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소수민족 언어에 대한 연구 이론과 방법의 고찰

        이연주 ( Lee Yeon Ju ) 영남중국어문학회 2003 중국어문학 Vol.0 No.42

        中國語言學經過漫長的歷史發展, 타在二十世紀已由語文學(Philology)硏究進入語言學(Linguistics)硏究. 如果說二十世紀的前半是中國語言學引進西方語言學的方法, 在漢語硏究方面有了흔大的發展. 二十世紀的後半是中國少數民族語言和文字的硏究特別突出. 在中國政府的民族政策指引下, 組織調査民族語言的硏究隊, 在各個地區進行普査工作. 本文將從少數民族語言硏究理論和方法去深討這幾十年來的成果以及未來的展望. 中國境內有120種左右的語言, 其種類흔多, 包含的語系也흔廣. 中國政府爲了要指握中國境內的少數民族語言的分布和文字使用情況, 而對此大大的開展了調査硏究. 政府的主導之下, 1956年制定了發展少數民族語言硏究的12年規劃和5年計劃, 又確立了創制和改進少數民族文字的政策, 又組織了調査硏究少數民族語言的硏究工作隊, 又成立了中國科學院少數民族語言硏究所. 少數民族語言的硏究在方法和理論上首先受了西方語言學的影向, 硏究的過程中利用了他們的理論和方法來描述和分析各種複雜的語音現象, 構詞構形理象, 句法現象的範疇和方法, 槪括出不少民族語言的發生發展的規律. 又深受漢語硏究方法的影響, 타大民族語言硏究可以作指導作用, 用同樣的架構來描寫分析. 竝且蘇俄的語言學理論也對中國少數民族語言硏究産生了重要影響, 音位學, 歷史比較法, 語言深層理論, 語言識別方法, 建立基礎方言和標準音點, 創制和改革少數民族文字, 政府民族語文工作規劃和政策的制定等各方面中國少數民族語言學都深受了蘇俄的影響. 用歷史比較方法可以構擬出原始共同語, 但是如何解釋不合規則的例外現象以及如何確定具有音義對應的詞是同源還是借用的問題是這個硏究將要解決的一個課題. 還有從1950年代起中國政府十分重視社會語言學, 但是這個硏究具有明顯的政策性和爲現實服務的目的性. 硏究因說話人的社會屬性不同而表現出語言變異現象的微觀社會語言學是從西方引進中國的. 這一領域和牽涉到語言規劃, 語言敎育, 計算語言學以及飜譯等問題的應用語言學是民族語言學今後將要更加硏究的部分.

      • KCI등재후보

        소수민족 창업에 대한 사회학적 논의

        이진석 ( Lee Jin Su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본 논문은 미국 학계를 중심으로 소수민족 집단거주지 형성의 토대로서 논쟁의 중심에 있는 소수민족 창업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사회학적 관점에서 접근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기초 개념화(Conceptualization)와 그 확장, 그리고 이론적 쟁점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진행하였다. 먼저, 소수민족 중개인과 소수민족 집단거주지 창업가라는 소수민족 창업가 유형을 통해 소수민족 창업에 대한 기초개념을 명확히 하였다. 소수민족 중개인은 정착국의 주요 집단들과 직접적인 경쟁을 피할 수 있는 틈새시장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반면, 소수민족 집단거주지 창업가들은 철저히 동질적인 민족성과 사회연결망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기초개념을 사회구조와 문화적 배경이라는 보다 넓은 관점을 적용하여 확장시켜 소수민족 창업을 설명하고 있는 소수민족 경제론과 소수민족 집단거주지 경제론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소수민족 경제는 소수민족이라는 우산 아래 있는 거의 모든 사업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라 할 수 있으나, 소수민족 집단거주지 경제는 이민자들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특성과 문화적 특성이 강조된 독특한 개념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소수민족 창업의 원인과 결과를 둘러싼 이론적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소수민족 창업의 원인과 관련된 쟁점들은 자영업 창업의 원인과 사회이동의 수단으로서 창업의 효과이며, 소수민족 창업의 결과와 관련된 쟁점들은 주로 자영업 창업, 이민자들의 소득, 공동체의 번영 등과 관련된 이슈들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논문은 외국인 유입의 역사가 길어지면서 내부적 변화를 겪고 있는 국내의 전통적 외국인 집중거주지는 물론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외국인 집중거주지에 대한 경험연구의 분석틀 설정을 위한 시론적 연구라는 측면에서 나름대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lies on a sociological discussion on theory of ethnic entrepreneurship based on basic conceptualization and its expansion and controversies of determinants and results of ethnic entrepreneurship. We clarify the basic concept of the ethnic entrepreneurship through discussing `middleman minorities` and `enclave entrepreneurs` that are two representative types of the ethnic entrepreneur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ethnic economy` and `the enclave economy` that reconceptualizing concept of the ethnic entrepreneurship based on emphasizing structural and cultural factors. This article has meaning for a introductory study that offers an analytical framework of future empirical studies for the ethnic enclave in Korea.

