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어느 한 교사의 듣기·말하기 수업대화 분석

        박태호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3 敎育論叢 Vol.50 No.1

        이 연구에서는 수업대화 분석법을 활용하여 김 교사의 듣기?말하기 수업을 분석하였다. 수업 흐름별로 수업대화 목적과 전략 의 활용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첫째, 김 교사는 책임이양의 측면에서 수업운영을 잘 하였으나 교사 주도에서 머문 아쉬움은 있다. 둘째, 김 교사는 수업 흐 름별로 수업 운영 대화 전략을 학습 활동 절차에 맞게 적절히 사용하였다. 셋째, 정보전달에 입각한 교사주도의 수업을 하여, 부적절한 학생 반응에 대한 교사의 도움 제공(Scaffolding)이나 오답을 제시한 학생에 대한 오류 수정(Splicing) 활동은 미약하 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국어교육에서 수업대화 연구의 경향과 과제

        김주영(Kim Joo yo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purpose, object and method are used in classroom conversation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a comprehensive meta-analysis and to suggest tasks accordingly. The paper to be reviewed is 71 academic lecture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2003 to 2017. As a result of classifying according to the purpose of research, micro-dimension study of class conversation was the most. In the study subjects, most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in-service teache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method, empirical research using dialogue analysis method was the most common. The tasks of the class discussion research review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oncepts used in classroom conversation research and use it appropriately for research purposes, and to establish a classroom conversation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the subject of classroom conversation research should be extended to pre-teachers, new teachers, and career teachers, and the subjects should be expanded by research on teachers and students, students and stu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depending on the nature and purpose of research.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대화 연구가 국어교육 내에서 어떤 목적, 대상, 방법으로 연구되는지 종합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그에 따른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검토 대상 논문은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상반기까지 발행된 71편의 수업대화 연구 학술 논문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분류한 결과, 수업대화의 미시적 차원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 대상 검토에서는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연구 방법을 검토한 결과, 대화분석 방법을 사용한 실증적 연구가 가장 많았다. 수업대화 연구 검토를 통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대화 연구에서 사용하는 개념을 확립하여 연구 목적에 알맞게 사용하고, 국어교육에서 수업대화 연구가 자리매김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모으고 정비하여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를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둘째, 수업대화 연구의 대상을 교사는 예비 교사, 신규 교사, 경력 교사 등으로 구체화하고, 교사-학생, 학생과 학생에 대한 연구로 그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업대화의 기본 구조에 대한 유연한 태도와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수업대화 연구방법은 연구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의 대화분석 방법은 질적 연구 방식을 혼합하여 그 약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드라마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양상 - 바흐친의 대화주의 관점에서 -

        남미선 한국교육연극학회 2024 교육연극학 Vol.16 No.2

        본 연구는 실제 드라마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바흐친의 대화주의관점에서 관 찰하고 분석하여 드라마 수업의 특수성과 교육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바흐친은 인간 존재의 핵심 을 ‘대화’로 보고 대화를 매개로 개인과 사회, 문화의 본질적 관계와 속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는 각각 다른 초등학교 두 곳에서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하는 담임교사와 예술 강사의 드라마 수업 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수집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드라마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양상 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생은 현실과 허구가 공존하는 상황에서 상호작용한다. 둘째, 교 사와 학생은 작가(타자)-주인공-관객으로 다양한 역할을 입고 활발하게 소통한다. 셋째, 교사는 드라마 를 통해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변화시키고자 구심적 언어를 사용하고, 학생은 개인의 관심과 흥미, 상상 력을 마음껏 발산하는 원심적 언어를 사용한다. 넷째, 교사는 학생들이 경험을 표현하고 그 의미를 탐구 할 수 있도록 드라마 형식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드라마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민주적 소통과 학생 중심 교육 실천에 기여하고 있음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 연구가 드라마 수업을 통해 학생들 과 진정한 소통과 동반적 성장을 추구하는 교사들의 드라마에 대한 이해 및 수업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specificity and educational meaning of drama classes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actual classes from the perspective of Bakhtin's dialogism. Bakhtin viewed ‘dialogue as the core of human existence’ and sought to understand the essential relationships and attributes of individuals, society, and culture through dialogue.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wo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targeting drama classes by a classroom teacher and a TA in charge of school arts education. The interac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drama classes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nd students interact in a situation where reality and fiction coexist. Second, teachers and students actively communicate while wearing various roles as writer (other), protagonist, and audience. Third, teachers use centripetal language to chang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through drama, and students use centrifugal language to freely express their individual interests, interests, and imagination. Fourth, teachers provide a dramatic format for students to express their experiences and explore their meaning. This study sought to reveal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drama classes contributes to democratic communication and student-centered teaching practic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strengthening the understanding of drama and teaching abilities of teachers who pursue true communication and shared growth with students through drama classes.

