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학습분석기반 대시보드 사례 분석 연구

        유미나 ( Mina Yoo ),진성희 ( Sung-hee J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대시보드 설계 및 개발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향후 학습분석기반 온라인 토론활동을 위한 대시보드 설계 및 개발에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연구방법론에 의하여 선행문헌 선정 기준 수립, 선행문헌 검색 및 선정, 분석 체계 수립, 선행문헌 선정 및 분석 체계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그리고 선행문헌 분석 및 교차 검토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20개의 대시보드 관련 선행연구를 선정하였고, 타당성을 검증받은 분석 체계를 기반으로 연구자를 포함한 2명의 교육공학전문가들이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토론활동의 시각화 대상인 참여도를 시각화한 연구가 13개(65%), 상호작용을 시각화한 연구가 14개(70%), 토론주제를 시각화한 연구가 8개(40%), 메지시유형을 시각화한 연구가 7개(35%), 메시지관계를 시각화한 연구가 5개(25%)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각화 데이터 객체는 분반 전체에 대한 데이터를 시각화한 연구가 15개(75%), 개별 학습자에 대한 데이터를 시각화한 연구가 9개(45%), 소집단에 대한 데이터를 시각화한 연구가 8개(40%)로 분석되었다. 시각정보 제시 목적은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누적정보 제공이 15개(75%)로 가장 많았으며,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변화추이를 나타낸 연구가 7개(35%) 있었고, 미래 예측 정보를 제공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각정보 유형은 비교/서열 16개(80%)였고, 뒤를 이어 관계 15개(75%), 시간 13개(65%), 분포 7개(35%), 텍스트 5개(20%), 상관 1개(5%)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시각화 대상별 시각화 방법,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정성적 정보와 미래예측 정보에 대한 시각화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온라인 토론에 대한 학습분석기반 대시보드 관련 추후 연구로 시각적 피드백 유형에 따른 교육적 효과 분석 연구, 온라인 토론활동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시각화 대상별로 정보를 제공하는 처방적 시스템 개발 연구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tically review the studies based on learning analysis for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on design and develop dashboard for online discussion based on learning analysi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the review study methodology: establishing inclusion criteria, search and selection of previous studies, setting up coding scheme, validation of literature selection and coding scheme, analysis, and cross-examination of the results. 20 studies were selected and two experts with Ph. D. in Educational Technology participated in the expert review survey. The research selection and coding scheme was verified(r=0.96). The analysis result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coding scheme. As a result of research, there were 13(65%) visualizations of students’ participation, 14(70%) interactions, 8(40%) discussion topics, 7(35%) message types and 5(25%) message relationships. Visualization data objects consisted of 15(75%) studies of data for the entire class, 9(45%) of individual learners, and 8(40%) of small groups. The purpose of presenting visual information was to provide cumulative information 15(75%), alerting the change from past to present 7(35%), and there were no studies that provide future predictive information.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s of visual information were comparison / sequence 16(80%), relation 15(75%), time 13(65%), distribution 7(35%), text 5(20%), and relation 1(5%).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discussed the visualization methods for each visualization object, the need for visualization of qualitative information about the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nd the future prediction information, and suggested the future studies on educational effects on different visual feedback types, and system development that provides visual information by visualization object.