      • KCI등재

        한족과 소수민족의 쥐설화 비교 연구

        양회석,임지영,박세옥 한국중국어문학회 2011 中國文學 Vol.66 No.-

        本論文集中探討漢族和少數民族的老鼠故事. 按內容把老鼠故事大體可以分爲七類型. 拏本論文所分的類型來核實丁乃通和祁連休所提的類型, 就不難發現到其?有不足之處. 尤其是AT類型分類法顯得更不恰當. 在<關於谷種的類型>, <關於屬相的類型>, <嫁女兒的類型>中, 能發現到漢族和少數民族的老鼠故事之間有着若干共同点. 這可以說是中國諸民族長期交流的結果. 盡管如此, 兩者之間却有着更顯著的差異. 人們對老鼠會持有肯定的(友好性)態度或否定的(敵對性)態度. 漢族的場合, 友好性態度之的作和敵對性態度之作的比率達6 : 38, 相反, 少數民族則10 : 5,形成明顯的反差. 這充分說明着漢族對老鼠的否定性態度占主流, 少數民族則不僅對老鼠一直持有肯定的態度, 而且肯定的程度遠比漢族强. 因此, 可以說,漢族老鼠故事現實性成分濃厚, 少數民族則基本屬于童話性故事. 還有, 在少數民族的老鼠故事里不僅A型(地道的動物故事)的故事比B型(人間和老鼠的故事)的故事所占比例大, 而且保留着多種多樣的情節. 漢族則不同. 雖然A型故事之量仍較多, 總達51篇, 但是, 其中<關於猫的類型>, <關於屬相的類型>, <嫁女兒的類型>三種之作占46篇, 只有五篇屬于其他故事. 考慮到這一点, 實質上A型故事所占的比重不僅較少, 而且在情節的多樣性方面也遠不如少數民族. 換言之, 漢族老鼠故事里地道的動物故事頗少, 人間和老鼠的故事偏多. 這意味着“現實”性思路爲漢族的老鼠故起着更多的作用. 少數民族則恰恰相反, 這又意味着少數民族的老鼠故事說堅持着“民間”故事之原貌和風味. 以老鼠故事來看漢族和少數民族的民間故事, 其差異点比共同点表現得更突出. 然則最好不要以“中國”故事這個名稱來把漢族和少數民族故事作爲一個範疇進行討論.

