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암 후기소설의 구조와 그 서사적 효과

        이원수(Lee, Won-Soo)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2 No.-

        이 글은 연암 후기소설 〈허생전〉과 〈호질〉을 대상으로,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구조적 특징과 그러한 구조가 창출해내는 서사적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두 작품은 외형상 전혀 다른 서사적 짜임을 보이지만, 심층적으로는 매우 흡사한 구조적 동질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ㅏ. 연암 후기소설은 두 삽화(episode)의 연쇄, 전반부와 후반부의 대칭구조, 서사적 간접화와 직접 진술의 결합이라는 구조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두 삽화는 상당한 정도의 서사적 완결성과 독립성을 지니고 있으며, 전반부와 후반부는 대조적 성격을 지닌 대칭구조를 이루면서 정교한 서사적 연결고리에 의해 하나로 통합되어 있다. 두 작품은 사건을 통한 서사적 간접화와 언술을 통한 직접 진술이라는 이중의 전달 방식을 쓰고 있으며, 직접 진술을 통한 마무리라는 동일한 결말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인물 설정과 어조, 골계 등 다른 서사 요소들에 의해 유기적으로 뒷받침되고 있다. 두 작품의 인물 형상과 역할, 상호관계는 매우 흡사하며, 이는 구조의 유사성과 정확히 대응되고 있다. 또한 두 작품은 패러디나 어조의 부조화에서 창출되는 골계를 폭넓게 활용하고 있으며, 이들은 작품 구조 및 인물 설정 구도 등과 긴밀히 조응하고 있다. 연암 후기소설에서 삽화의 연쇄에 의한 대칭구조는 전반부의 문제 제기와 후반부의 사실 확인이라는 구도를 통해 현상과 본질을 입체적으로 드러내 주고 있으며, 전반부와 후반부의 조응을 통해 작자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서사적 간접화와 직접 진술의 결합은 사건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내었던 생각을 명시적 언술로 재정리해 줌으로써, 서사의 극적 효과는 그것대로 살리면서 작자의 생각이 굴절되지 않고 독자들에게 정확히 전달되게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Yeonam’s later novels, ‘Huhsaengjeon’ and ‘Hojil’, explaining structural basis they have in common, and what kind of narrative effects it yields. The reason is, although these novels apparently present totally different styles, the in-depth study shows that they are written in a very similar structure. The structure of Yeonams’s later novels is characterized by the connection of two episodes,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work, and the combination of the indirect expressions through events and the direct statements by words. The episodes have a considerable completeness and independence as a story. The two halves of works have contrasting features and form a symmetrical structure. The two works deliver messages through the two track approach, the indirect expressions and the direct statements. The styles of character developments, the tones and humors used in Yeonam’s later novel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features of structure. The figures and relations of characters, their narrative roles are set in a similar aspect. In two works, this similarity of characters, the humors generated by the parody and the disharmony of tones closely correspond with the structural features. The contrast of the two halves of the works reveals the phenomena and quiddity by posing the issues in the first half and confirming the facts in the second half.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indirect expressions and direct statements yields the effects that the author’s ideas can be precisely delivered to readers in a dramatic way by redefining the ideas that are indirectly expressed through events.

