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새마을지도자의 눈으로 남녀 동수의 새마을운동 경험 읽기

        오유석 한국구술사학회 2014 구술사연구 Vol.5 No.2

        이 연구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1970년대 새마을지도자 중에서도 마을부녀회를 이끈 여성 새마을지도자들이다. 유능하고 헌신적인 새마을지도자들의 중요성과 그 역할 에 대한 지적은 많지만 개별 새마을지도자에 관한 연구는 실제로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마을운동을 남녀 동수로 참여했던 여성 새마을지도자 즉 ‘여성’의 입장에서 고 찰함으로써 1970년대 새마을운동 연구의 거시구조적 연구를 보완하고자 한다. 또, 여성 과 새마을부녀회가 새마을운동을 추진하는 기본 동력이었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지금까 지 덜 중요하게 인식되고 그 역할과 평가도 매우 제한적이었던 여성 새마을지도자의 경 험세계를 엿봄으로써 기존 남성중심 새마을운동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한다. 그녀들이 어떻게 새마을부녀회의 여성 지도자가 되었을까? 그녀들의 운동 경험과 기 억을 새마을운동의 ‘여성 주체 형성’이라는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질문은 여성 새마을 지도자로서 겪은 경험의 젠더적 의미, 더 나아가 그들의 과거 경험이 현재 기억의 지평에서 어떻게 끊임없이 반추되고 재구성되는지 알게 해 준다. 또 남녀동수의 새마을운동 경험이 지금까지도 새마을부녀회에서 활동하는 여성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무 엇인지에 대해서도 알게 할 것이다. 이는 ‘성의 정치’라는 측면에서 보면 남녀동수 참여의 유산과 대면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emale leaders of the Saemaeul (New Village) Movement that led the ‘Saemaeul women’s association’ during the 1970s. Although there are many accounts of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capable and devoted leaders of the Saemaeul Movemen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f individual leader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omplement the macro-structural study of the Saemaeul Movement by examining its ‘female leaders’. Furthermore, this research aim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male-oriented research as a look at the New Village Movement. This study will present historic facts to support the claim that the ‘Saemaeul women’s association’ operated to promote the New Village Movement and that the women were very active leaders. This historical experience of Saemaeul women’s association has had a major impact on women’s social participation in society even today(or until now).

      • KCI등재후보

        1970년대 여성 새마을 리더 주도 새마을사업의 분석과 함의

        이정주(Lee, Jeong-Ju),이윤경(Lee, Yun-Kyoung),권정현(Kwon, Chong-Hyo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7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여성 새마을 리더들이 주도하여 추진한 새마을사업의 전개 양상을 분석하고, 그 함의를 모색해 보는 연구이다. 분석 결과, 여성 새마을사업은 단계가 진행될수록 그 규모와 난이도가 더욱 확대되었으며, 사업은 한 방향이 아니라 양방향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마을사업은 초기에는 소득증대사업, 환경개선사업 및 의식개혁사업이 비슷한 규모로 추진되었지만 단계를 거듭할수록 소득증대사업의 비중이 커진 것을 알 수 있었다. 1970년대 여성의 새마을사업 참여는 전통적인 지역사회의 변화와 공동체 구성원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결과적으로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중요한 성공요인 중 하나가 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사회의 꾸준한 노력으로 여성의 인권과 지위가 향상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간다운 삶을 누리지 못하는 여성들이 적지 않다는 점을 직시하고, 새마을운동이 개발도상국의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공유될 때, 여성의 참여와 역할 및 더 나아가 여성의 권익 향상과 양성평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여성 새마을 리더의 바람직한 역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and development process of Saemaul projects led by female Saemaul leaders during the 1970s Saemaul Undong, which was listed in the UNESCO’s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and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 of female lead Saemaul projec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that the scale and difficulty of the Saemaul projects got enlarged bilaterally as the project progressed. In addition, the Saemaul projects were initially promoted to similar scale in the beginning, but it was revealed that the proportion of income increase projects grew as it progressed further. Participation of the female in the Saemaul projects during the 1970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ringing the participation of all members and changing the community from the inside. As a result, it became a major success factor of Saemaul Undong in the 1970s. Despite the fact that the human rights and status of women have been improved by the continuous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re are still a lot of women who can not live a dignified life. Therefore, while sharing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Saemaul Undong with developing countrie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n important material to find desirable roles of female Saemaul leaders who can contribute, participate and overall, enhance women rights and gender equality.

