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선택 교육과정 운영학교의 실천 사례 분석과 고교학점제에의 시사점 : 충남삼성고 사례를 중심으로

        김연(Kim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제7차 교육과정 이후로 개인적 필요와 적성, 능력에 따라 진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형 교육과정은 국가 교육의 중점사항이었으나, 교사 수급이나 시설의 미비, 대입제도와의 불일치 등으로 성공적인 운영 사례를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이 연구는 6년 동안 선택형 교육과정을 운영한 충남삼성고의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따른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 사례를 통해 고교학점제의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학생선택 교육과정 운영 실제에서 나타난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과정’을 설치하여 과목 선택에 대한 혼란을 막고 학생들 선택을 가이드 한 것이 효과적이었다. 학생은 과정을 선택하기는 하지만 ‘자율선택’을 통해 자신의 흥미나 진학을 고려한 다양한 과목 선택을 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과정의 성격을 잘 드러낼 수 있는 다양한 교과(심화교과 및 전문교과 포함)를 개설하였는데, 학생들은 자신의 흥미나 관심뿐 아니라 학업역량을 고려하여 과목을 선택하고 있었다. 특히 내신 성적을 받기 어려운 소수과목이나 난이도가 높은 심화과목을 선택하는 사례가 많았다. 셋째, 자연공학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과목과 영어과목을 수강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학진학과 관련성이 없는 과목이어도 흥미가 있거나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과목이면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진학과의 연계성을 고려했을 때 심화교과를 선택했거나 자신의 진로나 특성이 드러나도록 개별화된 포트폴리오를 만든 학생일수록 좋은 진학결과를 보여주었다. 충남삼성고의 실천 사례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은 첫째, 일반교과 이외 진로선택이나 전문교과로의 폭 넓은 개설을 통해 학생 선택권의 양적 확대를 꾀하고, 둘째, 학생과 학부모가 선택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과정’ 등의 제도를 통해 선택에 따른 혼란을 줄인다. 셋째, 학생의 적성과 진로, 흥미가 반영된 개별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 진학과의 세심한 연계를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After the 7th curriculum, the students’ choice curriculum, which allows students to choose their career paths based on personal needs, aptitudes and abilities, was the focus of national education,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actually successful cases of operation. The study tri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examples of how to organize and operate a choice curriculum based on the aptitude and career path of students at Chungnamsamsung High School.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that emerged in the actual operation, firstly, it was effective to install a course to prevent confusion over the selection of subjects and guide the selection of students. Although students chose courses, they were choosing various subjects that considered their interest or advancement. Second, various subjects were opened to reveal the nature of the course, and students were choosing the subjects in consideration of their academic ability as well as their interest and need.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cases of choosing a few subjects that were difficult to get grades for school records. Third, natural-engineering course students often took courses in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and English. Even if the subjects were not related to college entrance, they tended to choose subjects.. Fourth, considering the connection with the college entrance, students who chose advanced subjects or created individual portfolios to reveal their career paths or characteristics showed better results.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study are to expand the student s options quantitatively by opening career related or specialized subjects, and secondly,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students and parents to reduce confusion caused by selection through a system such as courses. Third, create individual portfolios that reflect students aptitude, career path and interest, and carefully link high school curricula with college entrance so that stable and continuous choices can be made.

      • KCI등재

        해외사례분석을 통한 선택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탐색

        이수진,정재은,오지향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2

        The foundational curriculum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is currently being revised, and the biggest issue in secondary education i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emphasizes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here is no exception to this interest in the music department,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establis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is study, the focus is on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hat allows students to choose subjects based on their own interests and needs. In order for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o be operated according to it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xamine various cases of elective-centered curricula and elective course operations provided by the music department and discuss possible next step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ransition of music and elective-centered curricula from the 7th curriculum up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examined, as well as the cases of music and elective-centered curricula and elective courses overseas (Canada,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in detail, a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scope and objectives of the course according to the music department’s ideals. Secon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nd opportunities for various paths need to be provided through connections with universities. Third, considering students' musical interests and tal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ariety of intensive music programs for students to choose from. Fourth,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sic teachers and institutional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to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intensive music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현재 개정 중에 있으며, 중등교육에서의 가장 큰 이슈는 선택중심교육과정을 강조하고 있는 고교학점제라 볼 수 있다. 음악교과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은 예외일 수 없으며, 고교학점제를 학교 현장에 안착시키기 위한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교학점제의 운영 원리 중 학생 스스로의 흥미와 필요에 기초하여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그 초점을 두었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이 그 취지에 맞게 운영되기 위해서 음악교과에서 제공하는 선택중심 교육과정 및 선택 교과목 운영의 다양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음악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보고, 해외(캐나다, 싱가포르, 미국)의 음악과 선택중심 교육과정및 선택 교과목 운영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와 자료가 상세하게 제공되어야 하며, 총론에서 제시하는 역량을 음악교과 고유의 방식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 및 직업교육이 체계화되어야 하며, 대학과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선택의 기회가 제공될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들의 음악적 흥미와 재능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프로그램 및 심화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들에게 제공된 다양한 음악프로그램과 심화 프로그램 운영하기 위한 음악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국가차원의 제도적지원이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대안교육특성화고등학교의 선택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태와 시사점 탐색

