기 때문에 각 개개인은 “각자 자기가 필요로 하는 사회를 만들” 필요가 있으므로 “자존할 수 있는 생활을 스스로 만들”어서 自主自立에 이르고 자아존재와 가치를 현현해야 한다. 그다음에 인생가치 표준에 대해 연구한다. 리따자오가 볼때, 인생가치의 대소표준을 가늠하는 데는 2가지 기준이 있다: 하나는사회 진보적 공헌. 둘째는 개개인의 재능이 발현된 정도가 그것이다. 끝으로 인생가치 실현과정에 대해 연구한다. 리따자오가 볼 때 인생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 방면에 대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첫째는 명확한 목표와 견고한 믿음. 둘째는 부단한 지식 수양. 셋째는 실제 사회생활을 통해 현실사회를 개조하는 일. 넷째는 검소한 생활이다. 제4부에서는 리따자오 인생관 체계의 기본적 특색에 대해 분석하였다. 리따자오의 신문화운동기의 인생관에는 시대적 특징과 개인적 품격이 깃들어 있다. 리따자오 인생관의 내용, 사회 영향 및 사상적 연원을 살펴보면, 그 특색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리따자오 신문화운동 시기인생관의 사상 내용에는 진취, 낙관향상, 확고함이 그 특색이다. 둘째리따자오 신문화운동 시기 인생관에는 사회영향을 받아 강렬한 시대비판정신이 표현되어 있고 정신 해방적 특색이 있다. 셋째, 리따자오 신문화운동 시기 인생관에는 사상적으로 중국 서양 문화에서 각각 장단점을 포용하려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끝으로, 신문화운동 시기 리따자오의 인생관에는 현실비판, 당시 사회적 특징에 대한 숙고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신문화운동 시기 선진사상가들의 인생 탐색적 진실을 참고하고, 강렬한 반봉건투쟁 색채와 혁명성을 띠고 있는데 이는 당시의 민주주의자들 중에 독보적이다. 리따자오의 인생관 이론에는 풍부한 사상적 내용과 독자적 특색이 있으며, 이론적으로나 학술적으로, 인생관적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출하여 중국 현대 인생철학연구에 크게 이바지 하였다.

      • KCI등재

        1920, 30년대 한국 지식인의 중국 신문화운동 수용 -양건식, 정래동, 김태준의 경우-

        송인재 ( In Jae S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3 No.-

        1915년에 시작되어 중국 사상과 언어의 개혁을 이끈 신문화운동은 중국 문제에 관심을 가진 1920,30년대 한국의 지식인들에게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문학 영역에서 새로운 문학 형식의 탄생, 문학을 통한 현실 자각, 계몽 등은 1920,30년대 한국의 문학과 문화 그리고 사상혁명을 고민하는 지식인들의 참조점이 되었다. 양건식은 1920년대 초 중국 신문화운동에 깊이 공감하며 중국의 신문학작품을 열성적으로 번역했다. 이를 통해 조선문학의 성장과 사상혁명에 기여하기를 희망했다. 정래동은 신문화운동이 퇴조된 1923년 중국 유학길에 올라 중국전문가로 성장했다. 따라서 1920, 30년대에 걸쳐 중국신문화운동의 의미를 인정하는 한 편사후적으로 거리를 두고 평가함으로써 신문화운동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데 기여했다. 김태준은 1930년의 짧은 중국 체류를 통해 문예운동이 사상운동의 기반임을 목도하면서 신문화운동의 의미에 공감했다. 그러나 프로문학이 성행하던 당시 한-중 프로문학의 관점에 공감하면서 신문화운동을 극복해야 할 과거로 간주했다. 중국신문화운동은 수용자의 환경과 사상에 따라 각자 다른 편차를 띠고 인식되고 소개되었다. 1920,30년대 한국의 중국 신문화운동 수용은 당시 한국의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기 위한 하나의 매개였다. 특히 이 네트워크 안에서 중국의 문학 담론과 창작물이 근대 한국의 시대적 과제에 대처하는 계기로 작동하고 있었다. 동시에 이 시기 한국의 중국신문화운동 담론은 당시 존재하던 한중 지식네트워크 안에서 형성된것이다. 더 나아가 단절이나 무기력으로 인식되던 한일합병 이후 한중 지식네트워크의 존재양상을 탐색할 수 있는 유력한 실마리가 된다. The New Culture Movement, which started in China at 1915, leaded the reform of idea, language and literature. Yang, Geon-sik, Jung, Nae-dong and Kim, Tae-jun, who can be called as 1st generation sinologist in modern Korea, had interest in it during 1920s~30s. Especially, the birth of new writing style, perceptions of realitythrough literature, enlightenment in thoughts became the main references for them to seek the way the Korean revolution of literature, culture and thoughts. Yang, Geon-sik expressed sympathy with New Culture Movement of China deeply therefore translated several volumes of novels and plays of modern China and hoped Chinese literature can be helpful to the growth of literature and the revolution of ideas in modern Korea. Jung, Nae-dong went to China to study after New Culture Movement declined, it made him evaluate New Culture Movement more objectively, although he also hoped to learn from Chinese literature. Kim, Tae-jun on the one hand witnessed literature movement played the role of useful means in social and ideological movement, but on the other hand regarded New Culture Movement as the past of current proletarian literature, all his views is bases on socialist idea. These three types of view constructs the multi images of New Culture Movement of China in 1920s~30s Korea. All of these views are relevant to the effort of Korean intellectuals to accomplish the reconstruction of Korean literature. It can be important historica resources for describing the knowledge communication and network of Korea and China between 1910s and 1930s.