      • KCI등재

        한국고전종합DB의 한국문집총간분석 시각화 방안 연구

        이병찬,민경주 한국고전번역원 2021 民族文化 Vol.57 No.-

        This paper is the first step toward developing a system that will help researchers analyze data by utilizing data visualization, a new technology for for the Collections of Korean literary works in the Korean Classics Database. The Korea Classics DB provides various classical materials in the form of an API. By crawling the data provided by the API and storing it in the database, the data can be processed and visualized in an intuitive way. By analyzing high volumes of data using the computer's fast computing power, it is possible, as well as to visualize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to compare and analyze two collections and. further, multiple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at the same tim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visualizing data is Word Cloud, in which displays the output in size or color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words used. In the case of Hangeul, Word Cloud is based on the King Sejong dictionary, which is used as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However, the data provided by the API in the Korea Classics DB is expressed in Chinese character, which are structural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Hangul or English. Although the system was in a rudimentary stage, it attempted to develop a collection analysis system that could visualize the data by applying analysis algorithms suitable for the collections contained in the Korea Classics DB, and then find the meaning based on the context of the humanities. The data of the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in the Korean Classics DB are provided in an API with a certain format. Thus, if they are processed into higher levels of XML and provided theoretically, these literature analysis systems are sure to improve performance. And, if numerous experts join this research, all the collections in the Korean Classics DB can be analyzed. In fact this research has failed to produce satisfactory results in visualization under limited conditions. However, it is considered to be a very meaningful one, since we have identified numerous problems in the process of visualization, and also have set a new direction of research in visualization. We hope to increase the possibilities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found in this research, which will help a lot to the future Korea Classics research. 이 연구는 한국고전종합DB의 한국문집총간 을 대상으로 새로운 기술인 데이터 시각화를 활용하여 연구자의 자료 분석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첫걸음이다. 한국고전종합DB는 다양한 고전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API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API로 제공된 문집 데이터를 크롤링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 데이터를 가공한 후 시각화하면 문집 데이터의 특성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컴퓨터의 빠른 연산 능력을 이용해 수많은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하나의 문집을 시각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문집-문집의 관계뿐만 아니라, 여러 문집을 동시에 비교분석까지 가능하다.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가장 대표적인 예 중 하나는 사용된 단어의 분포에 따라 크기나 색으로 표시하는 워드 클라우드이다. 한글의 경우 워드 클라우드는 대개 한글 사전으로 사용되는 세종 사전에 기반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고전종합DB에서 API로 제공되는 데이터는 漢字로 표현되어 있어 기존의 한글이나 영어와 구조적으로 다르다. 이에 비록 초보 단계지만, 한국고전종합DB에 수록된 문집에 맞는 분석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시각화한 후 직관적인 분석이 가능하고, 이를 토대로 인문학적 의미를 찾을 수 있는 문집 분석 시스템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한국고전종합DB의 문집 정보는 일정한 형식을 갖고 API로 제공된다. 따라서 더 수준 높은 XML로 가공하여 정보를 제공한다면 이론적으로 이러한 문집 분석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것이다. 그리고 많은 전문가가 참여한 개발이 이루어지면, 한국고전종합DB 한국문집총간 전체의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시각화 완성도는 기술적인 여건상 아직 초보적인 단계이지만 문집 단독 시각화, 비교 시각화, 관계망 시각화 등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였다. 한국문집총간 을 대상으로 한 시각화 연구는 조건의 한계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최초로 시각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과정에서 파생되는 많은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각화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었다는 점은 매우 의미 있는 성과였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능성과 한계를 개선하여 향후 한문학 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각세별 산모연령 출산순위별 출생아수에 대한 탐색적 시각화분석

        김종태(Jongtae Kim)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8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는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인구동향조사 ‘각 세별 모의연령 및 출산순위별 출생아수’ 데이터를 가지고 다양한 시각화 도구들을 이용한 시각화 분석으로 출생아수에 대한 통계적 분포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쉽게 데이터를 그래픽화 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마크로소프트사의 엑셀과 무료이고 오픈 소프트웨어인 R을 사용하여 탐색적인 통계분석 방법을 구현하였다. 다양한 삼차원 그래프들과 그래픽의 이동각도들의 변화에 따른 시각화 분석들에 비교와 이차원 그래픽들에 따른 분석, 파이그래프나 막대그래프 등의 여러 종류의 시각화 도구들을 가지고 연도별 연령별 변화에 따른 출생 분포의 변화들을 비교를 하였다. 다양한 탐색적 시각화 분석을 통하여 출산순위별이나 모의 연령별에 따른 출생 데이터의 분포와 출생아수를 예측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births by visualization analysis using various visualization tools with data. And this data is the ‘live births by age group of mother, sex and birth order period annual 1981 ∼ 2016’ on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the exploratory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using R software and Microsoft Excel.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birth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each age by visualization tools using various kinds of two-dimensional graphs such as pie graph, bar graph and line graph. And then the distribution of births was examined with visualization analysis using various three-dimensional graphs.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exploratory visualization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distribution of birth data and the number of births according to birth order or mother’s age.

      • KCI등재후보

        중요도와 곤란도 인식 분석을 통한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임윤진,최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아이디어의 시각화 교육 능력 함양을 위하여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지도의 중요도와 곤란도를 조사 및 분석하여 시각화 교육에 관한 전문성 신장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5년 C대학과 K대학의 발명교사교육센터 직무연수에 참여한 교사 142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계수 .875였다. 자료의 배부와 수집은 인편과 e-mail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22.0K를 활용하였다. 발명 직무연수 방안의 탐색은 조사도구를 통해 산출된 중요도와 곤란도를 바탕으로 제안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전문가 3인의 검토를 받아 수정․보완 과정을 거쳤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의 곤란도는 보통이상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중요도와 곤란도 분석을 통하여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을 위해 가장 시급한 연수 프로그램은 ‘발명 아이디어 구상’과 ‘제도’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way enhancing the profession of invention idea visualization for teachers.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142 teachers participated i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t C Univ. and K educational Univ.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2 researchers and reviewed by 3 experts.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was Cronbach’s α coefficient .875.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direct delivery and by an e-mail, collected data were applied in the analysis. Analysis of the data by utilizing SPSS 22.0K. To find how to enhance the profession of educating the invention idea visualization,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analysis matrix was used. The results through the data analysis was reviewed by 3 exper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recognized that it is important to educate the invention ideas’ visualization. Second,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recognized that the invention ideas’ visualization educating difficulty level is usually above. Third, the most urgent programs for educating of invention ideas’s visualization were 'visualize invention ideas' and 'drawing'.

