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사기』 구두본[句讀本]의 간행과 성격

        김희만(Kim, Heui-ma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장서각 Vol.0 No.37

        이 글에서는 1909년 ‘조선고서간행회’에서 간행한 『삼국사기』 구두본[句讀本]의 간행과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삼국사기』는 『삼국유사』와 함께 한국 고대사 연구를 위해서 가장 기본 자료이며, 필수 史書다. 따라서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미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삼국의 역사를 체계화하는데 이바지하고 있다. 특히, 『삼국사기』는 고려시대에 저술된 삼국의 정사로서 가장 오래된 고대사 자료이다. 그런데 『삼국사기』는 그 자체 목판이나 주석활자 등을 중심으로 원본을 지속적으로 간행하여 그 판본이 전해지지만, 이를 해독하기 쉽게 구두점을 찍어서 보급한 것은 1909년 발간된 ‘조선고서간행회’ 『삼국사기』 구두본이 처음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이 책을 간행한 ‘조선고서간행회’의 規則 과 임원[役員]에 대하여 살펴보고, 다음으로 『삼국사기』 구두본이 어떤 과정을 거쳐 간행되었는지와 이 책의 例言을 통해 그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1909년 ‘조선고서간행회’ 『삼국사기』 구두본의 성격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이 책을 발간한 ‘조선고서간행회’에서는 조선을 통치하기 위해 조선의 형편과 국민성을 알아야 할 필요성에 따라 고서를 수집하고, 이를 書目으로 정리하여 실제로 총 28종 82책의 고전을 묶어 『朝鮮群書大系』로 간행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간행본에는 명예찬성원과 특별찬성원 그리고 본회평의원 등이 열거되어 있으며, 그 말미에 본회주간과 句讀者 그리고 校正者 를 나란히 병기하고 있음으로써, 당시의 정치사회적 상황을 파악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여겨진다. 또한, 1909년 8월 1일 ‘조선잡지사 朝鮮珍書刊行部’에서 본사의 조선진서간행계획을 발표하고 그 내용을 통해서 『삼국사기』 구두본의 간행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그 例言에 보이는 책의 원본과 구두점에 대한 내용, 그리고 「進三國史記表」와 「東明王篇」을 앞뒤로 싣게 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조선고서간행회본 『삼국사기』의 성격에도 접근해 볼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金居斗 跋文의 書誌 형태를 파악해 봄으로써 이 판본의 특징에 대해서도 검토해 볼 수 있었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amine the publishing and character in Samguksagi (三國史記). Samguksagi is the most basic material together with Samgukyusa (三國遺史) for the study of Korean ancient history, and it is an essential history book. Therefore, various studies have already been carried out on this, and this contributes to systematizing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n particular, Samguksagi is the longest ancient history document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was written in the Goryeo period. However, Samguksagi was originally published in the form of woodblocks and tin type, and the original was continuously published, and the version was published, but it was spread by punctuation easily to detract from the fact that BooK of Joseon Old Book Society Samguksagi It is the first tim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we first examine the rules and officers of Joseon Old Book Society, and then, through the course of the process of Samguksagi Punctuation point Text, And then examined the nature of the Samguksagi in the 1909 Joseon Bulletin. As a result, the Joseon Old Book Society, which published this book, collects repor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nationality of Joseon in order to rule Joseon, Which was published in the Joseon Veriety Books System, which includes the Honorable Prosperity Member, the Special Prosperity Officer, and the Members of the Council. At the end of this part, the members of the Association, the Phrase Booker and the Proofreader are listed side by side, It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data to grasp the situation. In addition, on August 1, 1909, published a plan to publish the Joseon Dynasty and it was possible to examine a series of processes related to the publication of Punctuation point Text, I could confirm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and punctuation, and put forward and backward the 「Devoting Words of Samguksagi」 and 「Volume of King Dong-myeong」.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Samguksagi in the Joseon Old Book Society. In addition, I tried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edition by looking at the form of Epilogue written by Kim Geo-du (金居斗).

