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활지도는 어떻게 규율되어야 하나?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와 해설서 비판 -

        이수경,정필운 대한교육법학회 2023 敎育 法學 硏究 Vol.35 No.3

        This article provides a legal analysi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Notice on Teachers’ Guidance of Student Life」and ‘The Commentary on the Notice on the Ministry of Education’s Notice on Teachers’ Guidance of Student Life, which were enacted in September 2023 as part of a plan to strengthen teachers' teaching power and rights, and examines their effectiveness. The purpose is to suggest ways to strengthen it. To achieve this purpose, we first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Notice on Teachers' Guidance of Student Life and the Explanation of the Notice on Teachers' Guidance of Student Life(Ⅱ). Based on thi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were proposed, focusing on the format and details of the "Notice"(Ⅲ). Finally, the above discussion was summarized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ent Life Guidance Regulations was proposed(Ⅳ).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student life guidance is a residual category of educational activities excluding subject education, and corresponds to an educational method for guaranteeing and realizing students' basic educational rights. Therefore, the Notice on Teachers' guidance of student Life should be abolished, and matters restricting students' fundamental rights should be regulated by laws or regulations. In other words, among the contents of student life guidance, basic matters concerning students' human rights should be regulated by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and detailed matters should be delegated and regulated by the implementing regulation of the same law. In addition, it is appropriate to regulate matters concerning specific events related to teacher guidance in the form of soft law, "Guidelines for Student Life Guidance". 이 글은 교사의 교권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 2023년 9월에 제정된「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와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 해설서’를 공법이론과 현장교육의 관점에서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와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 해설서’를 검토하였다(Ⅱ). 이를 바탕으로 ‘고시’의 형식과 그 세부 내용의 문제점을 찾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Ⅲ).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였다(Ⅳ). 생활지도권은 “학교의 장과 교원이 학업, 진로, 보건, 안전, 인성, 대인관계, 그 밖에 학생생활과 관련한 사항에 대해 조언, 상담, 주의, 훈육, 훈계, 보상 등을 하는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 이것은 학생의 교육기본권을 보장하고 실현하기 위한 교육행위이다. 그런데 일부 생활지도는 필연적으로 학생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형의 생활지도를 대외적 효력이 없는 행정 규칙인 고시로 규정하는 것은 헌법 제37조 제2항이 명시하는 법률유보 원칙에 반하는 위헌성을 내포한다. 한편 국가는 헌법 제31조에 따라 교사 생활지도의 자주성과 전문성을 보장해야 하며, 학생의 교육기본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행사하는 교사의 생활지도권은 국가에 대해 기본권으로 주장할 수 있다. 이에 비추어 고시의 일부 규정은 교사의 생활지도 방식을 지나치게 상세하게 규정하여 교사의 생활지도권을 침해하는 또 다른 위헌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고시 중 학생의 인권에 관한 사항은 「초ㆍ중등교육법」에서 정하고 세부 내용은 같은 법 시행령에 위임하여 규정해야 한다. 또한 고시 중 교사의 생활지도에 관한 구체적인 행사에 관한 사항은 ‘(가칭)학생 생활지도에 관한 가이드라인’과 같은 연성법으로 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 생활스포츠지도과」 신설에 관한 타당성 연구

