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 낭독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인식 연구

        조온윤,윤소현,신헤아림 한국문예창작학회 2024 한국문예창작 Vol.23 No.1

        최근 시인의 창작 외 활동 양상을 살펴보면, 작품집을 출간한 이후 낭독회 및 책담회 등의 문학 행사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행사는 주로 출판사 주관의 출판물 홍보 성격 또는 서점 및 도서관 등의 공간 홍보 목적으로, 대부분 행사 내용에 시인의 시 낭독 활동을 포함한다는 특징이 있다. 최근 오디오북, 팟캐스트 등 음성 콘텐츠 시장의 확장과 낭독 공연의 활성화로 인해 시는 음성의 형태로 독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장르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 낭독은 문학작품을 창작하고 발표하는 활동에 잇따르는 부가적인 활동으로 인식되어 왔기에 예술적 가치의 범주와 관련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시인의 시 낭독 활동에 기반하여 시 낭독이 지닌 예술적 가치의 인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3년간 국내 주요 문학 전문 출판사에서 발행된 시집 총서와 시 낭독 공연의 빈도를 조사하였으며, 문학 분야 창작자 및 독자를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시인의 시 낭독의 예술적 가치와 공식적 예술 활동의 증명에 대한 인식도, 시 낭독이 지니는 사회적 효과, 문학 음성 콘텐츠 수요 등을 파악하였다. 먼저, 국내 주요 문학 전문 출판사에서 최근 3년간 발행된 시집 총서와 시 낭독 공연 개최 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최근 출판사 주관 시 낭독 공연의 활성화 정도 및 출판사별 현황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최근 출판사가 주최하는 시인의 시 낭독 공연이 활성화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문학 분야 창작자 및 독자를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시 낭독에 대한 예술적 가치와 사회적 효과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창작자 및 독자의 대다수가 시 낭독을 시인의 예술 활동으로 여기며 공동체 연대가 강화된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문학독자에서 시 낭독 청자로의 전환에 따라 개인적인 행위로만 인식되었던 문학 독서 및 감상이 타인과 함께 즐기는 능동적인 향유 활동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시 낭독의 공식적 예술 활동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식적 예술 활동의 증명에 대한 의견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공식적인 예술 활동으로 인정받기 위해 보다 많은 담론이 생성되어야 할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시 낭독과 관련한 연구의 토대가 됨으로써, 이를 시작으로 시인의 시 낭독에 대한 다양한 예술적 담론이 생성되고, 낭독 공연에 대한 제도적 지원과 대중의 관심이 제고되어 낭독 문화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If we examine recent non-creative activities among poets, we observe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literary events such as readings and book talks following the publication of their works. These events are primarily organized by publishers to promote their books, bookstores, and libraries, typically featuring poets reading their own works.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the audio content market, including audiobooks and podcasts, and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reading performances, poetry is evolving into a genre delivered directly to the audience through voice. Consequently, it is imperative to conduct research in line with these changes. Furthermore, poetry reading has been acknowledged as a supplementary activity to the creation and publication of literary works, necessitating research on its artistic value.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 of the artistic value of poetry reading, considering the recent surge in poets’ reading activities. To achieve this, we initially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poetry collections released by major literary publishing houses in Korea over the past three years, along with the frequency of poetry reading performances. Additionally, we conducted a perception survey among creators and readers in the literary community to gauge their views on the artistic value of poets’ reading performances, their opinions on formal recognition of artistic endeavors, the societal impact of poetry readings, and the demand for literary spoken word content. Initially, we examined the total number of poetry collections published by major literary publishing houses in Korea over the past three years, and whether they hosted poetry readings. This allowed us to assess the level of engagement in poetry readings organized by publishers and the current landscape of each publisher, affirming the recent vibrancy of such events. Subsequently, we conducted a perception survey among creators and readers in the literary community to ascertain their recognition of the artistic value and social impact of poetry readings.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view poetry reading as a form of artistic expression by poets and recognize its role in fostering community cohesion. Moreover, we observed a transition from solitary engagement with literature to active participation in shared enjoyment of poetry readings. Furthermore, to gauge the potential for poetry reading to attain official recognition as an artistic activity, we surveyed opinions on the certification of such activities.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further discourse to establish poetry reading as an officially recognized artistic pursuit. By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poetry reading, this study aims to stimulate discourse on various artistic aspects of poets’ reading performances, promote institutional support for poetry reading events, and enhance public interest in poetry reading to rejuvenate literary culture.

