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國史記의 체육문화 이삭줍기 : 활

        김성일,주동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삼국사기(三國史記)는 삼국유사(三國遺事)와 함께 우리나라 고대사에서 더없이 귀중한 사료(史料)로서 국보 (國寶)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삼국사기에 대한 체육학의 연구가 거의 없었다는 것은 삼국사기에는 체육학적 연구 자료가 별로 없었다고 간주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슬로우-리딩(Slow Reading)을 통해 삼국사기 ‘자세히 읽기(close reading)’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매우 다양하고 많은 양이 검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국 사기의 활쏘기는 대부분 왕과 관련지어 나타났다. 둘째, 왕은 활쏘기를 잘하였던 선사(善射)로 등장한다. 셋째, 열전(列 傳)에서 보이는 삼국사기의 활쏘기는 주로 무용담(전쟁)이다. 이것은 주인에 대한 충성스런 마음, 변하지 않은 절개 그리 고 조국에 대한 충절이다. 넷째, 사회문화적 예(禮)와 비유로서의 활 문화이다.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long with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s a national treasure as an invaluable historical resource in Korea's ancient history. Nevertheless,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 physical education o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s believed to have considered tha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e study attempted a "close reading"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slow-reading. Research has found a wide variety and large amou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rcher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mostly related to the king. Second, the king appears as a prehistoric man who was good at archery. Third, the archer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is seen in the thermoelectric system, is mainly a story of military service. This is a loyal heart to its master, an unchanging incision, and an allegiance to its motherland. Fourth, it is a social and cultural example and an archery culture as a metaphor.

      • KCI등재

        『삼국사기(三國史記)』 사화(史話)의 문학적 변용양상과 의미

        최은숙 ( Eun Sook Choi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동방학 Vol.25 No.-

        이 논문은 <해동악부>를 대상으로 『삼국사기』 史話의 변용양상과 의미를 밝힌 논문이다. 이를 위하여 『삼국사기』가 김부식이라는 고려인에 의한 삼국사 재구라면 <해동악부>는 조선조 지식인에 의한 『삼국사기』다시 읽기라는 관점을 취하였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삼국사기』의 사화를 가장 많이 수용한 김종직, 이익, 오광운의 작품을 대상으로 역사 읽기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 문학적 변용의 몇 가지 국면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해동악부>는 『삼국유사』보다는 『삼국사기』 사화를 주된 시적 모티프로 삼고 있다. 이는 시를 통해 正史를 재현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들 작품에 공통적으로 사용된 모티프는 주로 『삼국사기』 열전에 나오는 비극적 숭고미를 보여준 영웅의 모습이었다. 이들은 이념의 효율적 감화를 쉽게 유도할 수 있는 모티프라는 특성이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조선조 <해동악부> 창작자들은 『삼국사기』에서 유교적 이념 찾기를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각각의 작품에 나타난 문학적 변용 양상은 몇 가지로 구분된다. 역사적 서사를 복원하려는 방식, 현재적 관점에서 사화를 재조명하여 그것의 의미를 재평가하려는 방식, 역사적 장면을 그대로 재현하는 방식 등 다양한 국면으로 나타난다. 이상의 연구는 <해동악부>를 통해 그동안 부각되지 않았던 조선조 지식인의 『삼국사기』읽기 방식과, 이를 통해 역사를 이야기하는 방식을 구명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paper disclosed the changed phenomena and meanings of 『삼국사기(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historical story based on <Haedongakbu>. For that, <Haedongakbu> took a view of re-reading 『삼국사기』 by the intellectual in Choseon Dynasty period. Centering around such a viewpoint, this paper, with respect to literary works written by Kim Jongjik, Lee Ik and Oh Gwangun, examined phenomena and features of history reading and a few phenomena and meanings of literary changes. <Haedongakbu> takes 『삼국사기』 historical story rather than 『삼국유사』as a main poetic motif. This seems to originate from an intention for reproducing official history through poems. In the meantime, the motif commonly used in these literary works was a shape of a hero who showed mostly miserable sublime beauty. Their idea is a motif easily able to induce idealistic inoculation. Judging from these facts, the creators of <Haedongakbu> in Choseon Dynasty period sought Confucian idea from 『삼국사기』. Meanwhile, each piece of work shows various phenomena of literary change: 1) a method of recovering historic narration, 2) a method of disclosing a manifest meaning of historical stories and evaluating them, 3) a method of reproducing the history as it is, etc. The study above will contribute to revealing a method of reading 『삼국사기』 by Joseon Dynasty period which has not been stood out up to now through <Haedongakbu> and a method of telling the history through this.

