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리스선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새로운 시각

        손혁 ( Hyuk Shawn ),이중희 ( Joong Hee Lee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학연구 Vol.40 No.5

        리스는 대가를 지급하고 자산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할부구입과 경제적 실질이 동일하다. 따라서 정보수요자들이 그 실질의 변화 없음을 인지한다면 리스선택은 투자의사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스를 선택하려는 기업의 유인(incentives)이 존재하며, 리스 내에서도 운용리스와 금융리스 회계처리를 결정하는 요인(determinants)이 존재할 수 있다. 과거 리스선택의 결정요인을 분석하려는 국, 내외의 시도는 부채비율, 기업규모, 법인세율 등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Watts and Zimmerman(1986)의 부채계약가설과 정치적 비용가설에 기반하여 주로 운용리스의 부외금융효과로 인한 재무비율의 개선 및 정치적 비용의 절감효과, 법인세절감효과 등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는 부채계약가설과 정치적 비용가설 외에도 회계선택의 중요한 동기가 경영자 자신의 효용극대화라는 Watts and Zimmerman(1986)의 경영자보상가설을 기반으로 하여 경영자의 보상체계 및 경영자의 지분율이 리스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수리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본 연구는 일정 조건 하에서 운용리스와 금융리스 간에 당기손익 및 미래현금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리스선택으로 인한 당기손익 및 미래현금흐름의 합계는 동일하다. 하지만 경영자의 보상체계에 따라 리스선택의 선호가 달라질수 있으며, 법인세율, 부외금융효과 등이 리스선택에 영향을 준다. 또한 본 연구는 추가적으로 자산수익률 및 부채비율과 같은 재무비율, 경영자의 지배권 및 기업지배구조와 자산의 진부화 가능성이 리스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수리적으로 분석했으며, 이 분석은 리스 관련 선행연구들의 실증결과를 지지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이 부채비율, 기업규모 등 리스선택에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으로 검증한 것과는 달리 리스선택의 동기를 선택당사자인 경영자의 보상체계에서 찾았으며, 이를 수리적으로 분석하여 기존 연구들을 보완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최근 경영자의 리스선택에 대한 재량권을 제한하려는 국제회계기준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Information users make an investment decision by analyzing various components of firm``s assets and liabilities or income. However, managers who maximize their utilities using their discretion on accounting choice are likely to mislead decision-making of information users in the financial statements(Watts and Zimmerman 1986). Accounting choice in efficient market with homogenous information and rational expectations does not affect the decision. In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a transfer of wealth by accounting choice because of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s and information users(Holthausen 1990). In contrast, accounting choice does not necessarily bring inefficiency. It can not only perform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substantial information but also alleviate manager``s intention to manipulate accounting numbers in the financial statements(DeAngelo et al. 1994). Thus, agency problem may worsen further under the regulation of mandatory accounting choices. Lease is classified into operating lease and capital lease under IFRS, depending on whether a lessor(leasing company) or a lessee takes the risks and benefits. However,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 Board(IASB) is to present a paper that discusses constraints on the use of operating lease. This will impose serious constraints of lease accounting choice, deviating from principle-based accounting of IFRS. Why did IASB make this decision? Lessee use lease assets by paying the price for leasing companies through their lease contract. In fac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operating and capital lease as well as lease and installment purchase in substance(Dieter 1979). Nevertheless, managers may prefer a lease accounting under a certain situation, so researchers have endeavored to find determinants in choosing lease accounting through empirical studies. We derive a model of lease choice that analyze theoretically various determinants of lease choice. More specifically, we verify mathematically how managers`` characteristics such as compensation, tenure and ownership affect the lease choice. First, we identify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cash flow between operating lease and capital lease in the lease period. Managers`` tenure also has no influence on lease choice. However, operating lease is more advantageous than capital lease in time value of money. This result indicates that managers whose compensation system is connected to firms`` performance such as net income or cash flow can prefer operating lease. Second, we show that managers`` share ratio, return on assets(ROA), corporate tax rate and corporate governance are related with lease choice. In other words, managers`` compensation system connected with ROA can increase the use of operating lease. Also, private gain-seeking such as empire building or perquisite consumption of manager can affect lease choice.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lease choice on the off-balance sheet financing, for example financial ratios, but this study finds the intrinsic motivation of lease choice from managers. Recently, operating lease has been used widely, though the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have been tightened to discourage the use of operating lease. The importance of unrecognized assets and liabilities arising from operating leases has been increasing significantly, and investors may incur conversion costs in interpreting financial reporting about lease information.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to model managers’ intentions of lease choi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centives or the determinants to classify lease are not the same for each firm as well as each manager.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 line with the intention of IASB to remove the discretion of lease choice. This study indicates that mandatory capital lease accounting in IFRS can mitigat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s and shareholders.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help better understand on the revision of IFRS in lease accounting.

