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수예술 무관심 현상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근거이론 분석방법을 통한 접근법 -

        박민권,현은정 한국예술경영학회 2019 예술경영연구 Vol.0 No.52

        Despite a copious volume of 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 cultural consumption, scholars have paid scant attention to the increasingly apparent observation that a vast majority of the population exhibits indifference toward fine arts regardless of one’s socio-economic status. Much of the prior literature on cultural consumption has treated the public’s indifference to fine arts not as a distinct analytical category that deserves an explanation of its own, but simply as the opposite of “likes” or the act of consumption, let alone being disentangled from the concept of “dislikes” in taste-forma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In this paper, we suggest that the seemingly increasing trend toward indifference to fine arts, especially among those who are part of the well-educated and economically well-off, merits close scholarly attention on its own term. As an initial step toward this endeavor, we explore the factors behind indifference toward fine arts among Korean middle-class, using the ground theory method. Our interview findings reveal that much of indifference toward fine arts is attributable to the lack of tastes in fine arts and artistic competence. Our results suggest that research drawing on Bourdieu’s theory and Peterson’s omnivore hypothesis needs to be further revised through an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institutional and societal contexts where art education takes place in Korea.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policy-making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sphere. 문화 향유/소비 패턴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순수예술에 대한 무관심함 자체를독립적으로 연구해야 하는 현상으로 여기지 않는다. 다시 말해, 그 동안 문화예술에 대한 연구자들은 “무관심”은 독자적인 분석 카테고리로 혹은 설명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 하지 않고, 단순히 선호취향(likes)이나 향유(engagement)의 반대급부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향유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우리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개선될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은 순수예술에 대한무관심을 그 자체로 설명되어야 하는 일종의 사회적 현상(social phenomenon)으로 규정한다. 특히, 문화예술소비에 대한 전통적 이론에서는 설명하고 있지 못한, 국내 중산층(middle-class)에서 나타나고 있는 순수예술 무관심 현상에 주목한다. 국내 중산층에서 보여 지는 순수예술 무관심의 원인과 사회적 맥락을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시도를 위해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분석적 접근법을 활용했다. 중산층의 배경을 가지고 있는 15명의 순수예술 무관심층과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그 내용을 코딩하여 분석한 결과, 국내 고학력(대학 졸업 이상) 중산층들의 순수예술에 대한 무관심은 기본적으로 예술적 취향과 향유능력의 부재에 기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무관심의 양상을 무조건적 거부 혹은 조건적 수용으로 구분하였는데, 순수예술의 효용성과 가치에 대한 개인의 선행 인식과 개인의 환경 여건에 따라, 이들이 향후 순수예술 소비/향유에 대한 의사가 달라짐을 알 수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순수예술 무관심이 발생하게 된 배경에는 국내 대중문화 시장의 발달과 순수예술의 상징적 자본성(symbolic capital)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등이 자리 잡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순수예술 무관심 현상에 대한 국내 최초의 탐색적 연구로서, 향후 이에 대한 보다 활발한 연구를 촉발하리라 기대된다.

