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간 정보의 공간적 표상 형태와 발달

        이새별,정수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1 No.3

        많은 시간관련 단어가 공간정보 개념을 차용하는 것에서 보듯이, 일상생활에서 시간과 공간정보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 최근의 연구들은 시간에 대한 내적표상이 공간정보에 기반하고 있다는 행동 및 신경학적 증거들을 보여준다. 그러나 내적 시간표상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아직도 활발히 논쟁 중이며, 그 발달 양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더욱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평선으로 제시된 구체적인 시간선(time line)을 사용하여 6~8세, 9~11세, 그리고 성인의 시간정보 처리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특히, 수평선위에 경험한 시간을 직접적으로 맵핑하게 한 후, 로그-선형 융합 모형(Cicchini et al., 2014)에 기반하여 시-공간정보 연합의 형태가 선형적/비선형적인지를 검증하였다. 전체 연령집단에 걸쳐 로그형태로 축약된 시간표상이 관찰되었으나, 시간관련 단어 습득의 시기와 동일한 8~9세 사이에 연령관련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6~8세 아동의 경우, 성인집단은 물론 9~11세 아동집단보다 현저히 로그형태로 왜곡된 시간지각을 보이는 반면, 성인집단과 9~11세 아동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내적인 시간정보 표상이 동물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로그적으로 축약된 형태의 공간표상에 의존하고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Time and space are intimately related in real life, as can be seen from the nearly universal use of spatial concepts in time words across cultures. However, whether the form of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s relies on the linear or on the logarithmic scale is still under debate.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research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s. Here, we examined the form of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s across 6-8-year-olds, 9-11-year-olds, and adults using a novel timeline estimation paradigm. We asked participants to view a three-minute-long video clip and mark the temporal distance of a specific scene of the video on a horizontal timeline. We found non-linearity between their estimates and stimulus temporal distances, which decreased as the participants’ ages increased. Six-to-eight-year-old children showed the greatest non-linearity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non-linearity in estimation between 9-11-year-olds and adults. These results imply that humans might have a logarithmically compressed spatial representation of time across age groups.

      • KCI등재

        버스의 정차시간을 고려한 장기 도착시간 예측 모델

        박철영 ( Park Chul Young ),김홍근 ( Kim Hong Geun ),신창선 ( Shin Chang Sun ),조용윤 ( Cho Yong Yun ),박장우 ( Park Jang W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6 No.7

        버스정보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민들은 더 정확한 예측 정보를 원한다. 하지만 평균 기반 단기간 예측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버스정보시스템에서는 교통흐름, 신호주기, 정차시간 등의 영향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차의 영향요인 분석을 통해 예측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시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에 현재 운영되고 있는 버스정보 시스템의 자료를 토대로 오차의 영향요인을 분석했다. 분석 데이터에서 시간대별 특성과 지리적 여건에 의한 영향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정차시간과 단위구간속도에 미치는 영향도가 다름을 보였다. 이에 따라 정차시간은 일반화 가법 모형을 사용하여 시간, GPS 좌표, 통과노선수의 설명변수로 패턴을 구축하고, 단위구간에 대해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사용하여 교통흐름에 따른 영향도를 고려한 패턴을 구축했다. 패턴 구축의 결과로 정밀한 실시간예측이 가능하고, 노선 통행속도의 장기간 예측이 가능했다. 마지막으로 관측 데이터와 예측 데이터의 통계적 검정 과정을 통해 전구간 예측에 적합한 모델임을 보였다. 본 논문의 결과로 시민들에게 더 정확한 예측 정보를 제공하고, 장기간 예측은 배차시간 등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Citizens want more accurate forecast information using Bus Information System. However, most bus information systems that use an average based short-term prediction algorithm include many errors because they do not consider the effects of the traffic flow, signal period, and halting time. In this paper, we try to improve the precision of forecast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error, thereby making the convenience of the citizens. We analyzed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error using BIS data. It is shown in the analyzed data that the effects of the time characteristics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re mixed, and that effects on halting time and passes speed is different. Therefore, the halt time is constructed using Generalized Additive Model with explanatory variable such as hour, GPS coordinate and number of routes, and we used Hidden Markov Model to construct a pattern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raffic flow on the unit section. As a result of the pattern construction, accurate real-time forecasting and long-term prediction of route travel time were possible. Finally, it is shown that this model is suitable for travel time prediction through statistical test between observed data and predicted data. As a result of this paper, we can provide more precise forecast information to the citizens, and we think that long-term forecast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cision making such as route scheduling.

