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포늪에서 수생 및 숩생 관속식물의 식물상, 현존식생도 및 1차 생산

        강민정,김철수,오경환 한국습지학회 2007 한국습지학회지 Vol.9 No.2

        우포늪에서 2005년 5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식물상과 생활형별 분포 현황, 현존식생도 및 생활형별 분포 면적, 생활형별 연순생산성 및 1차생산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은 우포 263종류, 목포 233종류, 사지포 244종류, 쪽지벌 182종류, 토평천 상류 190종류, 토평천 하류 178종류 등으로 85과 224속 287종 42변종 4품종 등 총 333 종류가 확인되었다. 관속식물을 생활형별로 구분하면 수생식물 38종류, 습생식물 108종류, 육상식물 187종류 등이고, 수생식물을 생활형별로 구분하면 정수식물 20종류ㆍ부엽식물 6종류ㆍ부수식물 5종류ㆍ침수식물 7종류 등으로 구분되었다. 우포늪의 식물군락은 27개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군락별 분포 면적은 마름-붕어마름 군락이 60.64 ha로 가장 넓고, 다음으로 생이가래-붕어마름 군락 32.91 ha, 줄 군락 30.05 ha 등의 순이었으며 생활형별로는 부수식물이 차지하는 면적이 172.6 ha(47.9%)로 가장 넓었다.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1차 생산량은 총 1,383.3 ton이고, 그 중 수생식물은 정수식물 564.1 ton(40.8%), 부수식물484.1 ton(34.9%), 부엽식물 146.7 ton(10.6%), 침수식물 1.3 ton(0.5%) 등의 순이었으며, 습생식물의 1차생산량은 182.1 ton(13.2%)이었다. 이들 수생 및 습생식물들은 대부분 현재의 늪 환경에 적응된 종이므로 늪의 육상화가 진행될 경우 종조성의 변화를 포함하여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이 예상되므로 늪의 보전 대책 및 보존 방안이 요망된다.

      • 광주지역 황룡강 수계의 식물상

        조원철,임동옥 호남대학교산업기술연구소 2011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17 No.2

        본 논문은 2008년 3월부터 10월까지 황룡강 수계 중 광주광역시에 포함된 총 7개 조사지역에서 식물상과 수생식물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식물상은 81과 220속 279종 37변종 1품종으로 총 317종류가 확인되었다. 수생식물은 30과 55속 67종 8변종으로 총 75종류가 나타났으며, 생육환경별 조건에 따라 수생식물 중 정수식물 22종, 부엽식물 7종, 침수식물 7종, 부유식물 2종 및 습생식물 37종이 각각 확인되었고,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산림청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로는 자라풀 1종이 확인되었다. 각 조사지역에서 조사된 귀화식물은 14과 40속 46종 3변종으로 총 49종류가 확인 되었으며, 평균 도시화지수는 18.4%, 귀화율은 15.5%였다. 주요어: 황룡강, 수생식물, 멸종위기종, 귀화식물 This study was identified on the flora and distribution of hydrophytes of the 7 sites selected in Hwang-Yong River through Gwangju from March to October, 2008. In this survey, flora were identified as 317 taxa; belonging to 81 families, 220 genera, 279 species, 37 varieties and 1 forms. Rare and endangered plants selected by Forest Ministry were appeared Hydrocharis dubia. The hydrophytes were classified 75 taxa; 30 families, 55 genera, 67 species and 8 varieties. Among the hydrophytes emerged plants were 22, floating-leaved plants were 7, submerged plants were 7, free floating plants were 2 and swamp hydrophytes were 37 species respectively in Hwang-Yong Riv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elp protect Endangered Species has not been verified, Specify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the Forest Service check out a piece of paper was Hydrocharis dubia.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49 taxa;14 families, 40 genera, 46 species and 3 varieties. The urbanization index(UI) was 18.4% and the urbanization rate(NR) was 15.5% of which were investigated 7 each sites. Key words: Hwang-Yong River, Hydrophytes, Endangered Species, Naturalized Plants

      • KCI등재

        정원내 가시연꽃(Euryale ferox Salisbury)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식물상과 식생을 중심으로-

