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식민지 근대화’ 논쟁과 ‘근대성’ 인식의 재검토 : 근대성 개념의 간학문적 논의를 중심으로

        김두진(Kim, Doo-J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9 亞細亞硏究 Vol.62 No.4

        한국의 근대성에 관한 논의는 한국 사회에 적지 않은 정치적 함의를 던져 줄 만큼 무거운 역사적 쟁점이 되어 왔다.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은,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론’의 이분법적 인식론적 논쟁은 양측 모두 그동안 상당 부분 설득력과 의미 있는 학문적 성과를 가져왔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 수탈」과 「식민지 근대화」간의 기존의 지적 논쟁을 간학문적(間學問的) 논의 -여타 사회과학의 인식의 맥락에서- 를 통해서 근대성 개념의 인식론적 접근의 지향점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전적(事前的) 작업으로 한국 식민지 근대성 논쟁을 둘러싼 기존 비판적 논의의 지적 계보 (혹은 흐름)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성’ 간의 논란을 진전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근대성’ 개념에 관한 해석을 복합적 시각과 분석의 맥락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 근대성 논의의 시발을 ‘단수의 근대성’ 혹은 ‘일국(一國)의 근대성’의 이해를 넘어서 ‘다중 근대성’(multiple modernities)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식민지 근대화론과 관련하여, 식민지 근대성의 현상을 ‘단수’의 근대성을 넘어서 ‘전지구적 근대성’ 내지 ‘다양한 근대성’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것은 ‘일국적 근대성’(national modernity)을 넘어서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transnational histiory)의 관점에서 재검토해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의 역사서술은 ‘국민국가’ 혹은 ‘민족’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것이 아니다.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는 하나의 ‘패러다임’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지향점’의 성격을 제시한다. ‘다중 근대성’의 성격은 종전의 서구학자의 전통적 근대성 개념을 거부하는 차별성을 드러낸다. 비서구의 다양한 근대성들(modernities)은 ‘통시적’(通時的), ‘동시적’(同時的) 및 ‘비동시적’(非同時的) 운동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난다. 이런 맥락에서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성’ 간의 부단한 논란이 ‘근대성’ 개념의 다원적(plural) 시각과 분석의 맥락에서 다루어질 때, 이분법적 시각 간의 접점의 범위가 보다 넓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Discussing the question of whether Japanese rule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 is much likely to be problematic. Should the idea of modernization continue to possess heavy political implications ? In comparison with the concept of modernity as fixed, unified or universal progress, it is often suggested that we posit a multiplicity of kinds and fields of modernity, and attempt to discern features of modernization rather than defining the nature of progress on the basis of one or two criteria. The notion of ‘multiple modernities’ may denote a certain view of colonial modernization in Korean society similar to the actual developments in modernizing non-Western societies. In Korean humanities circle,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discourse on ‘colonial modernity’ vs ‘exploitation theory’, thus leading to the accumulation of the scholarly reinterpretations related to colonial modernity in the fields of Korean history. Korean nationalist historians presuppose an archetype of “Western modernity” on which colonial domination was based. The nationalist narratives remain prevalent in the colonial intellectual fashions they contest. By contrast, we argue that the varieties of modernity needs to be recognized in the context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cluding transnational history perspective. The notion of ‘global modernity’ or ‘multiple modernities’ should be addressed to move away from the excessively value-laden use of the modernity. It is not sufficient to trace modernity as a linear movement of modern developments. Rather, recognition of modernities as the interplay of diachronic, synchronic and desynchronic actions should be carefully incorporated. We assume that the recognition of plural modernities allows us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roversy on colonial modernization. The idea of global modernity enables both Korean historiography circles to redefine varieties of modernites that go beyond their conventional perception on colonial modernization.

