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디지털 전환을 위한 중앙-지방 스마트도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연구

        조영임,김경훈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2 지역과 정치 Vol.5 No.1

        Analyzing the recent difference between smart city-certified and uncertified cities, it can be seen that in certified cities, governance is well established and services are provid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ulti-level smart city governance (MSCG) framework for technological cooperation with smart city promotion cities, central governments, and smart city policies as a cooperative model for promoting smart cities and services across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civil society, and academia.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 key element of the MSCG framework to revitalize smart city services is that first, it is not a horizontal organization divided by the existing legal system, but a network type that can link smart city promotion cities, central governments, and policies and technologies. Second, MSCG is characterized by multi-layered governance. Due to the nature of smart cities, the importance of multi-layered governance is emphasized. Third, MSCG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come a hub through the synthesis of smart city policies and technologies, not through the smart city promotion policy network. In this paper, it was analyzed by presenting an example of the concept of the MSCG frame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mart city service certified city. 최근 스마트도시 인증도시와 비인증도시의 차이를 분석해보면, 인증도시에서는 거버넌스가 잘 갖추어져서 서비스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지방정부-기업-시민사회-학계를 망라하여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협력적 모델로 스마트도시 추진도시와 중앙정부 그리고 스마트도시 정책과 기술적인 협력을 위한 다층적 스마트도시 거버넌스(Multi-level-Smart City Governance, MSCG)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디지털 전환시대,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MSCG 프레임워크의 핵심적인 요소는 첫째, 기존 법 제도에서 구분한 수평적인 조직이 아닌 스마트도시 추진하는 지자체와 중앙정부, 그리고 정책과 기술을 연계해줄 수 있는 네트워크형이라는 점이다. 둘째. MSCG는 다층적인 거버넌스라는 특징이 있다. 스마트도시의 특성상 다층적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MSCG는 스마트도시추진 정책네트워크를 통해 분절적인 조직이 아니라 스마트도시 정책과 기술의 종합화를 통한 허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도시 서비스 인증도시 분석을 통해 MSCG 프레임워크 개념의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분석하였다.

      • 경기도 스마트도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옥진아,조무상 경기연구원 2016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 No.-

        Smart cities are emerging as an important agenda of ICT in recent years.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has become an effective planning tool to improve the lives of residents and promote economic development. For about 10 years in Korea, we have built a Smart City named "U-City".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e transition to a new urban regeneration paradigm, interest in Smart cities has begun to grow globally with the aim of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vitalizing the economy. In recent years, it is attempting to switch from existing U-City policy to Smart City policy. The role and necessity of the metropolitan road in Smart City policy is expected to expand gradually. Therefore, at this time, Gyeonggi Province needs to establish a basic strategy for building a Smart City on a wide area. The Gyeonggi-do Smart City project, which is being pursued so far, is mainly a public-oriented service, lacking citizen-experience-oriented services and localized services. In addition, the project is centered on the development of new cities, lacking Smart City strategies and services for existing cities. The basic strategy for building a Smart City in Gyeonggi-do is as follows. First, we will pursue building a Smart City that is tailored to the region. Gyeonggi-do has diverse regional characteristics by region. We need a model of a Smart City that is specific to the region. Second, there should be a plan to introduce livinglabs in Gyeonggi-do. In order for Gyeonggi-do to become a sustainable Smart City, it is necessary to select a living lab model in the Gyeonggi-do and build an innovative model in which the local residents take a leading role. Third, to promote the Smart City project, we will promote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While U-City is centered on building infrastructures, a new approach is important because Smart cities are the concept of providing services to citizens. Fourth, we will establish a new Smart City strategy to create synergies between differentiated new city models and new cities and existing cities. Especially, Gyeonggi-do is a City where new city and old City coexist, and Smart City strategy that can develop new city and existing City is needed. Fifth, control tower and propulsion system should be provided for City promotion. The role of the control tower is important in terms of not only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operation, but also the solution of urban problems and the provision of service for citizens in Smart City.

