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형 12성품교육이 유아의 인성개발, 정서지능, 자기통제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영숙 한국성품협회 2011 성품저널 Vol.1 No.-

        본 연구는 필자가 국내 최초로 ‘성품’이라는 단어를 교육에 접목하여, 한국 사람들의 문화와 민족적인 특성에 맞게 개발한 한국형 12성품교육이 유아의 인성개발, 정서지능, 자기통제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형 12성품교육은 유아의 성품발달에 중요한 공감인지능력과 분별력의 두 가지 핵심덕목을 중심으로, 각 덕목의 하위요소로는 6가지씩 총 12개의 가치로 구성되며 2개월씩 총 24개월간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한국형 12성품교육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국형 12성품교육을 실천하는 유아성품교육기관인 좋은 나무성품학교의 유아 20명과 한국형 12성품교육에 참가하지 않은 유아2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기간은 2010년 5월-8월 4개월이며, ‘기쁨’과 ‘배려’의 성품교육에 대해 유아의 인성개발과 정서지능, 자기통제, 문제행동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본 한국형 12성품교육에 참여한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기쁨과 배려 부분에서 인성개발에 효과가 있었으며 정서지능 중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 억제와 자기정서의 이용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자기통제에 있어 장기통제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나 유아의 문제행동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기독교성품형성에 있어서의 이야기의 의미 - 스탠리 하우어워스를 중심으로

        하세례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본 논문은 성품과 이야기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품형성에 있어 이야기의 역할과 의미를 밝혀봄으로써 ‘기독교 이야기의 성품화’를 통한 신앙교육의 길을 찾고자 한다. 하우어워스에게 있어 ‘성품’은 행위 주체자인 우리 자아의 능력이고, 삶의 지향으로서 우리 존재의 중심이며, 행위의 원천이다. 이러한 성품은 이야기와 관련이 깊다. 인간 은 누구나 공동체의 역사를 안고 태어나는 이야기적 존재이고, 그 이야기가 우리의 성품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야기에 의해 일방적으로 형성되는 존재 가 아니라, 주체성을 가지고 이야기를 선택하고 자신만의 이야기를 형성하는 존재이 기도 하다. 이처럼 성품과 이야기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야기는 공동체와 개인의 성 품을 형성하고, 정체성을 서술하는 통로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성품과 이야기와의 관계에 비추어 볼 때, 기독교성품 역시 기독교 이야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기독교 진리뿐 아니라, 우리의 신앙 역시 이 야기적 특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볼 때, 이야기는 기독교성품에 있어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우어워스는 성품을 교회에도 적용하였다. 즉 그 는 교회가 기독교 이야기를 구현한 성품공동체가 될 때, 성품을 형성하는 학교이자, 세상을 향한 대안 공동체로서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기독교 이야기가 그리스도인과 공동체의 신앙과 성품을 형 성할 뿐 아니라, 기독교 진리를 인식하고,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서술하는 중요한 범 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리오타르(Jean-François Lyotard)가 주장한 바와 같이, 포 스트모더니즘 시대는 ‘메타내러티브를 불신’하는 시대이다. 하지만 인간은 이야기에 의해 형성되는 존재이다. 현대인들은 자유를 위해 이야기를 없애려고 노력하지만, 사 실 진정한 자유를 위해서는 우리 삶을 해석해 주고 의미를 부여해 줄 신실한 이야기 가 필요하다. 따라서 다원화된 세계 속에서 삶의 기반이 되어줄 이야기를 거부하거나 찾지 못한 사람들에게 ‘기독교 이야기를 성품화’하는 교육적 목표는 이 시대에 맞는 교육적, 목회적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기독교성품형성은 단순히 프로그램으로 이 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이를 위해서는 실천의 장이 필요하다는 면에서 볼 때 앞으 로 더 깊은 연구와 다양한 교육 방법을 찾는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a path to faith education by the 'characterization of Christian storie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and narrative, thereby revealing the story's role and significance in character formation. According to Hauerwas, 'character' embodies the essence of our self as agents, representing the core of our existence, orientation in life, and the source of our actions. Consequently, these characters are deeply intertwined with narratives since humans, as narrative beings, are inherently embedded within the historic fabric of their communities, with stories playing a formative role in shaping character. However, individuals are not solely shaped by stories; they also possess agency in selecting and shaping their narratives. Through this consideration of character and story, it becomes evident that stories contribute to forming individual and communal character, serving as a conduit for articulating identity. In light of this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and story, Christian character is profoundly influenced by the Christian Story Given that Christian truth and faith exhibit narrative characteristics, stories are pivotal in Christian character. Hauerwas extends the concept of character to the church, proposing that when the church embodies the character of Jesus' story, it can fulfill its mission as a school for character formation and as an alternative community in the world.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Christian stories in shaping Christians' community, faith, and character while also delineating Christian truth and identity. Despite Jean-François Lyotard's assertion regarding the postmodern era's 'distrust of metanarratives,' humans are inherently shaped by stories. While modern individuals may seek liberation from narratives, authentic freedom necessitates faithful stories that imbue life with interpretation and meaning. Therefore,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characterizing the Christian story' serves as a viable educational and pastoral alternative in an era marked by pluralism, catering to those who reject or struggle to find a foundational narrative for life. However, Christian character formation transcends mere programmatic endeavours. Therefore, further research and exploration of diverse educational methodologies are needed.