        이석우 ( Suk Woo Lee ),노재현 ( Jae Hyun Rho ),오현경 ( Hyun Kyung Oh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가시연꽃(Euryale ferox Salisbury)을 구성종으로 하는 연못의 식재기반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 획득을 목적으로, 전라북도 내의 가시연꽃 자생지 14곳에 대한 문헌 및 현장조사를 통해 자생지 식물상과 식생환경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시연꽃 생육지 14곳의 전체 식물상은 79과 211속 298종 2아종 30변종 6품종으로 총 33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정수성 수생식물은 17분류군, 부엽성은 가시연꽃을 포함하여 7분류군, 부유성은 5분류군 그리고 침수성 수생식물은 2분류군으로 분류되었다. 수생식물만을 대상으로 한 유사도분석 결과, 가장 유사도가 높은 정읍 한성지와 고창 석남저수지에서는 가시연꽃 이외에 부엽성식물로 연꽃과 마름이 동일하게 서식하고 있다. 따라서 가시연꽃을 주소재로 한 연못 조성시 연과 마름은 동반식물로서 생태적 지위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2. 생육형별 수생식물의 출현빈도를 살펴보면, 가시연꽃 이외에 정수성식물인 뚜껑덩굴과 갈대가 각각 11회 출현하여 78.6%의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부엽성 수생식물인 마름이 10회(71.4%), 줄이 8회(57.1%) 출현하였다. 이밖에 고마리, 겨풀, 마름, 개구리자리, 물피, 매자기, 연꽃, 어리연꽃의 순으로 출현율이 높았다. 3.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조사대상 가시연꽃 생육지에서 발견된 희귀식물은 가시연꽃과 함께 취약종(VU)인 통발, 이외에 약관심종(LC)인 새박, 자라풀, 물질경이 등 3분류군으로 도합 5분류군이 확인되어 가시연꽃 활용 연못시 도입이 가능한 희귀식물로 분류되었다. 4. 가시연꽃 자생지의 군락유형은 대부분 가시연꽃군락이었으며 군산의 대위저수지는 마름+가시연꽃+어리연꽃군락으로 정의하였다. 자생지별 가시연꽃의 녹피율은 0.03에서 36.50으로 상당히 큰 편차를 보였으며 평균 녹피율은 9.8로 계상됨에 따라 연못 조성시가시연꽃의 녹피율을 10% 이하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판단된다. 5. 조사대상지별 가시연꽃 자생지와 인접한 식생군락으로는 나도겨풀군락 3개소, 마름군락과 줄군락이 각각 2개소, 연꽃군락, 어리연꽃+부들군락, 마름+연꽃군락, 자라풀군락, 나도겨풀+털물참새피군락 1개소 그리고 가시연꽃+마름군락 1개소 등으로 각 저수지마다 입지조건 등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가시연꽃을 주요 구성종으로 하는 연못의 식재설계시 동반부엽식물의 선정 및 식피율 배분에 반영해야 할 지침으로 제안한다.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vegetation environment, flora of habitats through documentary and field studies over 14 habitats of Euryale ferox Salisbury within Jeollabukdo, with the objective of acquiring the basic data for forming an environment based on plantation of reservoirs that are composed with Euryale ferox,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entire flora of the 14 habitats appeared to be 79 families, 211 genus, 298 species, two subspecies, 30 varieties and six forma, thus, a total of 336 taxa was confirmed. Among these, emergent water plants appeared to compose 17 taxa, floating-leaved plants to compose seven taxa including Euryale ferox floating plants to compose five taxa and submerged water plants to compose two tax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milarity only over the water plants. The lowest similarity rate appeared between Gamdong Reservoir and Aedang Reservoir, as the similarity rate between the two regions appeared to be 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loating-leaved plants, lotuses and caltrops, appeared to be equally inhabiting in Hanseongji at Jeongeup and Seoknam Reservoir at Gochang, which showed the highest similarity rate, in addition to Euryale ferox. 2. When examining the appearance frequency of aquatic plants per growth type, Actinostemma lobatum and Phragmites communis, in addition to Euryale ferox each appeared 11 times, showing a high frequency of 78.6% and Trapa japonica, which is a floating-leaved water plant, appeared ten times(71.4%) and Zizania latifolia appeared eight times(57.1%). In addition, the appearance rate appeared to be high in the order of Persicaria thunbergii, Leersia sayanuka, Ceratophyllum demersum, 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Scirpus maritimus, and Nelumbo nucifera. 3. The rare plants discovered in the Euryale ferox habitats pursuant to the IUCN evaluation standards was confirmed to be composed of five taxa, with three taxa including the least concerned species(LC), Melothria japonica at Yanggok Reservoir, Hydrocharis dubia at Myeongdeokji and Ottelia alismoides at Daewi Reservoir, in addition to vulnerable species(VU), Utricularia vulgaris at Sangpyeong Reservoir, along with Euryale ferox. 4. Most of the group or community types of the natural habitats of Euryale ferox appeared to be the Euryale ferix community’ and the Daewi Reservoir of Gunsan was defined as caltrop + Euryale ferox + Nymphoides indica community. The green coverage ratio of Euryale ferox per natural habitats showed a considerably huge deviation from 0.03 to 36.50 and as the average green coverage ratio was appropriated as 9.8, it can be considered that maintaining the green coverage ratio of Euryale ferox in a 10% level would be advisable when forming a reservoir with Euryale ferox as the key composition species. 5. The vegetation community nearby the natural habitats of Euryale ferox per research subject area appeared to be composed of three Leersia japonica communities, two communities each for Zizania latifolia community and Trapa japonica community and one community each for Nelumbo nucifera community, Nymphoides peltata + Typha orientalis community, Trapa japonica + Nelumbo nucifera community, Hydrocharis dubia community, Leersia japnica +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community and Euryale ferox + Trapa japonica community, showing a sligh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ocation conditions of each reservoir. Thus, this result may be suggested as a guideline to apply when allocating the vegetation ratio and the types of floating-leaved plants upon planting plants in reservoirs with Euryale ferox as the main companion species.