      • KCI등재

        스마트도시에 대한 토지공법적 고찰

        임현(Im, Hy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2 No.-

        Smart City is a comprehensive platform that applies the convergenc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s attracting attention from countries around the world as a solution to urban problems and a sustainable city model. In our case, Act on the Promotion of Smart City Development and Industry regulates the content of smart cities, but there are still many tasks to secure the successful introduction and sustainability of smart cities. This thesis presente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smart city A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land law.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ules for the procedure for establishing smart city plans. Specifically, the authority to establish a smart city plan needs to be granted to autonomous districts of regional local governments, and a public hearing procedure is required when plan is established. Regarding the regulatory sandbox, it was mentio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 innovation project and the smart demonstration project needs to be clearly structured, and unnecessary redundant regulations need to be legislated. Finally, it was pointed out that for the realization of a smart ci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uildings or facilities in the legal system, and intelligent buildings in the Building Act are representative examples, and legal maintenance and supplementation are necessary. It is hoped that the smart city will realize its original purpose of solving urban problem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citizens, and pursuing a sustainable city through continuous legislative improvement on smart cities. 스마트도시는 4차산업혁명의 융복합 기술을 적용하는 종합 플랫폼으로 도시문제의 해결과 지속가능한 도시 모델로 세계 각국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경우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서 스마트도시에 관한 내용을 규율하고 있는데, 스마트도시의 성공적 실현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아직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 이 논문은 토지공법적 관점에서 현행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스마트도시의 추진을 위한 계획의 수립절차에 대한 규정이 충실히 마련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도시계획의 수립권한이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자치구에도 부여되고 계획수립시 공청회 절차가 의무화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규제샌드박스와 관련하여서는 스마트혁신사업과 스마트실증사업의 관계가 명확하게 체계화될 필요가 있으며, 불필요한 중복 규제가 입법적으로 정비될 필요성이 있음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도시의 구현을 위해 건축물이나 시설 등에 대한 고려가 법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며, 「건축법」상 지능형 건축물은 그 대표적인 예에 해당하고 이에 대한 법적 정비와 보완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스마트도시에 관한 지속적인 입법적 개선을 통해 스마트도시가 도시문제 해결, 시민의 삶의 질 제고 및 지속가능한 도시의 추구라는 원래의 목적을 실현하길 기대한다.

      • KCI등재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 경기도 3기 신도시 정책 및 뉴스트렌드를 중심으로 -

        강현철,고성훈,박진호,이세훈,최용준,김종성 한국지적정보학회 2022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4 No.1

        Discussions on the "Green New Deal-specific smart city" are being actively held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uncils. In order to respond to this policy movement,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irections and policy proposal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the third new city by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keyword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eywords for the "Green New Deal-specific smart city," it is characterized by the strong policy aspects promoted b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rather than giving the meaning of the smart city and the green new deal itself in Korea. In addition, in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th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 of whether the operational definition derived through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Green New Deal and the smart city itself means the happiness of residents or the city they want to live in. Green New Deal-specific smart cities deriv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reviews, keyword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defined as social-oriented sustainable cities that respond to various urban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COVID-19,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conceptual link between the two terms 'Green New Deal' and 'Smart City' is not clear and the basic concept of the third phase new town in Gyeonggi-do was selected. However,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give implications when establishing a specific basic plan for the "Green New Deal Specialized Smart City" in the future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ubsequent studies. 최근 그린뉴딜을 실제로 구현하는 핵심콘텐츠이자 새로운 도시관리방안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도시에서 보다 고도화된 정의가 가능한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에 대한 대한 논의가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 차원에서 활발하게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의 개념화 및사례적용을 통한 방향성 제시를 위해 문헌검토, 키워드 분석과 포커스 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여, 3기 신도시의 원래 취지인 주택시장 안정에도 부합하고 지역활성화를 위한 기본방향 설정 및 정책제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에 대한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스마트도시와 그린뉴딜 자체의 의미를 부여하기보다는 중앙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는 정책 측면이 강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경기도 내 3기신도시의 경우, 신도시 건설로 인해 발생 되는 부동산 문제에 대한 연관어가 도출되어 결국 3기 신도시가 본격적으로추진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부동산 가격 폭등 및 투기 등의 문제점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방향을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의 개념화를 통해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포커스 그룹인터뷰(FGI) 에서는 그린뉴딜과 스마트도시의 구성요소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도출된 조작적 정의가 개별 3기 신도시에 적용되면그 자체가 주민의 행복 또는 살고 싶은 도시로서의 의미인지에 대한 질문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기존 문헌검토, 키워드 분석 그리고 포커스 그룹인터뷰(FGI)를 토대로 도출한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는 기후변화와 코로나19, 4 차 산업혁명 등 다양한 도시문제에 대응하고 혁신기술과 연계한 소셜지향형 지속가능한 도시’로 정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경기도 3기 신도시에 대한 개별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린뉴딜’과 ‘스마트도시’ 두 용어의 개념적 연계가 명확하지 않고 경기도 내 3기 신도시의 기본구상이 선정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한계가 있다. 다만 향후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의 구체적인 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시사점을 줄 수 있고,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스마트 도시론의 급진적 재구성 : 르페브르의 ‘도시혁명’론을 바탕으로