      • KCI등재
      • 이영숙 박사의 한국형 12성품교육론이 청소년의 대인관계 및 주관적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임유미,이영숙 한국성품협회 2012 성품저널 Vol.2 No.-

        본 연구는 이영숙 박사의 한국형 12성품교육이 청소년의 대인관계 및 주관적 행복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인관계는 개인의 적응과 성장, 정체성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인 대인관계 경험은 개인의 적응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대인관계가 넓어지는 중학생 시기에 대인관계 능력의 향상은 현재 뿐 아니라 미래의 삶을 더 풍성하고 조화롭게 만들 수 있다. 대인관계에 대한 고민이 학생들에게 많지만 정작 학교 현장에서는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찾기가 힘든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발달과정에서 신체?심리적 변화가 최고조에 이르나 인지적 발달이 충분치 않아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많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형 12성품교육을 실시하여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아울러 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자신들의 행복지수 향상에도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영숙 박사의 한국형 12성품교육 중에서 기쁨을 주제로 한 성품교육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청소년들의 대인관계 및 주관적 행복지수를 향상시켰는지의 여부를 사전?사후 동일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설문지 데이터를 spss 18.0을 사용한 통계처리의 결과가 유의미함을 밝혀 다양한 교육 현장에 폭넓게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형 12성품교육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사)한국성품협회의 청소년 성품교재 Teen-Teen School 기쁨 교재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안양시 S중학교 2학년 9개 학급 학생 336명이었고 8주 동안 주 1~2회에 걸쳐 기쁨을 주제로 한 성품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의 내용은 10분 Happy Time, Story Telling(ST), Think Tank(TT), Real Action(RA), Q&A 순으로 진행되었다. 대인관계 및 주관적 행복지수 검사를 사전?사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 후 t 검증을 통해 효과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생들 각자가 주관적인 점수를 기록한 행복 지수 역시 사전?사후 t 검증을 통해 행복지수의 향상여부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형 12성품교육론에 입각한 성품 수업은 청소년들의 대인관계와 행복지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영숙 박사의 한국형 12성품교육론을 바탕으로 한 청소년의 자존감에 대한 연구 -"기쁨"의 성품을 중심으로-

        유수경,이영숙 한국성품협회 2012 성품저널 Vol.2 No.-

        본 연구는 이영숙 박사의 한국형 12성품교육론을 바탕으로 실시한‘기쁨’성품교육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 사회의 가장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청소년의 자살, 우울, 불안 및 자아정체성의 혼란은 청소년 비행, 집단따돌림, 학교 폭력 등의 문제행동으로 표출되어 그 문제의 심각성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 교육계에서는 인성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절감하고 각계에서 어느 때보다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 하지만, 실제교육 현장에서는 개념적인 교육에만 치중되어 있고,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부족하여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청소년기에는 가장 중요한 성장과업이 자아정체성의 확립이다. 하지만, 이 시기에는 성장 발달의 특성상 정체성 확립의 혼란이 일어나게 되므로 청소년에게 자존감의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 연구자는 한국형 12성품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의 당면한 과제인 학교 내 폭력 및 왕따 문제도 자존감 향상의 기본이 되는 성품교육을 통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더 나아가서는 바른 성품을 가진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을 가치 있게 생각하고 행동함으로 더 나은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동시에 한 나라의 사회인으로서 역량 있는 시민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육 자료는 한국형 12성품교육 중 청소년 성품교육 프로그램인 틴틴스쿨 교재 ‘기쁨’의 성품교육 교재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안양 S중학교 1학년의 수업을 통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1학년 350여명을 대상으로 하여 1학기 8주 동안 주 1회 수업을 진행하였고, 수업 1주차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마지막 수업인 8주차에 동일한 검사지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한국형 12성품교육론 중 기쁨의 성품이 청소년들의 자존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으며 그 하위영역으로 청소년의 신체외모 자아, 신체능력 자아, 친구관련 자아, 가정적 자아에 미치는 영향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으나 성격적 자아, 학업적 자아, 교사관련 자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독교성품형성으로서의 성화를 위한 교육: 칼뱅과 하우어워스를 중심으로