      • KCI등재

        관계 지향의 교사 화법을 위한 국어 교사의 수업 대화 유형 및 특징 연구

        김윤경,백목원,정경화,류선옥,황혜린,임영주,권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수업 대화에 나타난 교사의 수업 대화 유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유형별 특징을 도출한 연구이다. 10년 이상 경력의 중학교 국어 교사 2명, 고등학교 국어 교사 2명, 총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2차시씩 총 8차시의 수업을 녹화하 면서 참여관찰하였다. 이 수업을 전사, 분석하였다. Salda?a의 1차/2차 주기 코딩 방법에 따라 질적 자료 분석 도구인 Nvivo11 을 활용하여 전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수업 대화를 그 목적에 따라 학습 대화와 생활 대화로 나누어 설계하였으 며, 학습 대화는 전달-소통의 축으로, 생활 대화는 과업-관계의 축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4명의 교사 중 2 명은 A형(전달-과업 중심), 2명은 B형(소통-과업 중심)으로 나타났다. C형(전달-관계 중심)과 D형(소통-관계 중심)은 나타나 지 않았다. A형과 B형 모두 과업 중심의 생활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우리나라 수업 대화가 과업 중심적 대화가 두드러지는 양상이 있으며 관계 중심적 대화가 현격하게 부족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 는 교사를 매개로 한 학생과 세계와의 인격적 만남이므로, 관계 지향의 교사 대화법이 이루어져야 한다. 앞으로 교사 대화 법의 개선을 위한 연구와 실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담론과 대화의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 속담 수업 연구

        김금숙(Kim, Gum-Su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국어 속담 수업을 위한 새로운 수업 모형을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계획 단계, 교실 수업 단계, 외부(교실 밖)로의 확장 단계로 구성된 담론과 대화의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속담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은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구체적인 수업 방식은 학습자 간의 대화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단계별로 구체적인 수업 장면들을 분석하면서 속담 수업에서 담론과 대화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 효과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수업 장면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학습자들은 담론의 정보 전달을 통해 속담의 언어적 의미와 문화적 요소들에 대해 잘 이해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대화를 통해서는 학습자들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지식과 문화적 배경들이 한국 속담과 어우러져서 보다 풍부한 한국어 수업이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학습자들은 과제를 통해 담론과 대화를 교실 밖, 외부 상황으로 확장시켜 나가면서 속담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표현 능력까지 기를 수 있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수업 모형은 속담이 지닌 가치를 잘 활용하면서 학습자들의 역량을 이끌어내는 데 유용한 면을 많이 지니고 있었다. 단순히 속담을 배우는 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교실에서 배운 속담을 더 잘 이해하고, 속담을 활용해서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데까지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new teaching model for using proverbs in Korean conversation classes and applying it in practice in teaching sites to verify its efficacy. To this end, the study organizes the proverb based class model into a planning phase, a classroom phase and an extracurricular phase based. The teaching method for this class focuses on dialogue amongst advanced learners. The analysis of the class is as follows: it is verified that proverb based classes were somewhat effective at achieving its goals. First, the learner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ultural context and meaning of the proverbs through discussions. Also, based on dialogues among the learners, they were able to exte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in various ways. They voluntarily extended these discussions and use of the proverbs to activities outside the classroom. Based on this, they were able to improve their Korean ability and expand their 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the use of Korean proverbs in a variety of indirect experiences.