      • KCI등재

        『삼국사기』 구두본[句讀本]의 간행과 성격

        김희만(Kim, Heui-ma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장서각 Vol.0 No.37

        이 글에서는 1909년 ‘조선고서간행회’에서 간행한 『삼국사기』 구두본[句讀本]의 간행과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삼국사기』는 『삼국유사』와 함께 한국 고대사 연구를 위해서 가장 기본 자료이며, 필수 史書다. 따라서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미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삼국의 역사를 체계화하는데 이바지하고 있다. 특히, 『삼국사기』는 고려시대에 저술된 삼국의 정사로서 가장 오래된 고대사 자료이다. 그런데 『삼국사기』는 그 자체 목판이나 주석활자 등을 중심으로 원본을 지속적으로 간행하여 그 판본이 전해지지만, 이를 해독하기 쉽게 구두점을 찍어서 보급한 것은 1909년 발간된 ‘조선고서간행회’ 『삼국사기』 구두본이 처음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이 책을 간행한 ‘조선고서간행회’의 規則 과 임원[役員]에 대하여 살펴보고, 다음으로 『삼국사기』 구두본이 어떤 과정을 거쳐 간행되었는지와 이 책의 例言을 통해 그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1909년 ‘조선고서간행회’ 『삼국사기』 구두본의 성격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이 책을 발간한 ‘조선고서간행회’에서는 조선을 통치하기 위해 조선의 형편과 국민성을 알아야 할 필요성에 따라 고서를 수집하고, 이를 書目으로 정리하여 실제로 총 28종 82책의 고전을 묶어 『朝鮮群書大系』로 간행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간행본에는 명예찬성원과 특별찬성원 그리고 본회평의원 등이 열거되어 있으며, 그 말미에 본회주간과 句讀者 그리고 校正者 를 나란히 병기하고 있음으로써, 당시의 정치사회적 상황을 파악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여겨진다. 또한, 1909년 8월 1일 ‘조선잡지사 朝鮮珍書刊行部’에서 본사의 조선진서간행계획을 발표하고 그 내용을 통해서 『삼국사기』 구두본의 간행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그 例言에 보이는 책의 원본과 구두점에 대한 내용, 그리고 「進三國史記表」와 「東明王篇」을 앞뒤로 싣게 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조선고서간행회본 『삼국사기』의 성격에도 접근해 볼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金居斗 跋文의 書誌 형태를 파악해 봄으로써 이 판본의 특징에 대해서도 검토해 볼 수 있었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amine the publishing and character in Samguksagi (三國史記). Samguksagi is the most basic material together with Samgukyusa (三國遺史) for the study of Korean ancient history, and it is an essential history book. Therefore, various studies have already been carried out on this, and this contributes to systematizing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n particular, Samguksagi is the longest ancient history document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was written in the Goryeo period. However, Samguksagi was originally published in the form of woodblocks and tin type, and the original was continuously published, and the version was published, but it was spread by punctuation easily to detract from the fact that BooK of Joseon Old Book Society Samguksagi It is the first tim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we first examine the rules and officers of Joseon Old Book Society, and then, through the course of the process of Samguksagi Punctuation point Text, And then examined the nature of the Samguksagi in the 1909 Joseon Bulletin. As a result, the Joseon Old Book Society, which published this book, collects repor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nationality of Joseon in order to rule Joseon, Which was published in the Joseon Veriety Books System, which includes the Honorable Prosperity Member, the Special Prosperity Officer, and the Members of the Council. At the end of this part, the members of the Association, the Phrase Booker and the Proofreader are listed side by side, It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data to grasp the situation. In addition, on August 1, 1909, published a plan to publish the Joseon Dynasty and it was possible to examine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the publication of Punctuation point Text, I could confirm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and punctuation, and put forward and backward the 「Devoting Words of Samguksagi」 and 「Volume of King Dong-myeong」.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Samguksagi in the Joseon Old Book Society. In addition, I tried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edition by looking at the form of Epilogue written by Kim Geo-du (金居斗).

      • KCI등재후보

        음악교과서 속 거문고 기원에 관한 내용의 재검토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하는 거문고 기사를 중심으로

