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장의 생사관을 통해 본 한국민요 고찰

        하영택,이영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8 No.-

        This article is supposed to show the consciousness of death in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related with the Taoist’s view of life and death.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can be found life and consciousness of dead mostly. There have been seen many masterpieces for their maintenance Confucians work. Thus, life and death combine with furious love and emotional threat literary. Accordingly, between no regret to die and be free from life and death have been released as both axes of paradigm. For instance, the primary considerations look into the Taoist’s view of life and death. This has been understood generally as saying between Lao-tzu(death or everlasting) and Zhuang-zi(all in one system of life and death). Slightly different from the Confucian scholar(death or eternal eternity). But also both of them are agree with spiritual eternity simultaneously. What about Buddhism and Christianity? They have in common the eternal cycle of new born apparently. Confucianism and Taoism could say their death or everlasting theory included all in one system of life and death theory as well. Lao-tzu insists the rule of health and Zhuang-zi images the acme of happiness and comfort in psychological effects to a colloquial myth but the Taoist seems treat as physical operations for various studying. Even though, Lao-tzu’s view of life and death is toward to ‘No regret to die’ which is a traditional manner. Zhuang-zi’s view of life and death is performed in ‘Be free from life and death’ for driving nature amusements indeed (only the Taoist’s view of life and death). 본고는 노장의 생사관을 고찰하여 민요에 수용되어 있는 한국인의 생사관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 민요의 주제 중 생사는 사실상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노장의 생사관 역시 많은 곳에서 주요 테마로 곧장 활용되는데, 그 빈도와 역할에서 유가의 생사관을 훨씬 넘어선다. 왜냐하면 삶과 죽음에 대한 비애와 공포를 문학적으로 극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대자연 속에 귀의하여 생사를 초월하고자 하는 노장의 정통적인 생사관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의 민요를 ‘불사지향형(不死志向形)’과 ‘생사탈속형(生死脫俗形)’이란 두 개의 패러다임을 기준으로 다양한 실례를 들어 고찰하였다. 노장의 생사관은 노자의 ‘사이불망(死而不亡)’과 장자의 ‘사생일체(死生一體)’로 집약할 수 있다. 이것은 ‘사이불후(死而不朽)’를 추구하는 유가의 입장과는 차이를 나타낸다. 즉, 유가는 기멸론(氣滅論)과 이불멸론(理不滅論)을 주장하는데 반해 노장은 기불멸론만 주장하는 차이는 있으나 노장과 유가의 생사관이 육체의 죽음을 인정하면서도 정신적인 영원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서로 상통하는 점이 있다. 만약 죽은 뒤 다시 태어남을 강조하는 불교와 기독교의 생사관을 ‘사후신생(死後新生)’이라 한다면, 유가와 노장의 생사관은 모두 ‘사이불망’ 또는 ‘사이불후’형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노자가 말하는 ‘섭생을 잘하는 자’와 장자가 추구했던 ‘지인(至人)’의 ‘생사를 초월하는 형상’은 정신적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신화적 비유였지만, 도교에서는 이를 육체적인 측면으로 생각하여 여러 가지로 죽지 않는 법들을 탐구했다. 다시 말해서 노자의 생사관은 ‘불사지향형’으로 변형되는데 반하여, 노장의 생사관을 준수하는 ‘생사탈속형’ 유형은 산수자연을 도의 구현체로 보고 그곳으로 귀의하여 노니는 것으로 전개된다. 후자를 노장의 정통적인 생사관으로 부른다면, 전자를 노장의 생사관의 변형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노장의 입장에서 한국민요에 나타난 생사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 생사학의 학문적 성격에 관한 몇 가지 생각

        양준석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2022 생사학연구 Vol.3 No.-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 수준에서 출발했던 생사학은 현재 학문 영역에서 검토되고 발전하기 위한 논의로 확장되고 있다. 최근 초고속으로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고 자살문제와 대형사고로 사회적 트라우마(trauma)에시달리는 우리 사회환경에서 생사학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은 분야이다. 이에 융복합학문으로써의 생사학, 특히 한국적 생사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지금까지 논의된 죽음학, 생사학에 관련된 논의들을 정리하고 생사학 학문적 가능성과 연구영역에 대한 정리를 하고자 한다. 과거 죽음에 대한 연구는 철학과 종교의 영역을 중심으로 영혼이나 불멸, 내세라는 관점에서 죽음을 설명하고 이해해왔다. 하지만 근대로 넘어오면서 죽음을 과학적 영역에서 보다 적극적인 분석대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실제 1960년대부터 죽음학은 기존의 철학과 종교적 연구 형태를 인정하면서도 독자적인 학문으로서 연구하기 위해 체계화된 연구방법론을 도입하면서 과학으로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죽음에 대한 연구가 아직도 초창기인 한국에서는 죽음학, 사생학, 생사학, 임종학 등 다양하게 불리워지고 있으며 학제적 용어로 thanatology, death studies, life and death studies, death education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생사학은 죽음학을 기초로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태도와 행동에 관한 학문이라 정의할 수 있다. 좁은 의미로는 개인의 생명과 죽음에 관련된 연구 및 지침으로 정의할 수 있고, 넓은 의미로는 삶과 죽음에 관한 전반적인 것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자연과학 등의 성취에 기초를 두고 인문학과 사회과학 및 문화 예술을 유기적으로 융합하는 학제 간 연구라 할 수 있다. 다만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생사학은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에 기반한 생사관 연구와 실천적 융합학문으로서연구 대상이나 방법론을 탐구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학문적 탐구를기반으로 학제적이며 실천적인 융합연구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생사학이 학문적 성격을 제대로 정립하지 못한 이유는첫째, 생사학에 대한 개념적 정의에 대한 논의수준이 초보적 수준이며 여전히 연구자내에서도 외국의 “Thanatology”나 “사생학”을 소개하고 이해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생사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연구나 관련 연구물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이를 담아내고 풀어내기 위한 공동의 연구나 각 학문간의 교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셋째, 기존에 구축된 학문적 영역의 경계가 너무 높고 생사학의 학문적 영역에 대한 접근으로 학과 과목개설이나 표준화된 영역을 구축하는데 많은 장애가 있기때문이다. 넷째, 생사학 연구활동을 통해 축적된 연구 결과물들을 공유하고 잘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결국 생사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명확한 성격을 정립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생사학이 학문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하고 자기 정체성에 대한 자리매김을 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체계를 정립하고 학문의 구성요건들, 즉 연구대상, 연구범위, 연구방법이 정해져 있어야 한다. 하나의 독립적인 학문으로서 그 나름의 고유한 개념적 체계와 방법론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생사학이 연구범위, 연구방법 및 학문의 규범성, 경험성, 처방성을 갖춘 학문으로서 학문의기본요건에 문제가...