        박배균(Park, Bae-Gyo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2

        본 논문은 주류 스마트도시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르페브르의 ‘도시혁명’과 ‘도시사회’ 개념을 바탕으로 스마트도시론을 급진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한국의 스마트도시론을 그에 내재된 국가중심적 발전주의, 산업주의, 기술결정론에 초점을 두어 비판한다. 이어서, 르페브르의 도시혁명과 도시사회 개념을 소개하고, 그를 바탕으로 스마트도시 현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스마트 도시에 대한 ‘방법론적 국가주의’와 ‘방법론적 도시주의’적 인식론을 비판하면서, 만남과 마주침을 통한 도시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스마트 도시를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도시적 만남과 마주침의 과정이 스마트 기술과 연결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에 대해 논하고, 보다 해방적인 도시사회의 형성을 위해서는 자유로운 만남과 마주침을 가로막는 장애물에 대해 저항하는 급진적인 마주침의 정치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a critical re-reading of smart city discourses on the basis of the Lefebvrian concepts of urban revolution and urban society. First, it criticizes the Korean smart city discourses for their state-centered developmentalism, industrialism, and techno-determinism. Second, it provides a critical analysis on the smart city phenomena on the basis of the Lefebvrian concepts of urban revolution and urban society. In particular, it criticizes the ‘methodological nationalism’ and ‘methodological cityism’ inherent in the Korean smart city discourses, and suggests to see the smart city pheonomena through the urban lens, not through the ‘city’ perspective. Also, it discusses the ways in which the urban processes of assembling and encountering can be positive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smart technologies. Finally, it emphasizes that the construction of emancipatory urban society requires radical politics of encounter that resists against all kinds of forces separating between people, things and spaces in urban society.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스마트도시 조성 · 확산을 위한 법적과제