      • KCI등재

        음악 교과서의 정보시각화 분석 모형 개발

        강선영(Sun Young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음악 교과서의 정보시각화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는 분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인쇄 매체인 음악 교과서를 핵심적인 교수ㆍ학습 자료로 사용하는 현재의 학교 상황은 일상적으로 감각적인 멀티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학생들과 간극을 보이고 있으며, 이 간극을 줄이는 방법은 음악 교과서를 통해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각화 분석에 대한 여러 연구들과 저서를 고찰하여 음악 교과서의 정보시각화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분석 모형의 대상은 음악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추출되었고, 분석의 범주와 준거는 선행 연구들의 적합성을 검토하여 설정하였다. 이 분석 모형은 첫째, 정보 내용에 따른 시각화 분석, 둘째, 정보시각화의 기능 분석, 셋째, 정보시각화의 유형 분석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범주는 5개에서 7개의 하위 준거를 포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alysis models to examine problems on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music textbooks in South Korea. Schools still depend on conventional music textbooks, printed media, as their fundamental teaching tools while students obtain information through an array of sensory media on a daily basis. In order to bridge the gaps between the real education environments and students’ expectations, it will be the most realistic to come up with concrete ways to convey information to students accurately and effectively through music textbooks. For these objectives, I studied a variety of books and research on analysi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developed appropriate models to analyze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music textbooks. Subjects of this analysis models were extracted from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of middle school and the categories and criteria were set up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alysis. The analysis model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models for visual analysis based on information contents; second, models for analysis of function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third, models for analysis of type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Each category includes five to seven criteria.

      • KCI등재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의 데이터 시각화와 디자인 연구 - '스마트시티 데이터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 화면 구현을 중심으로 -

        김진영 ( Kim Jin Young ),이희준 ( Lee Hee Jun ),김홍준 ( Kim Hong Joon ),김재헌 ( Kim Jae Hu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6 No.-

        데이터는 4차 산업시대의 핵심연료이자 원유이다. 데이터의 가치와 잠재력은 아직 다 측정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확장되고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 시각화는 시각화를 통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데이터간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매우 강력한 도구이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이상적인 데이터 시각화는 데이터 과학과 시각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융·복합적으로 요구한다. 본 연구는 주요 개념인 스마트시티, 대시보드, 데이터 시각화의 정의와 의미를 살펴보고, 유사 개념인 정보 디자인, 정보 시각화, 인포그래픽을 비교하여 데이터 시각화가 갖는 데이터와 정보로서의 의미에 대해 함께 고찰한다.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의 데이터 시각화와 디자인 연구를 위하여 데스크 리서치 및 전문가 참여를 통해 시각화 모델 설계를 하고 3차 전문가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가 갖는 실시간성이 디자인 요소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고, 도출된 7가지 연구결과를 데이터 시각화 디자인 모델로 구축하여 실제 스마트시티 대시보드 화면에 적용하였다. 차트 표현 목적 4가지(비교, 분포, 패턴, 관계)에 시간 요소를 추가하여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기준을 도출하고, 스마트시티 대시보드 화면이 갖는 데이터 시각화의 ‘시간성’에 주목하였다. 선행 연구의 내용을 계승하면서, 실무적 적용을 이끌고, 스마트시티가 가지고 있는 다학제적 성격을 고려하여 여러 분야의 다양한 연구와 시선을 고찰, ‘스마트시티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가 갖는 ’실시간성‘을 사용자 경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점에서 대시보드 화면에 적용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Data is an important subset of the fourth industrial age. The value and potential of the data has not yet been fully discovered, and is still under development. Data visualization is a very powerful tool that effectively understands data through visualization and intuitivel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data. It is a representative method of supporting decision making. Ideal data visualization requires a fusion and a combination of understanding of data science and visual design.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smart city, dashboard, and data visualization, which are major concepts, and compares information design,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infographic, which are similar concepts, to examine the meaning of data visualization and information. For the data visualization and design research of real-time analysis dashboard, visualization model design is conducted through desk research and expert participation, and third expert analysis i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al-time analysis dashboards were examined how the real-time properties could be connected to design elements, and the 7 results of the study were constructed as a data visualization design model and applied to the actual smart city dashboard screen. The time factor was added to the four purposes of chart expression (comparison, distribution, pattern, relationship) to derive the standard for data visualization and pay attention to the 'timeness' of data visualization of smart city dashboard. In the course of inheriting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studies, it is meaningful that it led the practical application, considered various studies and gazes in various fields considering the multi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Smart City, and applied 'real-timeness' of 'Smart City Real-time Analysis Dashboard' to the dashboard screen from the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perspective.