      • KCI등재

        三國史記의 체육문화 이삭줍기 : 활

        김성일,주동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삼국사기(三國史記)는 삼국유사(三國遺事)와 함께 우리나라 고대사에서 더없이 귀중한 사료(史料)로서 국보 (國寶)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삼국사기에 대한 체육학의 연구가 거의 없었다는 것은 삼국사기에는 체육학적 연구 자료가 별로 없었다고 간주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슬로우-리딩(Slow Reading)을 통해 삼국사기 ‘자세히 읽기(close reading)’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매우 다양하고 많은 양이 검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국 사기의 활쏘기는 대부분 왕과 관련지어 나타났다. 둘째, 왕은 활쏘기를 잘하였던 선사(善射)로 등장한다. 셋째, 열전(列 傳)에서 보이는 삼국사기의 활쏘기는 주로 무용담(전쟁)이다. 이것은 주인에 대한 충성스런 마음, 변하지 않은 절개 그리 고 조국에 대한 충절이다. 넷째, 사회문화적 예(禮)와 비유로서의 활 문화이다.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long with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s a national treasure as an invaluable historical resource in Korea's ancient history. Nevertheless,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 physical education o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s believed to have considered tha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e study attempted a "close reading"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slow-reading. Research has found a wide variety and large amou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rcher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mostly related to the king. Second, the king appears as a prehistoric man who was good at archery. Third, the archer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is seen in the thermoelectric system, is mainly a story of military service. This is a loyal heart to its master, an unchanging incision, and an allegiance to its motherland. Fourth, it is a social and cultural example and an archery culture as a metaphor.