      •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레스토랑 고객의 효용측정에 관한 연구

        안성식;이훈영 경희대학교 산업관계연구소 2009 産硏論叢 Vol.34 No.-

        본 연구목적의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방법을 외식업계에 소개하고, 이 방법의 타당성을 전통적인 컨조인트 분석방법과 비교하여 검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컨조인트 분석방법과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레스토랑을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컨조인트 분석결과와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결과의 예측타당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전통적인 컨조인트 분석방법은 16개 카드의 선호순위를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의 예측모형은 선택세트 4를 제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두 모형의 비교는 예측타당성과 시장점유율 예측정확성은 선택세트 5개를 20번 제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개별 153명 수준에서 선택세트 5개를 20번 제시한 결과 전통적인 컨조인트 분석방법의 예측타당성은 평균 6.64개(33.22%), 개별수준의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방법의 예측타당성을 살펴보면 평균 8.58개(42.88%)로 전통적인 분석방법 보다 예측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점유율의 예측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153명이 전체수준에서 선택세트 5개를 20번 제시한 경우 실제선택비율과 전통적인 컨조인트 분석방법에 의한 시장점유율의 차이, 전체수준과 153명 개별수준에서 선택세트 5개를 20번 제시한 결과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방법과의 시장점유율 차이를 살펴보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전체수준이 아닌 개별수준에서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컨조인트 분석과 전체수준에서 살펴본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의 대안으로 권할 수 있다.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방법이 전통적인 컨조인트 분석방법 보다 예측 타당성이나 시장점유율예측 면에서 우월하고,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방법의 장점으로 인하여 레스토랑 선택대안에 대한 정보를 활용한 선택형 컨조인트 분석방법이 외식업계에 확산되어 그 효용성이 더욱 증대하리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method to the restaurant industry and to verify its validity by comparing it with the conventional conjoint analysis method. In order to compare both conjoint analysis methods, this study has collected data from restaurant customers. Specifically, in comparing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results from the conventional conjoint analysis and the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16 cards of preference rankings were presented as the prediction model for the former, while 5 sets of options were presented for the latter.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utility of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method using the information of restaurant choice alternatives would be expanded to the restaurant industry because of its strong point: it is regarded to b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conjoint analysis in terms of the predictive validity and market share prediction.

      • 학교선택권의 개념적 모형과 쟁점

        김성기 韓南大學校 敎育硏究所 2010 교육연구 Vol.18 No.3

        선택은 사회적 행위에서 보편적 권리 행사임에도 교육영역에서는 매우 제한되어 있었다. 현재의 학교 임의배정 체제는 능력과 적성에 따라 교육 받을 권리의 침해로 이어지고 있다. 교육선택권의 한 형태로서 학교선택론은 경제문제에 대한 교육체제적 설명, 학력저하 등 교육수월성의 문제, 사회의 다원화, 교육권 인식이라는 사회적 배경과 소비자주권론, Nozick의 권리자격론, 학교효과연구, 사회적 자본론의 이론적 배경에서 등장하였다. 학교선택제도는 교육서비스의 국가통제모형과 대비되는 시장경쟁 모형이라 할 수 있다. 학교선택은 그것이 의미 있게 실현되기 위해서는 제도적 조건, 주체적 조건, 환경적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선택의 결과, 시장원리의 도입, 선택 효과의 실체, 사회적 자본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학교선택제에 관한 쟁점을 분석하였다. I studied the rationales and limits on theory of school choice. The fundamental rationale of school choice is that right to choose is universal right but has been restricted only in field of education. This perception was joined with social background that drove theory of school choice. Sputnik Shock in 1958 and continual declining in academic achievement of American pupils lit to issue on educational excellence. National Commission on Excellence attacked the mediocrity in 1983. Collapse of socialist nations in 1990s made revival of liberalism and most people thought it is right to apply the principle of marketplace to education. Social-cultural pluralization and recognition of right to educational participation also supported the theory of school choice. As theoretical backgrounds, theory of consumer sovereignty, Nozick's entitlement theory, research on school effectiveness between private and public schools and theory of social capital justified the theory of school choice. Theory of school choice is marketplace competition model in contrast to national control model. School in the latter model goes with the consumer's demand but school in the former model accommodated itself to the government's demand. As a result, consumers have dissatisfaction and try to realize the right to opt out. Concrete types of school choice are voucher system, charter school, open enrollment, magnet school, tuition tax credit. These institutions come true completely only if they have objective condition of suppliers' competition and consumers' subjective condition of full information and judgement. Precondition of this condition is supplier's autonomy and consumer's rationality, deletion of competitive culture. Theory of school choice has some limits. First, pursuing educational quality in school choice may make educational inequality. Second, school choice could fail if it were under incomplete conditions in terms of suppliers' competition and consumers' rational judgement. Third, the effect of school choice may not be actually the effect of choice but of expectation level of parents. To success school choice, school's autonomy and diversity have to be promised.

