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공능력평가방법에 따른 가치관련성 비교연구

        권해숙,오원정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9 지역산업연구 Vol.42 No.4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method is a system in which the Minister of land and transportevaluates and publishes the construction ability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at the end of Julyevery year, and reports the indicators,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Estimated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is used as an important means of providing information ofthe company in charge of construction when contracting various constructions. This study verifieswhether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under the revised evaluation methoddiffer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under theexisting evaluation method.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y by Kwon Hai-sook, Oh Wonjung(2016), that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has value relevance, it isrequired to verify that the value relevance to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has increased.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estimated values of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construction capability evaluationmethod, and the relevance of the 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increased afterthe revision of the construction capability evaluation metho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estimated value of construction performance evaluation, management evaluation, technology abilityevaluation, and new technology evaluation that constitute the estimated values of construction abilityevaluation after the revision of the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method also became more relevantto the value of the company. The analysis results ar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revisedconstruction ability assessment method, which means that it can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entity's value rather than the existing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method. 시공능력평가제도는 국토교통부 장관이 매년 7월말 건설업체의 시공실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및 신인도를 기초로 시공능력을 평가하고 공시하는 제도로서 시공능력평가액이라는 지표를산출하여 보고하고 있다. 시공능력평가액은 각종 공사계약시 공사를 담당하는 기업의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정된 평가방법에 의한 시공능력평가액이기존 평가방법에 따른 시공능력평가액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추가로시공능력평가액이 기업가치와 관련이 있다는 권해숙‧오원정(2016)의 연구를 근거해 시공능력평가액의 기업가치관련성이 증가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전․후의 시공능력평가액 간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결과가 나타났고,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이후 시공능력평가액의 기업가치관련성이 증가한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시공능력평가액을 구성하는 공사실적평가액, 경영평가액, 기술능력평가액, 신인도평가액도 시공능력평가제도 개정 이후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개정된 시공능력평가제도가 기존의 시공능력평가제도보다 기업가치와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 KCI등재

        시(詩)를 활용한 도덕교육

        박영하(Park Young Ha)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8

        시는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은 고뇌와 성찰의 결과물로서 문학의 여러 장르 중 가히 최고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의미 있고 감동적인 노래의 노래 말은 대부분 시에 그 기원을 둔 경우가 많다. 사랑하는 남녀나 깊은 교제를 나누는 인간관계에서 시는 매우 중요한 소통의 매개이자 삶의 활력소가 되기도 하다. 시가 인류에게 중요한 소통의 도구인 까닭에 아주 오래 전부터 시는 중요한 교육수단으로 자리 잡아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교육 현장에서 시가 다양하 게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우리교육 현실을 보면 시가 지닌 교육적 의미와 기능을 제대로 살리 지 못하고 시를 대학 입시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시킨 감이 있어, 이에 대한 반성과 시의 교육 작 기능회복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시의 교 육적 기능과 방법, 특히 도덕과에서 시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시를 활용한 도덕수업의 효 과는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자료와 연구자 본인의 ‘시를 활용한 도덕수업’ 사례 및 그 효과에 관한 학생들의 소감문 등을 근거 자료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교육현장에 서 도덕교육 방법을 다양화하고 내용을 풍부히 하는 데 작은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Poetry is presentation of deep anguish and reflection on the human life. We know that many popular songs have their origin in poetry. In addition, in human relationships, such as loving men and women, or deep communion, poetry is an important tool of communication for a long time. And it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educational tool.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Korea, poetry is being used widely. But as we know poetry hasn’t played its role for educational function. Frankly speaking, it has been studied as the means of entrance examination. So, we needed to reflec on the losing of the moral educational function of poetry, and we must recover its’educational value. Based on consciences of those problems, researcher studied about the application of poetry in moral education. From experiences of author's classes, I have noticed many poems stimulate and grow the students' self-identity and will of moral practice. To support such a view the author presents preceding researches, author's lesson experiences, students' reports,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surveys.