      • KCI등재

        『삼국사기』 후고구려・궁예 관련 기록의 계통 검토

        홍창우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7 No.-

        『삼국사기』는 후고구려나 궁예와 관련하여 국내・외의 그 어떠한 자료들보다 풍부한 정보를 우리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삼국사기』 내에 이들에 대한 정보가 모두 단일한 것은 아니다. 궁예의 사회 진출에 대해 본기・열전・연표가 모두 제각각의 기술을 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궁예와 후고구려에 대해서 단일하지 않은 정보들이 존재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반도에 후삼국시대가 전개될 즈음 중국은 5대 10국으로 분열된 혼란기를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한반도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에 대한 관심은 그리 높지 않았을 것이다. 실제로 『자치통감』, 『자치통감고이』, 『남당서』 등의 중국측 자료에서 보이는 후고구려・궁예 관련 기록들은 국내측 전승과 대교했을 때 어긋나는 대목을 상당수 발견할 수 있고, 그 어긋남의 정도 또한 매우 크며, 이 정보들이 『삼국사기』에서 활용된 사례 역시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중국측 정보군 가운데 적어도 후고구려와 궁예에 대한 기록들은 『삼국사기』 편찬자들에게 활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자연스럽게 논의는 국내측 전승으로 좁혀진다. 『삼국사기』에서는 후고구려에 대한 정보들을 기재할 때 그 어디에도 참고한 전거를 밝히고 있지 않다. 이에 이 글에서는 직관지과 열전에 보이는 후고구려의 관제 설비 기록에 주목하였다. 직관지의 해당 구조를 보면 이 기록은 고구려와 백제의 관제 정보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고구려・백제 관제 정보에는 모두 그 출처가 제시되어 있는 반면에 후고구려의 그것은 전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고구려와 백제의 관제 정보는 국내측 자료인 ‘본국고기’를 활용하고 있는데, 관제를 제시하고 있는 양상이 다르고, ‘본국고기’ 측의 정보가 매우 소략하며, 여기에서의 ‘본국’은 각각 ‘고구려’와 ‘백제’를 지시하고 있다. 따라서 후고구려의 관제 정보는 적어도 ‘본국고기’에서 비롯한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한편 후고구려 관제 정보의 분주에 보이는 ‘今’의 시점을 추정하여 이를 『구삼국사』의 일문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 여러 사례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이 견해 또한 동의할 수 없다. 중국측 정보도, ‘본국고기’나 『구삼국사』 등의 국내측 전승도 아니었다면, 여기에는 제3의 자료군이 활용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에 마지막으로 이른바 ‘독자적 자료’가 활용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궁예 열전에 보이는 궁예와 양길 사이의 전투 기사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후고구려측의 시각과 인식이 강하게 투영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삼국사기』 궁예전 찬자의 궁예 및 후고구려에 대한 시선이 대단히 부정적인 것을 감안했을 때, 궁예가 지도자적 자질을 가지고 있었다고 평가하거나 몇몇 대목에서 그를 우호적으로 기술한 대목 역시 궁예측의 관점이 노정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 고대의 삼국은 자국의 역사를 스스로 정리한 바 있다. 후고구려에서도 궁예가 스스로 경전 20여 권을 지었다거나 그의 참모였던 최응이 곁에서 붓으로 무엇인가를 쓰고 있었다거나 후고구려에서 문한기구가 정비되었던 사실 등은 이들의 인식과 시선 및 관점이 들어가 있는 자료들의 존재를 암시한다고 하겠다. 물론 『삼국사기』에 기재된 후고구려・궁예 관련 정보가 모두 이 자료들에 근거하여 작성되었... This article is purposed to review the systemicity of the records related to Gungye(弓裔) and the Later Goguryeo[後高句麗] shown in Samguksagi(『三國史記』). Samguksagi provides ric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ter Goguryeo and Gungye than any other internal and external material. But, all the information in Samguksagi is not unified. A typical example is that Gungye’s entry into society is differently described in Bongi[本紀; the Annals of three Kingdoms], Yeoljeon[列傳; Biography], and Yeonpyo[年表; the chronological tables of kings] respectively. The introduction of Gungye’s Biography shows un-unified information of Gungye and the Later Goguryeo in the descriptions by presenting two theories of his paternal line. As well known,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in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called Husamguk(後三國), China was also during the confused stage, divided into Wǔ-Dài Shí-Guó[5代 10國], which means China could not have much interest in what happened to the Korean Peninsula. Actually, the records related to the Later Goguryeo in Chinese history such as Zīzhìtōngjiàn(『資治通鑑』), Zīzhìtōngjiànkǎoyì(『資治通鑑考異』), and Nántángshū(『南唐書』) show quite a few discordant descriptions with actual internal events and heritage and the degree of discord is quite large, and it’s hard to find a case that the recorded information was used in Samguksagi. Thus, it is true that the information of the Later Goguryeo from Chinese materials was not utilized by the compilers of Samguksagi, at least on the Later Three Kingdoms-related records. Accordingly, the discussion is narrowed down to the internal ones. Samguksagi does not show any references or source used in the descriptions of the Later Goguryeo.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records related to the Later Goguryeo’s government organization shown in Jikgwanji[職官志; a biography of the office positions] and Yeoljeon. The records in Jikgwanji include government organizations of Goguryeo(高句麗) and Baekje(百濟). All the records of Goguryeo’s and Baekje’s government organization show the source, not for those of the Later Goguryeo’s. In internal materials, the information of Goguryeo’s and Baekje’s government organization was recorded by utilizing ‘Bongukgogi’(本國古記) in different patterns, that is, the information from ‘Bongukgogi’ is very rough and simple, in which ‘Bonguk’(本國) designates ‘Goguryeo’(高句麗) and ‘Baekje’(百濟) respectively. Thus, it is said that the information of the Later Goguryeo’s government organization was not from ‘Bongukgogi’.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assumption that it is from Gusamguksa(『舊三國史』) meaning Ol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based on the Sidenotes[分註], ‘as of today’[今] in the records of the Later Goguryeo’s government organization. But considering all the divergent cases, the view is not agreed. If the source was not from China, nor internals such as ‘Bongukgogi’ and Gusamguksa,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at there was the third source. Thus, we can think of the last source, that is, ‘their own materials’. The story about the battle between Gungye and Yanggil(梁吉) shown in Gungye’s Biography generally reflects the view and recognition of the Later Goguryeo. The compiler of Gungye’s Biography of Samguksagi showed quite a negative view of Gungye and the Later Goguryeo. Thus, some favorable descriptions of Gungye and his leadership would imply the views from Gungye’s. Ancient three kingdoms in Korea experienced that they compiled their history themselves. Likewise, the facts that Gungye wrote twenty scriptures himself, his aide Choieung(崔凝) was writing something down by Gungye, and documental archive or organization in the Later Goguryeo was well arranged imply that their viewpoints and recognition were included in the records. Of course, it is diffi...