      • KCI등재

        『부인(婦人)』 창간사에 나타난 신문화운동 연구-천도교의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신현규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e significance of the New Cultural Movement in the preface of the Chondogyo publication <Buin>. After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3·1, the Chondogyo develops a nation-wide culture movement for rais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the nation and cultivating the national spirit through new civilization and culture. Chondogyo was able to stand at the center of the national movement in that it was originally a semi-invasive personality of Donghak and was the most powerful religious organization. They approached the issue of nationality and society in the process of realization of Innaheon, which was the cadre, in the postwar era. As a part of the Kwangcheon Gaebaek Movement, which recognized the reality problem and the national problem and implements the cadence of the Innaecheon in the society, The New Cultural Movement of Chondogyo started as a religious movement, but it has been sprea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includ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education movement, women movement, boy movement, youth movement, peasant movement, economic movement, literary movement and publishing business. Especially, the New Cultural Movement of Cheondogyo Youth Party, which is based on the idea of "Innaheon", was a campaign for the cultivation of the people and a campaign to realize the people. Among them, the youth movement and the women's movement are well-known in the preface of the <Buin> magazine published in Chondogyo. Therefore, we confirmed the meaning of the New Movement movement in the foreword. As a youth movement, the claim of suffrage as a civilization and a women's movement, that is, women's right to vote, is significant in the women's mov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천도교에서 발간된 잡지『 부인(婦人)』 창간사에 나타난 신문화운동의 의의를 찾는데 있다. 3·1독립운동 이후 민족의 문명의식 고취와 새로운 문명, 문화를 통한 민족정신 함양을 위하여 천도교는 거국적인 신문화운동을 전개한다. 천도교는 본래 동학이 가졌던 반침략적 성격을 지녔다는 점과 가장 세력이 큰 종교조직이었다는 점에서 민족운동의 중심에 설 수 있었다. 종지였던 인내천의 실현과정, 곧 후천개벽 차원에서 민족문제, 사회문제에 접근하였다. 즉 현실문제와 민족문제를 인식하고 인내천의 종지를 사회에 구현하는 후천개벽운동의 일환으로 신문화운동을 전개했다. 천도교의 신문화운동은 종교운동을 명분으로 시작되었으나 독립운동을 비롯하여 교육운동·여성운동·소년운동·청년운동·농민운동·경제운동·문학운동 그리고 출판사업 등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인내천사상을 근간으로 하는 천도교 청년당의 신문화운동은 인간의 사상을 개벽하는 후천신문화운동이며 백성을 깨우치는 개화운동이었다. 그중에서 청년운동과 여성운동은 천도교에서 발간한 잡지 『부인』의 창간사에 잘 드러나 있다. 이에 창간사에 나타난 신문화운동 의미를 확인하였다. 청년운동으로서 문명개조와 여성운동으로서 남녀동권, 즉 여성의 참정권을 주장은 여성 운동에 있어서도 그 의의가 두드러진다. 특히 천도교의 여성단체는 전국에 지방조직을 두고 주로 ‘생활혁신’과 ‘신여성상’의 정립을 위해 많은 활동을 하는 한편,『부인』이라는 월간 여성잡지를 통하여 우리나라 여성운동의 선구적 역할을 담당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 근대사회에서 동학과 천도교의 역할은 시대정신에 선두적인 입장이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문화사적 측면에서도 지속적인 재조명이 필요하다.

