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중재 연구 동향 :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 및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중심으로

        한순영 ( Han Soon Yeong ),김우리 ( Kim Woori ),유용석 ( Yoo Yongseo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향상을 위한 스마트러닝 중재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 디지털리터러시 역량 및 훈련 현황을 분석하였다. 문헌 선정 기준에 따라 총 20편의 연구가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내용 분석이 이루어졌다. 먼저,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본 결과, 모든 연구가 2010년 이후에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의 연령은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고, 종속변인으로는 학업능력과 학습태도를 고루 살펴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을 분석한 결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업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웹 및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업, 증강현실을 활용한 수업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러닝에서 필요로 하는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분석한 결과, 모든 연구에서 시각자료리터러시 역량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에 따라 특정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상대적으로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을 이용한 정보 검색을 활용한 수업에서는 정보리터러시 역량이, 네트워킹을 활용한 수업에서는 사회정서리터러시 역량이, 게임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수업에서는 실시간사고리터러시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디지털리터러시 훈련은 논문에서 제시하지 않거나, 단순히 스마트기기 사용 절차를 가르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발달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인 스마트러닝과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on the use of smart learning and corresponding digital literacy skill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0 studies met literature selection criteria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revealed that all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after 2010. The participants were mos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academic performance and engagement. Second, in terms of smart learning usage types, the use of applications were most common, followed by using the Web and network technologies, and augmented reality. Third, regarding digital literacy skills required for smart learning, the photo-visual digital skill was required in all studies. In addition, specific digital literacy skills were required depending on each smart learning usage type. The smart learning using the Web corresponded to the information literacy, those using network technologies to the social-emotional literacy, and those with game-based applications to the real-time literacy. However, training of digital literacy skills, except simple guidelines on using smart devices, was lacking in the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effective smart learning and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 KCI등재

        장르 인식을 활용한 스마트 광고 리터러시 교육 연구

        김은지 ( Kim Eun-ji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0 No.-

        본 연구는 장르 인식을 활용한 스마트 광고 리터러시 교육의 요소와 방안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의 광고 리터러시와 광고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논의는 전통적 광고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를 통해서는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메커니즘을 가지고 탄생한 스마트 광고를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새로운 메커니즘을 지닌 스마트 광고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장르 이론의 관점에서 스마트 광고 리터러시를 스마트 광고라는 장르와 그 장르적 특성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으로, 스마트 광고 리터러시 교육은 학습자가 스마트 광고라는 장르와 그 장르적 특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으로 정의하였다. 스마트 광고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전략적 질문 목록과 이를 활용한 스마트 광고 리터러시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lements and methods of smart- ad literacy education using genre awareness. Previous discussions on advertising literacy and advertising literacy education have focused on traditional advertising. However, through thi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smart advertisements created with new mechanisms due to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For smart-ad literac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enre theory, smart-ad literacy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genre of smart-ads and its genre characteristics. Smart-ad literacy education is defined as education that allows learners to recognize the genre of smart-ads and its genre characteristics. I propose lists of strategic questions for smart-ad literacy education and a smart-ad literacy education method utilizing them.

      • KCI등재후보

        스마트 미디어 이용자 특성과 디바이드에 대한 연구

        김미경(Kim, Mikyung)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3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8 No.2

