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평생교육 차별화 및 재구조화 방안 연구

        전주성(Jun, JuSung),이경화(Lee, Kyung-Hwa),이가형(Lee, Gahyung),이희영(Lee, Heeyoung),양혜진(Yang, Hyejin),박송현(Park, Songhyun),박수진(Park, Soojin)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평생교육 차별화와 재구조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평생교육 현황을 고찰하였으며, 평생교육 분야 전문가 17인 대상의 심층 인터뷰와 학부모 320명 대상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요구도를 조사를 수행하였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평생교육 차별화와 재구조화를 위한 방안으로 ‘FUN 서울평생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FUN 서울평생교육’의 차별화 및 재구조화 방안의 핵심은 서울특별시교육청 내 각 부서에서 운영 중인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주제와 교육목적에 따라 재분류하여 ‘4대 특화학교(책 읽는 학교, 넘나들이 학교, 부모샘 학교, 어디서나 학교)’로 재구조화하고, 이를 통해 서울특별시교육청 평생교육을 단일화된 하나의 시스템으로 상호 지원하고 운영, 관리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FUN 서울평생교육’ 모형은 서울특별시교육청만의 평생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lan for the differentiation and restructuring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the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7 exper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nd conducted surveys on the opera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320 parents. This study presented the ‘FUN Seoul Lifelong Education model as a way to differentiate and restructure lifelong education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key to the differentiation and restructuring of ‘FUN Seoul Lifelong Education’ is to reclassify variou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perated by each department in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theme and educational purpose and restructure them into four specialized schools (school for reading books, school over the fence, parents teacher schools, schools everywhere) and link them so that they can mutually support, operate and manage lifelong educ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a single system. The ‘FUN Seoul Lifelong Educa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elp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establish its own lifelong education system.

      • KCI등재

        서울특별시 관광특구의 활성화 방안

        나재암,정윤수 한국지방재정학회 2009 한국지방재정논집 Vol.14 No.2

        Seoul has many world-class tourist attractions. But it has been evaluated tha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failed to activate Seoul Special Tourism Districts(SSTDs) due to lack of efficiency in managing and marketing its tourism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four SSTDs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of activating them. The survey has been done to civil servants and local residents. The framework of survey is composed of four respects such as support/management, development/facilities, promotion/marketing and civil involvement. The result shows that most questions were evaluated lower than normal. Especially local residents recognized the problems more seriously than civil servants. In order to activate SSTD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needs to develop differential approaches to each SSTD, to link SSTDs each other, and to make local residents get involved voluntarily. 서울특별시는 600년 고도의 역사와 전통, 그리고 현대문화 등 관광자원이 비교적 풍부한 세계 관광도시중의 하나이다. 서울특별시는 관광특구의 지정을 통해 관광 산업의 발달과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노력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광 도시로서의 서울의 위상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고 있고, 서울특별시의 관광자원이나 수용태세가 미비하다고 평가되고 있다. 특히 서울특별시가 보유한 관광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거나 관리하지 못하고 있고, 효과적으로 홍보나 마케팅하지도 못하고 있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울특별시에서 이미 선정한 4개 관광특구를 중심으로 관광 자원을 적극 활용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 및 관광 도시로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관광특구로 지정된 4개 관광특구에 대해 지원/관리, 개발/시설, 홍보/마케팅, 주민참여 차원으로 나누어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특히 지역주민과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간에 서울특별시 관광특구 운영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서울특별시 관광특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관광특구별 발전방안이 차별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이들 4개의 관광특구가 서로 자연스럽게 연계되어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제도 정비에 서울특별시가 우선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 KCI등재

        서울특별시 브랜드 상징물에 대한 부정적 미디어평가가 수용자 인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하영 ( Ha-young Kim ),현은령 ( Eun-ryung Hy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2