      • KCI등재

        조선총독부의 서구 협동조합 모방과 식민지적 변용 : 금융조합 법령을 중심으로

        문영주(Mun Young-joo)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2

        식민지 경제법령은 식민지배자가 의도한 경제 운영방식을 공적으로 제도화한 규칙이다. 식민지 경제법령은 두 층위에서 제정되거나 개정되었다. 하나는 식민지배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수단으로 서구근대의 경제제도를 모방해서 이식하는 층위이다. 모방의 대상은 서구근대는 물론이고 서구화된 일본근대를 포함한다. 다른 하나는 이식된 제도를 식민지 조건에 맞춰 변용하는 층위이다. 서구근대 제도의 식민지적 변용과정은 식민지근대의 제도화 과정이었다. 일제시기 금융조합은 신용조합의 형태는 갖추고 있었지만, 운영방식과 사회적 역할은 식민지 개발체제에 맞도록 변용되었다. 금융조합 관련 법령의 변화는 서구 협동조합의 식민지적 변용을 제도화하는 과정이었다. 식민지배자가 독일 신용조합제도에서 모방하고 식민지에 이식한 것은 중앙집권적 관리방식이었다. 이러한 모방과 이식을 바탕으로 금융조합은 신용조합 형태의 정책금융기관으로 변용되었다. 이처럼 한국인이 식민지에서 경험한 근대는 식민지배자의 논리에 의해 모방 · 이식되어 다시 식민주의에 의해 변용된 근대였다. 여기에 한국인이 저항과 비판을 통해 주체적으로 구상하고 실현시키고자 한 근대가 섞이거나 대결하면서 식민지근대는 구성되었다. Economic laws meant for a colonized region were 'institutionalized rules' that officialized the colonial masters' intentions regarding 'economic operations' inside the colony. They were either enacted or revised within two kinds of contexts. First,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economic administrations of the Western world were consulted, copied and transplanted into colonial situations, under the intention of enhancing the efficiency of ruling the colony. Not only the Western modern examples but also modern examples of the Westernized Japan were consulted and mimicked. Second, there were cases, in which foreign institutions were not only transplanted but also 'indigenized' (changed and modified to fit and suit the colonial situation). The process of Western modern institutions being 'indigenized' in colonies, was also the process of the 'Colonial modernity' being 'institutionalized'. The financial associations that were found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were colonial financial bodies that we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Western cooperative unions in nature. They had the appearance of a credit union, but the format of the cooperative union was modified to suit the Japanese imperial authorities' plans to 'develop' the colonized Joseon. Changes occurred in the laws that were related to these financial associations, were part of the institutionalizing process of colonial modernity. The Japanese authorities copied the German version of a credit union administration, and transplanted the aspect of 'centrally controlled management' into the situation of the colony economy. As a result of this copying and transplanting, the financial association system in Joseon was 'indigenized' to reflect the realities of the colony, in the format of a government-supported(by policy) financial body, with the appearance of a credit union. The modernity the Koreans experienc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a modernity copied and transplanted according to the colonial masters' plans and intentions, and also a remodified one changed to suit the colonialism of the time.