        본연구는 스마트 미디어의 매체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스마트미디어 이용자의 특성과 디바이드 수준을 검토하고 디바이드 수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불평등을 방지하기 위한 스마트 미디어리터러시 정책에 대해서 제안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미디어 격차가 이용과 활용면에 적용되는 격차이며 이용자는 스마트 미디어 특징에 적용하여 맞춤형, 참여형, 연결형, 확장형으로 규정한다. 또한 스마트 미디어가 개별 미디어이며 다기능적인 미디어인 점을 감안하면 이용자들의 개별적이고 집단적인 이용경험과 효능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차 자료를 통해서 스마트 미디어에 대한 세대별 인식과 이용 경험이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제기하고 제한적 이용자와 확장적 이용자 집단 간의 활용격차 검 토를 통해서 스마트 미디어 이용자들 내부에서의 다층적 격차가 발생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미디어 수용자의 각 특징과 격차의 발생 수준 및 대응 방안에 대해서 제시한다. 구체적인 정책으로 스마트 기회 지수 개발,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개발, 스마트 프라이버시 보호, SNS 리터러시, 마이너 이용자 중심의 활용 격차 해소를 위한 리터러시 정책 등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는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불평등 극복 정책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media user’ and ‘the smart media divid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media technological traits.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s the media literacy policy which protects inequality from ‘media divide’. As the result of study, smart media divide is the gap which comes from use and application of smart media. Smart users are characterized as customized, participated, connected and expanded type. Smart media as a personal media and multi functional media needs to be focused on the aspects of ‘using experience’ and ‘user efficiency and productivity’. These aspects are caused of smart media divide between personal and personal, and group and group. This paper addresses the impact of practical use of ‘App’ by generation acknowledge and using experience of ‘smart media’ and the ‘application divide’ and ‘multi divide’ between ‘limited user’ and ‘expanded user’.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smart media literacy’ such as smart opportunity index, smart media literacy index, smart privacy protection, SNS literacy, application divide literacy for minor users.

      • KCI등재

        초등학생 어머니의 스마트폰 리터러시가 자녀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임인택 ( In Taek Lim ),이선미 ( Sun Mi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1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정도를 알아보고, 초등학생 어머니의 스마트폰 리터러시가 자녀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아동 350명과 어머니 350명 총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하위 요인 금단, 내성, 강박/집착. 생활불편/부적응 중 내성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 어머니의 스마트폰 리터러시는 자녀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소통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자녀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하위요인인 금단, 내성, 강박/집착, 생활불편/부적응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어머니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절한 통제와 개입이 필요하며, 어머니 본인의 스마트폰 리터러시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mart-phone overuse level in the 6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garding the recent growth in the excessive use of smart-phon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figure out which influence the smart-phone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s have upon children``s smart-phone overuse. This study analyzed by carrying out questionnaire targeting totally 408 people with 204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204 mothers in Seoul and Gyeonggi.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mputed using SPSS program.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mong sub-factors of smart-phone overuse, tolerance score was shown to be the highest. The score of smart-phone overuse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abstinence, living discomfort/maladjustment, compulsion/obsession. Second, elementary schoolers`` mothers`` smart-phone literacy was indicated to have influence upon children``s smart-phone overuse.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in mothers`` smart-phone communication literacy leads to the higher in abstinence, tolerance, compulsion/obsession, and living discomfort/maladjustment in children``s smart- phone overuse.

      • KCI등재

        초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과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성은모 ( Eun 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2

        21세기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핵심능력 중의 하나가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스마트미디어 활용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최근에는 스마트교육환경을 구축하여 스마트미디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수업체제나 다양한 학습방식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스마트미디어에 대한 적응력과 수용력의 민감도가 높은 시기이기 때문에 올바른 스마트미디어의 활용 능력을 갖추게 하는 일은 중요한 일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스마트미디어를 보다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이 요구되며, 이러한 능력이 초등학생의 학습효과성을 예측하는지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5, 6학년을 전체 모집단으로 하여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을 도출하고,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수준에 따라 어떠한 요인이 교과태도(국어, 수학, 과학)와 학성성취도를 예측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초등학생 1,188명(5학년 584명, 6학년 604명; 남 620, 여 5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은 스마트미디어 조작 및 앱 활용능력, 스마트미디어 활용의 긍정적 신념, 그리고 스마트미디어 활용 학습능력 등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수준에 따라 교과태도(수학 제외)와 학업성취도에 있어 중위, 하위수준 학생보다 높았다. 또한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에 있어 스마트미디어 활용 학습능력은 교과태도와 학업성취도는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마트미디어의 긍정적 신념은 부적관계에 있고, 특히 스마트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은 학생보다는 중간 또는 낮은 학생들에게 정적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교과태도, 학업성취도 신장을 위한 교육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of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SMLQ) through identifying the factors of smart media literacy(SML) for primary school student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with a level of SML and learning effectiveness(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To address this goal, 1,188 primary school students(5 grade 584, 6 grade 604)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is male 620(52.2%) and female 568(47.8%). Mean age of Participants is 13.49(SD=.52). Three types of survey are administered regarding SMLQ as 18 items, students`` subject attitude(language, mathematic, and sci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in terms of normality, reliabilit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8.0. As a result, three factors are identified; operat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application,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and learning ability with suing smart media. According to the level of SML,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mart media literacy, subject attitude (except mathematic attitude), and achievement. Students, high level of SML, are more higher than students who are middle and low level of SML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Learning ability with using smart media in SML is a positive relationship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On the contrary to this,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in SML is a negative relationship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Especially, students who are middle and low level of SML are more positive relationship on learning effectiveness by learning ability with suing smart media and operat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SMLQ),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ML are discussed and proposed further research in detail.