      • KCI등재

        식품 성분과 관능 데이터의 상관관계 분석 및 시각화 기법

        송지현,김경주,이민수 한국정보과학회 2017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3 No.2

        최근 식품 분야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양과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식품 성분과 관능 데이터 간의 관계 파악을 위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식품을 구성하는 성분을 분석한 식품 성분 분석 데이터와 식품의 맛과 향을 나타내는 식품 관능 데이터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고 시각화하기 위하여 데이터 분석 기법 중 상관관계 분석법인 스피어만 상관관계 분석(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과 켄달 상관관계 분석(Kendall correlation coefficient)을 수행하였다. 또 분석 결과의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화에 유용한 도구인 R을 활용하여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식품 소스 6종에 대한 12가지 관능 성분 데이터와 20개의 비휘발성 성분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고, 식품 성분과 관능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 대한 결과를 시각화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가장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관능 데이터인 ‘매운향’과 식품 성분들 간의 상관관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수 있었다. Recently, as the amount and type of data generated in the field of food industry are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ood elements and sensory data.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food elements analysis data, which results from analyzing food ingredients, and food sensory data which indicates the taste and flavor of food.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Kendall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and visualize data from various angles. In order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data of the analysis result, the analysis result is visualized using R, a useful tool for visualization. The experimental data consists of 12 sensory data and 20 nonvolatile data on 6 food sauces. By visualiz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between food elements and sensory data, we can intuitively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od elements and the sensory data 'spicy flavor' that we most focused on.

      • KCI등재

        시각적 은유를 이용하는 감성 시각화 분석을 위한 분류 체계 구축

        하효지,정혜림,문광혁,이경원 한국디자인학회 2022 디자인학연구 Vol.35 No.2

        연구배경 최근 데이터마이닝 및 자연어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감성 분석은 단순한 긍부정의 성격을 넘어 보다 다채로운 성향을 가진 정보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고차원적인 시각화 기술을 사용하여 감성 정보를 분석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해당 사례들은 대중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기에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시각적 은유를 활용하여 감성 정보를 시각화하려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 다. 따라서 관련 사례들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들의 연구 방법과 목적, 시각적 은유에 대한 정보를 체 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은유를 기반으로 한 감성 분석 시각화 사례들의 연구 과정을 세부적으로 고 찰할 수 있는 분류 체계를 제안한다. 우선, 시각적 은유에 기반을 둔 감성 시각화 사례들을 수집하고 분류 체계를 구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두 번째는 분류 체계를 구성하는 기준들을 선정하는데, 은유 과정에서 나타나는 단계적 분석 업무에 근거하여 기준의 속성을 크게 다섯 가지(분석 대상, 매개, 재현물, 시각적 변수, 시각화 테크 닉)로 나누고 세부적인 하위 요소들을 선정한다. 세 번째는 만들어진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실제 사례를 이용하 여 분석 작업을 시행한다. 마지막으로 분류 체계에 대한 효용성 및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피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정성적 검증 실험을 진행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고안한 분류 체계는 감성 시각화에서 나타난 시각적 은유가 어떠한 감성 정보를 바탕으 로 이루어졌으며, 은유가 진행된 동기나 배경이 무엇인지, 감성 정보를 대체하게 된 재현물이 무엇인지, 그리고 해당 재현물에 대한 해석적 의미를 더하기 위해 시각적 변수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 들어졌다. 검증 과정에서는, 본 연구의 분류 체계가 시각적 은유를 활용한 감성 시각화 사례들의 포괄적으로 이 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재현물과 시각화 테크닉의 중분류 요소를 추가하고 요소들의 정의를 구체화하면서 세분화할 필요성도 확인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분류 체계는 사용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감성 분석 결과물이 되려면 어떤 시각 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갖추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에는 사례에 나타나는 시각적 은유 과정을 보다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분류 체계를 개선할 것이다. 그리고 다수의 관련 연구 자들을 모집하여 분류 체계의 효용성과 시각적 은유 과정 이해도를 검증하는 정량적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마 지막으로 보다 다양한 시각적 은유 사례들을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다음, 사용자들이 관련 사례들을 자유 롭게 탐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작할 계획이다.