      • KCI등재

        TMO 스킴 기반의 실시간 정보가전 제어 시뮬레이터의 설계 및 구현

        신창선,김운미,류은순,주수종,Shin Chang-Sun,Kim Woon-Mi,Ryu Eun-Soon,Joo Su-Ch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2 No.2

        최근 정보기술, 가전기술, 그리고 통신기술이 융합된 정보가전 기기들이 가정 내에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는 흠 네트워크를 통해 이들 기기들 사이의 상호작용 및 실시간 제어를 지원하는 모니터링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하는 TMO(Time-triggered Message-triggered Object) 스킴을 적용하여 정보가전 동작객체들을 구현하고, TMOSM(TMO Support Middleware)을 이용한 분산 실시간 서비스 지원 플랫폼 구조에서 이들의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정보가전 제어 시뮬레이터를 구축했다. TMO로 구현된 정보가전기기들은 자치적인 동작으로 주거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며, 새로운 기기의 추가로 인한 정보가전들의 수행환경을 편리하게 재구성 할 수 있다. 본 시뮬레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분산 실시간 서비스 지원 플랫폼 상에서 가정 내 온도관리, 조도관리, 시간관리 제어서비스를 수행하는 정보가전 동작 TMO들의 기능과 그들 간의 원격 상호작용을 설계했다. 마지막으로 분산 플랫폼 상에서 정보가전기기들의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현하여 실제 기기들로 대응되는 정보가전 동작객체들의 실시간 제어 및 모니터링 서비스 과정이 주어진 수행조건에 따라 정확하게 수행하는지를 보였다. Recently, the information appliance devices integrating information technology, appliance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appeared in home. And this environment requires that the monitoring technology should include the interaction and the real-time controlling among these devices using home network.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active objects for information appliances by applying the Time-triggered Message-triggered Object(TMO) scheme supporting real-time service. Based on distributed real-time services supporting platform using the TMO Support Middleware(TMOSM), we also constructed the real-time information appliance controlling simulator supporting the remote controlling and monitoring service among active objects. The information appliance devices implemented by the TMO scheme can exchange the housing information by autonomous triggering. And we can conveniently reconfigure the executing environment for information appliances when new devices were inserted. For constructing the simulator on the distributed real-time service supporting platform, we described the functions of the active TMOs for information appliances that execute the temperature management, the illuminance management, and the time management controlling services, and designed the remote interaction among them. Finally, by implementing the simulating environment of information appliance devices on distributed platform, we showed whether the procedures of the real-time controlling and the monitoring service for the active objects of information appliances corresponding to physical devices are processed in given executing conditions correctly.