        배지현(Bae Ji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본 연구는 대안교육특성화고등학교의 선택교육과정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고등학 교 선택교육과정 운영에의 시사를 탐색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2014년 현 재 24개에 달하는 대안교육특성화고의 편성된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일반적인 경향 을 도출하고 심층면담 등의 질적 연구를 통해 선택교육과정 운영상의 주요 쟁점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대안교육특성화고에서는 기초, 탐구, 체육·예술, 생활·교양 전 영역에서 ‘학교선택’과 ‘학생선택’을 골고루 운영하고 있었고, 다양한 특성화 과목의 개설과 학생의 과목(종류 및 개수) 선택권 부여를 통해 개방적인 선택교육과정을 편 성하고 있었다. 또 본 연구에서는 선택교육과정 운영과 관련해서 ‘학교선택’, ‘학생선 택’, ‘과목선택권’이라는 주제로 7개의 쟁점들이 도출되었다. 더불어 대안교육특성화 고의 선택교육과정 운영의 실제가 주는 시사로 ① 선택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단위 학교의 의지와 철학의 중요성, ② 선택의 주체와 목적, 대상에 있어 다각화의 전망, ③ 시기별 종합적인 지원 방안의 필요성, ④ 대안교육특성화고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보장 및 책무성 제고 등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uggestion to the elective curriculum of high school by analyzing the features of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elective curriculum in Specialized High School for Alternative Education, or SHSAE. For it, this study has abstracted main issues in the implementation of elective curriculum through case study and qualitative analyzation and explored general tendencies of elective curriculum which was organized for SHSAE which numbers up to 24, as of 2014. As for the result, in SHSAE, they had actively organized programs for elective curriculum, allowing the students to select their subjects ―kind and number― and opening various specialized subjects, by various operation of students selection and schools selection in all fields of subjects; basic, inquiry, PE & arts, and life living & liberal arts. And, related to student’s choice, school s choice and students’ rights to choose their subjects, seven main issues on the implementation of elective curriculum are analyzed. Finally, as for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elective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① the importance of philosophy and intention of individual schools, ② prospects on diversification on main agent, object and purpose of choice, ③ needs of generalized supporting for each period?short, medium and long term, and ④ assurance for autonomy on curriculum management of SHSAE.

      • KCI등재후보

        확대된 학생 선택 교육과정으로서의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의 가능성 검토: 역사과 선택 교육과정에 관한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송수연 청람사학회 2022 靑藍史學 Vol.36 No.-

        본 연구는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을 ‘학생 선택 교육과정’의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하였다. 7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입되어 점차강화된 학생 선택 교육과정은 역사교육의 위기를 견인했다고 해도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앞으로의 교육과정이 계속해서 학생 선택권확대를 추구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역사과 교육과정 개발에 관련하여학생 선택이라는 요인을 중요하게 살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학생들을 대상으로 역사 과목을 선택한 이유와 역사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등을 설문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역사에 대한흥미도가 높지만 역사 과목을 선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적은 시수에서 압축적으로 학습해야 한다는 점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고답했다. 이에 학생들은 흐름 위주의 이해를 추구하는 역사 탐구 수업이 전개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학생의 선택으로 구성되는 교육과정이라는 관점에서 2022 역사과 선택 과목을 검토한 결과, 과목 매력도에 있어서는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었으며, 진로 정합성과 진학 유용성에 관련해서는 삶에의 유용가치라는 측면에서 학생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과목 이수 체계의 정밀성이 부족한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근현대사를 강화한 선택 과목의 운영 역시 지켜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역사과 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 학생을 위한과목 안내 자료 보급, 교사 대상 연수 및 부교재 제공, 교사 모임을활용한 신설 과목 교수학습자료 선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강창동 한국교육사회학회 2004 교육사회학연구 Vol.14 No.2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학생의 흥미와 소질, 그리고 진로에 적합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선택과 집중, 자율과 창의, 다양성과 특성화를 통해 학생의 잠재적 능력을 높이는 데 있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학생이 스스로 만들어 가는 능동적 교육과정이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교육의 본 질 구현에 적합한 미래 지향적 교육과정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이념을 효 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실제 토대가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이념을 구현할 수 있는 현실 적 조건이 마련되지 못하면, 오히려 교육적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선택중심 교육과정 의 이념과 실제적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의 사회적 맥락 속에서 선택중심 교육과 정의 성격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래야만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천 준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 한국의 사회적 맥락 속에서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현실적인 실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is the curriculum to organize that fit students' interest, character and course. The core of this curriculum is to develop students' latent ability by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utonomy and creativity, variety and individuality.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is the active curriculum which students make on their own.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is the future-directed curriculum to embody the nature of education By the way, the realistic foundation should be back up to realize the idea of this curriculum. If the realistic foundation is not planned or realize the idea effectively, it may be result in educational side effect. Therefore,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 distinctly the ideological and practical directions of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Standing on the basis of this. This study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in the social context. Therefore the effective conformity of this curriculum may be prepared only through this investigation. Also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the realistic practice direction of this curriculum in Korean social context for successful embodiment of it.