        현경채 ( Kyung Chae Hy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하는 거문고 기원에 관한 내용을 재검토하여 중·고등 학교 음악교과서를 비롯하여 한국음악계에 일반적으로 인용되는 거문고의 기원론의 문제점을 찾아보는 데에 두었다. 고구려 재상 왕산악이 중국의 진나라의 칠현금(七絃琴)을 개조하여 거문고를 만들었다는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거문고 기사는, 거문고와 칠현금(七絃琴)의 악기 구조와 연주법에서 다른 성격의 악기인 것을 감안해 볼 때 재고할 여지가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본고는 『삼국사기(三國史記)』거문고 기원의 재고찰를 위해 『신라고기(新羅古記)』를 인용한 거문고의 기원에 관련된 것과 『금조(琴 操)』를 인용부분을 중심으로 중국 금(琴)과 상이한 점을 지적하였다. 거문고의 모델이 되었다는 중국의 금(琴)과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학계에서 다룬바 없는 연구로 교육학계나 국악학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하는 거문고 기원에 관한 내용의 검토를 통하여 음악교과 교안과 국악이론서에 거론된 거문고 기원 연구에 도움이 되게 하기 위함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amguksagi (三國史記)』is to revisit the origins of the Korean harp and to identify problems related to the origins that are generally quoted in the Korean music sector including high school music textbooks. 『Samguksagi(三國史記)』notes that the Prime minister of Goguryeo, Wangsanak, made modifications to chilhyeongeum of the kingdom of Qin in coming up with geomungo. Since the Korean harp and chilhyeongeum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structure and performing method, it is worthy to reconsider the statement. In this paper, in order to revisit the origins of 『Samguksagi (三國史記)』 geomungo, we focused on its origins as told by 『Sillagogi (新羅古記)』and 『geumjo (琴操)』in identifying differences between geomungo and China`s geum.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harp and China`s geum which is told to be the model of the Korean harp has never been carried out before and will contribute to academics and Korean music. This thesis 『samguksagi (三國史記)』is to review the origins of the Korean harp and to contribute to Korean music text books that mention the research of Korean harp.

      • KCI등재

        三國史記에서 찾아본 弓道문화 : 矢, 箭, 弩

        주동진,이창수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우리나라 전통 弓矢(弓箭), 즉 角弓과 竹矢는 傳承文化로서 세계 제일이다. 왜냐하면 角弓은 다양한 재료를 혼합 한 複合弓으로 그 성능이 매우 우수하며, 竹矢 역시 대나무를 기술적으로 제조하여 매우 뛰어난 기능을 가졌기 때문이다. 우리 활은 최대사거리가 340m-360m이며, 크기가 적당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우리 활은 기술적인 면(스포츠과학) 에서도 세계적이며, 정신문화적 입장(스포츠윤리와 도덕)에서도 특별하다. 세계의 민족전통활 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는 이때, 우리나라 최초의 文獻 史料인 삼국사기에 숨겨져 있는 우리 궁도문화를 잘 활용하면 우리나라 체육사의 자부심 을 치켜세울 수 있다. 이 연구는 三國史記의 ‘활(弓) 문화’에 이어서, ‘화살(矢, 箭)문화’를 연구하였다. 삼국사기에는 화살 을 한자어로 ‘矢’, ‘箭’, 대나무 화살은 竹箭, 싸리나무로 만든 화살은 楛矢로 쓰였다. 竹箭은 주로 新羅, 楛矢는 高句麗의 기사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百濟는 竹矢와 楛矢 모두 사용하였다. 이는 대나무의 生長環境과 관련되어 보인다. 流矢와 飛矢가 여러 차례 기술되고 있는데 이는 矢石과 같이 ‘전쟁’ 혹은 ‘전쟁터’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矢石暫交와 矢石之間, 飛矢如雨과 飛矢雨集가 바로 그 예이다. 한편, 張弓挾矢는 ‘활을 쏜다는 뜻’이며, 千鈞之弩는 ‘대단히 무겁다’는 四字成語이다. 그리고 弓矢는 평상시에는 心身修養의 의미이지만, 非常時에는 전쟁준비를 뜻한다. 삼국사기의 화살문화 는 주로 전쟁과 관련되어 등장하였다. Korea's traditional bow(Gug-Gung, 國弓) is world-famous in the technical side. Moreover, Korea Gug-Gung (國弓) is a very special in terms of moral culture. The Archery culture was inherent in the Korea's first literature called the name of Samguk-Sagi(三國史記;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f we use that contents, we will pull up our pride in the ares of Korea's physical education history. This study was concentrated on the arrow culture (Si (矢), Jeon (箭) culture) as the following up study of the bow culture of Samguk-Sagi (三國史記). In the contents of Samguk-Sagi (三國史記), arrows are written as Si (矢) and Jeon (箭) in Chinese characters. Arrows were made of bamboo called ‘Jugjeon’ (竹箭), and arrows were made of bush clover called ‘Hosi’ (楛矢). Lyusi (流矢) and Bisi (飛矢) were described several times in Samguk-Sagi(三 國史記), which were used the meaning of war or battleground. Siseogjamgyo (矢石暫交), Siseogjigan (矢石之 間), Bisiyeou (飛矢如雨) and Bisiujib (飛矢雨集) were some examples. Meanwhile, Janggunghyeobsi(張弓挾矢) had the meaning of ‘shoot a bow’, and Cheongyunjino(千鈞之弩) had the meaning of ‘very heavy’ called Sajaseongeo(四字成語). And Gungsi(弓矢; Bow and arrow) had usually the meaning of ‘mental and physical training’ (心身修養), however, during the emergency time, it had the meaning of ‘preparation for war’. The arrows culture of Samguk-Sagi (三國史記) were closely related with War and appeared many times in the historical record.