      • KCI등재후보

        <장자>의 生死觀 고찰 —內⋅外⋅雜편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옥현주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9 동양문화연구 Vol.30 No.-

        생사에 대한 인류의 사색은 다양한 문화를 창조했는데, 중국의 고대철학에서도 각 학파마다 독특한 생사관을 형성했다.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 가운데서 장자는 무엇보다 죽음에 관한 문제를 철학의 중요한 주제로 삼았던 사상가였다. 이 논문은 장자의 생사관을 내편⋅외편⋅잡편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는데, 내편⋅외편⋅잡편 각각에서 보여 지는 생사관은 그 주요한 관점과 특징에서 서로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장자』의 생사관과 기화(氣化)와 관련해서는 내편 「대종사」편에서 생사와 기(氣)를 연계시킨 부분이 한 번 보였고, 외편에서 생사를 기의 취산으로 보는 관점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다가 잡편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장자』의 생사관과 물화(物化)와 관련해서는 내편에서 풍부하게 다루어지다가, 외편에서는 내편보다 간단하게 언급될 뿐이며, 잡편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여기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내편에서 장자 자신은 기화보다 물화를 많이 언급했으나, 외편에서 장자의 후학들은 물화보다 기화를 더 많이 서술했다는 점이다. 이것으로 보아서 『장자』의 생사관의 무게중심이 후대로 가면서 점차 물화에서 기화로 이동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본문에서 『장자』 생사관의 특징을 1. 생사는 자연의 법칙이다 2.생사는 일체이다 3. 생사를 초월해야 한다라고 정리했는데, 이 세 가지 특징은 내편⋅외편⋅잡편에서 대체로 고르게 발견된다. 따라서 『장자』 생사관의 특징은 내편⋅외편⋅잡편이 크게 다르지 않으며, 장자의 생사를 보는 관점과 태도가 그의 제자와 후학들에게 대체로 동일하게 계승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내편과 외편에 비해 잡편은 상대적으로 생사와 관련된 문제를 훨씬 적게 언급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Humans' meditation on life and death has created diverse cultures, for example, myths, religions, religious belief in ghosts and funeral culture. These cultures have been established because humans need to realize the objective necessity that once a life is born, it inevitably dies some day, and accept and understand finitude as a physical being. The matter of life and death is not a subject dealt with just by religions. In ancient Chinese philosophy, each school formed a unique view of life and death. Contemplation on life and death, especially that on death, makes people deliberate on what's more valuable to oneself, and how to operate finite time given to each. Then, an individual will be able to live more independently and actively not being swayed by physical influence or mental restriction exerted by the outside. Therefore, it's meaningful to examine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that meditation on the matter of death helps concentrate better on the life given to oneself. The era of contention of a hundred thoughts in China's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as time of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upheaval in all areas, yet, on the other hand, the golden time of Chinese culture when many philosophers and schools were seeking a new order and alternatives to overcome this chaos. Among Hundred Schools of Thought of pre-Qin period, Zhuang Zhou is categorized as Taoism along with Lao-tzu. Taoism can be said to have concentrated on the salvation of individual life and mind while, regarding the same social problems, Confucianism, Mohism and Legalism focused on the redemption of the society. Moreover, to Zhuang Zhou, the value of a person's life was more important than politics, society or ethics, and he was a thinker who took the matter of death as the main theme of philosophy above all. This paper aims at comprehensively examining concepts related to life and death in 『Zhuangzi』. In this paper, the form was adopted to analyze the notions of life and death in the inner, outer and miscellaneous chapters separately and then synthesize them later. Studying Zhuang Zhou's view of life and death in today's society, where sense of alienation has become relatively intense in spite of improvement in personal freedom and dignity and materialistic prosperity,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the fear of death and the pain of separation from a close person will be approached more reasonably through Eastern philosophy, not through religions. Also, it will guide one so that he/she will be able to concentrate better on the moment right now given to oneself, and face an ancient philosopher's wisdom through the view of life and death.