        하세례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9

        본 연구는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성품의 의미에 비추어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칼뱅의 성화를 살펴보고, 성품형성으로서의 성화를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찾고자 하는 논문이다. 하우어워스에게 있어 성품은 행위자인 우리의 자아이고, 자신만의 이유와 신념을 가지고 선택할 수 있는 자아의 능력이며, 삶의 지향성이다. 이러한 성품의 의미는 신앙과 관련이 깊을 수밖에 없다. 복음 역시 우리 영혼을 사로잡아서 우리의 내면을 변화시키고, 삶의 방향성을 새롭게 하기 때문이다. 이에 하우어워스는 ‘성품’을 ‘성화’와 연결한다. 하우어워스는 성화 역시 자아의 변화, 지향 그리고 성장과 관련되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의 삶의 변화와 성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품’의 관점에서 다루어야 한다고 보았다. 하우어워스가 성화를 성품 개념으로 해석함으로써 성화를 신비적인 영역이 아닌 우리의 실제적인 성품의 변화라는 것을 보여준 것은 매우 의미 있는 통찰이다. 하지만 기독교 윤리학자로서 하우어워스의 주된 관심은 ‘성화’를 통해 ‘성품 윤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데 있었다. 따라서 하우어워스의 성품 개념을 도구 삼아 분석한 성화는 형식적이고 추상적인 데 그쳤다고 할 수 있다. 즉, 하우어워스는 신앙이 우리의 성품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그리고 성품이 어떤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하는지까지는 구체적으로 보여주지 못하였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하우어워스의 성품 개념에 비추어 칼뱅의 『기독교강요』 최종판(1559)에 나타난 성화를 살펴봄으로써 ‘성품형성으로서의 성화’가 이루어지는 과정과 구체적인 지향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품형성으로서의 성화’는 성령을 통한 그리스도와의 연합 속에서 부어지는 선물로서 믿음, 회개, 중생(성화)을 포괄하는 기독교 교리의 핵심을 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성화를 기독교성품형성으로 이해할 때, 이는 삶의 문제만이 아니라, 믿음과 삶을 하나로 묶어주는‘신앙형성’의 문제임이 분명히 드러난다. 그리고‘성품형성으로서의 성화’가 기독교교육의 본질적인 목적과 목표를 제시해 주는 핵심 주제임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Calvin's sanctification 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in light of Stanley Hauerwas' meaning of character. It seeks to fi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for sanctification as the formation of character. For Hauerwas, the character is our self as an agent, the ability to make choices with our own reasons and beliefs, and the orientation of life. The gospel captures our souls, transforms, and renews the direction of our lives. Thus, the meaning of character is bound to be deeply related to faith. Accordingly, Hauerwas links ‘character’ with ‘sanctification’ as sanctification is also associated with the self's change, orientation, and growth. Consequently, it was believed that it should be treated from the perspective of ‘charact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and growth of Christian life. Hauerwas' interpretation of sanctification as a character concept is a significant insight as it shows that sanctification is not a mystical realm but a true transformation in our character. However, as a Christian ethicist, Hauerwas' primary concern was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a ‘character ethic’ through ‘sanctification.’ Consequently, the analysis using the concept of character as a tool is limited to be formal and abstract. In other words, Hauerwas could not show precisely how faith changes our character and in what direction character should be form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and specific orientation of ‘sanctification as the formation of character’ by examining sanctification in Calvin's final edition of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559) in light of Hauerwas' concept of charact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anctification as the formation of character’ contains the core of Christian doctrine, encompassing faith, repentance, and regeneration(sanctification), revealing that ‘sanctification as character formation’ is a gift poured out in union with Christ through the Holy Spirit. Hence, ‘sanctification as character formation’ is a core theme that presents Christian education's essential purpose and goal, highlighting that ‘Sanctification as character formation’ is ‘faith formation.’

