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남녀 고등학생들의 성교육, 성지식, 성태도, 성 허용성

        이현숙 ( Hyeon Suk Lee ),정병훈 ( Byeong Hun Jeong ),이영훈 ( Young Hun Lee ),성우석 ( Woo Suck Seong ),하지웅 ( Ji Oung Ha ),이규영 ( Gyu Young Lee ),이민경 ( Seung Hun Song ),송승훈 ( Min Kyeo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학생들의 학교성교육 경험과 향후 성교육 요구도, 성지식과 성태도, 성 허용성 등을 파악하여 향후 성별을 고려한 고등학교 성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더 나아가 학교 성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전략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대상자는 일반계 고등학교 2개교 총 200명을 대상으로 임의표집을 하였으며, 불성실한 문항을 제외하고 143명(71.5%)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방법은 SPSS 21.0 Program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χ(2)-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들에 비해 인터넷을 통해 성지식을 습득하는 비율이 높았고, 음란물 시청 경험도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지식 전체점수는 남녀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임신과 출산에 대한 하위영역에서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성지식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왔다(t=-2.551, p=.012). 성태도는 남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임신중절에 대한 태도는 남학생이 더 보수적인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성 허용성에 대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에 대한 인식이 보다 개방적이었다. 한편 학교에서 이미 배웠던 성교육은 남녀 공통적으로 1,2,3위가 성희롱과 성폭력, 이성교제, 사춘기 변화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학교에서 더 배우고 싶은 성교육은 남학생의 경우 피임방법과 임신중절, 에이즈와 성병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여학생들은 결혼과 가정, 피임방법과 임신중절, 성 심리 차이, 임신과 출산, 성적 소수자 등의 순서로 나와 남녀 성교육 요구도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학교성교육을 위해서는 성별을 고려하고 학생들이 배우고 싶은 성교육을 반영한 학습자 중심의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of the level of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allowance among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school sexual education which uses gender specific teaching techniques. A sample of 200 high school students from one girls` high school and one boys` high school was convenience sample to participate in the study. Male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obtain sexual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to be open to sexuality, and to watch pornography tha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chools should provide student-centered sex education which considers gender differences and reflects the need of students. School sex education for both female and male students should focus on specific contraceptive methods. Male students should be educated about potential harmful effects of pornography.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성인식과 성태도에 따른 성교육지원 연구

        김영숙 ( Youngsuk Kim ),김영걸 ( Younggull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성인식과 성태도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성교육 지원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고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지적장애 2~3급을 지닌 성인 발달장애인 5명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의 심층면담법으로 실행하였다. 자료분석은 심층면담을 통해 전사된 자료들을 개방코딩법으로 분석하여 장애에 대한 인식과 태도, 성(性)과 인간관계에 대한 인식과 태도, 생리현상에 대한 인식과 태도, 결혼과 가정갖기에 대한 인식과 태도 그리고 성교육 지원요구의 5개 주제를 도출하여, 인간의 경험을 중요시한 현상학적 이해에 따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는 ‘장애’로 인해 학창시절에 부정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성(性)에 대한 교육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性)영역에 대한 인식과 태도 또한 그들과 관련된 사람들(가족, 교사, 주위환경)의 인식과 태도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특히 이것은 연구참여자들이 성인인 된 이후에도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두려움과 어려움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달장애인을 위한 성교육은 본인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들과 관련된 사람들을 포함하여 발달장애인의 장애와 성(性)이해교육이 동시에 지원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발달장애인을 위한 성교육지원은 성교육내용의 질적 향상과 성교육경험의 기회확대, 성(性)정보와 지식중재, 성폭력예 방교육과 대처방법의 중재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스스로 성(性)에 대해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함으로써 그들의 성인식과 성태도를 공감하고 이해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또한 발달장애인과 관련하고 있는 부모, 교사, 관련기관 종사자들에게 그들의 성인식과 성태도에 대한 이해를 중재하고 질적인 성교육을 실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and focus of this study is explor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cognize gender and sexual education support measures. The research subjects of the study were in a higher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5 individuals participated in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which was conducted using an in-depth interview method. Data analysis was utilized to transfer data from the open coding metho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this process it was derived 5 theme; understanding about disabilities, sexuality and relationships, physiology, marriage and family have, sexual education support. It was observed that most of the interview subjects had experienced significant amounts of bullying, violence against them, and other negative incidents due to their disability. Additionally, it was observed that their family, teachers and their environment largely affected their level of awareness and attitude about their own sex. The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subjects particularly indicated tha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ten work with fear and have difficulty forming human relationships even after they become adults. Sexual education is crucial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other parties, as it supports while educates those with the disabil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ose with disabilities to express themselves to understand sexual and gender recognition as well as the attitud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고등학교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예비적 연구