      • KCI등재

        결혼ㆍ가족담론을 통해 본 한국 식민지근대성의 구성 요소와 특징

        김영선 ( Kim Young-sun ) 한국여성사학회 2010 여성과 역사 Vol.- No.13

        식민지 생활공간에서 객체이자 동시에 주체였던 피식민지인들은 서로 간에, 또는 식민권력과 끊임없이 갈등, 투쟁, 타협, 협상함으로써 식민지(의) 근대성을 구축해왔다. 다양한 정체성을 지녔던 근대 주체들을 배양했던 역사적 조건들은 식민주의, 민족주의, 근대성의 요소들이 서로 맞물려, 그리고 이 요소들이 서로를 삼투하면서 생겨났던 특정한 로칼 공간으로부터 발생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공간들의 구성 조건이 되면서, 한편으로는 그 결과물이기도한 식민지근대성의 젠더화(gendering)를 살펴보는 프리즘으로써 `결혼ㆍ가족`의 담론 내용을 주목하며, 1920-30년대 식민지와 민족(-국가) 건설 프로젝트의 핵심 과제 중의 하나였던 결혼ㆍ가족 제도의 근대적 재구성에 내포된 가부장제적 성격을 지속과 변형의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일본 식민권력과 식민지 민족주의 엘리트 그룹들이 어떠한 논리로써 식민지 여성을 계몽과 문명의 근대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포섭해 나갔는지, 이를 둘러싼 젠더 정치를 폭로함으로써, 민족주의와 식민주의, 근대성의 상보적이면서도 정합적인, 그 변증법적 관계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재해석해보려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유교 혈통주의에 입각한 조선의 조혼 및 가족 제도가 근대적으로 변용되는 지점을 신ㆍ구여성의 대립적 구도의 담론 설정과 상호타자화 과정에 초점을 맞춰 들여다봄으로써, 전통적 가부장제와 식민지근대성이 어느 지점에서 서로 중첩되고, 충돌하고, 또 변용되었는지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거시적 사회변화와 가족 내 미시적 젠더관계의 결을 교직하여 살펴보면서, 식민지 여성들이 지닌 당대 시대인식과 내면의 고통을 맥락화하고자 했으며, 개인 삶의 새로운 근대적 조건이 식민지 여성들에게 어떠한 기회나 자원으로 주어졌으며, 동시에 넘을 수 없는 외적 한계로서 작동되었는지, `정상`의 의미구성과 여성 통제의 수사(rhetoric) 분석을 통해, 한국 식민지근대성에 내포된 젠더적 함의 -이중성-을 결론에서 추출했다.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gender politics activated in the reconstruction of modern marriage and family institutions in terms of (dis)continuity of patriarchal family relations. The focal point of the new two juxtaposed sections Japanese colony building vis-a-vis Korean nation-building in this paper is to reveal the historical juncture in which cultural reform of the Korean nation propelled by both nationalist as well as colonialist power, both anchored on the racialized notion, collided with the Korean “Women`s Question” on the feudalistic family system dealing mainly with the issues of enforced early marriage. Also, via textual analysis of the Korean New Woman`s experiences and life narratives within the family in colonial (female/intellectual) magazines,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at the interrelations among Korean familialism, the ideology of the normal family, and obsession with the pure blood-lineage, were neo-traditional and patriarchal means of legitimating the control and discipline of the Korean body. Central to this article is the deconstruction of patriarchal colonial modernity along with the axis of “marriage and family” as institu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implicit logic of colonial and national powers embedded in the enlightenment of the Korean nation, and woman as intertwined and complementary in maintaining the interdependency power relations between Japanese colonial hegemony and Korean patriarchal power.

      •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비판 - 『반일 종족주의』 비판 -

        김병기 국학연구소 2020 국학연구 Vol.24 No.-

        『반일 종족주의』라는 책은 일제의 식민사관을 再論하는 저술이다. 이 가 운데 ‘식민지근대화론’은 일제식민지 통치시기에 비로소 한국의 근대화가 촉진되었다는 것이다. 일제가 한국을 수탈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시혜(施 惠)를 베풀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일제가 한국을 무력으로 불법 강 점한 사실과 민족말살정책을 부정하는 한편 그들의 식민통치를 통해 한국 은 후진성을 극복하고 ‘근대화의 길’로 나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식민지근대화론의 허구성은 이미 많은 학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1)한국사의 정체성론은 해방 후 남북한 학자들에 의해 ‘내재적 발전론’으로 극복되었다. 한국에서는 17~18세기에 이미 자생적 근대화의 싹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2)식민지근대화론자들은 조선시대까지 이루어진 경 제발전은 과소평가하고 일제에 의한 개발을 과도하게 평가하고 있다. 이는 통계에 대한 자의적 해석과 오독(誤讀)으로,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한국경 제를 비교해 보면 모든 통계는 식민지적 질곡에서 벗어나면서 비로소 근대 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수치로 말해주고 있다. 3)일제강점기 한국사회를 식민지근대화론자 주장처럼 경제논리로만 이해하는 것은 위험한 분석이다. 정치적 발전, 사회적 발전을 비롯하여 문화적 발전 등도 함께 검토해 보아 야 한다. 일제하 국민주권, 국민참정권 등이 철저히 제한되었고, 한국어 말 살정책, 역사 문화의 왜곡 말살을 통해 한국인들의 입지는 철저하게 제한 되었음을 함께 살펴야 할 것이다.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주장대로 일제시기가 좋았다는 식민지 미화론, 식 민지 시혜론이 난무한다면 상대적으로 국권회복을 위해 힘썼던 독립운동은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 "Anti-Japanese Ethnicism" is a book that re-examines Japanese colonial history. Among them,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is that modernization of Korea was promote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y say that the Japanese did not take away Korea, but rather gave benefits. This is a logic that denies the Japanese imperial aggression and annihilation policy, and that through colonial rule, Korea overcame backwardness and achieved "modernization". Many scholars have already criticized the fiction of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1) The theory of stagnation in Korean history was overcome by South and North Korean scholars with "internal development theory" after liberation. In Korea, in the 17th to 18th centuries, spontaneous modernization had already sprung. 2) Colonial modernizationists underestimate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Chosun era” and overestimate the develop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t is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and misreading of statistics. A statistical comparison of the Korean economy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beration shows that modernization took place only after it escaped from the colony. 3) As the colonial modernizationists argue, it is dangerous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only economic logic. Naturally,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must be reviewed together. It should be noted tha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s were thoroughly regulated due to restrictions on the suffrage, the erad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distortion of history. If “colonial beautification theory” and “colonial benefit theory” are insisted, as the colonial modernizationists have argued,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tried to find the country will lose its place.