      • KCI등재

        영화 서사구조의 재매개적 배치에 관한 연구 영화 - <블랙스완>과 <버드맨> 비교를 중심으로 -

        안근영,윤준성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This paper's Aim is to be examine about reproduction process of film's narrative structure. It is to has gotten output through which is examined to re-mediated assemblage which is combined Jay David Bolter & Richard Grusin‘s Re-mediation notion and Gilles Deleuze & Felix Guattaril‘s Assemblage notion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film <Black Swan> and <Birdman>. The two film is very similar to material and narrative structure and form of expression for film. It is wherefore, the two film is shared with tragedy of narrative structure. That is, the two film is composed to similar to narrative structure which to be made character's personality and role, thematic consciousness, ending etc. Nevertheless, Becoming independent each of the two film is caused by breaking the rule of narrative structure of tragedy. It is occurred by re-mediated standard of narrative structure. That is, new film's narrative structure is made by combining new genre and splitting chapter structure and differencing effect of character's role and personality. This is what it is reproduction process of film's narrative structure, it called re-mediated assemblage of film's narrative structure. Therefore the film <Birdman> is created by re-mediated assemblage of the film <Black Swan>'s narrative structure. 본 논문은 두 편의 영화 <블랙스완>과 <버드맨>의 서사구조의 측면을 유비적으로 고찰하여, 새로운 서사구조가 생성되는과정을 재매개적 배치의 개념으로 논고하려 한다. 재매개적 배치의 개념은 본 저자가 제안한 개념으로 볼터와 그루신의재매개 개념과 들뢰즈와 가타리의 배치의 개념을 혼용한 것이다. 이 개념을 토대로 두 영화가 서사구조의 유사함을 보임에도 전혀 다른 영화로 인식되는 원인을 탐구한다. 그리하여 영화 <버드맨>의 서사구조는 <블랙스완>의 서사구조에서 재매개적 배치에 의해 창작된 서사라는 것을 밝힘과 동시에, 영화 서사구조의 재생산 과정에 대한 다른 시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두 영화는 비극의 서사구조 형태를 공유하고 있어, 이 구조를 이루는 등장인물의 성격과 역할, 주제의식, 결말 등이 유사하게 재매개 되어있다. 그럼에도 두 영화가 각각의 독립적인 작품으로 인정받는 원인은 비극이라는 서사를규정하던 조직화/유기화(구조)의 틀을 부수고, 강도-연속체(새로운 장르의 방향 그리고 혼효된 성향의 새로운 배합)흐름으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것은 영화 서사구조가 기준이 되는 영화 구조들을 토대로 기존 구조를 재매개 하면서 새로운장르와 접속하고 장 구조를 분열하며, 등장인물의 역할과 성격에 차이를 통하여 새로운 이야기로 탄생하는 것이다. 이것이 영화 서사구조가 재생산되는 과정이며, 이를 영화 서사구조의 재매개적 배치라 한다.

      • KCI등재

        ‘보상’과 ‘처벌’의 서사구조와 그 구술문화적 의미

        金賢柱 한국구비문학회 2002 口碑文學硏究 Vol.14 No.-

        이 글은 신화와 전설, 민담, 그리고 고소설에서 보상과 처벌의 서사구조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는 이야기들이 구술사회에서 어떤 사회문화적 의미를 가졌을까를 추론해보았다. 보상과 처벌의 서사구조는 보상하고 처벌하는 행위를 애당초 가능하게 한 원초상황에서부터 우여곡절을 거쳐 결국 보상하고 처벌하는 행위에 이르기까지의 전과정을 총칭하는 상위의 거대 화소를 의미한다. 신화에서는 보상과 처벌의 서사구조가 비교적 잘 갖춰져 있다. 특히 무속신화가 그러하다. 그러나 문헌에 정착된 건국신화는 처벌의 서사가 위축되고 보상의 서사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것은 기록되는 과정에서 신화의 서사 관습상 처벌의 서사 부분은 중요하지 않다고 보아 제거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전설은 처벌의 서사가 상대적으로 강화되어 있고, 민담은 보상의 서사가 상대적으로 강화되어 있다. 그러나 고소설에서는 보상과 처벌의 서사가 신화에서처럼 잘 갖춰져 있다. 다만 신화와 달리 보상과 처벌의 서사적 짜임이 중층화를 지향하면서 그것이 정치사회적이고 가정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조직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신화에서부터 전설과 민담을 거쳐 고소설에 이르기까지 보상과 처벌의 서사구조는 하나의 구술전통으로서 우리의 서사체들에 줄기차게 이어져왔다. 상벌의 서사구조를 지닌 이야기들은 글이 없고 체계적인 법적 제도가 없었던 구술사회에서 윤리교육의 기능을 담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상과 처벌의 서사 구조를 가진 이야기들은 정형화된 형식으로 널리 인구에 회자되면서 사람들의 행동을 경계하고 사회를 통제하는 기제로 작용했을 것이다. 우리 고소설의 대다수가 보상과 처벌의 서사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볼 때, 그 심층적인 원류는 구술전통에 있음이 확인된다. 고소설의 어법이나 통사구조뿐만이 아니라 서사구조의 측면에서도 구술성이 발견된다는 사실은 고소설이 비록 그 외양은 기술물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그 내적 자질은 구두 전승의 이야기 전통에 의존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 ‘덕수궁 돌담길’의 공간 서사구조 및 디자인 평가