      • KCI등재

        생사학 연구동향과 학문성 모색

        양준석(Yang, Jun-Seok),이지원(Lee, Ji-Won),김재경(Kim, Jae-Gyeong),이정은(Lee, Jung-Eun),이나영(Lee, Na-Young),김아리(Kim, Ah-ri),박훈(Park, H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49

        이 논문은 생사학의 연구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학문적 영역으로서 ‘생사학(生死學)’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글이다. 누구나 죽는다는 사실이 죽음학의 출발점이며 죽음의 두려움을 극복하자는 것이 죽음학의 목표이다. 죽음에 대한 불안은 현존하는 인간으로 하여금 일상적 삶을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하며 이 과정에서 삶과 죽음을 상징하는 현재와 미래, 유와 무, 형이상과 형이하를 관통하는 생사관이 생기며 이를 통해 죽음에 대한 불안을 부단히 극복하려고 한다. 따라서 죽음은 삶의 일부이며, 죽음에 대한 불안의 극복은 일상적 삶의 과제이기에 죽음문제는 삶의 문제이다. 이런 측면에서 서양의 죽음학은 동양에서 삶과 죽음이 다르지 않다는 관점에서 생사학으로 재정의 되고 그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 생사학이 융합학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생사학의 개념, 이론, 연구영역, 학문적 성격을 정리해야 한다. 학제 간 융합학문으로 출발한 생사학은 인문학적 접근만 있어서도 안 되고 과학적 접근만으로도 안 된다. 생사학은 삶과 죽음의 문제를 의학과 종교, 철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사회복지 등 다양한 범주에서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전개하는 융합학문이기 때문이다. 이에 융합학문으로서의 생사학, 특히 한국적 생사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지금까지 관련된 연구업적을 분석하고 향후 학문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한 개념과 이론 정립을 위한 연구노력이 시급히 요청된다. 이 같은 시각에서 먼저 국내 생사학 관련 논문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학제 간 융합학문으로써의 생사학 발전 가능성과 탐구영역 개발, 확장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한국적 생사학’의 학문성을 넓히는 데 의미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aise the possibilities of Life and Death Studies as a field of academic disciplines and analyzing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Life and Death Studies. Every living organism dies and death is part and simultaneously point toward which converge all previous phase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death and dying are the starting point for the Thanatology and overcoming fear and pain when making preparations for our own death, which are the aim of the study. Death anxiet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life to human existence and to prepare for our own inevitable death, in the process it can help many of us have view of life and death passing through the present and the future, existence and non-existence, metaphysics and physical science. Death is a part of life and overcoming death anxiety is the agenda of daily life, therefore, the question of death is very relevant to that of life. Life and Death Studies explores how the question affects individuals, families, communities, and cultures. In this respect Life and Death Studies has to redefine and expand its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y based on Oriental thought; life and death are the same, in comparison with Western study, Thanatology which focuses on dying and death. Life and Death Studies relies on collaboration with many different fields of study. Because death is such a broad and complex subject, it needs a holistic approach. It is primarily an interdisciplinary study, frequently undertaken by professionals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medical science, religion and mythology. To develop Life and Death Studies as a field of academic disciplines, there must be an accurate definition, theories, critical research area and academic features as convergence studies. Life and Death Studies as convergence studies, especially Korean Life and Death Studies, is urgently called for an effort to analyze research achievements so far and to establish concepts and theories to consolidate its area as academic disciplines. On this view,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examine the theses for master and doctoral degrees and journal articles in Korea and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Korean Life and Death Studies’ by discussing developmental potential and critical research area as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studies.

      • KCI등재후보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논하는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의 과제