      • KCI등재

        한국 근대소설과 식민지 근대성: 시론적 연구-염상섭의 「만세전」을 중심으로

        김명인 ( Kim Myoung-i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이 논문은 한국 역사학계에서 식민지 시대를 바라보는 양대 담론이었던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이 공히 지닌 근대 추종적 경향과 민족주의적 경향을 극복하여 지배와 저항, 포섭과 동의, 예속과 복종이 혼재하는 식민지체제에서의 근대성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내세운 `식민지근대성론`을 식민지시대 문학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 근대문학 연구와 연결하기 위한 시론적 작업이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이 `식민지근대성론`의 합리적 핵심을 받아들이되 식민지 근대성 범주 안에 식민주체의 헤게모니적 지배와 그에 구속되는 피식민 주체의 심리와 행동양식으로 요약될 수 있는 역사학계에서 말하는 `식민지 근대성` 으로는 다 포획되지 않는 근대성 자체의 해방적 성격와 식민지 지배의 근원적 폭력성, 그리고 이에 대한 피식민 주체들의 근본적 저항 또한 이 식민지 근대성 범주 안에 포함시킴으로써 기존의 `식민지근대성론`이 지닌 또 다른 근대절대주의를 지양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문학 연구에서 `식민지근대성론`과 유사한 문제의식을 지닌 탈식민주의 문학연구 방법론의 핵심인 양가성, 혼종성 개념을 받아들이되 여기에 `식민지 근대성` 개념을 적극 인입하여 탈식민주의 방법론이 지닌 현상적, 미시적 접근법의 한계를 넘어 식민지 시대 이후의 한국근대문학에 대한 거시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서 염상섭의 「만세전」을 주로 판본 비교와 시점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재검토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만세전」이 `식민지 민족현실의 발견 서사`거나 혹은 `근대적 주체의 형성 서사` 둘 중의 하나가 아니라 강력한 근대적 이성과 민족적 정념의 힘으로 식민지 지배체제와 이데올로기 너머를 지향하는 근대적 해방의 서사임을 밝혀냄으로써 `확장된 식민지근대성론`의 한국 근대문학에 대한 적용의 가능성과 유효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an experimental study for adaptation the `Colonial Modernity-discourse` in the academic field of Korean Hitory to the stud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Colonial Modernity-Discourse` is opposed to overcome the modernity-pursuing and na-tionalistic inclination of both the Theory of Immanent Development and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zation. And it is also opposed to explain the modernity of colonial system in which rule and resistance, bringing-round and agreement is mixed each other. However, this article has expanded the category of the `Colonial Modernity` to the liberating power of modernity itself, the primitively violent nature of colonial rule, and the radical resistance of colony people against the colonial rule which are not included in `Colonial Modernity-Discourse`. And this article has intended to join this discourse with the Post-colonialism study on Korean modern literature which is similar to this discourse in the view of colonial system. This joining has some merits to complement each other, with that one could get microscopic methodology and terminology such as `ambivalence` and / or `hybridity`, the other could get macroscopic view over the colonial system and it`s era. For this experimental study,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text of Yeom-Sang Seop`s novel Manse-jeon. And could reach to the conclution that the text is not the `narrative of the finding colonized national reality` or the `narrative of the building of a modern subject` but the `liberation narrative which is oriented beyond the colonial rulling system and ideology with the power of strong modern reason and national pathoses. And Accordingly it could testify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adaptation the expanded `Colonial Modernity-Discourse` to Korea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일제 식민지기 재래시장의 사회사적 분석을 통한 식민지근대성론의 사회변동론적 재구성