      • KCI등재

        긍정선택방식과 부정선택방식에 대한 소비자 인지 및 정서반응 비교

        성영신,안서원,이주연,김운섭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9 No.3

        Choice can be made in two different modes. One is choosing what one likes (a positive choice) and the other is choosing what one doesn’t like and has what is left (a negative choic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process differences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choice by analyzing fMRI and behavioral data. In study 1 with fMRI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choice made people expect an unrealized pleasant outcome and thus respond more emotionally. Cognitively, both of the choices exhibited memory based processing, but more areas were activated in the positive choice, indicating that more cognitive efforts were involved in the positive choice. In study 2, we presented the stimuli in the same way with in the study 1 and obtained several behavioral measures. In the positive choice, participants reported more positive affective responses and their preferences were more accentuat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itment and it seemed due to that the compatibility between choice set composition and choice mode was similar in the two choice modes. We presented visual stimuli unlike previous studies and contributed to the literature by showing different affective responses in the two choice modes, which was overlooked, and by examining the role of compatibility in more detail. 선택은 마음에 드는 것을 고르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을 고르고 남는 것을 가지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fMRI 뇌 영상자료와 행동자료를 통해 두 선택방식(긍정선택/부정선택)에서 나타나는 처리과정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뇌 영상 촬영법으로 얻은 자료를 분석한 연구 1의 결과, 긍정선택에서 보상을 예상하고 정서를 느끼는 등 정서반응이 더 많았으나 두 선택방식 모두 공통적으로 관련 기억을 떠올려 제품을 선택하는 기억기반의 인지반응을 보였다. 두 선택방식에서 인지반응이 유사하게 나타나기는 했으나 긍정선택에서 기억인출과 선택 및 판단이 더 관여되는 것으로 보아 긍정선택 시 더 많은 정보처리 노력을 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1에서와 동일한 제품 제시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의식적 반응을 측정한 연구 2의 결과에서는 긍정선택 시 보다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며 선호가 더 강화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정보처리의 노력 정도로 측정한 몰입 수준은 대안의 구성과 선택 방식의 적합성 정도가 두 선택조건에서 비슷하여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시각적으로 제품을 제시하였고 두 선택방식의 차이에서 간과된 정서반응의 차이를 검증하여 기존 결과를 보다 세분화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주식매수선택권 과세제도의 발전과정과 최근 개정안에 대한 고찰