      • KCI등재

        중국문학에서 詩人의 개념과 역사 —杜甫를 중심으로

        강민호 한국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文學 Vol.100 No.-

        중국문학에서 ‘詩人’은 원래 《詩經》의 작가라는 집단적이고 고상한 의미였기에 후대에 일반적 시의 작가를 시인이라고 부르는 것을 주저하게 만들었다. 또한 〈離騷〉의 작가를 가리키는 ‘騷人’이라는 용어도 시인을 지칭할 때 쓰였기에 ‘시인’은 《시경》 작가의 기풍에 屈原의충정까지 겸비한 사람이라는 의미를 더하게 되었다. 建安시기부터 曹操 부자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시의 작가가 대거 등장하고 五言詩를 중심으로 시체가 틀을 갖추면서 六朝시기에는시의 작가들에 대한 전문 평론서인 《詩品》이 출현하였다. 이는 중국시가사에서 ‘시인’이라는범주가 독립적으로 사유된 시작점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예전의 辭賦나 산문 작가 위주의‘文人’에서 악부시나 오언시 등도 창작하는 문인으로 변화하고, 나아가 시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문인보다 좁은 의미의 ‘시인’으로 부를 가능성이 생겼다. 이로 인해 《시품》에서 陶 淵明을 ‘隱逸詩人’이라 부른 것처럼 《시경》의 시인과는 다른 일반적 시인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일반적인 시의 작가를 가리키는 ‘시인’이라는 말은 남북조시기에는 거의 쓰이지 않다가 唐代 이후에 이르러 점차적으로 사용되었다. 初盛唐代에는 그러한 시인 용어의 사용이 드물다가 中晩唐代에 차츰 증가되었으며 宋代 이후에 보편화되었다. 이런 흐름 속에서 元稹이杜甫를 평하며 “시인이 있은 이래로 두보와 같은 사람은 없었다(詩人以來, 未有如子美者)”라고 한 것은 의미심장하다. 두보는 시 창작의 전문성의 면에서 돋보이는 시인이다. 이를 바탕으로 두보가 이룬 집대성과 창신의 성취는 그의 생전의 지명도에 도리어 악영향을 미쳤다. 그래서 두보는 보편적인 시인의 전형이라기보다는 최고점에 있는 시인의 典範에 가깝다. 중국문학사에서 시인은 매우 흔한 듯 하지만 전적으로 몰입한 시인은 드물었는데 두보는 그러한 드문 시인이다.

      • KCI등재

        分類本『草堂詩餘』의 變遷에 관한 연구

        류기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中國硏究 Vol.96 No.-

        唐宋 이래로 中國에서는 수많은 詞選이 출간되었지만, 明代의 출판업자들이 가장 눈독을 들였던 詞選은 草堂詩餘 였다. 사실 南宋에서 처음 만들어진 草堂詩餘 도 유명한 詞人이나 詞論家들이 만든 것이 아니라 출판업자들이 편집하여 간행한 것으로, 南宋의 출판업자들도 이 책이 유행할 것이라는 감을 잡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南宋부터 明末까지 4백여 년을 유행하였던 이 詞選集은 역대의 詞 작품을 보전하는 역할도 하였지만, 詞話의 보전과 발전에도 상당한 貢獻을 하였다. 이런 草堂詩餘 의 版本 비교 는 詞選集이 唱本에서 讀本으로 변해가는 과정, 편집자의 刻印 의도, 후세에 나온 版本들이 어떤 版本을 底本으로 삼아 어떻게 변화되어 만들어졌는지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작업이다. 草堂詩餘 는 朝鮮詞의 발전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여, 현재 우리나라에도 10여 종 이상의 草堂詩餘 판본이 남아 있는데, 이 중 일부 筆寫本은 중국에서 이미 실전된 판본이다. 필자가 소장하고 있는 조선 필사본 草堂詩餘 는 모두 4종인데, 그중 3종은 중국에서 동일 판본을 찾아볼 수 없었다. 특히 日本 立命館大學 所藏의 朝鮮 筆寫本 草堂詩餘 는 수록된 작품 수의 방대함도 놀랍지만, 朝鮮 筆寫者의 詞에 대한 해박한 지식은 청대의 詞評家들과 비견될 정도로 대단하다 할 수 있다. 朝鮮에 수입되고 보전된 草堂詩餘 의 가치를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중국 草堂詩餘 의 계보와 판본별 차이점에 대한 선행연구가 진행되어야만 한다. 明代에만 40여 종 이상의 판본이 있는 草堂詩餘 는 판본이나 편집자에 따라 相異한 이름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구분이 너무 복잡하여 詞學 연구자들도 草堂詩餘 로 통칭하며 그 系譜와 版本의 異同을 따질 필요성을 간과하였고, 기존 연구자들의 대다수는 善本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연구 환경과, 版本들이 서로 大同小異하여 그게 그것일 것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小異의 중요한 부분들을 놓치고 말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중국 국가도서관 소장의 善本과 宋·元·明의 各種 기록들을 취합하여 草堂詩餘 의 淵源과 分類本의 변천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미비점을 밝혀내 Since the middle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a collection of selected lyrics compiled by the publishers has been in vogue, known as Caotangshiyu. In the Yuan and Ming dynasty, it was held generally in esteem as the Textbook of Ci poems, and had been continually added and revised. The original copy of the Song Dynasty's Caotangshiyu has long since been lost, but we can find its prototype in a book from the Yuan Dynasty. The Song Dynasty books were categorized and created to be used for singing. By the middle of the Ming dynasty, when the practice of accompanying music no longer allowed for singing, these songbooks had outlived their usefulness, and the new Caotangshiyu, with its classification by tune, emerg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genealogy and origins of the songbooks published in different periods, compare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correct errors in existing theories.

