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 분석

        배성아(Bae, Sung Ah),안정희(An, J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 경험의 교육적 의미와 효과를 교사 전문성 함양의 측면에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범대학 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40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동안 두 차례 수업시연 을 실시하면서 반성 저널을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문제는 1) 예비교사들이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난점은 무엇인가 2)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시연은 어떠한 의미인가였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수업을 설계하고 시연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난점을 분석한 결과, 수업지도안 작성, 학습자 중심 수업 설계, 학습모형 활용의 효과성, 평가 계획등에서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특히, 교직실무관련 이론 지식을 숙지하고 있으나 이를 실제 수업 계획 및 실행, 평가 과정에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시연에서 자신이 계획한 대로 진행되지 않은 것에 대하여 난감해 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시연은 어떤 의미인지 분석한 결과, 이들은 수업시연이 자신들에게 수업 ‘실제’에 대한 안목을 길러주었고, 좋은 수업을 위한 계획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였으며, 좋은 교사상에 대해 성찰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고 기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사양성 프로그램으로서 수업시연의 가치를 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예비교사 훈련을 위하여 수업시연에 필요한 공간 확보, 단발성이 아닌 연속적 수업시연 기회 제공, 그리고 자기 수업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전제로 하는 반성 과정의 정례화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and effect addressing from preservice teachers’ journal writing in aspec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40 student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implemented two sessions of microteaching. They were asked to write five journal papers in total during the microteaching. Research questions were 1) what are the problems fac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in instructional planning and implementing? and 2) what do they value on the experience as future teachers? As result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overall through the process(e.g. writing lesson plans, designing student-centered instruction, utilizing learning models, planning evaluation etc). Especially, they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hardships on applying their pedagogical knowledge into the practice and planning evaluations and they felt that the microteaching did not turn out the way they planned. Second, this study can make it possible for preservice teachers to establish their own insight of “classroom” and their own ideas of “a good teacher. They also realized that ”successful practice“ depends on how carefully teachers prepare for.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study made three suggestions to enhance the quality of preservice teacher programs; promoting security of space and providing continuous and regular opportunities for microteaching and reflecting their own practice through journal writing.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향상을 위한 액션러닝 방법 중심의 수업시연 모형 개발 및 적용

        김보림(Bo-Rim Kim),전홍주(Hong-Ju 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향상을 위하여 액션러닝 방법 중심의 수업시연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 소재 Y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예비 수업시연 모형, 1차 수업시연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수업시연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시연 모형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김연수(2017)가 개발한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평가척도를 활용하여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가지는 수업시연 모형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기 위하여 면담, 동영상, 수업시연 과정 산출물 등의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결과 액션러닝을 중심으로 한 수업시연 모형은 ‘놀이 관찰하기 - 놀이 의미 읽기 - 다양한 놀이 지원 도출하기 - 우선순위 결정하기 - 수업계획안 작성하기 - 현직교사 참여 및 수업시연 발표하기 - 평가하기’의 7 단계로 구성된다. 모형 효과 분석 결과, 본 수업시연 모형 적용 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중 하위 요소인 내적 동기, 수업 개선 노력, 지식, 수업 목표, 수업 설계, 교수법, 학습 분위기 조성, 영유아 평가 요소는 수업시연 모형 적용 전과 후에 평균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본 수업시연 모형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분석 결과 본 수업시연 모형은 ‘수업에 대한 기초 지식 구성하기’, ‘현장성 있는 수업기술 익히기’, ‘예비유아교사로서의 방향성 탐색하기’의 세 가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액션러닝 방법을 중심으로 한 본 수업시연 모형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하며 나아가 예비 유아교사의 수업 역량 향상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on a simulated instruction model based on action learning methods for the teaching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 Methods We developed a final class demonstration model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preliminary demonstration model and the first demonstration model for 75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t Y College in Gyeonggi-do.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demonstration model,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class competency 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ed by Kim Yeon-soo (2017). And to analyze the meaning that impact on pre-service teachers, we got materials of report of self-examination, examination report, study report, current teacher interview, study participants’ interview. Results Action learning is constructed. The demonstration model centered on action learning is constructed of seven steps: Observing play - reading play meanings - deriving various play support - determining priorities - writing class plans - presenting incumbent teachers participation and class demonstrations - evaluating. As a result of model effect analysis, inner motivation, effort of improving class, knowledge, planning the class, classing, teaching method among capability of pre young children teacher were positive impact on atmosphere of study. There was better impact especially inner motivation, effort of improving class, Knowledge and capability.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ning of this demonstration model to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demonstration model has three meanings: “constructing basic knowledge about classes,” “learning practical teaching skills,” and “searching for directions as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 Conclusions This was able to conclude that it has positive impact to improve teaching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 through simulated instruction model based on action learning by the evidence of study result. This has meaning as method study to improve teaching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