        조형근(Hyung Keun Cho)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5

        이 글은 일제 식민지기 재래시장에 대한 역사적 사례 분석을 통해 식민지근대성론을 사회변동론의 관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타진한다. 서구에서 유래한 기존의 사회변동론들은 식민지사회의 근대적 사회변동을 설명하는 데 한계를 보여왔다. 사회변동이 구조와 행위주체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이라는 프레임 위에 서 있다면, 확산론적 관점에 선 기존의 사회변동론들은 식민지사회의 행위주체를 배제함으로써 이 복잡한 상호동학을 이해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일제시기 한국 재래시장의 구조는 공영 없는 공영제, 시장의 폭증과 상대적 비중 감소, 민족적 분절, 식민지 자본주의적 진전과 시장원리의 부정에 이르기까지 식민지적 구조가 뚜렷해졌다. 식민지 조선인들은 이러한 구조적 규정성 아래서 재래시장에 대한 선호를 지속하였고, 시장을 민족적 사회생활의 중심으로 만들었으며, 저항의 장소로 활용했고,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공론장으로 발전시켰다. 이 과정에서 식민권력은 일관성을 상실했고, 통치의 무능을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재래시장에 참여한 식민지 주체들은 근대성이 자신을 보편으로 정립할 수 있도록 평가절하됨으로써 그 근대성을 구성해주는 외부가 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서의 주체적 행위를 통해 끊임없이 그 식민지적 구조를 비틀고 변이시키는 내재하는 외부로서 작동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사례분석을 통해 확산론적 사회변동론과는 달리 식민지근대성론이 식민지 사회변동의 동학 이해를 위한 좀 더 현실적합한 틀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s it possible to apply the concept of colonial modernity to social change theory for colonial societies?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is possibility through theoretical and historical analysis. If social change is advanced by complex dynamics between structure and subject, main theories of social change have a distinctive weakness to describe such dynamics, because they regard modern change of colonial societies as a simple result of diffusion of western modern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colonial power reorganized the structure of the Korean traditional markets: Public management system focused on policing, rapid growth and relative fall of portion, ethnic segregation, advance of colonial capitalism and its turn to self-negation. Under these structural forces, colonial Korean continued to prefer traditional markets, made them as centers of Korean society, used as locus for national resistance, and developed as public spheres for debating social rights and obligations. Colonial power lacked consistency in market policies and showed its incompetence before the collective acts of colonial subjects. Although traditional markets and subjects were devaluated as inferior exterior by colonial power, colonial subjects in the traditional markets contorted and changed colonial structure itself by their own active practices, and became constituitive and internalized exterior of modernity. By this case study, we can expect that colonial modernity approach could provide a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ynamics of colonial modern change.