        김나현(Kim, Na-Hyun)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叢 Vol.48 No.-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변화로 이에 따른 산업 ·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핵심 분야 중 하나가 바로 스마트도시(Smart City)이다. 스마트도시 정부지원 사업을 추진하는 지방자치단체는 증가 추세에 있으며, 스마트도시과 · 팀 등 전담조직을 확보 중인 지방자치단체 또한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스마트서비스 및 사업유형도 다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앙정부차원의 국가시범도시 스마트도시사업은 여러 번의 관련 법개정을 통해 제도 및 법적 문제를 상당부분 해결하고 조성해 가고 있는 것에 반해 각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도시 및 관련사업은 지자체의 여러 사정이 동일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모든 지자체가 참여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스마트도시사업을 참여 · 진행하고 있는 지자체도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공모사업 진행시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타법규정과의 충돌, 권한의 문제, 정보공유, 지자체에서 스마트시티 기술을 조기 도입할 경우 실패의 가능성의 책임부담 등 여러 문제들이 산재해 있어 스마트도시를 효율적으로 조성 · 확산함에 있어 어려운 상황이다. 스마트도시 관련 사업은 기술적인 지원이 핵심적이고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법제도적인 토대의 마련 또한 중요하다.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스마트도시사업을 진행하면서 실제 또는 예상되는 어려움을 겪는 부분을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 필요한 법령의 입법과 정비를 통하여 구체화되고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시범도시의 성과 도출도 중요하지만, 더불어 기존 도시의 스마트화를 가속화시키는 세밀한 정책마련도 필요하며, 스마트도시 사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해결해야 하는 법적과제들을 검토하여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도출하도록한다.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volves an irreversible changes in times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s for responding to the industrial and social changes resulting from the foregoing is the Smart City. The number of local governments promoting government-supported smart city projects has been increasing, the number of local governments securing dedicated organizations such as smart city departments and teams has been also rapidly increasing recently, and the types of smart services and projects have been diversified. Whereas the smart city projects for national model cities at the level of the central government have been forming the cities after quite a few of related institutional and legal problems were solved through several amendments to related laws, not all local governments are participating in the smart city projects and related projects for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because various circumstances are not the same among the local governments. Even those local governments that are participating in and implementing smart city projects have difficulties in efficiently forming and expanding smart cities because many problems are lying scattered in promoting the projects such as collision with other laws and regulation in concrete situations in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offering projects, the issue of authorities, information sharing, and the bearing of responsibility for the possibility of failure in the case of early introduction of smart city technologies by local governments. In the case of smart city-related projects, although technical support is essential and important, the preparation of a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is also important as much as the foregoing. The difficulties actually experienced or expected by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while they implement smart city projects should be reviewed in terms of laws and institutions, and based on the results, necessary laws and institutions should be concretized and supported through legislation and reorganization. Although the derivation of the outcomes of the pilot cities is important, the preparation of detailed policies to accelerate the smartization of the existing cities is also necessary, and the legal study that must be resolved for the implementation of smart city projects should be reviewed to derive practical and efficient measures.