      • 예비 초등영어교사의 수업시연 연구

        오마리아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6 初等敎育硏究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영어교사들이 수강한 ‘교실영어’수업에서 실시한 수업시연에 대한 성찰문을 분석하여 좀 더 효과적인 예비교사 대상 수업시연 수행 방법과 수업시연 성찰문 활용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것이다. 연구 참여 예비 영어교사 두 명은 2020년 한 해 동안 수행된 ‘교실영어’ 수업에서 일주일에 한번 수행한 수업시연을 계획하고 수행하고 자신의 수업시연을 영상촬영하여 시청한 후 수업시연 성찰문을 작성하였다. 이 두 명의 성찰문을 관찰하고 분석한 결과 K의 성찰문이 스스로 정한 수업시연이 수업계획에 따라 실시되었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작성하고 스스로 잘 진행된 면에서는 좋은 평가를 하면서 동시에 잘 수행되지 않았던 점은 새롭게 어떻게 해야 할지 방법을 적어 놓았다. 즉, K는 성찰하는 예비교사로서 수업시연 성찰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J의 성찰문에서는 매우 단답식의 설명으로 자신의 수업시연을 묘사하였고 수업시연성찰문을 작성하는 이유나 효과적 활용 방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여겨졌다. 수업에서 K와 J가 서로의 성찰문을 읽고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 있었다면 좀 더 효과적으로 수업시연성찰문을 활용하는 ‘교실영어’수업이 되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즉, ‘교실영어’수업에서 좀 더 효과적으로 수업시연성찰문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들끼리 성찰문에 대한 동료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면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수업시연성찰문 뿐만 아니라 동료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을 서로 직접 관찰하고 피드백을 줄 수 있었다면 더욱 효과적이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가 수행된 2020년에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교실영어’수업이 진행되었고 수업시연영상이나 수업시연관찰문도 온라인으로 제출되었다. 이는 수업시연성찰문을 활용한 예비교사 전문성 함양에 대한 본 연구의 가장 큰 제한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국어과 모의 수업 시연 과제 설계 동향 분석