        연구배경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브랜드상징물에 대한 부정적 미디어평가가 수용자의 도시브랜드에 대한 인식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의‘심벌마크(휘장), 브랜드, 상징, 캐릭터, 슬로건’과 그에 대한 부정적 미디어 기사와 댓글을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용자인식태도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남녀 총 200명으로서 연령대는 10대부터 50대까지이다. 2017년 11월 3일부터 14일까지‘서울특별시 브랜드상징물에 대한 인식 조사’분석도구에 의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전 설문지는 도시브랜드 이미지만 노출 한 후 문항에 답변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고, 사후 설문지는 도시브랜드 이미지와 그에 관련된 부정적 미디어평가를 함께 노출한 후 문항에 답변하도록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선행연구의 캐릭터 인식태도 영역을 기반으로 구성된 서울특별시 브랜드 상징물의‘가치, 인식, 평가’ 영역(총 18개 문항, 5점 리커드 척도)과 오픈 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서울특별시 브랜드상징물은 가치측면에서 부정적 미디어평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10대의 수용자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대의 수용자가 대중들의 부정적 미디어평가의 영향으로 인해 기존의 도시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 가치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시브랜드 상징물에 대한 상품구매경험은 도시브랜드에 대한 개인적인 의미와 가치를 부여해주는 역할을 하여 도시브랜드에 대한 ‘가치, 인식, 평가’등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 인식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는 도시 브랜드디자인에서 형태, 색상 등의 시각적 요소보다는 대중성, 의미성, 내면성과 같은 감성적 측면의 요소가 더 중요하게 작용된다는 선행이론들과 그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도시브랜드디자인 수행 시, 산출된 결과에 대한 시각적 측면과 함께 도시브랜드 상품 홍보전략 및 미디어평가 모니터링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influence the negative media evaluation such as internet media reports on the Seoul Metropolis brand symbol and as internet users' comments on this has upon consumers' perception. Methods For this, the analytical materials in this study were utilized Seoul Metropolis symbolic mark, brand, symbol, character, slogan, brand and negative media Evaluation of Seoul Metropolis Brand Symbol. As for a survey on consumers' perception, there are totally 200 men and women who dwell in Seoul and capital area. The age group ranges from their 10s to their 50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y an analytical tool for‘a perceptional survey on the Seoul Metropolis brand symbol' from the 3rd to the 14th of November in 2017. The pre-questionnaire was designed with a method of answering an item after only the city brand image is exposed. The post questionnaire was formed in order to answer an item after being disclosed the city brand image and the negative media evaluation relevant to it together.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 open items along with the spheres of 'value, awareness and evaluation(totally 18 questions, Likert 5-point scale) for the Seoul Metropolis brand symbols, which we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 recognition attitude realm in a previous research. Result The Seoul Metropolis brand symbol was most greatly influenced by the negative media evaluation in the aspect of value. Especially, this tendency was indicated that teenage consumers respond sensitively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is implies that the teenage users have big possibility in which the positive value attitude toward the existing city brand image will be changed negatively due to the impact of people's negative media evaluation. Also,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a product on the city brand symbol played a role of giving a personal meaning and value to city brand, thereby having influenced the formation of positive recognition attitude in all the spheres such as 'value, awareness and evaluation' on city brand. Conclusion This outcome is in line with previous theories as saying that the elements in emotional aspects like popularity, meaningfulness and internality are functioned more importantly than the visual factors such as form and color in the city brand design. Accordingly, the performance of city brand design will need to be significantly addressed the publicity strategy and the mediation evaluation monitoring concerning city brand products along with the visual aspects on the calculated results.

      • KCI등재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미곡 유통정책 변화와 서울특별시 양곡시장조합의 성격

