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이현승,이윤정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1

        이 연구는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을 6주제, 12차시로 구성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에 실험집단에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학교교육과정에 따른 창의적 체험활동을 하였다. 실험결과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증을 하였고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여 정량적 분석을, 학생들의 행동관찰과 소감문을 통해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첫째,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감성지능 점수를 비교 검증한 결과, 5%수준에서 감성지능 점수는 유의차가 있었다. 둘째,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전후 감성지능 점수를 검증한 결과, 감성지능 점수는 5%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따라서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감성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학생들의 행동 관찰 및 활동 소감문 등을 분석한 결과,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인식할 수 있으며,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타인의 감정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능력,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등 감성지능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면, 학년별, 학교급별 학생들의 감성지능 변화를 위한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며, 일선학교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감성교육프로그램을 보급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n Emotional clothing habits education program on emotional intellige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verifying this, we selected two 3rd grade classes, we carried out the Emotional clothing habits education program for experimental group and we carried out the program by school curriculum for comparison group. With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we carried out t-test of 5%, and for analyzing change of activity of experimental group for verifying effects. We observed their change of activity and analyzing their options. The result is like this, First, when we compared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ion group,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motional intelligence of level of 5% emtional intelligence disposition.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Emotional clothing habits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vironmental attitude. Second, difference of result were found at 5% level. Therefore, we can find Emotional clothing habits education program affects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positively. Third, we checked their opinions which were searched after program, and we can find this program affects fluency as emotional intellignce side and this program affects understanding myself, recognized their feelings, comtrolled emotion myself, accept to emotion yourself, capability of understand, express of emtiona myself, and also, this program affects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skill positively. We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should involve Emotional clothing habits education program for other grades and efforts should be made on distribu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clothing habits education program to general school in order to facilitate their access by school teachers.

      • KCI등재

        초기 청소년 대상 부모참여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이 참여자의 성지식, 성태도, 성관련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유진,조은숙 한국가족관계학회 202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9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들을 위한 포괄적 성교육을 부모참여기반 단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참여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의 변화 그리고 교육에 참여한 부모와 자녀 간의 성관련 의사소통 증진을 유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경기도 K 지역 4-6학년 남녀 학생 및 부모 33쌍을 참여자로 모집하여, 실험집단(부모참여기반 성교육 프로그램), 비교집단(부모참여 없는 동일 성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통제집단(무처치)에 무작위 배치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성교육 프로그램은 총 9회기를 3번의 만남을 통해 소화하는 단기 프로그램으로 유네스코의 포괄적 성교육의 핵심주제들을 중심으로 동영상 및 활동 교수 자료를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세 개 집단에 대해 사전-사후검사를, 실험집단에 한해 8주 후 추후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부모참여 기반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기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 부모와의 성관련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부모참여 성교육 효과는 프로그램 종료 후 8주 시점에 유지 또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집단에서는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의 변화는 나타났으나 성관련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제한된 효과만 나타났다. 통제집단에서는 어떤 유의미한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기존의 부모참여기반 성교육에 비해 부모 부담을 최소화한 형태로 고안된 본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프로그램의 효과는 기존의 부모참여기반 성교육에 뒤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8주 후에도 효과가 지속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모참여기반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기 청소년과 그 부모를 위한 지속 가능한 형태의 단기 성교육 모델로 권장될만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a short-term, parent-participation-based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rogram for early adolescents. It aims to examine whether this program changes i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improvements in sex-related communication. Method: The study recruited 33 pair participants, comprising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4th to 6th grade, along with their parents from the K region. The sex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nine session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participating youths'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level of sex-related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 additional follow-up examination was conducted after 8 week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 analyses were employed.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arent-participation-based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in enhancing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sex-related communication with parents among early adolescents. The effects were maintained or improved over time. Conclusions: The sex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facilitated parental involvement in a sustainable and brief way, achieving relatively satisfactory outcomes compared to long-term parental involvement in existing programs.

