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 학업성취도의 관계

        이한샘(Lee, HanSaem),서은희(Seo, E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핵심적인 역량으로 꼽히는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자기조절능 력, 그리고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61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한 달간 자기보고식 검사를 진행하였 다.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사소통능력이 협력적 자기조 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의 학업 성취도 평가가 의사소통능력 및 협력적 자기조절능력을 반영하지 못하며, 아직 대학 교육에서 개인적 학습역량 향상에 집중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능력, 협력적 자기조절능력, 학업성취도에 따른 군집 유형 분석 결과 4가지 유형의 군집(세 요인 모두 높은 집단, 세 요인 모두 낮은 집단,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자기조절능력은 낮으나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자기조절능 력은 높으나 학업성취도는 낮은 집단)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학업성취도와 의사 소통,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이 일치하지 않는 집단에 대한 대학 차원의 교육적 지원 계획이 필요하다는 교육적 함의와 대학이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평가 방안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논의에서는 이와 같은 소통과 협업능력을 반영한 대학 교육의 방향성 설정과 실질적 교육방안에 대한 탐구의 중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616 college students survey results were collected in March 2018.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e positively predicted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However,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on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the first group of students with high communication competence, high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high academic achievement; the second group of students with low communication competence, low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low academic achievement; the third group of students with high communication competence, high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forth group of students with low communication competence, low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high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imply that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re not reflected in the evaluation of the academic performance in university.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박미정(Mee Jung Park),박성희(Sung Hee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학습 성과를 촉진하고 효율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A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2021-1학기에 운영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50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이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obel검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력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학습자들의 협력적 역량은 학습 성과 증진과 핵심역량 개발에 효과적이라는 것과,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의사소통능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학습자들의 원활한 상호작용과 협력적 역량, 의사소통능력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ollaborative self-efficacy, team efficacy,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order to promote learning outcomes and find efficient support measures i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Method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509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operated in the 2021-1 semester at the A University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Gyeonggi-do.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communication skill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ollaborative self-efficacy, team efficacy,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addition, Sobel test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skill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team efficac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skill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skills. Conclusions Base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llaborative competencies of learners in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are effective in enhancing learning outcomes and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ommunication skills is an important factor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It emphasizes the need for support to increase the level of learners' interaction, collaborative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 KCI등재

        사회과학의 고전과 대학의 교양 수업 - 동국대학교 <경제와사회명작세미나>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5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nfirm the performance and improvement tasks of Dongguk University’s <GreatBooks Seminar on Economy and Society>(<GBSES>) by examining the actual operation case of it(the first semester of 2021). In general, Great Books Seminar(GBS) is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ity and convergence skills(CCS1) an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CCS2). <GBSES> is held for classics or Great Book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an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the insight to grasp modernity in addition to the merits of GBS in general. Class was centered on group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but in light of the students’ lecture evaluations, it was found that It was found that these advantages were not fully exhibited. Although many students evaluated that they received a lot of help in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few evaluated that they received help in cultivating CCS1 and CCS2, and some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group activity. This means that <GBSES> course does not stop at cultivating an eye or insigh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but also have a task of securing ways to enhance CCS1 and CCS2. Of course, It is not easy of CCS1 and CCS2 to improve with just one semester class, and it may not be easy for students to comment on whether these skills are improved in lecture evaluations. Even so, it cannot be denie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secure a way to improve CCS1 or CCS2 in the long term as much as improving the eye to understand modernity. 이 글은 동국대학교 <경제와사회명작세미나>의 실제 운영 사례(2021년 1학기)를 살펴보면서 그 성과와 개선 과제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명작세미나는창의·융합 능력과 소통·협력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경제와사회명작세미나>는 사회과학 분야 고전 혹은 명작을 대상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명작세미나 일반의 장점 외에 근대성을 파악하기 위한 안목과 통찰력을 제공한다는 장점까지 지닌다. 이러한 교과목을 조별 발표와 토론 중심으로 운영했는데, 학생들의 강의평가에 비추어 보면 이러한 장점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학생들이 근대사회의 역사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에는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평가했지만, 창의·융합 능력이나 소통·협력 능력을 함양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고 평가한 학생은 거의 없으며, 일부 학생은 조별 활동에 대한 불만을 강하게 드러내기까지 했다. 이는 곧 <경제와사회명작세미나> 교과목이 근대 사회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이나 통찰력을 함양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창의·융합 능력, 소통·협력 능력 등을함양하기 위한 방안의 확보를 과제로 떠안고 있음을 시사한다. 물론 창의·융합 능력이나 소통·협력 능력은 1학기 수업으로 쉽게 향상되는 것이 아니므로, 학생들이 강의평가에서 이러한 능력의 향상 여부에 대해 언급하기가 쉽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해도 근대성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향상시키는 것만큼이나 장기적으로 창의·융합 능력이나 소통·협력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부인될 수는 없을 것이다.