      • 순수예술 팬덤 확장 방안 연구 - 대중예술 팬덤 현상 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이주영 문화영토연구원 2022 문화영토연구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ases of popular art fandom and derive implications to explore ways to expand the fandom of pure art. BTS's ‘A.R.M.Y.’ and Lim Young-woong's ‘Hero Generation’, which are active in the field of popular art, were studied. First, four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through a review of the cultural topography of art and fandom. It is cultural sociality, interchangeability, stariness, and participation. Fandom has been found to be basically characterized by discrimination and distinction, productivity and participation, and capital accumulation.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diagnosing the trend of popular art fandom, the biggest feature of BTS is that fandom forms and organizes BTS' identity.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advantages of hyperconnectivity using online strengths, high loyalty due to the expression of voluntary will, and organized communication. Lim Young-woong's case includes the voluntary cohesion of the ‘Hero Generation’ with soft charisma, organizational drive, and the aspect of respecting and practicing the philosophy of stars.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case of popular art fandom, I would like to present three ways to expand the fandom of pure art as follows. It includes establishing a human platform, expressing popularity based on pure art characteristics, and strengthening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star artists. It is hoped that pure art, which is at the apex of art, will be implemented in the field through the expansion plan proposed in the paper, and that the cultural territory will be expand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organic win-win relations with fandom. 이 논문의 목적은 대중예술 팬덤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해 순수예술의 팬덤 확장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대중예술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방탄소년단(BTS)의 ‘아미(A.R.M.Y.)’와 임영웅의 ‘영웅시대’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예술과 팬덤의 문화지형성 고찰을 통해 4가지 특성을 추출했다. 문화사회성, 상호교환성, 스타성, 참여성 등이다. 팬덤은 기본적으로 차별(discrimination)과 구별(distinction), 생산성(productivity)과 참여(participation), 자본 축적(capital accumulation)이란 특성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기초해 대중예술 팬덤 양상을 진단한 결과, 방탄소년단(BTS)의 경우, ‘아미’의 가장 큰 특징은 팬덤이 BTS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조직화한다는 점이다. 또한 온라인의 강점을 살린 초연결성, 자발적 의지의 발현으로 인한 높은 충성도, 조직화된 커뮤니케이션의 장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임영웅의 경우는 ‘애미’로 지칭되는 부드러운 카리스마를 지닌 ‘영웅시대’들의 자발적 응집력, 조직적인 추진력, 스타의 철학을 존중하고 함께하는 실천하는 면모 등이다. 대중예술 팬덤 사례 시사점에 기반해 순수예술의 팬덤 확장 방안 세 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휴먼 플랫폼(human platform) 구축, 순수예술 특성에 기반한 대중성 발현, 스타 예술가 발굴 및 육성 강화 등이다. 예술의 미학적 정점에 있는 순수예술이 제시한 확장 방안을 통해 현장에서 구현되고, 팬덤과의 유기적 상생관계 설정을 통해 문화영토 지경이 넓혀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식민지시기 순수문학의 지형과 김환태의 순수시론

        김영범 ( kim¸ Young-beom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근대문학 초기 조선에는 인생을 위한 예술과 예술을 위한 예술이 도입되었고, 후자는 1930년대 말까지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다. 그럼에도 순수문학은 예술지상주의와 동일시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인식론적 자동성이 형성된 배경과 실제 그리고 김환태 비평의 성과를 살피고자 기획되었다. 그가 다른 문인들과 달리 스스로를 예술지상주의자라고 공언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는 먼저 1930년대까지 순수문학과 예술지상주의에 대한 문인들의 논의들을 검토했다. 그 결과 1920년대에 예술지상주의는 프로문인들이 타자들을 매도하기 위한 가칭이었으며, 1930년대 말까지 일반문인들은 자신들의 문학을 ‘그냥文學’이라고 자칭해왔다는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일반문인들이 문학과 사상성의 연계를 인정했음도 드러났다. 반면 김환태는 문학에 목적의식이나 사상을 들여오는 것을 거부하고 문학의 순수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다른 문인들과 구별된다. 그의 문학론은 ‘어린애-되기’를 창작의 출발점으로 삼고 ‘의식과 형식과의 완전한 일치’라는 요건을 제시함으로써 내용과 형식에 대한 전대의 논의를 진척시켰다. 나아가 예술의 창작에 관여하는 상상력의 지평을 ‘생명상력(生命像力)’까지 넓혔다. 예술가가 가진 정신의 위대함, 즉 ‘정신생명’이 예술에 담길 수 있다는 그의 이론은 예술이 결국 타인의 ‘의식’을 감동하게 하는 숭고한 인간정신의 산물이어야 함을 역설한다. 이상이 그의 순수시론의 전모다. 예술의 공리성은 이러한 감동 이후에나 가능하며 그럼으로써 문학과 사상성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In the early days of modern literature, art for life's sake and art for art's sake were introduced in Korea, and the latter was perceived negatively until the end of the 1930s. Nevertheless, pure literature tends to be identified with art supremacy.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actuality of this epistemological automatism and the reality of Kim Hwan-tae's critique. This is because he professed that he was an art supremacist, unlike other writers. The review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revealed that in the 1920s, proletarian writers used the tentative name of art supremacy to slander others. And by the end of the 1930s, it was disclosed that ordinary writers had called their literature ‘just literature’. It was also divulged that ordinary writers recognized the connection between literature and ideology. On the other hand, Kim Hwan-Tae refused to bring a sense of purpose or thought into literature and emphasized the purity of literature. His literary theory took 'becoming a child' as the starting point of artistic creation and advanced the previous discussion on content and form by suggesting 'complete correspondence between consciousness and form'. Furthermore, he expanded the horizon of imagination involved in the creation of art to 'power to imagine life'. His theory that the greatness of the spirit of an artist, that is, 'spirit life' can be contained in art, emphasizes that art must ultimately be the product of a noble human spirit that moves the 'consciousness' of others. This is the whole of his pure poetry theory. His idea was that the common good of art is only possible after such an impression.