      • KCI등재

        중학생의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 유형에 따른 자기주도학습능력 차이 분석: 잠재계층분석(Laten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최효선 ( Hyoseon Choi ),성은모 ( Eun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1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변인 중심이 아닌 인간의 행위를 중심으로 한 유형을 분류하고, 특징을 분석하여 영향요인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사람 중심 접근 법인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중학생의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자기주도학습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아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 유형을 세밀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 비교연구II`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의 중학생 3,387명의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와 자기주도학습능력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네 개의 잠재계층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소극적 활용형`, `정보수집공유형`, `지원도구활용형`, `멀티플레이어형`으로 명명되었다. 유형별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다변량분석한 결과, `멀티플레이어형`의 경우 모든 자기주도학습능력 하위영역에서 우수하였으며, `소극적 활용형`은 모든 영역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정보수집공유형`은 과제관리, 문제해결, 메타인지, 몰입 영역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와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교수학습 설계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types of latent class about smart media litera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he latent classes of smart media literacies. To address those goals, the data, the questionnaires of smart media liter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collected from `A Study on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I: IEA ICCS 2016`.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3,387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the latent classes of smart media literacies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4 classes such as Passive use`, Information gathering & sharing`, Tool based use, and Proactive use smart media literacy groups. ANOVA and MANOVA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four types of latent classe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mart media literac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s a result, the Multiple using group as higher smart media literacy was excellent in all 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owever, the Passive using` group as lower smart media literacy was lower level than other groups. In addition, Information collecting & sharing group showed that higher level in task management, problem solving, meta-cognition, and flow than other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a discussion of the improving learners` smart media liter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students was presented at the conclusion.

      • KCI등재

        스마트시대의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성욱준(Sung, Wookjoon) 서울행정학회 201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5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스마트폰의 초기 확산이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속변수는 정보이용능력이며, 주요 변수로 스마트 기기의 보유 여부,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서 성별, 연령, 교육, 소득 등을 사용하였다. 특히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정보격차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보유여부를 조절변수로 하여 성별, 연령, 교육,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 기기의 보유는 정보리터러시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었다. 둘째, 스마트시대에도 성별, 교육, 소득이 정보격차에 영향을 주지만, 연령별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스마트폰의 보유 여부는 교육수준에 따른 정보리터러시의 격차 정도를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smart devices on the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divide issues. The dependent variable is digital literacy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access to smart device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nd age, and socio-economic factors including education, income, occupation, and area of residence. In particular, this study used the retention of smartphone for interaction term. The research results reveal that smart devices have a positive impact on information literacy and also negate the effects of education in terms of the digital divide.