      • KCI등재

        2000년 이후 한국의 5·4신문화운동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

        임상범 ( Lim Sangbum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1 No.-

        `5·4신문화운동`은 20세기 중국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사건이자, Xijinping 시대의 중국이 자신의 미래를 둘러싸고 벌이는 논의에서 다루어지는 핵심적인 화두의 하나이다. 5·4신문화운동은 한국에서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두었지만, 아직까지 한 권의 연구서도 출간되지 않았다. 본고는 2000년대에 이루어진 한국의 연구 성과를 정리했다. 1990년대에 제시된 관점과 방법론을 계승한 21세기의 연구들은 5·4운동의 민족주의적 성격과 근대화론을 결합하면서 정치적·사회적 성격의 애국운동보다 문화적·사상적 측면이 강조된 문화운동이나 계몽운동을 강조했다. 2장에서는 `민주`가 현재 중국의 과제와 관련해서 다루어졌고, `인간해방`의 문제는 여성문제와 새로운 미시사적 접근법이 주목을 받았음을 지적했다. 3장에서는 신문화운동가 이외 집단들의 국민국가 건설론, 국민국가 건설의 핵심적 요소로서 `국어`의 형성과 에스페란토어에 대한 관심을 다루었다. 또한 지역과 국제주의적 연대 문제도 연구 대상이 되었다. 4장은 진화론과 글쓰기 문제를 중심으로 한 이데올로기의 제약을 뛰어넘는 문학혁명론이 다루어졌다. 5장은 전통과 근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근대화론`에 대해 신문화운동가뿐만 아니라 보수주의자와 기독교 세력의 주장까지 연구 범위를 넓혔다. The May Fourth Movement is an important event that, understanding of which is required for studying 20th century China. Further, this topic is a major one in discussion on the future of Xijinping-era China. While researches on May Fourth Movement yielded many success in South Korea, there has been no published book on the subject matter. This article categorized the accomplishments that occurred in 2000s South Korea on this subject. The researches in the 21st century, while inheriting the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from the trends of the 90s, emphasize political, social aspects of the culture and the enlightenment movement by merging the nationalist characteristics and theories of modernity. In the chapter 2, on one hand democracy is examined with the current state of China in mind, on the other hand human liberation is examined in the eyes of women`s rights movement and latest micro-historic approaches. The chapter 3 takes a look at formation of a nation state theorized by groups other than New Culture revolutionists, and the formation of `national language` as a major element in building a nation state. Interests in Esperanto spiked during this period. Also,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f this era is examined. In the chapter 4, the theory on cultural revolution is proposed as a means to transcend ideological limits caused by evolution and the issues of critical writing. Finally in the chapter 5, as to the respect of the theories of modernization that cent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s and modernity, the article expands the research onto conservatives and Christian perspectives, not just on those of New Culture revolutionists.

      • KCI등재
      • KCI등재

        신문화운동의 공자 혐오, 어떻게 시작 되었는가

        김현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신문화운동의 공자 혐오, 어떻게 시작 되었는가김 현 주** 요약: 본 연구는 근대중국에서 공자에 대한 혐오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그것을 위해 공자를 비롯한 유가사상 전반, 그리고 중국 전통을 비판함으로써 과학과 민주라는 모토를 내세워 신문화를 형성하고자 했던 잡지 신청년 의 글들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그밖에 당시에 신문화운동을 주도했던 진독수, 호적, 이대소 등의 글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신문화운동 시기 초부터 시작하여 신문화운동이 끝날 때까지 공자에 대한 객관적이며 비판적 분석으로부터 출발하여 결국 주관적이며 부정적 판단으로 귀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공자에 대한 혐오가 공교 등과 같은 봉건적 회귀를 시도한 정치적 의도에 대한 반동에서 비롯되었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시대적 혐오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보여주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것은 오늘날 다양한 형태의 혐오를 바라보는 하나의 시각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신문화운동, 공자, 혐오, 신청년, 공교 □ 접수일: 2022년 1월 14일, 수정일: 2022년 1월 31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6A3A02079082). **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조교수(Professor, Wonkwang Univ., Email: mir8566@naver.com) How Did the Hatred Toward Confuciusin the New Cultural Movement in China?Hyunju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hatred toward Confucius began in modern China. We will focus on the writings of the magazine Xinqingnian, which tried to form the new culture under the motto of science and democracy by criticizing Confucius and other Chinese traditions, and examine other writings such as Hushi, Chen Duxiu, and Li Dazhao, who led the new cultural movement at that time. This study explained the process of repudia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new cultural movement to the end and eventually leading to subjective and negative perspective, and analyzed that the repudiation of Confucius resulted from a rebound in political intentions such as Kongjiao.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howing how the hatred of the times could be formed. This could provide a perspective on various forms of hatred today. Key Words: The New Cultural Movement, Confucius, Hatred, Xinqingnian, Kongjiao