      • 시·군종합평가(도 주요시책) 지표개발 연구

        박충훈,이상미,장혜윤,이채영,장현경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본 연구는 경기도에서 시행하는 「2017년 시·군 종합평가」의 도 주요시책에 관한 평가지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경기도에서 수행하는 시⋅군 종합평가는 국가 및 도의 주요 시책에 대한 시·군의 추진상황 점검 및 운영의 효율화 등을 제고하려는 목적으로「정부업무평가 기본법」 제21조, 「경기도 성과관리 및 평가에 관한 규칙」 제5조에 근거하여 시행되고 있다. 평가지표의 체계 및 구성이 도 주요시책에 대해 시⋅군의 노력을 독려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구축하는 과정은 특히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것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시·군 종합평가지표에 대한 타당성 및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고 도정 시책에 따라 평가지표로 선정될 필요가 있는 신규지표들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지표와 신규지표 등 총 40개에 대한 공정성, 합리성, 객관성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연구들을 검토하여 평가지표 개발방안에 대한 분석틀을 도출하고, 그에 따라 평가지표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이후 평가지표의 개발, 수정⋅보완을 거쳤으며 이 과정에서 전문가, 도 및 시⋅군별 지표담당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평가지표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적으로 선정된 지표들에 대한 AHP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산정하고 지표 체계를 정리하였다. 평가지표의 개선은 다음의 단계를 거쳐 이루어졌다. 첫 번째로, 검토를 거친 부서 개발 지표 40개와 연구원의 신규 제안지표 14개 등 총 54개 지표가 1차적으로 제시되었다. 두 번째로, 부서의견 수렴 및 조정을 통해 부서개발 지표 38개, 연구원 제안지표 6개, 총 44개 지표로 줄어들었고 이에 대하여 시·군의 의견을 수렴하고 지표를 조정하였다. 이후 시·군 간 이견이 있는 총 29개 지표에 대하여 시․군 담당자 워크샵을 진행하였고, 총 11개 지표에 대하여 시·군과 합의를 도출하였다. 이 외의 지표들은 워크샵 이후 별도의 시·군 의견조회 또는 시·군 의견을 바탕으로 수정, 삭제 등을 결정하여 총 40개의 세부지표로 지표체계를 확립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지표의 가중치는 AHP 분석결과를 토대로 평가지표, 세부지표의 가중치를 총 900점으로 환산하였다. 이와 같은 평가결과의 개발, 수정⋅보완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문제점은 성과측정 방식의 구체성 미흡, 성과목표와의 낮은 연계성, 평가 기준 및 방식에 대한 시·군별 의견 대립 등 이며 이에 대하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대상을 선정할 때 평가수행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한다. 즉, 평가가 지속될 필요성이 있는 사업들과 평가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는 사업들을 평가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둘째, 시⋅군에서 추진하는 사업에 대해 도 차원의 성과관리 강화가 필요하다. 이는 부서 차원에서 사업에 대한 지속적 관심을 통해 체계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할 때 성과관리의 실효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셋째, 사업담당자가 사업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개발, 성과관리 등에 대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부서의 사업담당자는 사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성과지표 개발에 대한 역량이 강화될 때 보다 적절한 성과지표를 설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시·군과 평가담당, 도 부서 간 의사소통 강화, 상위목표와의 연계성 검토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rove the evaluation indicator of "Evaluations of City ⋅ Country Local Governments in 2017". The City and County Comprehensive Assessment aims at evaluating whether the city is effectively promoting the major policies of the state and the province. Performance information derived from evaluation process and it enables to improve performance of organization. Moreover, it induces changes in the behavior of the employe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evaluation indicator by examining the indicators, such as whether the evaluation indicator used as the overall evaluation indicator reflects the policy objective and represents the final performance. First of all, a literature review is conduct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related to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establish an analysis framework. In addition, we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by collecting opinions from stakeholders such as experts, provinces, and city and county managers, and weights are calculated through AHP analysis of the selected indicators. The evaluation indicators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opinion gathering and a total of 40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lected. The weight of the evaluation indicator is based on the results of AHP analysis, and the value of the evaluation indicator is converted to 900 points in total. Each evaluation measure has a range of 50 to 100 points, and the detailed evaluation indicator ranges from 5 to 50 points. The city and county comprehensive evaluation has the purpose of inducing the efforts of city. Therefore, the evaluation indicator needs to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changed considering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n this regard,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discusses the procedur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indicator and laid the groundwork for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system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can b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it is required to consider the necess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when selecting the evaluation target.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the projects promoted by cities and counties. Third, in the case of project manag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ir capacity to develop indicators that can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and performance management.