        김민석 서울역사편찬원 2019 서울과 역사 Vol.- No.101

        In the 1960s, rice merchants often made unfair profits by utilizing the rice distribution process and the seasonal changes in the grain price, causing damage to both farmers and consumers. To cope with this, the Park Chung-Hee regime established ‘Seoul Metropolitan City Grain Market Union’ in 1968 as a measure to unify rice distribution in Seoul. Established as a consortium of grain dealers and wholesalers in Seoul, ‘Seoul Metropolitan City Grain Market Union’ monopolized the distribution of government-controlled rice as well as general rice. ‘Seoul Metropolitan City Grain Market Union’ caused many problems right after its establishment. It often sold falsely government-controlled rice as general rice, and even deliberately avoided the release of general rice. Therefore, the prices of rice in Seoul went up and the grain market collapsed. Although the rice market in Seoul collapsed and both farmers and consumers were damaged, dealers and wholesalers who were members of ‘Seoul Metropolitan City Grain Market Union’ benefited from monopolization of the government rice and the distribution of government rice to the outskirts of Seoul. Eventually, ‘Seoul Metropolitan City Grain Market Union’ was disbanded in 1969, the following year after it was founded. As ‘Seoul Metropolitan City Grain Market Union’ disbanded, the price increase of agricultural products in Seoul calmed down. After the dismantlement of ‘Seoul Metropolitan City Grain Market Union’,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is in charge of the government-controlled rice distribution in Seoul. The dual policy of releasing rice directly to the market or selling it to retailers was intended to prevent the unfair practices of rice merchants. The Park Chung-hee regime expanded the government's sales of rice and changed the grain sales business to a licensing system. As amount of government-controlled rice and the introduction of foreign rice increased, policy measures also strengthened. However, the grain market was still unstable due to the split rice distribution system between the government and grain merchants, and the problem that the decline of distribution in general rice when government-controlled rice were distributed was not resolved until the early 1970s. 1960년대 미곡상인들은 미곡 유통 단계와 곡가의 계절변동을 이용하여 부당이득을 취하는 경우가 많아 농가와 소비자 모두가 피해를 보았다.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박정희 정권은 1968년 서울지역 미곡 유통을 일원화하는 조치로 서울특별시 양곡시장조합을 설립하였다. 서울지역 양곡 위탁상과 도매상의 연합체로 창립된 양곡시장조합은 일반미뿐만 아니라 정부 조절미 방출까지 독점하였다. 양곡시장조합은 설립 직후부터 많은 문제를 일으켰다. 정부 조절미를 일반미로 속여서 판매하는 경우도 많았고 의도적으로 일반미 방출을 회피하기도 하였다. 서울지역 미가는 상승하였고 양곡시장은 붕괴하였다. 서울의 미곡시장이 붕괴하며 농가와 소비자 모두 피해를 입는 상황이 되었지만 양곡시장조합 구성원인 위탁상과 도매상은 정부미 독점, 서울 외곽 지역으로의 정부미 반출 등으로 이익을 취하였다. 결국 양곡시장조합은 설립된 이듬해인 1969년에 해체되었다. 양곡시장조합이 해체되자 서울지역 농산물 가격 상승폭은 진정되었다. 양곡시장조합 해체 이후, 서울지역 정부 조절미 방출은 농협에서 담당하였다. 미곡을 농협이 직접 방출하거나 소매상에게 판매하는 이원화된 정책으로 미곡상인의 부당행위를 막으려 한 것이다. 박정희 정권은 미곡에 대한 정부 매상을 확대하였고 양곡판매업을 허가제로 변경하였다. 정부 조절미와 외곡 도입량도 증가하여 정책 수단도 강력해졌다. 그러나 정부와 미곡상인들로 이원화된 미곡 유통체계로 인하여 미곡시장은 여전히 불안하여 1970년대 초반까지도 정부 조절미가 방출되면 일반미 반입이 감소하는 현상은 해결되지 않았다.

      • KCI등재

        비오톱 1등급 토지 절대적 보전을 규정한서울특별시 도시계획조례의 위헌성 검토

        장혜진 ( Hyejin Jang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5 法과 政策 Vol.21 No.2