      • KCI등재

        7세기대 한·중 사서의 교류 기사 검토

        김덕원(Kim, Deok-won) 신라사학회 2017 新羅史學報 Vol.0 No.41

        7세기대의 삼국과 당의 교류 기사에서 중요한 부분은 당과의 외교와 전쟁에 대한 분야인데, 특히 645년 당의 고구려 침입, 660년 나당연합군에 의한 백제 멸망과 668년 고구려 멸망, 676년 나당전쟁 등 4개의 사건에 대한 기록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당이 건국한 618년부터 나당전쟁이 종료되는 676년까지 약 60여 년 동안 삼국과 당의 교류와 관련한 기사는 약 600여 회에 달하고 있으며, 한 번의 교류도 없었던 630년과 634년의 두 차례를 제외하고는 평균 1년에 약 10여 회 내외의 교류 관계 기사를 상정할 수 있다. ≪삼국사기≫와 ≪구당서≫를 기본으로 하는 한국 사서와 중국 사서의 기사의 내용은 크게 정치・전쟁・외교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사의 형태는 공유기사, 누락기사, 개별기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기사들은 대부분은 동일하거나 비슷한 내용을 서로 공유하고 있으며, ≪삼국사기≫가 ≪구당서≫보다는 ≪자치통감≫과 ≪책부원귀≫의 기사를 더 많이 인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 사서와 중국 사서에는 특히 전쟁 기사를 중심으로 상대국의 사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개별기사들이 주목된다. 이것은 아마도 현존하지 않는 한국 사서에 수록된 기사였을 것이고, 그 기사의 사료적인 신빙성은 상당히 높았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계림잡전≫이나 ≪구삼국사≫ 또는 고기류와 같이 서명만 알 수 있는 한국 사서들에 기록되어 있는 원사료(source)라고 할 수 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다양한 내용의 설화 형태로 이루어진 기사들이 여러 곳에 수록되었으며, ≪삼국사기≫ 열전에는 더 많은 분량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함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편찬된 고려 중・후기 무렵에 활동하였던 문인들의 문집도 주목된다. 즉 이인로의 ≪파한집≫, 이규보의 ≪백운소설≫, 최자의 ≪보한집≫, 이제현의 ≪역옹패설≫ 등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들 중에서도 삼국시대에 전승된 여러가지 기사들이 수록되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Those having much volume of exchange articles between Three Kingdoms and Tang(당) are about diplomacy and war areas, expecially which account for major part of records about 4 incidents such as Tang’s invasion to Goguryeo in 645, Baekje’s collapse by Silla’s and Tang’s combined forces in 660 and Goguryeo’s collapse in 668 and Silla and Tang war in 676. For about 60years between 618, when Tang was founded and 676 Silla’s and Tang’s war was ended, articles related to exchange between Silla and Tang have come to about 600 times. And the contents of articles of Korea history books and China history books based on Samguksagi(삼국사기) and Gudangseo(구당서) can be largely categorized to politics, war and diplomacy. Historical materials not recorded in China history books, for example, Jachitonggam(자치통감) and Chaekbuwongui(책부원귀) etc. are recorded Korea history books only whose book names can be known like Gyerimjapjeon(계림잡전) or Gusamguksa(구삼국사) or Gogi(고기) genus. such historical materials are recorded in a form of tale at Samguksagi and Samgukyusa(삼국유사), so their original figures may have been confirmed. Samguksagi and Samgukyusa contain historical materials formed in a form of tale with various contents. It is assumed that these historical materials are likely to have been recorded a lot in the history books which do not exist.