      • KCI등재

        조선문학가동맹 '詩部'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

        박민규(Park Min-kyu)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해방기 남한의 대표적인 진보적 민족문학 단체였던 조선문학가동맹(문맹)의 조직적 시운동을 검토하고, 문맹의 시론들을 그 당시 시운동과의 상관성 하에 맥락화하면서 분석, 평가하였다. 특히 문맹의'시부위원회'가 전개한 활동의 궤적에 주목하였다. 시부(詩部)는 46년 2월에 문맹의 결성과 함께 조직되었다. 결성 초기에 시부는 '시의 대중화'를 주요 활동 방향으로 선언하지만, 추상적이고 감정적인 구호에 그쳐 있었다. 이후 시 강연과 시 낭독을 활발히 전개하면서 시 대중화 운동은 구체적인 것이 되어 갔다. 특히 각종 행사에서의 시 낭독은 대표적인 조직적 활동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초창기인 46년 상반기에 시부는 계몽화 운동의 소박한 취지에서 비정치적인 시까지도 다양하게 대중에게 보급하였다. 그러나 46년 중반에 미소공위가 휴회하면서 시 낭독은 대중에게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쪽으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정치적 '분노'의 시와 시 낭독이 성행했는데, 김기림은 이를 신인의 육성이란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46년 하반기에 문맹은 잇따른 조직 개편과 대중화 결정서들을 마련하면서 문학대중화 방침을 더욱 강화해간다. 10월 항쟁을 거치면서 새로운 활로의 모색을 위해 문화 투쟁을 통한 대중과의 적극적 결속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시인들은 개편된 조직들의 전면에 배치된다. 특히 대중에 대한 관점이 기존의 계몽적 시혜성에서 정치적 연대성으로 변모하게 되자, 문맹의 서울지부 시부 위원장인 김광균이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당시 추진되고 있던 문화공작자 혁신안이 결정적 원인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47년에 접어들어 시부의 시 낭독 행사는 대형화되고 종합예술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시 자체의 낭독에 그쳤던 46년과 달라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시 낭독은 대형 예술제와 문화공작대 등에서 음악, 연극, 무용 등과 협연된다. 이는 시 낭독의 종합예술화를 제안했던 조허림의 시론이 현실화됐음을 뜻한다. 그러나 일차적으로는 대중의 정치적 결집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한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훗날 김기림은 시 낭독의 공과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검토하면서 앞으로 시 낭독이 대중의 전형을 파악해야 하며, 시사적 내용에 치우치지 말아야 한다고 주문하였다. 하지만 문맹의 활동이 봉쇄된 상태에서 그의 주문은 현실화되기 어려운 과제로 남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organized movement for poetry by Korean Writer's Alliance(Chosŏn-Munhakga-Dongmaeng),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analyzes and evaluates the poetics of it, contextualizing under the relation with poetry movement of the time.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trajectory of activities developed by the Committee of Poetry Division in Korean Writer's Alliance. Poetry Division was organiz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February 1946. At the early period, it announces 'Popularization of Poetry' as an important direction of its activities, however, it ends in an abstract and emotional slogan. Movement for popularizing poetry becomes more detailed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poetry lecture and reciting. Reciting poems in various event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organized activities. In the first half of 1946, Poetry Division introduces various types of poems including nonpolitical ones with the simple purpose of enlightenment movement. However, in the mid-1946,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declared a recess and poem reciting changed into delivering political message to the public. Especially, reciting poems expressing political 'rage' is prevailed and Kim, Gi-rim positively assessed it at the level of fostering new figures. In the second half of 1946, Korean Writer's Alliance intensifies the policy of popularizing literature, carrying out a successive reshuffle and preparing Written Decision for Popularization. It changes the direction toward active unity with the public through culture struggle to seek a way out going through People's Uprising in October 1946. Poets are dispatched in the front line of reshuffled organization. When the viewpoint toward the public changes from the existing enlightening dispensation to political solidarity, Kim, Kwang-gyun, chairman of Poetry Division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Seoul strongly criticizes this. Innovation plan of culture craftsman seems to be the decisive reason for his criticism. Entering into 1947, the scale of poem reciting event of Poetry Division becomes larger and bigger and composite art. It is different from the event of 1946, which ends in reciting poem. From 1947, poem reciting accompanies with music, play, dance and so on at large scale art festival and by the group of culture craftsman. This means that the poetics of Cho, Hur-rim who suggested make poem reciting as a composite art has realized. However, the primary purpose of it was to draw political concentration of the public to the maximum. Later, Kim, Ki-rim said that poem reciting should grasp the stereotype of the public and not be biased to contents of current events, examining merits and demerits of poem rec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However, his suggestion remains as a difficult task to be realized when the activity of Korean Writer's Alliance is blocked.