        정연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정책과제 Vol.14 No.-

        이 연구는 방송대 학부과정에서 생활스포츠지도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생활스포츠지도과」를 신설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생활스포츠지도과」의 실수요에 대한 예측 및 방송대에서의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타진할 수 있는 각종 문헌 및 자료를 모으고, 교내・외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생활스포츠 분야의 현황 및 인력수요 전망, 정부의 정책추진방향 및 국가공인 자격제도 개편내용, 국내대학의 유사학과 개설 현황 및 사례, 생활스포츠지도과의 교육목표 및 교육과정 등 다섯 가지 내용으로 정리하였으며, 결론적으로 학과신설의 기대효과와 정책적 쟁점 및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먼저 「생활스포츠지도과」 신설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여건으로 생활스포츠 분야에 대한 사회적 요구 및 현황과 이를 토대로 하는 인력수요전망을 살펴보았을 때, 우리 사회가 선진화되면서 생활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급증하고 있었다. 국민소득의 향상, 여가시간의 증가, 평균수명 증대 등의 원인으로 인해 건강과 여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생활스포츠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우리 사회의 스포츠 패러다임은 엘리트체육에서 생활체육으로, 나아가 스포츠산업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활스포츠 전문인력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양과 질, 양면에서 변화하고 있다. 양적인 면에서 생활스포츠 분야의 성장에 부합하는 지도인력의 증가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도 복잡해진 현장실무능력과 대상에 따라 세분화된 전문성을 갖춘 전문인력의 양성이 요청되었다. 생활스포츠지도과 신설시 고려해야 하는 또 하나의 주요한 외적 여건은 정부의 정책추진방향과 국가공인 자격제도 개편내용이다. 정부에서는 최근 증가된 국민들의 여가수요를 충족시키고 고령화에 다른 국민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생활체육진흥정책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민화합과 국가경쟁력 향상, 스포츠산업의 활성화를 목표로 다양한 지원책과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의 정책추진방향을 고려할 때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지도강사를 비롯하여 건강․스포츠지도 관련 인력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생활스포츠 관련 국가공인 자격은 주관기관에 따라 스포츠지도사(문화체육관광부)와 스포츠경영관리사(한국산업인력공단)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 스포츠지도사는 2015년부터 자격제도가 전면적으로 개편될 예정이다. 두 자격제도를 검토해 보았을 때 학력을 비롯한 자격요건은 완화되는 한편 자격종류는 전문영역에 따라 세분화되고, 실무능력 체득이 강조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대학의 스포츠관련학과 역시 교육과정의 변화를 도모해야 할 필요성에 직면해 있다. 학과 신설의 외적 여건과 함께 살펴보아야 할 것은 학과 운영 및 교육과정을 벤치마킹하거나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 국내대학의 유사학과 사례이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의 유사학과 개설 현황 및 주요사례를 일반대학의 스포츠관련학과와 사이버대학의 스포츠관련학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일반대학의 유사학과들은 전국적으로 58개 대학에 설립되어 있으며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이버대학은 전국적으로 4개 대학에 설립되어 있으며 원격대학으로서의 잇점을 활용해 일반대학에서의 수학이 어려운 기취업 성인학습자를 주 모집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일반대학은 학령기 학생을 기반으로 학문중심적 편향을 보이는 반면 사이버대학들은 보다 현장실무능력과 자격취득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일반대학들이 스포츠 기반 시설 및 교수진 확보를 통해 비교적 충실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비해 사이버대학들은 이에 부족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 교수진이 부족하며 실습과목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학과 신설의 외적여건 및 국내 대학의 유사학과 사례 분석을 토대로 「생활스포츠지도과」의 교육목표, 학과특성,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시대적 요구 및 방송대의 교육이념을 반영하여 창의적 평생학습인, 창조적 실용지식인, 국제적 문화교양인, 인간적 인류봉사인 등의 네 가지 인재 양성을 기본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스포츠건강관리분야의 체계적인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을 갖춘 전문인 양성, 스포츠, 헬스, 휘트니스, 보건, 마케팅을 특성화한 스포츠건강관리 전문가 양성 등을 실천목표로 설정한 후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교육 방침을 여섯 가지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학과특성은 국립대학의 특성을 살펴 사회복지의 차원에서 교육을 운영할 것, 사회적 요구에 따라 지도대상 별 특성에 맞춘 세분화된 전문능력 함양을 추구할 것, 타 사이버대학처럼 기취업한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되 보다 충실하고 고급한 교육을 시행할 것 등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교육목표와 학과특성을 구현하는 구체적 방안으