      • KCI등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시 과목 선택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이상은 ( Sang-eun Lee ),백선희 ( Sunhee Pai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3

        고교학점제 정책으로 인해 교육과정 편성 시 학생의 참여와 선택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나타난 과목 선택권 확대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학생들의 과목 선택 현황, 둘째, 과목 선택 이유, 셋째, 과목 선택의 기대 효과, 넷째, 필요한 과목을 선택하기 위한 지원 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고교학점제를 시범 운영하는 82개 연구학교 1, 2학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목 선택 현황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듣고 싶은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정도와 선택 과목이 자신의 적성 및 흥미에 부합하는 정도는 보통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학생 특성 변인별 차이를 살펴보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고교학점제가 시범 적용되는 1학년 학생들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받는 2학년 학생들보다 높았으며, 성적이 높다고 인식하는 학생일수록, 교육기대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정형편이 좋다고 인식할수록 과목 선택의 정도 및 자신의 적성과 흥미와 부합하는 정도를 높이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학생들의 과목 선택 이유를 살펴본 결과, 대학 진학 희망 계열 및 자신의 적성 및 관심과의 관련성이 가장 우선순위를 차지했고, 내신 성적 산출에 유리한 과목 및 쉽고 부담 없는 과목은 이보다 낮은 순위로 나타났다. 이어서, 과목 선택의 기대효과와 관련하여, 학생 스스로 선택한 과목에 대한 수업 만족도가 학교가 지정해 준 과목에 대한 수업 만족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과목을 선택하기 위한 지원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대학 학과 체험 활동 및 직업 체험 활동 등 학교 밖과 연계된 진로지도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and needs that affect students’ selection of electives under High School Credit System(HSC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students from 82 research high schools where the HSCS has been adopt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high school students reported a little higher score than average (three point) in terms of the degree to which they could select electives and the degree to which they considered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when they selected electives. Students’ perception of achievement, educational expectations as well as parents’ education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perception of the degree to which their electives were related to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In addition, a highest number of students reported that they selected electives related to expected college majors as well as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Rather, students rarely selected electives because subjects were easy to learn or receive good grades. Interestingly, students show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lassroom instruction of electives than required subjects. Lastly, in order to select appropriate electives, students expected supports such as real life exposure to college majors and job fields.

      • KCI등재후보

        외국의 선택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및 정책상의 함의

        강현석(康現碩) 한국정책과학학회 200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7 No.2

        현행 한국의 교육과정 정책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문제가 올해 고교 2학년부터 적용에 들어간 제7차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시행이다. 교육과정 선택의 문제에서 교육정책상 중요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시행 초기에 발견되는 문제를 적절하게 이해하고 선택 교육과정 정책을 합리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외국의 사례를 적절하게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탐색해보는 일이 중요한 시점이다. 교육과정 정책에서 교과목에 대한 의사결정의 문제는 항상 논쟁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선택과목의 결정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교과목의 편성과 운영의 문제로서 정책 결정에서 핵심적인 사안이다. 본 연구는 주제의 성격상 1차적으로 미국과 호주를 중심으로 관련 사례를 일정 준거에 의해 비교ㆍ분석하고,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상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몇 나라를 포함하여 선택 교육과정을 일정한 준거에 의해 탐구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정책상의 함의를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둔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경험 탐색