      • KCI등재

        근대적 예술 개념으로서의 서예에 관한 연구

        金熙政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0

        본 논문을 ‘근대적 예술 개념으로서의 서예’를 정의해 보고자하는 글이다. 근대성의 지표로서의 ‘자율성’에 근거하여 ‘순수예술로서의 서예성’과 배치되는 요소들을 제거해 봄으로써 현재 우리가 처해있는 시대의 서예는 어떠해야 하는지를 반추해보자는 의미이다. 근대예술 개념으로서의 서예를 ‘글자를 쓰는 예술’로 정의하고, 이를 성격과 형식, 내용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성격적 측면에서 서예는 마땅히 공간예술이어야 하지만, 시간의 추이와 함께 창작되고 감상되는 시간예술적 속성도 또한 지닌다. 따라서 공간예술 가운데 2차원적 공간예술인 회화와 가장 유사하며, 시간예술 가운데 리듬성(운동성)과 추이성을 내재한 음악과 유사하여 시공간예술로서의 무용과 유사함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서예는 ‘회화와 같이 눈에 보이는 글자를 음악과 같이 시간의 추이에 따라 (평면)공간에 써가는 사이에 살아있는 작가의 생명감이 표현되는’ 무용과 같은 ‘시공간 예술’이라 하였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서예를 전각·서각·문자디자인과의 비교를 통해 동이점을 도출함으로써 ‘순수예술’로서의 서예 개념을 도출하였다. 서예의 내용적 측면은 문학과의 비교를 통해서 동이점을 논설하였다. 근대예술 개념으로서의 서예, 즉 서예의 자율성 문제는 순수예술이냐 응용예술(실용예술)이냐의 문제와 어울려 서예의 소재인 문자의 可讀性과 文意 문제를 들었다. 문자의 가독성과 문의는 서예를 존재케 하는 요소임과 동시에 서예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일종의 파라독스다. 즉 문자의 가독성과 문의의 수용 여부는 서예를 응용예술 혹은 문학예술의 부용으로서의 서예인가, 순수조형예술인가의 가름이 되기 때문이다. 이와 연관하여 서예의 창작과 감상 부분에서는 2차원적 공간예술인 회화와 시간적 예술인 음악과 대비시킴으로서 문의로부터 자유로운 ‘순수조형예술로서의 서예’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aligraphy as a modern concept of art. For this purpose, it was necessary to exclude the elements betraying ‘the caligraphy as a pure art’ in reference to ‘autonomy’ as an indicator of modernity in order to reflect on the current topology of the caligraphy in our age. Checking the current conditions facing the caligraphy from the pre-modern, modern and post-modern perspectives will clarify the current topology of the caligraphy and further exploring ‘the caligraphy as a post-modern art concept. To this end, this study defines the caligraphy ‘as a pure formative art’ and thereby discusses it in terms of nature and form. In terms of nature, the caligraphy should be subsumed into a spacial art, but it has a nature of a temporal art created and appreciated over time. Hence, among the spacial arts, the painting is most similar to the caligraphy, while among the temporal arts, the caligraphy is most similar to such rhythmic (of high mobility) or performing arts as music and dance. Merely, the painting does not reveal the flow of time on the canvas, while music and dance leave no residual in terms of audibility and visuality. All in all, the caligraphy is sort of ‘temporal-spacial art’ like dance in that the visible letters express the artist’s sense of life on the plane over time like music. In terms of form, this study compares the caligraphy with engraving, wood print and character design to define the caligraphy as a pure art concept. The caligraphy as a modern art concept, namely, the autonomy of the caligraphy is associated with legibility and meaning in addition to the question whether it is an applied or a pure art. The legibility and meaning of the characters are not only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caligraphy but also are the factors limiting its autonomy, which must be a paradox. All in all, the legibility and meaning of the characters must be the key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caligraphy as a practical art or literary art or as a pure figurative art. In this context, this study discusses the caligraphy as a pure art by comparing it with the spatial art ‘painting’ and the temporal art ‘music.’ It might be impossible to define the caligraphy or a genre of art as an autonomous art of self-perfection and categorical identity. Moreover, any attempt to define the caligraphy would fail to interpret the caligraphy appropriately. Merely, we are obliged to position the caligraphy in the process of localizing ‘their modernity’ and thereby, discuss how to respond to their scheme.