      • KCI등재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성품’ 개념과 기독교교육의 방향성

        하세례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3 장신논단 Vol.55 No.3

        본 연구는 성품 개념과 그에 따른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에 관한 논문이다. 스탠리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는 ‘성품’(character)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교회됨’과 ‘그리스도인됨’을 강조하는 신학을 전개하고 있다. 하우어워스는 덕(virtue)과 자아(self)의 변화를 통해 성품의 개념을 분석한다. 성품은 인격의 변화와 관계가 깊으며, 이야기와 공동체를 통해 형성되는 자아의 주체적인 능력이다. 하우어워스는 이러한 성품 개념을 성화와 연결하여 그리스도인의 삶의 변화를 주체적인 자아의 변화로 이해하였다. 즉 성화가 하나님의 의롭다 하시고 거룩하게하시는 성령의 사역이면서 동시에 우리의 의도와 행위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성품의 형성임을 보여줌으로써 ‘하나님의 행동과 인간의 반응 사이의 긴장’을 해소하고 있다. 나아가 칭의와 성화를 변증법적 상호의존관계로 이해함으로써 신앙과 삶은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성품 개념은 기독교교육에 어떤 의의가 있는가? 기독교교육이 참된‘그리스도인됨’과 ‘교회됨’을 추구할 때 형성되는 ‘실체’는 바로 ‘기독교성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곧 기독교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이자 목표를 제시해 주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성품은 단순히 어떤 교육프로그램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이에 본고는 성품 개념을 바탕으로 기독교교육적 방향성을 다섯가지로 제안하였다: (1)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신앙 형성 교육, (2) 복음의 성품화교육, (3) 성품형성로서의 성화교육, (4) 신실한 이야기 교육, (5) 성품공동체 형성교육. 우리는 지금 교회와 그리스도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가속화되고 있는 탈신앙, 탈교회 현상 속에서 갈등과 분열을 경험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때에‘복음의 성품화’가 ‘그리스도인’과 ‘교회’로 하여금 삶과 신앙의 통일성과 정합성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적실성 있는 교육적 대안이 되기를 소망해 본다. This study is on the concept of character a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Stanley Hauerwas develops a theology using the term ‘character’ to emphasize ‘being a true church’ and ‘being a christian’. Hauerwas analyzes the concept of ‘character’ through changes in ‘virtue’ and ‘self ’. ‘Character’ is deeply related to changes in one’s character and is the ability of the subjective self which is acquired through beliefs and actions in story and community. By connecting Christian character with sanctification, Hauerwas attempts to understand the change in Christians’ life as a change in the subjective self. Showing that sanctification is not only the ministry of Holy Spirit for the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of man but is the formation of man’s character through their own intention and actions, He resolves ‘the tension between God’s action and human response.’ He also shows that faith and life are inseparabl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dialectical interdependenc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If so,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character’ for Christian education? When Christian education pursues the essence of Christianity, ‘character’ is the very substance formed. This character formation cannot be achieved through a program.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five Christian educational directions: (1) independent and autonomous faith formation education, (2) characterization education of the Gospel, (3) sanctification education as character formation, (4) sincere storytelling education, and (5) character community formation education Accelerating negative perceptions of the church and Christians as well as the phenomenon of post-Christianity are unprecedented in today’s world. I hope that ‘character’ will be a practical Christian educational alternative that helps Christians’ living and the church in conflict and division in diversity to maintain self-unity and consistency in faith.