      • KCI등재

        정보제공 서비스가 운전자 및 도로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

        변완희,飯田恭敬,김주현,宇野伸宏 대한교통학회 2003 대한교통학회지 Vol.21 No.3

        To build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by ITS technology should be carried out effect analysis in the first step for social and individual advantages. The propose on this study is to make clear what influences of highway network by traffic information are, and what differences between drivers who use traffic information and drivers who do not use that for route choice are. For these propose, travel time and forecast error of travel time on network and traffic information dependence of driver are analyzed by simul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ravel time and forecast error of travel time is that the efficiency and relia- bility of travel time were increased when getting more drivers using traffic information in network. Drivers who using traffic information had advantage of decrease of travel time and forecast error in only definite situation. traffic information dependence analysis presented that drivers are dependent upon information and reliability of traffic information is also increased when drivers using traffic infor- mation become on increasing in network. In conclusion, considering the range of the traffic information user ratio in this simulation, this study presents that th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provides an advantage to the highway network and the drivers, and increases the dependence of information. 휴대폰이나 카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개인단말기에 의한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의 시행을 위해서는 정보제공 서비스가 사회적 편익과 개인적 편익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가 도로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과 정보를 이용하는 운전자와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운전자에 대한 차이를 소요시간 분석, 소요시간 예측오차 분석, 그리고 정보의존도 분석 등을 통해 밝히고 있다. 소요시간 분석과 소요시간 예측오차 분석 결과에 의하면, 네트워크 내에 정보를 이용하는 운전자가 증가하면서 네트워크의 소요시간과 소요시간 예측오차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 소요시간과 소요시간 예측오차에 있어서,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운전자에 대한 정보 이용 운전자의 상대적 편익은 1일 교통량 변동이 크고, 정보이용률이 낮은 상황에 한하여만 나타났다.또, 정보의존도 분석 결과에 의하면, 도로 네트워크 내에 정보 이용 운전자들이 많아지면 운전자들은 정보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혼잡한 교통상태에서는 정보 역시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정보의존도가 낮고, 교통량이 적기 때문에 소통원활한 경우는 정보의존도가 낮고, 반대로 교통량이 많지만, 도로 이용효율이 높아 생기는 소통원활의 경우에는 높은 정보의존도를 보이었다.본 연구 결과로부터, 어느 정도의 정보이용률까지는 정보이용 운전자들이 증가하면, 네트워크는 도로 이용효율이 향상되어 소요시간 효율성과 신뢰성 등이 향상되고, 운전자의 소요시간 예측오차는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시간의 단위별 처리를 이용한 자동화된 한국어 시간 표현 인식 및 정규화 시스템

        선충녕(Choong-nyoung Seon),강상우(Sangwoo Kang),서정연(Jungyun Seo) 한국인지과학회 2010 인지과학 Vol.21 No.4

        시간 정보는 문서나 문장 등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로 사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서 시간 정보의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시간 정보는 일정한 형태를 가진 것으로 간주되지만 실제 사용되는 시간 표현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며 정보의 일부가 빈번하게 생략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 표현의 추출뿐만 아니라 추출된 표현을 정규화된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는 범용 시간 표현 추출 및 변환 시스템을 제안한다. 다양한 시간 표현의 추출과 변환에 필요한 노력을 줄이고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확장성을 보장하기 위해 기본 시간단위를 정의하였다. 추출단계에서는 기본 시간 단위의 조합으로 구성된 사전을 사용하여 가능한 시간 표현들을 추출한다. 정규화 변환 단계에서는 인접 추출 정보와 기준 시간 등을 사용하여 생략된 기본 시간 단위 정보를 복원하고 최종적으로 모든 기본 시간 정보들은 통합되어 정규화된 표준 형식으로 변환된다. 제안한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 등의 잡음 환경에서 강인한 성능을 보장하며 영역이나 언어에 대해 독립적이므로 많은 영역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실험에서 다량의 오류가 포함된 SMS 데이터에서 시간 표현 추출 정확도 93.8%, 시간 표현 변환 정확율 93.2%을 보임으로써 오류에 강인하면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함을 증명하였다. Time expressions are a very important form of information in different types of data. Thus, the recognition of a time express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field of information extraction. However, most previously designed systems consider only a specific domain, because time expressions do not have a regular form and frequently include different ellipsis phenomena. We present a two-level recognition method consisting of extraction and transformation phases to achieve generality and portability. In the extraction phase, time expressions are extracted by atomic time units for extensibility. Then, in the transformation phase, omitted information is restored using basis time and prior knowledge. Finally, every complete atomic time unit is transformed into a normalized form. The proposed system can be used as a general-purpose system, because it has a language- and domain-independent architecture. In addition, this system performs robustly in noisy data like SMS data, which include various errors. For SMS data, the accuracies of time-expression extraction and time-expression normalization by using the proposed system are 93.8% and 93.2%,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se experimental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proposed system shows high performance in noisy data.

