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산서원의 공간위계와 건축문화

        이승우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Toegye(退溪) Yi Hwang(李滉) is the great Confucianist(儒學者) in the Chosun Society. And he concerned not only Confucianism philosophy and idea but also the built environment between nature and architecture.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in Dosan Seowon(陶山書院). Dosan Seowon are divided into the two groups. First group of building was constructed by Toegye including the Dosan Seodang(陶山書堂). After death of Toegye, the constructed buildings were second group. In conclusion these groups are differented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First group of building are represented to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temperance with the arrangement of horizon. From the Dosan Seodang, Toegye's consideration of architecture signified his philosophy and idea. On the other hand, second group are formed the arrangement of vertical, And master plan arranged to several axies with religion space, study space and utility space. The vertical composition is represented to the principle of dignity and hierarchy of space. Dosan Seowon and his principle of architecture are become the canon of Seowon architecture until nineteenth century. 퇴계 이황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대유학자이자 선비이다. 그는 철학과 사상의 깊이뿐만 아니라, 그를 둘러싼 자연과 건축 그리고 건조 환경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퇴계 이황의 건축 조영의식을 파악하고, 그가 세운 도산서당을 비롯한 3채의 건축물과 퇴계 사후의 후손들에 의해 조영된 도산서원을 비교 연구하여 퇴계의 건축관과 조선 중기 서원건축 문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퇴계는 자연-건축-인간이 하나가 되는 천인합일의 보편적 조영관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사고를 바탕으로 그는 도산서당을 포함한 생전의 건축군을 수평적으로 배치하였다. 이들의 특징은 자연-인간-건축 모두가 평등하고, 건축적 절제성이 표현되었다. 퇴계가 도산서당을 통하여 보여준 건축적 배려는 그의 철학과 사상적 이념이 함축된 것이다. 반면에 후대에 지어진 상덕사를 비롯한 전체 서원군은 대지의 물리적 한계로 수직적 배치형태를 보이고 있다. 상덕사축, 전교당축 그리고 진입축의 변화를 가지면서 배치되었다. 레벨 差를 통한 공간의 위계가 나타나고, 상부 공간을 향한 존엄성은 수직 공간구성의 특징이다. 이들 두 건축군을 어울려 전체 도산서원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도산서원은 조선중기 서원건축의 규범이 되었고, 나아가 19세기까지 서원건축문화를 이끄는 초석이 되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도산서원의 공간위계와 건축문화

        이승우 ( Seung Woo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퇴계 이황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대유학자이자 선비이다. 그는 철학과 사상의 깊이뿐만 아니라, 그를 둘러싼 자연과 건축 그리고 건조 환경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퇴계 이황의 건축 조영의식을 파악하고, 그가 세운 도산서당을 비롯한 3채의 건축물과 퇴계 사후의 후손들에 의해 조영된 도산서원을 비교 연구하여 퇴계의 건축관과 조선 중기 서원건축 문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퇴계는 자연-건축-인간이 하나가 되는 천인합일의 보편적 조영관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사고를 바탕으로 그는 도산서당을 포함한 생전의 건축군을 수평적으로 배치하였다. 이들의 특징은 자연-인간-건축 모두가 평등하고, 건축적 절제성이 표현되었다. 퇴계가 도산서당을 통하여 보여준 건축적 배려는 그의 철학과 사상적 이념이 함축된 것이다. 반면에 후대에 지어진 상덕사를 비롯한 전체 서원군은 대지의 물리적 한계로 수직적 배치형태를 보이고 있다. 상덕사축, 전교당축 그리고 진입축의 변화를 가지면서 배치되었다. 레벨 差를 통한 공간의 위계가 나타나고, 상부 공간을 향한 존엄성은 수직 공간구성의 특징이다. 이들 두 건축군을 어울려 전체 도산서원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도산서원은 조선중기 서원건축의 규범이 되었고, 나아가 19세기까지 서원건축문화를 이끄는 초석이 되었다. Toegye(退溪) Yi Hwang(李滉) is the great Confucianist(儒學者) in the Chosun Society. And he concerned not only Confucianism philosophy and idea but also the built environment between nature and architecture.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in Dosan Seowon(陶山書院). Dosan Seowon are divided into the two groups. First group of building was constructed by Toegye including the Dosan Seodang(陶山書堂). After death of Toegye, the constructed buildings were second group. In conclusion these groups are differented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First group of building are represented to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temperance with the arrangement of horizon. From the Dosan Seodang, Toegye`s consideration of architecture signified his philosophy and idea. On the other hand, second group are formed the arrangement of vertical, And master plan arranged to several axies with religion space, study space and utility space. The vertical composition is represented to the principle of dignity and hierarchy of space. Dosan Seowon and his principle of architecture are become the canon of Seowon architecture until nineteenth century.