      • KCI등재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의 추세 데이터 분석을 위한 UX 디자인 연구 ­-뷰저블 솔루션 연구를 중심으로­-

        윤소현,이지현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8 No.2

        Background: Throughout the data industry markets grow in size globally, in-page analytics Tool to help gain insights and make storytelling using data is widely used. However, the functions of the in-page analytics Tools are focused on the public analysis based on the heatmap and the UI and functions for the analysis of the overall flow of the insight for the service are not considered. Therefore, i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UI development that helps users to get service improvement factors from UX side, focusing on trend data analysi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data visualization method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case study and investigating service for UI development of analysis tool in web page.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a visualization tool, which is a visualization tool for easy access and data viewing for future prototype development and progress. Analysis of basic components and improvement factors of data visualization tool through analysis of Beusable and derived service idea from trend data perspective. Based on the functional elements of the service idea, the prototype was produced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expert evaluation. Result: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experts through the prototype, we focused on the trend of the data and made a positive response to the research direction of the category by comparing the comparison. Key improvements include the need to define long-term trend data and the lack of a link between the heatmap and the analysis. Conclusion: In this study, UX designer made a research hypothesis and prototype to understand the overall pattern of how user data flow changes over time and to improve problems.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not only the suggestion of the interaction but also the expert evaluation, and confirmed the usability verification and improvement poi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meaningful to have received a positive answer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data analysis function of the new perspective is focused on the essential functions from the viewpoint of the practitioner. 연구배경: 최근 세계적으로 데이터산업 시장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in-page analytics tool)가 전 분야에 걸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들의 기능은 히트맵을 기반으로 한 공시적 분석 위주이며 서비스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통시적 분석을 위한 UI와 기능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세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UX 측면에서 서비스 개선 요소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UI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사례 조사를 통해 데이터 시각화 방법에 관해 연구하고, 국내외 데이터 시각화 도구의 시각화 방식을 분석하여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의 UI 개발을 위한 서비스를 조사했다. 주요 연구 대상은 추후 프로토타입 개발 및 진행을 위하여 초보자도 쉽게 접근하여 데이터를 살펴볼 수 있는 시각화 도구인 뷰저블로 선정하였다. 뷰저블 서비스의 분석을 통해 데이터 시각화 도구의 기본 구성 요소 및 개선 요소를 분석하고, 추세 데이터 관점의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서비스 아이디어의 기능 요소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전문가 평가를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프로토타입을 통해 전문가 평가를 진행한 결과, 데이터의 추세에 집중하여 비교를 세분화하여 카테고리화 한 것에 관한 연구 방향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주요 개선점으로는 장기간 추세 데이터의 필요성에 대한 정의와 히트맵과 분석 내용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UX 디자이너가 시간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흐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전체적인 패턴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연구 가설을 세우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전문가 평가를 진행해 연구 가설을 검증하고 사용성 검증 및 개선점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실무자 관점에서 필수적인 기능에 집중하여 새로운 시각의 데이터 분석 기능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얻은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데이터 시각화를 이용한 취업자 특성분석

        조장식,Cho, Jang Sik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5 No.4

        대졸 취업자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주로 모수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해 온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 시각화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취업여부에 미치는 개인특성 변수들의 유사성 분석을 위해 다중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수들의 고차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관성분석을 이용한 연관성 규칙을 계산하여 개인특성 변수들이 취업여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연관성규칙의 결과를 사회연결망분석의 연결망 구조로 시각화 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얻었다. 첫째,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는 평균평점, 계열, 강의평가 점수, 성별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균평점과 강의평가점수가 보통이상으로 높고 자연계열인 경우 취업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시모집으로 입학한 연령이 낮은 졸업생이 취업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평균평점이 낮고 예체능 계열이며 연령이 높은 대졸자들이 취업가능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예체능 계열의 단일전공을 한 여학생들의 경우도 취업가능성이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The fundamental concerns of this paper are to analyze the effects of some characteristics on the employment of new college graduated students in viewpoint of data visualization. We use individual and department characteristic data of K-university graduated students in 2010. We apply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decision tree analysis, association rule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for data visualiz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shows that GPA, department category, age and number of majors, recruiting time affect the employment rate. Second, higher GPA and natural category of department positiv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Finally, low age, single major and early recruiting time also positiv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