        서울특별시에서는 2009. 11. 11.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조례’ 제24조 [별표 1] 제1호 가목(4)으로 “비오톱(특정한 식물과 동물이 하나의 생활 공동체를 이루어 지표상에서 다른 곳과 명확히 구별되는 생물서식지)”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개발행위허가 기준을 마련하면서, 비오톱 유형평가 1등급이고, 개별 비오톱 평가 1등급인 토지는 “대상지 전체”에 대하여 “절대적으로 보전하여야 한다”는 강력한 개발제한 규정을 신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절대적 보전 대상이 되는 토지에 대하여 세금 감면 등의 세제 혜택은 물론 일체의 보상에 관한 규정은 마련하지 않았다. “절대적으로 보전한다”는 의미는 문언 그대로 기존의 일체의 개발허가를 허용하지 않고 지금 현재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것으로, 적어도 비오톱 유형평가 1등급이고, 개별 비오톱 평가 1등급인 토지에 대해서는“개발 제한”이 아니라, “개발의 절대적 금지 내지는 개발의 절대적 불허”조례에 해당하게 된다. 위와 같은 비오톱 평가를 이유로 개발을 제한하는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조례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58조 제1항, 제3항, 동법 시행령 제56조, 국토교통부 훈령 제524호 개발행위허가운영지침 1-2-2 등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등에서 개발행위 자체를 절대적으로 금지하는 구체적인 별도의 규정이 없는 상태에서 유형평가 및 개별 비오톱 평가 모두 1등급인 해당 토지 전체에 대하여“절대적 보전”, “절대적 금지”를 하겠다는 것은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 개발을 허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한 위임규정의 목적을 초과한 것으로 볼 여지가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이미 개발제한구역에 관한 구 도시계획법 제21조나, 도시계획 구역 지정에 따라 행위 제한을 받은 토지소유자들에게 아무런 보상에 관한 규정을 두지 아니한 구 도시계획법 제4조에 대한 위헌소원에서 헌법재판소는 “재산권의 제한은 해당 토지를 원칙적으로 지정 당시의 지목과 토지현황에 의한 이용방법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한, 재산권에 내재하는 사회적 제약을 비례의 원칙에 합치하게 합헌적으로 구체화한 것이라고 할 것이나, 종래의 지목과 토지현황에 의한 이용방법에 따른 토지의 사용도 할 수 없거나 실질적으로 사용·수익을 전혀 할 수 없는 예외적인 경우에도 아무런 보상 없이 이를 감수하도록 하고 있는 한, 비례의 원칙에 위반되어 당해 토지소유자의 재산권을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으로서 헌법에 위반된다”고 판단하였다. 그런데 비오톱 유형평가 및 개별 비오톱 평가 1등급을 받았다는 이유로 개인 소유의 사유지에 대한 절대적인 보전을 강제하는 것은 해당 토지에 대하여 실질적인 사용·수익을 전혀 할 수 없도록 조례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인데,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조례에서는 이러한 재산권의 침해와 공익간의 비례성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전혀 규정하고 있지 않다. 결국 개인의 재산권에 대한 강력한 제한(절대적 보전을 통한 개발의 일체 불허)을 통해 자연풍광 등의 환경보전이라는 그 이익이 반사적으로 사회 구성원 전체에게 돌아가는 것 임에도 불구하고 금전보상, 지정해제, 매수청구권, 재산세 감면 등과 같은 보완조치 없이 절대적 보전을 감수하도록 하는 것은 결국 해당 토지소유자의 재산권을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으로서 헌법에 위반된다 할 것이다. 따라서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조례는 이러한 보완책을 마련하는 방법으로 시급히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On November 11, 200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added Paragraph 1 Ga (4) of Exhibit 1 to Clause 24 of Urban Planning Ordinance of SMG to set up new type of criteria for development permit by introducing “Biotope (i.e., an area of uniform environmental conditions providing a living place for a specific assemblage of plants and animals)” wherein a land falling into a category of both Grade 1 in Classification of Biotope and Grade 1 in Evaluation of Respective Biotope is strictly restricted in development by addressing “the entire place” under such category shall be “preserved absolutely”. However, any and all compensation including tax relief, such as tax abatement or exemption is silent in the Urban Planning Ordinance of SMG (the “Ordinance”). The term “preserved absolutely” in the Ordinance means remain an area as it is not allowing any development at all, and therefore the Ordinance results in “utter prohibition of development or no permit in development whatsoever” on at least an area of both Grade 1 in Classification of Biotope and Grade 1 in Evaluation of Respective Biotope. The Ordinance restricting development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Biotope is likely to be based on Clause 58 (1) and (3)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the “NLPUA”), Clause 56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NLPUA, and the Permit and Operational Guideline on Development 1-2-2 of Order no.524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herein have no Clause to prohibit any development at all. Therefore, The Ordinance regulating “utter preservation” and “absolute prohibition” is beyond the power delegated by the NLPUA, the Enforcement Decree and the Order. Meanwhile, the Constitutional Appeals were made on Clause 21 regarding development restricted district of formerly known as the Act on Urban Planning and Clause 4 of the Act on Urban Planning due to absence of clause on compensation to those who own land restricted any development caused by establishment of urban planning district.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decided that restriction on a property right is allowed on the ground that social restriction embodied in property right i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s long as such property can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zoning then determined and actual status of property, and therefore a restriction, with no compensation, not allow to use or develop property by zoning determined and actual status of property, or use or take benefit from property, is unconstitutional in that such restriction is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which excessively infringes a property right of its owner. Enforcing utter preservation on a private land on the ground that such land falls into the category of both Grade 1 in Classification of Biotope and Grade 1 in Evaluation of Respective Biotope is what the Ordinance is regulating and at the same time the Ordinance regulates prohibition of actual use and benefit from such land. However, the Ordinance provides no way to achieve proportionality between public interest and an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 Although a strong restriction on a property right (i.e., absolute prohibition of development by utter preservation) ultimately gives benefits to the entire member of society in the name of public interest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such as preserving nature landscape, enforcing utter preservation with no measure of compensation, such as tax benefit in the name of tax abatement or exemption, monetary compensation, cancellation of restriction, or right of property owner to demand purchase, excessively infringes a property right of its owner, which is unconstitutional. Therefore, the Ordinance shall immediately be amended to provide a measure of compensation.

