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상호작용의 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김민성(Kim, Minse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학습이 타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현상이라는 사회구성주의 관점에 기반하여 수업상호작용의 의미와 역할을 이해하고 수업상호작용 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수업상호작용은 수업이라는 활동시스템 속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활동시스템의 여러 요소(주체, 도구, 대상, 규칙, 공동체, 역할분담)의 통합적 영향을 받아 구조화되면서 의미구성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언어라는 기호가 수업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의 역할을 하면서 지식의 공동구성과정과 개인의 내면화 과정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과정-산출 연구의 전통에서 수행된 수업상호작용연구는 학생의 학업성취와 상관이 있는 교사의 행동이 무엇인지를 드러냈지만, 구체적인 수업맥락에서 해당 행동이 의미구성의 과정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살펴보지는 못하였다. 수업상호작용의 구조화된 유형을 기술하는 데 주력한 수업참여구조연구는 수업에서 실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유형을 이해하는 데는 도움을 주었지만 참여구조와 의미구성의 연관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수업상호작용연구는 수업참여 구조연구가 밝혀낸 상호작용 유형이 어떻게 학습자의 지식이나 경험을 공동의 장으로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는지, 공동의 활동이 어떻게 개별 학습자의 수행에 반영되는지, 보다 성공적인 의미구성을 위한 교사의 역할은 어떠한 것인지를 드러내는 데 기여를 하였다. 향후 수업상호작용 연구는 학기별, 학년별, 학교급에 따른 수업상호작용의 변화과정, 테크놀로지와 같은 도구가 개입되었을 때 질적으로 변형되는 상호작용의 양상, 교과 등 다양한 맥락에 따라 달리 이루어지는 수업상호작용의 유형, 인지적 측면뿐 아니라 상호작용의 관계적, 정서적 측면, 의미구성의 다각적인 측정방법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사회구성주의에 기반한 상호작용연구는 다른 학습이론이 충분히 드러내지 못한 학습의 사회적 측면, 공동의 의미구성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교육 및 학습현상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role of classroom interaction and to discuss the trend and directions of classroom interaction research from a perspective of socio-constructivism. Classroom interaction occurs as a dialogic interaction in an ‘activity system’ with such components as subject, tool, object, rules, community, and division of role, one that becomes structured in the interaction processes and influences the way students learn and think. With the mediating role of language, classroom interaction plays a facilitating role in the process of shared meaning-making and individual students’ internalization. In the trend of classroom interaction research, a process-product research tradition found a list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associated with student achievement. However, it did not examine the role of teaching behaviors in students’ meaning-making process in classroom interaction. By describing the types of classroom participation structure, studies on classroom participation structure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classroom interactions that actually occurs in the classroom practice, however, with the limitation of not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of participation structure and the meaning-making process. Finally the classroom interaction research conducted from a socio-constructivism perspective revealed how classroom interaction shapes a shared or individual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what role teachers play in the process. It was suggested that the future classroom research should examine 1) the trajectory of classroom interaction by semester, grade, or school level; 2) a transformation of classroom interactions when technology is introduced in class, 3) the diversity of classroom interactions in the different contexts such as different subject matters and school climate; 4) the relational, emotional aspects as well as cognitive aspects of classroom interactions; 5) the diverse ways to measure the level of meaningconstruction. Classroom interaction research from a perspective of socio-constructivism will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by investigating the social and shared aspect of learning, one that have not fully examined by other learning theories.

      • KCI등재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및 수업의 질, 대학생활 만족 간의 관계 구조분석

        신소영,권성연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8 평생교육 · HRD연구 Vol.14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other variables related with satisfaction to prevent dropout and improve level of satisfaction in college. As a results of analysis for 1,258 college students in C province,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in class, interaction with professor outside of class, instructional quality had meaningful influences on a college life satisfaction.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influenced instructional quality, an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influenced interaction with professor. Additionally, instructional quality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satisfaction, and between interaction with professor and satisfaction. Particularly, indirect effect of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was more powerful than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Therefore, to improve college life satisfaction, it is required to facilitate interaction with professor outside of class as well as both peers and professor in clas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Especially,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had not only direct but also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the instructional quality on satisfaction, and their indirect effect size were greater than direct effect. So, the impotance of instructional quality should be highlighted to enhance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 만족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 제공을 위해 대학생활만족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분석을 하였다. C시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1,258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만족과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 수업의 질 및 교수와의 상호작용 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적 학습활동, 교수와의 상호작용, 수업의 질은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수업의 질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상호작용적 학습활동은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수적으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각각에서 대학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수업의질을 매개로하는 간접효과가 나타났으며, 수업의질을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가 직접효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에서 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과 함께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등 학생 상호 간, 교수와 학생 간 상호작용 촉진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수업의 질은 대학생활 만족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효과보다 더 높은 간접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대학교육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COVID-19 상황 하의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특징과 영향요인 분석