      • KCI등재

        숭양서원의 건축 속성 고고(考古)

        이상해 포은학회 2019 포은학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개성에 소재하는 숭양서원의 건축 속성을 서원이 세워진 장소와 주변환경, 건물 배치, 외부공간 구성과 건축물을 중심으로 고고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숭양서원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숭양서원은 고려 시대 개성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 자남산의 동남쪽 산자락에 위치하며, 정몽주가 살았던 집터에 새로 계획하여 건립한 서원이다. 숭양서원 영역의 앞부분에는 강학공간이, 그 뒷부분에는 제향공간이 자리를 잡았다. 이러한 배치는 남계서원 이후 정립된 조선시대 서원 배치의 전범을 따른 것이다. 숭양서원의 외문 밖에는 우리나라의 여타 서원에서는 보기 힘든 노둣돌이 2벌 있다. 출타하기 위해 말을 탈 때, 출타하여 일을 마치고 귀가하면서 말에서 내릴 때 각각 사용하였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숭양서원 터가 정몽주의 옛 살림집이었음을 말해준다. 강학공간에 속하는 동재는 가운데에 대청이 있고 그 좌우에 유생들이 기거하며 공부하는 온돌방이 있지만, 서재는 내부공간 전체가 통칸으로 트여 있다. 강학공간과 제향공간 사이의 경사지에는 서로 병행하는 세벌의 계단을 설치하여 각 계단마다 사우와 통하는 신문을 내어 세 신문을 모두 합하여 삼문이 되는 형식을 하였다. 제향공간에는 숭양서원이 1871년 서원철폐령 때 훼철되지 않은 내력, 정몽주의 행적, 사우에 배향된 인물들 등을 알 수 있는 「숭양서원기실비」와 「유명고려문하시중시문충포은정선생서원비」가 있다. 제향공간의 중심인 사우는 우리나라 여타 서원에서 볼 수 없는 내부공간 구성을 하였다. 사우의 가장 서쪽 한 칸은 정몽주의 화상을 모신 영당이고, 영당의 오른쪽 세 칸은 사우에 배향한 인물들의 신위를 모신 정실(신실)이다. 사우의 양 측벽은 사우 양 측면의 나무 기둥에서 더 밖으로 각각 약 70cm되는 공간을 띄운 다음 벽돌로 화방벽처럼 쌓았고, 그 위에 기와로 눈썹지붕을 얹었다. 눈썹지붕 상부에 해당하는 박공면도 눈썹지붕 아래의 벽면보다 벽돌을 약간 안으로 들여쌓았다. 우리나라의 여타 서원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측벽 처리 방식이다. 20세기 어느 시점에 숭양서원의 외문과 강학공간의 남쪽을 구성하는 담장, 재사의 측벽이 바뀌었다. 외문은 원래 1칸 건물이었으나 3칸으로 바뀌었고, 외문과 강학공간 사이에는 담이, 담 중앙에는 외문에서 강학공간으로 출입하는 문이 있었지만, 이 담과 문이 철거되었다. 이 시기에 동재와 서재 남측 측면 벽에 있던 풍판도 제거되었다. 현 숭양서원에는 서원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고직사, 전사청, 장판각 등이 확인되지 않는다. 옛 배치도와 사진에는 고직사로 볼 수 있는 건물이 있으나, 현 숭양서원에는 없다. 조선시대의 서원 건축에는 서원을 구성하는 건물들의 당호, 기문, 제영 등이 있어서 성리학자들이 지향하는 목표와 사상을 더 강화시켜준다. 현재 파악되는 숭양서원의 당호는 문충당 뿐이며, 외문, 강당, 동재, 서재, 신문 등 여타 건물들의 당호는 알 수 없다. 옛 사진을 보면, 숭양서원 강당에는 기문들이 걸려있는데, 현재 강당 건물에는 보이지 않는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building properties of Sungyangseowon Neo-Confucian Academy in Gaesong, North Korea,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Seowon, the layout of buildings, the composition of the outer space and buildings. Through this study, several architectural attributes of Sungyangseowon has found as follows: Sungyangseowon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slope of Mount Janam, located in the center of old Gaesong, and is a newly planned and constructed seowon at the house site where Jeong Mong-ju lived. Inside Sungyangseowon, there are a lecture area in front and a veneration area in the back, the innermost area of the Seowon. This type of layout followed the Seowon’s layout standard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established after Namgaeseowon’s layout. Outside the outer gate of Sungyangseowon, there are two sets of horse block, one for mounting to go out and the other one for dismounting the horse upon arriving at home after work, which are not seen in other seowons in Korea. This indicates that the site of Sungyangseowon was the former home of Jeong Mong-ju. East