      • KCI등재

        한국 클래식음악계의 새로운 동향

        성용원(Sung, Yong-won),장민호(Jang, Min-h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지금까지 순수 음악을 지탱해온 대학에서의 순수예술학과 정원감축과 폐과 수순의 여파로 한국 클래식 음악계에 불어 닥친 위기와 극복에 대한 시도를 한국 클래식 음악계 아트마켓의 부재에서 오는 비 상업적인 원인과 연관시켜 접근하려고 하였다. 클래식음악은 원류가 유럽이기 때문에 그것을 수입해온 우리나라에선 처음부터 대중적이지 않았다. 우리와 다른 문화에서 생긴 파생물로 알리고 홍보하며 소개해야 하는 대상이었다. 그러다보니 몇몇의 적은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이들만이 향유하고 점유하게 되었으며 그것이 바로 대학이라는 기관으로 집결되었다. 오랜 세월동안 순수예술 보호자였던 대학이 그 순수성을 포기하자 대학 밖의 음악의 유통, 보급, 시장성, 대중취향에 맞춘 수익창출 등의 상업적인 환경에 전혀 준비와 대비가 되지 않은 클래식음악가들은 예술 이전에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큰 어려움에 처해있다. 클래식음악가들은 음악비즈니스와 경영에 대해 교육을 받아 본 적도 없고 이런 위기가 도래 할 것이라는 것을 짐작한 적도 없기 때문에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혼란스러워한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사회 모든 영역에서 일어나는 사회 문제이자 융합과 다차원적인 사고와 대처를 원하는 시대의 요구이다. 이러한 요구와 변화에 발맞추지 못하면 앞으로 클래식음악은 더욱 더 고립화가 심해질 것이고 사장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몇몇의 음악인들이 다양한 방식과 도전으로 새로운 음악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클래식음악에 대한 위기원인을 전반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지금까지 지탱해온 구조를 대체할 새로운 음악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 해 내었다. 또한 예술은 지금의 위기 이전에도 항상 변화를 수반하고 요구에 왔고 기존에 없는 것을 창의하고 선도해 나가야지 살아남고 예술작품으로서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expanding Korean classical music market and challenges for overcoming the crisis. First, the music market starts with producing and securing music conten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Korean spirit and originality. the measure of the growth of the music market is the creativity and originality of the music content itself. Second, it is a combination with other cultural industries. Music concerts in combination with visual content such as movies, advertisements, animations, and dramas have great potential for growth. Finally, music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new media age is needed. There is an urgent need to educate students about music production, communication, and production that have changed drastically in existing performance-oriented or music-oriented music systems. It"s not just music, it"s essential for listeners to listen to music. You can grow together and expect a new revival in the music industry. 본 연구는 지금까지 순수 음악을 지탱해온 대학에서의 순수예술학과 정원감축과 폐과 수순의 여파로 한국 클래식 음악계에 불어 닥친 위기와 극복에 대한 시도를 한국 클래식 음악계 아트마켓의 부재에서 오는 비 상업적인 원인과 연관시켜 접근하려고 하였다. 클래식음악은 원류가 유럽이기 때문에 그것을 수입해온 우리나라에선 처음부터 대중적이지 않았다. 우리와 다른 문화에서 생긴 파생물로 알리고 홍보하며 소개해야 하는 대상이었다. 그러다보니 몇몇의 적은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이들만이 향유하고 점유하게 되었으며 그것이 바로 대학이라는 기관으로 집결되었다. 오랜 세월동안 순수예술 보호자였던 대학이 그 순수성을 포기하자 대학 밖의 음악의 유통, 보급, 시장성, 대중취향에 맞춘 수익창출 등의 상업적인 환경에 전혀 준비와 대비가 되지 않은 클래식음악가들은 예술 이전에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큰 어려움에 처해있다. 클래식음악가들은 음악비즈니스와 경영에 대해 교육을 받아 본 적도 없고 이런 위기가 도래 할 것이라는 것을 짐작한 적도 없기 때문에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혼란스러워한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사회 모든 영역에서 일어나는 사회 문제이자 융합과 다차원적인 사고와 대처를 원하는 시대의 요구이다. 이러한 요구와 변화에 발맞추지 못하면 앞으로 클래식음악은 더욱 더 고립화가 심해질 것이고 사장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몇몇의 음악인들이 다양한 방식과 도전으로 새로운 음악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클래식음악에 대한 위기원인을 전반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지금까지 지탱해온 구조를 대체할 새로운 음악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 해 내었다. 또한 예술은 지금의 위기 이전에도 항상 변화를 수반하고 요구에 왔고 기존에 없는 것을 창의하고 선도해 나가야지 살아남고 예술작품으로서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expanding Korean classical music market and challenges for overcoming the crisis. First, the music market starts with producing and securing music conten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Korean spirit and originality. the measure of the growth of the music market is the creativity and originality of the music content itself. Second, it is a combination with other cultural industries. Music concerts in combination with visual content such as movies, advertisements, animations, and dramas have great potential for growth. Finally, music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new media age is needed. There is an urgent need to educate students about music production, communication, and production that have changed drastically in existing performance-oriented or music-oriented music systems. It"s not just music, it"s essential for listeners to listen to music. You can grow together and expect a new revival in the music industry.

