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사례분석을 통한 선택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탐색

        이수진,정재은,오지향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2

        The foundational curriculum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is currently being revised, and the biggest issue in secondary education i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emphasizes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here is no exception to this interest in the music department,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establis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is study, the focus is on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hat allows students to choose subjects based on their own interests and needs. In order for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o be operated according to it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xamine various cases of elective-centered curricula and elective course operations provided by the music department and discuss possible next step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ransition of music and elective-centered curricula from the 7th curriculum up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examined, as well as the cases of music and elective-centered curricula and elective courses overseas (Canada,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in detail, a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scope and objectives of the course according to the music department’s ideals. Secon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nd opportunities for various paths need to be provided through connections with universities. Third, considering students' musical interests and tal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ariety of intensive music programs for students to choose from. Fourth,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sic teachers and institutional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to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intensive music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현재 개정 중에 있으며, 중등교육에서의 가장 큰 이슈는 선택중심교육과정을 강조하고 있는 고교학점제라 볼 수 있다. 음악교과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은 예외일 수 없으며, 고교학점제를 학교 현장에 안착시키기 위한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교학점제의 운영 원리 중 학생 스스로의 흥미와 필요에 기초하여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그 초점을 두었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이 그 취지에 맞게 운영되기 위해서 음악교과에서 제공하는 선택중심 교육과정 및 선택 교과목 운영의 다양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음악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보고, 해외(캐나다, 싱가포르, 미국)의 음악과 선택중심 교육과정및 선택 교과목 운영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와 자료가 상세하게 제공되어야 하며, 총론에서 제시하는 역량을 음악교과 고유의 방식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 및 직업교육이 체계화되어야 하며, 대학과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선택의 기회가 제공될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들의 음악적 흥미와 재능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프로그램 및 심화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들에게 제공된 다양한 음악프로그램과 심화 프로그램 운영하기 위한 음악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국가차원의 제도적지원이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학생선택 교육과정 운영학교의 실천 사례 분석과 고교학점제에의 시사점 : 충남삼성고 사례를 중심으로

        김연(Kim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제7차 교육과정 이후로 개인적 필요와 적성, 능력에 따라 진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형 교육과정은 국가 교육의 중점사항이었으나, 교사 수급이나 시설의 미비, 대입제도와의 불일치 등으로 성공적인 운영 사례를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이 연구는 6년 동안 선택형 교육과정을 운영한 충남삼성고의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따른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 사례를 통해 고교학점제의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학생선택 교육과정 운영 실제에서 나타난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과정’을 설치하여 과목 선택에 대한 혼란을 막고 학생들 선택을 가이드 한 것이 효과적이었다. 학생은 과정을 선택하기는 하지만 ‘자율선택’을 통해 자신의 흥미나 진학을 고려한 다양한 과목 선택을 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낼 수 있는 다양한 교과(심화교과 및 전문교과 포함)를 개설하였는데, 학생들은 자신의 흥미나 관심뿐 아니라 학업역량을 고려하여 과목을 선택하고 있었다. 특히 내신 성적을 받기 어려운 소수과목이나 난이도가 높은 심화과목을 선택하는 사례가 많았다. 셋째, 자연공학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과목과 영어과목을 수강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학진학과 관련성이 없는 과목이어도 흥미가 있거나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과목이면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진학과의 연계성을 고려했을 때 심화교과를 선택했거나 자신의 진로나 특성이 드러나도록 개별화된 포트폴리오를 만든 학생일수록 좋은 진학결과를 보여주었다. 충남삼성고의 실천 사례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은 첫째, 일반교과 이외 진로선택이나 전문교과로의 폭 넓은 개설을 통해 학생 선택권의 양적 확대를 꾀하고, 둘째, 학생과 학부모가 선택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과정’ 등의 제도를 통해 선택에 따른 혼란을 줄인다. 셋째, 학생의 적성과 진로, 흥미가 반영된 개별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 진학과의 세심한 연계를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After the 7th curriculum, the students’ choice curriculum, which allows students to choose their career paths based on personal needs, aptitudes and abilities, was the focus of national education,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actually successful cases of operation. The study tri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examples of how to organize and operate a choice curriculum based on the aptitude and career path of students at Chungnamsamsung High School.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that emerged in the actual operation, firstly, it was effective to install a course to prevent confusion over the selection of subjects and guide the selection of students. Although students chose courses, they were choosing various subjects that considered their interest or advancement. Second, various subjects were opened to reveal the nature of the course, and students were choosing the subjects in consideration of their academic ability as well as their interest and need.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cases of choosing a few subjects that were difficult to get grades for school records. Third, natural-engineering course students often took courses in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and English. Even if the subjects were not related to college entrance, they tended to choose subjects.. Fourth,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the college entrance, students who chose advanced subjects or created individual portfolios to reveal their career paths or characteristics showed better results.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study are to expand the student s options quantitatively by opening career related or specialized subjects, and secondly,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students and parents to reduce confusion caused by selection through a system such as courses. Third, create individual portfolios that reflect students aptitude, career path and interest, and carefully link high school curricula with college entrance so that stable and continuous choices can be made.