      • KCI등재

        『삼국사기』 후고구려・궁예 관련 기록의 계통 검토

        홍창우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7 No.-

        『삼국사기』는 후고구려나 궁예와 관련하여 국내・외의 그 어떠한 자료들보다 풍부한 정보를 우리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삼국사기』 내에 이들에 대한 정보가 모두 단일한 것은 아니다. 궁예의 사회 진출에 대해 본기・열전・연표가 모두 제각각의 기술을 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궁예와 후고구려에 대해서 단일하지 않은 정보들이 존재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반도에 후삼국시대가 전개될 즈음 중국은 5대 10국으로 분열된 혼란기를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한반도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에 대한 관심은 그리 높지 않았을 것이다. 실제로 『자치통감』, 『자치통감고이』, 『남당서』 등의 중국측 자료에서 보이는 후고구려・궁예 관련 기록들은 국내측 전승과 대교했을 때 어긋나는 대목을 상당수 발견할 수 있고, 그 어긋남의 정도 또한 매우 크며, 이 정보들이 『삼국사기』에서 활용된 사례 역시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중국측 정보군 가운데 적어도 후고구려와 궁예에 대한 기록들은 『삼국사기』 편찬자들에게 활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자연스럽게 논의는 국내측 전승으로 좁혀진다. 『삼국사기』에서는 후고구려에 대한 정보들을 기재할 때 그 어디에도 참고한 전거를 밝히고 있지 않다. 이에 이 글에서는 직관지과 열전에 보이는 후고구려의 관제 설비 기록에 주목하였다. 직관지의 해당 구조를 보면 이 기록은 고구려와 백제의 관제 정보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고구려・백제 관제 정보에는 모두 그 출처가 제시되어 있는 반면에 후고구려의 그것은 전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고구려와 백제의 관제 정보는 국내측 자료인 ‘본국고기’를 활용하고 있는데, 관제를 제시하고 있는 양상이 다르고, ‘본국고기’ 측의 정보가 매우 소략하며, 여기에서의 ‘본국’은 각각 ‘고구려’와 ‘백제’를 지시하고 있다. 따라서 후고구려의 관제 정보는 적어도 ‘본국고기’에서 비롯한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한편 후고구려 관제 정보의 분주에 보이는 ‘今’의 시점을 추정하여 이를 『구삼국사』의 일문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 여러 사례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이 견해 또한 동의할 수 없다. 중국측 정보도, ‘본국고기’나 『구삼국사』 등의 국내측 전승도 아니었다면, 여기에는 제3의 자료군이 활용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에 마지막으로 이른바 ‘독자적 자료’가 활용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궁예 열전에 보이는 궁예와 양길 사이의 전투 기사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후고구려측의 시각과 인식이 강하게 투영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삼국사기』 궁예전 찬자의 궁예 및 후고구려에 대한 시선이 대단히 부정적인 것을 감안했을 때, 궁예가 지도자적 자질을 가지고 있었다고 평가하거나 몇몇 대목에서 그를 우호적으로 기술한 대목 역시 궁예측의 관점이 노정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 고대의 삼국은 자국의 역사를 스스로 정리한 바 있다. 후고구려에서도 궁예가 스스로 경전 20여 권을 지었다거나 그의 참모였던 최응이 곁에서 붓으로 무엇인가를 쓰고 있었다거나 후고구려에서 문한기구가 정비되었던 사실 등은 이들의 인식과 시선 및 관점이 들어가 있는 자료들의 존재를 암시한다고 하겠다. 물론 『삼국사기』에 기재된 후고구려・궁예 관련 정보가 모두 이 자료들에 근거하여 작성되었... This article is purposed to review the systemicity of the records related to Gungye(弓裔) and the Later Goguryeo[後高句麗] shown in Samguksagi(『三國史記』). Samguksagi provides ric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ter Goguryeo and Gungye than any other internal and external material. But, all the information in Samguksagi is not unified. A typical example is that Gungye’s entry into society is differently described in Bongi[本紀; the Annals of three Kingdoms], Yeoljeon[列傳; Biography], and Yeonpyo[年表; the chronological tables of kings] respectively. The introduction of Gungye’s Biography shows un-unified information of Gungye and the Later Goguryeo in the descriptions by presenting two theories of his paternal line. As well known,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in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called Husamguk(後三國), China was also during the confused stage, divided into Wǔ-Dài Shí-Guó[5代 10國], which means China could not have much interest in what happened to the Korean Peninsula. Actually, the records related to the Later Goguryeo in Chinese history such as Zīzhìtōngjiàn(『資治通鑑』), Zīzhìtōngjiànkǎoyì(『資治通鑑考異』), and Nántángshū(『南唐書』) show quite a few discordant descriptions with actual internal events and heritage and the degree of discord is quite large, and it’s hard to find a case that the recorded information was used in Samguksagi. Thus, it is true that the information of the Later Goguryeo from Chinese materials was not utilized by the compilers of Samguksagi, at least on the Later Three Kingdoms-related records. Accordingly, the discussion is narrowed down to the internal ones. Samguksagi does not show any references or source used in the descriptions of the Later Goguryeo.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records related to the Later Goguryeo’s government organization shown in Jikgwanji[職官志; a biography of the office positions] and Yeoljeon. The records in Jikgwanji include government organizations of Goguryeo(高句麗) and Baekje(百濟). All the records of Goguryeo’s and Baekje’s government organization show the source, not for those of the Later Goguryeo’s. In internal materials, the information of Goguryeo’s and Baekje’s government organization was recorded by utilizing ‘Bongukgogi’(本國古記) in different patterns, that is, the information from ‘Bongukgogi’ is very rough and simple, in which ‘Bonguk’(本國) designates ‘Goguryeo’(高句麗) and ‘Baekje’(百濟) respectively. Thus, it is said that the information of the Later Goguryeo’s government organization was not from ‘Bongukgogi’.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assumption that it is from Gusamguksa(『舊三國史』) meaning Ol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based on the Sidenotes[分註], ‘as of today’[今] in the records of the Later Goguryeo’s government organization. But considering all the divergent cases, the view is not agreed. If the source was not from China, nor internals such as ‘Bongukgogi’ and Gusamguksa,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at there was the third source. Thus, we can think of the last source, that is, ‘their own materials’. The story about the battle between Gungye and Yanggil(梁吉) shown in Gungye’s Biography generally reflects the view and recognition of the Later Goguryeo. The compiler of Gungye’s Biography of Samguksagi showed quite a negative view of Gungye and the Later Goguryeo. Thus, some favorable descriptions of Gungye and his leadership would imply the views from Gungye’s. Ancient three kingdoms in Korea experienced that they compiled their history themselves. Likewise, the facts that Gungye wrote twenty scriptures himself, his aide Choieung(崔凝) was writing something down by Gungye, and documental archive or organization in the Later Goguryeo was well arranged imply that their viewpoints and recognition were included in the records. Of course, it is diffi...