      • KCI등재

        교사 양성대학 학생의 교수화법 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 과제

        이창덕 ( Chang Deok Lee ) 한국화법학회 2014 화법연구 Vol.0 No.25

        이 글에서는 교사 양성기관 학생들의 교수화법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교수화법의 개념을 정리하고, 교수화법의 하위 능력 범주를 설정한 후 교사 양성대학 학생과 교사들의 교수화법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를 논의했다. 교사가 교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말하게 되는 전반적인 화법을 넓은 의미의 교사화법으로 규정하고, 그 하위범주로 교사 사회화법, 교사 학교화법, 교사 교실화법으로 나누었다. 그 가운데 수업화법이 교사 양성기관 학생들이 길러야 할 핵심 화법임을 강조하고, 수업화법 능력 요소를 점검한후, 해결할 과제로 교사 수업 화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강화, 교사수업 화법 자료의 체계적 수집과 분석, 교사 양성과 연수 과정에서 교수화법 과목 개설과 함께 교수화법에 관한 이론과 실기 교육을 위한 체계적 지원 체계 확립을 주장했다. 교사 교육에서 교사들의 수업화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교사 양성 과정의 핵심 과제이고 또한 효과적으로 목표 달성이 가능한 과제이다. 교실 현장의 수업대화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들에 대한 연수와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현재 교실 수업의 많은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업대화 분석을 통한 수업 평가와 분석은 그 신뢰도가 높고, 관찰과 분석의 층위에 따라 교사 수업 화법 능력을 미시적으로, 거시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가지고 교사들의 수업 화법의 문제를 점검하고 개선하게 하는 교육을 할 수 있다. 효과적인 교사화법 교육을 위해서는 각 교대와 사범대학, 교육대학원, 교육연수원에 교사 수업화법 과목을 개설하고, 교육 내용과 방법, 교육 목적과 학습자 특성 등에 맞춘 맞춤형 교수화법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교실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업 대화를 분석한 결과를 체계적 교육 요소로 나누어 교실 수업 운영자로서 교사의 교실 상호작용을 다루는 교육이 이루어지면 현재보다 더 나은 교사 수업 운영 능력이 길러질 것이다. 하루가 다르게 우리 사회의 교육 환경이 달라지고, 교육에 대한 인식과 패러다임이 학습자 중심, 탐구 중심, 협동 학습 등으로 달라지면서 수업대화 연구 또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고 또 그렇게 될 것이다. 수십년 동안 교실 대화를 연구한 선진국에서조차 교실 대화 분석은 이제 표면을 긁는 정도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앞으로 연구할 부분이 많고, 교실의 대화적 상호작용은 복잡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한국의 각 급학교의 교실 대화도 이제 본격적 자료 수집과 분석, 연구와 교육이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고 본다. Recently research on the teachers` roles in classroom interaction has steadily increased particularly in the area of oral competency while teaching and managing the class. Much of the research stresses the importance of classroom interaction analysis and teacher education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education. In this paper, I discuss the concept of oral 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teachers and I systemize the competencies into three categories; epistemological, linguistic, and in social communicative ability. I emphasis the need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classroom oral interactions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ies in classroom management and teaching. For the most part of efficiency during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depends on the teacher`s mind to their students and on the teacher`s ability for their subject. Teachers` attitudes towards students and the language they use to communicate with them is critical to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I suggest that educational community needs to take steps to improv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y in the classroom. First, a strong awareness of the need for more extensive research in this critical area should be encouraged. Secondly, a systematic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relevant to classroom conversations should be established. Thirdly, effective and reliable programs focusing on effective teacher communication should be offered in all colleges and institutions offer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Finally, a collaborative committee comprised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uthorities should be establish to review, research, and implement appropriate strategies for effective teacher communicative competency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cent interest in teacher communicative ability in the classroom, a greate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very utterance and sequence in classroom interactions is beginning to be analyzed relevant to the learner centered approach. I expect that there will be a growing abundance of literature in this area in the very near future.