      • KCI등재후보

        확대된 학생 선택 교육과정으로서의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의 가능성 검토: 역사과 선택 교육과정에 관한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송수연 청람사학회 2022 靑藍史學 Vol.36 No.-

        본 연구는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을 ‘학생 선택 교육과정’의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하였다. 7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입되어 점차강화된 학생 선택 교육과정은 역사교육의 위기를 견인했다고 해도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앞으로의 교육과정이 계속해서 학생 선택권확대를 추구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역사과 교육과정 개발에 관련하여학생 선택이라는 요인을 중요하게 살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학생들을 대상으로 역사 과목을 선택한 이유와 역사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등을 설문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역사에 대한흥미도가 높지만 역사 과목을 선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적은 시수에서 압축적으로 학습해야 한다는 점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고답했다. 이에 학생들은 흐름 위주의 이해를 추구하는 역사 탐구 수업이 전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학생의 선택으로 구성되는 교육과정이라는 관점에서 2022 역사과 선택 과목을 검토한 결과, 과목 매력도에 있어서는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었으며, 진로 정합성과 진학 유용성에 관련해서는 삶에의 유용가치라는 측면에서 학생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과목 이수 체계의 정밀성이 부족한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근현대사를 강화한 선택 과목의 운영 역시 지켜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역사과 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 학생을 위한과목 안내 자료 보급, 교사 대상 연수 및 부교재 제공, 교사 모임을활용한 신설 과목 교수학습자료 선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경험 탐색

        허예지,김영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6 No.3

        In order to operate properly in the school field whe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fully introduc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losely understand the application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subjects and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This study examines the teachers’ and students’ experiences regarding the operation of student-selective curriculum and explores the dire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hould go. To this end, 14 teachers and 14 students from the research and pilot school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understandings and experiences of the student-selective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made efforts to provide various subjects and improve teaching during the process; students' right to choose subjects was expanded and student participation was also increased. However, continuous conflicts and compromises were inevitable due to lack of consensus among teachers, between subject interests, and uncertain careers of students, and teachers' workload became excessive. Students grew up through self-reflection and exploration in the course of subject selection, and through proactive decisions according to their career paths, but they also experienced obstacles in their choice due to grades and undecided career paths, and new academic burdens increased.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s to reflect the new criterion for the teacher quota and the number of class hours per week, expand the concept of teachers' major subjects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multi-subject teaching capabilities, change the rigid perspective on career-subject selection, and strengthen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as well as monitoring the quality of classes off campus.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 시 학교 현장에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고 원활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 주체들의 관점에서 적용 실태를 면밀히 이해하고, 개선 사항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경험을 살펴보고, 고교학점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준비학교 14개교의 교사 및 학생 총 28명을 대상으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의 운영과 이수 경험에 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과목개설 및 수업 변화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학생의 과목 선택권이 확대되고, 수업 참여도 역시 향상되었다. 그러나 부족한 공감대와 교과 간 이해관계, 학생들의 불확실한 진로로 지속적인 갈등과 조율이 불가피하였으며, 교사의 업무 또한 과다해졌다. 학생들은 과목 선택의 과정에서 자기 성찰과 탐색, 진로에 따른 주도적인 결정을 통해 성장하였으나, 등급과 진로 미결정으로 선택의 장애를 겪기도 하였고, 학업 부담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 정원 및 주당 수업 시수 기준 개선, 교사의 전공 교과 개념 확장 및 다과목 지도 역량 개발, 진로와 과목 선택에 대한 경직된 관점의 전환, 단위학교 중심의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학교의 교육과정 설계·운영 역량 강화와 공동교육과정 등의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 모색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외국의 선택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및 정책상의 함의

