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병찬,민경주 한국고전번역원 2021 民族文化 Vol.57 No.-
This paper is the first step toward developing a system that will help researchers analyze data by utilizing data visualization, a new technology for for the Collections of Korean literary works in the Korean Classics Database. The Korea Classics DB provides various classical materials in the form of an API. By crawling the data provided by the API and storing it in the database, the data can be processed and visualized in an intuitive way. By analyzing high volumes of data using the computer's fast computing power, it is possible, as well as to visualize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to compare and analyze two collections and. further, multiple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at the same tim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visualizing data is Word Cloud, in which displays the output in size or color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words used. In the case of Hangeul, Word Cloud is based on the King Sejong dictionary, which is used as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However, the data provided by the API in the Korea Classics DB is expressed in Chinese character, which are structural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Hangul or English. Although the system was in a rudimentary stage, it attempted to develop a collection analysis system that could visualize the data by applying analysis algorithms suitable for the collections contained in the Korea Classics DB, and then find the meaning based on the context of the humanities. The data of the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in the Korean Classics DB are provided in an API with a certain format. Thus, if they are processed into higher levels of XML and provided theoretically, these literature analysis systems are sure to improve performance. And, if numerous experts join this research, all the collections in the Korean Classics DB can be analyzed. In fact this research has failed to produce satisfactory results in visualization under limited conditions. However, it is considered to be a very meaningful one, since we have identified numerous problems in the process of visualization, and also have set a new direction of research in visualization. We hope to increase the possibilities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found in this research, which will help a lot to the future Korea Classics research. 이 연구는 한국고전종합DB의 한국문집총간 을 대상으로 새로운 기술인 데이터 시각화를 활용하여 연구자의 자료 분석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첫걸음이다. 한국고전종합DB는 다양한 고전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API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API로 제공된 문집 데이터를 크롤링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 데이터를 가공한 후 시각화하면 문집 데이터의 특성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컴퓨터의 빠른 연산 능력을 이용해 수많은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하나의 문집을 시각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문집-문집의 관계뿐만 아니라, 여러 문집을 동시에 비교분석까지 가능하다.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가장 대표적인 예 중 하나는 사용된 단어의 분포에 따라 크기나 색으로 표시하는 워드 클라우드이다. 한글의 경우 워드 클라우드는 대개 한글 사전으로 사용되는 세종 사전에 기반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고전종합DB에서 API로 제공되는 데이터는 漢字로 표현되어 있어 기존의 한글이나 영어와 구조적으로 다르다. 이에 비록 초보 단계지만, 한국고전종합DB에 수록된 문집에 맞는 분석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시각화한 후 직관적인 분석이 가능하고, 이를 토대로 인문학적 의미를 찾을 수 있는 문집 분석 시스템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한국고전종합DB의 문집 정보는 일정한 형식을 갖고 API로 제공된다. 따라서 더 수준 높은 XML로 가공하여 정보를 제공한다면 이론적으로 이러한 문집 분석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것이다. 그리고 많은 전문가가 참여한 개발이 이루어지면, 한국고전종합DB 한국문집총간 전체의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시각화 완성도는 기술적인 여건상 아직 초보적인 단계이지만 문집 단독 시각화, 비교 시각화, 관계망 시각화 등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였다. 한국문집총간 을 대상으로 한 시각화 연구는 조건의 한계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최초로 시각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과정에서 파생되는 많은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각화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었다는 점은 매우 의미 있는 성과였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능성과 한계를 개선하여 향후 한문학 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각세별 산모연령 출산순위별 출생아수에 대한 탐색적 시각화분석
김종태(Jongtae Kim)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8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는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인구동향조사 ‘각 세별 모의연령 및 출산순위별 출생아수’ 데이터를 가지고 다양한 시각화 도구들을 이용한 시각화 분석으로 출생아수에 대한 통계적 분포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쉽게 데이터를 그래픽화 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마크로소프트사의 엑셀과 무료이고 오픈 소프트웨어인 R을 사용하여 탐색적인 통계분석 방법을 구현하였다. 다양한 삼차원 그래프들과 그래픽의 이동각도들의 변화에 따른 시각화 분석들에 비교와 이차원 그래픽들에 따른 분석, 파이그래프나 막대그래프 등의 여러 종류의 시각화 도구들을 가지고 연도별 연령별 변화에 따른 출생 분포의 변화들을 비교를 하였다. 다양한 탐색적 시각화 분석을 통하여 출산순위별이나 모의 연령별에 따른 출생 데이터의 분포와 출생아수를 예측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births by visualization analysis using various visualization tools with data. And this data is the ‘live births by age group of mother, sex and birth order period annual 1981 ∼ 2016’ on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the exploratory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using R software and Microsoft Excel.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birth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each age by visualization tools using various kinds of two-dimensional graphs such as pie graph, bar graph and line graph. And then the distribution of births was examined with visualization analysis using various three-dimensional graphs.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exploratory visualization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distribution of birth data and the number of births according to birth order or mother’s age.