      • KCI등재

        Exploring Village Leve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the Case of Korea’s Saemaul Women’s Association

        Ga-Young So(소가영) 국제개발협력학회 2019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village leve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SDG)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Originality: The originality of this paper is to fill the literature and practice gaps on discussing how to implement the SDGs, by investigating the feasibility and importance of village level. Methodology: Based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is paper incorporates both case study and the analysis of archival materials. The novelty of this methodology comes from interpreting the archival materials, written memoirs of female Saemaul Women’s Association leaders from three different villages. Result: Saemaul Women’s Association, a government-initiated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for Koreas’ rural areas, has contributed to enhancing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Through the activities of Saemaul Women’s Association, women have begun to participate in the collective activities at the village level, departing away from their previously-confined space, household. Conclusion and Implication: This historical case study of Saemaul Women’s Association raises village level as the unit of implementation for the SDG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Adopting village level enables women on the ground to voice their opinions and empower themselves. So far, dominantly, the approach to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as been one-sided from developed countries to developing countries, resulting in the neglect of diverse and heterogenous contexts across countries of different development level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dopting village level, stresses the context diversity could be a significant driver of development.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중 양성평등과 여성역량증진에 관하여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실천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 1970년대 한국의 새마을부녀회 활동을 분석하여 접근한다. 연구의 중요성: 새천년개발목표(MDGs) 이후 UN이 새롭게 선언한 지속가능발전목표는 구체적인 실천방안과 관련한 논의 부족 등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양성평등과 여성역량증진 의 실천방안을 마을단위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마을은 가족과 공공부문의 접점을 이루는 공간단위로 개인의 이익과 공공의 이익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실천현장이다. 이러한 논의는 국가 및 개인의 차원을 뛰어 넘어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실천력을 제고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1970년대 대한민국의 농촌지역에서 양성평등과 여성역량증진에 기여한 마을단위 운동인 새마을부녀회 활동사례를 중심으로 접근한다. 본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에 기반하여 3개 마을의 새마을부녀회 회장 성공수기를 분석하고 새로운 제도가 형성되는 과정을 통하여 남녀평등과 여성 역량증진 과정을 검토한다. 연구결과: 대한민국정부가 설계하고 지원했던 마을단위에서 주민주도형 새마을운동의 일환인 새마을부녀회 활동은 전통적으로 가사일에 국한되었던 여성의 역할을 마을 공공의 활동으로 전환하는 토대를 마련하여 농촌지 역에서 남녀평등과 여성역량증진에 공헌하였다. 특히, 새마을부녀회는 주민들의 일상생활터전인 마을 단위에서 공공재 생산활동에 참여하면서 공공정책의 실천력을 제고하였다. 또한, 마을단위에서 새마을부녀회 회원들의 활동은 당시 공공영역에 참여하는 여성들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관점을 타파하는데 기여하였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사례연구는 대한민국의 새마을부녀회 활동이 주민들의 일상 생활터전인 마을 단위에서 새로운 정책 및 제도형성과 상호작용하면서 종래의 관습과 전통을 극복하고, 양성평등과 여성역량증진에 기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 실천방안이 공익과 사익이 접점을 이루는 주민들의 기초생활 터전인 마을단위에서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종래 선진국 사례를 일방적으로 따라하는 양성평등과 여성역량증진 실천방안이 개발도상국 주민들의 일상생활방식과 공간활용방식을 고려하여 접근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개발도상국 주민들의 일상생활 공간은 그들 전통과 관습이 만들어진 터전이라서 문제와 이의 해결방안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새마을부녀회를 통한 한국 농여성의 사회참여: 1970년 소득증사업의 참여를 심으로

        문용선,이미숙 대한지방자치학회 2017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9 No.1

        In development, women have been recognized as beneficiaries rather than participant. However, the Saemaul Undong in the 1970s showed that rural women can be an active participant to development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ommunity particip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Korean rural women through Saemaul Women's Association(SWA) in the 1970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the study, and 17 of SWA members and Saemaul leaders involved in Saemaul projects for income increase from three different villages in Gyeongsang North province and Jeolla South province were interviewed. For the analysis, social participation was divided into decision making, project implementation, and benefits and evaluation. The result showed that rural women deviated from passive activities such as housework, assistance of men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 society. They were also actively involved in project selection, project performance, which caused not only income increase but also community’s common benefit and improvement of welfare. In other words, participation of SWA was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rural women’s social status, personal leadership, and capacity as participants not as recipients. 개발에 있어 여성은 극 행자이기 보다는 수혜자로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1970년 새마을운동은 농 여성들에게 지역사회 참여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발을 한 극 참여자인 발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70년 새마을부녀회의 활동을 통하여 한국 농여성의 사회참여를 확인하고자 한다. 경상도와 라도 3개 마을의 새마을 소득증사업에 참여한 부녀회원과 새마을지도자 17 명의 사회참여 과정을 질 연구방법으로 탐색하다. 사회참여를 의사결정 참여, 사업의 수행, 혜택과 평가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농여성은 통 유교사회의 가사노동과 남 성들을 보조하는 소극 활동에서 벗어나 지역 특성에 맞는 사업의 선정, 사업 수행으로 단순한 소득증를 넘어 마을 공동의 이익과 복지향상을 한 성과의 확산으로 이어졌 다. 즉 새마을부녀회 활동을 통해 개발의 수혜자가 아닌 참여의 주체로서 개인의 지도력 과 자질의 향상은 물론 사회 지향상에 기여하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농촌 부녀회 연례관광의 내용과 성격 변화