        강현석(康現碩) 한국정책과학학회 200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7 No.2

        현행 한국의 교육과정 정책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문제가 올해 고교 2학년부터 적용에 들어간 제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시행이다. 교육과정 선택의 문제에서 교육정책상 중요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시행 초기에 발견되는 문제를 적절하게 이해하고 선택 교육과정 정책을 합리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외국의 사례를 적절하게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탐색해보는 일이 중요한 시점이다. 교육과정 정책에서 교과목에 대한 의사결정의 문제는 항상 논쟁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선택과목의 결정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교과목의 편성과 운영의 문제로서 정책 결정에서 핵심적인 사안이다. 본 연구는 주제의 성격상 1차적으로 미국과 호주를 중심으로 관련 사례를 일정 준거에 의해 비교ㆍ분석하고,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상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몇 나라를 포함하여 선택 교육과정을 일정한 준거에 의해 탐구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정책상의 함의를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둔다.

      •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의 선택 체험 연구

        박지솔,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6 No.2

        본 연구는 새로운 전공인 미술치료학을 선택한 사람들의 체험을 탐색함으로써 그것이 지니는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을 선택한 총 17명의 석사학위 과정생 및 수료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이들의 생생한 체험의 의미와 본질에 집중하고자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7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심층면담의 내용을 분석하여 11개의 본질적 주제와 33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것을 기반으로 내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흥미 있고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싶다는 내적 동기와 평생 할 수 있는 안정적 직업이라는 외적 동기가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둘째, 미술치료 석사학위 과정을 선택하는 사람들은 미술치료학에 대해서 타인을 도울 수 있고, 미술과 심리학에 대한 공부가 함께 필요한 학문이라고 인식한다. 셋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을 선택한 사람들은 미술치료학을 배움으로써 나를 이해하고 성장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넷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과정을 선택한 사람들은 석사학위 과정에 진학하기 전에 다른 기관에서 미술치료를 배우며 긍정적인 경험을 하지만 한편으로는 더 깊이 있는 배움의 한계를 느끼면서 실제로 미술치료사로서 일을 하려면 보다 심도 있는 석사학위과정의 경험이 필요함을 생각한다. 다섯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을 선택한 사람들은 선택 과정에서 관련 정보의 부족으로 지원을 망설이지만 대학원별 커리큘럼 및 교수진의 정보를 수집하고 미술치료학 전공자에게 직접 문의함으로써 선택에 대한 확신을 가진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비교 연구: 시각장애 고등학교 및 전공과 교육과정 편제를 중심으로