      • KCI등재

        미군정기 ‘서울시헌장’의 재발견 - ‘지방-국민국가-동아시아’의 구조와 긴장 -

        강석정 한국법사학회 2018 法史學硏究 Vol.58 No.-

        이 글은 미군정기 ‘서울시헌장’을 주로 다룬다. 서울시헌장을 기초로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특별시가 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까지 서울시헌장의 영문본만발견되었을 뿐, 국문본은 발견되지 않았다. 종전에는 서울시헌장을 실패한 지방자치규범으로평가하고, 그 실패 원인을 좌우의 대립이라는 이데올로기적 요인으로 귀속시켜 왔다. 이 글은 서울시헌장 국문본의 존재를 확인하고, 이를 법적 관점에서 면밀히 분석하였다. 그리고서울시헌장이 이를 둘러싸고 있는 제반 국내․국제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했는지, 그런 상호작용 속에서 서울시헌장이 어떻게 작동, 변질되었는지 등을 구조적․동태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서울시헌장의 역사적 맥락이나 위상을 ‘지방-국민국가-동아시아’ 질서의 연계구조에서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한편 서울시헌장을 매개로 한 서울특별시 정책의 실패 원인을 국내 정치 투쟁이나 이데올로기적 요인이라는 단일하거나 결정적 인자로 귀속시키는 것이타당한지 여부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였다. This paper reviews mainly ‘Charter of the City of Seoul’(hereafter Charter)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Occupation in Korea. With the Charter, Seoul became the only special and independent city in Korea and has came to this day. But until recently, only the english version of Charter was found and no korean version has been found. In the past, the Charter was regarded as a failure and the cause of failure was attributed to ideological factors such as strong conflict between the leftist and the rightist. This paper first identifies the existence of korean version of the Charter and analyzes it closely from legal point of view. And analyzes in a structural and dynamic perspective how the Charter interacts with the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s around it. Furthermore, aims to reestablish historical context and status of the Charter under the structure of ‘Local/Nation-State/East Asia’.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reviews critically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attribute the failure of special and independent Seoul plan through the Charter to a single factor, for example, political power struggle or ideology.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대한 적법성 평가

        김용섭(Kim Yong Sup)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6 행정법연구 Vol.- No.44

        우리사회에 본격적인 지방자치가 실시된 지 20여년이 경과하였다. 지난 20여년간 괄목할 만한 지방자치제도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방만한 지방자치 운영의 폐해를 도처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 단계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주민 밀착의 근거리 행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최근에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둘러싼 논의가 활발해 지고 있으며, 조례제정과 관련하여 사법적 분쟁의 사례가 늘어나고 있음은 주목할 만하다. 조례가 주민의 일상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조례 제정 후 법원의 재판을 통하여 적법성 여부를 논의하기보다는 조례제정의 전단계나 시행단계에서 그 적법성을 검토하여 조례의 법적인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되면 지방자치단체가 사전에 조례의 합리적인 개정을 유도할 수 있어 사전에 분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방자치단체 조례의 적법성 평가를 조례와 헌법적 논의, 조례와 법률유보, 조례와 법률우위, 조례의 사항적 한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조례평가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광역자치단체는 물론 기초자치단체에서 광범위한 조례가 제정되고 있는 바, 여기서는 특히 「서울특별시 문화재보호조례」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2015년에 「무형문화재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문화재보호법」에서 독립하여 법률로 새로이 제정된 점이 「서울특별시 문화재 보호조례」에 반영되지 않았고, 아울러 「서울특별시 문화재 보호조례」의 규정 내용 중 상위 법률인 「문화재보호법」,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문화재 수리 등에 관한 법률」의 수권근거가 없거나 상위법령에 위반되어 문제점이 있으므로 조속히 「서울특별시 문화재 보호조례」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About 20 years have passed since local autonomy was full-fledgedly launched in Korea. This system has remarkably advanced for this period, but harmful effects caused by reckless operation are also found here and there. At this moment, to realize resident near-contact local administration, the responsibility of municipalities is most urgently required above all. It is noticeable that, recently,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are actively discussed and judicial dispute cases are increasing surrounding legislation of regulations. As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are increasingly influencing the daily lives of residents, it is more desirable to review legality of regulation before legislation or during enforcement than studying legality only after decision of court. Such legality review system for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is advantageous as any one whose legality is judged problematic may be induced to be reasonably amended by the concerned local government for preventing disputes in advance. This paper analyzed assessment of legality of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in separate fields of discussion of regulation in relation to the constitution, reservation of regulation and law, superiority of regulation and law and limitations of regulation and law for seeking the directional nature of regulation assessment by local governments. Not only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including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 but also primary local governments legislate a wide range of regulations, but this paper reviews problems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Regulations of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 Even though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Promotion Act“ was newly legislated in separation from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2015, it was not reflected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Regulations of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 In addition, a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Regulations of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 does not prescribe authorization from the higher laws such a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Promotion Act,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Inspection Act, the Act on Cultural Heritage Repair, Etc. or is in violation of the higher laws, it is urgently required to be properly amended.