      • KCI등재

        어머니의 의사소통에 대한 태도와 공동체생활 능력이 유아교사와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

        정계숙 ( Chung Kai Soo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교사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태도, 공동체생활 능력이 어머니-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유치원아 어머니 23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문제에 따라 어머니의 교사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태도, 공동체생활 능력 및 어머니-교사 간 협력 정도를 측정하고 다변량분석, F검증,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의사소통 태도, 공동체생활 능력은 어머니-교사 협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교사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태도와 공동체생활 능력은 어머니-교사 협력 전체에 유의한 설명변인이었으며, 의사소통 태도 하위요인과 공동체생활 능력의 설명력은 어머니-교사 협력의 하위요인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최근 유아교육기관 구성원 간의 불신이 깊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유아교육기관의 건강성 회복을 위하여 부모-교사 간 협력 증진 방안에 대한 시사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s of mothers` attitudes toward communication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ommunity life skills on mother-teacher collaboration. Subjects were 237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ttending early childhood institutes. The mothers completed three scales for rating the degrees of attitudes toward communication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mother-teacher collaboration, and community life skills. multi-variables analysis, F-test,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applied to analyze data.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ttitudes towar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their community life skills, and mother-teacher collabor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each other. Second, the impacts of mothers` attitudes toward communication and community life skills on mother-teacher collaboration were significant.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plana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on sub variables of mother-teacher collaboration. The paper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parent-teacher collaboration to cope with mistrust between members caused by child abuse happened in early childhood institutes recently and future studies.

      • KCI등재

        재직자의 직업기초능력 중요도 인식과 요구도 분석

        임정연,윤지영 한국기업교육학회 2020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needs of essential job competencies for Employees and implicate the change of higher education. To this end, we conducted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according to each educational level. The 11th Youth Panel data was used, and 2481 graduates who responded to 15 essential job competencies, importance of job competence and contributions to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orkers recognized that knowledge of specialty, communication,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ty, ability to cooperate with others, and planned lifestyle were important. In addition, the ability to increase in importance over the past five years has been practical work ability such as document understanding, document preparation, specialized field knowledge, and practical field knowledge. Second, competency with high educational needs was communication, customer-relative ability, ability to cooperate with others, specialized field knowledge, practical field knowledge, change adaptability ability, and planned lifestyle.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necessity of employee development and education strategies by universit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재직자의 직업기초능력(업무능력)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최종학교의 기여도를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대학교육의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패널 11차 자료의 15개 직업기초능력(업무능력) 항목을 활용하여 학력별 교육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응t검정,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기법을 활용하였 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직자의 직업기초능력 중요도 인식결과, 전문분야 지식, 의사소통, 전문분야 실용적 지식, 타인과 협력하는 능력, 계획적인 생활습관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으며, 최근 5년간 중요도가 높 아진 능력은 문서이해, 문서작성, 전문분야 지식, 전문분야 실용적 지식 등 실용적인 업무능력이었다. 둘째, 재직자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요구도 분석결과, 의사소통, 고객상대능력, 타인과 협력하는 능력, 전문분야 지식, 전문분야 실용적 지식, 변화적응능력, 계획적인 생활습관에 대한 교육요구가 높았다. 셋째, 학력에 따른 대학교육의 요구도 분석결과, 전문대, 4년제대학, 대학원별로 교육요구도에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재직자의 인식을 기반으로 한 직업기초능력 교육요구도 도 출과 대학유형별 교육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민간경비조직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ㆍ혁신능력 및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6 경찰학논총 Vol.11 No.3