      • KCI등재

        『삼국유사』에 인용된 『삼국사』 검토 - 표기와 인용 방식을 중심으로 -

        차광호 ( Cha Kwang-ho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1

        『삼국유사』의 전거 중 하나인 『삼국사』는 현전하지 않기에 실체 파악이 어렵다. 더욱이 ‘삼국사’라는 서명은 『삼국유사』의 또 다른 전거인 『삼국사기』나 『국사』의 동의어로도 사용될 수 있어서 혼란은 가중된다. 『삼국유사』의 찬자 역시 이러한 점을 알고 있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삼국유사』에서 전거를 인용하는 방식에 주목하였는데, 그 결과 전거명의 표기와 관련해서 몇 개의 규칙성을 찾을 수 있었다. 『삼국유사』에 인용된 『삼국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표기되었다. 우선 이 책을 인용할 때마다 ‘삼국사’라는 전거의 명칭을 빠짐없이 기록해 출처를 명확히 하였다. 다음으로 ‘삼국사’와 그 종속어를 병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삼국사』의 종속어로는 「本傳」이나 「列傳」과 같이 ‘傳’의 형식을 갖는 용어들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출전 표기 방식은 『국사』나 『삼국사기』와 차이가 있다. 『국사』는 ‘국사’라고 표기한 경우도 있었지만, 그 용어를 생략하기도 했고, 때로는 ‘記’ 형식의 종속어로 출처를 밝히기도 하였다. 또한 ‘史傳’이나 ‘國史史臣’과 같이 ‘史臣’류의 용어들로 표기하기도 하였다. 『삼국사기』는 ‘삼국사기’라는 서명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 대신 「史臣之論」이나 「史論」과 같은 ‘史臣’류의 용어들로 출처를 표기하였다. 이와 같이 『삼국유사』의 찬자가 『삼국사』를 『국사』나 『삼국사기』와 다르게 표기하였다는 것은, 이들 세 전거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점을 시사한다. 한편 원문과 인용문의 관점에서 『삼국유사』에 인용된 『삼국사』와 『삼국사기』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는데, 『삼국사』가 『삼국사기』일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점을 살필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두 사서의 관련 내용은 주제와 문맥, 문장 구조와 분량, 용어와 표현 등에서 공통점보다는 차이점이 많았다.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삼국유사』의 찬자는 적어도 출전의 표기와 인용 방식에 있어서 『삼국사』를 『국사』나 『삼국사기』와 구분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Samguksa, which is cited in Samgukyusa, is transmitted no longer toda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igure out its true nature. Furthermore, the title Samguksa itself can be confused with Samguksagi, which was also published during Goryeo, and Guksa, one of references of Samgukyusa.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ies that the author of Samgukyusa was aware of confusion involved in the title Samguksa and set a couple of minimum criteria of writing to address the confusion. As a result, he distinguished Samguksa, Guksa, and Samguksagi when citing them in the book. When citing Samguksa, in particular, he made it sure that he wrote down the title Samguksa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He also used analogous or subordinate terms like Bonjeon and Jeon for Samguksa. He used Gi and Saron for the subordinate or analogous terms for Guksa and cited Samguksagi in the form of Saron in his Samgukyusa.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Samguksa cited in Samgukyusa is a different book from Guksa and Samguksagi.