      • ‘하나님 형상 회복’으로서의 성품과 기독교 대학에서의 실천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성원 總神大學校 2019 總神大論叢 Vol.39 No.-

        한국 사회는 비인간화에서 기인한 다양한 갈등, 비리, 범죄를 경험하면서 그 대안을 교육이라고 판단하였고, 교육부는 이에 발맞추어 인성교육진흥법을 제정하였다. 이와 같은 현실에 반응하여 대학은 다양한 인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정된 법과 평가에 대비하고 있으나, 학습자의 보다 풍요로운 삶을 위한 직업준비학교로 변화하고 있는 대학의 목적과 기능을 생각할 때 아쉬움이 있다. 특별히 기독교 대학은 설립목적과 인간상이 구분되기에 성경적 개념에 기초한 인성교육을 실시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신학적 토대와 실제가 기반이 되는 현장이 많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나님 형상으로서의 인간상과 그 회복에 목표를 둔 기독교 성품교육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기초한 기독교 대학의 실천 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성품교육의 실천 원리와 방법은 성경적 원리에 기초한 성품교육, 영성에 기초한 성품교육, 대학의 정체성에 기초한 성품교육, 교수의 모델링과 헌신을 전제로 한 성품교육, 다양한 교수법의 개발이다. 아울러 총신대학교와 한동대학교의 성품교육 사례를 소개하면서 성품교육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

        김광연 ( Gwang Yeon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論叢 Vol.56 No.-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성품은 이미 타고난다고 말한다. 그는 타고난 성품 만으로 온전한 성품에 도달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온전한 성품은 어떻게 갖출 수 있는 것인가? 탁월성은 일시적이거나 순간적인 변화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는다. 성품의 탁월성에 이르는 길은 순식간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습관이나 실천적 지혜를 통해 절제된 삶을 살아갈 때 터득할 수 있다. 그는 한 마리의 제비가 여름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성품의 탁월성은 지속적인 노력이 이어질 때 가능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은 타고난 성품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만약 우리가 여기에서 멈춘다면 도덕적 성품을 갖추지 못한 유아기적 단계에 머물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우리가 본성의 덕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자연적 탁월성에서 성격적 탁월성으로 이행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는 우리가 도달해야 할 궁극적인 목표는 지적 탁월성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지적 탁월성에 이르기 위해서는 실천적 지혜를 통해서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가 공동체에서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지적 탁월성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우리가 공동체에서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동시에 바른 행위를 하기 위해서 우리는 개인의 본성을 잘 작용하게 하는 ‘실천적 지혜’를 필요로 한다. 사회 구성원이 성격적 탁월성을 갖추고 이에 더 나아가 실천적 지혜를 갖추게 되면 눈에 띄는 도덕적 성품을 지니게 될 것이다. 끝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현대인들에게 도덕적 성품에 대해 말한다. 그는 우리가 타고난 성품에 머물러 있지 않고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도덕적 성품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한다. 지적 탁월성을 소유한 사회 구성원들은 모인 사회는 도덕적으로도 더욱 성숙하게 될 것이다. Aristotle says that human character is already innate. He said that innate character alone cannot reach full character. If so, how can one be equipped with a perfect character? The excellence of character is not created by temporary or instantaneous change. The road to the excellence of character does not happen in an instant, but can be learned by living a restrained life through continuous habits or practical wisdom. He says that one swallow doesn't make summer. The excellence of character is possible when continuous effort is followed. Aristotle says that human should not remain at his innate character, and if we stop here, we will be at the stage of infancy where he do not have a moral character. He says that we must not remain by virtue of nature, but must move from natural excellence to character excellence. And he says that the ultimate goal we have to reach is intellectual excellence. To reach intellectual excellence, he says, we can reach it through practical wisdom. Aristotle also says that we need intellectual excellence in order to live together in community. In order for us to make the right decisions in the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do the right things, we need “Phronesis(practical wisdom)” to make the individual nature work well. When a member of society is equipped with personal excellence and Phronesis, they will have outstanding moral character. Finally, Aristotle tells modern people about moral character. He says that we should not stay in our innate character but develop a moral character through continuous training. A society where members of a society with intellectual excellence are gathered will become more morally mature.