      • KCI등재

        낭독 방법을 활용한 시 리듬 교육의 재인식

        이승이 ( Lee Seung Yi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6

        시가 다른 장르와 구분되는 본질적인 요소는 리듬이고, 시를 시답게 감상하고 향유할 수 있는 것 또한 리듬이다. 그러나 그동안의 시 리듬 교육은 이론 중심의 지도 방식에 치우쳐 시 리듬을 배우기만 하고 정작 즐기지 못하는 독자를 양산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시 리듬 교육 현실이 건강한 독자의 탄생, 평생 독자로의 성장을 방해한다고 여기고, 시 리듬의 내면화를 위한 실제적인 지도 방식으로 낭독의 가능성을 재인식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저자-문자 텍스트-독자’로 연결된 묵독 중심의 읽기 활동에서 소외되었던 독자가 ‘화자-음성 텍스트-청자’로 연결된 낭독 중심의 말하기 활동을 통해 읽기 주체가 되고, 읽기 주체가 된 독자가 문자 텍스트의 의미 결정권을 갖고 음성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음성 텍스트에서 소리-의미의 결합체로서 시 리듬은 독자 주체의 심리적 기분에 따라 의미상 강세로 나타났다. 한 예로, 본고는 「향수」「이별가」「먼 후일」을 낭독할 때, 리듬 구성 요소인 반복이 끊임없이 차이와 변이를 일으키면서 다양하고 일회적인 리듬으로 실현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처럼 청자로부터 독자 주체의 확고한 지위가 부여되고 청자와의 소통을 통해 읽기 개념이 완성되는 낭독은, 입으로 말해서 귀로 듣지 않으면 발견하기 어려운 시 리듬 교육에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만, 시 리듬 교육에서 낭독의 가능성은 독자주체의 개성적 호흡이나 연희성이 강조되어 청자와의 소통을 방해하는 것은 경계되어야 한다. An essential element that helps poetry readers appreciate and enjoy poetry and distinguishes poetry from the other genres is rhythm. Education on poetry rhythm, however, has become theory centered. Thus, readers actually only learn the poetic rhythm, but do not enjoy it. This paper argues that the current poetry rhythm education in reality interferes with the interest and conversion of new readers and their continued development over a lifetime and the possibility of new understanding after the experience of the practical teaching method for internalization of poetry rhythm. In this paper, I studied how the isolated reader from a silent reading centered activity connected to ‘Writer-Letter Text-Reader’ could become the subject of reading by a voice reading centered activity that linked to ‘Speaker-Voice Text-Audience’. Also, I examined the process of how the main reader has power to determine the literal meaning of a text and produce atext voice. As combination of sound-meaning in voice text, poetry rhythm was found to be stronger in meaning depending on the psychological mood of the reader. As an example, this paper found that the repetition, component of the rhythm, caused a constant difference and variation and became various and singular rhythm when we read “Hyang-Soo” “ Ibyeol-ka” “Mon- Hu Il”. Like this, voice reading, gives the audience a strong position and completed reading concept though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can be a useful teaching method for educating poetry rhythm, which is difficult to find without words or sounds. However, in poetry rhythm education, we need to be careful of interfering with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because the possibility of reading poetry emphasizes the reader``s idiosyncratic breath or dramatic performance.