      • KCI등재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의 매개효과

        윤보람 ( Boram Yoon ),이영신 ( Youngshi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6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대구에 위치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23명과 그들의 어머니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측정 변인들의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매개효과검증을 위해 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통한 매개변인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중재,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비판적 리터러시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유형 중 교육적 중재, 제한적 중재, 적극적 중재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졌다. 결론적으로 어머니가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역량인 비판적 리터러시는 어머니의 교육적. 제한적, 적극적 미디어 중재를 통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이상의 결과는 스마트미디어 시대에 유아를 위한 건강한 스마트미디어 이용 방침 마련 및 부모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mothers' smart media mediation upon the influence of their media literacy on their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he subjects included 123 five-year-olds children and their 123 mothers from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Daegu.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The mediating effect test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was performed to test if mothers' smart media mediation would play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ir media literacy and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Nest, the sobel test was employed to examine mediating variables for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edia literacy, smart media mediation, and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Second, the mediated effects of mothers' smart media mediation showed that their instructive, restrictive, and active mediation had full mediating effects upon the influence of critical literacy on their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In conclusion, mothers' critical literacy their capabilities of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media critically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hrough their instructive, restrictive, and active media mediation. These findings imply a need to develop a set of policies for young children's healthy smart media use and a group of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in the era of smart media, providing basic data for such policies and programs.

      • KCI등재

        아동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및 사회환경적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신하나(Hana Shin),정세훈(Se-Hoon Jeo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5 No.3

        본 연구는 아동 · 청소년기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개인적 요인인 아동 · 청소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사회환경적 요인 중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어머니가 행하는 부모 중재, 어머니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0-14세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 학생 중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아동 · 청소년과 그들의 어머니를 포함하여 총 92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우선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은 반면, 어머니의 기능적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감소하였다. 또한 어머니 중재는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과 관계가 없었지만 통제변수 중 하나인 또래집단 간의 미디어 관련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정도가 스마트폰 중독 수준과 부적 관계를 보여, 아동 ·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어머니 보다는 또래의 역할이 중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어머니와 자녀 간 스마트폰 중독 대물림 현상을 사회학습이론으로 설명하고 어머니와 자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이론적 및 방법론적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아동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dictors affecting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predictors included personal factors such as digital literac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mothers’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parental mediation, and digital literacy. We surveyed 92 10-14-year-old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show smartphone addiction when their mothers’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was high. Second, the higher the functional digital literacy of the mother, the lower the level of the child’s smartphone addiction. Third, parental mediation was not related to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however media-related critical communication among peer group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indicating that peer group could be more influential to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ha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based on social learning theory and a sample of data including mothers and children.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provided for child and youth education and parental education to prevent child and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 KCI등재

        스마트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과 적용

        강정묵(姜正?),송효진(宋孝眞),김현성(金鉉城)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4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7 No.3

        스마트사회와 정부 3.0의 등장은 인터넷, SNS, 트위터 등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다양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렇게 소통과 참여가 더욱 활성화되면서 정보를 올바르게 생산하고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사회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담고 있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고 이들을 토대로 진단도구를 개발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도구를 통해 현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제시된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도구는 기술(22), 활용(11), 마인드(9)영역의 총 42개 지표로 구성되었다. 현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교제나 소통과 관련한 마인드나 기술적 이용능력에서 다소 낮은 리터러시를 보이고 있었다. 진단도구의 개발과 이를 통해 이용자의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한 본 연구는 향후 정보격차를 위한 정보화교육이나 정책지원 사업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스마트사회에 적합한 진단도구를 제시하고 이의 개발과정에서 객관적 검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Emergence of the smart society and the government 3.0 is closely related to the rapid change of the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s such as Internet, SNS and Twitt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the significance of digital literacy has increased.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nd out the core elements which should be contained in the digital literacy in the smart society and to develop a self-diagnostic tool. Through this tool, this study measured the current level of the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The diagnostic tool of digital literacy is composed of Technology(22), Application(11) and Mind(9) areas with a total of 42 indices.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level of the current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is generally high, but they show comparatively low literacy level in Mind area, specifically the indica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developed and revised diagnostic tool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or policy study for mitigating digital divide in the futur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diagnostic tool should be suitable for the smart society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indicators should continue to be verified scientif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