      • KCI등재후보

        시간효과와 브랜드 효과가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박승배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3 경영컨설팅연구 Vol.13 No.1

        시간은 금전과 함께 사람들에게 한정된 자원으로서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시간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시간과 금전의 관계에 중심을 두고 있으며 시간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시간의 특성을 반영하여 시간정보의 제공 방법에 따라 소비자의 태도나 선호도의 변화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브랜드 파워가 소비자의 태도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브랜드 효과가 시간정보의 제공방법에 따라 소비자의 태도와 선호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독립변수로 시간정보 유형(정확한 시간 정보 광고 vs 경험적 시간 정보 광고)과 브랜드 자산(브랜드자산 고 vs 브랜드 자산 저)에 따른 2×2의 피험자간 완전요인설계(Between Subjects Factorial Completely Randomized Design)를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직접 광고물을 제작하고 시나리오를 이용한 실험연구의 종속변수는 소비자의 광고 태도와 브랜드호감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경험적 시간정보를 강조하는 것이 정확한 시간을 강조하는 것보다 소비자의 광고태도와 브랜드호감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자산이 높은 브랜드가 경험을 강조하는 광고를 제시하였을 경우, 정확한 시간을 강조하는 광고를 제시하였을 경우보다 광고태도와 브랜드호감도가 더 높았다. 반면에, 브랜드 자산이 약한 브랜드들은 경험적 시간을 강조하거나 정확한 시간을 강조하거나 차이가 미미하였다. 즉,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시간정보의 유형과 브랜드 자산의 크기를 고려하여야 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화물자동차 운행기록계 데이터를 활용한 통행정보 추출 방법론 개발

        신민성,성홍모,김규승,공민선,이준혁,배상훈 한국교통연구원 2023 交通硏究 Vol.30 No.4

        최근 운행기록계 데이터 기반의 화물자동차 통행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 도로 환경 및 운행특성을 고려한 방법론이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초 단위로 정보가 수집되는 DTG 데이터의 속도정보와 GPS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국내 화물자동차 운행특성에 기반한 통행을 정의하고, 최소 이동시간 및 체류시간, POI 정보를 이용해 데이터 상에서 통행정보를 추출하는 휴리스틱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통행정보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위치정보, 출발시간과 도착시간, 체류시간, 통행목적 정보를 포함한 시공간 정보로 정의하였다. 분석된 통행정보는 경로 유효율이 90.6%로 공간적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며, 통행 목적구분 결과 업무통행이 약 80%, 퇴근통행은 20%로 나타났다. 퇴근통행의 도착지는 차종별로 67.5%~ 83.9%의 일치율을 보여주어 고정차고지를 이용하는 화물자동차의 특성이 반영된 통행정보 추출 결과를 보여주었다. 통행정보를 기반으로 화물자동차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통행지표인 “운행일수”, “운행거리”, “운행시간”, “운행외 시간”, “총 근로시간”, “평균운행속도”를 도출하여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검증한 결과 컨테이너 차량 및 대형 카고차량은 편차가 10%대로 낮게 나타나 유효성이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해당 결과는 다양한 화물자동차 관련 연구 및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studies on extracting truck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tachometer data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there is no methodology that considers the domestic road environment and driving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define travel based on domestic freight vehicle operation characteristics using speed information and GPS coordinate information from DTG data where information is collected every second, and use minimum travel time, residence time, and POI information to extract travel information from the data. A heuristic methodology for extraction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ravel information was defined as spatiotemporal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departure and arrival points, departure time and arrival time, destination dwell time and travel purpose information. The analyzed travel information secured spatial reliability with a route effectiveness rate of 90.6%, and as a result of travel purpose classification, work travel was found to be about 80% and work travel was 20%. The destination of work trips showed a matching rate of 67.5% to 83.9% by vehicle type, showing trip extraction resul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freight vehicles that use fixed garages. Based on traffic information, traffic indicators such as “operation days”, “operation distance”, “operation time”, “non-operation time”, “total working hours”, and “average operation speed” that can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reight vehicles are derive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verifying the survey results, the deviation for container vehicles and large cargo vehicles was as low as 10%, showing highly effective result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various freight vehicle-related research and policies in the future.

