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설거주 치매노인과 미술치료적 개입에 관한 고찰

        손원정,김선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5 No.1

        본 연구는 최근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노인 중 특히 치매를 경험하는 노인과 이들의 삶의 환경인 시설에서의 현황을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고, 미술치료적 개입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그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에 따른 논의내용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치매노인의 수가 증가하면서 가정을 대신하여 시설에 입소하기를 희망하는 치매노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시설의 현실적 어려움 및 환경적 특성 등의 여러 이유로 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의 심리적인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시설의 환경을 이해하고 시설거주 치매노인의 정서적 돌봄을 고려한 적절한 심리적 개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둘째, 치매노인은 언어기능의 저하로 생각과 감정을 표현함에 있어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으므로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하여 감정 표출을 돕는 심리적 개입이 필요하다. 미술치료는 미술작업을 통해 자기를 표현하도록 도움으로써 언어적 치료방법의 한계성을 보완할 수 있고 치매노인의 욕구와 감정을 외부로 표현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는 이미지로써 상호작용이 가능하므로 치매노인의 수동성을 감소시키고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전한 치료적 환경을 제공하여 부정적 정서를 표출할 수 있도록 돕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감각적 자극과 창조적 활동은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도록 도울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최근 치매노인의 정서적 측면을 다룬 연구가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흐름을 반영하여 볼 때, 미술치료적 개입이 시설거주 치매노인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며 치매노인의 다양한 심리적 변인에 관련한 미술치료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후속연구가 지속되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

        치매노인을 위한 전문 요양시설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재규(Jae Kyu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국내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음에 따라 장기간 보호를 요하는 노인성 치매 환자가 현격히 증가하고 있다. 치매를 앓고 있는 거의 40 만 명에 이르는 노인 환자들은 아마 너싱홈이나 집에서 투병 중에 있을 것이다. 불과 10년 전 까지도 국내에는 노인 치매환자를 위한 요양시설이 전무했다. 현재 정부는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시설을 현격히 확충하고 있으나 아직 질적으로 전문화된 시설은 많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특히 이러한 시설을 디자인을 하기에 우리는 아직 전문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의 치매 노인 요양시설의 특성을 여러 문헌을 통해 고찰하여, 디자인에 직접 반영 가능한 디자인 고려사항을 정리하기 위해 그들의 새로운 개념의 치매노인 요양시설의 디자인 특징과 개념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는 치매요양 시설에 대한 정의와 치유환경의 개념, 시설의 특성 분석, 치유환경의 지각환경 요소 대한 분석들이 포함되어진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환자들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게 고려된 디자인은 환자들에게 정신적, 신체적 치유의 기회를 제공하며 치유 환경적인 요소 도입으로 치매 노인의 삶을 향상 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치매요양 시설의 구성 및 계획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이론들을 정리했으며,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기초적 정보들을 제공 하였다. As our population ages, the incidence of Alzheimer`s disease is increasing dramatically, as is the need for long-term care. Almost all people with dementia-now estimated to number well over four hundred thousand-are likely to reside in a residential care setting or nursing home during the course of their illness. Special care facility did not exist 10 years ago, yet today they being built at a remarkable rate compare to past but still not enough to fulfill their needs. Specially we are lacking in expert in its design field. Through this research, will study various foreign`s references and their new concept of facility to set up a design consideration that can be directly applicable to ours. On my research will include elements analysis sensory environments of therapeutic goals regarding on facility`s concepts and its specificity as a prime scope. As a contents and consequence of its research, a space that designed with care not to be turn down a patients would provide a opportunity to healing in mentally and psychologically. Also through the introducing a natural elements into a facility, we may able to get a result that improve a life of aged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Therefore, fundamental information and resources has placed referring to new formed design development through provided theories that can be used a tool to understand composition and plans of special care facility.

      • KCI등재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시설 거주 경증 치매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하혜미,최은영,전종국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 거주 경증 치매 노인들에게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대구에 위치한 D센타에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MMSE-K 점수가 20~23점으로 경증 치매 노인 14명이였다. 이 중 7명은 실험집단, 나머지 7명은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치하였다. 실험기간은 2011년 08월에서 10월까지 실시되었으며 주 1회 총 12회기로 매회기 약 50분 시간이 소요되었다. 대상자에게 사용한 측정도구는 권용철, 박종한(1989)이 표준화 한 간이정신상태 검사인 MMSE-K와 대한노인병학회에서 개발한 치매 노인의 삶의 질 측정도구를 이수민(2006)이 재구성한 GQOL-D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반복측정 변량분석 (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상 요법을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는 시설 거주 경증 치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이와 같이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는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경증 치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erform the group art treatment program reflecting reminiscence therapy, and thus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living in health care centers. The study subjects were the elderly aged more than 65, who have stayed in D center located at Daegu, and whose MMSE-K points were 20-23 points meaning that they have mild dementia. So,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4 elderly people, among which 7 people participated into the group art treatment program reflecting reminiscence therapy as a test group, and 7 others didn't as a control group. The test had been conducted twelve times once a week from August to October, 2011. Each test was undertaken for about 50 minutes. The measure tools being applied to the subjects wer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standardized by Yong-cheol Gwon and Jong-han Park (1989) and GQOL-D reconfigured by Su-min Lee (2006) based on the measure tool for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ich was developed by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and the study results were measured by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The result showed that the group art treatment reflecting reminiscence therapy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entire score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living in health care centers. As shown in the results, the group art treatment reflecting reminiscence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living in health care centers.