      • KCI등재후보

        중국 민족구역자치법의 주요내용과 문제점

        손영기,이정향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가천법학 Vol.6 No.1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이다. 현재 56개 민족 가운데 한족(漢族)이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족을 제외한 나머지 55개 민족들은 모두 1억1천379만 명 남짓한 8%에 불과하기 때문에 관습상 55개 민족들을 가리켜 소수민족(少數民族)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소수민족들이 점유하고 있는 면적을 모두 더하면 중국 전체 면적의 64%나 되며, 특히 이들 지역에 매장되어 있는 많은 지하자원의 경제적 가치와 변방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중국 정부로부터 줄곧 관심을 받아오고 있다.중국의 소수민족정책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되기 직전 1949년 9월 29일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기 전체회의에서 통과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공동강령(中國人民政治協商會議共同綱領)>의 근거를 시작으로 1954년 제정된 최초의 <헌법>에서 같은 내용을 규정하였고, 1982년 개정된 <헌법>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각 민족은 모두 평등하다. 국가는 각 소수민족의 합법적 권리와 이익을 보장하고, 각 소수민족의 평등, 단결, 상호협조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킨다. 어떠한 민족의 차별과 억압을 금지하고, 민족단결을 파괴하고 민족분열을 조장하는 행위를 금지한다.”라고 규정했다. 이러한 규정은 중국 정부의 소수민족 문제에 대한 원칙적 입장과 정책이 소수민족에 대한 민족차별을 금지하고 각 민족 간의 평등과 단결을 실시하는 정책임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소수민족정책을 법률적으로 제도화 한 것은 1952년 2월 통과된 <민족구역자치실시강요(民族區域自治實施綱要)>를 기초로 하여 1984년 5월 제정된 <민족구역자치법(民族區域自治法)>이라 할 수 있다. <민족구역자치법>은 중국 소수민족자치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 등 각 영역의 발전을 추진하는데 원동력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민족 간의 평등, 단결, 상호협조 등을 통해 새로운 사회주의적 민족관계를 형성하는데 토대를 마련했다.따라서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직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공존을 위해 “하나의 중국(只有一個中國)”이라는 소수민족정책을 기반으로 제정된 <민족구역자치법>에 대한 주요 내용과 문제점 등을 구체적으로 짚어봄으로써 중국의 소수민족정책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또 다른 시각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China, with its 56 different ethnic groups, is a unified multi-ethnic country. The Han Chinese (汉族) represents the absolute majority of China’s population, and the remaining 55 minority groups accumulate with approximately 114million people which takes8 percent of the Chinese population. Though, these so called “ethnic minorities” are highly outnumbered by the Han Chinese (汉族), they yet occupy 64 percent of the national territory, especially on the border areas, most of which are rich in natural resources. Therefore, Chinese government has always been sensitive towards ethnic related issues and the possible cause of antagonism.However, since the late 1980s, secessionist movements have frequently occurred in Tibet and Xinjiang area. Unlike Soviet Union, and some other Eastern European countries, it did not cause separation but led “ethnic minority friendly” policies. Moreover, the policies carried out by the Chinese government directly ga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ocialist market economy of China and political stability. The acknowledgement of ethnic minorities by law is by no means a new concept for Chinese Authorities. Even before the founding of PRC(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Common Program of CPPCC(Chinese People’s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held in 29 September, 1949) set a keystone for enactment of laws gearing toward the ethnic minorities. The first Constitution, enacted in 1954 also retains regulations related to the former. Furthermore, through the revised Constitution, China declared that, “every ethnic in PRC are all equal, a nation guarantees the legitimate rights and interest of each minority, sustaining, and further developing the equality, solidarity, and mutual cooperation of minority ethnics. Any kind of ethnic discrimination or act of breaking ethical unity is there by forbidden.”This regulation clearly presented Chinese government’s policy principles toward ethnic minorities- against ethnical discrimination and emphasizing equality and unity between different ethnic groups. Nevertheless, the ultimate impetus to promote Chinese ethnic minorities’ equality, unity, and mutual cooperation, was the enactment of The Regional National Autonomy Region Law in May, 1983. It laid basis for new socialist ethnical relationships.To align the “social reality” with to the fundamental changes caused by the economic reform, and the western development policy in the late 1990s, in 2001 certain amendments were made in the Constitution. Now the Constitution consists of 74 provisions of Chapter 7 related to the ethnic minority law. Thus, The Regional National Autonomy Law is a basic legal system that regulates and solves problems of ethnic minorities.Last but not least, the Chinese minority law would be progressive on governing minorities not in uniform but with more diversified ways which will lead to a new socialist ethnic relations.