      • KCI우수등재

        초등교사의 생활지도 및 상담 부담과 교직만족도의 관계: 생활지도효능감과 학교경영참여의 매개효과

        박승종,조민영 한국교육학회 2024 敎育學硏究 Vol.62 No.1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교직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생활지도효능감과 학교경영참여의 역할을 중심으로 생활지도 및 상담 부담과 교직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2020)의 1차년도 초등교사 90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이 활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지도 및 상담 부담은 교직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생활지도 및 상담 부담은 생활지도효능감과 학교경영참여를 각각 매개하여 교직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생활지도 및 상담 부담은 생활지도효능감을 낮추고 이는 학교경영참여를 줄어들게 하여 교직만족도를 감소시켰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교직만족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생활지도 및 상담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생활지도 및 상담 부담은 교사 개인과 학교조직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셋째, 생활지도 및 상담 부담을 낮추는 것과 함께 생활지도효능감과 학교경영참여를 높이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 ‘生活指導와 相談’의 敎授要目 構案

        최학주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94 公州敎大論叢 Vol.30 No.-

        이 연구는 교육대학 교육과정에 설정되어 있는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의 교수요목 (syllabus)을 ‘초등 교원 양성 과정의 과목’답게 構案하여 그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 교과목의 교수요목을 구안함에 있어서는 여러 변인들이 관련되겠지만, 이 연구에서 는 生活指導의 본질적인 속성이나 개념에 기초하여,1)교육대학 교육학 교육 과목의 하나 라는 교과목적 성격,2)관련 교재들이 다루고 있는 영역 및 내용의 분석, 3)“生活指導” 과목의 내용 구성에 관한 초등 교원들의 의견 및 생활지도 운영 실태 조사의 결과 둥을 바탕으로 4)교수요목을 構案하는 내용으로 엮어졌다. 연구의 방법에서도 문헌적 연구와 조사 연구가 병용되었는 바, “生活指導” 과목의 성격 과 관련 교재의 내용 분석은 문헌 연구로, 교원들의 의견 조사 및 운영 실태는 조사 연 구로 하였다. 관련 교재들의 내용 분석에 사용된 저서들은 1980년대 중반 이후에 국내에 서 출간된 열 권의 저서들로서 대부분이 대학에서 활용되는 교재적 성격의 것들이었다. 각 저서들의 목차에 의하여 비슷한 내용들의 제목을 묶어 章,節, 項의 위계로 체계화하 고 이에 근접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쪽수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조사 연구에서는 질문 지를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대전직할시와 충남의 초등 교원 882명이 표집되었고, 이 중 859명분의 자료가 성별,근무 지역별(直轄市 지역, 市 지역, 郡 지역),경력별(10년 미만, 10년一19년,20년 이상)로 분석되었다. 