dormitory, a part of lecture area, has an open wood-floored hall (daecheong maru) in the middle and also there are ondol rooms with under-heating system on the left and right side where the students lived and studied, but inside of west dormitory is one whole space. On the slope between the lecture area and the veneration area, three sets of stairs were set up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each stair was presented with an inner gate (sinmun). In the veneration area, two commemoration stone steles are kept. Using them, why Sungyangseowon was not destroyed by Heungseondaewon-gun, the king's father, in 1871, Jeong Mongju’s deeds, and who are venerated in the shrine can be learned. The shrine, the center of the veneration area, shows floor plan composition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seowons in Korea. To the most west of the shrine is a room (youngdang) where the portrait of Jeong Mongju is enshrined, while the room of three kans to the right of youngdang is a shrine (sinsil), where five spiritual tablets of the venerated figures are enshrined. The walls on both sides of the shrine in Sungyangseowon were set apart from the side wall and then stacked with bricks, and on top of them were roofed with roof-tiles (giwa). and the upper part of the eyebrow roof is also brick-stacked. This is an unusual unique way of building side walls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seowons of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outer gate of Sungyangseowon, the wall that forms south side of the lecture area, and the side walls of the east and west dormitories changed. The outer gate was originally a one-kan building, but it was changed to three-kans. There was a wall between the outer gate and the south side of lecture area, and there was a gate from the outer gate to the lecture area in the middle of the wall, but both of them were demo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During this time, side walls of the east and west dormitories were also changed. At the current Sungyangseowon, caretakers’ house, veneration preparatory chamber, and storage room for utensils and vessels used for rites, library and repository of woodblocks which are needed to run a seowon cannot be identified. In the old layout of architectural drawings and photographs, there is a building that can be seen as a caretaker's house, but now it does not exist in Sungyangseowon. In Seowon architec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plaques of building name, documents and poems of the buildings that make up the seowon, which further strengthen the goals and ideas that the Neo-Confucian scholars are aiming for. The only building name that can be identified in Sungyangseowon is ‘Munchungdang’ (Munchung Shrine), but the names of other buildings, including main gate, lecture hall, east dormitory, west dormitory and inner gate are unknown. In old photographs, records of construction and repair...