        정유석(Yu-Seok Jeong) 韓國經營史學會 2014 經營史學 Vol.71 No.-

        옵션을 부여받은 임직원들은 주가가 행사가격보다 높을 때 옵션을 행사하여 시가와 행사가격의 차액만큼 추가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주식매수선택권에 대한 과세에는 2가지 주요 쟁점이 있어왔다. 첫째, 주식매수선택권에서 발생되는 소득에 대해 언제 과세할 것인가의 ‘과세시기’의 문제와 둘째, 그 소득을 어떤 소득으로 과세할 것인지의 ‘소득구분’의 문제이다. 즉 주식매수선택권으로 인해 발생되는 이익에 대해 행사시점 또는 주식의 양도시점 중 언제 과세할 것인지와 종합소득(예: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퇴직소득, 양도소득 중 어떤 소득으로 구분하여 과세할 것인지의 판단이다. 본 논문은 주식매수선택권 제도의 도입과 과세의 발전과정 및 주식매수선택권 과세제 도상의 과세시기와 과세소득 유형 등에 대한 쟁점들을 살펴보고, 최근에 발표된 벤처기업의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에 대한 세제지원 개정안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에 대한 개선안을 모색하고 있다. 개정안은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차익에 대해 행사시점에서 근로소득세만 납부하는 기존 방식을 행사 또는 양도시 선택적으로 납부시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완화하였다. 특히 미국과 일본의 스톡옵션 과세제도에서와 같이 옵션의 유형에 따른 과세시기 및 소득 유형별 과세, 발행 보상비용의 손금산입 시기 등에 대한 논의의 개선이 반영된 것으로 본다. 이는 벤처기업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세제지원의 확대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Staff and employees who received stock option could get a additional compensation by striking stock option if stock price is higher than exercise price. There are two main disputes on taxation of stock option. First, the proper time to impose tax for income from stock option, which is a judgement on period of taxation. Second, what kind of income it is classified into, which is a classification of income. That is, judgement on classification of income(ex: composite income, retirement income, capital gains). This paper reviewed the introduction of stock option, the course of taxation development, two disputes of period of taxation and classification of income on taxation of stock option. In addition, tried to seek problems and improvements on recent proposed tax support revision on stock option issued by venture corporations. Tax support revision relaxed tax conditions that staff and employees can select period of taxation at striking time or share sales instead of existing tax system that earned income tax is imposed on profit from stock option at striking time. especially, This revision is reflecting the improvements in disputes, Improvements are as follows. Imposition of taxes by period of taxation and classification of income, inclusion stock issue costs in financial expense of corporation such as tax system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hich has much meaning in aspect of expansion of tax support for venture corporations.

      • KCI등재후보

        학부모의 학교 선택 수요 분석

        김영화 한국교육사회학회 2003 교육사회학연구 Vol.13 No.1

        The Demand for School Choice of Parents >학교선택제 확대에 대한 논란이 점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실제 학교선택을 행사하는 주체인 학부모의 학교선택 수요를 더욱 면밀하게 검토하는 작업이다. 이 연구에서는 학부모의 학교선택 수요가 어느 정도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의 중학교 3학년 학부모 500명을 대상으로 학부모는 어느 정도로 고등학교선택을 희망하며, 어떠한 유형의 고등학교를 선택하고자 하는지, 학교선택 수요는 학부모의 배경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학부모들은 한편으로 강제 배정 원칙을 적용하는 고교평준화제도를 지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학생학부모가 희망하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학교선택제를 그 이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학군의 선지원후추첨제, 특목고 둥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교선택제에 대해서도 현상유지나 확대하자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학교 선택 기회가 주어졌을 때 선택할 의사가 있는 학부모는 91.7%에 달하였으며, 선택할 의사는 부모의 학력과 직업지위에 관계없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높은 교육비에도 불구하고 선택할 의사는 자녀의 성적이 높을수록, 부모의 학력, 직업지위, 수입 등 계층배경이 높을수록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가 선호하는 교육과정은 ‘입시준비가 충실한 교육과정’, ‘개인차를 고려한 교육과정’,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특정 직업분야를 강조하는 교육과정’, ‘특정 과목을 심화시키는 교육과정’, ‘국제적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시키는 교육과정’, ‘종교교육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순으로 많이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학부모들의 학교선택 범위를 확대시키려는 정책을 뒷받침할 수 있는 하나의 근거 자료를 제공해 준다. 그러나 학교선택이 사회계층별 교육기회 불평등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학교선택제를 확대할 때 교육취약집단을 위한 장학금제도 및 정원할당제 등 부모의 계층 영향으로 인한 교육 불평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선택의 종류가 선택 후 선호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황윤지,조수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2 No.2