      • KCI등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극적 요소 연구

        이현정(Lee, Hyeon-Jung)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6

        본 연구는 한국 현대시의 한 경향으로 나타난 ‘극적인 시’의 특징을 밝혀내기 위해 시론적인 차원에서 김경주의 시를 대상으로 그의 시에 나타난 극적 요소들을 살펴보고, 그러한 극적 요소들이 현대시에 어떤 변화와 의미를 주고 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김경주는 서정적 자아의 자기 독백에 길들여져 있는 시에 다양한 극적 요소를 결합하여 현대시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김경주의 시에 나타난 극적 요소와 그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김경주의 시는 극적 배역을 수용하여 등장인물이 사람이든 짐승이든 사물이든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무엇이든 그 등장인물의 대사나 행동의 연기를 보여줌으로써 시적 상황의 리얼리티를 느끼게 하고 있다. 그러한 리얼리티는 시적 상황을 가능성으로 접하게 함으로써 독자의 상상력을 넓혀준다. 뿐만 아니라 눈으로만 시를 소비하거나 서정적 독백의 감상적인 낭독에 머물지 않고, 독자가 시적 분위기를 토대로 무대와 등장인물을 상상하고 페르소나의 목소리를 흉내 내면서 극적 상황을 재현하며 시를 낭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를 보다 감각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해준다. 둘째, 김경주의 시집 기담은 장(場)과 막(幕)으로 이루어지는 극의 구성요소를 차용하여 시집을 세 개의 막으로 구성함으로써, 시 한 편의 독립성보다 시와 시의 연결을 통한 의미의 전개 및 중첩으로 시집 한 권에 담긴 시인의 의도를 강하게 어필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셋째, 김경주의 시는 부조리극의 대화법을 수용하여 비연속적이고, 부자연스러우며, 비논리적인 대화방식을 시에 재현함으로써 의미의 단절과 애매성을 극대화 시켜 시적 긴장을 유발하고, 부정과 모순, 악의와 혼돈으로 가득 찬 삶의 부조리성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김경주의 시에는 극의 형식적 요소 중의 하나인 지시문이 여러 시편에 다양하게 삽입되어 있다. 희곡의 무대 지시문과 같이 시의 시공간적 배경을 직접적으로 서술하거나, 희곡의 행동 지시문과 같이 발화자의 행동이나 어조를 지시하기도 하며, 독자에게 바라는 태도를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희곡의 지시문을 시에 결합함으로써 독자가 그 시를 어떻게 대해야하는지, 시인이 직접 독자에게 자신의 시를 제대로 향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다섯째, 극이 여러 소품으로 무대와 등장인물을 꾸미듯이 김경주는 시 텍스트를 극의 무대장치처럼 그 의미에 맞게 다양한 활자와 배열의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로 표현함으로써 시에 생동감을 부여하고, 해당 시의 의미를 부각시키고 있다. 여섯째, 김경주는 시와 극의 장르적 혼성을 통해 어떤 존재도 단일하거나 완벽하지 않으며 확실하지도 않다는 존재의 ‘잡종적 양태’를 형상화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런 ‘사이’나 ‘틈’을 “활공”하면서 일시적이고 우연적이며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것들의 잠재성에 주목하여 언어예술의 최전방에서 자기만의 개성으로 새로운 상상력이 작동하는 시를 쓰겠다는 시인의 예술적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문학 문화콘텐츠의 원형, 낭독