      • ‘시노달리타스’ 실현을 위한 한국 사회와 교회의 현실, 그리고 전망: 본당 공동체를 중심으로

        김의태(Kim, Eui-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2 이성과 신앙 Vol.72 No.-

        본 연구는 ‘한국교회가 왜 시노달리타스에 대해 공감하지 못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사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세계주교시노드 제정 50주년 기념 연설을 통해 시노달리타스의 필요성이 절실해졌지만, 한국 사회와 교회 안에 스며든 장애요인들로 인한 시노달리타스의 실현에 진통을 겪고 있다. 특별히 한국의 민주주의와 정당정치의 한계, 한국의 전통문화와 현대문화와의 충돌, 소통 방식에 대한 충돌, 성직자 중심주의로 인한 위기, 코로나로 인한 신앙생활의 변화 등 공감대 형성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시노달리타스의 실현을 위한 변화의 실마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민주주의에 대한 변화의 열망이 시대적 요구라는 점, 본당신부가 모든 문제에 있어 정답을 알 수 없다는 인식과 솔직한 피드백이 가능한 환경 조성, 장기적이며 주기적인 본당 시노드, 평신도들이 본당신부뿐만 아니라 주교님과 함께 하는 상호 양성프로그램을 제안해 본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Why can't the Korean church sympathize with synodality?' First of all, the synodality is highlighted by Pope Francis' speech commemo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ynod of Bishops. But there are the obstacles against the realization of synodality in Korea. In particular, the limits of democracy and political parties in Korea, conflict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culture in Korea, problem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crises caused by clericalism, and changes in Pendemic. Therefore, I would like to present the prospect for the realization of synodality: 1) the fact that the desire for change in democracy in Korea is the demand of the times 2) the recognition that the cleric can’t answer to all pastoral problems 3) the make an environment where opportune feedback is possible 4) periodic and permanent parochial synod 5) the mutual formation program with the bishop and the lay people.

