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가로시설물의 조형 요소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

        강규범,조세환,Kang, Gui-Bum,Cho, Se-Hwan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4

        본 연구는 가로 시설물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 가로경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일산 신도시의 가로 공간 내 입지하고 있는 휴식, 위생, 조명, 정보, 판매, 교통, 조경 관련 다양한 가로시설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가로시설물 관련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이론을 고찰하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결과를 고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에서 '휴식시설'과 '정보시설', '조경시설' 등 3개 요소가 가로경관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휴식', '조경', '정보' 시설 순으로 경관 선호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휴식시설에는 각종 '의자 요소'가, 정보시설'에는 '사인보드'가, 조경시설에는 '조형물', '분수', '문주'등의 시설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형태, 색채, 질감, 스케일 등 조형요소가 가로시설물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휴식시설인 의자는 '질감', '형태', '스케일', '색채'의 순으로 조형디자인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색채' 요소가 다른 3개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관 선호도에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의자 등 편의시설에서는 질감, 형태, 스케일 등 기능적인 사항이 색채 등 시각적 것보다 선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었다. 조경시설 중 모뉴먼트와 관련된 시설은 경관 선호도에 있어 '색채', '형태', '질감', '스케일'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의자 등 편의시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색채, 형태등 시각적 요소가 오히려 경관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셋째, 특히, 사인보드 등 정보시설에 있어 경관 선호도와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부(否)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인보드가 경관 선호도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의미하고 있음인데, 디자인 조형요소와의 상관성은 '스케일', '색채', '질감'의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스케일' 즉 광고물의 '크기'와 '색채'가 경관 선호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가로 경관 요소로서 가로 시설물을 디자인하고자 할 경우,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조형 요소에 상대적으로 집중적 관심을 쏟아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로시설물을 분류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교과서적으로 분류해 온 '기능' 중심의 '계' 차원의 분류체계는 경관성과 관련하여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경관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할 경우, '계'보다는 '시설 종류' 차원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street furniture design elements and preference of street furnitu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various street furniture set on Ilsan new town street, which are rest, hygiene, light, information, sale, traffic, and landscape. This study has processed by analysing street furnitur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ory. First, for analysed effect of street furniture element, has been appear as element 'relaxation facilities', 'information facilities', landscape facilities' mainly effect on street. Specially, 'rest', 'landscape', 'information' in order had a major influence on scenery. Each kind of 'chair elements' in rest facilities, 'sign board' in information facilities, 'sculpture', 'fountain' in 'landscape facilities' has analyzed as the main elements in the landscape affinity property affecting factor. Second, the results of analyzed landscape elements (shape, colour, texture, scale) affect to the affinity of street furniture. chair which are included in rest facilities affect "texture", "form", "scale", "color" in the order of preference of the molding design elements that influence landscape. Particular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olour' element affecting the landscape preference than the other three elements. It means as the chair element which is rest facilities mainly affect on preferences, rather than texture, form, scale, colour. Monument in the landscape associated with a preference 'colour', 'shape', 'texture' 'scale' and appears to be in order of impact so we could get the consequence like chair and rest facilities show different aspects of the respectively. It means, visual element which are colour and shape significantly impact on landscape preferences. Third, information facilities such as signboard formative elements of landscape design preferences and correlation with negative showed that the correlation. That mean if the sign board is very negative influence on landscape preferences and the correlations of the design formative elements appear in order of 'scale', 'colour', 'texture'. It also means that the 'scale' namely the size of advertising material and colour are adversely affected in terms of landscape. As these results, when design street furniture as the street scene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shape element and need to focus on relative shape element according to the kind of facilities difference. Finally, so far as to clarify the street furniture, mainly 'function' and 'system' classification shows undesirable in outdoor scape. Thus, performed studies in relationship with landscape, classify 'kind of facilities' is more desirable than 'system'.