      • 우포늪과 토평천의 식물상

        오경환,김철수,이팔홍,손성곤 한국습지학회 2004 한국습지학회지 Vol.6 No.3

        우포늪 및 우포늪과 수문학적으로 연관된 토평천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상과 홍수시 유량 변화에 따른 식물종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우포 256종류, 목포 242종류, 사지포 265종류, 쪽지벌 177종류, 토평천 상류 201종류, 토평천 하류 180종류 등으로서 모두 86과 232속 302종 42변종 6품종 등 총 350종류가 확인되었는데, 수생식물 36종류, 습생식물 96종류 및 육상식물 218종류였다. 수생식물을 생활형별로 분류한 결과는 정수식물 19종류, 부엽식물 6종류, 부수식물 4종류, 침수식물 7종류 등이었다. 우포늪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중 법적 보호종 및 기타 보호 가치가 있는 식물로는 가시연꽃, 자라풀, 창포, 쥐방울덩굴, 물여뀌 등이었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우포늪 27종류, 목포 25종류, 사지포 35종류, 쪽지벌 21종류, 토평천 상류 26종류 및 토평천 하류 24종류이며, 우포늪 전체로는 43종류였는데 이는 우포늪 전체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의 12.3%에 해당한다. 홍수시 유량 변화에 따른 식물종의 분포 변화 양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장마 전․후를 중심으로 관속식물의 분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장마 전에는 165~244종으로서 총 299 종류였고, 장마 후에는 86~212종으로서 총 299 종류로서 6개 조사 지소 모두 장마 전의 분포 종수가 장마 후보다 많았으며, 전체 분포 종수는 장마 전 및 후 모두 299 종류로 같았다. 장마 전 및 장마 후를 기준으로 관속식물의 생활형별 분포 종수를 조사한 결과 수생식물, 습생식물 및 육상식물의 장마 전 분포 종수는 33, 83 및 183종류였고, 장마 후에는 29, 83 및 187종류였다. 그리고 수생식물의 경우 생활형별 분포 종수도 장마 전과 장마 후의 분포 상황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이 장마 전과 장마 후의 전체 분포 종수 및 생활형별 분포 종수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은 조사 지역에 분포하는 수생 및 습생식물들이 대부분 늪의 수위 변동에 적응된 종들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우포늪과 토평천의 습지가 훼손될 경우 각종 악영향이 예상된다. The flora of the vascular hydrophytes and hygrophytes and the change of flora according to the fluctuation of the water level before and after flooding were investigated from September 2002 to October 2003 in Woopo Wetland and Topyeong Stream,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Korea. The flora of the Woopo, Mokpo, Sajipo, Jokjibyeol, Topyeongcheon Upstream, and Topyeongcheon Downstream were composed of 256, 242, 265, 177, 201, and 180 taxa, respectively. The flora of total study area was 86 families, 232 genera, 302 species, 42 varieties, 6 form, or total 350 taxa. Among them, hydrophytes, hygrophytes, and others were 36, 96, and 218 taxa, respectively. The life form of the vascular hydrophytes was classified as 19 taxa of emergent plants, 6 taxa of floating-leaved plants, 4 taxa of free-floating plants, and 7 taxa of submersed plants. The specified wild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Environment were Euryale ferox, Hydrocharis dubia, Persicaria amphibia,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And Aristolochia contorta was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The floras of the naturalized plants of the Woopo, Mokpo, Sajipo, Jokjibyeol, Topyeongcheon Upstream, and Topyeongcheon Downstream were composed of 27, 25, 35, 21, 26 and 24 taxa, respectively. The flora of the naturalized plants of total study area was 43 taxa, this equalled 12.3% of total vascular plants in the study area. And 165~244 taxa were surveyed in the each study area before flooding, total 299 taxa, and 86~212 taxa after flooding, total 299 taxa. Among them, hydrophytes, hygrophytes, and others were 33 and 29, 93 and 83, 183 and 187 taxa before and after flooding,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flooding, the species number of emergent plants, floating-leaved plants, free-floating plants, and submersed plants was nearly the same.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Ministry of Forest, and Ministry of It was guessed that vascular hydrophytes and hygrophytes adapted to fluctuation of the water level in the study area.