      • KCI등재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에 대한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신혜진(Shin, Hye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1

        이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청의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에 초점을 두어 서울특 별시교육청에서 추진하는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 분석은 세 가지의 분석과정으로 설계되었는데, 먼저 서울특별시교육청에 서 추진하는 지원정책사업이 타 기관에서 실시하는 사업과 어느 정도 중복되는 지를 분석한 부처 간 중복정도로 문건기반 목적분석이라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추진 하는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이 단위학교 수준에서 실재 얼마나 중복되어 교부받고 있는지를 분석한 서울특별시교육청 내 중복정도 분석으로 실재기반 예산분석이라 정의하였다. 마지막 으로 다문화교육에 다년간 경험이 있는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을 둘러싼 현안에 대한 분석으로 면담기반 현안분석이라 정의하였다. 분석결과, 서울특별시교육청의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은 타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지원 정책사업의 유형 및 목적에 있어 상당수 중복되고 있었으며, 서울특별시교육청 내 단위학교 에서도 특정학교에 유사사업이 큰 예산규모로 중복적으로 지원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에 대하여 현장전문가들은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이 상당수 중복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며, 업무의 비효율성과 한계점을 토로하였다. 이에 유관 기관과 연계된 효율적 사업운영과 일원화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에 대한 편중현상과 지원정책의 사각지 대 개선을 위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uplication of the policy projects supporting multicultural students, which are implemen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MOE). Analysis on the duplication support was conducted using three conceptualized research frameworks. First, document–based purpose analysis as a framework was applied for analyzing duplication between major administrative agencies and SMOE. Second, reality-based budget analysis as a framework for analyzing duplication within SOME, focusing on how many policy projects for multicultural students could be actually duplicated at the school unit. Finally, interview–based pragmatic analysis as a framework to analyze interview documents conducted with experts who had multi-year experienc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o address issues in the duplication support. This study found that the SMOE's support policy for multicultural students has been largely duplicated by the support type and purpose of the policy projects carried out by various administrative agencies. Similar projects funded by SMOE also support to a specific school in the duplicated way, taking a large portion of the SMOE budget. The multicultural experts pointed out that most policy projects supporting the multicultural students are duplicated in educational practice, suggesting that the process to operate the policy projects seems seriously ineffective. A discussion existing in the biased and blind spot on the duplication of the support policy programs for multicultural students was made, wher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improve the process of the support were suggested.