      • KCI등재

        일산 신도시 보행상업가로 파사드의 경관 선호 구조 분석 - ‘조형요소’와 ‘미 원칙’의 상호작용 경로 분석 관점

        강규범,조세환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6 No.3

        This study examined public preference for scenic quality of building facades from a view point of interaction between ‘art elements' and 'art principles’ and path analysis under hypothesis that scenic preference for building facades be determined by such interaction. It aims to present a framework for building facade design for commercial street. A public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mechanism of visual perception by the ‘street-goers’ (analyze landscape structure for those) who use commercial street. The results were (and it was) verifi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factor analysis,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This study found that ‘art elements’ and ‘art principles’ are correlated to visual preference by the public. This study identified path which ‘art elements’ have an effect on landscape preference through ‘art principle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application of ‘art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as much as ‘art elements’ when designing facade. 본 연구는 건축물 파사드의 경관 선호도가 ‘시각적 조형요소’와 ‘미 원칙’에 의해 결정된다는가설 아래 일산신도시 보행상업거리를 대상으로 건축물 파사드의 경관 선호 구조를 ‘조형요소’와 ‘미 원칙’의 상호작용과 경로 분석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이용자 선호 기반의 보행상업거리 파사드 경관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관 구조 분석을 위해 상업거리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경관 선호에 대한 요인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델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조형요소’와 ‘미 원칙’은 모두 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형요소’와 ‘미 원칙’의 관계에서 ‘미 원칙’ 을 통해 ‘조형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pass)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디자인시 ‘조형요소’ 자체에만 관심을 둘 것이 아니라 ‘미 원칙’의 적용 관점에서 ‘조형요소’를 디자인하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생체를 모방한 건축 조형 디자인에서 미적 선호 유발 요소에 관한 분석 -시각 인지에서의 각성의 신경 활동을 중심으로-

        양지제,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1

        다양한 생체 모방 건축 사례를 보면 디자이너에게자연이 항상 영감의 원천이라는 점을 알게 된다. 자연과 인간의 공진화는 자연의 조형에서 긍정적인 호감요소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자연조형을 모방한 모든 건축이 소비자 선호를 얻은 것이아님을 실제 사례 평가를 통해 발견했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생체 모방 건축 사례가 소비자선호를 얻는 구조를 탐구해 디자인에 활용하는 것을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구조와 기능이 아닌조형적 모방에만 한정하였으며, 향후 생체 모방 건축디자인에 이론적 참고를 제공하려 한다. 연구를 통해, 미적 반응이 항상 의식적이지 않고, 두뇌의 영역에서무의식적 신경 활동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지 신경과학을 기반으로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6개의 주요 시각 층위를 정리하였다. 또한 시각 대상의 의미 인식 과정 및 미적 영향 확인하여, 두뇌에 미적 감정을 제어하는 각성 메커니즘을 해석해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움과 익숙함은 각성 수준을 조정 가능한 각성 잠재력으로서, 적절히 결합해야 소비자의 선호를 받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을 통해 시각적 측면에서 새로움과 익숙함을 정량화할 수 있는 요소로 전환해, 소비자의 선호얻은 디자인 사례들이 자연의 시각 요소를 모방한 공통 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해, 6개의 시각 요소중 3-4 개 요소로 구성한 조형에서 선호가 나타나는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자연 조형이 가진 질서를모방한 디자인에서 소비자의 보편적 선호가 드러났다. 본 연구가 생체 모방 조형의 건축 디자인 방법에 이론적 뒷받침이 되기를 기대한다. Nature has long been a rich source of inspiration for architectural designs, with its aesthetic allure deeply ingrained in human evolution. However, an analysis of real-world examples shows that not all structures that mimic natural shapes can win over customers.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rchitectural cases of biomimicry that currently exist and find structures that appeal to consumers’ preferences, then use these findings to guide future design.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morphological imitation rather than structure and function, offering theoretical guidance for future biomimicry architectural design. According to research, aesthetic reactions can be characterized by subconscious neural activity in certain brain regions and are not always conscious. This study, which has its roots in cognitive neuroscience, divides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into six main visual levels. It also describes how meaning is recognized for visual items and how aesthetics influences it, elucidating the brain mechanisms that awaken and regulate aesthetic feelings. It is revealed that novelty and familiarity constitute an arousal potential that can adjust arousal levels. Only when appropriately combined can they be favored by consumers. Finally, similar characteristics of consumerpreferred design cases mimicking natural visual elements are confirmed through case analysis, which translates visual qualities into quantitative elements for freshness and familiarity. According to the study, three to four components combined from the six visual elements can effectively elicit customer preferences. Furthermore, the best cases in this research share the trait of imitating order in natural forms. The study is intended to offer theoretical backing for morphological biomimicry-based architecture design techniques.