        곽혜원 ( Hye Won Kwak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9 No.-

        사상 초유의 COVID-19 팬데믹(pandemic) 사태가 대한민국을 위시하여 전 지구촌에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몰고 왔다. 그동안 인류 역사는 질병의 원인을 밝혀내고 치료함으로 생명 연장을 이룩한 경이로운 여정이었는데, COVID-19 사태로 인해 인간이 죽음이라는 절대적 한계에 직면한 유한한 존재임을 재차 실감하게 된 것이다. 지난 2년간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돌입하면서 죽음에 대한 불안이 사람들의 폐부 깊숙이 각인됨으로써, 생전에 죽음을 성찰하고 준비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다. 그동안 삶과 죽음(生死)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기류가 변화의 조짐을 보여 왔는데, COVID-19 사태가 결정적 분기점이 되어 죽음을 공론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강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 분위기와 달리, 한국 교계와 신학계에서는 삶과 죽음을 성찰하는 생사학 및 생사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조차 제기되지 않는 현실이다. 우리나라에는 무수히 많은 신학대학이 있지만, 죽음을 앞둔 임종자를 위한 영적 돌봄을 가르치는 강좌나 사역 프로그램이 개설된 곳이 거의 전무하다. 설사 신학수업의 교과과정에 죽음에 관한 강좌가 있다고 해도 주로 예전적 측면에서 장례식 집례에 대한 전문지식을 제공하는 일에 치우친 경우가 많고, 죽음의 실체가 과연 무엇인지, 죽음을 앞둔 이를 어떻게 영적으로 돌봐야 하는지, 특히 죽음 앞에서 불안해하는 임종자가 복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어떻게 준비시켜야 하는지에 대해 강의하는 교과목이 개설된 적이 없다. 그렇지 않아도 오늘날 목회자는 임종과 죽음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른채 목회자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많은 목회자는 죽음을 앞둔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영적인 돌봄은 물론, 성도들에게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존엄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법에 대해 가르쳐야 할 중차대한 소임을 잘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연유로 인해 한국기독교계에서 생사학 및 생사교육이 사회의 다른 일반 공동체에서보다 훨씬 뒤처질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죽음의 질이 타종교인이나 비종교인보다 더 열악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러므로 생사교육이 긴급하게 요청되는 그룹은 목회자 및 신학자들이라 아니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필자는 성경에 기반하여 삶과 죽음을 논하는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에 천착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봉착하여 생사학 및 생사교육이 한국 사회에 정착하지 못하는 현실,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 정립의 필요성,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의 지향점인 삶의 존엄·죽음의 존엄·인간의 존엄,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이 감당해야 할 과제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생사학 및 생사교육을 교회교육과 학교교육, 평생교육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정착시킴으로써 죽음을 생애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야 할 과업으로 독려할 뿐만 아니라, 존엄한 삶-존엄한 죽음-존엄한 사회를 진작시키는 데 동기부여하고자 한다. The unprecedented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fear of death to the entire world. In the meantime, human history has been a remarkable process of prolonging life by discovering the cause of disease and treating it. However, due to the COVID-19 crisis, we have come to realize once again that humans are finite beings facing the absolute limit of death. With the advent of the global pandemic era over the past two years,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that people should reflect on and prepare for death while living by feeling great anxiety about death. Until now, the atmosphere of our society surrounding life and death has shown signs of change, and the COVID-19 incident has become a decisive turning point, and the argument that death should be publicized has gained strong persuasion. However, unlike the current atmosphere, the Korean church does not even raise awareness about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which reflect on life and death. Although there are many seminaries in Korea, few have offered courses or ministry programs that teach spiritual care for those who are about to die. Even if there is a course on death in the curriculum of the theology class, it is often biased toward providing specialized knowledge about funeral service from the liturgical aspect, and what is the reality of death and how to spiritually learn about the person who is about to die. There has never been a course that lectures on how to take care, especially how to prepare a dying person who is anxious before death to face a blessed death. Even so, many pastors today become pastors without knowing anything about death. As a result, many pastors are unable to fulfill their important role of providing spiritual care for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s well as teaching believers how to die with dignity while maintaining their Christian identity. For this reason, there is concern that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in Korean Christianity will lag far behind other areas of society, and that the quality of death for Christians will be worse than those of other religions and non-religious people. Therefore, the groups urgently requesting life-and-death education are pastors and theologians. In this problematic situation, I became proficient in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that discuss life-and-death based on the Bible. This thesis discusses the reality that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death education cannot settle in Korean society in the face of a global pandemic, the justification for establishing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death education, and the dignity of life and death, which is the goal of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I would like to discuss the challenges that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must face. Through this,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ar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at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thereby encouraging death as a task to be accomplished throughout the life cycle, as well as promoting a dignified life - dignified death - dignified society. want to motivate.

      • KCI등재후보

        韓國(한국)의 文化(문화) : 노장의 생사관을 통해 본 한국민요 고찰

        하영택 ( Young Taek Ha ),이영철 ( Young Cheol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8 No.-

        본고는 노장의 생사관을 고찰하여 민요에 수용되어 있는 한국인의 생사관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 민요의 주제 중 생사는 사실상 가장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노장의 생사관 역시 많은 곳에서 주요 테마로 곧장 활용되는데, 그 빈도와 역할에서 유가의 생사관을 훨씬 넘어선다. 왜냐하면 삶과 죽음에 대한 비애와 공포를 문학적으로 극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대자연 속에 귀의하여 생사를 초월하고자 하는 노장의 정통적인 생사관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의 민요를 ‘불사지향형(不死志向形)’과 ‘생사탈속형(生死脫俗形)’이란 두 개의 패러다임을 기준으로 다양한 실례를 들어 고찰하였다. 노장의 생사관은 노자의‘사이불망(死而不亡)’과 장자의 ‘사생일체(死生一體)’로 집약할 수 있다. 이것은 ‘사이불후(死而不朽)’를 추구하는 유가의 입장과는 차이를 나타낸다. 즉, 유가는 기멸론(氣滅論)과 이불멸론(理不滅論)을 주장하는데 반해 노장은 기불멸론만 주장하는 차이는 있으나 노장과 유가의 생사관이 육체의 죽음을 인정하면서도 정신적인 영원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서로 상통하는 점이 있다. 만약 죽은 뒤 다시 태어남을 강조하는 불교와 기독교의 생사관을 ‘사후신생(死後新生)’이라 한다면, 유가와 노장의 생사관은 모두‘사이불망’ 또는 ‘사이불후’형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노자가 말하는 ‘섭생을 잘하는 자’와 장자가 추구했던 ‘지인(至人)’의 ‘생사를 초월하는 형상’은 정신적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신화적 비유였지만, 도교에서는 이를육체적인 측면으로 생각하여 여러 가지로 죽지 않는 법들을 탐구했다. 다시 말해서 노자의 생사관은 ‘불사지향형’으로 변형되는데 반하여, 노장의 생사관을 준수하는 ‘생사탈속형’ 유형은 산수자연을 도의 구현체로 보고 그곳으로 귀의하여 노니는 것으로 전개된다. 후자를 노장의 정통적인 생사관으로 부른다면, 전자를 노장의 생사관의 변형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노장의 입장에서 한국민요에 나타난 생사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is supposed to show the consciousness of death in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related with the Taoist`s view of life and death.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can be found life and consciousness of dead mostly. There have been seen many masterpieces for their maintenance Confucians work. Thus, life and death combine with furious love and emotional threat literary. Accordingly, between no regret to die and be free from life and death have been released as both axes of paradigm. For instance, the primary considerations look into the Taoist`s view of life and death. This has been understood generally as saying between Lao-tzu(death or everlasting) and Zhuang-zi(all in one system of life and death). Slightly different from the Confucian scholar(death or eternal eternity). But also both of them are agree with spiritual eternity simultaneously. What about Buddhism and Christianity? They have in common the eternal cycle of new born apparently. Confucianism and Taoism could say their death or everlasting theory included all in one system of life and death theory as well. Lao-tzu insists the rule of health and Zhuang-zi images the acme of happiness and comfort in psychological effects to a colloquial myth but the Taoist seems treat as physical operations for various studying. Even though, Lao-tzu`s view of life and death is toward to `No regret to die` which is a traditional manner. Zhuang-zi`s view of life and death is performed in ‘Be free from life and death’ for driving nature amusements indeed (only the Taoist`s view of life and death).