        주현진(JU, Hyounjin)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4

        이 연구는 디지털문명의 시대에 놓인 문학, 시의 현재적 존립성에 대한 고찰과 문학의 원형적 정체성에 대한 사유를 일차적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문학 혹은 시의 원형적 정체성이라 할 수 있는 내재적 목소리(혹은 음악성)가 ‘구체적(physic) 통로’를 통해 표면화되는 것이 문학의 미래 생존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문화콘텐츠들이 범람하는 초현대사회에서 문학 특히, 시의 생존성이 위협당하고 있음은 알랭 바디우와 같은 (철)학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대부터 오늘날까지 생존해온 문학, 시의 지속성이 갖는 근원적 힘은 헛된 것이 아님을 인식하고, 그 힘은 곧 문학의 고유한 목소리가 표면화될 때 강하게 작용하였음을 문학사의 흐름 속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즉, 문학의 내재적 목소리의 표면화라 할 수 있는 문학낭독은 곧 영겁의 세월동안 문학 그리고 시가 자생할 수 있었던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문학(시)의 위기를 말하는 오늘날 문학적 목소리의 재연인 낭독이라는 적극적인 문학행위를 통하여 문학과 시의 자유로운 이동을 탐구하는 것은 중요해 보인다. 문학이 여타 문화예술영역들처럼 축제의 공간을 넘나드는 문화콘텐츠로 정착하여 세상 속으로 스며들 수 있는 방안 모색은 문학의 미래와 직결되는 문제로 여겨진다. 때문에 본 연구는 고대 아테네 광장에서 공연되었던 비극처럼, 중세 음유 시인들의 낭독처럼 혹은 18세기 조프랭 부인의 살롱에서 행해진 문학낭독처럼, 오늘날 문학축제 속에 자리한 문학낭독의 위치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처럼, 문학을 생생하게 존재시키는 목소리의 표면화를 통하여, 紙面을 떠나 사이버 공간으로 이동하는 문학이 미래에도 지속될 것임을 확인해보는 것이다. 하이데거의 언표 “우리들을 구원하러 올 신을 맞이하기 위한 준비는 사유와 시로써 이뤄져야한다”는 명제를 실행하게 하는 문학의 생존성이 낭독을 둘러싼 문학축제에서도 발견될 수 있음을 확인해보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literature of ability to live in the future computationally sophisticated, but also about his identity that did exist before. In this study, we will consider the likelihood that the innate voice in literature could influence the livelihood of literature in the future. On this point, one can approach the literary reading aloud is a way to not only appear before the public, but also in the public. Many philosophers are concerned or persuaded by precariousness to be literature in the age to come. However, as the literature has always existed, this study will seek to know that there is the fundamental power to existing literature, that one is revealed when the innate voice in literature manifested. Thus literary reading can be considered as engine which literature existed since antiquity. That is why today, he looks important to study the free movement of literature or poetry as an action physically active, the reading aloud. Find a way to literature (or poetry) infiltrate the world by setting up as one of the cultural content. In sum, this section will review the status of literary reading aloud in the world invaded by multiple art-culture contents. We will thus confirm that can exist within literary festival, possible living literature.

      • KCI등재

        소셜 리딩(Social reading)을 적용한 시교육 효과 연구: 팟캐스트(Podcast)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권현지(Kwon Hyeon-ji),임수경(Lim Su-k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본 연구는 일반인들의 능동적인 유튜브채널 시청을 통한 시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팟캐스트(Podcast) <현지시밤(HyeonjiSibam)>’ 운영 이후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문학의 확장가능성을 제고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디지털 다매체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설계하고, 시 텍스트를 소셜 리딩 팟캐스트로 제작, 배포하는 과정을 정리함으로써 대중문학 콘텐츠로써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사례로 든 팟캐스트 콘텐츠 <현지시밤(HyeonjiSibam)>은 시흥시 예술인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시를 중심으로한 전문 시문학 콘텐츠로 제작되었고 2018년 3월부터 12월까지 총6회가 유튜브(YouTube)에 업로드되었다. 각각의 콘텐츠에는 교양 및 정보 제공, 기성 시인 시편소개, 구독자 사연 및 시편 소개, 시 창작법 소개, 시집 소개 등 시 관련 콘텐츠들로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지금까지 진행되어왔던 관련 선행연구들을 검토했고, 현재 진행 중인 소셜리딩에 한정한 문학 팟캐스트의 현황을 정리,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팟캐스트 콘텐츠 <현지시밤> 의 구성·제작을 하였고, 설계 및 분석 과정에서 시문학의 대중화 가능성을 모색했다. 소셜 리딩을활용한 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시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고, 더 나아가 시를 이해하는 과정에서보다 능동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시 감상의 능력 향상과 감수성의 세련화및 상상력의 확대를 통한 내면화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의 영역적 확대와 더불어 궁극적으로는 시문학의 대중화를 확립시키는 교두보가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ways of expanding literature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podcast HyeonjiSibam and to confirm the educational effect of poetry via YouTube as a platform. Thus, this study intends to enhance online popular literature contents by designing means via digital multimedia platforms, producing social reading podcasts, and arranging the distribution process. For this study, the podcast HyeonjiSibam was produced as a project of Siheung-si, a company that supports the arts, to provide professional discussions of poetry. A total of six episodes of HyeonjiSibam were uploaded on YouTube from March to December 2018. The content of each episode is refined and informative, introducing poems of established poets, presenting subscribers’ stories and poems, explaining how poems are created, and introducing and promoting books of poetry. To this end, we reviewed previous research, analyzed the literary podcast’s ongoing social reading. Based on this, we composed· and produced the content for HyeonjiSibam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poetry being popularize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analyzing. Through social reading in the poem education program, poetry reading comprehension was enhanced. Moreover, the results confirmed that poem appreciation enables internalization and refines one’s sensibilities. Through this, social reading can be expected to become cornerstone of poem’s range extension and ultimately establishing popularization of poem literal.