      • KCI등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기반 국내 성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 2000년~2021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최은별,임지나,신주연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3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research trends of sex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conduct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rograms. The current study also intende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in developing and improving elementary sex education programs. To achieve these goals, we selected 29 Korean academic journals addressing elementary sex education programs. The articles were analyzed through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sis, program content analysis, and quality indicator analysis. Starting with 5 studies on sex education programs published in 2000, studies on this topic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with 1~4 articles published each year, mostly focusing o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a research design, the majority of the studies administered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method, and there was no single unified measurement tool. Most of the programs were implemented by program researchers, class teachers, or school nurses. Regarding the dependent variables, most of the studies measured the two following variables: sexual knowledge (22 papers) and sexual attitude (21 papers). The contents of sex education programs could be widely classified into physical development and sex,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sexual values, social development and sexual culture, and marriage and family life. The qualitative indicators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studies satisfied six or more qualitative indicators. Based on the current findings, th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한 성교육 관련 프로그램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성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향후 초등학생들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한 국내 학술지 논문 29편을 추출하여 개괄적 특성분석, 프로그램 내용분석, 질적지표 분석을 시행하였다. 초등학생 성교육 프로그램 연구는 2000년 5편으로 시작하여 현재까지 매년 1~4편으로 꾸준히 연구되고 있으며, 대부분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설계방식은 통제집단 사전-사후설계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고, 이를 측정할 통일된 측정 도구는 없었다. 연구 중재자는 대부분 연구자와 담임교사 또는 보건교사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인은 성지식 22편, 성태도 21편으로 두 변인을 측정한 논문이 대부분이었다. 프로그램 교육내용은 크게 신체적 발달과 성, 심리적 발달과 성가치관, 사회적 발달과 성문화, 결혼과 가정에 대한 교육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질적지표의 충족 여부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6개 이상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초등학생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 연구에 대한 논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고등학교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예비적 연구

        이영란 참마음교육학회 2006 未來敎育硏究 Vol.13 No.2

        본 연구는 현재 제 7차 교육과정의 국민 공통기본 교육과정과 고등학교의 선택교육과정이 모두 적용되는 시점에서 교육인적자원부가 2001년에 제작·배포한 성교육 교사용 지도 지침서와 성교육 관련 각종 고등학교 교과서에 산재된 성교육 프로그램 중 가장 미흡하다고 평가된 양성 평등 의식과 성적 의사결정 능력 등의 영역을 보완하여 좀 더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오늘의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청소년의 성적 비행과 탈선의 문제들을 학교교육의 현장에서 예방하고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중요성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 같은 연구의 주요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제작·배포한 성교육 관련 교과서의 교사용 지도 지침서와 각종 관련 연구보고서와 논문을 준거로 한 '성교육 관련 교과서 분석의 틀'을 구안·제작한다. 둘째, 본 연구자가 구안·제작한 '성교육 관련 교과서 분석의 틀'로 현행 고등학교의 성교육 관련 교과서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한다. 셋째, 새로운 학문적 접근인 '인간교육학'의 개념체계에 기초하여 일선 고등학교의 교수-학습 전개과정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모형을 구안한다. 넷째, 본 연구자가 구안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모형'을 바탕으로 고등학교의 교수-학습 전개과정에서 성교육을 위한 단일 교과서용 프로그램을 시안적으로 개발한다. At a time when both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elective course of high schools are applied, the realm of the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nd sexual decision-making was assessed to be the most insufficient of the teacher's manual for sexual education and various sexual education programs scattered in high school textbooks which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MOE) in 2001. Thus, developing a more consistent and systematic sexual education program by supplementing this realm is urgently required. Having such a critical mind, this study begins by stressing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that will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solution of the issue of sexual misdemeanors and deviated behaviors o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which our society is faced with today.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for the study said above, this study set the 3 basic objectives. Firstly, this study analyzes the sexual education programs in the manual for sexual education which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by MOE based on the 7th curriculum currently in practice. Secondly, this study analyzes programs in various textbooks related to the sexual education currently in practice. Thirdly, the program conceptual model for sexual education that can be used on the field of the high school education is proposed, based on which a tentative sexual program is developed.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selected to achieve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proposes and produces 'the framework for analyzing the textbooks related to sexu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manual for sexual education and various research reports and theses which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by MOE in 2001. Secondly,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in the textbooks related to the high school's sexual education that is currently in practice was analyzed using 'the framework for analyzing the textbooks related to sexual education' proposed and produced by the writer. Thirdly,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ual model for 'development of sexual program t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t the high school based on the conceptual system of 'the Study of Human Education' , a new scientific approach. Fourthly, this study tentatively develops a program for a single textbook for sexual education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t high schools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for 'development of sexual program' proposed by the writer. In order to conduct the contents of this study specifically, literature analysis method that is focused on related literature and data was use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found based on the process and result of this study conducted so far. Firstly, two frameworks for analyzing the textbooks related to sexual education were proposed and produced: that is, 'the framework for sexual education by grade and by subject〈table I-2〉' and 'the framework for sexual education by subject and by printing firm 〈table I-3〉'.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acher's manual for high school sexual education currently in practice,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s which were dealt with mostly importantly were 3 categories- 'Development of Body and Psychology' , 'Understanding of Human relations' and 'Sexual Culture and Ethics' , 9 realm, 21 sub-realms and 61 themes. Thirdly, two facts were revealed from the analyses of this study. One of the facts is that there is a lack of education system in the teacher's manual for high school sexual education and various sexual education programs in the textbooks currently being used throughout the nation, one other fact is that there is a lack of consistent connection in the context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exual programs. Fourthly, 'the model for developing the sexual program' presented in 〈picture V-1〉 was proposed, in a accordance with 'the basic element of education' of 「the Study of Human Education」, a new scientific approach. Fifthly, the tentative program for a single textbook for sexual education to be us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t high schools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ual model for developing the program for sexual education' and 'the framework for analyzing the textbooks related to sexual education' proposed by the writer. This program for a single text book for high school sexual education was composed of 3 categories, 9 higher realms, 21 middle realms, 29 sub-realms and 75 themes in accordance with the high school teacher's manual provided by MOE.