      • KCI등재후보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중학교 시낭송 교육

        박안수(Park, An-su)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6 No.2

        이 글은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중학교 시낭송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문화교육이란 독자를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생산자로서의 소비자[생비자(生費者), (prosumer)]’로 그 위상을 재정립하여 바라보자는 입장이며, 텍스트의 관점에서도 순수 서정시나 모더니즘 계열의 시보다는 민중이나 대중에게 쉽게 향유되는 시들도 교육과 연구의 대상으로 삼자는 입장이다. 또한 이러한 ‘시의 생산, 분배, 소비’의 측면을 중요한 ‘실천으로서의 문화, 문학’ 현상으로 인정하자는 입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문화교육의 관점은 ‘민족지학의 관점’의 연구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 관점은 20세기 산업사회가 발달하면서 생긴 산물들인 드라마와 영화, 사진 등의 장르에 관심을 갖는 연구이다. 또한 계급적, 사회적 관점으로는 노동자나 여성, 이민자와 같은 영국 민중들이 향유하는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이러한 문화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를 소비하는 시청자나 독자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연구 방식이다. 이들 모두를 ‘확장된 문화’라는 개념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연구는 1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시낭송 교육의 현실에 관해 문제 제기를 하였고, 2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본 작가‧텍스트‧독자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을 잘 반영할 수 있는, ‘반응활동의 객관화를 위한 의사소통 모형’을 중심으로 시낭송 교육 방안 설계와 시낭송 교육의 실제를 보였고, 4장에서는 문화교육적 관점에서 실천한 시낭송 교육의 의의와 한계, 제언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 낭송자와 청중들은 시 텍스트를 활용한 낭송의 개념과 범주를 폭넓게 허용함을 알게 된다. 둘째, 다양한 시낭송 방식의 체험은 반응비평 중심의 시 감상 교육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학습 과정임을 알게 된다. 셋째, 학생들은 시를 주체적으로 감상하고 즐기며, 적절하게 반응하고 소통할 있는 능력을 경험한다. 위와 같은 시낭송 교육은 부정적 영향과 한계에도 유의해야 한다. 감상의 과정에서 주객전도의 딜레마가 작용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즐길 수 있는 재미를 빼앗아 버릴 수 있고, 부정확한 선입견을 가지고 많은 보조 자료를 동원하여 배경 음향과 화면으로 채우는 것에 골몰할 수 있다. This research deals with poem recitation education in middle school conducted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In cultural education, the status of reader is upgraded to be viewed as 'producer and consumer (prosumer)' instead of just a 'passive consumer'. Such perspective of cultural education has a lot to do with 'ethnographic perspective' research. This perspective stemmed from paying attention to genre such as dramas, movies, and photos ― products of the developed industrial society in the 20th century. The research analyzes such cultural texts and pays attention to the consumers, the viewers or readers, who are all accepted in the concept of 'extended culture'. This research raised issues associated with poem recitation education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in the chapter 1. In Chapter 2, writers and texts are examined from the 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In Chapter 3, planning of poem recitation education and its reality was reveal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model for objectification of reaction activities, reflecting the perspectives of cultural education. In Chapter 4,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n poem recitation education from the cultural education standpoint we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poem reciters and audience will be introduced to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poetry recitation. Secondly, they will learn that reactive criticism is the foundation for poetry appreciation and so fuels a variety of poetry recitation experiences. Thusly, through the mentioned learning points, students will be able to independently communication abilities as well as an appreciation for poetry. Such poem recitation education had to be mindful of negative effects and limitations as well. In the process of appreciation, it might produce side effects of taking away the freedom and enjoyment of students, contrary to its goal. Second, the education might negatively focus on the background music and images with lots of supplementary materials and inaccurate approach.