교육대학에서의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은 어린이의 生活指導를 담당할 교육대학 학생 에게 주어지는 교직적 소양의 理論的 기초일 뿐아니라,현장에서의 활용을 전제로 하는 臨床的 (clinical) 성격이 짙은 성격을 띠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초등 교원 양성 기관에서 이 과목이 설치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사범학교 시절 에는 아예 없었고, 2년제의 교육대학에서도 후반기인 1969년부터 “아동발달과 생활지도” 라는 과목으로 설치되었으나,‘아동발달’쪽에 편중된 나머지 ‘생활지도’ 쪽은 소홀히 다루 어져 왔다. 1981년부터의 학사과정 승격 후에도 초기에는 설치되지 않고 있다가 1985학년 도 입학자부터 2학점 과정의 필수 과목으로 개설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生活指導 관련 저서들의 대부분은 몇권을 빼고는 내용과 體裁가 비슷하였으며,師範大 學 학생들을 대상으로 엮어진 것들이어서, 초등학교에서의 생활지도에 적용하기에는 알맞 지 않은 것들이 많았다. 章의 수준에서는 총론 격인 “생활지도의 기초”를 먼저 다루고, 다음으로는 생활지도 활 동별로 “학생 이해 활동”,“상담 활동”을 주로 다루면서 나머지의 활동들(‘정보 활동’, ‘정치 활동’,‘추수지도 활동’)에 대하여도 개괄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하위 내용이나 제 목들은 각기 다르게 꾸며졌지만,대부분의 저서들이 생활지도의 실제 문제를 다루고 있었 다. 그러나,국민학교 어린이들의 지도에 직접 관련되는 내용들은 두 세 권을 빼고는 거 의 없었다. 그밖에도 단위 학교에서의 생활지도 운영에 관한 내용들을 담고 있었다.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의 내용에 관련되는 초등 교원들의 의견 및 실태를 묻는 질문 지 조사에서, 중시하는 내용 영역으로는 ‘아동 이해의 측면과 방법’, ‘문제행동의 진단과 지도’, ‘상담의 이론과 기법’순으로 나타났다. 아동 이해의 방법에서는 ‘관찰법’에,상담 활동에서는 ‘상담의 요령’(대화 기술, 상담기법)에,상담이론 중에서는 ‘인본주의적 상담’ 과 ‘행동수정적 상담’에 많은 관심을 나타내었다.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構案된 교수 요목은 여러 면에서의 중복을 피하는 의도에서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의 “수업계획서”(강의계획서)에 담아 제시하였다. 여기 에는 교육대학 교육학 과목으로서의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을 한학기 2학점 과정으로 운영하는데 관련되는 여러가지가 체계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학습 목표,학습의 주안점, 학습 내용별 시간 배정,章,節,項의 내용 체계, 章별 주안점, 학습 과제의 예시 둥이 주 별로 구분되어 제시되어 있다. 구안된 “生活指導와 相談”의 教授要目만을 제시해 본다. 〈교육대학〉 [生活指導와 相談 教授要目] (2학점 과정) I. 생활지도의 기본 개념 1. 생활지도의 개념 2. 생활지도의 목표와 원리 3. 생활지도의 출현과 변천 4. 생활지도의 필요성 5. 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6. 다른 교육 활동과의 관계 II. 생활지도의 철학적,사회적 기저 (과제) 각자의 독서로 대체함. III. 아동 이해의 측면과 방법(생활지도 대상의 탐구) 1. 올바른 아동관(“심리학적 인간관”으로 대체 가능) 2. 아동 이해의 側面 3. 아동 이해의 방법 a. 아동 이해 방법의 체계적 분류 b. 관찰법 (observation) c. 심리 검사법 (standardized psychometry) d. 사례 연구(case study) IV. 상담 활동 1. 상담의 개념과 목표 2. 상담관계의 기본 조건(상담의 원리) 3. 상담 이론 a. 정신분석학적 상담이론 b. 인본주의적 상담이론 c. 행동주의적 상담이론 d. 실존주의적 상담이론 e. 그밖의 상담이론들 4. 상담의 과정 5. 대화의 기술 6. 집단 상담 및 집단 지도 V. 정보활동,정치활동,추수지도 활동 VI. 생활지도의 실제 1. 발달의 촉진을 돕는 생활지도 2. 부적응 행동의 지도 a. 부적응의 개념 : 판별 준거 b. 아동기에 흔히 볼 수 있는 부적응 행동의 유형 c. 부적응의 원인 3. 학업상의 문제와 지도 4. 정서 및 성격상의 문제와 지도 5. 사회적 부적응과 지도 6. 부적응의 예방과 지도를 위한 프로그램들 VII. 생활지도의 계획과 운영,과제와 전망 1. 생활지도의 계획과 운영 2. 교직원의 역할 3. 초등학교 생활지도의 과제와 전망