      • KCI등재

        낭독을 활용한 고전 시가 교수-학습 방법 모색

        전두리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101

        이 연구의 목적은 ‘낭독’을 활용한 고전 시가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는 학습자가 고전 시가 이해를 심화․확장할 수 있고 작품을 내면화하여 서로 소통하는 데에 기여한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고전 문학 교육의 현상을 직시하고 고전 시가 교수-학습 방법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했는데 그 중심에 텍스트 수용의 매개체이며 표현의 기제인 ‘낭독’을 두었다. 우선 ‘낭독이 부재’한 문학 교육의 실태를 살피고 ‘낭독의 부활’에 초점화하여 학습자와 교사가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살아있는 고전 시가 교육의 실천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구술성과 연행성의 특질에 주목하여 ‘낭독’의 의미를 개념화하고 작품 감상 단계(소리 읽기-의미 읽기-다시 읽기)에 따라 달라지는 낭독의 의미를 구분하고 그 효용성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고전 시가 교수-학습 원리(친근성, 통합성, 상호교섭성)와 모형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고전 시가를 보다 쉽게 감상하고 주체적으로 즐겁게 협동하여 내면화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lassic poetry using ‘recitation’. This contributes to communication through expanded understanding of classic poetry by learners and internalization of work. Particularly, this study confronted the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on classic literature and sought a new direction in pedagogics. At its heart lies ‘recitation’ - media to accommodate texts and tool of expression. Above all, the study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lacking recitation’ and focusing on the ‘revival of ‘recitation’ sought to practise education of classic poetry in which learners and teachers communicate. For this, the study, noting the characteristics of orality and performance, conceptualized the meaning of ‘recitation’ and classified its meanings by work appreciation stage (voice reading- meanings reading- rereading) and identified their effectiveness. Based on this, it prepared a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 of classic poetry (familiarity, integration and interactional negotiation). This may allow the learners to appreciate classic poetry more easily and internalize more effectively.

      • KCI등재

        현대시 감상 활동 구성에서 팟캐스트의 효용 고찰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 분석을 중심으로

        진가연 ( Kayeon Jin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1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 팟캐스트는 실제적으로 적용될 만한 텍스트 자료이다. 본 연구는 팟캐스트를 통한 대화 양상의 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한 교육적 활용 방안 구안을 위해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을 분석하였다. 팟캐스트를 통한 소통은 구술 시대와 문자 시대의 특성이 잔존해 있는 반(半)대면적 소통 양상을 띤다는 점에서 기존 현대시 교육 논의에서의 ``내적 대화``와 조응된다. 또한 감상 내용 구성 과정이 상세히 드러난다는 점, 진행자의 낭독은 감상 결과의 또 다른 표현 방식으로서 독자가 문학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과정을 체험하게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성으로 볼 때 현대시 교육에서 팟캐스트는 감상 텍스트의 구술적 표현 도구로서, 감상의 표현을 위한 연행적 체험 활동과 감상의 메타적 조정 활동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odcast is useful educational text material for future smart education environments. This study deduces features of communication through Podcast by analysing ``Time to Read Books by Kim Young-ha`` and drew up plans of educational application. First, communication through podcast is characterized semi facial relationship that is residue between the period of the spoken word and written word. This point is related to discussion of inner-dialog in modern poetry education. Second, it exposed the process of the readers` appreciation in detail. Finally the recitation of Kim, as the expression of appreciation, leads the readers to experience the communication process through mediated literature. From this discussion, podcast in modern poetry education is oral expression tool for appreciation text and enables the readers to have performing experience and meta-modification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