        조시경(Cho, Si-Kyoung)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1 공공디자인연구 Vol.3 No.-

        한국의 대표적 ‘기억공간(memory space)’인 덕수궁 돌담길에 대한 역사적, 정서적 의미의 서사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누구나 접근 할 수 있는 개방된 여러 공공 공간의 물리적 구조 및 공간구성에서 서사구조가 잘 나타나고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로 덕수궁 돌담길의 서사구조 평가점수는 56.7/100점을 얻었다. 또한 단일 구조가 아닌 복수의 상위 서사구조와 하위 서사구조가 유기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공간 서사구조 평가분석의 계속 연구의 일환으로. ‘잘 생겼다! 서울20’의 문화비축기지, 서울로7017, 기억공간으로써의 대전국립현충원의 서사구조를 연구하였다. 향후 지속적인 공간 서사구조에 대한 평가 연구의 진행을 통해 서사구조 연구의 연속적 틀을 마련할 예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historical and emotional meaning of Deoksugung Doldam-gil(Stonewall Walkway), a representative ‘memory space’ in Korea. It was evaluated whether the narrative structure was well represented in the physical structure and spatial composition of several open public spaces that anyone could ac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valuation score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Deoksugung Doldam-gil(Stonewall Walkway) was 56.7/100 point.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a plurality of upper-level and lower-level narrative structures, rather than a single structure, exist organically. This study is part of a continuing study of spatial narrative structure evaluation and analysis. The narrative structure of Daejeon National Cemetery as a memory space, Seoullo 7017, the cultural reserve base of ‘Good looks! Seoul 20’ was studied. We will continue to conduct evaluation research on spatial narrative structure in the future.

      • KCI등재

        김원일 『늘푸른 소나무』의 서사구조와 그 의미망

        문흥술 구보학회 2016 구보학보 Vol.0 No.15

        This study has considered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network of meaning in The evergreen pine of Kim, Won-il. This work has consisted of three narrative structure. The first narrative structure deals with the journey of characters who resis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for the Korean independence. Therefore, The historic events are the central fact of this narrative structure. Through this, this narrative structure emphasizes the noble meanings of anti-Japanese struggles. The second narrative structure deals with the journey of characters who compromise with Japanese imperialism and look to one’s own safety. Through this, this narrative structure emphasizes economic, educational, mental exploitation by Japanese imperialism. Therefore, The daily events are the central fact of this narrative structure. The third narrative structure deals with the journey of characters who fight against era of injustice and go forward in the complete perfection of self as man. therefore, The events of inner struggles are the central fact of this narrative structure. Through this, this narrative structure emphasizes what the ultimate perfection of self as man and the ideal community of humanity is. 이 글은 김원일의 대하장편소설 『늘푸른 소나무』의 서사구조의 특질과 각 서사구조에 내포된 의미망에 주목하였다. 이 작품은 크게 세가지 서사 구조로이루어져 있다. 이 작품의 첫 번째 서사구조는 조선 독립을 위해 일제와 맞서 싸우는 인물들의 여로를 다루고 있다. 이 서사구조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에 맞서1910년대에서 1920년대에 걸쳐 울산 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펼쳐지는 역사적인 항일운동사건을 객관적 사료(史料)에 기초해 다루고 있다. 따라서 이 서사구조는 역사적 사건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면서 이러한 역사적 사건 중심의 서사에 인물들의 투쟁적 삶을 다룸으로써 애국지사들의 불퇴전의 항일투쟁 의지와 그 숭고한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두 번째 서사구조는 불의의 시대와 타협하면서 자신의 안위만을 도모하는 인물들의 여로를 다루고 있다. 이 두 번째 서사구조는 항일투쟁을 다루는 첫 번째 서사구조가 담아내지 못하는 영역, 곧 일제에 의한 경제적 측면에서의 수탈과 착취, 교육적 측면에서의 왜곡, 민족의식 측면에서의 말살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있다. 따라서 두번째 서사구조는 역사적 사건 단위보다는 인물들의 구체적인 삶에 밀착된 일상적인 사건이 중심을 이루게 된다. 이를 통해 이 서사구조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가 일상의 삶에서 고착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세 번째 서사구조는 불의의 시대에 맞서 싸우면서도 그 시대를 넘어 보편적인 인간으로서의 자기 완성의 길을 걷는 인물들의 여로를 다루고 있다. 앞의 두 서사구조가 1910년대와 1920년대라는 특수한 사회 역사적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면, 이 세번째 서사구조는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과 관련을 맺으면서도 이러한 특수한 역사적 의미망을 넘어서고있다. 이 세번째 서사구조에 의해, 이 작품은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을 넘어서서 인간 존재가 도달해야 할 궁극적인 자기완성태는 무엇이며, 인류의 이상적 공동체는 무엇인가를 문제 삼는 자리에까지 나아가게 된다. 따라서 이 세 번째 서사구조는 역사적 혹은 일상적 사건이 서사의 기본축을 이루면서도, 각 사건에서 인물이 겪게 되는 고난과 그 고난의 극복과정과 관련된 내면적 고투가 서사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 세 가지 서사구조가 긴밀하게 구조적으로 연결되면서 이 작품은 역사소설이면서 동시에 역사소설의 범주를 넘어서는 영역으로까지 확장된다.