      • KCI등재

        논산 임리정(臨履亭)과 팔괘정(八卦亭)의 입지 및 조영 특성 -죽림서원(竹林書院)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현우 ( Hyun Woo Lee ),노재현 ( Jae Hyun Rho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2

        논산 강경읍 소재, 죽림서원과 임리정 그리고 팔괘정의 입지 및 조형 특성을 검토하는 한편, 이들 3개 공간의 상호 관련성을 사계연보(沙溪年譜)·죽림서원도록(竹林書院都錄)·임리정기(臨履亭記)·죽림서원묘정비(竹林書院廟庭碑)·남유록(南遊錄)·당시 상소기록 등의 문헌을 통해, 추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六賢을 모신 죽림서원은 강당이 배제된 채 ``홍살문-외삼문-동재(憲章堂)·서재-내삼문(神門)-사우(竹林祠)``의 위계를 보인다. 죽림서원과 각각 50m와 100m 거리를 두고 조영된 사계 김장생의 임리정과 우암 송시열의 팔괘정은 좌향은 물론 규모·지붕 및 평면·창호·편액 등 세부 의장까지 거의 동일시되고 있음이 주목된다. 특히 임리정과 팔괘정은 죽림서원을 중심으로 암괴로 구성된 부지여건을 고려한다면 최대한의 좌우대칭을 유지하며 사우를 위요한 형상이다. 죽림서원은 인조반정 후 정치적 여건 등으로 서원건립이 재추진되면서 율곡·우계를 향사한 묘우(廟宇) 단일 건물만을 우선 영건하고, 기존 강학당으로 쓰던 임리정을 더해 황산서원이라 통칭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현상은 최소한 중건 이후, 양정(兩亭)을 서원의 강학당으로 존치·활용함으로써 서원 구성의 기본적 질서인 좌우대칭적 규범을 최대한 도모하기 위한 필연적 결과이다. 결국 시대차를 두고 이루어진 임리정과 사우의 영건으로 초래된 황산서원의 위계와 시각배치상의 불균형을 바로 잡기 위한 고육지책이 바로 황산 몽괘벽(夢卦壁) 아래 영건된 팔괘정이다. 이와 같은 추론을 종합해 볼 때 죽림서원은 사우를 새로 건립하고, 기존 강학당으로 쓰던 임리정과 이후 중건을 통해 보완된 팔괘정을 강당의 성격을 갖춘 공간으로 통합해 완성된 ‘사우 중심의 서원’으로, 팔괘정의 영건과 임리정과의 조형적 일치는 죽림서원의 강당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보정할 의도하에 이루어진 결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누정의 기능과 역할이 서원 강학당의 보완적 시설로서 영건되고 존립되었다는 사실을 밝힌 것으로서, 서원과 누정의 상호 보완적 기능을 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을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locational and 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of Jukrimseowon, pavilion Imrijeong, and Palgwaejeong located in Nonsan, Ganggyung-eup were reviewed and the interrelation of these three places were studied through references including records of those days; Sagyeyonbo(沙溪年譜), Jukrimseowon dorok(竹林書院都錄), Imrijeonggi(臨履亭記), Jukrimseowon Myojeongbi(竹林書院廟庭碑), Namyurok(南遊錄). The result is as follows. Jukrimseowon enshrining Yukhyeon(六賢) is arranged as ``Hongsalmoon-Woisalmoon-Dongjae(憲章堂; Heonjangdang)`` and ``LIbrary-Naesammoon(神門; shin moon)-Sau(竹林祠: Jukimsa)``, excluding a lecture hall. In case of Sagye Jangsang Kim`s Imrijeong(沙溪金長生) and Uam Shiyoel Song(尤庵宋時烈)`s Palgwaejeong respectively constructed 50 meters and 10 meters each away from Jurimseowon, detail designs such as scale, roofs, surface, windows, doors, and tablets as well as its prospect are nearly identified. Especially Taking Imrijeong and Palgwaejeong`s locational conditions composed of rocks centered on Jukrimseowon, those are maintain the bilateral symmetry as much as possible and surround the shrine. It appeared that the Jukrimseowon`s shrine enshrining Yulgok(栗谷) and Ugye(牛溪) was rebuilt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auditoriums because of political conditions after the renovation of Kiing Injo and it was called as ``Hwangsanseowon(黃山書院)`` with Imrijeong which was a lecture hall. It was an inevitable consequence to keep the bilateral symmetry which is a basic order of auditorium structure by maintaining and using Imrijeong and Palgwaejeong as a lecture hall of the auditorium after the reconstruction at least. Consequently, the desperate attempt to adjust the arrangement and visual imbalance of Imrijeong built with periodical differences and Hwangsanseowon resulted from the construction of shrine was Palgwaejeong built under Monggoibyuk of Hwansan Taken these circumstances together, Jukrimseowon is a ``shrine-centered auditorium`` with characteristics of auditorium, constructed by integrating Imrijeong which was used as a lecture hall after the construction of shrine and Palgwaejeong repaired through the re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of Palgwaejeong and the formative conformity with Imrijeong are assumed as an consequence intended for the compensation of Jukrimseowon`s function and role as an auditorium.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focus on the auditorium and pavilion`s complementary function as well as the Confucian and constructional functions by revealing the fact that pavilions were established as a complementary facility for the lecture hall of auditorium.