      • KCI등재

        스마트도시 구축에 필요한 공공공간 디자인 요소 분석 연구

        박혜성 ( Hyesung Park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는 도시화로 인하여 자원 및 인프라 부족, 교통혼잡, 에너지 부족 등 각종 도시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스마트도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도시는 정보통신 및 기술의 발전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시대적 화두와 맞물려 도시혁신의 새로운 모델로 증가하는 도시개발 수요를 바탕으로 각국에서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ICT 기술을 활용,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교통, 에너지, 환경 등 파급효과가 큰 미래 성장동력으로 스마트도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도시 개발 시 공공공간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여 종합도시 계획 개념에 공공공간의 디자인 요소 적용이 초기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도시의 개념을 제시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디자인 및 공공공간, 공공디자인의 특성과 개념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문헌조사를 통해 공공공간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한 28개의 디자인 요소를 범주화하기 위하여 다차원 척도법(Multi dimensional Scaling , MDS)을 선정, 28개의 디자인요소의 유사성에 대하여 전문가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후 수집된 데이터를 SPSS 2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에 코딩하여 다차원척도분석(MDS)을 실시하였다. (결과) MDS 분석 결과 각 좌표에 따라 분류된 그래프를 살펴보면, 5개의 그룹으로 유사성이 군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개로 범주화된 스마트도시의 공공공간 디자인요소는 안락성, 심미성, 역사성, 정책성, 경제성으로 정의하였다. 디자인은 사회전반에서 점점 중요시 되고 있으며 스마트도시 구축시 도시설계 단계에서부터 디자인 요소가 접근되어야한다. 또한 스마트 기반시설(스마트 에너지, 도로, 자원 재순환 등) 구축 시 위에서 분석된 디자인 요인을 바탕으로 스마트도시 구축 시 공공공간의 설계에 반영, 도시기능을 효율화하고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스마트도시는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도시공간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접하게 되는 공간으로서 디자인 적용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신정부는 스마트코리아를 추진하기 위하여 스마트도시 구축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에너지, 교통, ICT등의 인프라 구축 또는 법·제도적 측면에서 디자인요소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기획, 설계, 운영, 관리의 통합적 도시개발 과정에서 디자인을 필요조건으로 인식하고.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스마트도시 구축 단계에서 공공공간 영역이 공간·기술·주체별 맞춤형 전략 방안을 디자인적 접근을 통하여 모색 하고자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a result of urbanization, the world is becoming increasingly troubled by urban issues, such as lack of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congestion, and energy shortages. Accordingly, smart cities are increasingly being seen as a way to solve urban problems. Smart cities are competitively driven by the demand for urban development, which is a new model for urban innovation combined with the tren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government is also promoting smart city policies as future growth engines that will utilize ICT technology, solve city problems, and have a ripple effect on transportation, energy, and the environment.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dentifying design elements necessary for public spaces in smart city development so that the application of said design elements in public spaces can be initially applied to the general urban planning concept. (Method) In this study, concepts from smart cities are presented, and prior studies are us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s of urban design, public spaces and public design in a theoretical manner.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design elements required for public spaces were identified. To categorize 28 design elements from a prior study,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method was selected, and its similarity to 28 design elements was explored. Data collected after the survey was coded into a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o carry out a MDS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MDS analysis results, the graph group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coordinates was examined, revealing that the similarity could be organized into five groups. The five public space design elements of smart cities are comfort, aesthetics, historicity, restativeness, and economy. Desig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cross society, and design elements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urban design phase in smart city deployments. In addition, smart infrastructure (smart energy, roads, resource recirculation, etc.) should be implemented to efficiently reflect on the design of the public spaces and to solve urban problems when constructing smart cities based on the design factors analyzed above. (Conclusions) Smart cities are based on technology, but design applications are essential as the spaces where citizens using urban spaces come into contact. The new government is making a concerted effort to build smart cities for a smart Korea. Accordingly, design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ncluding energy, transport and ICT, as well as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Design is recognized as a necessary condition in the integrated urban development process of planning, design, operation, and management. Based on this research, we intend to seek a customized strategic plan for each spatiality, technology, and principals across all phases of smart city development.

      •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비교 분석

        이사무엘(Samuel Lee),노경란(Kyungran No),유금명(Jinming Liu),이미자(Miza Lee),이상훈(Sanghoon Lee),전영희(Younghee Jeon),김유선(Yoosun Kim) 한국색채학회 202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전세계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에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를 조사분석하여 각각의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팔레트를 구축하고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이미지를 비교분석하여 각 분야에서 환경구성과 마케팅 전략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색채이미지 데이터 구성을 위해 20∼30대 디자인전공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단어와 색채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도시농업에 연상되는 단어는 스마트팜 23%, 텃밭 19%, 환경 19%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는 자동화 38%, 식물공장 15%, 친환경 1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각 연상되는 단어를 포탈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한 이미지 색채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도시농업에서 연상되는 단어(스마트팜, 환경, 텃밭)에서 Green Yellow, Green, Yellow Red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고, 톤(tone)은 white톤이 가장 많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자동화, 친환경, 식물공장)에서 Green, Blue, White 순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톤(tone)은 deep톤과 white톤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환경, 이미지, 연상색채를 분석한 결과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 이미지는 같은 계열의 색상은 맞지만, 도시농업은 좀 더 연하고, 스마트팜은 도시농업보다 조금 짙은 색이 연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하려고 할때는 Green Yellow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였을 때 이미지를 두각시킬 수 있으며 톤(tone)은 vivid톤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스마트팜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 할 때는 Green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설득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톤(tone)은 deep톤을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스마트도시 생애주기 전반의 도시 데이터 관리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도시 조례의 발전 방향 연구