        본 연구는 급변화하는 사회속에서 민간경비조직의 경영성과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민간경비조직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혁신능력 및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2014년 수도권(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민간경비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각 업체당 50명씩 총 300명을 표집하였다. 그러나 최종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255명이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WIN 19.0 프로그램을 활용한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대상자와 통계방법을 통해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민간경비조직의 사회적네트워크는 의사소통, 혁신능력, 협력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간경비조직의 의사소통은 혁신능력과 협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고, 혁신능력은 민간경비조직의 협력행동에 관계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민간경비조직의 사회적네트워크가 의사소통 혁신능력, 협력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경호경비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다양한 집단 및 많은 사람들과 유대관계를 통해많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활용하는 것이 업무활동에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결론 및 제언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empirical data which would be able to give important information and management outcomes of private security firms and analyzed and verified the influence of private security firms’ social network on communication, innovation ability, and cooperation act. This study, using purposeful sampling method, chose 300 private security guards, 50 guards for each firm, who work for private security firm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in 2014. The number of the data, however, that is used for this study is 255. It is analyzed by some ways of statistics such a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tc. using SPSSWIN 19.0 program. As the result of analysis, a private security firms’ social network brings a positive influence on communication, innovation ability, and cooperation act. Also, communication of private security firms affects their innovation and cooperation. Innovation of the firms gives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ooperation. Through the result, it seems that social network of a security firm could affect communication, innovation ability, and cooperation act positively and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advantageous to form and utilize many networks with diverse organizations and many people for performing a security task. Lastly,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ts conclusion and proposal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집단지성,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송윤희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 변인으로 감성지능, 학습과정 변인으로 의사소통능력과 집단지성, 학습성과 변인으로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선정하 여 각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수도권 소재 A대학교 3,47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구조방정 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성지능은 의사소통능력, 집단지성,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 을 미쳤으며, 의사소통능력은 집단지성과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집단지성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 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협력학 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협력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ed variables that improve learning outcomes in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literature reviews, emotional intelligence was used as a variable of personal character, communication abilit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were used as variables in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were used as variables of learning outcomes. Data were collected from 3,475 students at A university, and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communication ability, collective intellige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Second, communication ability influence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persistence positively. Third, collective intelligence influenced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positively. Fourth, learning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persistence. These findings offer basic data for collaborative learning by reveal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elated variables that improve learning outcomes in collaborative learning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미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원격협력대화에 나타난 상호문화 의사소통 분석

        이인혜 ( Lee Inhye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7 No.-

        본고에서는 미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대학생 인 간의 원격협력대화에 나 2 타나는 상호문화 의사소통 양상을 살피고 원격협력대화의 수업 활용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대학생 간의 원격협력대화를 분석한 결과 언어적 피드백 제공 의사소통 전략으로서의 온라인 자료 활용 문어 채팅을 고려한 언어 사용과 조절과 같은 문어 온라인 채팅의 특성들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또한 미국 대학의 한국인 유학생과 한국 대학의 한국인 대학생이라는 서로 다른 대화 상대와의 대화를 비교를 통해 지역 사회에 속한 한국인 유학생과는 공통 지식을 바탕으로 한 대 화의 여지가 많은 반면 한국의 대학생에게는 미국의 문화를 소개할 기회가 더 많다는 점이 상호문화 의사소통의 장점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들은 다른 맥락 속 두 명의 한국인과 의사소통하면서 목표 문화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자신의 모문화에 대한 타인의 시각에 대해서도 새롭게 알게 되는 등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을 발달시켜가는 모습을 보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 the ways KFL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language learning are shaped by telecollaboration with Korean native peers in two different contexts (in home country (US) and abroad (Korea)), and to provid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curriculum and for teaching via telecollaboration.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indicates the followings: 1) online chatting with peers shows that frequent use of online resources, language regulations, and providing corrective feedback; 2) participants (KFL learners) tend to focus more on intercultural interaction based on community issues when they communicate with telecollaboration partners in home country while they focus more on explaining American culture in general when they communicate with telecollaboration partners abroad; 3) interactions with peers in different contexts facilitate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not only understanding target language culture, but also understanding their own culture in depth.