      • KCI등재

        역사계 참사 전시의 서사구조 분석 및 연출특성에 관한 연구 -시모어 채트먼의 서사구조 분석론을 중심으로-

        번소계,맹지윤,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역사계 참사를 중심으로 한 전시는 인류에게 교훈을 주는 역할을 중심으로 현대인의 사고를 자극하고 잠재적인 갈등에 관한 사회적 관심을 촉구한다. 아직 다수의 전시공간은 역사계 참사의 연출에 있어 유물 중심의 일방적인 전달 방식을 갖고 있는데, 이는 공간의 의도와 목적은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어도 제한된 정보를 전달하여 역사적 사건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개인의 경험에 따른 다양한 상호작용에 한계를 갖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시에서 서사적 공간연출의 배경을 시모어 채트먼(Seymour Chatman)의 서사구조의 개념을 중심으로 전시의 서사 구조와 연출 요소를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역사계 참사 전시를 중심으로 한 전시 사례의 서사 구조를 확인하고 효과적인 연출 요소의 작용을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여 연구의 가치와 전시공간의 방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으로 첫째, 문헌을 통해 역사계 참사 전시의 개념과 역할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시모어 채트먼의 서사 구조 개념에 따라 전시공간에서의 서사 구조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서사 구조 중 전시공간 플롯의 구조형식과 주요한 연출 요소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한 서사적 전시연출에 관한 특성을 중심으로 2000년 이후 완성된 대표적 전시공간을 사례 대상으로 분석하여, 서사 구조의 형식과 연출 요소의 특성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결과) 역사계 참사 전시의 서사구조는 직선적, 단속적, 피카레스크의 3개 플롯 형식이 있으며, 연출 요소는 형태, 구조, 재료, 빛, 텍스트 요소로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오늘날 역사계 참사 전시는 주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가능한 서사 구조를 가지고, 이를 연출 요소의 활용을 통해 전시공간의 전통적인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개인적 이해와 체험을 유도하고 있었다. 나아가, 전시의 성격이 참사에 관한 기억과 반성을 촉진할 수 있는 장소로 중심성을 갖고 있어 효과적 연출 요소를 통한 서사구조를 강조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역사계 참사를 중심으로 한 전시주제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는 공간의 서사구조 설계와 공간연출 요소의 다층적 결합이 중요하다. 전시와 관람객의 상호소통이 가능한 전시공간을 조성한다면 과거의 참사를 통해 긍정적인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Exhibitions focusing on historical disasters stimulate modern thinking and call for social attention to potential conflicts, focusing on their role in teaching humanity. Several exhibition spaces have a one-sided method of conveying historical disasters centered on relics. Although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the space can be conveyed, limited historical information is conveyed, preventing a broad understanding of historical events. This places limits on various interactions depending on individual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background of the narrative space production in the exhibition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production elements of the exhibition, focusing on Seymour Chatman’s concept of “narrative structure.” The goal is to confirm the narrative structure of exhibition cases centered on historical disaster exhibitions, analyze the operation of effective production elements, and derive results to confirm the research value and the direction of the exhibition space. (Method) As a research method, the concept and role of historical disaster exhibitions a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The narrative structure in the exhibition space is derived according to Seymour Chatman’s concept of “narrative structure.” Within the narrative structures, the structural form of the exhibition space plot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production elements are derived.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exhibition production, representative exhibition spaces completed after 2000 are analyzed, and the form of narrativ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elements are highlighted as a conclusion. (Results) The narrative structure of historical disaster exhibitions has three plot types – linear, intermittent, and picaresque. The production element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 form, structure, material, light, and text. As a result of the study, today’s historical disaster exhibitions have a narrative structure that allows various approaches to the topic. Through the use of production elements, they are not limited to the traditional function of the exhibition space and induce personal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Furthermore, as the nature of the exhibition is central to a place that can promote the memory of and reflection on the disaster, the narrative structure, through effective production elements, is emphasized. (Conclusions) To maximize the exhibition theme centered on historical disasters, a multi-layered combination of space narrative structure design and space production elements is important. If we create an exhibition space where exhibitions and visitors can interact, we will be able to create new positive values ​​through past disasters.