        강혜선(Kang, Hye-Seon)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5

        이 글의 조사지는 400년 이상 동성반촌으로 지속되고 있는 마을로 유교적 이데올로기에 의한 가부장제와 양반의식이 여전히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곳이다. 그래서 여성들은 가정 안팎으로 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았다. 또한 마을 내 타성들은 김씨 문중 구성원들과 함께 마을조직 활동을 하지 못했다. 그러나 문중 여성들은 혈연공동체가 가지는 이러한 단결성을 원동력으로 1960년대부터 부녀회를 시작했고, 그 활동 중 하나로 연례관광을 했다. 이후 새마을운동 시기 국가 주도 하에 부녀회를 재결성하여 절미운동과 구판장 운영을 했고, 매년 안정적으로 기금을 마련하여 연례관광을 지속하였다. 연례관광의 과정과 내용 측면에서 보면 여성들이 활동 주체가 되어 가장의 허락 없이 연례관광 참여 여부를 결정하고, 집안일로부터 벗어나 하루 동안 마음껏 즐기고, 관광지에서 자유롭게 소비한다는 점에서 탈가부장제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여성들이 매년 같은 달, 같은 장소에서 문중 여성들끼리 하던 ‘고정적’ 성격의 화전놀이 대신 매년 다른 달에 안동 외 지역에서 부녀회 회원들이 하는 ‘가변적’ 성격의 연례관광을 지속한다는 점에서 연례관광을 화전놀이의 대안적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들이 대형 관광버스를 타고 안동 외 지역을 관광했다는 점에서 연례관광이 여성들에게 신문물을 경험하고 명승고적을 구경할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연례관광은 최근 문중 구성원들의 세대교체와 시대에 따른 의식 변화로 그 성격이 문중결속형에서 주민친목형 관광으로, 정숙한 구경에서 신명풀이 관광으로 그 성격이 바뀌었다. 그러나 먹거리 체험에서 만큼은 새로운 것 보다는 익숙한 것을 더 선호하는 모습을 보였고, 기념품을 구입할 때에도 ‘주부’의 입장에서 가정에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동성반촌의 부녀회 연례관광을 통해 동성반촌 내 여성 조직의 역할과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연례관광의 내용과 성격 변화를 통해 동성반촌 여성들의 삶의 모습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1950~1960년대 농촌 마을 부녀회의 조직과 성격

        강수연(Kang Soo-yeon) 한국역사연구회 2018 역사와 현실 Vol.- No.108

        Studies of Women’s Societies in the past have examined those societies in three different periods: the ones organized in the 1930s and ‘40s, the ones that were formed right after the Liberation and lasted through the 1950s, and those which existed in the 1960s and ’70s. This article focuses upon the last group of Women societies, which so far has been examined from two distinctively different points of view. Initially there was a perspective which considered them as ground-level administrative units that served the National development plan of the government. Such view considered all the females in agricultural regions as ‘participants’ who cooperated with those governmental efforts. Yet later, announced was another breed of studies which argued that the state’s development policy and the females’ realistic needs were able to ‘accommodate’ each other through the Women’s societies, and that enabled the females to enjoy and exact their own rights in a particular way. These studies allowed the readers to understand what the Women’s societies would have really looked like in the 1960s and ’70s. Yet these studies also tended to view those Women’s societies as units which ‘mobilized’ females in the area, and concentrated their examination upon the ‘Saemaeul Women’s Societies’ that operated in the 1960s and especially the 70s when the state’s development plans targeting agricultural areas were reaching its peak. This approach creates sort of a problem, as it insinuates that the wide range of female participation in all these state-led women’s societies (which had continued to function since the 1960s) was only a result of the state’s agricultural region development plan, as well as the “Saemaeul” movement. In this article it is attempted to properly determine the background which gave birth to these Women’s societies led by the state in the 1960s, and how they developed later on. The dynamics between agricultural regions’ females and the state government would reveal how they were formed(or how the concept was accepted), and how those units actually came to serve as special spaces, fulfilling the desires of the females in those regions.

      • KCI등재

        Exploring Village Leve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the Case of Korea’s Saemaul Women’s Association

        소가영 국제개발협력학회 2019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village leve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SDG)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Originality: The originality of this paper is to fill the literature and practice gaps on discussing how to implement the SDGs, by investigating the feasibility and importance of village level. Methodology: Based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is paper incorporates both case study and the analysis of archival materials. The novelty of this methodology comes from interpreting the archival materials, written memoirs of female Saemaul Women’s Association leaders from three different villages. Result: Saemaul Women’s Association, a government-initiated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for Koreas’ rural areas, has contributed to enhancing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Through the activities of Saemaul Women’s Association, women have begun to participate in the collective activities at the village level, departing away from their previously-confined space, household. Conclusion and Implication: This historical case study of Saemaul Women’s Association raises village level as the unit of implementation for the SDG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Adopting village level enables women on the ground to voice their opinions and empower themselves. So far, dominantly, the approach to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as been one-sided from developed countries to developing countries, resulting in the neglect of diverse and heterogenous contexts across countries of different development level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dopting village level, stresses the context diversity could be a significant driver of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