        이영란 참마음교육학회 2006 未來敎育硏究 Vol.13 No.2

        본 연구는 현재 제 7차 교육과정의 국민 공통기본 교육과정과 고등학교의 선택교육과정이 모두 적용되는 시점에서 교육인적자원부가 2001년에 제작·배포한 성교육 교사용 지도 지침서와 성교육 관련 각종 고등학교 교과서에 산재된 성교육 프로그램 중 가장 미흡하다고 평가된 양성 평등 의식과 성적 의사결정 능력 등의 영역을 보완하여 좀 더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오늘의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청소년의 성적 비행과 탈선의 문제들을 학교교육의 현장에서 예방하고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중요성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 같은 연구의 주요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제작·배포한 성교육 관련 교과서의 교사용 지도 지침서와 각종 관련 연구보고서와 논문을 준거로 한 '성교육 관련 교과서 분석의 틀'을 구안·제작한다. 둘째, 본 연구자가 구안·제작한 '성교육 관련 교과서 분석의 틀'로 현행 고등학교의 성교육 관련 교과서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한다. 셋째, 새로운 학문적 접근인 '인간교육학'의 개념체계에 기초하여 일선 고등학교의 교수-학습 전개과정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모형을 구안한다. 넷째, 본 연구자가 구안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모형'을 바탕으로 고등학교의 교수-학습 전개과정에서 성교육을 위한 단일 교과서용 프로그램을 시안적으로 개발한다. At a time when both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elective course of high schools are applied, the realm of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nd sexual decision-making was assessed to be the most insufficient of the teacher's manual for sexual education and various sexual education programs scattered in high school textbooks which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MOE) in 2001. Thus, developing a more consistent and systematic sexual education program by supplementing this realm is urgently required. Having such a critical mind, this study begins by stressing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that will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solution of the issue of sexual misdemeanors and deviated behaviors o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which our society is faced with today.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for the study said above, this study set the 3 basic objectives. Firstly, this study analyzes the sexual education programs in the manual for sexual education which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by MOE based on the 7th curriculum currently in practice. Secondly, this study analyzes programs in various textbooks related to the sexual education currently in practice. Thirdly, the program conceptual model for sexual education that can be used on the field of the high school education is proposed, based on which a tentative sexual program is developed.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selected to achieve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proposes and produces 'the framework for analyzing the textbooks related to sexu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manual for sexual education and various research reports and theses which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by MOE in 2001. Secondly,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in the textbooks related to the high school's sexual education that is currently in practice was analyzed using 'the framework for analyzing the textbooks related to sexual education' proposed and produced by the writer. Thirdly,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ual model for 'development of sexual program t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t the high school based on the conceptual system of 'the Study of Human Education' , a new scientific approach. Fourthly, this study tentatively develops a program for a single textbook for sexual education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t high schools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for 'development of sexual program' proposed by the writer. In order to conduct the contents of this study specifically, literature analysis method that is focused on related literature and data was use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found based on the process and result of this study conducted so far. Firstly, two frameworks for analyzing the textbooks related to sexual education were proposed and produced: that is, 'the framework for sexual education by grade and by subject〈table I-2〉' and 'the framework for sexual education by subject and by printing firm 〈table I-3〉'.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acher's manual for high school sexual education currently in practice,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s which were dealt with mostly importantly were 3 categories- 'Development of Body and Psychology' , 'Understanding of Human relations' and 'Sexual Culture and Ethics' , 9 realm, 21 sub-realms and 61 themes. Thirdly, two facts were revealed from the analyses of this study. One of the facts is that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system in the teacher's manual for high school sexual education and various sexual education programs in the textbooks currently being used throughout the nation, one other fact is that there is a lack of consistent connection in the context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exual programs. Fourthly, 'the model for developing the sexual program' presented in 〈picture V-1〉 was proposed, in a accordance with 'the basic element of education' of 「the Study of Human Education」, a new scientific approach. Fifthly, the tentative program for a single textbook for sexual education to be us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t high schools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ual model for developing the program for sexual education' and 'the framework for analyzing the textbooks related to sexual education' proposed by the writer. This program for a single text book for high school sexual education was composed of 3 categories, 9 higher realms, 21 middle realms, 29 sub-realms and 75 themes in accordance with the high school teacher's manual provided by MOE.