      • KCI등재후보

        예술의 탈신비화와 창조적 일상

        박연숙(Park, Yeon-sook)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1 생명연구 Vol.19 No.-

        오늘날의 예술 개념은 근대 이후 형성된 것으로 일상과 분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여타의 기술과 비교하여 특권적 지위를 누리고 있다. 그러한 구분은 르네상스 이후 근대에 이르러 형성된 것이다. ‘순수예술’은 그 목적과 방법에 있어서 예술의 독보적인 지위를 확고히 하고자 신의 창조에 비견되는 창조성의 개념을 독점하며 신비롭고 창조적인 예술가의 개념을 형성하였다. 그 결과 영감, 상상력, 자유, 창조성은 예술가에게, 기술, 규칙, 모방은 장인에 속한 것으로 분류하였다. 본 논문은 예술의 특권화와 신비화의 기저에 모호하고 추상적인 창조성 개념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비판하고 창조성에 대한 현대 심리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창조성의 개념을 밝히고자 한다. 창조성은 예술뿐만 아니라 과학, 기술, 경영, 운동, 교육 등에까지 두루 적용되는 개념이며 특별한 천재에게만 속하는 것이 아님을 밝힐 것이다. 누구에게나 잠재적으로 창조적 능력이 있으며, 그러한 창조성을 일상에서도 발휘할 수 있으며, 삶과 예술을 통합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칠 것이다. 창조적 일상을 사는 것의 가장 큰 매력은 삶의 의미를 만들어내고 생의 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The concept of the arts, as we commonly understand it nowadays, was first formed alongside the advent of the modern era. More precisely, it was formed during the Renaissance period and developed continually afterwards. "fine art" had attempted to solidify its lock on both the objectives of art as well as its methodology by monopolizing the concept of creativity-not unlike the idea of divine creation-resulting in a notion of the artist being a mystical and creative figure. This led to an understanding that the realms of inspiration, imagination, liberty, and creativity belonged to the artist, while those of technique, guidelines, and emulation were those of the craftsman. This paper criticizes the ambiguous and abstract notions of creativity that are situated at the root of the arts' privilege and mysticism, while relying upon modern psychology research to shed light on a new interpretation of creativity. The author shows that creativity is a concept that applies not only to the arts but also a wide range of subjects, including science, technology, administration, sports, and education. Creativity is innate to all and not exclusive to so-called brilliant minds. Hence, the potential for creativity lies within all human beings. When that potential is realized in every day life, it results in an integration of life and the arts. In turn, a creative lifestyle becomes an extremely attractive idea that imbues meaning into life itself while also adding vitality.