      • KCI등재

        서사무가와 소설의 구조적 상관관계 연구

        정연정(Jung, Yeun-j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0 한국문학과 예술 Vol.5 No.-

        소설의 발생론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민담은 세계 도처에 편재되어 있지만 이야기의 기능과 요소 면에서 공유되는 부분이 많다. 이 점에 착안한 러시아의 초기 형식주의 이론가 블라디미르 프로프는 러시아 아파나세프 민담집에서 100편의 민담을 추출해 민담의 이야기 기능을 체계화함으로써 민담 유형학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민담의 하위유형(subtype)인 ‘마법담’에 대한 구조 형태론 이라고 할 수 있는 프로프의 『민담형태론』에 입각해 이야기 기능과 성분을 추출해서 서사무가 「바리공주」와 소설 『바리데기』를 구조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그 서사구조의 맥락에 따른 의미 생성과정까지 살펴보았다. 서사무가가 비교적 민담 구조에 충실하다면, 소설은 현실문맥으로 변형시켜 재진술하고 있었다. 이는 물론 작가의 세계관에 따른 귀결임은 말할 나위가 없다. 서사무가 「바리공주」는 영웅설화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무속신화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살아 있는 신화다. 무엇보다도 「바리공주」는 한국인의 원형 심상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무속신화로서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황석영의 소설 『바리데기』는 서사구조상의 특징에서 플롯의 이원화 구조, 즉 표층적 구조와 심층적 구조를 통해 하나의 의미를 전달하였다.「바리공주」는 황석영의 소설 『바리데기』속으로 전이되어 현대의 시대적 상황으로 진입하여 고통받는 이주민의 삶을 대변한다. 그리고 서사가 부과한 의미를 『바리데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에게 다시 부여하며 바리의 이데올로기를 확장시키고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사건들과 현실 맥락과 만나 보다 구체적인 의미 효과를 발생시킨다. 현재라는 시간과 공간 속에서 바리공주는 우리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새로운 기표로 소설 『바리데기』로 다시 태어나고 또한 앞으로 더욱 새로운 기표로 다시 태어날 수도 있다. 그리고 그 의미는 사회 공동체가 공유할 수 있는 의미로 확장되기도 하며, 한 가족의 의미일 수도 있고, 한 개인의 삶의 맥락에서 맺어지는 유일하고도 가장 주관화된 의미일 수도 있을 것이다. Folktales that could be said as a developmental factor of a novel are found all across the world, but they have a lot in common in terms of functions and elements of stories. Vladimir Propp, an early Russian formalism theorist, collected 100 folktales from Afanas’ev Folktales to systemize the story-telling function of a folktale and suggest typology of folktales. The study aimed to conduct structural comparative analyses on 「Princess Bari」, a narrative shamanist song, and 『Barideghi』, a novel, by extracting the story-telling functions and elements based on Propp’s theory on folktale morphology and figure the process of creating meanings in the context of narrative structure. It can be said that narrative shamanist songs stick to the structure of folktales while novels is a restatement based on conversion to realistic contexts. It is a natural conclusion of the author’s view of the world. 「Princess Bari」, a narrative shamanist song, has a structure of a hero’s story and is an important part of live shamanistic myths. More than anything else, 「Princess Bari」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reflects Koreans’ original mental image. 『Barideghi』 written by Hwang, Seok-young delivered meaning based on dualized plot structure including outer representation and in-depth representation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structure.「Princess Bari」 was transferred to 『Barideghi』, a novel written by Hwang, Seok-young to portray the life of immigrants who suffer in the modern world. Meaning imposed by a narration is imposed again on characters in 『Barideghi』 to expand Bari’s ideology, and as incidents encounter realistic context in the process, more concrete effects of meaning are generated. In the current time and space, 「Princess Bari」is reborn as the novel 『Barideghi』 as a new signifier that reconstitutes the meaning and can be reemerged as a newer signifier in the future. And the meaning can be expanded to be shared by a community, or it can be taken as meaning a family. It can also be the only subjective meaning in connection to the context of an individual’s life.