      • KCI등재

        DCM(Dementia Care Mapping)을 활용한 한국 요양시설에서의 사람중심케어 실천의 탐색적 연구

        김동선(Dongseon Kim)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2

        본 연구는 요양시설거주 치매환자들의 삶의 질을 사정하기 위해 개발된 DCM(Dementai Care Mapping)을 활용, 국내 장기요양시설에서의 사람중심케어 실천 정도 및 특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CM은 훈련받은 매퍼가 시설거주 치매노인을 관찰 사정하는 도구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 시설 종사자들의 자기보고식 평가척도로 변용하였다. DCM의 개념을 34개의 문항으로 조작화하였으며 브래포드치매팀의 검토를 거쳐 총화평정척도로 만들었다. 본 척도의 신뢰도는 .88로 신뢰할 만 하며, 이를 국내 시설 종사자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점수는 3.77점(5점 척도)으로 나왔다. DCM의 하위카테고리 별 평균 점수는 애착(4.02), 편안함(3.95), 포용(3.89), 정체성(3.67), 주체성(3.41)으로 나타났다. 국내 요양서비스가 대상자의 안전과 편안함에 초점을 맞춘 신체수발에 주력하며 종사자와 대상자간에 애착이 형성되고 있지만, 개별적 케어(정체성)부족이나 대상자의 삶에서 의미있는 활동이 부족한 점(주체성)에서 사람중심케어가 취약함이 드러났다. 한편, DCM척도에 의한 사람중심케어의 특성을 조직 및 개인 특성에 따라 살펴보면, 시설의 규모가작을수록 사람중심케어 실천이 높으며 공립과 민간시설간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시설장과 직접 서비스제공자의 사람중심케어 실천이 높으며 경력이 1~2년인 종사자들의 사람중심케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요양서비스에서 사람중심케어의 실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유니트케어의 적용, 시설에서 직접 서비스제공자뿐 아니라 간호, 사회복지사등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한 사람중심케어 교육 실시를 제언한다. 국내 요양서비스의 질평가에서도 사람중심케어의 관점이 강화돼야 하며 이를 위해 DCM 또는 직접 관찰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형DCM척도의 활용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Person Centered Care practice and characteristics of care services in Korean long-term care facilities using Dementia Care Mapping as a tool. DCM, systematic observational evaluation tool for measuring dementia patients’ QOL, was transformed into self-report rating scale. The process of transforming DCM into a scale of 34 items involves operationalization of DCM concepts and it’s adaptation into Korean long-term care practices. Review by research team of Bradford university was added to maintain DCM concept and meaning in this scale. The scale with Cronbach alpha of .88 was surveyed on 343 care workers. Survey result shows PCC value practiced by them is 3.77(of 5 likert scale) and values on each categories of PCC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care in Korean facilities; attachment(4.02), comfort(3.95), inclusion(3.89), identity(3.67) and occupation(3.41). Dementia care in Korean facilities focuses on recipients’safety, comfort but lacks individualistic care and the meaningful and fulfilling occupation for patients. Looking at th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influencing DCM values, the small facilities showed higher PCC values a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CC valu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facilities. Managers and care workers with career of 1~2 years showed higher PCC values compared to other career ranks and lengthes. This study suggests care practice should be centered on personhood of pati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which introduction of unit care and education of PCC for service providers including support personnel are needed. DCM and Korean DCM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are suggested for the PCC-based assessment on care quality.

      • KCI등재후보

        치매노인전문요양시설의 복도공간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균,권순정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05 의료·복지 건축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fundamental data related to corridor space for nursing home design Elderly with dementia were observed in corridor space at two nursing homes in In-cheon City. Two types of behavior were found out through in-depth observation; Group and Personal behaviors. Group behaviors were varying according to the type of programs such as rest, care, diet, and therapeutic services. Pesonal behaviors could be classified into wandering and private seclusion. These two behaviors were influenced by management programs of facilities, services of care-give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discussed on the following matters: 1) Optimum size of residential unit; 2) Working spaces of care-givers; 3) Relationship between bedroom and common space for gathering; 4) Planning for wandering path; 5) Familiarity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 KCI등재

        미국 치매노인시설의 거주환경디자인 특성의 내용분석

        변혜령,윤영선,Byun Hea-Ryung,Yoon Young-Sun 한국주거학회 2005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nvironment-behavior concepts included in environmental design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for elderly with dementia. Major method was contents analysis of actual environmental designs. For comparison between the environment-behavior concepts and actual cases, an analytical framework was developed. Eleven cases of facilities designed for people with dementia were analyzed. Those were published ones in periodicals in USA. The analytical data used included floor plans, texts, and visual materials including photographs. Under the framework for analysis, a total of 296 criteria were used to analyze the actual cases of environmental design. This study was expected to offer a knowledge base for better environmental design for elderly with dementia and to help establish guidelines for designing such facilities which can mee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al conditions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