      • 장척호의 식생

        김인택,정선우,박정원 한국습지학회 2005 한국습지학회지 Vol.7 No.1

        본 조사는 2004년 4월 1일부터 2005년 2월 28일까지 10개월간 장척늪(경남 창녕군 대합면)에 대하여 서식환경, 대형수생식물분야를 기초조사한 것이다. 장척호의 관속식물상은 14과 17속 18종으로 조사되었고 이중 습생식물이 2과 2속 2종, 정수 성수생식물이 3과 5속 6종, 침수성수생식물이 1과 1속 1종, 부엽성수생식물이 5과 5속 5종, 부유성수생식물이 2과 3속 3종으로 나타났다. 생활형 내에서의 우점도는 연꽃과 마름, 갈대, 나도겨풀이 가장 높아 그 우점도는 5 정도이고, 붕어마름과 자라풀도 높게 나타났지만 저수지 일부분에 국한되어 분포하므로 그 우점도는 1 정도이다. 장척호의 식생은 5개 군락으로 조사되었고 수면부에는 거의 전 수면에 마름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변부를 따라서 자라풀이 흔히 혼생한다. 서쪽 수변부에는 갈풀군락이 형성되어 있고 남쪽 댐주변과 북쪽 마을주변에는 연꽃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동쪽 영산휴게소 인근 만곡지점에 는 갈대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변을 따라 물억새군락이 대상으로 산재분포한다. 나도겨풀군락(Leersia japonica Community)의 우점종인 나도겨풀의 건중량은 85.91g/㎡이고, 밀도는 1,730.40개/㎡이다. 마름군락(Trapa japonica Community)의 우점종인 마름의 건중량은 36.25g/㎡이고, 밀도는 15.20개/㎡ 이다. 연꽃군락(Nelumbo nucifera Community)의 우점종인 연꽃의 건중량은 30.59g/㎡이고, 밀도는 11.20개/㎡이다. 물억새군락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의 물억새는 건중량이 180.50g/㎡이고, 밀도는 124.80개/㎡로 나타났다. 갈대군락(Phragmites communis Community)의 우점종인 갈대의 건중량은 159.50g/㎡이고, 밀도는 60.00개/㎡이다. The flora and vegetation of Jang-cheok wetland (Gyeong-nam) was investigated from April 1. 2004 to Feburary 28. 2005. The vegetation plants collected from this area were 18 taxa : 18 species 17 genera 14 families. Hygrophtes were 2 species 2 genera 2 families. Emergent plants were 6 species 5 genera 6 families. Submersed plants were 1 species 1 genera 1 families. Floating-leaved plants were 5 species 5 genera 5 families. Free-floating plants were 2 species 3 genera 2 families. Dominance of life form was investigated Trapa japonica, Phragmites commnis, Leersia japonica by 5 dominance values and Hydrocharis dubia, Ceratophyllum dmersum were 1 dominance values. The community was investigated 5 communities : Leersia japonica community. Trapa japonica community. Nelumbo nucifera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Dominance species(Leersia japonica) of Leersia japonica community was investigated 1,89g/㎡(Dry weight) and 1,730ind./㎡(Density). Doninance species(Trapa japonica) of Trapa japonica community was investigated 36,25g/㎡(Dry weight) and 15.20ind./㎡(Density). Dominance species(Nelumbo nucifera) of Nelumbo nucifera community was investigated 30.59g/㎡(Dry weight) and 11.20ind./㎡(Density). Dominance species(Miscanthus sacchariflorus)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was investigated 180.50g/㎡(Dry weight) and 124.80ind./㎡(Density). Dominance species(Phragmites communis) of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was investigated 159.50g/㎡(Dry weight) and 60.00ind./ ㎡(Density). The predominant species of this area was investigated Trapa. Japonica and the other communities was only small area in the waterside area.