      • KCI등재

        한국 서사문학의 시공간 지각과 서사 전달 방식에 대한 연구 -서사무가, 판소리, 근대소설을 중심으로

        윤영옥 ( Young Ok Yu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4

        서사무가와 판소리는 근대 소설 양식에 영향을 주어, 한국 근대소설의 내재적 발전론을 지지하는 하나의 토대로 여겨왔다. 서사무가와 판소리는 연행 서사로서, 또 다른 구술서사의 일부인 근대소설과 변별성을 지니고 있다. 서사무가와 판소리의 유사성이 1인 공연 서사라는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면, 차이는 공연의 목적과 관련되어 있다. 서사무가는 대상신에 대한 청배((請拜)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그 서사구조에서 내포청자인 대상신에 대한 지향성이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서사무가는 실제 독자보다는 내포독자(혹은 가상독자)를 강하게 의식하여, 현실적인 목적으로 공연되면서도 실제 세계와 단절된 폐쇄적인 서사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에 비해 판소리는 청중에게 이야기를 서술하고 전달하는 양식으로서, 실제 청자를 지향하며 서사구조를 전개하고 있다. 서술(아니리)과 노래(창), 몸동작(발림)을 결합하여 청자가 소통하고 교감하고자 하기 때문에, 이야기의 서사구조에 창자나 청자가 개입하고 소통할 수 있는 열린 서사구조를 지향하고 있다. 근대 소설은 궁극적으로 독자의 시각적 독서를 겨냥하기 때문에, 근대소설의 장르적 변별성을 두드러지게 하는 것은 사건 인지의 근간이 되는 시공간의 연결 및 구성 방식이다. 서사무가나 판소리가 관중과의 소통을 우선시한다면, 근대소설의 경우에는 관객과의 소통보다는 독자의 사건 체험을 위한 텍스트 내부의 정합성이 두드러진다. 판소리가 서술과 시점에서 텍스트의 안과 밖을 아우르는 시공간 구성을 보인다면, 근대소설의 서사 구성은 경우에는 텍스트 내부의 구조화를 지향한다. 그 결과 사건 제시의 시간적 순행구조에서 서사무가>판소리>근대소설의 형태를 띠고, 사건의 묘사를 위한 공간 제시 양상은 ``서사무가<판소리<소설``의 양상을 띠고 있다. 하지만 연행 목적에 따른 시공간 배열 과정에서, 실제 독자와 직접적인 소통이 차단되고 내포독자와의 소통을 전제로 한 근대 구술소설의 구성은 판소리보다는 서사무가에 보다 가깝다. 그리고 이야기를 전달하되 실제 청자와 소통을 전제로 구성된 판소리의 서사 구성은 근대 소설보다는 수용자가 서사에 개입하여 서사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현대의 전자 서사에 근접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Narrating song of Shamans and Pansori are oral narratives with reciprocal influence. The combinations and linkages and cognition modes of times and spaces are distinguishing marks of these oral narratives. The similarity of two oral narratives is connected with one person`s performance narratives, the difference is linked to purpose of performance. The narrative structures of Narrating song of Shamans have a plot of invitation-send off the god. Because this structure orient implied listener, that take the closed structure with deconnectedness of the real world. Comparably, Pansory is the mode that narrate and convey the stories. It orient real listener who communicate and share feeling each other. It takes opened structure that songer and listener can intervene in texts easily. The combinations and linkages and cognition modes of times-spaces of Narrating song of Shamans are more close by novel than pansori. Specially the aspects of space representations are displayed in ``Narrating song of Shamans<Pansori<novel.