        선택 후 선호도 변화(change-induced preference change, CIPC)는 자신이 선택한 대상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선택하지 않은 대상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몇몇 선행 연구에 따르면, CIPC는 자신이 선택을 했다는 행위 자체(mere act of choosing)가 선호도 변화를 유발하므로, 무의식적이거나 무선적인 선택(blind choice) 이후에도 선택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선호도 변화가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CIPC가 모든 선택이 아닌, 선호에 기반한 선택 이후에만 발생할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절차는 다음과 같았다. 피험자들은, 얼굴 자극에 대한 선호도 평정 후, 유사한 평정을 받은 두 얼굴 중 하나를 선택한 후 다시 한 번 얼굴 자극들에 대한 선호도 평정을 하였다. 선택 과제의 종류는 두 가지로서, 하나는 선호에 기반한 선택 과제, 다른 하나는 선호가 배제된 선택 과제였다. 또한 외현적 기억에 따라 CIPC의 정도가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의 마지막 단계에서 선택 여부에 대한 기억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선호에 기반한 선택 과제에서만 CIPC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선택 행위 자체가 CIPC를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선호에 기반한 선택 시에만 CIPC가 일어남을 시사한다. 또한, CIPC의 정도는 기억 여부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으며, 이는 언어적으로나 의미적으로 표상하기 어려운 얼굴 자극의 특성 상 기억이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Choice induced preference change (CIPC) is a phenomenon in which self-reported preference increases or decreases for chosen vs. rejected options, respectively. Some researchers argue that the mere act of choosing leads to preference change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CIPC even after making a blind choice.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CIPC occurs only after a preference-based choice, rather than any choice. During the experiment, participants first rated their preference for each face stimuli. Then, they were asked to make a choice between two faces that had been rated similarly. Two kinds of choice tasks were contrasted; preference-based choice vs. preference-excluded choice task. Next, participants rated their preference for each face for the second time. In addition, memory was tested at the en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degree of CIPC differs for remembered or forgotten choices. As a result, CIPC was observed only in the preference-based choice condit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CIPC occurs only for choices that reflect subjective preference. Furthermore, CIPC was not influenced by memory which may be due to the usage of face stimuli which can be harder to verbalize or remember.

      • KCI등재

        선택이 불안한 청년을 위한 기독교 소그룹 교육

        고수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3 장신논단 Vol.55 No.2

        In an unstable society with high social and personal anxiety, young people are experiencing “choice anxiety.” The youth, known as adult explorers, require many choices. However, as the consumption culture of postmodern society creates unlimited options, young people’s choice anxiety is increasing. Young people who postpone important choices show hedonism, consistent with ignorance and denial, and enjoy the possibility of undecided states to resolve the anxiety of choice. The consumer society converts the anxiety of choice into a consumption choice, and the consumption choice of young people is expressed by social problems such as self-show identit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unemployed young people, and a change in marriage views. Of course, there are young people who express their beliefs as consumption behavior, but most choose batting average consumption that pursues social recognition. The hierarchical social structure that invalidates meaningful choices also creates a sense of consumer self-identity, increases the commercial value of personal life, and induces social standards. However, if young people replace autonomous choices with batting average consumption choices in pursuit of their need for recognition, young people’s autonomy in choice will regress. This study proposes Christian education that promotes the autonomous choice of young people living in a society of unlimited consumption choices. It proposes small group education that distinguishes and supports young people’s autonomous choices. A small group of people is a discerning community that helps trial and error in choices, affirming good choices and helping to distinguish the batting average of choices. It has an educational effect of improving the autonomy of choice while satisfying the youth’s sense of belonging. Small group education, which promotes young people’s autonomous choices, first causes young people to deviate from the external control and online consumption culture that promotes batting average choices. In order to deviate from the online consumption culture, self-directed education on consumption must be implemented. Second, existential experience education is needed. The education of being experience is the education that induces the experience of love through Bible meditation and the discernment education of truth. Finally, it is an education that identifies the internal motivation of young people, that is, their inner passion. One’s own unique passion has the ability to imagine and embody the hopes of an individual’s life and society.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choice and consumption discourse in the form of voluntary obedience of young people and to appealing the need for Christian education to promote autonomous selection. 새로운 불안의 사회에서 청년들은 많은 불안을 겪는다. 그 가운데 청년의 불안은 ‘선택의 불안’에 가깝다. 성인모색기라 불리는 청년기는 취업, 경제적 자립, 연애와 결혼 등 많은 선택을 감당해야 하고 그 때문에 불안하고 두렵다. 그런데 후기현대사회의 소비문화가 무제한 선택지를 만들면서, 청년의 선택 불안은 더욱 가중되었다. 선택이 불안하고 그것을 유보 또는 포기하는 청년들을 3포, 5포 혹은 n포 세대라고 부른다. 청년의 선택 불안은 자기 과시적 정체감, 미취업 청년층 증가, 결혼 유보 등의 사회적 현상으로 나타난다. 무지와 부인, 쾌락주의 역시 청년의 선택 불안을 반영한다. 이런 청년들에게 소비사회는 선택 불안을 ‘소비적 선택’으로 전환하도록 설득한다. 물론 자기 신념을 소비행위로 표출하는 청년들도 있겠지만, 대다수가 보다 쉽게 소비적 선택을 한다. 소비담론의 설득에 힘입어, 오늘날 청년의 소비적 선택은 자발적 복종의 형태를 띠고 있다. 곧 청년의 소비적 선택과 디지털 사회의 소비담론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만약 청년들이 인정욕구를 좇아 자율적 선택을 타율적 소비선택으로 대체한다면, 청년의 선택 자율성은 퇴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제한 소비선택의 사회를 살고 있는 청년의 자율적 선택을 촉진하는 교육방편으로, 소그룹 교육을 제안한다. 소그룹은 청년의 소속감을 충족시켜 주면서, 선택의 시행착오를 분별하는 집단으로 자율적 선택을 지지하고 촉진할 수 있다. 청년의 자율적 선택을 촉진하는 소그룹 교육은 첫째 타율적 선택을 조장하는 외부적 조절, 온라인소비문화로부터 이탈시키는 소비반성 교육이다. 둘째 선택의 규범을 내부적으로 형성시키는 존재의 교육이다. 존재경험을 유도하는 쉼의 교육 그리고 진리를 분별하는 교육이다. 셋째 청년의 내부적 동기, 곧 내면의 열정을 파악하는 교육이다. 청년들은 다양한 열정으로 분산되어 있고, 분산된 열정은 선택을 어렵게 만든다. 자기만의 고유한 열정은 선택지의 비중, 가치를 분별하면서 스스로 선택의 한계를 파악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청년의 선택이 소비사회의 담론에 의하여 오염된 것을 어필하고, 기독교교육이 소비적 담론에 맞서서 청년들의 자율적 선택을 촉진하고 지지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학교선택 결정요인과 효과 분석 : 서울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중심으로