      • KCI등재

        “영감” 개념에 따른 플라톤의 시 이해: 『국가』의 시 논의와 일치하는 그것의 비판적 입장에 관하여

        권혁성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1

        Die Dichtungsauffassung, welche Platon unter dem Begriff des “Enthousiasmos” vertritt, ist bisher nicht selten als ein Lob der Dichtung interpretiert worden. Aus einer solchen Interpretation aber ergibt sich die Schwierigkeit, wie Platons ganze Dichtungsauffassung als innerlich konsequent verstanden werden könnte. Denn es ist eine unumstrittene Tatsache, dass seine repräsentative Dichtungsdiskussion, die unter dem Begriff der “Mimēsis” in der Politeia stattfindet, sich mit der Dichtung in kritischer Hinsicht beschäftigt. Da diese Dichtungsdiskussion sogar die Dichtung verbannt, gibt es keinen Weg, die Schwierigkeit zu lösen. Eigentlich ist aber die Schwierigkeit nicht aus Platons Dichtungsdiskussion selbst entstanden, sondern aus derjenigen Interpretation, die in seiner unter dem Begriff des “Enthousiasmos” stattfindenden Dichtungsdiskussion ein Lob der Dichtung sehen will. Dies ist nun dadurch festzustellen, all die zentralen Texte sorgfältig zu überprüfen, in denen diese Dichtungsdiskussion stattfindet. Durch eine solche Überprüfung wird also die Tatsache sichtbar, dass Platon unter dem Begriff des “Enthousiasmos” die Dichtung im allgemeinen kritisch bewertet, indem er ihr weder ‘Technē als Wissen’ noch ‘Erkenntnis der Ideen’ zuerkennt, dass er zugleich aber nur die zur Philosophie orientierte seltene und ideale Dichtung schätzt, indem er sie als eine solche Dichtung versteht, welche eine ‘wahre Meinung’ vorbringt. Diese ganze Tatsache stimmt im Grunde damit überein, was Platon in seiner unter dem Begriff der “Mimēsis” in der Politeia stattfindenden Dichtungsdiskussion als seine evaluative Ansicht bezüglich der Dichtung zeigt. Auf diese Weise also bewertet er unter beiden Beriffen die Dichtung im allgemeinen kritisch, schätzt aber nur die zur Philosophie orientierte seltene und ideale Dichtung. Dadurch erkennt er all den bis zu seiner Zeit vorliegenden Dichtungen keine erzieherische Rolle zu, schreibt aber der Philosophie die Rolle zu, alles im Leben Wichtige zu lehren. Dies ist Platons Weise, auf welche der alte bis zu seiner Zeit dauernde Wettstreit zwischen der Dichtung und der Philosophie zugunsten der letzteren gelöst wird. 플라톤이 “영감” 개념에 따라 제시하는 시 논의는 종래에 드물지 않게 시를 찬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곤 했다. 그러나 그것이 이렇게 해석될 경우 그의 시 논의 전체가 어떻게 일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지에 대한 난제가 생겨난다. 『국가』에서 “미메시스” 개념에 따라 이루어지는 그의 대표적인 시 논의가 시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 기여한다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기 때문인데, 이 시 논의가 ‘시인 추방’을 선언하는 것인 한, 이 난제는 해결될 길이 없다. 그런데 이 난제는 본래 플라톤의 시 논의 자체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영감” 개념에 따른 그의 시 논의를 시에 대한 찬미로 보는 해석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다. 이는 이 시 논의가 이루어지는 곳으로서 본질적인 비중을 갖는 모든 텍스트가 면밀히 검토될 때 확인된다. 이러한 검토가 이루어질 때 드러나는 것은 플라톤이 “영감” 개념 아래에서 시 일반에 대해 ‘앎으로서의 기술’과 ‘이데아 인식’을 인정하지 않으면서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철학에 정향된 드물고 이상적인 시만을 ‘참된 의견’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사실인데, 이것은 『국가』에서 “미메시스” 개념에 따라 이루어지는 시 논의와 전적으로 일치하는 점이다. 이와 같이 그는 두 개념 모두에 의해 시 일반을 비판하면서 철학에 정향된 드물고 이상적인 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이를 통해 당대까지의 모든 시에 대해 교육적 역할을 부정하면서 삶에서 중요한 모든 것을 가르치는 역할을 철학에 귀속시킨다. 이것은 당대까지 지속되던 ‘시와 철학 사이의 오랜 다툼’을 철학의 편에서 해결하는 그의 방식이다.