      • KCI등재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 핵심역량 질문지 개발 및 타당화

        김인애,이재원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questionnaire on the core competencies of instructors for adapted physical activity. In order to reach the purpose of the study, questions on the core competencies for the instructors were composed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 reviews. The selected questionnaire, which are through the snowball art targeting 100 instructors such as pilot survey,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people, and data from 296 people were used. With the collected dat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coefficient(Cronbach's α) were worked out with the SPSS 28.0 program,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AMOS 24.0 program. As the results of study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 5 factors 59 questions(13 questions on practical skills and leadership ability, 16 questions on personality and self-management, 10 questions on professional knowledge, 8 questions on understanding disability, 12 questions on administrative work and resource utilization) were selected. Secon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5 factors 27 questions(9 questions on practical skills and leadership ability, 5 questions on personality and self-management, 3 questions on professional knowledge, 6 questions on understanding disability, and 4 on administrative work and resource utilization) were extracted. Third, the final core competencies for the Physical activity trainers for the disabled consisted of 21 questions in 5 factors(3 questions on leadership and practical ability, 5 questions on personality and self-management, 3 questions on professional knowledge, 6 questions on understanding disability, 4 questions on administrative work and resource utiliza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developed in this study, the core competencies of instructors for adapted physical activity can be measured properly. 본 연구는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핵심역량 질문지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으로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핵심역량에 대한 문항을 구성하고, 선정된 문항은 스노우볼 표집법으로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 1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pilot survey), 30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진행하여 29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프로그램으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AMO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5요인 59문항(실기 및 지도능력 13문항, 인성 및 자기관리 16문항, 전문 지식 10문항, 장애의 이해 8문항, 행정업무 및 자원활용 12문항)을 선정하였다. 둘째,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에게 예비 조사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통해 5요인 27문항(실기 및 지도능력 9문항, 인성 및 자기관리 5문항, 장애의 이해 6문항, 전문 지식 3문항, 행정업무 및 자원활용 4문항)을 추출하였다. 셋째,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핵심역량은 최종 5요인 21문항(실기 및 지도능력 3문항, 인성 및 자기관리 5문항, 전문 지식 3문항, 장애의 이해 6문항, 행정업무 및 자원활용 4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 핵심역량 질문지를 통해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핵심역량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다.

      • KCI등재

        경기도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의 교육운영 평가분석

        오세숙 여가문화학회 2016 여가학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aining management of Gyeonggi-do instructors of Sports-for-all for the elderly. Specifically, training management of Gyeonggi-do instructors of Sports-for-all, relationships between instructors of Sports-for-all and senior participants, leadership and program management were collected and analysed by the quality assessment of senior training programs and training management. The factors of training programs included training programs (individual training design/training program development/shared training program for instructors) and training methods (dynamic training management/positive communication with senior participants). The factors of training management were categorized into the purpose of training management (credited from the community/expanding Sports-for-all) and hindrance factors (uncertain quality of sports-for all brand/low availability of training seminar materials/low feedback of individual train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sistent training programs and method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ining program and strategy of increasing the Sports-for-all brands as well as positive communication with senior participants. Among policie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seniors living in Gyeonggi-do, this study would suggest the guideline for leaders of Gyeonggi-do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the elderly and improve train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경기도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를 대상으로 교육운영 실태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경기도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의 교육운영, 지도자와 어르신 간 상호작용, 지도 역량 및 사업운영 탐색을 통해 교수학습과 교육운영 실태에 대한 현장 중심 질적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교육운영의 질적 평가분석 결과,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의 교수학습 요인으로는 교육내용측면(교육내용 개별적 설계/적극적 탐색을 통한 교육내용 발굴/공유를 통한 교육내용 발굴), 지도방법측면(탄력적 수업 운영/어르신들과의 긍정적 교감)이 도출되었으며, 교육운영 요인으로는 교육운영지향점(지역사회에서 인정받는 지도자/생활체육 저변확대)과 교육운영 저해요인(생활체육의 브랜드 가치 불확실/연수 교육내용 활용도 저조/교육프로그램 객관적 피드백 부재)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를 통해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들의 교육운영 개선을 위해서는 형식적이고 일관된 교육 내용 필요, 교육의 실효성과 효과성 제시를 위한 성과 측정 시도, 생활체육회 브랜드 노출을 위한 전략 절실, 그리고 어르신들과의 긍정적 교감 유지를 도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경기도 거주 노인의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위한 정책 중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 양성 및 배치 사업의 기여도를 높이기 위해 지도자의 교육환경을 개선시킴으로써 노인들의 질 높은 생활체육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적 탐구