중요도와 곤란도 인식 분석을 통한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임윤진,최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실과교육연구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아이디어의 시각화 교육 능력 함양을 위하여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지도의 중요도와 곤란도를 조사 및 분석하여 시각화 교육에 관한 전문성 신장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5년 C대학과 K대학의 발명교사교육센터 직무연수에 참여한 교사 142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계수 .875였다. 자료의 배부와 수집은 인편과 e-mail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22.0K를 활용하였다. 발명 직무연수 방안의 탐색은 조사도구를 통해 산출된 중요도와 곤란도를 바탕으로 제안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전문가 3인의 검토를 받아 수정․보완 과정을 거쳤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의 곤란도는 보통이상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중요도와 곤란도 분석을 통하여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을 위해 가장 시급한 연수 프로그램은 ‘발명 아이디어 구상’과 ‘제도’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way enhancing the profession of invention idea visualization for teachers.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142 teachers participated i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t C Univ. and K educational Univ.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2 researchers and reviewed by 3 experts.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was Cronbach’s α coefficient .875.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direct delivery and by an e-mail, collected data were applied in the analysis. Analysis of the data by utilizing SPSS 22.0K. To find how to enhance the profession of educating the invention idea visualization,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analysis matrix was used. The results through the data analysis was reviewed by 3 exper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recognized that it is important to educate the invention ideas’ visualization. Second,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recognized that the invention ideas’ visualization educating difficulty level is usually above. Third, the most urgent programs for educating of invention ideas’s visualization were 'visualize invention ideas' and 'drawing'.
강선영(Sun Young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음악 교과서의 정보시각화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는 분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인쇄 매체인 음악 교과서를 핵심적인 교수ㆍ학습 자료로 사용하는 현재의 학교 상황은 일상적으로 감각적인 멀티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학생들과 간극을 보이고 있으며, 이 간극을 줄이는 방법은 음악 교과서를 통해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각화 분석에 대한 여러 연구들과 저서를 고찰하여 음악 교과서의 정보시각화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분석 모형의 대상은 음악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추출되었고, 분석의 범주와 준거는 선행 연구들의 적합성을 검토하여 설정하였다. 이 분석 모형은 첫째, 정보 내용에 따른 시각화 분석, 둘째, 정보시각화의 기능 분석, 셋째, 정보시각화의 유형 분석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범주는 5개에서 7개의 하위 준거를 포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alysis models to examine problems on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music textbooks in South Korea. Schools still depend on conventional music textbooks, printed media, as their fundamental teaching tools while students obtain information through an array of sensory media on a daily basis. In order to bridge the gaps between the real education environments and students’ expectations, it will be the most realistic to come up with concrete ways to convey information to students accurately and effectively through music textbooks. For these objectives, I studied a variety of books and research on analysi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developed appropriate models to analyze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music textbooks. Subjects of this analysis models were extracted from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of middle school and the categories and criteria were set up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alysis. The analysis model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models for visual analysis based on information contents; second, models for analysis of function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third, models for analysis of type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Each category includes five to seven criteria.