      • KCI등재

        경영자 예측정보와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

        박수연,유관희,유승원 韓國公認會計士會 201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4 No.1

        경영자가 자발적으로 공시하는 예측정보는 경영자와 시장참여자들 간의 정보비대칭이 완화되는 장점에 있는 반면, 실제 매출액이나 보고이익이 경영자 예측정보를 통해 형성된 시장의 기대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주가의 하락이나 명성의 손실 등에 직면할 수 있다. 따라서 경영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예측오차를 최소화하려고 할 것이며, 이는 이익조정의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선행연구들은 제시한다. 본 논문은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대한 일반적인 결정요인들을 통제한 후에 경영자 예측정보가 가지는 이익조정 위험이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 자발적으로 예측정보를 공시한 기업일수록 자발적 공시를 하지 않은 기업에 비해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측정보의 내용을 매출액, 영업이익, 그리고 당기순이익으로 각각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역시 예측정보를 공시한 기업의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자 예측정보를 매출액, 영업이익, 그리고 당기순이익 예측정보로 세분하고 각각의 예측정보에 대한 예측오차를 독립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매출액 관련 경영자 예측오차는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가 자신의 예측정보를 달성하기 위한 이익조정의 유인이 있음을 감사인이 인식하고, 이러한 이익조정의 위험에 따른 감사위험을 고려하여 일정한 확신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은 감사시간을 투입하며, 감사노력의 증가 및 감사위험에 대한 대가를 감사보수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추가 분석으로 경영자 예측오차의 절대값을 예측오류로 간주하거나, 감사보수와 관련된 내생성의 통제를 위하여 감사시간을 통제한 후 분석한 결과 역시 위의 결과와 일관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경영자 예측정보가 유발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이익조정의 위험을 감사인이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어떻게 반영하는지에 대하여 사업보고서 상 공시된 실제 자료들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있다. 경영자 예측정보가 투자 등의 결정을 하는 시장의 정보이용자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분석하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본 연구는 예측정보의 공시에 따른 감사위험을 판단하는 감사인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논문과 다른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earnings management risk related to voluntarily disclosed management forecast on audit fees and audit hours.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firms' voluntary disclosure should lower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market and, thus, reduce the cost of capital. However, the firms that fail to meet their voluntarily disclosed forecasts experience the decrease of stock prices and the loss of reputation. Therefore, managers have incentives to manipulate reported earnings to meet or beat their voluntarily disclosed forecasts. Auditors who have responsibilities to provide assurance to reliability of the financial statements and internal control system may concern about audit risks arising from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incentives. Especially, the lack of forecast accuracy is associated with internal control problems. As a result, auditors may increase audit fees for heightened audit risks and spend more audit hours for substantive evidences to reduce the audit risks related to earnings management possibilities. We analyze 2,252 firm-year observations over the 2002-2008 period. We first find that the firms that are voluntarily issuing management forecast have significantly higher audit fees and audit hours regardless of types of forecasted items. This suggests that auditors reflect the earnings management risks regarding management forecasts in audit decision, resulting in increased audit hours and higher audit fees. Second, audit fees and audit hours tend to be higher when management forecasts are less accurate. This implies that auditors consider inaccurate management forecasts as an evidence of management risks and increase their audit efforts to reduce the audit risks. Finally, we show the results do not change if we control audit hours in audit fees decision model. This suggests that the potential endogeneity problem does not drive our results.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we infer that management forecasts affect the auditors' audit decisions since they think management forecasts affect audit risk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level of assurance and control audit risks, they increase audit hours and charge higher audit fees for the firms that issue management forecasts.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systematic evidence of an impact of firms' voluntary disclosures on auditors' decision makings such as audit efforts and audit fees.