      • 사랑의 공동체인 가정 안에서의 성교육

        이현수(Lee Hyunsoo)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2 누리와 말씀 Vol.- No.32

        우리가 갖고 있는 성(性)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그동안 우리의 탐구는 성이 어디에서부터 오고, 무엇을 위한,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한 탐구보다는 정보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에 더 중점을 두어온 것은 사실이다. 인간이 본성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의 의미를 제대로 깨닫지 못한다면, 결국 그가 가진 성의 역할은 충실히 해내지 못하고 때로는 성인(成人)의 삶을 살아가는데 장애가 되는 요소로 전락해버리고 말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여정 속에서 성교육은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현대의 윤리적인 많은 가치들의 문제의 심각함을 인식함과 동시에 이러한 위기에서 탈출하기 위해 인간 생명의 의미를 찾는 성교육의 시급함을 깨닫게 된다. 흔히 가정을 대신하여 성교육 프로그램을 해왔던 학교나 타 기관의 제도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자녀들을 위한 성교육의 첫 번째 요람은 바로 가정임을 인식해야 한다. 성이란 것은 태초에 하느님께서 아담과 하와의 창조를 통해 두 가지 성에 의해 하나 되고 재생산되는 가정을 선물로 주신 것처럼 가정 안에서 그 가치를 가장 잘 찾을 수 있다. 인간은 태어남과 동시에 하나의 성을 취하게 되고 하느님께서 주시는 사랑의 소명에 참여하도록 부름을 받는다. 이 사랑의 소명을 바탕으로 하나의 성은 또 다른 성을 만나게 되고 혼인을 통하여 부부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혼인 안에서 진정한 부부 사랑을 실천하는 모습이야 말로 자녀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최고의 성교육의 모범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요한 바오로 2세의 「가정 공동체」 37항을 바탕으로, 첫 번째 장에서는, 가정이란 사회의 첫 번째이고 대체 될 수 없는 공동체로서의 의미를 알아보고, 가정 구성의 근간이 되는 상호간의 사랑의 소명과 권리에 대해서 알아본다. 두 번째 장에서는, 성교육의 기초인 자기 내줌과 같은 사랑의 교육을 알아본다. 이 사랑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죽음을 택하시며 우리에게 온전히 자신을 내어주심과 마찬가지로 태어날 때부터 하느님께 받은 성이라는 선물을 부부간의 사랑 안에서 온전히 상호적인 자기 내줌으로 피어날 때만이 진정한 사랑임을 말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진정한 사랑이 피어나는 자리인 부부 사랑은 창세기에 나타난 아담이 고독의 의미를 발견한 후에 남자와 여자의 관계를 통한 혼인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더불어 이 부부 사랑에는 성령의 선물이 더해져서 단순한 부부 사랑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부부 자애로까지 나아갈 때 우리는 부부 사랑의 완성에 이르게 된다. 이 완전한 사랑의 구현은 본질적으로 자기 내줌을 실천할 때 가능한데, 자기 내줌이란 일시적이거나 부분적인 내어줌이 아니라 전체적이고 완전한 내어줌을 말한다. 우리가 사랑의 소명을 받은 것처럼 자기 내줌의 소명도 받았는데, 이 소명은 사랑의 소통을 통해서 드러난다. 이렇게 부부간의 상호적 자기 내줌이 바탕이 된 가정 안에서 성교육은 가능하다. 세 번째 장에서는, 성교육에 관한 언급한 다른 교회 문헌들에 나타난 가정안에서의 성교육을 위한 부모들의 권리와 의무를 알아본다. 그리고 이런 성교육은 정결의 덕으로 나아갈 수 있는 성의 성숙으로 가는 걸음에 동행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정결은 자기 내줌을 통해 실현되는 귀중하고 풍요로운 사랑을 특정한 소명 안에서 실현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교육은 가장 먼저 가정이 바탕이 되어야 하지만, 가정 안에서 그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교회와 학교와 사회도 또한 책임감을 갖고 협동해야 함을 잊어서는 안 된다. What is sexuality? If man did not search the integral meaning of sexuality, could not perform well the role of sexuality and may have difficulties in adult life. For this reason, sex education is an indispensable element in the path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human life. While being aware of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despite many moral values, to escape from this crisis is necessary that sex education can give meaning to human life. Then the school, which is made available to carry out programs of sex education, has done it often replacing of the family and more often than not with the intention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This replacement should not stop, but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at family is the first cradle of sex education for children. As in the beginning with the creation of Adam and Eve, God founded the family with an unitive-procreative intent between the two sexes, by means of identity and meaning of sexuality you can find the best value in the family. Man at birth is recognized in one sex, therefore he is called upon to respond to the call of God's love On the basis of this vocation to love, encounters an opposite sex, so the couple reaches the conjugal union through marriage. Thus, the aspect in which it operates conjugal love is the best example for the children of sex in marriage. However, this apostolic exhortation 'Familiaris Consortio' offers help for sex education. First we see the significance of family as the first school of society and irreplaceable community, we also see the vocation to reciprocal love, the rights of love and the sense of unity of the two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family, and finally, we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education. Secondly, we see an Education in love as self-giving, base sex education. This love, as Jesus gave us himself through his death on the cross, is manifested when man realizes the mutual gift of self in marriage. And that conjugal love must be based on the story of Genesis, which narrates the origin of marriag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after Adam has discovered the meaning of original solitude. When conjugal love receiving the gift of the Spirit, is no longer just simple conjugal love, but also can achieve a conjugal charity. This means the consummation of love. To be consumed in love is more important the gift of self, it means not a partial and temporal gift but a total and integral gift of self. As man gets the vocation to love, also receives the vocation to self-giving. This vocation is realized through the communication of love. So in the family, on the basis of self-gift between spouses, you can make sex education. Third, we see the right and duty of parents and the teaching of collaboration with other educators for sex education in the Church document: Gratissimam sane, Educational Guidance in Human Love: Outlines for Sex Education, The Truth and Meaning of Human Sexuality, etc.. In the family, parents must accompany their children on the path to sexual maturity by the virtue of chastity. Because chastity can realize true love in the call of God through the gift of self. For this sex education the family must not forget the collaboration with the Church, the school and society.