        김재춘,박정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교사되기'의 길을 걷는 과정에서 어떤 생활지도 경험을 하는지, 이러한 경험을 통해 생활지도 능력은 어떻게 성장하는 지를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진솔하게 드러내어 보여줌으로써 학교 공동체 구성원들의 관심과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2007년 9월 1일자로 발령받은 초임교사 두 명에 대해 2009학년도 1학기까지 2년간에 걸친 내러티브적 탐구를 통해 두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을 연구하였다. 초임교사로서 2년간의 생활지도 경험을 통해 김교사와 이교사가 깨달은 것 중에서 이 연구에서는 첫째,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능력 신장 문제, 둘째, 초임교사의 이른바 '문제 학생'의 생활지도 문제, 셋째, 중간 발령 초임교사의 학급 담임으로서의 생활지도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교사양성과정이나 임용 전후 연수를 통해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능력을 길러주는 방안, 둘째, 연?월?주간 생활지도 계획을 수립하여 실천하고, 생활지도 활동 평가표에 따라 실시현황을 점검해 보도록 함으로써 생활지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안, 셋째, 중간 발령으로 인한 초임교사의 학생 생활지도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초임체육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승환 ( Kim¸ Seunghwan ),김민규 ( Kim¸ Minky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중학교 초임체육교사의 생활지도 경험과 교직생활에서의 변화는 무엇인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교육적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초임체육교사 5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개인별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문자서술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활지도의 중심현상은 총 4가지 범주, 12가지 주제 모음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편협하게 알고 있던 생활지도’ 는 예비체육교사 시절의 단편적 경험에 바탕을 둔 것으로 생활지도 개념과 중요성을 잘 알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일상에서의 경험을 통해 습득한 생활지도’는 생활지도의 진정한 의미를 알게 되고 역량을 갖추며 발전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 지도와 함께하는 생활지도’ 는 체육수업을 생활지도의 무대로, 신체활동을 생활지도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과정을 통해 체육수업이 생활지도가 될 수 있고, 생활지도가 체육교과의 또 다른 역할로 받아들여지는 등 상호 간의 선순환적 환류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임체육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을 통한 삶의 변화’ 는 생활지도 활동이 학생의 학교생활은 물론 교사에게도 전이되어 교사들의 삶도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경험과 의미 탐색을 통해 교사양성기관과 학교현장의 문제점과 개선점 등을 제시하였으며 온라인 교육이 일상적인 수업운영 방식이 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생활지도 활동의 운영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in-depth examination on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n guidance for new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o phenomenologically deduce its educational meaning. For this study, five novic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PE) teachers were purposefully recruited. These participants took part in in-depth interview and provided documents for this study. The core phenomena of guidance were categorized into a total of 4 categories and 12 topics. First, ‘narrowly-known guidance’ was found to be based on fragmentary experiences while preparing to be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guidance was unknown. Second, ‘guidance acquired through experiences at school’ was found to be the process of development by knowing the true meaning of guidance and gaining capacities. Third, ‘guidance with class lessons’ u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tage for guidance and allowed physical education class serve as guidance through the process of using physical activities as the method for guidance, and that guidance has mutual circulation such as being received as a role other than physical education class. Fourth, it was found that ‘change of life through guidance experience of new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hanged not only the school life of students through guidance activities, but also spread to teachers, thus changing the lives of teachers as well. Through examinations on guidance experience and meaning of new middle school teachers, issues and areas for improvement among teacher fostering institutes and schools were presented, and it was also suggested that follow-up research on the operation of guidance activities are needed in this situation where online education is becoming the normal class operation method.