      • KCI등재후보

        1930년대 후반 조선시단의 부흥과 『시건설』의 문학사적 의의

        김진희(Jin-hee Kim) 근대서지학회 2022 근대서지 Vol.- No.25

        『시건설』(1936.11~1940.6)은 1930년대 후반 통권 8호 출간, 총 87명의 시인 참여, 약 269편의 작품을 게재한 전문적인 시 잡지이다. 본 연구는 잡지의 성격과성과, 그리고 문학사적 가치가 깊이 있고 풍부하게 연구될 필요가 있다는 판단하에, 최근 공개된 원문과 관련 문학사 자료를 근거로 참여 시인들의 명단 및작품 목록 확정 등 기초적인 사항을 정리하고 그간 주목하지 못했던 창간호동인에 관한 작가적 고찰과 동인 구성의 의미를 논의했다. 이와 함께 ?시건설』 게재 작품들의 주요 경향을 분류하여 그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했다. 『시건설』은 한국문학사에서 동인지이지만 특별한 방향성 없이 조선시의 ‘혼성시단’을 내세운 잡지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창간의 출발에, 김해강의문학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카프의 문인이었던 김창술, 김병호, 김해강 등과 프로시 의식을 견지한 김남인, 정강서 등의 동인을 구성하여 진보적 시전문지로서의정체성을 갖고자 했음을 밝혔다. 그리고 전 조선 시인을 총망라하고자 했던『시건설』의 성격이 김남인이 등단했고, 이후 후원했던 황석우의 『조선시단』의 편집방향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새롭게 제기했다. 1930년대 후반 중일전쟁(1937)과 태평양전쟁으로 이어지는 일제 파시즘의 영향하에 놓인 조선의 사회문화적 상황 속에서 『시건설』은 진보적 조선시의 새로운건설을 시도했고, 임화를 비롯하여 1930년대 초반 카프의 안팎에서 활동했던시인들의 다수 참여와 박남수, 서정주, 한흑구, 장만영 등 신진 시인들을 폭넓게참여시키면서 리얼리즘 시의 침체와 조선어 창작의 위기에 당면한 전 조선시단의부흥을 선도할 수 있었다. 시건설에 게재된 작품들의 경향을 연구한 결과, 개인의 내면을 담은 서정시들은 불안하고 우울한 당대의 정서를 반영하고, 민중 삶의 현장을 바라보는 시인들의 시선은 상실한 조선 농촌의 가치와 노동자의 주체성 등을 표현하고 있음을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주와 유랑이라는 역사적 경험을 반영한 북방생활과이향 정서에 대한 탐구는 1930년대 후반 국경 및 만주 이주민의 불우한 삶과유랑의 고통을 재현하고 있다. 한편 청춘과 자연의 상징을 담은 시편들은 조선문학을 부흥하려는 『시건설』의 취지와 방향을 반영하면서, 당대 역사적 상황을극복하고, 미래 전망을 획득하고자 했던 한국시의 응전을 분명히 보여주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1930년대 후반 시문학의 장에서 시건설』은 다른 매체들과경쟁하고, 또 빈틈을 메우면서 조선시문학의 다양하고 풍성한 성과를 산출했다. Sigeonseol (1936.11~1940.6) is a professional poetry magazine that published the 8th volume, participated in a total of 87 poets, and published about 269 works in the late 1930s. A recent study discussed the overall outline an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magazine. However, the character and performance of the magazine and its historical value still needed to be studied more abundantly. Therefore, based on the recently published original text, this study summarized basic matters such as determining the list of participating poets and cataloging works. And, I studied the cotrie of the first issue, which had not been discussed before,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its composition. And the major trends of works published in Sigeonseol were classified and their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was considered. At the start of the magazine, based on Kim Hae-gang’s literary network, Kim Chang-sul, Kim Byeong-ho, and Kim Hae-gang, who were KAPF writers, and others such as Kim Nam-in and Jeong Kang-seo who maintained proletarian literary consciousness were formed. Through this, the magazine tried to have an identity as a progressive poetry magazine. In the socio-cultural situation of Joseon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imperialist fascism that led to the Sino-Japanese War (1937) and the Pacific War in the late 1930s, Sigeonseol attempted a new construction of progressive Joseon poetry. The lyrical poems that contained the inner self of the individual, published in the magazine, represent the sentiments of the time, and the creative imagination of the poets looking at the realities of the people’s life expressed the values of rural Joseon and the subjectivity of workers. Reflecting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migration’ and ‘wandering’, the work revealed the plight of the migrants at the border and Manchuria in the late 1930s and the sufferings of living abroad. The works containing the symbols of youth and nature reflected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Sigeonseol to revive Joseon literature, and clearly showed the response of Korean poetry to overcome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time and obtain a future prospect. In this way, various and dynamic works were published in Sigeonseol, which competed with other media and filled the gaps in the media, producing rich results of Joseon poetry literature in the late 1930s.