      • KCI등재후보

        언어 구분의 관점에서 본 중국 소수민족 분류에 대한 고찰

        李姸周 영남중국어문학회 2003 중국어문학 Vol.0 No.41

        中國是56個民族構成的多民族國家, 其中漢族占全人口的90%以上, 其他55個少數民族占全人口的10%左右, 漢族使用漢語, 其他55個少數民族使用120多種語言, 其中滿足和回族絶對部分使用漢語以外, 其他都使用着一個或兩個以上的本民族語言. 中華民國建國之後, 中國政府開始進行中國境內的少數民族的分類工作以及他們所使用的語言識別工作. 少數民族的分類工作到1979年中國政府正式承認基諾族爲一個獨立民族而中國少數民族成爲55個民族. 語言識別工作到木栓爲止已經公認爲少數民族語言有120餘種. 那마, 爲甚마民族數與他們所使用的語言種類相差兩培多니? 本文種語言學的觀點來探討中國少數民族的分類是否妥當. 從語言學的觀點看, 中國政府所作的對少數民族的定義和區分是相當人爲的而且可變的. 少數民族的區分是似乎先考慮到民族關係和政治關係, 而不是進程考慮到個別民族的願望, 也不是純粹根據於各個民族的語言種類已及他們的歷史背景.

      • KCI등재

        소수민족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전문인력 육성에 관한 연구: 관광두레 사례를 중심으로

        정찬영 ( Jung Chan Young ),김주호 ( Kim Ju Ho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3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7 No.2

        최근 관광객들 사이에서 일상생활에서는 보기 힘든 소수민족의 독특한 지역 문화와 생활 방식을 경험하려는 관광객의 수요가 증가하고 하면서 소수민족을 보유한 지역을 중심으로 관광개발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소수민족의 관광개발에서 개발자나 관리자의 의지에 따라 진행되고 소수민족에 대한 전문인력 육성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관광개발을 통해 발생한 수익은 관광과 관련된 일부 소수민족에게만 집중되어 자립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처럼 소수민족의 관광개발을 진행할 경우 관광 관련 개발자와 관리자의 활용도 중요하지만, 소수민족도 지역주민이기 때문에 소수민족을 관광개발에 적극 참여시키거나 관광혜택이 소수가 아닌 다수에게 배분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 과제를 해결해야 된다. 국가에서 소수민족에 대한 관광개발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소수민족이 보유한 독특한 문화를 보전하고 문화 원형의 지속성과 발전을 위해서는 호스트의 관점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즉, 소수민족이 관광개발에서 객체가 아니라 주체적으로 관광자원을 발굴하고 사업체 운영을 활용할 수 있도록 소수민족에 대한 관광 전문인력 육성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 그러나 소수민족 관련 연구는 관광 전문인력 육성과 연구는 소수민족의 참여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주장에만 머물고 있어 구체적인 방안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소수민족의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전문인력을 육성방안을 연구하고자 지역주민을 관광 관련 전문인력으로 육성하는 CBT사업인‘관광두레’사례를 통해 연구하였다. 관광두레 사례를 적용한 소수민족의 관광 전문 인력 육성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 전문인력을 육성할 수 있는 운영주체를 선정하여 관광 전문인력 육성에 적극적으로 희망하는 지역이나 문화 또는 자원의 잠재력이 높은 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수민족 대상으로 관광 전문인력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소수민족 구성원들이 지역문제를 본인들이 주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관광두레 사업처럼 관광 전문인력에 대한 성과를 현장에 맞는 정성 및 정량지표로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소수민족의 관광 활성화를 위하여 관광 전문인력 육성과 관련된 학술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tourists wishing to experience the regional culture and lifestyle of ethnic minorities hard to encounter in everyday life, tourism development focusing on the areas possessed by minorities is also expanding. However, decisions in tourism development related to ethnic minorities being made by developers and managers, fostering of professionals of this field not being carried out, and the profits generated from tourism development being concentrated only on some of the tourism-related minorities all result in them not being able to become self-sufficient. Although implementing developers and managers in the field of ethnic minority tourism is important, since minorities are also the part of their region’s community, the problem in question has to be solved by either actively including the members of the minorities, or by achieving that the benefits of tourism are distributed to the majority instead of just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so that locals can become the leaders. With the government’s growing ambition to develop ethnic minority tourism, a host’s point of view is needed in order for the minorities’ unique cultures to be preserved and maintained in their original forms. Thus, a specific and deep understanding of fostering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ethnic minority tourism is necessary in order for the members of minorities to be able to independently discover tourism resources and operate businesses and projects instead of being merely the objects in the process of tourism development. However, measures are insufficient as research on fostering professionals of ethnic minority tourism is mainly theoretical. This study aims to seek measures on how to foster professionals in order to boost ethnic minority tourism through examining the case of Tourism Dure, a CBT project focusing on training locals to become tourism professionals. The ways of fostering professionals applying the case of Tourism Dure are the following: First, a management team in charge of the fostering process has to be appointed, and a region for demonstration has to be selected - a region that is either ready to take up on fostering professionals or that has high resource potential. Second, in order to foster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ethnic minority tourism, it is necessary to launch an educational program through which the members of minorities can learn how to play a leading role in solving their region’s problems. Third, similarly to the Tourism Dure proje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manage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s through the righ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ators. Based on the above, the writer’s goal is to present an academic and policy-related viewpoint on fostering professionals in order to revitalize ethnic minority tourism.