      • KCI등재

        인터랙티브 서사 플롯 구조에 관한 연구 - 마크 스테픈 메도우의 이론을 중심으로 -

        이동호,김현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Media’, today's audience has become part of the artwork and can actively participate in influencing the work itself. The passive audience from the past, who accepts and appreciates the work itself, is changing into a more active audience. This change has brought emphasis on Multiple Narrative and Interactive Narrative because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the Artist and the Designer of the Interactive Media has to design a coherent story that can allow the audience to make input and take part in the work. Therefore, the study on ‘Interactive Narrative Structure’ has become a critical subject theme for designing Interactive Narrative and Interactive Art.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Interactiv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scarcity of this theme prevents Artist and Designers to design a solid Narrative for their Art and Design. To solve this problem, along with Mark Stephen Meadows' theory and others, I will first figure out a range of Traditional Narrative that can be expanded to Interactive Media, and define Interactive Narrative a form of a narrative whose reader can affect, choose, or change Plot. Secondly, I represent Plot Structure of Interactive Narrative's four criteria; Timing of Event, Flow Subject, Interactivity Method of Decision Point, and Outcome of Flow Direction. Finally, based on four criteria, I identify Meadows three Plot Structure; Nodal Plot Structure, Modulated Plot Structure, and Open Plot Structure. Through this study, I hope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e for Interactive Narrative for the artist who makes Interactive art. 인터랙티브한 매체(Interactive Media)’의 발전에 따라, 오늘날 관객은 작품의 일부가 되어 작품에 적극적으로참여하고 영향을 줄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작품을 일방적으로 수용하고 감상하던 과거의 수동적인 관객과 다른모습이며, 이와 같은 변화로 인해 정해진 하나의 서사가 아닌 다양하고 인터랙티브 서사를 부각하는 작품이 나오고 있다. 그에 따라 ‘인터랙티브 서사(Interactive Narrative)’를 구현하기 위한 ‘인터랙티브한 서사 구조(Interactive Narrative Structure)’에 관한 연구가 중요해졌다. 하지만 인터랙티브 작품을 디자인하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인터랙티브 서사 구조를 구체적으로 분류하고 그 특징을 분석한 기초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첫째, 기존 서사 이론과 마크 스테픈 메도우(Mark Stephen Meadows)의 연구를 토대로 전통적인 서사의 범위를 인터랙티브 매체로 확장할 수 있음을 밝히고, 메도우(2002)에 따라 관객이 플롯에 영향을 미치거나, 선택하고, 바꿀 수 있는 형태의 서사를 인터랙티브 서사로 정의한다. 둘째, ‘인터랙티브 서사 플롯구조(Plot Structure of Interactive Narrative)’를 분석하는 기준으로 ‘플롯 내에서 사건의 시기’, ‘플롯 흐름의 주체’, ‘결정점의 상호작용 방식’, ‘플롯 흐름의 방향에 따른 결과’를 제시한다. 끝으로, 앞선 기준에 따라 메도우의 세 가지 플롯 구조, ‘마디로 이루어진 플롯 구조(Nodal Plot Structure)’, ‘조절 가능한 플롯 구조(Modulated Plot Structure)’, ‘열린 플롯 구조(Open Plot Structure)’를 구분한다. 본 논문은 인터랙티브 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토대로써 인터랙티브 서사 플롯 구조의 기초 연구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승전(僧傳)의 불전(佛傳) 구조와 그 의미