      • KCI등재

        옥천 이지당(二止堂) 건립배경과 건물구성 및 구조를 통해 본 건축특징

        남창근,황진하 한국건축역사학회 2022 건축역사연구 Vol.31 No.6

        Ijidang(二止堂) is a private village school (seodang, 書堂) established in Okcheon, north Chungcheong province where Jungbong Jo, Heon(重峯 趙憲, 1544-1592 AD) had trained for his sound mind and body(yusangcheo, 遊賞處). Jo, Heon was a notable Neo-Confucian scholar of the Kiho School and also a righteous general leading soldiers in Joseon Dynasty. According to Ijidanggi(二止堂記), Ijidang was constructed to honor Jo, Heon and to train local talents in 1647 with the support of Song, Si-yeol(宋時烈, 1607-1689 AD),a representative scholar belong to Kiho School and other local Confucian scholars. Ijidang currently consists of Main Body(本體) in the middle along with the East(Dong-lu 東樓) and the West Pavilions(Seo-lu 西樓) attached to each side. The Main Body and the Dong-lu firstly constructed were to give lectures and to rest within. Ijidang has undergone several changes in its form so far. The surrounding nearby Ijidang shows characteristics of the Confucian architecture for training(Jeong-sa, 精舍) and the building itself was to be built in a scenic place apart from the secular world in which scholars stayed, cultivated their body and mind or taught disciples within. The lecture space of Ijidang is positioned next to the main hall(Dae-cheong 大廳) unlike other typical forms of a three-bay building(samganjije 三間之制) at that period. West lu, a two-story building added afterwards in the early 18th century representing characteristics of the Gate Pavilion(Mullu, 門樓) of Neo-Confucian Academies(Seo-won, 書院) in Joseon Dynasty was typically located where the entrance and the ground floor of the main building are visible simultaneously. 옥천 이지당(二止堂)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성리학자이자 의병장인 중봉 조헌(重峯 趙憲, 1544∼1592)의 유상처(遊賞處)에 설립된 서당(書堂)이다. 본 연구는 중봉 조헌이 옥천으로 낙향하여 각신마을에 이르러 유상을 하게 된 배경과 함께 각신서당의 실체를 추적해 보고, 이지당 설립 당시의 인문환경과 함께 서당의 설립목적과 배경에 대해 『이지당기(二止堂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정사건축로서의 입지특성’, ‘강학공간 평면구성의 변통’ ‘서원 문루의 차용’이라는 관점에서 건축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지당은 기호학파의 대표적인 학자인 송시열의 지원 아래 김만균과 지역유림이 힘을 합하여 1647년 설립하였다. 그 설립 목적은 조헌에 대한 숭앙과 지역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원래 강학공간인 본체와 휴식공간인 루(현 동루)로 이루어졌던 이지당은 몇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에 이른다. 18세기 초 서루가 건립되었고, 1903년에 중수, 1982년에는 대대적인 보수와 함께 복원이 이루어졌다. 이지당의 입지는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이 경영한 구곡원림(九曲園林)과 정사건축의 입지특성이 확인된다. 이는 당시 전범으로 여겨졌던 주자의 무이정사(武夷精舍)와 무이구곡(武夷九曲)의 입지특성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이지당의 강학공간은 주자의 무이정사 인지당과 삼간지제의 형식을 변통하여 방(2칸)-대청(3칸)-방(2칸) 구성으로 한 홑집이었다. 또한 학문수양과 휴식이라는 기능을 수용하여 동루를 설치하였다. 18세기초 첨건된 서루는 서원에서 17세기부터 중요성이 인식된 유식공간으로서의 문루를 차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루의 건립시기, 진입부에 설치된 점과 진입로를 바라보는 좌향, 정면과 배면의 의장인 익공형식의 공포, 개방되어 있는 1층 등은 조선시대 서원의 문루에서 보이는 특징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이와 같이 옥천 이지당은 조헌이라는 역사적 인물이 갖는 인문적 배경 아래 정사의 입지, 강학공간의 변통, 서원 문루의 차용이라는 다양한 건축형식이 내재된 건축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서원의 누각 도입과 정침 구현

        조재모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5 No.-

        This paper is on the Korean locality of seowon architecture of Josen dynasty. Although Seowon of Joseon dynasty has its origin at Chinese shuyuan 書院 of Tang-Song 唐宋 period based on xuegung 學宮 of the conceptual model of school architecture, those of each region has its own locality influenced by architectural technology and custom. It is the common feature of almost all building types such as palace, shrine and so on. In case of Seowon, we can focus on installation of lifted pavilion 樓閣 and reinterpretation of zhengqin 正 寢 with normally using wooden floor and ondol, the Korean traditional floor heating methodology. The lifted pavilion used in seowon is outstanding feature showing the idea of Joseon seowon for harmony with surrounding nature and landscape. That is developed from the origin of lifted type myeongryundang 明倫堂, the lecture hall of Hyanggyo 鄕校 of national school of the dynasty located at local cities. Mubyeonlu 無邊樓 of Oksan seowon 玉山書院 that has each ondol room on both side of 3-bay central main hall of pavilion is similar to myeongryundang model. It is a kind of general building type used at palatial chambers and national gest house of gaeksa 客舍 sharing the origin of ancient Chinese zhengqin. But most of pavilion of seowon during Joseon dynasty didn’t use this type of pavilion of two rooms because lecture hall of seowon from same origin has rooms and floor heating on lifted level was difficult to make technically. So the open type pavilion without rooms, wall and any windows was adopted as the prototype of seowon pavilion. Also reinterpretation of zhengqin to Joseon society might be focused on. Although the seowon layout model had been settled to locality of seowon architecture, they needed the ultimate principle of xuegung for perfectly decent ritual ceremony. Don’am seowon Eungdodang 遯岩書院 凝道堂 is the outstanding example showing this concept. For installation of conceptual model of zhengqin to real architecture, they had to use the local technology and Eungdodang was built as Joseon’s local type zhengqin architecture.