        변수용,주영효 한국교육개발원 2012 한국교육 Vol.39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and effects of school choice, using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at followed 10th graders in Seoul, South Korea. Here, school choice was defined as whether the student chose an academic high school vs. an independent high school vs. a special purpose high school. For academic high school choosers, further refinements were made to consider whether the student first applied to several high schools of interest and was then assigned to one of those schools by lottery among pool of applicants, and whether the student was randomly assigned to a high school. With respect to the determinants of school choice,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ckground characteristics between students who first applied to several high schools of interest and were then assigned to one of those schools by lottery, and studen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a high school. However,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ckground characteristics between students who chose a special purpose high school and students who chose other types of schools. Specifically, high-achieving and high socioeconomic status (SES) students were far more likely than low-achieving and low SES students to choose a special purpose high school.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school choice, we found that students randomly assigned to academic high schools ha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school satisfaction in both 10th and 11th grades than did students who chose independent and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even after controlling for background variables. We also found that students randomly assigned to academic high schools were more likely than students who chose independent high schools to participate in shadow education in 10th grade, but this difference was not observed in 11th grade. Finally, we found that students randomly assigned to academic high schools performed less well on English standardized tests in both 10th and 11th grades than did students who chose independent and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from high SES families are more likely to benefit from school choice in terms of increased school satisfaction and ed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교육정보원의 서울교육종단조사 일반계 고등학교 1-2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교선택의 결정요인과 학생의 학교 만족도, 사교육 참여, 그리고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학교선택은 일반고에 임의 배정, 일반고에 지망 배정, 자사고 진학, 특목고 진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먼저 학교 선택 결정요인과 관련하여 일반고에 임의로 배정받은 학생들과 지망 배정받은 학생들 간의 가정배경 및 개인 특성에 차이는 목도되지 않았다. 그러나 특목고를 선택한 학생들은 가정 배경과 개인 특성 면에서 일반고와 자사고를 학교선택 학생들과 큰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특목고에 진학한 학생들은 다른 유형의 학교선택을 한 학생들에 비해 고학력, 고소득, 고위직 부모를 두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또한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도 다른 유형의 학교선택 학생들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한편, 학교선택 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먼저 학교만족도와 관련하여 가정 배경과 개인 특성을 통제하였을 때 일반고에 임의로 배정된 학생들의 고1과 고2때 학교 만족도는 다른 유형의 학교선택 학생들의 그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고2때 학교 만족도의 경우 일반고에 지망 배정된 학생들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사교육 참여와 관련해서는, 일반고에 임의로 배정된 학생들은 자사고를 선택한 학생들에 한하여 고1때 사교육에 참여할 가능성이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고2때 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학업성취와 관련해서는, 일반고에 임의로 배정된 학생들은 지망 배정된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고1, 고2 평균 영어 학업성취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자사고와 특목고에 진학한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는 모두 낮게 나타났다. 반면, 수학 학업성취도의 경우 일반고에 임의로 배정된 학생들은 특목고에 진학한 학생들에 한하여 고1, 고2때 수학 학업성취가 낮게 나타났다. 한편, 특목고에 진학한 학생들은 일반고에 임의로 배정된 학생들에 비해 고1과 고2때의 영어 학업성취도의 상대적 위치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선택이 학생들의 학교 만족도와 영어 학업성취도에 대해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측면이 있으나, 특목고와 같은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는 학교선택이 특정 사회경제적 계층의 자녀들에 독점될 개연성이 크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고교선택제 확대가 정책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고 결론 내리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