      • 식민지근대화라는 환상과 공산주의라는 증상

        손성우(Son, Seong Woo)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1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Vol.2021 No.11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주장은 전(前) 근대사회와의 단절 및 기원으로서의 근대를 얘기한다. 또 그들은 일제강점기 초기근대는 1960년대 국가-재벌 연계의 근대화 프로젝트의 싹이자 연속성을 이룬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해 정신분석학적 입장에서 논박을 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은 식민지근대화론에 내포된 사회적 환상(social fantasy)과 증상(symptom)을 규명함으로써 한국의 근대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며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근대에 관한 욕망을 파악하고자하는 것이다. 먼저 초기근대화와 1960년대 근대화의 연속성은 주체의‘타자의 욕망에 대한 욕망의 연속성’이란 점에서 성립 가능할 뿐이다. 이런 소외된 욕망이 초기 근대의 식민 상황을 대변하며 1960년대 근대화 역시 과거와의 단절이라는 점에서 초기 근대와 유사하다. 그럼에도 이를 연속적인 것으로 볼 수 없는 게 사회적 맥락과 환경(한국전쟁과 열강들의 개입, 국가의 분단, 각종 사회지각변동 등)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또 두 근대(초기 근대와 60년대 근대)를 연속성을 가진 것으로 보는 것은 보편적일 수 있는 현상에 지나치게 역사적 해석을 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재생산하려는 것을 이미 주어진 것처럼 전제를 하는 서사(narrative)일 뿐이다. 반면 역사(history)는 단순한 서사이상으로 급진적이고 단절적이다. 식민지근대화론의 두 근대의 연속성은 서사일 뿐 역사라고 할 수 없다. 역사의 단절은 한국전쟁을 통해서 이전 전근대적 전통사회와의 단절 및 남북분단, 사회구조변동 등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은 식민지근대화를 근대의 기원으로 보는 한편 반공주의 사상을 고집한다. 이는 환상으로서의 근대와 이에 대한 증상으로서의 공산주의라는 상호함축적인 정신분석학적 관계를 드러낸다. 식민지근대화론자들에게 낙인찍히고 박멸되어야할 대상이 공산주의자가 된 것은 역으로 그들이 칭송하는 1960년대 근대화 작업이 환상에 기초했음을 보여준다. The argument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talks about the severance with pre-modern society and modernity as the origin. They also argue that the early modernity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rings a sprout and continuity of modernization project in the connection between state and conglomerates of the 1960s. This study aims to refute it in the position of psychoanaly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odernity of Korea by examining the social fantasy and symptom implied in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and also to understand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desire for modernity. First, the early modernization and the continuity of modernization in the 1960s could be validated only in the aspect of subjects’‘continuity of desire related to others’ desire’. This alienated desire represents the colonial situation of the early modernity,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1960 is also the severance with the past, which is similar to the early modernity. Nevertheless, this cannot be viewed as something continuous because the social context and environment(The Korean War, world powers’ interference, national division, all sorts of social upheavals, and etc.) have been changed. Also, viewing those two modernities(early modernity and modernity of the 1960s) as something with continuity could be excessively applying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to the universal phenomenon. This is just the narrative that premises something that aims to reproduce as something already given. On the other hand, the history is radical and severed more than simple narrative. The continuity of those two modernities in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is not the history, but just the narrative because the severance of history was shown as severance with pre-modern traditional society, national division, and change in social structure through the Korean War. Also,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view the colonial modernization as the origin of modernity, and also insist the anti-communist ideology. This reveals the mutually-implicative psychoanalytic relation between modernity as fantasy and communism as its symptom. The communists were stigmatized by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as the objects that should be eradicated, which reversely shows that the modernization work of the 1960s they praised was on the basis of fantasy.

      • KCI등재

        일제강점기 도시공간의 식민지 근대성 - 전주를 사례로

        박선희(Seon-Heui Park)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7 문화 역사 지리 Vol.19 No.2

          This paper tries to analyze how colonial modernity has been expressed in the urban space of Jeonju in transition to colonial economic system. I look into the urban planning including district rearrangement, the segregation of residential areas by nation, the concentration of financial and commercial institutions and the formation of inner center of colonial city of Jeonju. The rearrangement of district ensured the residence of the Japanese on the pretext of building modem roads. The residence space expressed the national segreg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enter and periphery. The colonial modernity was also tri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native financiers in establishment of modem financial institutions. The modernity of commercial space appeared in the foundation of companies and shops and in the competition between the Japanese and the native merchants. The colonialism of commercial space was expressed in the Japanized space of Dajeongtong. The district grew into the urban center with the concentration of financial and commercial facilities. Its land price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in Jeonju.   본 연구는 전통도시 전주가 식민지 경제체제로의 이행과 함께 식민지 근대성을 도시공간에 표출시키는 양상을 짚어보고자, 근대교통과 시구개정을 포함한 도시계획, 거주공간의 민족별 분리, 금융과 상업활동의 지리적 집중과 도심 형성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 전주의 근대적 도시계획을 상징하는 시구개정은 신작로를 개설한다는 명분 아래 일본인의 거류를 확보하려는 식민지성을 내포하였다. 전주-군산 간 근대형 도로는 물자수송의 효율성이 강조되었지만 일본상인의 물자수송과 일본인 농장의 양곡수송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전주의 거주공간은 민족별로 분리되고 중심-주변으로 분리되는 이중성을 보였다. 금융기관의 식민지 근대성은 금융기관의 설립과 전주 유지들의 참여에서 찾아볼 수 있었고, 조선인 자본이 근대자본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근대적 노력은 한계를 드러냈다. 상업공간에서 조선 상인들은 일본 상인들과 상호 경쟁하면서 근대적 상업회사의 설립과 상설점포의 경영을 추구하는 근대성을 보였으나, 일본인 상업공간이 전주의 중심부로 성장하는 식민지성을 나타냈다. 일본인의 거주공간과 상업공간의 핵심이었던 대정통을 중심으로 금융과 상업활동이 집중되면서 대정통(중앙로)은 지가가 가장 높은 도심으로 부상하였고 오늘날에도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KCI등재