      • KCI등재

        제주도의 수생 및 습생 식물상

        강대현,임은영,문명옥 한국식물분류학회 2015 식물 분류학회지 Vol.45 No.1

        본 연구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수생 및 습생 식물의 식물상을 규명하고, 습지환경의 식물종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야외 조사는 제주도 전 지역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4년 9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본 식물상 연구를 통해 확인된 습지식물은 총 52과 98속 181종 6변종 2품종 189분류군이었다. 이 중 총 38과 60속 96종 3변종 99분류군이 수생식물로, 23과 45속 85종 3변종 2품종 90분류군이 습생식물로 나타났다. 또한 사초과 식물인 Eleocharis × yezoensis H. Hara를 한국미기록식물로 보고하였다. 조사된 식물 중 환경부지정보호야생식물은 순채, 전주물꼬리풀 등 5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멸종위기종은 위급종이 제주고사리삼 1분류군, 위기종이 물까치수염 등 5분류군, 취약종이 대구돌나물 등 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이 10분류군, IV등급이 7분류군, III등급이 15분류군, II등급이 5분류군, I등급이 7분류군으로 총 4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8과 9속 9종 1변종 1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습지는 식물종다양성이 매우 높고, 희귀식물 및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식물 등이 다수 분포하여 식물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습지 및 종의 보존을 위한 구체적인 보호 및 관리 체계의 수립이 요구된다. This study presents a comprehensive account of the flora of hydrophytes and hygrophytes on Jeju Island. This approach aims to contribute to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the conservation of plant diversity in wetlands. Field surveys were carried out from May of 2010 to September of 2014 in various types of wetlands on Jeju Island. A total of 189 taxa, including 52 families, 98 genera, 181 species, 6 varieties, 2 forma and 189 taxa, were found. Among them, 99 taxa (38 families, 60 genera, 96 species and 3 varieties) were hydrophytes and 90 taxa (23 families, 45 genera, 85 species, 3 varieties and 2 forma) were hygrophytes. In addition, Eleocharis × yezoensis H. Hara (Cyperaceae) was newly added to the flora of Korea. The protected wild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were 5 taxa, including Brasenia schreberi J. F. Gmel. and Dysophylla yatabeana Makino. The endangered species found included one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i.e., Mankyua chejuense B.-Y. Sun, M. H. Kim & C. H. Kim), 5 Endangered Species (e.g., Lysimachia leucantha Miq.) and 7 Vulnerable Species (e.g., Tillaea aquatica L.).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44 taxa comprising 10 taxa of grade V, 7 taxa grade IV, 15 taxa of grade III, 5 taxa of grade II, and 7 taxa of grade I. The identified naturalized plants were 10 taxa; 8 families, 8 genera, 9 species and 1 variety. In the wetlands on Jeju Island, high plant species diversity was shown, and a number of rare plants and phytogeographically important plants were found. For these reasons, we consider that the wetlands on Jeju Island are very important areas from a botanical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fic protection and maintenance policies in an effort to conserve these wetlands and species.