      • KCI등재

        中国少数民族双语教育现状及对策

        胡再影(호재영)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4 디아스포라 연구 Vol.8 No.2

        소수민족에 대한 한어(漢語)교육과 한어(漢語)를 사용하는 것은 소수민족이 현대화 생활에 융합하고 전체적으로 소수민족의 질적 수준향상을 의미하며, 한어(漢語)를 교육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소수민족지역에서는 소수민족언어와 한어(漢語) 두 언어의 동시교육을 주장하고 장려하며, 소수민족언어와 한어(漢語)에 모두 능통한 인재를 양성하여, 소수민족으로 하여금 보다 더 광활한 세계와 보다 더 넓은 생활공간을 확보하게 하는 것이며, 다원화(多元化)된 문화를 간직한 신강(新疆)지역이 이러하다.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교통중심지이며, 많은 문화의 집산지인 신강(新疆)지역은 지리적 특징 때문에 독특한 문화를 갖고 있으며, 지역의 민족 언어와 한어(漢語)의 교류는 자연스레 이루어지고 언어교육에 영향을 주었다. 신강(新疆)지역에서는 소수민족언어교육과 한어(漢語)교육을 병행하는 정책과 제도를 정비하고, 두 민족 언어교육에 많은 열정을 쏟았다. 신강(新疆)지역의 두 민족 언어교육은 20세기 50년대부터 지금까지 장시간에 걸쳐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쉽게 지나치지 못하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다. 첫째, 소수민족언어와 한어(漢語)에 있어, 두 가지 언어교육이 갖고 있는 역할의 모호함; 소수민족언어와 한어(漢語)에 있어, 두 가지 언어교육이 갖고 있는 가장 특수하고 복잡한 부분은, 소수민족지역에서의 언어교육 중, 두 민족 언어교육에 있어 역할의 모호성, 즉 한어(漢語)와 소수민족언어와 관계정립의 문제이다. 실제로 두 민족 언어교육 중, 종종 한쪽 민족 언어교육에 치우치는 경향이 발생한다. 둘째, 소수민족언어와 한어(漢語)에 있어, 두 언어교육을 담당할 교사의 부족과 한어(漢語) 교육 수준의 부족함이다. 셋째, 소수민족언어와 한어(漢語)에 있어, 두 언어교육의 이론적 연구가 미흡하고, 통일된 체계가 없다. 넷째, 소수민족언어와 한어(漢語)에 있어, 두 언어교육에 적합한 교제가 없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소수민족언어와 한어(漢語)를 동시에 가르치는 언어교육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졸문에서는 소수민족언어와 한어(漢語)에 있어, 두 민족 언어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소수민족언어와 한어(漢語)를 동시에 가르치는 우수한 교사양성만이 소수민족지역 두 언어교육의 질적 발전을 보장할 수 있다. 둘째, 아직까지 소수민족의 두 민족 언어교육의 체계가 완전히 갖추어지지 않았고, 많은 정책들이 실현되지 않았으므로, 두 언어교육제도를 정비하여야한다. 셋째, 신강(新疆)지역 소수민족의 인구지리분포, 민족 언어의 상황 그리고 언어문화환경 등에 나타나는 차이점과 다양성을 파악하여, 소수민족지역의 두 민족 언어교육모델을 확립하여야한다. 넷째, 두 민족 언어교육의 중요성은 두 민족 언어교육의 배후에 존재하는 문화적 의미이며, 두 민족 언어의 학습은 다원화된 문화의 계승이므로, 문화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한어(漢語)의 교육에 있어 한족(漢族)문화와 소수민족문화의 관계를 잘 정리하고, 한족(漢族)문화와 소수민족문화 두 문화의 이해와 소통이 필요하다. 또한 두 민족 언어교육을 위한 적합한 교제의 개발과 “民族漢考”(MHK)실시를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오늘이후 중국의 소수민족언어와 한어(漢語)를 가르치는 두 언어교육은 계속적으로 발전 할 것이며, 두 민족 언어교육의 중요성 또한 많은 사람들에게 인식되어 멀지않은 미래에 소수민족언어와 한어(漢語)를 가르치는 두 언어교육은 새로운 지평선으로 다가올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국 운남성 소수민족 복식의 현대화에 관한 연구