        오규민(Kyoomin OH),김다영(Dayoung Kim),김민선(Minseon Kim),변기용(Kiyoung B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효과적인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온라인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호작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온라인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양상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수도권 A 대학 교육학과의 강좌 중 강의 만족도가 높은 4개의 강의를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의도적 표집에 의해 각 강의의 교수자 4명과 학습자 14명을 면담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노시타 야스히토의 수정 근거이론 접근법을 활용해 분석함으로써 자료가 지닌 맥락성을 훼손하지 않고 심층적인 의미를 생성할 수 있었다. 결과 연구결과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자-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양상은 교실 내 물리적 거리가 없어져 모든 학생에게 균등한 소통의 기회가 부여됨, 수업 중 에듀테크를 활용해 다양한 방식의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등의 특징을 보였다.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양상과 특징은 수업 내용 외 학생들 간 사회적 교류와 상호작용이 감소하는 등 부정적인 측면도 있었으나, 온라인 환경의 모둠 구성 용이성으로 인해 다양한 학습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하는 등의 긍정적인 특징도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수자-학습자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① 교수자의 교육관, 학습자의 동기와 같은 개인적 요인, ② 소회의실, 다양한 소통 도구 등의 활용과 같은 수업⋅기술적 요인이 있었다.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① 교수자의 적극적 개입, 학습자의 동기와 같은 개인적 요인, ② 소회의실 활동, 컴퓨터 활용과 같은 수업⋅기술적 요인이 있었다. 온라인이라는 수업 환경의 특성상 기술적 요인의 영향력이 컸으나, 사람 대 사람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라는 본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교수자와 학습자 개인적 요인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드러났다. 결론 향후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학교 차원의 워크숍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 수업 초기 단계에서 학습자들 간 인간적 친밀감 형성을 위한 온/오프라인 만남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교수자-학습자 간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기 위한 온/오프라인 만남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eply understand the features of interaction in online classes and influence factors affecting that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interaction in online classes and influence factors and to suggest how to lead effective online classes by maximizing the interaction. Methods Case study method wa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ur classes of Department of Education in A univers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which have high score of students’ satisfaction. Four lecturers and fourteen students were sampled by purposive sampling. Data were analyzed by Yasuhito Kinoshita’s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features of online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s, all students can get equal chances to communicate with professor because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m becomes equal. Also, they can interact more frequently and effectively by using various edu-technology. Second, regarding interaction among students, social interaction decreases, which is not related to classroom activity or contents. On the other hand, students can interact with various peers because online class platform enables divers grouping. Next, factors of online classes are categorized as personal factor and instructional technological factor. The former is professor’s educational viewpoints, students’ motivation. The latter is using private meeting rooms and various communication tools. Due to the innate property of online class, technological factors seem influential, but personal factors have the greatest effects because of the nature of edu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are some suggestions for maximizing interaction in online class. First, university-level workshops on online class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professor’s digital competence. Second, various meeting through online or offline should be done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o build rapport among students and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s.

      • KCI등재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한 상호작용 경험 분석

        김인숙 ( Insook Kim ),유숙영 ( Sookyoung Ryu ),변현정 ( Hyunjung Byun ),서윤경 ( Younkyung Seo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S