      • KCI등재

        애덤 스미스의 계급성품론

        임일섭 한국질서경제학회 2022 질서경제저널 Vol.25 No.2

        본 논문은 스미스의 저작에 나타나는 두 개의 계급분류, 즉 요소소득에 따른 계급분류(‘3대 계급론’)와 부와 지위에 따른 계급분류를 성품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각 계급분류가 스미스가 <국부론>에서 전개한 핵심논지를 설명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먼저 스미스는 <도덕감정론>에서 인간의 보편적 본성인 ‘동감’이 인간이 처한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성품을 초래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특히 부와 지위에 따른 계급의 차별과 경제활동에 따라 다양한 성품이 형성되고, 당파심이 형성되는 이유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국부론>에 와서 경제학 분석과 결합하여 생산요소 제공자가 수취하는 요소소득에 따른 계급분류가 도출되는데, 이 계급성품론은 각 계급이 경제활동의 성격이 각 계급이 자신의 이익을 파악하고 정치적으로 관철하는 영향력의 차이를 낳고, 특정 계급(상인과 제조업자)의 이익에만 봉사하는 독점정책이 채택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기반이 되었다. 반면, 부와 지위에 따른 계급성품론은 자본축적을 촉진하는 중하류층의 근면 절약의 성품과 이것을 방해하는 상류층의 나태와 절약의 성품을 대비시키는 목적이 있었다. 이 두 개의 계급 성품론은 다음과 같은 스미스의 핵심 논지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한다. 상인과 제조업자들이 우월한 지식과 정치적 영향력을 바탕으로 관철한 독점 정책을(요소소득 계급론) 통해 초과이윤을 획득하면서 상류층의 삶을 누리게 되는데 여기서 스미스가 독점의 가장 큰 폐단이라고 지목한 낭비의 풍조가 퍼져(부와 지위 계급론) 자본 축적과 경제성장이 저해된다. 이 계급 성품론의 관점에서 보면 스미스가 자유로운 시장경쟁에 국가가 개입하지 말 것을 요구하면서도 이자율 규제와 서민 자녀를 위한 교육정책 같은 국가 개입을 요구하는 표면상의 모순에는 시장경제 전반에 도덕성이 함양되기를 바라는 일관된 태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스미스의 계급성품론은 지난 몇백 년 사이에 진행된 사회경제구조의 변화, 학교나 대중매체를 통한 경제교육의 영향으로 인해 현실 적합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애덤 스미스가 했듯이 계급과 특정한 성품을 직접 연결하는 것보다 발터 오이켄이 질서형성 세력이란 개념을 통해 예시했듯이, 학문적·정치적 담론을 통해 특정한 경제관이 사회적으로 관철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것이 더 나은 자유주의적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nalyses two versions of Adam Smith’s class theory in the aspect of class character: factor-income-recipient version and wealth- and-status vers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role of each version in demonstrating the core arguments of Smith’s Wealth of Nations. Adam Smith illustrated in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how the universal natures of man, namely faculty of sympathy and desire for sympathy of others, induce different characters according to circumstances where men live. Concretely he explained the origin of distinction of ranks according to wealth and status, the reasons of different moral criteria applying to different ranks, influence of economic activities on characters, and the origin of faction. This finding is in the Wealth of Nations combined with economic analysis of distribution of factor income, which constitutes the factor-income- recipient version of class theory. This version is designed to explain difference in the abilities of the classes to understand their class interests and to affect public policy to benefit themselves. Another class theory of Smith, wealth-and-status version, which was already developed in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is designed to compare the character of middle and lower ranks, viz. parsimony and industry which tend to promote capital accumulation and economic growth, with the character of upper rank, viz. prodigality and indolence which tend to impede capital accumulation and economic growth. Both versions of class theory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as follows: Merchants and manufactures influence other classes and politicians to affect public policy which would give them monopoly position in domestic and foreign trade à la factor-income-recipient version, can gain extraordinary profit and enjoy with it the upper rank’s luxurious lifestyle, which then the middle and inferior ranks of the society would imitate, so that the habit of prodigality of the whole society would impede capital accumulation and economic growth(à la wealth-and-status version). These two versions of Smith’s theory of class character can help to find out his consistent concern behind the apparent contradiction between his objection to government intervention in free competition in market and his demand for government’s interest rate restrictions and for education policy for children of common people: he wanted thereby to enhance praiseworthy moral behavior in market economy. But his theory of class character has lost its relevance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Wealth of Nations. Class structure has since then highly differentiated, economic education at school and in mass media has been gaining in importance vis-à-vis occupational experience, so that it does not make sense any more to associate class affiliation with specific character. A theoretical alternative would be Walter Eucken’s concept of ordering powers(“Ordnende Potenzen”) such as intellectuals (education), state (political institutions), and church, which conceptualizes institutions and groups that participate in discourse on economic reality and policy and influence the citizens’ standpoint of relevant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qu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