      • KCI등재

        문화예술정책 태동기의 예술지원에 관한 분석적 고찰: 박정희 정부를 중심으로

        김진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2 문화정책논총 Vol.36 No.2

        본고는 우리나라 문화예술정책 태동을 상징하는 제도적 장치이기도 한 문화예술진흥법 제정 50주년을 맞아 이 법령의 최초 제정 시기의 예술지원 양태와 특성, 한계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공교롭게도 정권의 업적에 대한 공과(功過)가 뚜렷한 박정희 정부 시절이었으며, 따라서 박정희 정부 당시 문화예술정책을 재해석하고 재평가하고자 했다. 본고의 분석 결과, 우리나라 문화예술정책은 문화예술진흥법 제정으로 제도(법령)와 운영 조직(한국문화예술진흥원), 재원(문화예술진흥기금) 등 문화예술지원 시스템이 갖춰진 박정희 정부 때 본격적으로 태동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총론적으로는 문화예술진흥법을 중심으로 하는 문화예술 관련 주요 법률이, 각론적으로는 제1차 문예중흥계획에 입각하여 다양한 문화예술정책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정책 시행의 목적 및 수단 등 방법론과 성과에 있어서는 적지 않은 논란을 초래했다. 문화예술진흥법에 대중예술 진흥 규정이 있지만, 순수예술 중심의 지원이 이루어진 반면, 대중예술은 다른 법령을 통해 상대적으로 규제와 통제 위주의 정책이 시행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의 논의에서 확인한 문화예술정책 태동기의 한계는 작금의 우리나라 문화예술정책에 부여된 과제이기도 하다. 향후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협력적 발전 도모를 위한 정책 방안 강구에 시사점을 던진다고 할 것이다.

      • 마르셀 뒤샹의 레디메이드 개념이 반영된 현대 도자예술 연구

        김미경 ( Mikyoung Kim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9 陶藝硏究 Vol.- No.28