      • KCI등재

        7세기대 한·중 사서의 교류 기사 검토

        김덕원(Kim, Deok-won) 신라사학회 2017 新羅史學報 Vol.0 No.41

        7세기대의 삼국과 당의 교류 기사에서 중요한 부분은 당과의 외교와 전쟁에 대한 분야인데, 특히 645년 당의 고구려 침입, 660년 나당연합군에 의한 백제 멸망과 668년 고구려 멸망, 676년 나당전쟁 등 4개의 사건에 대한 기록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당이 건국한 618년부터 나당전쟁이 종료되는 676년까지 약 60여 년 동안 삼국과 당의 교류와 관련한 기사는 약 600여 회에 달하고 있으며, 한 번의 교류도 없었던 630년과 634년의 두 차례를 제외하고는 평균 1년에 약 10여 회 내외의 교류 관계 기사를 상정할 수 있다. ≪삼국사기≫와 ≪구당서≫를 기본으로 하는 한국 사서와 중국 사서의 기사의 내용은 크게 정치・전쟁・외교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사의 형태는 공유기사, 누락기사, 개별기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기사들은 대부분은 동일하거나 비슷한 내용을 서로 공유하고 있으며, ≪삼국사기≫가 ≪구당서≫보다는 ≪자치통감≫과 ≪책부원귀≫의 기사를 더 많이 인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 사서와 중국 사서에는 특히 전쟁 기사를 중심으로 상대국의 사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개별기사들이 주목된다. 이것은 아마도 현존하지 않는 한국 사서에 수록된 기사였을 것이고, 그 기사의 사료적인 신빙성은 상당히 높았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계림잡전≫이나 ≪구삼국사≫ 또는 고기류와 같이 서명만 알 수 있는 한국 사서들에 기록되어 있는 원사료(source)라고 할 수 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다양한 내용의 설화 형태로 이루어진 기사들이 여러 곳에 수록되었으며, ≪삼국사기≫ 열전에는 더 많은 분량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함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편찬된 고려 중・후기 무렵에 활동하였던 문인들의 문집도 주목된다. 즉 이인로의 ≪파한집≫, 이규보의 ≪백운소설≫, 최자의 ≪보한집≫, 이제현의 ≪역옹패설≫ 등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들 중에서도 삼국시대에 전승된 여러가지 기사들이 수록되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Those having much volume of exchange articles between Three Kingdoms and Tang(당) are about diplomacy and war areas, expecially which account for major part of records about 4 incidents such as Tang’s invasion to Goguryeo in 645, Baekje’s collapse by Silla’s and Tang’s combined forces in 660 and Goguryeo’s collapse in 668 and Silla and Tang war in 676. For about 60years between 618, when Tang was founded and 676 Silla’s and Tang’s war was ended, articles related to exchange between Silla and Tang have come to about 600 times. And the contents of articles of Korea history books and China history books based on Samguksagi(삼국사기) and Gudangseo(구당서) can be largely categorized to politics, war and diplomacy. Historical materials not recorded in China history books, for example, Jachitonggam(자치통감) and Chaekbuwongui(책부원귀) etc. are recorded Korea history books only whose book names can be known like Gyerimjapjeon(계림잡전) or Gusamguksa(구삼국사) or Gogi(고기) genus. such historical materials are recorded in a form of tale at Samguksagi and Samgukyusa(삼국유사), so their original figures may have been confirmed. Samguksagi and Samgukyusa contain historical materials formed in a form of tale with various contents. It is assumed that these historical materials are likely to have been recorded a lot in the history books which do not exist.