      • KCI등재

        고전시가를 통하여 본 고대 중국인의 생사관과 그 문학적 역할

        양회석 한국중국어문학회 2011 中國文學 Vol.69 No.-

        按照對`生`與`死`的不同認識, 生死觀可分爲`自在`(an sich)生死觀, `自爲`(fur sich)生死觀和`自在自爲`(an und fur sich)生死觀。 生死觀的區別就造成對`死`的不同態度, 如永生追求型, 現世享受型, 死而不朽型和造化順應型。 根据?們來硏究詩經, 古詩十九首, 陶淵明的詩, 就會發現各種各樣的生死觀。 《詩經》里的作品對`生`的關心遠勝于對`死`的關心, 又以`自在`生死觀爲主, 因而對待`死`的文學態度不太明顯。 `自爲`生死觀和現世享受型態度只在少數作品當中可見其苗頭。 古詩十九首比《詩經》更積極地表現出生死觀。 其十一表現出死而不朽型態度和`自在自爲`生死觀的苗頭, 而除此之外的其他五首詩都吟詠着`自爲`生死觀和現世享受型態度。 陶淵明是比任何人更加認眞, 激烈地探討生死問題的作家。 尤其<形影神>三首表現出, 他超越`自爲`生死觀和對`死`的幾種態度而達到`自在自爲`生死觀和造化順應型態度的過程。 總而言之, 從《詩經》, 古詩十九首到陶淵明的詩, 生死問題在作品里所占的比重越來越大, 生死觀和對`死`的態度也越來越成熟了。 我們不能確定到底是生死觀對中國古代詩歌的發展做出了貢獻, 還是詩歌的發展造成了生死觀的成熟。 不過, 陶淵明對`生死`的思考和實踐確實在他所取得的藝術成就的背後就發揮了?大的作用。

      • KCI등재

        선불교에 나타난 생사관

        이병찬 ( Lee Byeong-ch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본 연구는 초기ㆍ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 나타난 생사관을 토대로 선불교에서 나타난 생사관을 고찰하고자 한다. 초기ㆍ부파불교는 신체적인 생사 즉 오온의 취합과 이산, 壽, 煖, 識의 기준을 통해서 생사를 바라보는 것을 알수 있다. 인연 특히 삼사화합에 의해서 생유(生有)가 시작되고, 삶은 연기에 의해서 유지되고, 사대의 해체의 인해서 사유(死有)로 나아간다. 초기ㆍ부파 불교의 생사는 자성적 연기관을 바탕으로 생사를 반대개념으로 파악하고 있다. 반면 대승불교는 무자성적 연기관을 바탕으로 생사를 동일개념 즉 생사일여로 파악하고 있다. 생사일여의 관점은 선불교에서 극대화된다고 할 수 있고, 선사들의 죽음의 예는 이를 체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초기대승경전인 『금강경』은 생사의 想을 만들지 않고 무자성의 관점에서 생사를 꿈, 그림자, 허깨비, 물거품과 같이 보는 것을 제시한다. 『유마경』에서는 생사를 불이의 관점에서 본다. 『열반경』의 불신상주(佛身常住)와 실유불성(悉有佛性) 사상은 붓다가 될 수 있는 잠재태라는 관점에서 생사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육조단경』에서 혜능은 생멸은 없고, 무주 즉 생사에 머물지 않고, 대치법으로 생멸을 다룬다. 『벽암록』과 『무문관』의 생사관은 『신심명』의 `지도무난 유염간택`(至道無難 唯?揀擇)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오 화상의 “살았다고도 할 수 없고 죽었다고도 할 수 없다”는 언급과 도솔삼관(兜率三關)은 생사를 간택할 수 없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실제로 생사를 간택하지 않는 선사의 죽음을 화산덕보, 보화선사, 등은봉선사, 동산양개화상의 임종장면에서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exposing the views of life and death in Early and Abhidharma Buddhism, Mahayana Buddhism and Seon Buddhism. In Early and Abhidharma Buddhism, they reflected on life and death physically. Life and Death are viewed as the accumulation and separation of five aggregates and in terms of Soo(life), Nan(warmth), Sig(consciousness). Early and Abhidharma Buddhism recognized Life and Death as contrary concept. This concept originated from the theory of dependent arising in svabhava. However, Mahayana Buddhism understands life and death to be unseparable, based on thought of Pannaparamita and Buddha-nature. And also it accepts that life and death are ever-present, based on thought of Buddha-nature. the concept which views life and death is one and unseparable, is offered from the theory of dependent arising in non-svabhava. Seon Buddhism tries to integrate thought of Pannaparamita and that of Buddha-nature. Seon Buddhism perceives all of the sufferings are flowers in the empty air, which are rooted from extraordinary human beings or bodhisattva. That is to say, the sufferings are not substantial but ephemeral, which are made by extraordinary human beings. Just knowing this facts is of Buddha itself. Among the activities and traces of Seon masters, the activity of acknowledging death as a whole makes human beings see the realization of the thought of Seon Buddhism. Practice of Seon Buddhism is based on the thought that life and death are an unseparable whole and the Buddha-nature is ever present within human beings, namely sattva. Viewing the life and death through this thought, Seon masters embodied the thoughts of Seon Buddhism.