      • KCI등재

        공급사슬에서 기업 간 협업 능력이 물류성과에 미치는 효과: 식품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권재현 ( Jae Hyun Kwon ),이원동 ( Won Dong Lee ) 한국물류학회 2011 물류학회지 Vol.21 No.5

        본 논문에서는 기업 간 협력 능력의 구성요소를 제안하고 식품 공급사슬에서 이들 구성요소가 물류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개념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식품 제조기업들의 기업 간 협력 능력에 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한국식품공업협회에 등록된 110개 기업들 가운데 식품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1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가운데 186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내적일관성 검정으로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확인한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식품 공급사슬에서 기업 간 협력의 구성요소는 정보기술 능력, 의사소통 능력, 그리고 파트너십 능력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구성요소들이 모두 식품 제조기업의 물류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제안된 연구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결론부분에서는 전체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 공급사슬에서 기업 간 협력 능력 구성요인의 중요성에 대한 경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이 가지는 학술적 의의와 한계점을 기술하였으며 향후 연구수행을 위한 과제를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a measure of collaboration capability elements is proposed, and consequences of this construct are empirically assessed in the food supply chain. Literature review was used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and a pool of items to capture collaboration capability of the food manufacturing firms. Valid responses to 186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vi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gh Cronbach`s alpha values supporte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and content/construct validity were demonstrated. Findings reveal a three-factor structure of collaboration capability elements in the food supply chain. Elements of collaboration capability were found to be directly related to logistics performance of food manufacturing firms. The importance of these findings for practitioners and for future research on collaboration capability elements is discussed.

      • KCI등재후보

        내러티브 기반 영어동화책 활용이 학생의 정의적 측면 및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검증

        황선경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6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4 No.3

        본 연구는 ‘기능-형식 관계 주목초점 기반 네 기본문형 연습’과 ‘협력학습’의 바탕에 내 러티브 기반 영어동화책을 소재로 하여 학생의 정의적 측면과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모 두 신장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생들의 정의적 측면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영어 동화책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뒤 협력적 활동을 실시하였다. 의사소통능력신 장을 위해서는 ‘기능-형식 관계 주목초점 기반 네 기본문형 연습’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는 6학년 학생 93명 대상, 주당 3시간으로 1년간 이루어졌으며, 1-2차시에는 네 기 본문형 연습과 협력학습의 방법으로 주요표현의 듣고, 말하기 활동을 하였다. 3차시에는 1-2차시에 배운 표현을 쓰는 활동을 하였으며 이때도 역시 협력학습의 방법을 활용하였 다. 4차시에는 목표표현이 포함된 영어 동화책을 읽었으며, 5차시에는 학생들이 목표표 현과 영어동화책의 내용을 활용하여 역할극 대본을 쓰고 역할극을 하였다. 6차시에는 평가 및 과제 점검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영어 동화책의 교훈적인 요 소를 내면화하고, 협력학습을 통해 정의적 측면이 향상되었다. ‘기능-형식 관계 주목초점 기반 네 기본문형 연습’은 학생들의 문법 감각을 길러주어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이 이루 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ing students’ emotive aspects and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using Narrative based English storybooks. For these, I reframed the curriculum and used ‘the four basic English sentence structure practice’. The study was conducted 3 times a week, in 6th grade classes with 93 students for a year. In the 1st and 2nd period students practiced listening and speaking key expressions. In the 3rd period, students wrote the key expressions. In the 4th period students red English storybooks. In the 5th period students made their own play script using the key expressions and contents of English storybooks, and then put on an act. In the 6th period students did the assessment and checked their homework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character education was developed. Second, students considered each other and interact well. Third, students’ grammar sense were developed so their English communicative skills were also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