      •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견훤・왕건의 攻防

        박순교(Park Soonkyo)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三國史記≫는 927년 한겨울 경애왕이 포석정에 遊行하여 酒興에 빠졌고, 때마침 신라에 침입한 견훤에게 체포되어 비극적 최후를 맞이했다고 한다. 당시 견훤은 경애왕을 죽인 것은 물론 경애왕의 왕비를 강간했으며 군사들을 풀어 궁중의 비빈들마저 집단 강간하는 등 일대난행을 일삼았다고 한다. 한데 경애왕 사인과 시해 주체, 죽음의 장소, 죽음의 시기 등이 특정되지 않는 등, ≪三國史記≫全篇의 기록에선 相異, 혼선이 있다. 경애왕 최후에 관한 한, 기록이 이처럼 난맥상을 보인다면 관련 기록 역시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하리라 여겨진다. 지금껏 경애왕 최후를 전한 기록이 等價的으로 해석되어 왔다면, ≪三國史記≫에서 全文에 가까운 형태로 인용되어 있는 왕건, 견훤의 書翰에 우선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三國史記≫를 저본으로 했으면서도≪三國遺事≫에서 加減한 대목 역시 일연의 해석이라 여겨지므로 눈여겨 볼 대목이다. 왕건, 견훤의 書翰에 따를 경우 경애왕 시해의 주범은 엇갈린다. 견훤 스스로는 경애왕을 시해한 적이 없다고 항변하고 있다. 이 점은 주목할 사안이며, 경애왕 시해 사건을 다시 검토할 까닭이다. 견훤의 악행 중 으뜸으로 거론되는 ‘견훤의 경애왕 왕비 강간’ 역시 미심쩍다. 왕건은 격문의 형태로 낱낱이 견훤의 죄상을 그악하게 공박하였다. 하지만, 왕건은 정작 대서특필해야 할 견훤의 경애왕 왕비 강간 항목, 다시 말해 견훤의 파렴치를 드러내어 천하의 공분을 일으킬 ‘왕비 강간 사건’, ‘비빈들에 대한 집단 윤간’에는 침묵하고 있다. 그럼에도 ≪三國史記≫는 왕건조차 언급하지 않은 견훤의 ‘왕비 강간’, ‘비빈에 대한 집단 윤간’을 기정사실로 기록하여 견훤을 ‘악의 화신’인 양 폄훼, 재단하고 있다. 견훤의 3대 거악, 이른바 ① 경애왕 시해, ② 경애왕 왕비 강간, ③ 집단 윤간(비빈들을 대상으로 한)의 문제를 재검토할 여지, 까닭이 새삼 존재한다. 요컨대 그간 회자, 신봉되어 온 경애왕의 죽음, 그에 대한 해석(견훤의 경애왕 시해, 견훤의 경애왕비 강간 등)은 재검토의 여지를 남긴다. Samkuksaki(≪三國史記≫) testifies that king Kyungae(景哀王) went to the Poseokjeong in the winter of 927, and got stuck into the booze, that king Kyungae(景哀王) met a tragic end by GyeonHwon(甄萱) to have broken into Silla. But, there are the differences, confusions between the recording of all the Samkuksaki(≪三國史記≫). type of death, murder subject, time of death, all specific place of death, and so on in relation to king Gyeongae of Silla can"t be specially fixed. In the letter of GyeonHwon(甄萱) and WangKeun(王建), near to primary historical records, the main culprits of murder varies from one person to the next. Rape of king Kyungae(景哀王)"s queen which has been told as one of GyeonHwon(甄萱)"s greatest evils, is also suspicious. In the form of a declaration, Wanggeun, in detail, continued persistent attack against GyeonHwon(甄萱)"s numerous crimes. But, As for Gyeon Hwon(甄萱)"s rape crime of Silla king Gyeongae"s queen, which must be made headlines of manifesto, namely, which must disclose GyeonHwon (甄萱)"s shameless, despicable, heinous human nature, Gyeon Hwon"s shameless of a positive to cause of all the indignation. Nevertheless, Samkuksaki(≪三國史記≫) took records GyeonHwon(甄萱)"s rape of the queen as to be an established fact, and then denounced him ‘the incarnation of evil’. In short, Silla"s king Gyeongae death, interpretations of king Gyeongae(eg, GyeonHwon(甄萱)"s assassination of king, GyeonHwon(甄萱)"s rape of the queen) leave room for questions, the scope of a radical review.