      • KCI등재

        漢巖과 呑虛의 불교관 : 해탈관과 생사관의 同處와 不同處

        高榮燮 韓國宗敎敎育學會 2008 宗敎敎育學硏究 Vol.26 No.-

        This treatise attempts to look into the views of Buddhist emancipation and' life and death of Hanam and Tanhuh who were representadve Seon(Zen) priests and at the same time learned priest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year of Korean Baddhism of the last century. Buddha could freely choose to live or die by getting out of the transmigration of souls and achieving Buddhist eman챠pation through winning the self-struggles to overcome the suffering of life and death which consists of activitt-consdousness(業譜) caused by delusion. Therefore, the views of Buddhist emandpation and life and death that Buddha suggested can be the views of Buddhism and the world. Hanam believed that based upon the recognition of transience and ecstasy, which is an attribute of existence, what we have to do is to do the Seon(Zen)-Buddhist meditation and only if we become ascetics who can do the Zen-Buddhist meditation well, we can be free from life and death. Han Am's recognition, which made him not to be obsessed with the body that he considered as a corpse, can be found in a passage when Tanhuh insisted to move from Sang wonsa because he thought there would be a war in the 26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which was the year rieht before the Korean War broke out, Hanam himself said 'to live and to live, to live there to live' emphasize that he would not go to the south and would stay with Sangwonsa. Hanam's attitude to 'die while sitting still' and his consideration of life and death as a single entity could finally protect Sangwonsa from its total destruction by fire. In the position that Hanam showed despite of the mortal crisis, it is revealed that he had the clear recognition of 'I am a disciple of Buddha',thorough faith in Buddhism that 'Buddha did this in this kind of situation', and the way of thinking that 'Please set a fire quickly' based upon the consideration of life and death as a single entity. Hanam's dignified behavior in spite of the fatal situation can be found only within those who can incarnation the teachings of Buddhism which suggest the unsubstantial world view throughout the whole body. Tanhuh, as well, said that "there is no life and death in mind and that mind did not come from anywhere and thus there is no death". He calls penertrate of this fact as 'spiritually enlightened'. Also, he said that "there is no life and death for ascetics". This is because it is only taking off the old, shabby clothes, which cannot be considered as death. This and Mahayana Buddhism have a lot in common, since the latter stresses that there is originally no life and death. Hanam and Tanhuh are similar in this way. However, Tanhuh had a premonition of the upcoming war based upon the principle of the science of divination he learned, so he moved the documents he translated to Youngeunsa in Sam-cheok and went down to the south to go to Tong dosa ,Baeklyunam. It would be better to consider the fact that Han Am, of course, was a old preceptor aging to become 80 years old and Tanhuh, who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was only becoming forty and had a longer time to live and a lot of things to do. Despite that, Tanhuh carried out his plan of going to the south for two times. Hanam, who was almost 80 years old, remained, but 37-year-o1d Tan Heo, who had youthful vigor, left Sangwonsa for 'the future of the 23 to 24-year-o1d monks who were first in line to succeed their master'. Tanhuh, who went to the south, moved around many places, but he went back to Sangwonsa after the reclamation of Seoul on September 28, 1950, since he worried about Han Am's health conditions. Nevertheless, he went back to the south because of the retreat of January 4 