        주변부의 근대-남북한의 식민지 반봉건론을 다시 생각한다-

        홍종욱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4 사이 Vol.17 No.-

        If we go back to the idea that ‘colony = modernity’, on which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is based, and consider the colony as a field in which the heterogeneous time and space of Europe and Asia became intertwined, we have to acknowledge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and the theory of colonial semi-feudalism, which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Korean academic world in the 1980s. The two theories are similar in that they pay attention to the heterogeneity and inequality of capitalism, or the modern. The key point of ‘the controversy on the unification of China’ in mid-1930's Japan, was how to understand coloniality. Tadao Yanaihara insisted on the theory of modernization or decolonization, and Suehiro Okami’s theory was close to that of stagnation without considering coloniality. Tsutomu Nakanishi focused on the duality of Imperialism during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in semi-colonies and the people’s resistance resulting from it, criticizing both Okami and Yanaihara. Jeong-sik In’s theory was close to that of Okami in that it considered Korea as semi-feudal, placing emphasis on its stagnation. However, Mun-gyu Bak and Mun-byeong Bak,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coloniality, recognized both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ion in agriculture and feudalism as strengthened by Imperialism. After his conversion, In recognized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in Korea and denied the fact that Korea was a colony. The conclusion of ‘the controversy on the periodization of the modern’ in North Korea in 1962 can be summarized as ‘colonial semi-feudalism = modern’. It appeared to be a compromise between the theory of social economic formation and the theory of class struggle. As the historiography of self-reliance (juche) gained momentum in the 1980s, the theory of class struggle was fully adopted and the division between modern and contemporary was changed from the liberation in 1945 to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indicating that anti-colonialism ironically lost substance as a result of its emphasis on self-reliance (juche). In South Korea, Byeong-jik An was strongly opposed to the idea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capitalism, including the theory of the bud of capitalism. In An’s theory of colonial semi-feudalism in the 1980’s, we are able to recognize his endeavor to explain the colonial experience escaping the formula of historical materialism and the theory of modernization. In contrast to Byeong-jik An, Hyeon-chae Bak and Hideki Kajimura criticized the problem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capitalism after once recognizing it. In 1989, Byeong-jik An published a paper in which he evalua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capitalism from his belief in desubordination. His change meant that he gave up trying to explain coloniality. An’s change can be viewed as a shift from Suehiro Okami to Tadao Yanaihara’s ideas in the controversy on the unification of China and can also be compared to Jeong-sik In’s conversion in colonial Korea. The difference between Byeong-jik An and Hyeon-chae Bak or Hideki Kajimura lay in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colonialism and the people’s resistance were considered. ‘식민지=근대’라는 식민지근대론의 원점으로 돌아가 식민지를 서구와 아시아라는 이질적인 시간과 공간이 겹쳐지는 장소로서 파악한다면, 1980년대 한국의 지식계를 강타했던 식민지반봉건론의 문제의식이 되살아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두 이론은 근대 혹은 자본주의의 비대칭성, 불균등성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1930년대 중반 일본에서 벌어진 ‘중국통일화논쟁’의 핵심은 식민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였다. 야나이하라 다다오는 근대화론 혹은 식민지탈화론의 입장이었고, 오카미 스에히로의 논의는 식민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정체론에 가까웠다. 나카니시 쓰토무는 양자를 비판하면서 반식민지의 자본주의 발전에 있어서의 제국주의의 이중성과 그에 따른 민중의 저항에 주목하였다. 식민지조선의 인정식은 조선을 ‘반봉건제’ 사회로 보면서 그 정체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오카미와 비슷한 입장이었다. 이에 반해 박문규나 박문병은 식민지라는 규정성을 중시하면서, 제국주의에 의한 봉건제의 유지·강화와 아울러 농촌 사회 분화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한편 전향 이후 인정식은 조선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인정하면서 조선이 식민지라는 사실을 부인하게 된다. 북한의 근대사 시대구분 논쟁은 1962년 ‘식민지반봉건=근대사’라는 형태로 총화되었는데 이는 사회구성설과 계급투쟁설의 결합으로 평가할 수 있다. 1980년대 주체사관이 본격화됨에 따라 계급투쟁설이 전면적으로 채택되어 근현대의 분기점은 1945년 해방에서 1919년 3.1운동으로 변경된다. 주체가 강조되면서 역설적으로 반식민주의가 형해화된 셈이다. 한편 안병직은 자본주의 맹아론을 포함하여 한국 자본주의의 발전을 이야기하는 것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1980년대 안병직의 식민지반봉건론에서는 근대화론이나 사적 유물론의 공식에서 벗어나 식민지 경험을 설명하고자 하는 고민이 엿보인다. 박현채나 가지무라 히데키는 안병직과 달리 한국의 자본주의화를 인정한 위에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1989년 안병직은 한국의 NICs적 성장에 주목하여 탈종속의 전망 아래 한국 자본주의의 성공적 발전을 평가하는 글을 발표한다. 이와 같은 방향 전환은 그가 식민성을 해명하는 문제를 포기한 것을 의미한다. 중국통일화논쟁에 비유하자면 오카미에서 야나이하라로의 방향 전환에 해당하고, 식민지기 인정식의 전향과도 흡사하다. 안병직과 가지무라 혹은 박현채의 차이는 식민주의 그리고 그것이 불러일으키는 민중의 저항을 인식했는가에 있었다.