      •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육사 리더생도 양성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강용관,임유신,강원석,임현명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연구 Vol.34 No.2

        육군사관학교는 생도 리더십개발교육의 일환으로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은 구성과 내용 상 셀프리더십의 개발과 관련이 있지만 이에 대한 실제적인 검증은 이루 어지지 않은 상황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실제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Kirkpatrick 의 4단계 평가모형 중 1,2단계에 의거하여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의 만족도 및 셀프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 로서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연구과제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들의 만족도는 7 점 Likert척도에서 5.7점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즉, 리더생도들은 교육 프 로그램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셀프리더십 차이를 비교하여 리 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이 셀프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검 증을 실시한 결과,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셀프리더 십에 대해 유의미한 긍정적인 차이를 일으켰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평가 비교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셀프리더십 향상에 유의 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제공한다. 프로그램의 측면에서,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이 Kirkpatrick 평가모형의 1,2 단 계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거둠에 따라서 리더생도 양성교육 프로그램은 셀프리더십 개발에 있어 효과적이라는 것이 검증되었다. 셀프리더십 개 발의 측면에서, 육군사관학교는 직무 만족, 조직 몰입,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임무형 지휘의 하위요소로 검증된 셀프리더십의 개발수단을 실증함으로써 사관생도들이 조직에 더욱 헌신할 수 있고, 육 군이 추구하는 임무형 지휘를 수행할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마 련하였다는데 시사점이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과정 비교