      • KCI등재

        천도교의 신문화운동

        고시용 ( Shi Yong Ko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천도교의 성립과정을 살펴보고 신문화운동의 사상적 배경이 되는 핵심교리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천도교 신문화운동의 전개과정을 정리하고 그 특징을 드러냈다. 천도교의 신문화운동을 ①의암 도일망명기(1901.3-1905.12), ②천도교교단확립기(1906.1-1918.11), ③독립운동 전개기(1918.11-1919.9), ④천도교청년회활약기(1919.9-1923.9), ⑤천도교청년당 활동기(1923.9-1939.4)로 구분할 수 있다. 천도교 신문화운동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동학의 역사와 교리를 계승하여 인내천의 종지 아래 우리나라 근대사의 상황 속에서 절실히 요청되는 민족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이고 실천적이며 효과적인 후천개벽운동이다. 둘째 종교운동을 명분으로 시작되었으나 독립운동을 비롯하여 교육운동·여성운동·소년운동·청년운동·농민운동·경제운동·문학운동 그리고 출판사업 등으로 확산되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전개된 보국안민·광제창생의 실천운동이다. 셋째 신지식을 갖춘 청년들을 중심으로 조직한 천도교청년회와 천도교청년당을 중심으로 전개된 비폭력·무저항·대중적 계몽운동이자 세계가 생존경쟁의 원칙에서 움직인다는 관점과 사회진화론에 입각하여 사회개혁을 추구한 민족실력양성운동이다. 따라서 천도교의 신문화운동은 우리나라 근대 100년의 사회변동에 있어서 종교적 대응을 대표하는 자주적 대중계몽운동이라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음에 틀림이 없다.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of the Korean religious movement, Cheondogyo, and investigates the core doctrine that provides an ideological background for its new cultural movement. Furthermore, this paper organiz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eondogyo`s new cultural movement and also reveals its distinct characteristic. Cheondogyo`s new cultural movement can be divided as follows: 1. Period of Uiam Son Byeong-hui`s (孫秉熙) political asylum in Japan (1901.3-1905.12) 2. Period of establishing the Cheondogyo order (1906.1-1918.11), 3. Period of developing an independence movement (1918.11-1919.9), 4. Period of Cheondogyo youth activities (1923.9-1939.4). The distinct features of Cheondogyo`s new cultural movement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it is an effective, practical, and realistic movement for the great opening of the later heaven (後天開闢) because it tackles urgent national issues that arise in modern history by adopting the philosophy of Innaechun (Man is Heaven人乃天) from the doctrine and history of Donghak. Second, although it first started under the pretext of a religious movement, this independent movement promotes national interests and provides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by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proliferating education movements, feminist movements, youth movements, peasant movements, economic movements, literature movements, as well as supporting publishing businesses. Third, it is a mass movement that focuses on nonresistance and nonviolence with a focus on Cheondogyo youth groups who hold progressive ideas. Moreover it is a movement that pursues social reform on the basis of training the skills of people and moves on the principle of the struggle for existence an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Therefore, there is no doubt that Cheondogyo`s new cultural movement is a symbol of an autonomous mass movement that represents religious action that has changed our society within the last 100 years.