        대부분의 예술가들은 사회적 제약과 본인의 창작욕구 사이에서 갈등하며 작품을 탄생시키는데, 이는 문화 예술 발전의 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예술의 역사를 살펴보면, 예술가들은 사회적으로 고정된 시선에서 자유를 갈망하며 취했던 행동은 예술의 진보적 결과를 낳게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창의적 행위는 예술에 대한 물음과 그에 대한 답을 찾게 하였다.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예술가들은 전통, 정치, 종교, 철학, 그리고 생활양식과 같은 고정된 사회적 제약에서 자유롭게 창작을 끊임없이 시도하고 있다. 20세기 초반 마르셀 뒤샹 (Marcel Duchamp, 1887-1968)의 레디메이드 실험은 당시의 고정된 사회 문화적 프레임으로부터 벗어나 개인적 언어와 독창성을 실현한 전위적 개념 예술의 시발점이었다. 뒤샹의 레디메이드 실험의 대표적 작품인 ‘샘’은 예술 작품의 전통적 정의를 전환하는 새로운 계기가 되었다. 뒤샹의 ‘샘’은 기성품(레디메이드, Ready-made)이라는 일상용품이 예술적 오브제로 기능이 전환될 수 있다는 개념에서 시작되었다. 작가의 생각에 의해 선택된 오브제는 그 자체로 예술적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예술가의 물리적 제작과정을 통해 창조된 작품이라는 전통적 예술작품의 정의는 현대예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변형되고 해석될 수 있게 되었다. 현대예술 분야에서 개념을 기반으로 창작 행위는 순수 예술 뿐 아니라 공예영역에서도 마르셀 뒤샹의 ‘샘’ 이 전과 이 후로 확연히 구분 시켜놓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통공예에 머물러 있던 도자를 순수한 예술의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조형예술 영역으로 범위를 확대 시키는 시발점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 첫 번째로 연구자는 대량 생산을 목적으로 탄생한 산업도자 분야의 캐스팅 기법의 도자제품이 예술적 오브제로서의 가치와 순수 예술로서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데 마르셀 뒤샹의 레디메이드 개념으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조사하였다. 두 번째로 최근의 실용 위주로 생산된 산업 도자 제품들이 도자 예술가들에 의해 어떻게 기능적인 면보다 작가의 창의적 생각과 실험을 통해 예술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끝으로, 마르셀 뒤샹의 ‘레디메이드’ 실험과 관련하여 기성 오브제를 도자예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해석하는 국내 작가작품 사례와 연구자의 작품들을 분석한 다음, 철저하게 실용과 기능을 위해 생산된 산업 도자제품도 작가의 개념과 실험을 통해 기능성을 넘어서는 예술작품으로서 다양한 조형적 요소와 미적 가치를 가진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Most artists produce art works through overcoming the struggle between social restraint and their creative wants, which can be explained as a process of cultural development. Looking back through art history, Artists’ forefront thinking beyond the immovable idea and norm in society have triggered the advanced enhancement in art and, in doing do, their creative movements have allowed to answer to questions regarding the notion of art. Even now artists effort continuously to make art free from fixed social constraints such as tradition, political system, religion, philosophical norm, and life style. In the beginning of 20C, Marcel Duchamp’s ‘Ready-made’ experiment was a starting point of avant-garde conceptual art fulfilling artist’s personal language and creativity free from the fixed social and cultural frame at that time. Duchamp's representative work of ‘Ready-made’ experiment entitled ‘Fountain’ became a momentum changing the traditional notion of art work. Duchamp’s ‘Fountain’ was a sort of object installation form which was implemented by the concept based on the change of the function from a daily commodity of ready-made into an artistic object. That is, owing to Duchamp’s conceptual experiment, the traditional notion of art work, which can be created by artist's physical productive process, was able to be transformed diversly and to be interpreted broadly within the practice of contemporary art. The conceptual based creation in contemporary art divides craft into before and after Duchamp era, like fine arts. In turn, this process became a starting point which allowed ceramic,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 form of traditional crafts, to become a sort of new plastic art form aiming at a work of fine art. Firstly,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investigated how Duchamp’s ‘Ready-made’ concept has influenced on casting technic-based ceramic art, which is originally deemed as a massproductive work in industrial ceramic area. Secondly, the researcher analyzed how recent ceramic artists have produced industrial ceramic works utilizing their creative idea and artistic experiment rather than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industrial works. In Conclusion, after analyzing the selected ceramic artists’ works, who interpret found objects diversly in connection with Duchamp’s ‘Ready-made’ experiment,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today’s industrial ceramic works also retain the new and various visual and formative elements as well as aesthetic value.

      • KCI등재

        예술의 대중화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플랫폼 제안

        이은미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0

        우리나라 문화 향유 수준은 매년 향상되고 있지만, 일반 대중이 예술품을 소장하는 문화는 그다지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전통적인 예술품 거래 시스템뿐만 아니라 최신의 블록체인 기반의 예술품 거래 시스템까지 대부분의 기존 시스템들은 고가의 예술품 거래를 위해 설계되어 일반 대중이 접근하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일반 대중의 예술품 소장 문화 를 개선하고, 순수 예술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신원증명, 예술품 등록 그리고 스마트 계약을 위한 세 블록체인을 연동하여 구성된다. 제안 시스템은 블록체인 시스템의 장점을 활용 하여 사용자들이 서로에 대한 신뢰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예술 노트라는 개념을 블록체인 시스템 내에 도입하여 예술가들 이 자신의 작품에 대한 신뢰를 구축할 수 있게 한다. 제안 시스템은 전문가나 외부 기관이 아닌 시스템 참여자들을 통해 신뢰 체계가 구축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일반 대중이 소장 가능한 작품의 거래도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evel of cultural enjoyment in Korea has improved every year, but the culture that the general public possesses artworks has not developed so much. Most artwork trading systems, from traditional ones to the latest blockchain-based ones, are designed for expensive artwork trading and are hardly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In this paper, we propose a blockchain-based artwork trading system that can improve the culture of the general public 's art collection and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fine art.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three interacted blockchains for identification, artwork registration and smart contract. The proposed system utilizes the advantages of the blockchain system for users to provide trust to each other, and introduces the concept of art notebook for artists to build trust in their own artwork. Since the proposed system builds a trust system through participants rather than experts or external organizations, it can reduce the cost of trading and deal with artworks that can be owned by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전통예술에서 대중예술로: 청중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는 판소리 연행의 새로운 방향