        김영연,장선진,김수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과저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특기?적성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균형 있는 교육과정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의 내용과 범주, 프로그램의 양이 학교별, 학년별로 어떻게 다른지, 프로그램을 과학의 세부분야인 생물, 화학, 지구과학, 물리, 환경으로 나눈다면 특별히 중점을 두고 있는 분야가 어떤 것인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인터넷 검색과 이메일 면접 그리고 문헌조사를 택하였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과학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최근 몇 년동안 운영하는 학교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였고 미국에서는 4개 대학과 1개 초등학교였다.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와 미국의 특기?적성교육제도는 공히 학생들의 방과후 교육활동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시행기관과 수혜자가 같은 기관이었지만 미국은 대학과 지역사회의 개입으로 인하여 공급자와 수요자가 다양한 형태이다. 담당영역은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어를 위시한 정규교육관련이었지만 미국은 폭력 예방, 레크레이션 등의 사회교육적 내용이었다. 둘째, 우리나라와 미국 모두 초등학교 4학년에 프로그램이 편중된 졍향이었다. 셋재, 내용별 분석에서 우리나라는 인체에 대한 프로그램, 색소분리, 다양한 지구과학이 많은 반면 미국은 생태학, 다양한 화학, 기상학, 천문학, 화석학, 환경 관련 프로그램이 많았다. 또한 우리나라와 미국은 공통적으로 전기와 에너지에 관련된 다양한 물리 분야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많았다. 다섯째, 학년에 따라 개설 프로그램이 특징을 보였다. 생물분야에서 우리나라는 2학년, 미국은 4학년에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구과학분야는 우리나라는 3~4학년, 미국은 3학년에게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물리분야는 우리나라는 1~2학년에게 미국은 4학년에게 많은 양의 프로그램수를 제공한다. 환경분야는 양국 모두 매우 부족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중점분야는 화학, 물리 순이었고 취약분야는 환경, 생물, 지구과학 순이었던 반면 미국의 중점분야는 생물이었고 취약분야는 화학, 물리, 지구과학 순이었다. The current after-school science curricula both in Korea and the USA were examined and compared in order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in science after-school curriculum in Korea. Information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searching as well as email and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teachers. Five Korean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s in addition to four American university extension programs and one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quantity, contents and way of management of the programs as wel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 the educational institute is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object of education is also schoo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USA, however, educational institutes are elementary school, university, and community center.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number of the programs, indicated that the maximum numbers of program were found in the 4th grade in both countries. However, Korean elementary schools open more subjects in after-school science program than American institutions do. Third, Korean curricula emphasize the fields of physics and chemistry more than other fields, but U. S. A focused on the biology and earth science, In conclusion, students of both countries should learn the knowledge of all kinds of science fields.

      • KCI등재

        십대 여자청소년 대상 라이프스킬(Life-skills)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송승훈(Seung-Hun Song),이규영(Lee, Gyu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십대 여자청소년의 계획되지 않은 임신은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학교생활을 중단하거나 가족들에게도 큰 상처를 주고, 더 나아가 사회적, 경제적, 국가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어 이들의 성 건강 및 생식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것은 공중보건학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예방적 차원의 라이프스킬 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2개 여자중학교 1학년 재학생 110명이며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실험설계이다. 실험군은 라이프스킬성교육을 적용한 집단으로 브레인스토밍, 역할극, 토의 등을 모둠학습으로 진행하였고, 대조군은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두 집단 모두 임신과 출산, 성 매개 감염병 등 동일한 교육내용으로 8차시 운영하였다. 본 연구 결과, 라이프스킬 수준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성지식은 실험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t=-2.03, p<.044), 성 위험행동 중 음란물 시청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성교육 수업 만족도도 실험군이 유의하게 높게 나와(t=4.592, p<.001), 본 연구가설은 제 1가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지되어 성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일부나마 과학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청소년들의 성 문제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특히 라이프스킬은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보편적인 기술로서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의사결정, 목표설정, 문제해결능력 등 인간의 사회 심리학적 요인을 활용하는 기술을 말하는 데 본 연구가 국내 최초 라이프스킬 개념을 도입한 성교육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으며 학교성교육정책이 학생 주도적・참여형 성교육으로 나아가야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즉 ‘생각하는 힘’과 ‘자기관리역량’을 높일 수 있는 라이프스킬 성교육으로 전환되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본 프로그램의 학교도입을 적극 고려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life-skills and sexuality education program on life-skills levels, sexuality knowledge, sexual risk behaviors and satisfaction of sexuality educations program to teenage adolescents girl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were 49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8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study was performed on experimental group to the life skills and sexuality education program lasted for 8 weeks and consisted of learner participation classes such as group discussion, brainstorming, and role pla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² -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result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exuality knowledge and satisfaction of sexuality educations progra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the life-skills.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pornography viewing rates. These results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reducing teenage adolescents girls’s sexual risk behavior. Therefore, this program should be included in the school sexuality program, as a part of the formal curriculum in female middle schools.