        이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Instructional Digital Imagination: IDI)을 통한 교수자의 상호작용 경험을 분석하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 교수자들은 전면적인 비대면 수업을 운영해야 하는 비상사태에 직면하였고, 기존 면대면 방식의 수업과 마찬가지로 학습목표를 달성하고 수업의 질을 유지하고자 하였으나,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상호작용의 부족함을 주요 이유로 불만족을 나타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 수업의 급전환 과정에서 교수자는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해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만들어냈는가?’를 중심으로 세 가지 하위 질문을 구성하였고, 교수자들이 한 학기 동안 상호작용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 중규모 교육중심 사립대학인 A대학 소속 교강사 10명이며, 계획적인 표준화 면접을 실시하여 주요 사건 중심의 키워드 분석 및 의미분석 방법으로 상호작용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실시간 수업 경험은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이 있는 교수자의 특징,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이 있는 교수자의 수업에서 상호작용 설계 및 운영 경험,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이 있는 교수자의 학습자 중심 상호작용을 위한 에듀테크 활용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되었으며, 총 11가지의 하위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한 상호작용 전략,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한 에듀테크 활용 전략,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 촉진을 위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의 다양한 변화 속에서 교수자들이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해 교육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교육적 실천 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structors’ interaction experiences with Instructional Digital Imagination(IDI) for promoting effective interaction in non-face-to-face synchronous classes. This study investigate instructors’ experiences with research question “How did the instructors and professors use their Instructional Digital Imagination(IDI) to create interactions in non-face-to-face synchronous classes in this emergent digital transformation?” The participants were ten faculty members from A university, a medium-sized education-oriented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To extract meaning of experience, keyword analysis and theme analysis on the critical incidents extracted from the planned standardized interview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ir teaching experiences were analyzed in three main themes of instructors’ class with Instructional Digital Imagination: characteristics, interaction design and development experiences, and usage of EduTech. Eleven sub-conception were extracted(or deriv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ree instructional implications in aspects of Interaction Strategies through IDI, Appropriated Use of EduTech with IDI, and Organizational Support Plans.

      • KCI등재

        대학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고정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cooperative self-efficacy’s mediating effect in impact of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 investigation of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has done. The subject were 636 university student at G university in gyeong sang nam do. To measure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 was made existing tool. On this basis, research materal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1 for window program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α verification,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olerance, Variance Inflation Factor(VIF), Correlation coefficient, mediator effect verific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effected on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positively. Second, cooperative self-efficacy had part mediator effect in relation of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Conclusions This study had meaning to analyze mediating effect cooperative self-efficacy in relation of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On this study, our socity will have to devise various way to reinforce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for university student’ s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s improvement.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대학생들이 인식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미치는 영향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남 G시에 소재한 대학생 6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단순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외생변인으로서 자기조절학습, 내생변인으로서 학업기초능력과 융합역량을 선정하였다. 결과 학습자 간 상호작용, 교수-학생 상호작용, 협력적 자기효능감,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 변수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고,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생 상호작용,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변수로 유의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도와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습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지원 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며 또한 학습자들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비대면 수업에서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교수학습 전략 탐색

        임정훈 ( Junghoon Leem ),김미화 ( Mihwa Kim ),신진주 ( Jinju Sh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대학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을 운영할 때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상호작용 전략을 개발하고 개발된 전략들의 실제 활용현황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격교육, 이러닝, 온라인 수업과 상호작용 전략 등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고, I대학교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된 86개 교과목에서 교수자들이 사용한 상호작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들에 대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대학 온라인 수업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의 초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전략 초안은 2차례에 걸쳐 전문가 4인으로부터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이를 토대로 전략에 대한수정 보완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교수학습 전략으로 총 27개 전략이 최종 확정되었으며, 이는 ‘교수자-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내용간 상호작용’, ‘학습자 내적 상호작용’의 네 가지 상호작용 유형으로 구분되어 제시되었다. 아울러, 개발된 온라인 상호작용 교수학습 전략의 활용현황을 탐색해 보기 위하여 I대학교에서 실제 개설, 운영된 76개 수업에서 교수자들이 사용한 116개의 상호작용 전략들을 바탕으로 상호작용 유형별, 계열별, 수업운영 방법별에 따른 상호작용 전략의 활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대학 온라인 수업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해 이 연구가 갖는 의의와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professors can use their online classes for enhancing interaction, and to analyze the current utilization status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developed in this study. To achiev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review on the distance education, e-learning, online classes, and interaction strategies was conducted. Additionally, 86 online courses offered at I university in 2020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eveloped a draft of the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interaction of online class in higher education. The draft of the developed strategies for online interaction was validated twice by 4 experts with online class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27 strategies were developed as the final version for enhancing interaction in online class of university, and the strategies were categorized as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learner-contents interaction’, and ‘learner-inner intera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ive use of the developed strategies, the frequencies of 116 interaction strategies used 76 online courses opened in the spring semester of 2021 at I university were analyzed by interaction type, university department, and online course typ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enhancing interaction in online classes of univers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 이러닝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 분석