      • KCI등재

        20세기 초 한국 천도교의 계몽운동과 중국 신문화운동의 특성 비교

        김정호 동학학회 2011 동학학보 Vol.22 No.-

        Chondogyo’s enlightenment movement in Korea and Chinese New Culture Movement have some similar backgrounds: (1)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and Japan since the mid-19th century, (2) governments’ inability to respond to such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3) the limits of the capacity of response of domestic forces, and (4) strong Confucian tradition. Changes in awareness of these issues caused the need of public awareness and practical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Korea had some specific backgrounds such as lack of ethnic conflict, the absence of political alternatives according to long-term maintenance of the dynasty system, and Chondogyo’s unique religious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China had ethnic conflict, and it caused massive popular power. Chondogyo’s enlightenment movement in Korea and Chinese New Culture Movement have some similar contents in terms of strong critique to Confucianism and modern practical method for mass enlightenment. It was because they had the same goal of achievement of national independence and development through improvement of the people’s self-awareness. At the same time, they have common significant step such as 3‧1 Movement of Korea and 5‧4 Movement of China. The two movements acted as stimuli for activation of mass enlightenment movement in both countries. However, unlike the case of China, Korea experienced Japan’s colony in 1910. It was the fact that the nature of Korean mass movement tended to be focused on independence rather than enlightenment since 1910. And Chondogyo’s enlightenment movement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consciousness in 1920s. 한국 천도교의 계몽운동과 중국 신문화운동은 배경적 측면에서 19세기 중반 이후 진행된 일본 및 서구열강의 침투와 이에 대한 정부차원의 대응능력 부족, 대내외적 위기상황에 대한 제 세력들의 대응방식의 한계 노출, 그 원인으로서 전통적인 유학적 질서관의 견고함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양국에서의 대중계몽의 필요성과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게 하는 보편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한국은 민족모순의 결여, 장기간에 걸친 왕조체제의 유지에 따른 정치적 대안 부재, 그리고 천도교 대중운동이 지닌 종교성과 역사성이라는 배경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중국은 대내적 민족모순의 존재와 그것의 극복과정에 나타난 대중적 동력확보의 가능성이라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중국에서의 민족모순의 해결은 과거와의 완전한 단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천도교와 같은 연속성은 갖지 못한 것이다. 천도교의 계몽운동과 중국의 신문화운동은 유교비판론과 근대적 대중계몽운동의 실천론이라는 측면에서 내용적 보편성을 지니고 있었다. 천도교 계몽운동의 경우 인내천사상을 종지로 하는 종교적 대중운동의 성격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었으나, 대중적 자각능력 향상을 통한 독립과 국가발전의 성취라는 점에서는 중국의 신문화운동과 동일한 목표를 지니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통적 가치관과 생활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대를열기 위한 다양한 실천적 계몽활동이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전개되었던 것이다. 전개과정에 있어서는 한국의 3‧1운동과 중국의 5‧4운동이 각기 양국 대중계몽운동 활성화에 중요한 계기로 작용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국가적 독립성을 끝까지 유지했던 중국과는 달리 한국의 경우 1905년의 외교권 박탈과 1910년의 한일강제병합을 경험했다. 이러한 환경적 요소에 의해 대중운동의 방향이 독립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경향이 있었고, 특히 천도교의 대중계몽운동이 역사의식과 민족의식의 발전에도 많은 부분을 할애하게 되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5.4 운동 시기 중국의 여성 운동

        하영애(HA Young Ae) 21세기정치학회 2006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6 No.3

        1919년 5월4일 중국지식인을 중심으로 일어난 신문화운동은 중국의 근대사에서 커다란 의의를 갖는다. 5.4 운동과 중국 여성 운동과의 관계를 연구 하려면 먼저 5. 4 시기의 신문화 운동 일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글은 앞부분에서 이 부분을 우선 언급했다. 본 연구의 중점은 5.4운동 시기에 주요한 사회변화세력으로 등장한 여학생, 여성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들은 어떠한 계기와 과정을 거쳐서 5.4운동에 접근해 갔으며 5.4운동의 흐름에 동참하면서 어떠한 활동력을 보여주었는가 하는 점을 추적,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참정권 쟁취와 교육평등을 위한 여성들의 조직화에 주목하였다. 여성들이 참정권획득을 위하여 시위, 개혁, 연합, 투쟁함으로서 오래고 질긴 남성 지배 사회에서 여성 정치 대표자가 출현하게 되는 과정도 여러 자료들을 섭렵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세계 여성 운동의 일반적인 추세이기도 하고 중국 여성 운동사의 발전에서도 나타나는 여성의 평등 교육권 쟁취 문제를 다루었다. 중국 여성들이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쟁취하려고 투쟁하는 과정을 상술했다. 총괄하면, 5.4 운동 시기 중국여성운동은 분야별 다양한 활동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역할과 기능을 발휘 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5.4 운동 시기 중국여성운동이 이루어낸 가장 커다란 업적은 여성을 조직화, 체계화 하였다는 점이다. 여성단체들은 조직을 바탕으로 민주사회의 기본이 되는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갖기 위해 투쟁하였다. 그 대표적 조직으로는 창사 여계연합회, 뻬이징 여계연합회, 뻬이징 여자참정 협진회, 뻬이징 여권운동동맹회를 비롯하여 12개 여성단체이다. 이들 단체는 여성의 참정권을 위해 시위, 청원, 심의, 언론게재 등의 다각적인 활약을 통해 법규채택을 이루어내었으며 또한 여성 성 의원, 현 의원을 다수 배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둘째, 북양정부로 하여금 평등교육의 제도를 받아들이고 대학교에 최초의 여학생들을 입학시키게 했으며, 고등교육기관에도 여학교설립을 추진하여 중국사회에 남녀동등교육을 뿌리내릴 수 있는 제도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셋째, 봉건유교제도 및 관습에서 새로운 가치규범으로의 신생활을 촉구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후 중국공산당 시대로 접어들면서는 여성 운동 역시 여성노동 해방에 초점을 둠으로서 민주주의나 자유주의와는 점차 괴리가 생기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