        백정이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1 국어교육연구 Vol.48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current status of “simulated teaching” for Korean language pre-service teache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Petticrew & Roberts, 2006) was adopted as the research method. A total of 181 articles were searched in the database, and 57, 99, and 6 pieces were excluded in turn from continuous screening. The research data was coded inductively three times with NVivo11. The aspects of the simulated teaching task design by Korean language pre-service teachers include the school level, the course, the target of the simulated teaching, the time to perform it, the number of people performing it, the method of observing and evaluating it, and the tasks connected to it. The issues have been drawn from three categories: the simulated teaching metho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evaluation in simulated teaching, and related tasks; types of classes, parts of the lesson, and positions of fellow students; and the way in which fellow students and instructors observe and evaluate the simulated teaching, instructors value simulated teaching, and pre-service teachers analyze and reflect on their own lessons. These issues help instructors design more effective simulated teaching by conside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various design elements.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가 가상의 교육 현장에서 수행하는 모든 형태의 수업을 일컫는 ‘모의 수업 시연’에 주목하여 그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설계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로 국어과 예비 교사가 수행하는 모의 수업 시연의 유형, 다른 학생의 시연을 통한 학습 양상, 모의 수업 시연과 함께 수행하는 과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체계적 문헌 고찰(Petticrew & Roberts, 2006)을 차용하였다.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총 181편 중 1차 선별 57편, 2차 선정 99편, 3차 평가 6편이 배제되어 최종적으로 19편의 연구물을 대상으로 NVivo11으로 국어과 예비 교사의 모의 수업 시연과 관련된 모든 요소들에 대하여 개방형 코딩을 하고 이를 수정 및 통합, 상위 핵심어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분석되었다. 국어과 예비 교사의 모의 수업 시연 과제 설계 양상은 학교급, 강좌, 시연 대상, 시연 수행 시간, 시연 수행 인원, 시연자의 모의 수업 시연에 대하여 관찰 및 평가하는 방법, 시연자가 모의 수업 시연과 연계 수행해야 하는 과제의 측면에서 제시되었다. 설계의 쟁점은 모의 수업 시연 방법, 모의 수업 시연 참여 및 관찰과 평가, 모의 수업 시연 연계 과제의 세 가지이다. 어떤 수업, 그리고 수업의 어떤 부분을 시연하게 할 것인가, 동료 학생을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 동료 학생과 교수자가 어떻게 관찰 및 평가할 것인가, 모의 수업 시연에 얼마만큼의 비중을 둘 것인가, 얼마나 정교하게 자신의 수업을 분석 및 성찰할 것인가의 쟁점을 바탕으로 교수자는 다양한 설계 방식의 장단점을 탐색 및 고려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모의 수업 시연을 설계하는 데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수업시연 기반 수학교과교육학 수업 모델 탐색

        이상희 ( Lee Sang Hee ),이수진 ( Lee Soo Ji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사교육 프로그램 42개 중 강의계획서를 확보할 수 있었던 28개의 대학을 기반으로 수업시연 기반 수학교과교육학 수업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실제 수업시연을 활용하고 있는 학교 중 면담이 가능하였던 6개의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그 운영 방식과 특징에 따라 수업 모델을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업시연이 교육과정 내에 포함된 과목명은 보통 ‘수학교수법’, ‘수학교재연구 및 지도법’으로, 강 의계획서를 확보할 수 있었던 28개의 대학 중 17개(약61%)만이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시연의 기회를 실제로 제공하고 있었으며, 수업시연의 횟수와 교수자 및 동료로부터의 피드백의 형태 등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예비교사 개인 혹은 모둠이 선정하는 수업내용이 겹치지 않는 선에서 수업 시연의 횟수가 평균 1회로 제한적이었지만, 교수자와 동료피드백을 통하여 자기수업을 성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수강 인원에 따라 각각의 모델의 장단점이 분명하게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분석된 다양한 수연 시연 학습 모델들의 장단점을 바탕으로 수학 예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보다 나은 수업시연 기반 수학교과교육학 수업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port the current status of th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a viable model of microteaching. Of the 42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s, only 23 colleges offered courses which provided pre-service teachers to practice teaching demonstration before the student teaching practicum. An in-depth analysis of six school’s programs suggested that pre-service teachers were given at best one teaching demonstration opportunity due to the time constraints, but various types of constructive feedback (e.g. peer-evaluation, self-reflection, and instructor feedback) were provided. Moreover, each of the six models had some pros and cons. To illustrate, some models were appropriate for classes with limited time or with an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but the models were limited in that little time was given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o reflect on their teaching demonstration. The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a new model for the teaching-demonstration-embedded program.