      • KCI등재

        로봇디자인에 대한 선호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조형요소의 특성

        허성철 ( Seong Cheol Heo ),정정필 ( Jung Pil Jung ) 한국감성과학회 2008 감성과학 Vol.11 No.4

        The fundamental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combined relations of formative element factors that compose robot`s face based on a result of preference response from robot`s design. Also, in order to improve preference from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intended to inquire into possibilities of suggesting design guideline. For these, pictures of 27 different kinds of robot face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stimuli, and experiments of preference response and association response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s, various characteristics were achieved such as robot`s eye shape having greater influences than facial structure, etc. Based on the result, formative element factor characteristics that could positively influence preference response on robot`s face could be drawn and a basic design guideline could also be suggested. An eye should be oval so that the length-to-width ratio may be 1.67:1. The distance between both eyes should be 35% of the facial width. Also, eyes should be above the central latitude of the face so that they may be visually stable. It is advisable to round the face generally. Eyes should be harmonious with the face so that the robot may seem cute and charming.

      • KCI등재

        감성적 치유공간디자인의 선호유형에 관한 연구

        추 진(Choo Jin),유보현(Yoo Bo hyeon) 한국상품학회 2016 商品學硏究 Vol.34 No.4

        과거의 병원에서 환자들이 머무는 삭막한 병원을 연상하였다면 현대의 병원 모습은 과거와는 다른 이미지와 여러 가지 기능을 내포하고 있다. 이미 많은 질병들은 현대 의학의 지식과 치료기술로 완치가능한 상황이지만, 예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질병의 출현과 함께 새로운 질환으로부터 건강을 지키는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질병과 질환은 우리들의 환경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보다 합리적인 방법을 통해 실제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담당하는 병원공간은 인간을 위한 복합적인 서비스가 각별히 요구되는 치유공간이다. 의료공간을 계획하고 설계함에 있어서는 ‘치유’라는 휴머니즘적 배려에 따른 이용자의 ‘감성’적 정서를 새롭게 인식하고 이를 공간계획에 적극활용하여야 한다는 사실은 개인의 주관적인 감성으로 인한 유형과 선호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기 존중받아야 함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감성적 치유공간을 기반으로 한 대다수의 일반적인 사례를 통해 규정되어진, 통계적인 견해로써 객관화하기 어려웠던 병원 로비공간에서의 주관적 선호유형을 분석하여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주관적 판단과 감성에 관한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해줄 뿐 아니라 공간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주관적 선호도, 그리고 그 유형에 대한 감성적 측면의 기능성과 배려가 좀 더 연구되고 활용된다면 현대 사회에서 요 구하는 디자인 가치에 대한 보다 큰 영향력과 신뢰가 형성 될 것이다. 이러한 공간을 계획함에 있어서 이용자의 주관적 판단과 선호유형을 분석하여 제안함으로써 대량생산과 소비주의에 의해 발생되었던 소외된 디자인 문제들을 선행적인 차원에서 수정하고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appearances of the recent hospitals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if we imagine the past white lonely hospital that the sick patients stay. These days, many diseases can be cured using the knowledge of modern medicine and treatment technology already, the problem of protecting the health from new disease become important as the appearance of new disease that was not observed. Although these diseases and disorders are originated fromour environment, the hospital that in charges of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actual disease is the place where the complex services for humans is significantly required. The study based on the emotional healing space suggested the types of subjective preferences in the hospitals lobby. It was hard to objectify as a statistical perspective that is defined through the most common examples. This not only us to allow a deep understanding of subjective decision and sensi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ences of the user who uses the space, but also it becomes the opportunity that can reduce the typical error in terms of the method of recognizing space and representation. Under the assumption of rationality, the constant effort of considering the users is the demands of the periodwhen designing the space. When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user who use the facility, and care and sensibility side of that type and the function is researched and utilized more, the great influence on the value of the design that are needed in modern society and trust would be formed. In terms of planning these spaces, it is believed that neglected design problems which were generated by mass production and consumerism can be complemented by the precedent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