      • KCI등재

        과학적 지식의 정치적 오용: 서울특별시의 민생관련 취약분야 반부패지수조사의 타당성에 관한 비판이론적 검토

        황성돈 한국행정연구원 2004 韓國行政硏究 Vol.13 No.2

        이 논문은 1999년부터 지금까지 매년 서울시가 실시해 오고 있는 “민생관련 취약분야 반부패지수조사(청렴성평가)”가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음을 고발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논문이다. 어떤 주장이 과연 타당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하버마스(J. Habermas)가 제시한 비판이론적 기준들 중 이 사례와 직접적인 세 가지의 기준들 - ①사실성(주장되는 바가 사실에 기초한 것이어야 한다), ②정당성(주장하는 측이 그런 주장을 펼 수 있다고 상대가 인정할 수 있는 합당한 자격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③신실성(주장하는 측이 상대를 속이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고 하는 점을 상대가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 - 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서울특별시 반부패지수조사에는 이 세 가지 기준들이 모두 위배되어 타당성이 심각하게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세 가지의 주장이 피력되었다. 첫째, 상당한 수준의 설문조사기법, 측정이론, 통계분석 같은 과학적 지식들이 타당하지 않은 주장을 펴는데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서울특별시 반부패지수조사는 과학적 지식의 한 오용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그런 세 가지의 타당성 판단 기준이 위배된 경우에 대한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적 해석 논지를 적용해 볼 때, 서울특별시의 반부패지수조사에서 발견되는 과학적 지식의 오용은 왜곡된 의사소통행위를 통해 서울시내 구청들에 대해 서울특별시가 부당하게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한 다분히 정치적인 성격의 오용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현재 상태라면 서울특별시의 반부패지수조사는 당장 중지되어야 한다. 끝으로, 이런 비판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서울특별시측이 취해야 할 대안적 조치들과 이런 불미스러운 일들의 재발을 막기 위해 필요한 학회 및 정부 차원의 정책적 조치들을 제안하였다.

      • 수질에 따라 서식하는 거미류의 분포 경향성에 관한 연구: 각 하천별 거미상을 중심으로

        김주필(Joo Pil Kim),홍승희(Seung Hee Hong),김대희(Dae Hee Kim),서동범(Dong Beom Seo),장태원(Tae Won Jang) 한국거미연구소 2017 한국거미 Vol.33 No.1

        2016년 5월 28일부터 2016년 8월 8일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6개의 하천의 거미상을 조사한 결과, 총 19과 40속 54종이 채집되었다. 수질의 등급에 따라 1a등급 청계천2(서울특별시 성동구 하왕십리동 무학교), 1b등급 양재천(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대치교), 2등급 도림천(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 신대방역), 3등급 탄천5(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도보교), 4등급 안양천4(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오금교), 6등급 중랑천4(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1동 성동교)에 위치한 각 하천에서 각 9과 11속 13종, 13과 22속 23종, 9과 16속 17종, 9과 13속 16종, 11과 15속 17종, 10과 15속 17종이 채집되었고 수질에 따른 거미의 개체수 경향을 분석해 봤을 때 1, 6등급에서는 가장 적은 개체수가 채집된 반면, 3등급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으며 6개의 하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과로는 꼬마거미과(Theridiidae), 왕거미과(Araneidae), 게거미과(Thomisidae)였다. 수질에 따른 거미의 생활양식 사이의 관계를 분석해 봤을 때, 대부분의 수질에서 정주성 거미가 배회성 거미 개체수보다 많았다. 이는 하천의 교량이나 식생 등 정주성 거미가 거미줄을 치고 생활하기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이에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From May 28th to August 8th in 2016, after investing the spider fauna in six streams located in Seoul. authors collected a total of 19 families 40 genera 54 species. Those streams were divided into the six-level based on water quality as follows: Choeng-gyecheon lever 1a (Hawangsim-ri, Seongdong-gu, Seoul), Yangjaecheon level 1b (Daechi-dong, Gangnam-gu, Seou), Dorimcheon level 2 (Sindaebang-dong, Dongjak-gu, Seoul), Tancheon level 3 (Samsung-dong, Gangnam-gu, Seoul), An-yangcheon level 4 (Ogeum Bridge, Guro-dong, Guro-gu, Seoul), Jungnangcheon level 6 (Seongsu-ldong, Seongdong-gu, Seoul). 9 families 11 genera 13 species. 13 families 22 genera 23 species, 9 families 16 genera 17 species, 9 families 13 genera 16 species, 11 families 15 genera 17 species, 10 families 15 genera 17 species were collected in the above streams. Authors’ analysis have found that stream at level 3 has the largest number of spiders, while level 1 and 6 have the fewest numbers. Spiders the six streams have in common are Theridiidae, Araneidae and Thomisidae. When analyzing spiders’ life styles on varying water quality, settling spiders have much more populations than wandering spiders at all levels of water. It is assumed that living conditions, including making webs under the bridges are more advantageous to settling spi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