      • 아동 성교육 도서의 선정성 논란에 대한 고찰 - 여가부의 나다움 어린이책 선정 사업 시비를 중심으로 -

        김대유 ( Kim Dae You ) 한국보건교육학회 2021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ol.7 No.1

        아동의 성교육에 대한 논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에 대한 논란은 아동 성교육의 비중이 사회에서 매우 큰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불거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 우리나라의 초중고 학교에서 성교육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도 않다. 성교육은 입시교육보다 비중이 매우 작고 초등에서는 정식 커리큘럼으로 설정되어 있지도 않다. 성교육은 2007년 학교보건법에 의해 도입된 중등의 보건과목(초등은 의무수업)에서 하나의 단원으로 기술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나 매우 비중이 작은 아동 청소년의 성교육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 될 때 그 여파는 상당히 크다. 우리 사회는 이미 그러한 사례를 경험했다. 지난 2015년 교육부가 매우 보수적인 내용의 국가성교육표준안을 학교에 도입할 때 사회적 갈등이 증폭되었다. 여성단체와 진보적 교육단체 등은 교육부의 국가성교육표준안에 반대하고 일일이 문제점을 지적했다. 반면에 보수적인 시민단체와 종교단체들은 지지하고 환영했다. 이 문제와 갈등은 2021년 현재까지 그 갈등이 이어져오고 있다. 본고는 2020년에 이슈가 되었던 여성가족부의 ‘아동 성교육 책’ 보급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을 다루었다. 제2의 국가성교육표준안 사건의 재현이다. 보수적인 종교단체가 중심이 되어 아동 성교육 체계를 비난하고 책 내용이 선정성으로 가득 차 있다고 주장했다. 그들의 주장으로 인해 아동 성교육 책의 보급을 위한 정부의 사업은 중단되었다. 이 논문은 그 갈등의 실체를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올바르게 진행된 아동 성교육 책 사업이 부당하게 중단된 이유를 밝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현재 초등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는 보건교과서의 성단원도 함께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The controversy over sex education for children is not new, but controversy is never raised because of the large proportion of sex education. Sex education does not hold an important posi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Sex education is much smaller than entrance education and is not set up as a formal curriculum. Sex education is only described as a single unit in health care, which was introduced under the School Health Act 2007. However, when sex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becomes a social issue, the impact is significant. Our society has already experienced such cases. Social conflict escalated in 2015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ed highly conservative National Sex Education Standards to schools. Women's organizations and progressive education groups opposed the Ministry's National Sex Education Standards plan and pointed out the problems. On the other hand, conservative civic groups and religious groups supported and welcomed it. This problem and conflict have continued to date in 2021. The paper dealt with social conflicts over the distribu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s "Children's Sex Education Book," which became an issue in 2020. This is a reproduction of the Second National Standards for Gender Education. This paper identifies and analyzes the reality of the conflict. I wanted to reveal why the children’s sex education book project, which was being carried out correctly, was unfairly discontinued. In addition, the sex unit of the health textbook currently taught in elementary schools was analyzed and compared.