        서유석 한국구비문학회 2016 口碑文學硏究 Vol.0 No.42

        This research presupposes that pansori has changed from traditional theatricals to high-grade traditional art and reveals that pansori needs an avant-garde change from high-grade traditional art to popular art. The direction of a great change of pansori is a conversion from “what is seen and enjoyed” to “what is heard.” Although pansori is clearly based on popular appeal and artistic value that are formed by a sophisticated combination of stories and music, it appears that pansori has gradually become “hearing art” in the process in which pansori acquired the meaning of high-grade traditional art in the modernistic sense. As pansori has leaned toward ‘hearing art,” pansori was able to secure the high-level musicality and artistic value, but at the same time it appears that it has lost popular appeal and box-office value. A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people enjoying pansori has diversified with the appearance of gramophone records, pansori began to have appearance of “high-grade traditional art and has secured the realm of “pure art” or “high-grade traditional art” in the imminent crisis of extinction as it wa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afterward, pansori has the appearanc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eneral public. In order for pansori to become art that has vital power in this age as well, it should secure the power of universal stories deviating slightly from leaning toward music, have timeliness share breath in this age, and by extension, have fun to share breath with people, i.e. to secure popular appeal. These aspects can be confirmed here and there in today’s creative pansori fields. When pansori has secured popular appeal and become popular art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the audience enjoying” pansori will gather again in the scene of pansori. And “the audience enjoying” pansori can be secured through the power of universal stories. When creative pansori equipped with stories containing positive character images realizing problems of the times and scenes from daily life has secured musicality of high standard that has been accumulated by traditional pansori, it can be expected that this new creative pansori can become pansori classic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본 연구는 판소리가 전통연희물에서 고급전통예술로 변화해왔음을 전제로 하고, 앞으로의 판소리는 고급전통예술에서 대중예술로의 전위적인 변화가 필요함을 밝히고 있다. 판소리의 첫 번째 커다란 변화의 방향은 ‘보고 즐기는 것’으로부터 ‘듣는 것’으로의 전환이었다. 판소리는 분명 이야기와 음악의 수준 높은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대중성과 예술성의 바탕위에서 발전했지만, 판소리가 근대적 의미의 고급예술의 의미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판소리는 점차 ‘듣는 예술’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보인다. 판소리가 ‘듣는 예술’로 기울면서, 판소리는 수준 높은 음악성과 예술성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동시에 대중성과 흥행성은 잃어버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유성기 음반의 등장으로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이 다변화되면서 판소리는 조금씩 ‘고급전통예술’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으며, 급격한 소멸의 위기에서 무형문화재의 지정으로 말미암아 ‘순수예술’ 혹은 ‘고급전통예술’로 그 영역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판소리는 그 이후부터 대중과 점차 괴리된 모습을 가지게 된다. 판소리가 이 시대에도 생명력을 가지는 예술이 되기 위해서는 ‘성음 놀이’ 즉, 음악으로의 경도에서 조금은 벗어나 보편적인 이야기의 힘을 확보하고, 당대와 호흡할 수 있는 시의성을 가지며, 더 나아가 대중과 호흡할 수 있는 재미, 즉 대중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모습은 지금의 창작판소리 현장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판소리가 대중성을 확보하여 진정한 의미의 대중예술이 될 때, 소리판에는 분명 판소리를 ‘즐기는 청중’이 다시금 모여들게 될 것이다. 그리고 판소리를 ‘즐기는 청중’은 보편적인 이야기의 힘을 통해 확보될 수 있다. 창작판소리가 시대의 문제와 일상의 모습을 구현한 긍정적인 인물 형상이 담긴 이야기를 가지고, 전통판소리가 쌓아온 수준 높은 음악성을 확보할 때, 이 새로운 창작판소리는 진정한 의미의 판소리 고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