        서봉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는 중국 운남성 소수민족의 전통복식이 외래문화의 유입을 비롯한 여러 가지 변화의 요인들 속에서 어떻게 변모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운남성 소수민족복식의 현대화에 대한 연구는 지난 수세기 동안에 걸친 서구 제국주의의 침투와 교통 · 정보통신의 혁신적인 발달 등으로 인한 세계화 현상과 맥락을 같이한다. 본 연구의 목표로는 첫째, 중국 운남성의 환경과 소수민족에 대한 고찰, 둘째, 운남성 소수민족의 복식문화에 대한 고찰, 셋째,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통한 운남성 소수민족 복식의 현대화에 대한 연구, 넷째, 운남성에서 복식의 현대화에 대한 논의 등이다. 운남성 소수민족의 화려하고 다양한 전통복식은 많은 문헌과 매체 등을 통해서 잘 알려져 왔고, 매우 화려하고 다양한 형식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2009년 1월에 운남성 8개 지역에서 실시한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통한 연구결과, 운남성 소수민족의 복식은 일상복의 지위를 상실하였고, 특별한 날에 착용하는 의례복으로 전락하였다. 운남성의 소수민족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이 표현된 복식이 아닌 서구복식을 한족과 서구문물에 대한 동경심 등에서 착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교통과 통신의 발달과 소수민족의 교육과 경제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운남성이 특히 중국은 내의 그 어느 지역보다도 다양하고 화려한 소수민족의 복식문화를 가지고 있었으며, 최근까지도 일상적으로 착용되어 온 지역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세계화 시대에 운남성 소수민족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의 전통문화와 복식의 변화는 불가피한 것인지 모르지만, 각 국가나 민족의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소수민족 언어의 위상 하락과 주변화의 추이: 법제적 분석을 통해 본 시진핑 시기의 억압적 소수민족 언어정책의 주요 이슈