식품 성분과 관능 데이터의 상관관계 분석 및 시각화 기법
송지현,김경주,이민수 한국정보과학회 2017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3 No.2
최근 식품 분야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양과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식품 성분과 관능 데이터 간의 관계 파악을 위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식품을 구성하는 성분을 분석한 식품 성분 분석 데이터와 식품의 맛과 향을 나타내는 식품 관능 데이터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고 시각화하기 위하여 데이터 분석 기법 중 상관관계 분석법인 스피어만 상관관계 분석(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과 켄달 상관관계 분석(Kendall correlation coefficient)을 수행하였다. 또 분석 결과의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화에 유용한 도구인 R을 활용하여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식품 소스 6종에 대한 12가지 관능 성분 데이터와 20개의 비휘발성 성분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고, 식품 성분과 관능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 대한 결과를 시각화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가장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관능 데이터인 ‘매운향’과 식품 성분들 간의 상관관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수 있었다. Recently, as the amount and type of data generated in the field of food industry are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ood elements and sensory data.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food elements analysis data, which results from analyzing food ingredients, and food sensory data which indicates the taste and flavor of food.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Kendall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and visualize data from various angles. In order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data of the analysis result, the analysis result is visualized using R, a useful tool for visualization. The experimental data consists of 12 sensory data and 20 nonvolatile data on 6 food sauces. By visualiz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between food elements and sensory data, we can intuitively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od elements and the sensory data 'spicy flavor' that we most focused on.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의 추세 데이터 분석을 위한 UX 디자인 연구 -뷰저블 솔루션 연구를 중심으로-
윤소현,이지현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8 No.2
Background: Throughout the data industry markets grow in size globally, in-page analytics Tool to help gain insights and make storytelling using data is widely used. However, the functions of the in-page analytics Tools are focused on the public analysis based on the heatmap and the UI and functions for the analysis of the overall flow of the insight for the service are not considered. Therefore, i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UI development that helps users to get service improvement factors from UX side, focusing on trend data analysi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data visualization method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case study and investigating service for UI development of analysis tool in web page.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a visualization tool, which is a visualization tool for easy access and data viewing for future prototype development and progress. Analysis of basic components and improvement factors of data visualization tool through analysis of Beusable and derived service idea from trend data perspective. Based on the functional elements of the service idea, the prototype was produced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expert evaluation. Result: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experts through the prototype, we focused on the trend of the data and made a positive response to the research direction of the category by comparing the comparison. Key improvements include the need to define long-term trend data and the lack of a link between the heatmap and the analysis. Conclusion: In this study, UX designer made a research hypothesis and prototype to understand the overall pattern of how user data flow changes over time and to improve problems.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not only the suggestion of the interaction but also the expert evaluation, and confirmed the usability verification and improvement poi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meaningful to have received a positive answer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data analysis function of the new perspective is focused on the essential functions from the viewpoint of the practitioner. 연구배경: 최근 세계적으로 데이터산업 시장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in-page analytics tool)가 전 분야에 걸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들의 기능은 히트맵을 기반으로 한 공시적 분석 위주이며 서비스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통시적 분석을 위한 UI와 기능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세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UX 측면에서 서비스 개선 요소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UI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사례 조사를 통해 데이터 시각화 방법에 관해 연구하고, 국내외 데이터 시각화 도구의 시각화 방식을 분석하여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의 UI 개발을 위한 서비스를 조사했다. 주요 연구 대상은 추후 프로토타입 개발 및 진행을 위하여 초보자도 쉽게 접근하여 데이터를 살펴볼 수 있는 시각화 도구인 뷰저블로 선정하였다. 뷰저블 서비스의 분석을 통해 데이터 시각화 도구의 기본 구성 요소 및 개선 요소를 분석하고, 추세 데이터 관점의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서비스 아이디어의 기능 요소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전문가 평가를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프로토타입을 통해 전문가 평가를 진행한 결과, 데이터의 추세에 집중하여 비교를 세분화하여 카테고리화 한 것에 관한 연구 방향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주요 개선점으로는 장기간 추세 데이터의 필요성에 대한 정의와 히트맵과 분석 내용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UX 디자이너가 시간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흐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전체적인 패턴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연구 가설을 세우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전문가 평가를 진행해 연구 가설을 검증하고 사용성 검증 및 개선점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실무자 관점에서 필수적인 기능에 집중하여 새로운 시각의 데이터 분석 기능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얻은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시각적 은유를 이용하는 감성 시각화 분석을 위한 분류 체계 구축
하효지,정혜림,문광혁,이경원 한국디자인학회 2022 디자인학연구 Vol.35 No.2
연구배경 최근 데이터마이닝 및 자연어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감성 분석은 단순한 긍부정의 성격을 넘어 보다 다채로운 성향을 가진 정보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고차원적인 시각화 기술을 사용하여 감성 정보를 분석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해당 사례들은 대중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기에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시각적 은유를 활용하여 감성 정보를 시각화하려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 다. 따라서 관련 사례들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들의 연구 방법과 목적, 시각적 은유에 대한 정보를 체 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은유를 기반으로 한 감성 분석 시각화 사례들의 연구 과정을 세부적으로 고 찰할 수 있는 분류 체계를 제안한다. 우선, 시각적 은유에 기반을 둔 감성 시각화 사례들을 수집하고 분류 체계를 구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두 번째는 분류 체계를 구성하는 기준들을 선정하는데, 은유 과정에서 나타나는 단계적 분석 업무에 근거하여 기준의 속성을 크게 다섯 가지(분석 대상, 매개, 재현물, 시각적 변수, 시각화 테크 닉)로 나누고 세부적인 하위 요소들을 선정한다. 세 번째는 만들어진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실제 사례를 이용하 여 분석 작업을 시행한다. 마지막으로 분류 체계에 대한 효용성 및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피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정성적 검증 실험을 진행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고안한 분류 체계는 감성 시각화에서 나타난 시각적 은유가 어떠한 감성 정보를 바탕으 로 이루어졌으며, 은유가 진행된 동기나 배경이 무엇인지, 감성 정보를 대체하게 된 재현물이 무엇인지, 그리고 해당 재현물에 대한 해석적 의미를 더하기 위해 시각적 변수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 들어졌다. 검증 과정에서는, 본 연구의 분류 체계가 시각적 은유를 활용한 감성 시각화 사례들의 포괄적으로 이 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재현물과 시각화 테크닉의 중분류 요소를 추가하고 요소들의 정의를 구체화하면서 세분화할 필요성도 확인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분류 체계는 사용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감성 분석 결과물이 되려면 어떤 시각 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갖추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에는 사례에 나타나는 시각적 은유 과정을 보다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분류 체계를 개선할 것이다. 그리고 다수의 관련 연구 자들을 모집하여 분류 체계의 효용성과 시각적 은유 과정 이해도를 검증하는 정량적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마 지막으로 보다 다양한 시각적 은유 사례들을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다음, 사용자들이 관련 사례들을 자유 롭게 탐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작할 계획이다.