        허예지,김영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6 No.3

        In order to operate properly in the school field whe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fully introduc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losely understand the application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subjects and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This study examines the teachers’ and students’ experiences regarding the operation of student-selective curriculum and explores the dire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hould go. To this end, 14 teachers and 14 students from the research and pilot school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understandings and experiences of the student-selective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made efforts to provide various subjects and improve teaching during the process; students' right to choose subjects was expanded and student participation was also increased. However, continuous conflicts and compromises were inevitable due to lack of consensus among teachers, between subject interests, and uncertain careers of students, and teachers' workload became excessive. Students grew up through self-reflection and exploration in the course of subject selection, and through proactive decisions according to their career paths, but they also experienced obstacles in their choice due to grades and undecided career paths, and new academic burdens increased.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s to reflect the new criterion for the teacher quota and the number of class hours per week, expand the concept of teachers' major subjects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multi-subject teaching capabilities, change the rigid perspective on career-subject selection, and strengthen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as well as monitoring the quality of classes off campus.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 시 학교 현장에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고 원활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 주체들의 관점에서 적용 실태를 면밀히 이해하고, 개선 사항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경험을 살펴보고, 고교학점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준비학교 14개교의 교사 및 학생 총 28명을 대상으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의 운영과 이수 경험에 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과목개설 및 수업 변화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학생의 과목 선택권이 확대되고, 수업 참여도 역시 향상되었다. 그러나 부족한 공감대와 교과 간 이해관계, 학생들의 불확실한 진로로 지속적인 갈등과 조율이 불가피하였으며, 교사의 업무 또한 과다해졌다. 학생들은 과목 선택의 과정에서 자기 성찰과 탐색, 진로에 따른 주도적인 결정을 통해 성장하였으나, 등급과 진로 미결정으로 선택의 장애를 겪기도 하였고, 학업 부담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 정원 및 주당 수업 시수 기준 개선, 교사의 전공 교과 개념 확장 및 다과목 지도 역량 개발, 진로와 과목 선택에 대한 경직된 관점의 전환, 단위학교 중심의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학교의 교육과정 설계·운영 역량 강화와 공동교육과정 등의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 모색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지원 실태 분석

        이미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1

        이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지원 체제 구축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고등학교 현장에서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한 지원실태가 어떠한가를 면밀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 연구와 시ㆍ도 교육청 관계자 26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시ㆍ도 교육청 담당자와의 면담 결과,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운영지원에 있어서 학생의 선택권을 의미 있게 확보해 주는 것이 매우 어려운 근본적 문제점은 교과 교사 수급 문제와 관련하여 교육청 차원에서의 결정과 지원을 넘어서는 난점이 있기 때문이며, 그로 인하여 교사 수급을 전제로 한 제한 속에서의 선택 과목 운영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학교에서 개설하기는 어렵고 학생은 이수하기를 원하는 과목을 교육청의 행ㆍ재정적 지원을 기반으로 개설할 수 있게 지원한 성공적 사례도 발견되었다. 고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지원과 관련하여 노정되어 온 문제점을 해결하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보다 강화된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이 실질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급 수를 기준으로 교사를 배치하게 되어 있는 초ㆍ중등교육법시행령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개정이 요청된다. 또한 학생의 다양한 선택 과목 이수 요구를 고려하여 시ㆍ도 교육청에서 지원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이 보다 증대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학교에서 개설하기는 어려우나 학생들의 이수 요구가 있는 과목을 학생들이 이수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행ㆍ재정적 지원을 제공한 B광역시 교육청 사례는 긍정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의 선택 체험 연구

        박지솔,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6 No.2

        본 연구는 새로운 전공인 미술치료학을 선택한 사람들의 체험을 탐색함으로써 그것이 지니는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을 선택한 총 17명의 석사학위 과정생 및 수료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이들의 생생한 체험의 의미와 본질에 집중하고자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7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심층면담의 내용을 분석하여 11개의 본질적 주제와 33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것을 기반으로 내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흥미 있고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싶다는 내적 동기와 평생 할 수 있는 안정적 직업이라는 외적 동기가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둘째, 미술치료 석사학위 과정을 선택하는 사람들은 미술치료학에 대해서 타인을 도울 수 있고, 미술과 심리학에 대한 공부가 함께 필요한 학문이라고 인식한다. 셋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을 선택한 사람들은 미술치료학을 배움으로써 나를 이해하고 성장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넷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과정을 선택한 사람들은 석사학위 과정에 진학하기 전에 다른 기관에서 미술치료를 배우며 긍정적인 경험을 하지만 한편으로는 더 깊이 있는 배움의 한계를 느끼면서 실제로 미술치료사로서 일을 하려면 보다 심도 있는 석사학위과정의 경험이 필요함을 생각한다. 다섯째,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을 선택한 사람들은 선택 과정에서 관련 정보의 부족으로 지원을 망설이지만 대학원별 커리큘럼 및 교수진의 정보를 수집하고 미술치료학 전공자에게 직접 문의함으로써 선택에 대한 확신을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