      • KCI등재

        국어과 예비교사의 수업 시연 관찰 분석 연구

        신호철(Shin, Ho-cheol)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8 No.-

        본 연구는 국어과 예비교사의 수업 시연 능력 신장을 위하여 언어․행동적 요소에 대한 관찰․분석 연구이다. 언어적 요소와 행동적 요소 검토 사항 18가지를 기준으로 국어과 예비교사 3명을 피험자로 하여 그들의 수업 시연을 촬영하고 그 속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관찰․지도․분석을 하였다. 모두 5차례 동일 내용을 가지고 수업 시연을 실시하고, 세 명의 피험자에게 각기 다른 지도 방식을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그 실험 결과 네 가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국어과 예비교사의 수업 시연 지도 방식을 세 가지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첫째는 ‘즉시적 통합 지도방식’으로 문제점이 발견되는 즉시에 전체 지도 내용 요소를 지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전체 내용을 지도받아야 하는 학습자에게 적용 가능한 지도 방식이다. 둘째는 ‘단계적 부분 지도 방식’으로 지도 내용 요소를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부분 부분을 별도로 지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특정 부분만을 교정 받아야 하는 학습자에게 적합한 지도 방식이다. 셋째는 ‘자정적(自正的) 전체 지도방식’으로 교수자는 지도하지 않고 관찰만 하고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점을 찾고 해결해 나아가는 지도 방식이다. 이것은 자의식이나 주관이 강한 학습자에게 적합한 지도 방식이다. 그리고 언어․반언어․비언어적 표현 요소 중에 비언어적 표현 요소가 지도할 내용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반언어적 표현 요소가 많았으며, 언어적 표현 요소에 대한 것은 지도할 내용을 거의 찾을 수 없었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수업 시연 횟수가 세 번 정도에 이르면 해당 수업 시연에 대하여 능숙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피험자들 모두 3차 수업 시연 때에 많은 지도 내용요소들에 대하여 익숙해지고 능숙해지고 피험자 개인적으로 수업 시연에 대하여 자신감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verbal and behavioral elements that are required to improve Korea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bilities. Based on 18 verbal and behavioral elements as the pre-set standards, this study analyzes the subjects’ microteaching problems and provides guidance for the identified problems. The analyses were conducted on 5 microteaching sessions per subject, and different guiding methods were applied to the three subj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dentified the following four findings. First, there are 3 types of guiding methods that can be used for microteaching: immediate whole guiding, stage part guiding, and self-purification whole guiding. Immediate whole guiding is guiding the whole elements when the problem is shown.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students who need whole guidance. Stage part guiding is classifying the guiding elements and teaching every part. This method is appropriate for students who need guiding on specific parts. Self-purification guiding is finding and solving the problems by the students themselves. This method is appropriate for students with a strong sense of identity. For guiding pre-service teachers, the frequency of the guiding elements occurs in the following: (1) nonverbal element, (2) semi-verbal, and (3) verbal element (although the occurrence is near zero). In addition, the subjects became familiar with the guiding process in their third microteaching session.