      • 서원과 향교의 루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이성호,고영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6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 No.1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is regarding the change of the construction quality against the Lu which is a representative playing and educating space of Confucian Architecture. It investigated the Lu which is erected from the Seowon and the Hyangkyo of the Kyongsang-Namdo area and the Kyongsang-Bukdo area in the center. It shared the Lu which is erected from the Seowon and the Hyangkyo with time and the area and the social cognitive factor it investigates a same result it got. In the first, by a time important matter the size came to be small as time goes by with the offspring, form of the roof also from Majbae roof with Paljak roof it changed. In the second, in regional the Kyongsang-Bukdo and the Kyongsang-Namdo the Lu becomes erecting in same time and aggressive war after of Japan(in 1592) and China(in 1636) in Kyongsang-Namdo area comparison it has the type which has become the fixed the construction became accomplished in late time.

      • 서원건축의 비보풍수에 관한 연구

        박정해,한동수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11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Vol.6 No.1

        본 연구는 서원건축에서 비보가 어떤 형태로 적용되고 있고 활용 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미존치 47개 서원가운데 경기지역 5곳과 경상지역 5곳, 그리고 호남지역 1곳, 강원지역 2곳의 서원을 중심으로 비보적인 요소가 실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서원건축의 비보는 팔요황천살과 팔로사로황천살의 여러 영향들을 정확히 꿰뚫고 상황에 맞도록 적절한 수목과 연못 등을 활용하고 있다. 이것은 조경적인 요인의 충족과 함께 풍수적인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다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lighten what is the defect-complementary method of Fengshui, which is called ‘Bi-bo Fengshui(裨補風水)’, and how was it applied in Korean Academics in Korean Seowon Architecture. The application cases of defect-complementary Fengshui are investigated, with five on Kyonggi province, five on Kyongsang province, one on Honam province and two on Kangwon province of the whole 47 Korean Academics for classical learning in Korean Seowon Architecture. As a result, in Korean Academics for classical learning trees and ponds were well located with accurately analyzing and complementing defects of the ground, such as ‘Pal-yo-hwang-cheon-sal(八曜黃泉殺)’ and ‘Pal-lo-sa-ro-hwang-cheon-sal(八路四路黃泉殺)’. Therefore the landscape factor was used for not only its own landscaping purpose but a solution of Fengshui problem on the ground.

      • KCI등재

        광주 포충사의 배치 변화와 양식 특징에 관한 연구

        성대철,이상선,위소연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2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nges in arrangement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Po-chung-sa Shrine. Po-chung-sa Shrine is two of the Sa-ek(賜額) Seowons with Seowon of bestowed signboard of Jeollanam-do together with Jangseong Pil-am seowon shrine that have long history. In addition, since its establishment, Po-chung-sa Shrine had Chi-je (ceremony for governing) when the government sending its Ye-gwan (officials for protocol) a number of times. However, with new shrine established, the interests and importance of Original shrine have not been recognized. In addition, Po-chung-sa that is the religious chamber(神室) of original shrine has maintained its original shape in the original place to the present time, but the research or investigation on it has been extremely scarce. Therefo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hown as follows. First, the religious chamber (神室) of Po-chung-sa Shrine was built in 1601 and seemed to maintain its original shape in the original place. This point may be confirmed from the type and structure of Gong-po(栱包) and Dae- gong(臺工). And second, Go-jig-sa(庫直舍) and Jeon-sa-cheong(典祀廳) are the supporting space in the ㄷ-shape combined in functions to make the functional structure by orthogonal with the symbolic axis of Sa-dang. In other word, the moving line is separated by the symbolic axis and functional axis and it is intentional plan not to interfere with the symbolic ax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