        이덕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0 시각장애연구 Vol.26 No.2

        This study has its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and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by suggesting the discourse on the expansion of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based on internationally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special school vacational curriculum and Japanese special school vac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finding a way of expanding vocational subjects through consideration and review of the current vocational education structure in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researched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and Japan and the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school level focusing the examples of high schools for visual impairmen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are lacking in consideration for the properties and requests of various disabilities and the number of courses and subjects available (18 courses in 9 subjects) is significantly limited. For example, the result shows that the vocational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Japan are 77 courses in 12 subjects and the specialized(vocational) curriculum for general students in Korea who show almost identical quality in the level of development and performance capability are 448 courses in 10 categories. Based on this finding,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vocational education subjects and courses for students in Korea who need special education are significantly limited compared with their various types of impairments and selectable occupations. Second, the elective curriculum serves as provision of various opportunities. For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must provide more opportunities by organizing and forming various elective subjects and courses for student with disability in curriculum of the national level like specialized elective subjects in the option-centered curriculum of general schools or the various vo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in Japan. Third, it was suggested that, as a specific improvement method, it is necessary to seek a drastic expansion of the scope and number of vocational subjects and courses for the students who currently need special education and to consider a plan for organizing curriculum which can provide more in-depth and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to the student with disability by converting the detailed courses that are categorized by subjects in the current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to regular subjects like ‘Medical Massage’ subject. Fourth,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re as follows; ⅰ) reorganization of the vocational curriculum which are not organized in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but which are internally organized in many special education schools(classes) into a new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ⅱ) as in case of Japan, the identification of a plan for expanding various kinds of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other than ‘Medical Massage’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ho have no choice but to select the vocational curriculum limited to ‘Medical Massage’, ⅲ)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various vocational subject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ⅳ) in case of the vocational subjects established by schools, the provision of various supports according to organization of new curriculum (such as provision of additional teachers, development of course books, provision of funds for publishing such books, etc). 본 연구는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편제에 대한 검토 및 재고를 통해 직업 교과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한국과 일본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를 통해서 한국에서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확대에 대한 담론(談論)을 제기하여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국가 수준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과 시각장애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교 수준의 직업교육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은 다양한 장애영역의 특성 및 요구에 따른 고려가 상당히 미흡하며, 선택할 수 있는 교과 및 과목 수(9개 교과 18개 과목)도 지나치게 제한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의 경우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을 위한 직업교육과정은 12개 교과 77개 과목이며, 한국의 경우도 발달수준과 학업수행능력에서 거의 동질적인 특성을 보이는 일반학생들을 위한 전문(직업)교육과정은 10개 계열 448개 과목으로 세분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한국의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위한 직업 교과와 과목 수는 다양한 장애영역 및 선택 가능 직종에 비해 상당히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 교육과정의 기능은 다양한 기회를 부여하는 것인 만큼 이를 위해 한국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도 일반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전문 선택 교과나 일본의 다양한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처럼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장애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선택 교과 및 과목들을 구성하고 편제하여 보다 많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구체적인 개선 방법으로는 현행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위한 직업 교과 및 과목의 범위와 수를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에서 교과별로 영역화되어 있는 세부 분야를 ‘이료’ 교과처럼 과목으로 전환하여 장애학생들에게 보다 심도 있고 전문성 있는 직업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과정 구성 방안들을 강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넷째,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제언으로, 국가 수준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지 않지만 많은 특수학교(급)에서 자체적으로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직업 교과들을 국가 수준 직업교육과정으로 개편하고, ‘이료’ 교과로 제한된 직업교육과정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시각장애학생들을 위해 일본의 예처럼 ‘이료’ 외의 다른 종류의 직업 교과를 확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정신지체학생들에 대한 다양한 직업 교과를 신설·확대하고, 학교 자체 설치 직업 교과의 경우에는 신설 교육과정 편제에 따른 제반 지원책(교사수급 추가 지원, 교과용도서 개발 및 편찬 경비 지원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 KCI등재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한 시·도교육청의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시론

        이광우(Kwang-Woo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한 시·도교육청의 공동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시론적 검토를 통해 향후 공동교육과정 운영의 발전적 과제를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및 학교간 공동교육과정 운영의 근거와 4개 시․도 교육청의 공동교육과정 운영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 까지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학생의 적성·진로를 고려한 과목 선택권 관련 지침을 제시해왔다. 또한,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학교에서 개설하지 않은 선택 과목 이수를 희망하는 학생이 있을 경우 그 과목을 개설한 다른 학교에서의 이수를 인정하도록 하고 있다. 시·도교육청의 공동교육과정 분석 결과, 공동교육과정은 심화과목, 전문교과를 중심으로 한 학기에 평균 2∼3단위를 개설하고, 방과 후에 운영되고 있었으며, 이수 기준으로 출석의 2/3를 설정하고 있었다. 또한 공동교육과정 운영의 과정에서 학생 이동의 문제, 교원업무의 증가, 지역간 교육격차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향후 공동교육과정 운영의 과제로 ‘학기별 과목 운영 단위수의 확대’,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한 공동교육과정의 운영 및 평가의 연계’, ‘과목 이수 기준의 적절성 검토’,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 방안’, ‘교사의 업무 해소 방안’ 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future tasks through preliminary discussions on implementation of common curriculum for subject selection right of high school student i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o achieve aims, this study reviewed the guidelines of subject selection right of high school student, the basis of implement of common curriculum between schoo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mplement of common curriculum in fou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its final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future tasks to improve an implement of common curriculum. The related index of subject selection right considered student s aptitude·career was presented in curriculum general guidelines from 7th curriculum to 2015 revision curriculum. Also, to ensure student s right of subject selection, it is admitted for students to complete other school subject that isn t open in student s own school. Common curriculum was implemented that focused on deep subject and special subject, 2-3 unit in 1 semester, in after school. Also, there was some problems that is the student movement, teacher workload, educational gab between region in implementation of common curriculum,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of the extension of implementation unit in 1 semester, the connection i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common curriculum related school curriculum, the examination of relevance of standard for subject completion, resolution method of the educational gap between schools and the teachers workload.