      • KCI등재

        성평등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과 개선 방향 : 서울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이수정(Lee, Sujeong),김자영(Kim, Ja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서울시교육청 성평등교육 정책에 관련된 이해당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정책을 진단하고 향후 정책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 소속 초중등학교급 교사(교과, 보건), 서울시교육청 전현직 업무 담당자, 사회단체 활동가를 대상으로 초점 집단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평등교육 정책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인식은 1) 우연한 시작, 선도학교: 그러나 평등과 존중의 성문화를 위한 인연, 2) 아주 평범하고 사소한 양성평등교육주간: 그러나 존재만으로 강력한 장치, 3) 겹겹의 벽에 막힌 교원학습공동체: 그러나 울림있는 경험의 장, 4) 갈팡질팡, 주춤하는 성평등 연수: 그러나 교육 주체 성장의 열쇠, 5) 표준에 갇힌 성평등교육 콘텐츠: 그러나 교육실천을 위한 필요충분조건, 6) 방향 없이 표류하는 스쿨미투: 그러나 학교의 의지와 역량에 달려있는 블랙박스로 분석되었다. 성평등교육 정책의 개선 방향으로는 1) 성평등교육 정책 지원의 명시화, 2) 업무 담당자 간의 유기적 업무체계 구축, 3) 성평등교육 담당 교사의 업무 경감, 4) 성평등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향상 지원, 5) 성평등교육 담당 기관의 책임과 권한 명확화가 제안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perception and needs of interested parties related to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olicy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o diagnose current policie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ies. To that end, a group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ubject, health), former and incumbent official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activists from social organizations were interviewed. According to the study, various criticisms and expectation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 Gender Equality Education policy were analyzed into: 1) leading schools that started in a weird way: for a gender culture of equality and respect, 2) very ordinary and minor gender equality education week: but a powerful device only for existence, and 3)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blocked by layers of walls: but a resonant field of experience, 4) crumbling and faltering gender equality training: the key to the growth of educational subjects, 5) content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trapped in standards: but,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implementing education, 6) “school me too” floating without direction: but, a black box depending on the school s will and competen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olicy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ggestions include: 1) clarifying support for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olicy, 2) establishing an organic work system among task personnel, 3) reducing the work of teachers in charg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4) supporting the professional improvement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personnel, and 5) clearing the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y of institutions in charg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교원 양성교육과 현직교육 연계 방안 탐색 연구

        노종희,김양현,정규영,김병찬,송경헌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초등교원 양성교육과 현직교육의 연계 방안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1) 현행 초등교원 양성교육과 현직교육의 연계 실태를 분석하고, 2) 초등교원 양성교육과 현직교육의 연계 방안을 구안하였으며, 3) 초등교원 양성교육과 현직교육의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 및 제도 정비 방안 마련 작업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초등교원 양성교육과 현직교육의 연계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현행 초등교원 양성교육과 현직교육은 상호 연계 없이 각각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초등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 중, 1) 교육대학 교수들이 평가한 심화발전된 강좌, 2) 현직교사들이 평가한 심화발전되고 학교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강좌, 3) 교육대학 교수들이 추천한 강좌, 4) 모범교사들의 추천 강좌 등을 종합하여 양성교육과 현직교육을 연계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원 양성교육과 현직교육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 및 제도 정비 방안으로, ‘초등교원 연수발전위윈회’(가칭)의 설치운영, 교육대학과 교육연수원 간의 인적교류를 통한 상호 협력체제 강화,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연수과정의 등급화 및 양성과정과의 연계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실과 가정영역에서 오감활용 감성교육 방안 연구