      • KCI등재

        얕은 습지에서 환경 요인에 따른 어류상 분포 특성

        최종윤 ( Jong Yun Choi ),조현빈 ( Hyunbin Jo ),김성기 ( Seong Ki Kim ),라긍환 ( Geung Hwan La ),주기재 ( Gea Jae Jo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3

        얕은 습지에서 환경 요인에 대한 어류의 분포와 종 조성을 평가하기 위해, 2012년 봄철(5~6월)에 경상남도에 위치한24개의 습지에서 이화학적 요인, 수생식물, 어류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20종의 어류가 동정되었으며,잉어과 어류가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요인 및 수생식물 생물량은 조사 지점에 따라 상이하였으며,특히 수생식물 생물량은 어류 풍부도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었다(df=1, F=32.00, P=0.001). 조사 지점간에 군집 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사 지점들은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또한 수생식물 생물량에 대한 영향으로 분석되었다. 첫 번째 집단의 습지에서는 검정우럭과 어류인 블루길에 의해서 우점되었으며, 그 외 어류 군집은 거의 출현하지않았다. 두 번째 집단은 주로 잉어과 어류인 붕어가 우점한다는 점에서 첫 번째 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세 번째 집단에 속한 습지에서는 첫 번째 집단과 비슷하게, 블루길이 우점하였으나, 다른 어류 종 또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얕은 습지에서 어류 군집의 분포와 종 다양성은 수생식물의 생물량에 의해 강하게 영향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수생식물의 높은 생물량은 어류의 높은 풍부도 유지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습지를 복원하거나 새롭게 조성할 때 수생식물의 적절한 식재는 어류의 종 다양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며, 어류가 수생태 먹이망 내에서 최상위포식자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먹이망의 건강성 유지에도 필수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shallow wetlands that might be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arameters, macrophytes biomass, and fish assemblage in 24 shallow wetlands in South Korea from May to June, 2012. In this study, a total of 20 fish species were identified, and Cypinidae were found to be the most dominant species.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macrophyte biomass were different in the survey sites, and macrophytes biomass, in particular,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sh abundance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df=1, F=32.00, P=0.001).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between survey sites, the survey sit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 accordance with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relation to macrophytes biomass. In the wetlands of the first group, Lepomis macrochirus which belongs to Centrarchidae was found to be dominant and other fish assemblages were hardly seen. In the second group, unlike the first group, Carassius auratus that belongs to Cypinidae was found to be dominant. In the third group, Lepomis macrochirus was found to be as dominant as the first group but various other fish species appeared. Where there was abundance of the main food sources (i. e. zooplankton) of fish in the survey sites, there were more diverse macrophyte biomass. Consequently, it is proven that macrophytes strongly affect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nd high biomass of macrophytes support high assemblage of fish. Based on these results, we recommend establishing diverse aquatic macrophytes communities when restoring or creating wetlands to assure high diversity of fish species that use macrophytes as their habitat.

      • KCI등재

        강원도 골지천유역의 관속식물상

        김중현,김진석,김선유,이병윤 한국식물분류학회 2014 식물 분류학회지 Vol.44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lora of Golji stream watershed in Gangwon province. The vascular plants which were collected in 11 times (from May 2012 to Nov. 2013) were identified as 825 taxa in total, including 124 families, 420 genera, 730 species, 8 subspecies, 78 varieties, 6 forms and 3 hybrids. In the flora of this area, Korean endemic species were 34 taxa, red list of vascular plants according to IUCN valuation basis were 34 taxa and 165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mong those species investigated in this survey, 101 taxa were identified as specific species bio-geographically as compared to flora of other terrestrial regions; 37 of calcicolous plants, 64 with distributi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34 aquatic taxa and 69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본 연구는 강원도 골지천유역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12년 5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24과 420속 730종 8아종 78변종 6품종 3교잡종의 총 82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고유종 34분류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 3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16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본 조사지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특이적으로 분포하는 식물은 101분류군이며, 이 중 호석회식물은 37분류군, 북방계식물은 6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수생식물 34분류군, 귀화식물 69분류군이 발견되었다.