      • KCI등재

        “동인지『현대시(現代詩)』”의 변모 양상과 대표성에 관한 고찰

        이형우 ( Hyeong Woo Le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2

        이 글은 동인지『現代詩』의 변모 양상과 동인들의 작품 활동에 관한 연구다. 이를 바탕으로 동인지『現代詩』에 대한 왜곡된 기술을 바로 잡고자 한다. 해방직후의 『現代詩』는 ① 한국시인협회 기관지『現代詩』, ②전봉건 중심의『現代詩』, ③ 동인지『現代詩』가 존재한다. 이들은 선후 관계로 이어져 있다. 먼저 서지상에 나타나는 이들 잡지들이 어떻게 다른가부터 살핀다. 그 다음, 발간된 ‘동인지『現代詩』’ 6집부터 26집에 실린 동인들의 작품 활동을 알아 본다. 마지막으로 『現代詩』 관련 기록을 살펴 그 타당성 여부를 묻는다. 편의 상 ①을 ‘기관지『現代詩』’ ②를 ‘과도기『現代詩』’ ③을 ‘동인지『現代詩』’로 명명한다. 일반적으로 ①과 ② ③은 별개로 생각한다. ③의 모태를 ②로 보는 시각도 마찬가지같다. 그런데 ③을 ①과 연관짓는 경우도 있다. ‘동인지『現代詩』’의 뿌리가 ‘한국시인협회 기관지『現代詩』’에 있다는 주장이다. 동인은 ‘같은 뜻’으로 ‘같은 시공을 함께’한 사람들이다. 뜻이 다르면 동인이 될 수 없다. 뜻이 같아도 함께 하지 않으면 동인이 아니다. 동인 연구는 동인지 연구와 다르다. 동인 연구는 같이 활동한 사람들을 한정해 서 다뤄야 한다. 그러나 동인지 연구는 동인지의 역사에 관한 연구다. 동인지에 발표한 모든 사람들이 대상이다. 이리 보면 지금까지의 ‘『現代詩』동인 연구’는 ‘『現代詩』동인지 연구’에 가깝다. 같은 시기에 활동하 지 않은 사람들을 동인이라 비교하고, 활동 무대가 60년대인지 70년대인 지도 따지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사전(辭典) 항목도 부정확한 기술 일색 이다. ‘『現代詩』동인’들이 우리 시사에 남긴 업적은 크다. 이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실상부터 바로 알아야 한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History of the coterie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Hyundaeshi(Contemporary Poetry) is (1) Contemporary Poetry by the Organization of Korean Poets. (2) Geon Bong-Gun`s Contemporary Poetry. (3) Coterie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These are based on periodic manner. First, I observed how these magazines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n, studied the activity of artists in the coterie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6) to (28). Let us distinguish (1) as organizational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2) as specified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3) as coterie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In general, it is considered (1) is different from (2) (3) and (3) was originated by (2). However, in recent years, there was an attempt to connect (1) and (3). The root of collaborative publication Contemporary Poetry was based on organizational magazine Contemporary. A coterie means people who share unifying common interest or purpose. The study of coterie is different from the study of coterie magazine. The study of coterie has to deal only with the members who were active together. However, the study of coterie magazine is a study of history of its publication. It is, of course, not related to the active period of each member. From this point of view, I can say that the study of the coterie of Contemporary Poetry is a study of the coterie magazine Contemporary Poetry. We can`t call them a coterie because they weren`t active during the same timeframe. Some do not even distinguish whether the active period was in the 60`s or the 70`s. When an artist joins Contemporary Poetry, they are treated the same. This is why such phenomenon occurs. The trace that was left by the members of Contemporary Poetry is a great one. In order to value it properly, we must know accprding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