빅데이터 분석 도구 R 언어를 이용한 교육 자료 시각화
강윤수,김민수,홍창환,김성백,권상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Recently, as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develops, many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apply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In this study,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was applied to visualize educational material including the learning cont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to grasp its characteristics. First, we analyze the ma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s using R language, which is widely used as a big data analysis tool. Next, we propose how to visualiz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ain terms and concepts of educational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statistical visualization metho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in terms of the educational content is automatically derived and presented in the form of a mindmap that can be helpful for learning.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the proposed method using R tool suitable for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big data. Educational material related to Jeju environmental education was collected. Based on the material, we developed appropriate analysis algorithms and derived visualization results. In particular, through visualization of education materials in the form of a mindmap, teachers and learners are expect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improve their learning. 최근에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많은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교과 내용을 포함하여 교육 자료를 시각화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 데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적용하였다. 우선 빅데이터 분석 도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R 언어를 이용하여 교육 내용에 대해 주요 용어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다음으로 교육 자료의 주요 용어와 개념에 대해 분석한 결과의 시각화 방안을 제시한다. 통계학적인 시각화 방안과 더불어 교육 내용의 주요 용어들 간의 연관 관계를 자동으로 도출하여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마인드맵 형태로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방안을 빅데이터의 분석과 시각화에 적합한 R 도구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시각화 대상 교육 자료로 제주 환경 교육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에 적합한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시각화 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마인드 맵 형태의 시각화 교육 자료를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는 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와 학습 제고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정보미학적 해석을 통한 소셜네트워크 시각화의 예술적 활용
방승애(Seungae Bang),윤준성(Joonsung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본 논문은 소셜네트워크 시각화의 정보미학적 해석을 통해 소셜네트워크 시각화의 예술적 활용을 분석한다. 초창기 소셜네트워크 시각화는 개인과 집단의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의 한 방법인 ‘소시오그램(sociogram)’의 형태로 등장했다. 이후 소셜네트워크가 점차 복잡해지면서 다양한 인간 관계망을 분석하는 기술이 등장했다. 초창기 소셜네트워크 시각화는 사회 구조를 측정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을 지향했다. 그러나 현재 소셜네트워크 시각화는 정보 기반의 예술적 표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분화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소셜네트워크 시각화의 최근 예술적 활용에 주목하여 정보미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예술적 활용 사례를 두 가지 범주로 나눈다. 먼저, 아날로그기반의 정적인 그래프 시각화 유형을 분석한다. 두 번째는 소셜네트워크 웹 사이트와 텍스트 분석 기술을 연동하여 실시간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하는 상호작용성 기반의 시각화 유형을 분석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예술과 공학의 융합적 패러다임을 제시하여 기존 예술 연구 영역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artistic practical use of social network visualization through the aesthetic information interpretation. The first social network visualization has emerged as ‘Sociogram’ in the form of social network analysis(SNA). Since social network has complex, the analyzing technology of social network has emerged. Early social network visualization has a practical purpose to measure the social structure, but current social network visualization divided into various forms from artistic expressions through information. This paper divide into two categories based on the artistic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visualization. Firs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static graph based on analog. Second, this research analyze the category of interacted visualization to generate a real-time digital image. This paper presents the fusion of paradigm between engineering and art through this way.