      • KCI등재후보

        양피저수지(경북 경주)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유주한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9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5 No.2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systematically manange the natural and historic landscape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of Yangpi Reservoir located in Namsan Area, Gyeongju National Pa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are summarized as 183 taxa including 62 families, 140 genera, 165 species, 1 subspecies, 12 varieties, 2 forms, 1 hybrid and 2 cultivars, and the planted species are 35 taxa. The 3 taxa of rare plants(Taxus cuspidata, Prunus yedoensis and Campanula takesimana) and Korean endemic plants(Populus tomentiglandulosa, Forsythia koreana and Campanula takesimana), respectively, and 7 taxa of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are investigated. The naturalized plants are 38 taxa, the invasive aline plants are 3 taxa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and Lactuca scariola. The hydrophytes are totally 22 taxa, which are 14 taxa of emergent plants, 4 floating-leaved plants, 1 taxon of free-floating plant and 3 taxa of submerged plants.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 남산지구 주변에 위치한 양피저수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자연 및 역사 경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속식물상은 62과 140속 165종 1아종 12변종 2품종 1잡종 2재배품종 등 183분류군이며, 인위적 식재종은 35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은 3분류군(주목, 왕벚나무, 섬초롱꽃), 한국특산식물도 3분류군(은사시나무, 개나리, 섬초롱꽃),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38분류군이며, 생태계 교란식물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가시상추 3분류군이다. 수생식물은 22분류군으로, 정수식물 14분류군, 부엽식물 4분류군, 침수식물 3분류군, 부유식물 1분류군이다.

      • KCI등재

        얕은 습지에서 환경 요인에 따른 어류상 분포 특성

        최종윤,조현빈,김성기,라긍환,주기재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3

        얕은 습지에서 환경 요인에 대한 어류의 분포와 종 조성을 평가하기 위해, 2012년 봄철(5~6월)에 경상남도에 위치한 24개의 습지에서 이화학적 요인, 수생식물, 어류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20종의 어류가 동정되었으며, 잉어과 어류가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요인 및 수생식물 생물량은 조사 지점에 따라 상이하였으며, 특히 수생식물 생물량은 어류 풍부도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었다(df=1, F=32.00, P=0.001). 조사 지점간에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사 지점들은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또한 수생식물 생물량에 대한 영향으로 분석되었다. 첫 번째 집단의 습지에서는 검정우럭과 어류인 블루길에 의해서 우점되었으며, 그 외 어류 군집은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두 번째 집단은 주로 잉어과 어류인 붕어가 우점한다는 점에서 첫 번째 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세 번째 집단에 속한 습지에서는 첫 번째 집단과 비슷하게, 블루길이 우점하였으나, 다른 어류 종 또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얕은 습지에서 어류 군집의 분포와 종 다양성은 수생식물의 생물량에 의해 강하게 영향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수생식물의 높은 생물량은 어류의 높은 풍부도 유지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습지를 복원하거나 새롭게 조성할 때 수생식물의 적절한 식재는 어류의 종 다양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며, 어류가 수생태 먹이망 내에서 최상위포식자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먹이망의 건강성 유지에도 필수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shallow wetlands that might be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arameters, macrophytes biomass, and fish assemblage in 24 shallow wetlands in South Korea from May to June, 2012. In this study, a total of 20 fish species were identified, and Cypinidae were found to be the most dominant species.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macrophyte biomass were different in the survey sites, and macrophytes biomass, in particular,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sh abundance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df=1, F=32.00, P=0.001).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between survey sites, the survey sit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 accordance with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relation to macrophytes biomass. In the wetlands of the first group, Lepomis macrochirus which belongs to Centrarchidae was found to be dominant and other fish assemblages were hardly seen. In the second group, unlike the first group, Carassius auratus that belongs to Cypinidae was found to be dominant. In the third group, Lepomis macrochirus was found to be as dominant as the first group but various other fish species appeared. Where there was abundance of the main food sources (i. e. zooplankton) of fish in the survey sites, there were more diverse macrophyte biomass. Consequently, it is proven that macrophytes strongly affect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nd high biomass of macrophytes support high assemblage of fish. Based on these results, we recommend establishing diverse aquatic macrophytes communities when restoring or creating wetlands to assure high diversity of fish species that use macrophytes as their habit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