      • KCI등재

        관계 지향의 교사 화법을 위한 국어 교사의 수업 대화 유형 및 특징 연구

        김윤경,백목원,정경화,류선옥,황혜린,임영주,권순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수업 대화에 나타난 교사의 수업 대화 유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유형별 특징을 도출한 연구이다. 10년 이상 경력의 중학교 국어 교사 2명, 고등학교 국어 교사 2명, 총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2차시씩 총 8차시의 수업을 녹화하면서 참여관찰하였다. 이 수업을 전사, 분석하였다. Saldaña의 1차/2차 주기 코딩 방법에 따라 질적 자료 분석 도구인 Nvivo11을 활용하여 전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수업 대화를 그 목적에 따라 학습 대화와 생활 대화로 나누어 설계하였으며, 학습 대화는 전달-소통의 축으로, 생활 대화는 과업-관계의 축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4명의 교사 중 2명은 A형(전달-과업 중심), 2명은 B형(소통-과업 중심)으로 나타났다. C형(전달-관계 중심)과 D형(소통-관계 중심)은 나타나지 않았다. A형과 B형 모두 과업 중심의 생활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우리나라 수업 대화가 과업 중심적 대화가 두드러지는 양상이 있으며 관계 중심적 대화가 현격하게 부족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교사를 매개로 한 학생과 세계와의 인격적 만남이므로, 관계 지향의 교사 대화법이 이루어져야 한다. 앞으로 교사 대화법의 개선을 위한 연구와 실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in-class conversation methods. A total of 8 classes of 4 Korean language teachers − 2 middle school teachers, and 2 high school teachers − that have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ere recorded and observed. Their classes were then tran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Saldaña’s first and second cycle coding, this study used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tool Nvivo11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the conversations during class were divided into learning conversations and living conversations according to their purpose. The learning-related conversations were then analyzed by the delivery–communication axis while the living conversations were analyzed by the task-relationship axis. As a result, 2 out of the 4 teachers were found to be Type A (delivery-task) and 2 were Type B (communication-task). No one belonged to Type C (delivery-relationship) and Type D (communication-relationship). Most of the high school teachers belonged to Type A while the middle school teachers belonged to Type B. Both Types A and B were found to have living conversations focusing on tasks, and such results prove that conversations during class tend to be task-focused, which conversely evidences a significant lack of relationship-focused conversations in Korea. A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form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world with the teacher acting as a medium. This study thereby argues that teachers should use more relationship-oriented conversations in the classroom. In the future, more research and action should go hand in hand to improve teachers’ class conversation.

      • KCI등재

        국어교육과 수업대화 분석

        이수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3 No.1

        참된 교육은 교사가 학습자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일방적 강의가 아니라, 교사와 학습자가 상호작용하는 대화이다. 수업 장면에서 교사와 학생들의 의사소통 과정은 매우 다양하고 중요하며, 그 의사소통의 양상을 이해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최근 교육학에서는 수업대화 또는 수업 담화, 즉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연구자(고창규; 1986, 신혜숙: 1987, 김상희; 1995, 최진희; 1997)들이 수업 언어의 특성에 대한 탐색은 수업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 작업이 되며, 수업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효율성에 관한 논의가 가능해진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s purpose is exploring what instructional conversation\ s analysis mean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ing the viewpoint of exploring. First, I reviewed the two-sides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and made a definition of i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 instruction has the complicate and various components, so we have to find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analysis methods to interpret it for the teacher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that can decide the quality of the instruction is the instructional conversation. We need to investigate it to discover and solve the instruction\ s problem. So I reviewed the sociolingustics, dialogue analysis theory, and teaching-learning theory that influence the instructional conversation\ s analysis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ssitance reciprocally. And I suggested that we have to use them inter-disciplinar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ther words, we need to use results of studies by sociolingustics, dialogue analysis theorists, and teaching-learning theorists for more elaborate analysis. But we have to consider viewpoint of language education in all process that collect, script, analyze, and interpret the data of instructional conversation. Then we will be able to get meaning result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대화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김호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수업상황에서 유치원 교사들은 어떤 수업대화를 중요하게 인식하는지와 그 수업대화에 대한 자신들의 실행수준은 어느 정도인지를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의 수업대화 측면에서 향후 개선 노력해야 할 항목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96명의 유치원 교사였고, 연구도구는 김호(2015)가 개발한 유아교사의 수업화법 능력 평가 도구 설문을 활용하였다. 유치원 수업대화에서 나타난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평정한 자료를 수집하고, 대응표본 t검증과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경청하기, 격려와 칭찬하기, 동기유발하기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피드백하기와 질문하기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도 측면에서는 유치원 교사들은 설명하기에서 가장 높은 실행도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격려와 칭찬하기, 경청하기, 동기유발하기, 피드백하기, 질문하기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효율적인 수업대화에 대한 IPA 분석 결과, 향후 개선노력을 집중해야 할 항목으로는 유아의 대답에 따뜻하게 반응하기, 개방적인 질문 자주 사용하기, 자료나 매체 적절하게 사용하기, 유아의 내적 동기 유발하기 항목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and implement class convers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6 kindergarten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by evaluating perceiv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items shown in the kindergarten class conversation,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at listening, encouraging & praising and motivating are important, while feedback and questioning are relatively less important. In terms of performan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that the areas of highest performance in explaining, followed by encouragement & praise, listening, motivation, feedback, and questioning. Second,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of the kindergarten teacher 's class conversation, the area in need of improvement efforts include warm response to the children’s response, frequent use of open questions, and appropriate use of data and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