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의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와 문제해결 전략 및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김연미(Yon Mi Kim) 한국인지과학회 2017 인지과학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신입생(수학능력 시험에서 수학 B형을 친 학생들)들과 공학전공을 희망하는 자율전공 학생(수학 A형을 친 경우)들의 공간능력을 조사하여 수학 성취도와 공간능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성별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문제해결전략에 성별로 차이가 있는지, 전략 선택의 차이가 공간능력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검사도구로 Purdue 공간 시각화 검사-회전(이하 PSVT-R)을 사용하였다. 또한 문항별 정답률을 성별로 구하고 분석해보았다. 연구결과, 공간 시각화능력-회전 능력에서의 성별 차이는 일반 공대생과 자율전공 학생들 모두 공통적으로 나타났고, 두 집단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10% 정도 우월 하였다. 검사에 참여한 학생들을 네 집단(일반 공대 남학생, 일반 공대 여학생, 자율전공 남학생, 자율전공 여학생)으로 나누었을 때 공간 시각화 능력은 일반 공대 남학생의 점수가 25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자율전공 남학생(22.5)과 일반 공대 여학생(22.4)이 거의 비슷하였으며, 자율전공 여학생(19.2)의 순서로 낮아졌다. 공간 시각화 능력과 수학 성취도 사이의 상관계수는 동일한 집단 내에서는 모두 0.25이하로 둘 사이의 상관관계는 미미하였다. 그렇지만 집단 간에는 차이가 존재하는데, 일반 공대 및 자율전공 모두 남학생의 수학성취도와 공간 시각화 능력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수학 심화과정을 배운 일반 공대 남(여)학생의 공간 시각화 점수가 그렇지 못한 자율전공 남(여)학생보다 높았다. 이 사실들은 공간능력과 수학 성취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도형의 회전에서 문제해결 전략은 크게는 전인적(holistic) 전략부터 분석적(비교, 대조) 전략으로 나눌 수 있다. Mann-Whitney U 검증 결과 전략의 선택에서 유의미한 성별차이가 존재하였다. 그 외에도 일반 공대 남학생들에서는 전인적 전략을 80% 이상 사용했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일반 공대 여학생과 자율전공 학생들에서는 남녀 모두 전인적 전략을 50∼80% 정도 사용하면서 비교, 대조와 같은 분석적인 방법을 곁들였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전략의 선택이 공간 시각화 능력의 점수 차이로 연결된다는 증거는 찾지 못하였지만, 만점을 받은 일반 공대생 집단은 남녀 모두 평균적인 선택보다는 전인적인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한편 자율전공 하위권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한 가지 전략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도형의 회전과제에서는 두 가지 전략을 융통성 있게 사용하는 것이 문제해결에서 한 가지 전략만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과적으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문항별 정답률을 분석하여 여학생들의 정답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문항들을 추출하였다. 이 문항들의 특징은 회전축이 2개인 경우들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PSVT-R 점수의 차이는 효율적인 전략의 선택과 운영 외에도 주어진 도형에 대한 심적 이미지를 정확하게 만드는 능력에도 달려있음을 문항 분석 결과로 알 수 있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간 시각화-회전 점수가 낮은 하위권 학생들에게 지금까지 그들에게 익숙하지 않았던 다른 전략을 학습할 경험과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문항 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정답률이 낮은 문항과 유사한 문항들을 개발하여 학습한다면 하위권 및 여학생들의 공간 시각화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research, based on the fact that spatial ability is important for the achievement in the STEM field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urdue Spatial Visualization Test-Rotation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engineering freshmen"s spatial ability and gender differences. Students who have taken advanced mathematics courses in high school(those who have taken type B math test in Korean SAT test) and students with general math courses(those who have taken type A in Korean SAT-Math test) are included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spatial ability. Finding out the strategies taken by students was another aim of this study. This strategic differences between high achievers and lower achievers,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analyzed from students’ self report. Spatial ability test score was highest in the SAT-Math type B male students, decreased in the order of type A male students, type B female students, and lastly type A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second and third groups. In each group, male students" average score was 8∼10% higher than female students, which affirms 2015"s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abilit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was negligible in each group, but male students" math score and spatial ability score were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re is som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Strategic choices can vary in the continuous spectrum with analytic method and holistic method at both ends. From students’ self report, using Mann-Witney test, it turned out that there exists strategic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have a tendency to use holistic strategy more often than female students. I also found that the strategy choice did not vary greatly among all score groups. For the perfect score groups, both female and male students used holistic strategy most frequently. For low achieving groups, there is an evidence that these students overuse one method compared to average or high achieving groups, which turned out to be less effective. Based on these, I suggest that low achieving students need to have more chances to adopt efficient strategies and to practice challenging problems to improve their spatial 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