      • KCI등재후보

        대학교수의 시연수업을 통한 수업 능력 향상 방안

        배종수 ( Jong Soo Bae ),박만구 ( Man Goo Par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9 한국초등교육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대학교수들의 수학 시연수업을 통하여 예비교사, 현직교사들의 수업 능력과 수업과 관련한 교수들의 강의의 질 향상을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초등수학교육의 실제라는 강의를 담당하고 있는 두 교수들이 학기 중에 강의한 내용을 중심으로 예비교사들의 실습 동안에 시연수업을 하였다. 시연수업은 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및 대용 부설초등학교 초등학교에서 실시하였으며 이는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제고는 물론 교수 자신의 교수법 강의에 대한 반성해 보도록 하였다. 대학교수들의 시연수업은 현장과 보다 밀접하게 연계한 강의를 하도록 함으로써 강의의 질 향상을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의 기간은 2006년 2학기부터 2007년 2학기까지 교육 실습 중 교수들이 각각 시연수업 18번과 12번 실시하여 시연수업과 실습 전반에 대한 반응을 설문 및 면담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과 현직교사들은 실습 중 대학교수의 시연수업에 대하여 강의시간에 강조한 것을 실제 현장에서 실제 수업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론과 실제가 어떻게 교실에서 구현이 될 수 있는지를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로 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첫째, 대학교수들의 초등학교에서의 시연수업은 대학에서의 이론과 현장의 실제 간의 연계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보았다. 그러나 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둘째, 보다 체계적인 교수 시연수업과 교육실습의 효율화를 위하여 실습 전담 교수제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셋째, 수업능력 향상을 위하여 교수 시연수업을 포함한 종합적인 교육정보를 제공할 실제적인 포털 사이트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teaching quality of teachers and professors using professors` demonstrative lessons. Two professors demonstrated their mathematics lesson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the pre-service students teaching periods. After their demonstrative lessons, the researchers surveyed and interviewed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achers, and parent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at the lesson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professors` demonstrative lessons shows some models of lessons and thus the pre -service teachers could have opportunities to connect theories to practices. Second, professors could reflect experiences on their lectures by learning students` thinking while teaching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In addition, professors could teach pre-service teachers practice -oriented lessons. Finally, professors` demonstrative lessons help refresh the atmospheres of schools by invigorating the life of students and teachers.

      • KCI등재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 탐색 : 초등사회과를 사례로

        오동주(Oh, Dong-Ju),황홍섭(Hwang, Hong-Seop)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시연을 통해 어떻게 수업전문성이 신장되는 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시연은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대학의 사회과 교재연구 강좌 시 3개학과 총 71명의 교대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마이크로티칭 절차는 크게 수업계획- 수업시연- 수업재시연의 3단계로 진행하였다. 각 단계마다 보다 원활한 진행과 의사소통을 위해 온라인 플랫폼으로 LMS(Learning Mangement System)와 온라인망으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적극 활용하였다. 수업시연을 통해 수업이 개선될 수 있도록 교과전문 교수(수업분석자)와 현장수업전문가는 예비교사들의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단계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해주었으며, 예비교사들도 마이크로티칭의 과정에 모두 참여하여 피드백을 해주며, 동료평가, 양적 및 질적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이크로티칭의 단계마다 반복적인 피드백과 훈련을 통해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학생들은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사회과 수업설계(수업안 작성), 수업시연, 수업성찰 및 재시연 등을 통하며, 자신의 수업계획과 수업 행동에 대한 교수, 현장전문가, 동료예비교사들로부터 피드백 및 평가를 받으면서 예비교사들은 사회과적 특성을 감안한 수업개선을 통해 전문성이 신장되었다. 둘째로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은 피드백에 있어서 적시성과 효과성이 뛰어나 사회과 현장수업에서 맞닥뜨리게 될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습 경험을 공유함과 더불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로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사회과 수업에 대한 반복된 훈련을 통해 사회과 수업에 대해서 자신감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2015개정 사회교과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 핵심개념, 기능 등의 학습요소에 대해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어 임용 2차시험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반성과 성찰의 기회를 얻은 예비교사는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예비교사는 반성적 실천가(reflective practitioner)로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room improvement using micro-teaching. The demonstration syllabus using micro-teaching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1 education students during the class of social studies and textbook research at the university where the researchers worked. In this course, micro-teaching was conducted us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SNS) to better connect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leanup steps. Professors (class analysts) and field experts provided feedback regarding the steps in the micro-teaching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 pre-service teachers also participated in all the micro-teaching processes, providing feedback, and conducted peer evaluation as well. The study provided direct experience to minimize the confusion encountered in the field, which is excellent in timeliness and effectiveness. Microteaching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 studies and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s. By using the microteaching method, pre-service teachers designed and demonstrated to the social studies class. Field experts and professors provided feedback on their teaching, which provided them with the increased confidence in the classes. In particular, the willingness to work to solve one’s problems through micro-teaching opportunities has strengthened the classroom empowerment of pre-service teachers as reflective practitioners.