        김영구 ( Yeong Ku Kim ) 현대중국학회 2015 現代中國硏究 Vol.16 No.2

        언어정책은 종교정책과 함께 중국공산당 소수민족 정책의 두 핵심이다. 언어는 일상생활의 사회경제적 네트워크를 관통하면서 일상적으로 모습을 드러내는 정체성의 실체인데 비해, 종교는 외부에서 관찰되기 어려운 정신세계의 저변에 뿌리를 내린 정체성의 토대이다. 소수민족 언어에 어떤 공적 위상을 부여할지를 규정하는 중국공산당의 소수민족 언어정책은 소수민족의 사회경제적, 문화적 일상을 통제하고자 하는 소수민족 정책의 풍향계이다. 소수민족 언어에 부여된 법제적 위상 변화를 추적하는 일은이 주제를 파악하는 유력한 경로이다. 중국공산당은 건국 이후 1991년까지 소련 모델을 채택해 왔으며 큰 틀에서 볼 때 언어의 민족성과 문화성을 인정하는 언어적 다원주의를 수용해 왔다. 한편 소련 해체 이후 중국공산당은 다원주의로부터 동화주의를 향해 이행해 왔다. 서부대개발을 통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새로운 모델은 신자유주의에 입각하여 언어의 민족적, 문화적 성격을 배제하고 사회경제적 기능만을 공인하였다. 이에따라 소수민족 언어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약화되었다. 이중언어 조기교육의 법제화는 중국공산당이 소수민족 언어의 주변화라는 정책목표를 추진하는 강력한 수단이다. 21세기 이후 중국공산당은 철저하게 신자유주의적 관점에 입각하여 개인을 시장과 국가에 소속시키고 민족과 지역으로부터 절연시켰으며, 사회경제적 기능이 약한 소수민족 언어의 위상을 더욱 약화시키고 대신 한어의 위상을 높이는 법제적 변화를 추진해 왔다. 한편유엔과 국제기구들이 제기한 국제협약은 중국공산당의 이와 같은 정치적의도의 실현을 방해하는 효과를 발휘해 왔다. 그러나 최근 시진핑은 높아진 중국의 힘과 국제적 위상을 바탕으로 국제규범을 회피 혹은 무력화하거나, 나아가 국제규범 자체를 새로이 정립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소수민족 언어정책과 관련하여 그의 의도는 향후 다양한 법제적 변화를 통해 표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소수민족 언어 사용자들은 조만간 더욱 어려운 시기를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Pursuing the shifts of legislative status of Chinese ethnic minority languages reveals a significant point of CCP’s ethnic minority policy in conjunction with its religious policy. Language manifests ethnic identity through daily cultural practices which are easily grasped by official agencies, while religion constitutes deep soil of ethnic identity by a rather intangible way. CCP’s ethnic minority language policy seems to have been proceeded along a hard line, it has endowed an unstable status to its ethnic minority languages which has continuously endured the downfall of status. Investigating the legislative track of shifts lying under the recent changes can be an effective way to get a more reasonable understanding of CCP’s inclination. CCP has adopted the Soviet model of linguistic policy, which admitted ethnicity and cultural nature of ethnic minority languages largely based on the linguistic pluralism up until the dissolution of Soviet Union. However, Since 1991, CCP turned its way to a new model of assimilationist track. The new model began to show a resolute appearance with the leap of ‘Great Western Development Strategy.’ Initiating the neo-liberalist agenda, it excluded the cultural features out of the depository of ethnic minority languages, while driving their social economic aspects onto the stage of market economy. The strategy provided a substantial authority to downgrade the status of ethnic minority languages, while enhancing that of Mandarin Chinese. Among many issues relevant with their status, the legislation of early bilingual education and the popularization of mandarin Chinese exerted crucial impetus. Since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CCP continuously urged the individuals of ethnic minority societies to walk under the umbrella of market economy and state manipulation, detaching them from their indigenous society and regional territory. CCP upgraded the velocity of legislative shifts to enhance the overall position of mandarin Chinese, to the contrary, to plunge down the status of ethnic minority languages which are poorly equipped with social and economic facilities. Various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conventions have exerted a global force to protect the Chinese ethnic minority languages. However, recently, Xi Jinping exposed his will to engage into the modification of global norm and possibly to intervene in the process of setting up a new global standard. Encouraged by the augmented economic capacity of China as well as by the relative unstability of Western states, Xi is expected to attempt a more resolute legislative alteration in relevant with the status of ethnic minority languages. For the users of ethnic minority languages in China, the recent future seems never likely to be optimis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