        이성숙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4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motional education applying five senses to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this, it examine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five senses and emotional education and needs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to practical arts education, analyzed the elements of emotional education based on human character, goal and nature of pursued by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and explored factors related to practical arts education, five senses and emotional education. It suggested the cases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with units of home economics in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 curriculum. Using five senses is naturally connected to emotion, concretely related parts to emotion such as curiosity and confidence can be developed during the class and if the class is performed with the theme of these emotions, emotion can be enhanced and effec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tself can be also increased. Boosting a desirable emotion using five senses enhances thinking,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s also helpful to achieve goals of study and strengthen core compet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components of emotional education from the human characters and educational goals pursued by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it was related to most of areas of five components of emotional education, emotional education was possibl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t would contribute to the accomplishment of goal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t followed the following principles to present the practices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It was organized to include home economics area evenly and enrich emotion by stimulating five senses with various instruments and materials. It was experience-centered rather than theory-oriented and recognition or emotion was formed to stimulate five senses. Contents and experiences of emotional education based on the goals of curriculum and emotional education were planned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conducted. Contents of emotional education consisted of five factors and are developed by stages. Theme, goals and contents of activity and central senses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in home economics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otal 22 classes by two~four classes for each theme were presented. The unit, 'Making Healthy Snack' was presented as a case of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It is therefore expected that practical arts education can be connected to emotional education and application of five senses, emotional education using five senses can enhance emotion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will be also helpful to reach learning goals and strengthen core competenc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Subsequently, it is considered that research on the analysis of effects of applying i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required. 이 연구는 실과 가정영역에서 오감활용 감성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하여 오감 및 감성교육의 의의 및 필요성, 실과교과에서 오감활용 감성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고, 감성교육 요소를 실과 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목표, 성격 등을 바탕으로 분석하였고, 실과교과, 오감, 감성교육과의 관련 요소를 탐색하였다. 2009 개정 실과교육과정 가정영역의 단원을 중심으로 오감활용 감성교육 프로그램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오감활용은 자연스럽게 감성으로 연결되며, 실과 수업 중에 호기심, 자신감 등과 같은 구체적인 감성과 연관된 부분을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감성을 주제로 수업이 이루어질 경우, 감성이 제고됨과 동시에 실과교과 자체의 효과도 높아지게 된다. 오감을 활용한 바람직한 감성의 고양으로 사고력, 창의력, 문제해결력 등이 증진되며 실과교과의 학습 목표 도달 및 핵심역량 강화에 도움을 준다. 2009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목표 측면에서 감성교육 구성 요소를 분석한 결과, 감성교육 다섯 가지 요소(자기 인식, 자기 조절, 자기 동기화, 타인 감정 인식, 대인 관계 능력) 중 대부분의 영역과 관련이 있었으며 실과교육에서 감성교육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실과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오감활용 감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원칙은 가정영역이 골고루 포함되도록 구성하였고, 다양한 도구와 재료로 오감을 자극하여 감성이 풍부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론보다는 체험을 중심으로 하여 오감 자극을 사고로 유발시켜 인식이나 감정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교육과정 목표와 감성교육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그 목표에 기초한 감성교육 내용과 경험을 계획하여 실과 교수 학습 활동을 통해 수행하도록 하며, 감성교육의 내용은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하여 단계별로 진행하도록 하였으며, 실과 가정영역에서 오감활용 감성교육의 주제명 및 활동 목표, 활동 내용, 중점 감각을 제시하였다. 오감활용 감성교육 프로그램의 실제는 감성교육 요소 단계별로 주제를 구성하는 방법(각 주제별 2~4차시로 총 22차시)과 한 주제 내에서 감성교육 단계별로 교육이 전개되는 방법(‘건강간식 만들기’단원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실과교과는 감성교육, 오감활용과 연계가 가능하며 오감을 활용한 감성교육으로 감성 능력 함양 및 사고력, 창의력, 문제해결력 등이 증진되며 실과교과의 학습 목표 도달 및 핵심역량 강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후속적으로 초등학생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