      • KCI등재

        초·중등교육법상 생활지도에 대한 법적 성격과 과제

        권순형(soon-Hyoung Kwon) 대한교육법학회 2023 敎育 法學 硏究 Vol.35 No.1

        지난 2022년 12월 8일, 교원의 생활지도 권한 강화를 골자로 한 초중등교육법 일부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고, 2023년도 6월 28일 시행을 앞두고 있다. 법 개정 이전 초·중등교육법 제18조에서는 학생징계 이 외에도 ‘그 밖의 방법으로 학생을 지도할 수 있다’라는 내용이 법문언에 포함되어 있었고, 제18조에서 의미하는 ‘그 밖의 방법’이 무엇인가에 대한 해석론상 여지를 남기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법 개정으로 초중등교육법 제18조의 '그 밖의 방법'에 대한 내용이 삭제되었고, 제20조의 2에서 학생생활지도로 명확하게 규정되면서 교원에게 실질적인 학생생활지도 권한이 부여되었다. 학생생활지도와 관련하여 향후 제기될 수 있는 법적 쟁점과 과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번에 신설된 초중등교육법 제20조의 2에서도 ‘교원의 교육활동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라는 불확정법개념이 제시되어 있고 학생지도에 대한 개별적·구체적인 근거는 ‘법령과 학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도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는 바, 학생 생활지도에 대한 법적 성격을 검토하였다. 둘째, 법령과 함께 학칙으로 학생생활지도에 대한 내용을 정하도록 하고 있는 바, 학생생활지도의 구체적인 수단과 방법 등을 학칙으로 정하는 경우, 학칙 제·개정에 앞서 검토되어야 할 사항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초중등교육법 제20조의 2 학생생활지도 신설에 따라 향후 제기될 수 있는 과제를 검토하고 향후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On December 8, 2022, some amendments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which aims to strengthen teachers' authority to guide student’s school life, passed the National Assembly(South Korea), and are set to take effect on June 28, 2023. In Article 18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before the revision of the law, in addition to student guidance regulation, the text of the law included “other methods can be guided” and left an issues for interpretation of what “other methods” meant in Article 18. However, due to the revision of the law, the contents of Article 18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were deleted, and Article 20-2 clearly stipulated as student guidance, enabling practical student guidance for teachers. The following are the matters to be noted in this study regarding legal issues and tasks that may be raised in the future in relation to student guidance. First, Article 20-2 of the newly establishe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lso provides an indeterminate legal concept(‘unbestimmter Rechtsbegriff’ in German) of 'when necessary for educational activities of teachers', and individual and specific grounds for student guidance can be guided in accordance with 'national laws and school regulation'. Second, the contents(especially, teacher’s guidance method) of student guidance are required to be determined by school regulations, and in the case where specific means and methods of student guidance are determined by school regulations, what matters should be reviewed before enacting or revising school regulations were reviewed. In short, this study reviews legal issues and tasks that may be raised in the future due to the establishment of new student guidance in Article 20-2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proposes matter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초등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혜랑,정애경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2 초등상담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초등교육 현장에서 초등교사들이 생활지도에서 경험한 것은 무엇 이며, 생활지도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의 초등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코로나19 이후 등교 수업과 비대면 수업이 병행 되는 교육 현장에서 무엇을 경험했는지 탐색하였다. 전체 참여자의 공통적인 특성을 도출하 는데 중점을 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총 42개의 구성된 의미와 14 개의 주제, 6개의 주제 모음을 도출하였으며, 코로나19 시기 초등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의 본 질은 ‘시행착오와 노력 가운데 생활지도의 의미와 중요성을 새롭게 깨닫고, 학교의 역할을 고민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활지도 방 향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w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in school guidance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For this purpose, we performed a phenomenological study by collecting in-depth interview data from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asking what they experienced in the elementary school during COVID-19 regarding school guidance. In particular, we applied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data analysis, which focused on deriving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all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42 formulated meanings, 14 themes, and six theme clusters were derived.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was “the newly recognized meaning and importance of school guidance, deeper consideration on the roles of school, through trials and effor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s of school guidance in the post-COVID-19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