caus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Communist: Chinese army. As a result, the documents were safe from the conflagration. Not only that, based on what he learned from the principle of the science of divination and in case of the Ul-jin Sam-cheok red guerrillas' infiltration, Tan huh moved his translated together documents of new Avatamsaka sutra(新華嚴經合論) and he himself moved to a different place. The documents were primarily prepared by a reguest of Hanam, but Tanhuh, with all of his undivided attention and efforts, completed them. Afterward, right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party strife between celibacy monks(獨身憎) and have wife monks(有妻僧) of Odaesan, Tan Heo once again moved his documents to Youngeunsa and he himself moved elsewhere. After the conflict was over, Tanhuh returned to Odaesan. While Tanhuh showed the model of a learned priest who scrived not to leave the letters, Han Am did the one of a Seon(Zen) priest who freed himself from the obsession of them. Consequently, it is not necessary to emphas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ys of recognizing the reality of Hanam and Tanhuh in the critical situation as the death given by the war. Although their recognition of the Buddhist emancipation and life and death was the same, there still was adifference of the methods that they used to cope with the situation. That is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Han am's view of Buddhist fundamental emancipation based upon a Seon tradition of one bowl(一鉢禪風) and Tanhuh's view of life and death based upon emphasizing 'now and here' 이 논문은 지난 세기 한국불교의 전반기와 후반기를 대표하는 선승이자 학승인 한암(漢巖 重遠, 1876-1951)과 탄허(春虛宅城1913-1983)의 해탈관과 생사관의 동이同異를 살펴보려는 글이다. 붇다는 미혹(惑)에서 비롯된 업식(業)에 의해 이루어진 생사의 고통(苦)을 벗어나기 위해 자기와의 싸움을 벌였다. 이 싸움에서 승리한 붇다는 윤회를 벗어나 해탈함으로써 자신의 의지에 의해 생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다. 때문에 붇다가 제시한 해탈관과 생사관은 불교관이자 세계관이기도 하다. 한암은 존재 속성인 무상(無常)과 무아(無我)의 인식 위에서 우리들이 할 일은 참선이며 참선을 잘하는 도인이 되어야만 생사로부터 자유자재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육신을 송장이라고 여겨 집착하지 않았던 한암의 인식은 6.25 전년인 기축년에 난리가 일어날 것이라며 며칠째 상원사에서 이사 가자는 운동을 벌인 탄허에게 '사지 사지 사는데 사지'라는 말을 통해 남행을 하지 않고 상원사와 함께 하겠다는 대목에서 확인된다. '앉아서 죽음을 맞이하겠다'(坐而當死)며 삶과 죽음을 하나로 여긴(生死一如) 한암의 태도는 결국 상원사의 전소를 막아낼 수 있었다 죽음의 위기를 맞이하면서 한암이 보여준 자세에는'나는 '부처님의 제자'라는 투철한 인식, 그리고 '부처님은 이런 경우 이렇게 하라'고 말씀하셨다는 불교에 대한 철저한 신뢰, '당신은 어서 불을 지르시오'라는 삶과 죽음을 하나로 인식하는 모습이 드러나 있다. 실제적인 죽음의 상황 앞에서도 당당했던 이러한 한암의 처신은 비실체적 세계관을 제시하고 있는 불교의 가르침을 온몸으로 체화하여 사는 이에게서만 볼 수 있는 것이다. 탄허 역시 "마음에는 삶과 죽음이 없으니 마음이란 나온 곳이 없기 때문에 죽는 것 또한 없다"고 했다. 그는 이러한 사실을 확실히 간파한 것을 '도통(道通)했다'고 말하고 있다. 또 "도인에게는 생사가 없다"고 했다. 왜냐하면 낡은옷을 벗는 것일 뿐 죽는다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생사가 본래 없다는 대승불교의 지향과 상통하는 것이다. 이 점에서는 두 사람이 상통하고 있다. 하지만 탄허는 자신이 배운 역학(易學)의 원리에 의거하여 곧 난리가 날 것을 예감하고 자신이 번역한 원고를 삼척의 영은사로 옮기고 스스로 통도사 백련암으로 남하하였다. 물른 한암은 이미 80을 바라보는 노화상이고 아직 탄허는 이제 갓 마흔을 바라보는 살날이 많고 할 일이 많은 중년의 출가수행자인 점은 충분히 고려해야 될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탄허는 두 차례의 남행을 실행했다. '80이 다 된'(70대 중반) 한암은 남았지만 ‘23,4세의 젊은 상좌들의 장래를 위해서''37세의 왕성한 혈기'를 지닌 탄허는 상원사를 떠났다. 남쪽 지방으로 내려온 탄허는 여러 곳을 전전하면서도 한암의 건강이 염려되어 1950년 9.28 서울 수복 이후 상원사로 돌아왔다. 그러나 중공군의 개입으로 인한 1.4후퇴 때 다시 남쪽으로 내려왔다. 결국 원고는 화재를 면할 수 있었다. 또 탄허는 자신이 배운 역학의 원리에 의거하여 울진 삼척 공비 침투 사건에 대비하여 < 신화엄경합른>의 번역 원고들을 옮겼고 몸을 옮겼다. 이 원고는 한암의 부촉에 의해 시작된 일이지만 탄허는 이것을 위해 전심전력했고 끝내 완성시켰다. 이후에도 탄허는 오대산의 독신승(수행승)과 유처승(교화승)의 분쟁 직전에도 영은사로 원고를 옮기고 몸을 옮겨간 적이 있었다. 분쟁이 끝나자 탄허는 오대산으로 복귀했다. 이처럼 문자를떠나지 않으려는 학승의 모습을 강하게 보여주었던 탄허와 달리 한암은 문자에 대한 집착을 떠난 선승의 모습을 강하게 보여주었다. 따라서 전쟁이 주는 죽음이라는 동일한 위기 상황에서 나타난 한암과 탄허의 현실 인식 차이를 애써 강조할 필요는 없다. 다만 두 사람이 처한 상황에서 불교의 해탈과 생사 인식은 동일했지만 대처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그것이 곧 일발 선풍에 기초하여 ’근본 정신의 지향‘을 우선시 하는 한암의 해탈관과 향상일로 선풍에 근거하여’지금 여기‘를 우선시하는 탄허의 생사관의 상통점과 상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천태의 생사관과 임종관