        학생선택 교육과정 운영학교의 실천 사례 분석과 고교학점제에의 시사점 : 충남삼성고 사례를 중심으로

        김연(Kim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제7차 교육과정 이후로 개인적 필요와 적성, 능력에 따라 진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형 교육과정은 국가 교육의 중점사항이었으나, 교사 수급이나 시설의 미비, 대입제도와의 불일치 등으로 성공적인 운영 사례를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이 연구는 6년 동안 선택형 교육과정을 운영한 충남삼성고의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따른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 사례를 통해 고교학점제의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학생선택 교육과정 운영 실제에서 나타난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과정’을 설치하여 과목 선택에 대한 혼란을 막고 학생들 선택을 가이드 한 것이 효과적이었다. 학생은 과정을 선택하기는 하지만 ‘자율선택’을 통해 자신의 흥미나 진학을 고려한 다양한 과목 선택을 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낼 수 있는 다양한 교과(심화교과 및 전문교과 포함)를 개설하였는데, 학생들은 자신의 흥미나 관심뿐 아니라 학업역량을 고려하여 과목을 선택하고 있었다. 특히 내신 성적을 받기 어려운 소수과목이나 난이도가 높은 심화과목을 선택하는 사례가 많았다. 셋째, 자연공학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과목과 영어과목을 수강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학진학과 관련성이 없는 과목이어도 흥미가 있거나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과목이면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진학과의 연계성을 고려했을 때 심화교과를 선택했거나 자신의 진로나 특성이 드러나도록 개별화된 포트폴리오를 만든 학생일수록 좋은 진학결과를 보여주었다. 충남삼성고의 실천 사례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은 첫째, 일반교과 이외 진로선택이나 전문교과로의 폭 넓은 개설을 통해 학생 선택권의 양적 확대를 꾀하고, 둘째, 학생과 학부모가 선택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과정’ 등의 제도를 통해 선택에 따른 혼란을 줄인다. 셋째, 학생의 적성과 진로, 흥미가 반영된 개별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 진학과의 세심한 연계를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After the 7th curriculum, the students’ choice curriculum, which allows students to choose their career paths based on personal needs, aptitudes and abilities, was the focus of national education,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actually successful cases of operation. The study tri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examples of how to organize and operate a choice curriculum based on the aptitude and career path of students at Chungnamsamsung High School.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that emerged in the actual operation, firstly, it was effective to install a course to prevent confusion over the selection of subjects and guide the selection of students. Although students chose courses, they were choosing various subjects that considered their interest or advancement. Second, various subjects were opened to reveal the nature of the course, and students were choosing the subjects in consideration of their academic ability as well as their interest and need.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cases of choosing a few subjects that were difficult to get grades for school records. Third, natural-engineering course students often took courses in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and English. Even if the subjects were not related to college entrance, they tended to choose subjects.. Fourth,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the college entrance, students who chose advanced subjects or created individual portfolios to reveal their career paths or characteristics showed better results.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study are to expand the student s options quantitatively by opening career related or specialized subjects, and secondly,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students and parents to reduce confusion caused by selection through a system such as courses. Third, create individual portfolios that reflect students aptitude, career path and interest, and carefully link high school curricula with college entrance so that stable and continuous choices can b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