      • 시장환경 탐색활동과 실시간 정보흐름 수준이 조직의 시장지향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승호,심준섭,이충권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

        본 연구는 시장지향성에 관해 자원 속성 또는 조직구조적 특성, 경영자 및 개인특성에 초점을 둔 기존연구 접근과는 달리 시장지향성과 직접 연계되는 과정측면에 초점을 두어 접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의 대외 환경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환경탐색활동과 이러한 환경탐색활동을 통한 실시간 정보흐름의 이용이 시장 중심의 정보 수집 및 창출, 정보의 공유 및 확산, 그리고 정보 반응 활동으로 구성된 시장지향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서 전국의 500개 기업의 최고경영자 및 마케팅 담당부서장 및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70개 유효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환경탐색활동은 실시간 정보흐름과 시장지향성 요인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실시간 정보흐름 또한 시장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시간 정보흐름을 부분 매개로 하는 구조적 관계에서는 실시간 정보흐름이 시장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실시간 정보흐름의 완전매개 관계가 성립함을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환경탐색활동이 실시간 정보흐름에 영향을 미쳐 시장지향성을 높여 준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장지향성의 제고를 위한 직접적인 과정 측면에서 환경탐색활동과 실시간 정보흐름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탐색을 통해 전달된 실시간 정보흐름이 정보 창출활동 보다는 정보에 대한 공유와 반응에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의 한계로 환경탐색활동 및 실시간 정보흐름에 대한 조사가 조직 수준 전반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심층분석과 사례연구를 통해 이들의 관련성을 논리적으로 해석하여 증명할 필요가 있다.

      • SNS를 활용한 지하철 유고정보 구축

        이영민,김지영,유기윤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1 No.-

        2007년 아이폰 출시와 함께 확산되기 시작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는 이동성·위치기반·실시간적 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정보 전달 매체에서는 불가능한 방식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소셜미디어와 시너지효과를 내면서 이를 재난재해 시에 활용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및 소셜미디어의 활용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VGI(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등 최근 GIS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패러다임의 변화와도 그 맥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현황을 살펴보면 소방방재청, 경찰청, 한국도로공사 등의 공공기관들이 교통 상황 및 다양한 재난재해 관련 정보들을 인터넷 웹 사이트나 SNS,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고 있지만 정보의 실시간성이 약하고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적 측면이 무시된 채 다소 일방적인 정보 제공에 국한돼 있어 빠른 대처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현재 승용차 사용자들을 위한 실시간 유고정보 서비스는 TPEG 기술을 통해 제공되고 있는 반면에 대중교통 이용객들을 위한 유고정보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제공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양한 대중교통 중에서도 특히 서울시 지하철은 하루 이용 인구가 약 4백만 명에 이르지만 현재 지하철 이용객을 위한 서비스는 최단경로 및 최소환승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이용객들에게 실시간 유고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모델 개발의 첫 단계로써 SNS를 활용한 지하철 유고정보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실시간 유고정보 서비스는 실시간성과 효과적인 시각화 작업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중에서도 정보의 실시간성과 개방성이 가장 강한 트위터와, 인터넷 뉴스를 통해 지하철 유고정보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재해 온톨로지를 구축한다. 그리고 향후 연구로 국가주소정보시스템(KAIS)에서 제공하는 도로명주소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포인트와 라인으로 구성된 방향성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포인트와 라인을 각각 구별하여 표현하는 작업을 통해 실시간 유고정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