      • KCI등재

        일제의 한국 지배에 대한 인식의 갈등과 그 지양

        정연태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3 No.-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일제의 식민지배에 대한 인식을 둘러싼 갈등이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갈등은 정치적·사회적 갈등, 남북 대립, 그리고 한일 역사분쟁과 결합돼 소모적인 이념 대립으로 비화되고 있다. 그 상징적 양상은 최근에 벌어진 한국사 교과서 검정파동에서 나타났다. 한국학계 또한 이런 양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식민지 수탈론, 식민지 근대화론, 탈근대론 사이의 근대 역사관 논쟁이 학문 외적인 이념 대립과 연동돼 논쟁 자체가 변질되고 있다. 심지어 학계의 논쟁이 소모적 이념 대립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기는커녕 불필요한 갈등을 오히려 증폭시키는 데 이용되는 경향조차 있다. 본고는 한국 근대사 인식의 이러한 정치성을 특별히 주목하고 싶다. 일제의 식민지배에 대한 인식을 둘러싸고 한국학계에서 전개되는 학술 논쟁이 정치 사회적 현실과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모적인 갈등을 지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주제어 : 식민지배, 역사분쟁, 교학사(敎學社) 한국사 교과서, 종북(從北) 좌편향 프레임, 식민지 수탈론, 식민지 근대화론, 탈근대론, 열린 민족주의 The recent conflicts over the recogni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are serious in the Korean society. These conflicts are connected with political and social antagonism, inter-Korean confrontation, and history disputes between Korea and Japan. For this reason, they are creating exhaustive conflicts of ideology. A symbolic development aspect of these conflicts is the recent controversy over the official certifica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s. The academic world of Korea is not also free from these conflicts. The disputes on the view of the modern history of korea between the theory of colony exploitation, the theory of colony modernization, the theory of post-modernism are deteriorating in sync with the conflicts of ideology in Korean society. The disputes in the academic world didn’t contribute to settle these exhaustive conflicts. They even tend to be used to intensify unnecessary conflicts. In this paper, I would particularly like to pay attention to this kind of the politics of recognition of Korean modern history. And I want to examine how these disputes in the academic world are connected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ities in Korea today. Additionally, I would like to attempt to seek for solution to sublate this kind of exhaustive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