        박수정(Park, Su Jeong),안종욱(An, Jong Wook),이미숙(Yi, Mi Sook)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4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도시에서는 데이터가 핵심 자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도시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정부 및 유관기관은 범국가적으로 정책과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도시라는 공간 내에서의 융·복합 서비스 제공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데이터 등 구성요소 간의 유기적 연계와 통합적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도시 생애주기 전반의 도시 데이터 관리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 관련 이슈를 도출하고, 이슈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지자체 스마트도시 조례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스마트도시와 데이터 관련 법제도·정책 현황을 조사하였고, 스마트도시 데이터의 법제도 및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별 이슈를 도출하고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이슈를 광역자치단체의 스마트도시 조례 현황과 비교·연계하여 향후 스마트도시 조례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스마트도시 관련 지자체 조례의 발전 방향은 데이터 기반의 지속가능한 정책구조 형성과 공공·민간 데이터의 관리·운영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In the smart cit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ata is emerging as a key resource. In order to revitalize such a smart city, domestic and foreign govern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are preparing policies and support measures nationwide.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nd revitalize convergence services in the space of a smart city, organic linkage and integrated management measures between components such as data are needed. This study aims to derive data-related issues to revitalize city data management throughout the smart city life cycle and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local governments" smart city ordinances as a way to solve the issues. The current status of smart city and data-related legal systems and policies was investigated, and issues for each legal system and data management process of smart city data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By comparing and linking these issues with the current status of smart city ordinances in metropolitan governments, the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mart city ordinances was present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 ordinances related to smart citie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data-driven sustainable policy structure and revitalization of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public and private data.

      • 스마트시티는 미래의 도시로 충분한가?

        허정화(Huh Jeongwha) 평화나눔연구소 2022 인간과 평화 Vol.3 No.1

        도시가 인류의 주된 삶의 공간이 되어버린 지금 새로운 미래도시에 대한 열망은 지금 스마트시티로 집중되고 있다. 국가마다 도시마다 각자의 상황에 맞는 스마트시티를 그려내고 있지만 이 새로운 미래도시를 통해 도시가 가진 다양한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같은 꿈을 꾸고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시티는 현대 도시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써 만이 아니라 많은 국가들의 도시개발의 목표가 되고 있다. ICT와 첨단기술의 협업을 통해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초기 스마트시티의 성공은 여러 사례로 증명되고 있으며, 노후한 도시의 재생이나 신도시개발 개발 분야 모두에서 스마트시티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지대하다. 그러나 스마트시티의 개발 과정에서 투자 집중에 따른 또 다른 양극화와 사생활과 개인정보보호의 문제, 공공과 기술기업과 개발사업자, 금융사들 간의 이해관계 조정 문제, 시민 소외 문제 등이 나타나고 있다. 개발 논리와 금융 논리에서 벗어나 도시가 가진 본연의 가치인 자유시민의 터전이라는 점을 놓치지 않기 위해 스마트시티가 추구해야 하는 새로운 가치는 무엇인지 미래의 도시로서 스마트시티가 가야 할 방향에 대한 고민과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Now that cities have become the main living space of mankind, the desire for a new future city is now being focused on ‘smart city’. Each country and each city is drawing a smart city that suits their situation, but they have the same dream that various problems of the city will be solved through this new future city. Furthermore, smart cities are not only a technological means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cities, but are also becoming the goal of urban development in many countries. The success of the early smart city projects, which aims to solve urban problem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ICT and advanced technology, has been proven by several examples. So, there are high expectations for the potentials of smart cit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s well as new city development. However, in the middle of smart city development process, some critical issues are emerging, such as another digital divide due to investment concentration,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flicts of interests amongst public institute, technology companies, developers, and financial companies, and alienation of citizens during the projects. In order to escape from the logics of development and finance, and not to miss the fact that the city is the home of free citizens, the intrinsic value of the city, what new values should be pursued by the smart city? It is time for discussion of smart city as future city for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