        전영미 ( Young-mee Jeon ),조진숙 ( Jin-suk Cho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교수자, 학습자-콘텐츠, 학습자-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이 학습자들이 인지하는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와 어떤 관련을 갖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대규모 대학의 이러닝 강좌 중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있었던 수업과 없었던 수업에 참여한 학생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있었던 수업에서 학습자-콘텐츠, 학습자-시스템간의 상호작용도 많이 있었고, 상호작용과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모두 학습자-콘텐츠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수업만족도에는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그 다음으로 영향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첫째, 학습자들은 이러닝에서 학습을 혼자 콘텐츠를 이해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질 좋은 교육콘텐츠의 개발지원 및 수업에서의 제공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둘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의 활성화를 위해 교수자 대상의 워크숍 및 교육지원이 필요하다는 것과 셋째, 본 연구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학습자간 상호작용도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매우 중요한 상호작용 유형으로,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도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clas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to the interaction type on e-learning in university. To achieve the study`s objective, one course with and another course without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were selected. A total of184 student-respon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ccordingly, more learner-content and learning-system interactions were noted in the course with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Moreover, a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interaction,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indicated the highest effect on bot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followed by learner-system interactions on class satisfaction, and b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on learning achievement. Recommendations were then formulated based on the foregoing findings. First, workshops or training focusing on content development and on how to present the course should be provided to the instructors. Second,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s should be activated in the course through various means . In this study, although learner-learner interactions was not given focus, future studied should delve into how learner-learner interaction should be activated and considered.

      • KCI등재후보

        수학교살에서 교사의 억활에 따른 상호작용 패턴 분석

        조우기,오영열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4 No.1

        이 연구는 교사의 역할에 따른 상호작용 패턴을 분석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즉, 교사의 역할에 따라 수학 수업에서 상호작용의 패턴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특별시 소재의 초등학교에서 자율장학의 수업 관찰과 면담 등을 통하여 수학 수업에 대해 중립적인 성향, 교사 중심적인 성향, 학생 중심적인 성향을 갖고 있는 세 명의 4학년 교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세 교사의 수학 수업을 측정, 연산, 확률과 통계, 문자와 식 영역에 대해 수업녹화와 수행평가지 그리고 학습지 분석을 통하여 수학적 수업관행과 상호작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립적 성향의 교사는 수학 수업에서 학습의 안내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교사 중심적 성향의 교사는 학습의 지시자 역할을, 그리고 학생 중심적 성향의 교사는 학습의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업관행의 분석 결과 드러났다. 그리고 상호착용 패턴에 있어서 학습의 안내자 역할을 한 교사의 수업에서는 보고서 패턴과 탐구 패턴이 주로 관찰되었으며, 학습의 지시자로서의 역할을 한 교실에서는 보고서 패턴이 주를 이루었고, 학습의 조정자 역할을 한 교사의 수업에서는 논의 중심의 가장 고차원적인 상호작용이 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이 수학적 상호작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결국 학생들의 수학 학습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변화를 위해서는 수학 교과, 특히 수업방법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전문대학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및 학습전략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김진실,나승일 한국농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4