      • KCI등재

        『삼국사기』 열전 속의 고구려인 반역 인물과 그 평가

        최일례(Choi, ilrye) 한국사학회 2024 史學硏究 Vol.- No.153

        본 논고는 『삼국사기』 열전 속의 고구려인 반역 인물과 그들에 대한삼국사기 편찬자의 평가를 검토한 것이다. 열전 속 인물 중 고구려인으로서 반역을 한 인물은 명림답부, 창조리, 연개소문이 있다. 3인 모두 반역에 해당하는 행위를 했지만 그 평가는 달랐다. 명림답부는 명신 유형에 해당하는 열전 5권에 입전되었다. 반면 창조리와 연개소문은 반역자 유형에 해당하는 열전 9권에 입전되었다. 그런데 특이한 점은 창조리와 연개소문의 행적에 대해서는 고구려본기와 열전에서 거의 차이가 없다. 연개소문의 경우에는 당나라와의 전쟁기록이 고구려본기에 자세하므로 적지 않는다고 할 정도이다. 같은 사실을 구태여 중복 서술하지 않겠다는 『삼국사기』 편찬자의 서술 태도이다. 반면 명림답부의 행적은 차이를 보인다. 즉 고구려본기에서는 명림답부가 차대왕을 시해했던 반역 행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열전에서는 차대왕 시해와 관련한 기록이 삭제되었다. 열전 인물 선정과 평가에서 『삼국사기』 편찬자의 주관이 개입되었기 때문이다. 『삼국사기』 편찬자는 명림답부가 신대왕대 국상으로서 한나라 군사의 침입을 맞아 크게 승리한 것을 주목하였다. 신대왕은 한나라 군대를 대응하는 방법을 두고 어느 것이 유리한지를 물었다. 여러 신하들은 나가 싸울 것을 주장하였지만 명림답부는 지키면서 그들의 군량이 떨어져 돌아갈 때 공격할 것을 주장하였다. 신대왕은 명림답부의 의견을 수용하였고 그 결과 크게 승리하였다. 명림답부가 한나라 군대를 대응했던 방식은 김부식이 유리한 때를 엿보아 서경의 반란군을 진압했던 것과 유사했다. 명림답부가 죽자 신대왕은 몸소 조문하고 애통해 하면서 7일간 조정 업무를 중지하였으며 수묘 20가를 배치하였다. 이렇듯 신대왕이 명림답부에게 보여준 무한한 신뢰와 예우는 일을 맡김에 있어 믿어 의심치 않는 군주와 신하의 이상적인 관계를 보여준 것이었다. 결국 『삼국사기』 편찬자는 명림답부를 통해 유리한 때를 엿보아 반란군을 진압했던 김부식의 공로와 생의 마지막까지 틈이 없이 무한한 신뢰를 보여준 군신의 예를 강조하고자 함이었다. 그런 마당에 명림답부가차대왕을 시해했다는 전적은 불가피하게 삭제되어야 할 행적이었던 것이다.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evaluations made by the compilers of the 『SamgukSagi』 regarding the Goguryeo traitorous figures found within its biographies. Among the characters featured in the biographies, there are three Goguryeo individuals who committed acts of treason: MyeongrimDapbu, Changsori, and YeongaeSomun. Although all three engaged in treasonous acts, their evaluations varied. MyeongrimDapbu’s deeds are chronicled in the 5th volume of the biographies, categorized under the righteous type. In contrast, Changsori and YeongaeSomun are depicted in the 9th volume as traitors. Interestingly, there is little disparity between the accounts of Changsori and YeongaeSomun in the Goguryeo Annals and the biographies. However, the records of YeongaeSomun’s involvement in battles against the Tang dynasty are more detailed in the Goguryeo Annals. This indicates the compilers’ tendency in the 『SamgukSagi』 not to redundantly elaborate on the same facts. On the other hand, MyeongrimDapbu’s deeds exhibit disparities. While the Goguryeo Annals document MyeongrimDapbu’s act of assassinating King Cha, such records are omitted in the biographies. This divergence can be attributed to the compilers’ subjective selection and evaluation process. The compilers of the 『SamgukSagi』 commended MyeongrimDapbu for his significant victory against the invading forces of Han, under the leadership of King Shin. When King Shin sought advice on how to confront the Han army, MyeongrimDapbu suggested waiting until their provisions were depleted before launching an attack. King Shin accepted this counsel, leading to a decisive victory. The way MyeongrimDapbu dealt with the invading forces of Han resembled Kim Busik’s strategy in suppressing the rebel forces in Seogyeong by anticipating a favorable moment. Upon MyeongrimDapbu’s death, King Shin mourned for seven days, suspended court duties, and arranged for a grand funeral procession. The boundless trust and respect shown by King Shin towards MyeongrimDapbu exemplified the ideal relationship between a sovereign and a trusted subject, demonstrating unwavering belief and loyalty in delegation of tasks. In the end, the compilers of the 『SamgukSagi』 aimed to emphasize through MyeongrimDapbu the merits of Kim Busik, who suppressed the rebel forces by anticipating a favorable moment, as well as to highlight the exemplary loyalty shown by Myeongrim Dapbu until his final moments, portraying him as a loyal subject who earned boundless tru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