      • KCI등재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대처에 미치는 효과

        윤현경(Hyeon-Kyeong Yun),오현숙(Hyun-Sook Oh)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에게 전인적 돌봄을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노인의 성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지식을 가지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요양보호사를 위한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대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은 4주 프로그램으로 주 1회 120분씩 총 4회 실시하였다. 2012년 9월 10일부터 10월 10일까지 H지역의 H노인요양시설에서 요양보호사 실험군 19명과 S지역의 S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대조군 18명 총 37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후 사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Shapiro-Wilk test, Fisher의 정확한 검증, Paired t-test, Indepent Samples t-test, Wilcox signed rank test, Mann-Whitney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교육프로그램을 받은 요양보호사는 교육을 받지 않은 요양보호사에 비해 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성에 대한 지식은 증가하였으나, 태도와 대처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개방적인 성태도와 효율적인 대처를 위해서는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장기적이고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Program on careworkers Knowledge, Attitudes and Coping toward sexuality of the Elders. The experimental design for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Research was done from September 10, 2013 to October 10, 2013. Participants included a total of 37 subjects. 19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in the contro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hapiro - Wilk test, χ²-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Mann-Whitney U test, paired t-test, Wilcox signed rank test using SPSS/PC WIN 18.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knowledge of sex, but attitude and positive coping, negative coping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ex education could be effective higher sex knowledge of careworkers, but could not be effective sex attitudes and cop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develop sex education program to be effective sex attitudes and coping of careworkers.

      • KCI우수등재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통합적 고찰

        신혜원,이정민,민혜영 한국간호교육학회 2020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literature on the sex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effective sex education programs for this population. Methods: Whittemore and Knafl’s integrative review method guided this review of studies conducted from 2000 to 2019. Articles were identified through three electronic databases and scholarly web sites. Fifteen articl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Results: Three studies were descriptive, and 12 described interventions. In most of the reviewed studies,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sexual autonomy improved after sex education interventions. Before providing sex education, the researchers assessed student’s needs for sex education and the various topics provided through sex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 When developing sex education programs, we need to a) focus on practical sexual knowledge including contraceptive methods, b) provide repeated and continuous education of a sufficient duration, c) provide comprehensive sex education beyond biological sex, and d) use various teaching methods to allow participant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Additionally, sex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y experts such as nurses or trained educators to provid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education for young adults.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고찰 방법을 이용하여 대학생 성교육 프로그램의 서술적 기술 및 중재 와 관련된 논문을 분석하여 15편의 논문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 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성교육 프로그램의 속성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중재 프로그램에서 성 지식, 성 태도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었고, 일부 연구에서 피임법, 성매개 감염, 임신 등의 실질적인 내용을 추가로 교육하고 있었다. 둘째, 성교육 요구도는 성별 간에 차이가 있었다. 성 지식은 여학생이 점수가 더 높은 반면, 성 태도는 남학생이 더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일회성의 교육보다 일정기간 이상의 장기간의 교육을 실시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다. 넷째, 생물학적 성 지식 이외에도 관계적, 사회적인 성을 추가하여 교육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성 지식, 성 태도, 의사소통 등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여 간호사 혹은 전문가 집단을 통해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초기 성인기 혹은 대학생들의 건전한 성 행동 및 성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대학생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전에 성별 및 연령 등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성교육 요구도를 사정하여 추후 이에 맞춘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도록 한다. 둘째, 피임법, 성병 예방, 성적 자율성 등 실제적으로 활용가능한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향후에는 성교육을 받은 후에 실질적으로 성 행동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추적 조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몇 주 이상의 장기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교육을 제공하며,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등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참여를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생물학적인 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사회적, 관계적 측면을 고려한 포괄적인 성교육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영유아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그림책을 중심으로

        김연옥,홍경선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영유아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목적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 52명과 부모 155명의 인식 및 실태, 영유아 성행동 및 성교육 프로그램에 관련된 선행연구, 파일럿 테스트(pilot test)를 통해 교육목표, 학습경험 선정, 학습경험 조직, 학습성과 평가를 구성하여 10인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영유아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의 목적은 ‘영유아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역량 증진’, 목표는 ‘영유아 발달과정 및 성행동 특성에 관해 설명하고, 성질문, 성일반행동, 성문제행동과 성행동 대처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으며, 성교육 내용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이다. 학습경험 선정은 성에 대한 이해, 성행동 대처법, 성교육 방법으로 구성하고 학습경험 조직은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 및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조직하였다. 학습성과는 부모와 교수자로 나누어 평가한다. 본 연구는 부모가 영유아자녀의 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성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