        이 연구는 전문대학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 수업에서의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심충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기술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란 두 개 이상의 교과가 연계하여 운영 하는 형태로서, 이 연구에서는 전공기초교과와 전공심화교과를 연계한 학습공동체를 말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대학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를 선정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D 공과대학 정보통신과의 ‘마이크로프로세스’ 교과와 ‘마이컴응용’ 교과를 연계한 학습공동체를 대상으로 2006년 3월 3일부터 2006년 6월 20일까지 관찰 및 연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전사, 자료의 통합, 약호화 및 배열화, 범주화를 통해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으로 첫째,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은 교과중요도, 수업경험, 교과내용, 과제유형, 학습집단, 외부적인 환경, 수업방법, 강화유형, 학제, 개인적 특성에 영향을 받고, 상호작용을 위한 발화유형은 선도발화-반응발화-피드백 발화를 한 단위로 구성되는데, 선도발화는 전달형, 유도형, 지시형, 반응발화는 수긍형, 의문형, 행동형, 응답형, 무반응형, 피드백 발화는 유도발화 반복/수정형, 학습자 반응 평가형, 학습자 반응 수정형, 피드백 생략형이 있다. 또한, 교수자-학습자의 상호작용 유형은 교수자(T)-전체 학습자 (Ss)'유형를 포함하여 10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발화유형 및 상호작용 유형이 진단되고 관리될 때, 보다 활발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수업의 질을 제고하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은 개인적 특성, 학습집단 구성, 외부적인 환경, 학습과제 수준, 과제유형, 보상수준, 과제 수행방법, 갈등 및 응집성, 리더십, 과제발표부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때 상호작용을 위한 개인 발화유형은 과제 관련 발화유형과 과제와 관련이 없는 비과제 관련 발화유형으로 유형화되었고, 상호작용 유형은 설명주도형, 문답형, 의견교환형 유형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발화유형 및 상호작용 유형을 근거로 학습집단을 구성하고 관리될 때, 보다 활발한 학습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고,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을 활발히 하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문대학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은 뚜렷한 학습전략의 개념이나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고, 외부적인 환경, 특히, 교수자의 수업방법, 과제유형, 강화수준, 발표수업 등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자료정리나 시간계획 및 실천, 자기점검, 평가, 피드백능력 등이 부족하다. 또한 학습전략 유형은 행동형, 인지형, 관리형 유형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부족한 학습전략에 대한 진단하고, 학습자 나름의 학습전략을 관리하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understand interaction and learning strategy in course-linked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 Teacher-student interaction, student-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strategy in course-linked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the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of the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at 'D' Junior college in Kyoungki province, which was linked courses of 'Microprocess' and 'Micom Application'. These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in one semester that was lasted form 3 in March to 20 in June. The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interaction among students and learning strategies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y. To establish trustworthiness, multiple data collections were conducted through triangulation of observation, depth interviews, recording and videotaping.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factors on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were Importance of Subject matters, Experiences of Subject matters, Contents of Subject matters, Task Types, Cohort, External Environment, Teaching Method, Reinforcement Type, Education System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utterance patterns in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were 1) Initiatives, 2) Response, 3) Feedback. The 10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in course-linked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 were noticed. Second, the effect factors on interaction among students we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nstruction of Cohort, External Environment, Level of Learning Task, Level of Compensation, Project Management, Conflict and Cohesion, Leadership and Load of Presentation. The utterance patterns in interaction among students were 1) utterance related tasks, 2) utterance not related tasks. The 6 interaction patterns among students in course-linked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 were 1) Pattern of Leading Explanation, 2) Pattern of Q&A, 3) Pattern of Exchanging Opinion(Addition of Opinion, Correction of Information, Pattern of dialectic), 4) Pattern of Action. Third, the learners didn't perceive the importance of learning strategy. They depend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especially teaching types of teachers, tasks types, reinforcement and presentation. They felt difficulties in recording, time management and practice, self-examination and feedback. Patterns of Learning Strategies of learners were 1) Behavior (Participation Class, Recording, Preview and Review, Accomplishment of Tasks, Repetition and Exercise, Preparation of Exam, Asking help to teacher and colleagues, Presentation); 2) Cognition(Attention, Comprehension, Selection of core contents, Memorizing); 3) Management(Time Management and Practice, Learning Materials Management, Self-Examination, Environment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중학생이 지각한 동기분위기와 학습태도와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방식의 매개효

        남인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목적 이 연구는 체육수업에서 중학생이 지각한 동기분위기와 학습태도와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방식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그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D시와 G시에 소재하고 있는 혼성중학교 2개교를 임의로 선정한 후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할당표집방법에 의해 360명(남학생 180명, 여학생 18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323명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사용한 연구도구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동기분위기 검사지, 상호작용 방식 검사지(교사와의 상호작용, 친구와의 상호작용), 학습태도 검사지를 활용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계, 요인분석, 상관분석, 신뢰도분석,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분석하였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련분위기는 교사와의 상호작용과 친구와의 상호작용 모두에 정적 영향을 주며, 수행분위기는 친구와의 상호작용에 정적 영향을 준다. 둘째, 숙련분위기와 수행분위기 모두 학습태도에 정적 영향을 준다. 셋째, 교사와의상호작용과 친구와의 상호작용 모두 학습태도에 정적 영향을 준다. 넷째, 숙련분위기와 학습태도와의 관계에서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에서 지각한 동기분위기와 상호작용 방식 및 학습태도와의 관계에서 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그리고 숙련분위기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매개로 하여 학습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the mediation effects of interaction styl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and learning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23(boys 163, girls 163)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by quota sampling method. The used instrument of this study were the Yoo(1997) for measuring motivation climate scale, the Hwang, Ahan, and Seo(2016) for measuring friend relationship and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scale, and the Son, Kim, & Lee(2006) for measuring learning attitude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statistical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mastery climate positively influenced to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and friend relationship, but performance climate positively influenced to friend relationship. Second, both mastery climate and performance climate positively influenced to learning attitude. Third, both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and friend relationship positively influenced to learning attitude. Forth, there was partially mediates effect between mastery climate and learning attitude as a parameter fo the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Conclusio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motivation climate had partially mediates effect on learning attitude through the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