      • 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가정과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및 선택과목 체제 탐색

        김남은(Kim, Nam eun),허영선(Heo, Young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the selection system to be considered in the next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the changes in home economics subject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is, the study examined the systematic literature survey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examined the direction of the revision of the next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he selection curriculum system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implementation direction. Through critical consider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mpletion time, the method of completion, the method of completion and the standards, and to establish the objective and reliabl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implementation direction of the evaluation method. The character and goal should be newly established in the direction of the revision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home economics, the scope and depth of the subject should be expanded to the area selection type and the steps election type based on the demand for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subjects, and it should be developed as a subject with high relevance to career, but the attractiveness and necessity of the subject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the linkage with the univers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how to organize the subject among the methods of separating and coordinating existing subjects and developing new subjects or improving the linkage with universitie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present a specific plan as a result of the study.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search for directions suggest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part of a huge discourse for the next revision of home and curriculum. 이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가정교과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차기 고등학교 가정과교육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방향 및 선택과목 체제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고교학점제에 대해 체계적 문헌 조사하여 시행 방향의 탐색을 통해 차기 고등학교 가정과교육과정 개정 방향 및 선택과목 체제를 검토하였다. 고교학점제의 비판적 고찰을 통해 방향으로는 이수시간, 이수방법, 이수단위 및 기준을 정립하고 객관적이고 신뢰할만한 평가기준의 확보와 평가방법에 대한 시행 방향을 살펴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사연수, 임용과정에서의 평가과목 개설이 필요하다. 가정과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으로 성격과 목표를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 가정과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과목의 개설 요구를 바탕으로 영역 선택형과 단계 선택형으로 과목의 넓이와 깊이를 확장하고 진로와 관련성이 높은 과목으로 개발하되 대학과의 연계를 통해 과목의 매력도와 필요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가정교과의 선택과목 체제에 대해 기존 과목을 분리 통합, 조정하는 방법과 새로운 과목을 개발하거나 대학과의 연계성을 높이는 방법 중 어떻게 과목을 구성해야 할지 선택을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의 결과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그러나 본 연구가 제시한 방향 탐색이 차기 가정과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거대한 담론의 일부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숙의를 통한 고등학교 가정교과 선택 교육과정 혁신 방향 모색

        주수언,박미정,백민경,유난숙,한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실과교육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과 선택 교육과정이 실행되는 맥락과 운영 방향을 숙의과정(deliberation) 을 통해 탐색하여 가정교과 선택 교육과정의 혁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3 그룹의 숙 의 집단을 구성하여 총 10개월간 지속적인 숙의 과정을 가졌다. 각 집단의 숙의 내용을 전사하여 질 적으로 분석한 결과, 가정교과가 당면한 도전과 응전이라는 관점에서 각각 다음의 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가정교과가 당면한 도전은, 입시 과목 중심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문화, 비 입시 교과라는 위 기와 기회, 가정 교과의 성격과 가치에 대한 부정적 인식, 교육과정문서 단위 배당 기준표상의 불리한 조건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에 대한 가정교과의 응전 과제는 학생들의 실질적인 요구와 내적 호기심 을 채워줄 수 있는 교과혁신, 교육과정 문서상 필수 이수 단위 설정 등 시수확보를 위한 안전장치 마 련, 학생 진로 희망에 근거한 다양한 선택 교과 개발 및 운영 노력, 교과 인식개선을 위한 적극적 홍 보로 압축되었다. 앞으로 가정교과 선택 교육과정 혁신의 방향에 대한 공동체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ext and operation direction of the home economics elective curriculum by using deliberation as a research method to seek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the home economics elective curriculum. To achieve this purpose, three deliberation groups were formed to have a continuous deliberation process for 10 months. As a result of transcribing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eliberations of each group, the following meanings were extra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hallenges and responses faced by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First, the challenges by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the culture of organizing and operating a curriculum centered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ubjects, the crisis and opportunity of non-entrance exam courses, negative perceptions of the nature and value of home economics, and the organization standard table for each area of high school curriculum which is an unfavorable to home economics subjects. Second, the response tasks of home economics are subject innovation that can satisfy students' real needs and internal curiosity, preparation of devices to ensure the acquisition of time, such as setting mandatory completion units in curriculum documents, and development of various home economics elective courses based on student career preferences, and active publicity to improve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active community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the Home Economics electiv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