      • KCI등재

        실제성 제고를 위한 모의 수업 시연 설계 시론 - 예비 교사의 국어과 모의 수업 시연 및 수업 실연 경험을 바탕으로

        백정이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국어과 모의 수업 시연 과제의 실제성을 제고하기 위하여,예비 교사가경험한 모의 수업 시연과 현장 수업으로 향하는 과정에 위치한 수업 실연에 대한 인식을 대비함으로써 경험 주체가 인식하는 수업의 실제성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일 학기에 모의 수업 시연과 수업 실연을 모두 경험한C교육대학교3학년 학생들이 두 경험 모두를 포함하여 작성한 성찰 보고서를 분석 자료로 삼았다. 수업 실연과 대비되는 모의 수업 시연 과제는 대여섯 명이 한 모둠을 이루어 국어과5개 영역 가운데 하나를 중복되지 않게 선택한 뒤 동료 예비 교사들이 학생으로 참여하는 가운데 온전한 한 차시의 수업을 생략 없이 진행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자기성찰지 분석에는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으며,국어과 수업 능력 범주가 코딩에 활용되어 각각에 대한 인식이 크게 ‘수업 설계 능력,수업 실행 능력,수업 개선 능력’의 세 범주에서 대비되었다.그 결과 이들 간 차이의 중심에 학습자와 수업 주체 간상호작용으로 인한 역동성이 있음을 확인하고,이를 중심으로 실제성이 점차 증가하도록 모의 수업 시연 과제를 네 단계로 제시하였다. 교사의 수업 능력과 교육 실습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보완적 수단으로서 모의 수업 시연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며,본 연구는 모의 수업 시연을체계화하려는 하나의 시도로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예비체육교사의 수업시연 경험을 통한 수업 전문성 신장 요인 탐색

        함지선(Ham, Ji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6

        본 연구는 직전교육에서 수업시연 경험을 통해 예비체육교사들에게 내면화 되는 수업전문성 신장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수업시연의 단계별 과정을 통한 예비체육교사들의 내면적 성장요인을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의 ‘체육교과교육론’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 2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수업시연 단계별 과정에서 수행된 여러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이 중, 3명을 재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설명적 사례연구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분석방법인 구조적 분석(structural analysis)과 해석적 분석(interpretational analysis)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로는 첫째, 수업시연 경험을 통해서 예비체육교사들은 효율적 수업전략에 대한 학습요인 및 반성적 사고 과정의 연습요인을 수업전문성 신장요인으로 내면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체육교사들은 수업시연 단계별 경험을 통해 자기 효능감 및 조망수용능력으로 해석, 범주화된 사회・심리적 발달 요인을 내면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예비체육교사들의 수업시연 경험은 수업전문성 신장요인을 내면화하는데 있어 절대적인 경험이라 할 수 있으며 예비체육교사들에게 수업개선을 위해 필요한 전문성 발달영역을 확인해 줄 뿐 아니라 직전 및 현직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준거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 depth how the factor of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ing in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e class demonstration experience in the previous education and to identify the internal growth factors of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e step.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20 learner who participated in the lecture on Physical education subject education of the researcher as a research participant and gathered various materials performed during the course demonstration step by step. The 3 students were re-elected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on the experien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al analysis methods, which are mainly used for explanatory case studies. Therefo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rough the class demonstration experience, th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ternalize the learning factors of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and the practice factors of reflective thinking process as the factor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pre - 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ternalized the factor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categorized by interpreting self - efficacy and vision receptivity through experience of class demonstration. Therefore, the experiences of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emonstration of class is an absolute experience in internalizing the factors of professionalism of the class, and it not only confirms the development area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necessary for improvement of classes to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ut also develops programs for In-service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