        이기운(李起雲)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3 No.-

        천태의 임종관은 그의 독특한 교상체계인 사교의 생사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천태의 생사관에서는 심신이 생성되어서 생사 윤회하는 속에서 죽음의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천태의 교문과 관문에서 밝히고 있다. 교문의 사교에서는 장교ㆍ통교ㆍ별교ㆍ원교마다의 생사관을 바탕으로 사종사제로 죽음의 문제를 어떻게 해석하고 극복하는지를 보여주고 있고, 관문의 삼종지관에서 차제지관?원돈지관을 중심으로 생사로부터 벗어남을 보여주고 있다. 교문의 장교에서는 생멸사제에서 생사를 극복한다. 중생들은 견혹ㆍ사혹의 번뇌로 신ㆍ구ㆍ의 삼업을 일으키고 그 과보로 생사고를 일으키므로 이를 관하여 무상 무아임을 알아서 분단생사로부터 벗어난다. 통교는 무생사제를 통하여 생사가 무자성 공임을 관하여 생사의 번뇌가 실체가 없음을 알아서 생사로부터 해탈한다. 별교에서는 무량사제를 통하여 법계 중생들의 무량한 생사의 번뇌인 진사혹을 끊어 생사를 해탈한다. 원교에서는 무작사제를 통하여 생사의 번뇌를 지음도 끊음도 없으므로, 생사가 곧 열반[生死卽涅槃]인 실상을 보게 된다. 관문에서는 삼종지관의 차제지관에서는 식문 색문 심문의 세 가지 수행법이 있다. 식문은 호흡법의 아나파나를 닦아 선정을 얻어서 해탈하고, 색문은 일체법을 관찰하는 위빠사나관을 닦아서 생사를 해탈하며, 심문은 일심으로 空假 中의 삼관을 닦아서 생사를 해탈한다. 원돈지관에서는 원교관법 사종삼매의 상행삼매에서 해탈을 구하고 있다. 또한 『관무량수경소(觀無量壽經疏)』와 『금광명경현의(金光明經玄義)』에서는 사토(四土)의 정토구생을 통하여 생사해탈을 구하는데, 이를 『마하지관』의 원융삼제 지관법문으로 수용하고 있다. 천태의 실제적 생사관은 그의 임종의 모습에서 보여주고 있다. 특히 그의 전기를 기록한 『수천태지자대사별전(隋天台智者大師別傳)』에는 천태대사의 입멸의 과정에서 임종의 준비, 임종염불, 임종설법을 하는 등 임종의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천태의 생사해탈의 임종모습은 사교생사관에 의한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법화삼매참의(法華三昧懺儀)』와 『방등참법(方等懺法)』 등의 수행집에서는 실제적 수행을 통하여 생사해탈에 이름을 보여주고 있다. The doctrine of Priest Tiantai on the “dying moment”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Four Teachings on life and death which form the unique system of knowledge. His doctrine of how mind and body are formed and overcome death in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is explicated in the Gateway of Doctrine (Gyomun) and the Gateway of Practice (Gwanmun). In the Tripitaka Teaching of the Gateway of Doctrine, the defilement of birth and death is overcome in the Four Noble Truths of Birth and Death. Sentient beings are freed from the share-section birth and death by comprehending that the defilements of misconceptions and incorrect thoughts are anitya and an?tman. In the Shared Teaching, they destroy the defilement of birth and death by understanding through the Four Noble Truths of No Birth that birth and death are nothingness of asvabh?va. In the Distinctive Teaching sentient beings are liberated from the defilement of birth and death by severing the delusion from immense variety of tasks via the four dogmas of immeasurableness while in the Complete Teaching they can see the reality that birth and death are nirvana because there will be no defilement of birth and death. In the Gateway of Contemplation, birth and death are overcome by the three modes of entering dhyana. In other words, they attain liberation by anapana, meditation on the exhalation and inhalation of the breath, vipassana which focused on insight into all forms of dharma, and the gateway of mind that involves three meditations of void, the unreal, and the middle. The Tiantai’s doctrine on the “dying moment” is summarized in the Sutra of Visualization of the Buddha of Infinite Life and the Annotated Golden Light Sutra. There are also guidebooks, such as Lotus Samadhi Penitence Rituals and Avalokitesvara Ritual, designed to help readers reborn in the Amitabha’s Pure Land with Right Mindfulness.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entire process of Tiantai’s ritual for the dying moment, including preparations, sutra recitation, and sermon can be found in Biography of Great Priest Tiantai. Korean Cheontae Sect and Lotus Sect have their own ritual manuals for the last dying mo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