        김진영(Kim Jin young)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90 No.-

        이연구는<원효불기>의 구조와 그 의미를 살핀 것이다. 먼저 불전과 승전의 전승 환경을 고찰한 다음, <원효불기>의 불전 구조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원효불기>의 불전 구조가 갖는 의미를 조망해 보았다. 지금까지 논의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전과 승전의 전승환경을 검토하였다. 불전은 부처의 일대기를 형상화한 것으로 불교신화적인 특성이 강하다. 고통에 시달리는 만민을 구제하는 과정이 신화에서의 영웅과 흡사하기 때문이다. 이 불전은 신앙의 대상으로 여겨지며 아주 이른 시기부터 서사 담론으로 기능하였다. 승전 또한 불전의 구조를 따랐기에 종교적으로 숭신의 대상이 되어 왔다. 불전과 승전 모두 신앙물이면서 서사물로 기능해 온 것이다. 둘째, <원효불기>의 불전 구조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부처의 일대기를 여덟 개 단위로 구획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불전은 전형적인 종교영웅서사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원효불기>의 불전 구조 양상을 살펴보았다. <원효불기>도 불전과 마찬가지로 종교적인 영웅서사물로 유통 되었다. 거시구조는 물론 미시적인 화소(話素)까지 불전을 전제한 작화이기 때문이다. 셋째, <원효불기>의 불전 구조가 갖는 의미를 검토하였다. <원효불기>는 불전을 닮아서 초월적인 담론이 되었다. 이 초월적인 담론은 서사문학이 허구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게다가 민중지향성 때문에 속문학의 발양에도 보탬이 되었다. 불전은 아시아의 보편문학이지만, 승전은 자국문학으로 논의할 수 있다. 그래서 승전이 활성화되면서 불전의 영웅서사구조를 후대의 영웅서사물에 물려줄 수 있었다. 따라서 역사적인 영웅서사의 연원을 건국신화에서 찾듯이 종교적인 영웅서사의 근원을 불전에서 찾아야 마땅하다. This thesis is studied about structure and its meaning of Wonhyobulgi. First a transmission environment of Buddha biography and biography of Buddhist monk is considered, and a Buddha biography’s structure of Wonhyobulgi is considered. Based on this, the meaning of Wonhyobulgi’s Buddha biography’s structure is surveyed. To sum up, the discussion so far as follows. First, it is considered about transmission environment of Buddha biography and biography of Buddhist monk. Buddha biography is a imagery of Buddha’s life story, so it has a characteristic of Buddhism myth strong. Because the process of helping all the people that suffered from pain is similar with a hero of myth. This Buddha biography is considered an object of faith, and it is functioned as a narrative discourse early. biography of Buddhist monk has a Buddha biography’s structure, so it became an object of worship religiously. Buddha biography and biography of Buddhist monk are religious object all together, and it is functioned as a narrative. Second, it is considered about a Buddha biography’s structure of Wonhyobulgi. First, Buddha’s life story is divided into eight units and considered. Consequently Buddha biography is typical religion hero narrative. Second, the structure aspect of Wonhyobulgi is considered. Wonhyobulgi is distributed as a religious hero narrative in common with Buddha biography. Because it is a painting premise Buddha biography microscopic material for storytelling as well as macro structure. Third it is considered about a meaning of Wonhyobulgi’s buddhist structure. Through a Buddha biography’s structure, Wonhyobulgi’s literary merit is that.Wonhyobulgi is similar with Buddha biography, so it became transcendental discourse. This transcendental discourse contributes to a fictionalized narrative very much. Besides because of public directivity, it helped vulgar literature. Buddha biography is an universal literature of Asia, biography of Buddhist monk can be cross lips our own country literature. So an hero narrative structure of Buddha biography can be turn over the later hero narrative. Therefore as an origin of historic hero narrative is found the birth myth of a nation, so an origin of sacred hero narrative should be found with a Buddha biog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