      • KCI등재후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보이는 가야

        이형기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23 문물연구 Vol.- No.43

        가야사를 이해하는 1차 사료로는 「합천 매안리비」가 있으며, 우리나라의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중국의 『삼국지』와 『남제서』, 일본의 『일본서기』 와 같은 사서, 『新增東國輿地勝覽』, 『大東地志』와 같은 지리서, 「廣開土大王碑文」과 「昌寧 眞興王 拓境碑」 등과 같은 금석문이 있다. 가야인들이 남긴 문헌기록이 존재하지 않은 사실과 이들 기록들에 남아있는 소략한 내용은 가야사 연구에 장애가 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많은 유적들이 발굴조사되고 그 성과들이 학계에 보고되면서 가야사 연구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 이때부터 가야사 연구는 고고학 자료들을 적극 활용하게 되면서 문헌자료의 부족을 상당히 채울 수 있었기 떄문이다. 문헌사학의 방법론에서도 금기시 되다시피한 『일본서기』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남아 있는 가야관련 기록들이 천황 중심의 국가주의에 입각해서 왜곡 또는 윤색의 방법으로 서술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대로 이용할 수는 없었지만 사료의 주어를 ‘백제’로 바꾼다면 역사복원에 이용가능할 것이라는 인식 떄문이었다. 이러한 시각의 변화들은 고고학 성과들과 자연스럽게 접합되면서 가야를 자체 발전사적인 측면에서도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로서 가야의 모습들이 점차 그 윤곽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여기에 더하여 최근에는 기왕의 자료들을 전론으로 다루거나, 시각을 달리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는 앞으로 가야사 연구의 발전을 기대하게 한다. 이 글은 한국고대사를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대해서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 고대사 연구에 있어 기본자료가 되는 두 사서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가야관련 기사를 되새겨 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두 사서에 공통으로 언급된 것은 탈해왕과 포상팔국전쟁 내용이었다. 탈해왕 관련 기사를 통해서 가야와 신라의 관계에 대해 특별하게 밝힐 수 있는 역사상을 제시하지는 못하였으나 포상팔국 전쟁 기록을 통해서는 전쟁 결과 구야국은 위상을 유지하였고, 안야국이 급속하게 성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필자는 포상팔국 전쟁에 대해서 주로 그 배경이나 발생시기, 그 결과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해양사의 관점에서도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보았다. 포상팔국전쟁의 규모는 포로가 6천명이었다는 사실을 기록한 신라본기 내용을 통해 아주 큰 전쟁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포상팔국이 교역권을 가지고 다툼을 했다면 육지보다는 해전이 상식적이며, 최소한 선박을 이용한 병력의 이동까지는 염두에 두어야 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따르면 기원 14년에 왜인이 병선 백여척을 끌고왔다는 기록(남해왕 11년)이 있으며, 전함이라는 용어도 등장하고 있다. 신라에는 자비왕 10년(467) 봄에 유사에 명하여 ‘전함’을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이전부터 전함의 존재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3세기대에 낙랑․대방군과의 해상을 통한 교류가 가능했다면 해전 또는 해상을 통한 이동도 충분히 가능했을 것이다. 포상팔국 전쟁의 연속선상에 있는 갈화성 전투는 육지가 전장이었을 것이기 때문에 바닷가에 위치한 골포․칠포․고사포의 3국 병사들이 배를 이용하여 은밀하게 이동하였을 가능성이 있어 이러한 전쟁 양상도 앞으로 밝혀져야 할 것이다. As primary sources for the history of Gaya, there is the "Maeanri-bi(매안리비)" in Hapcheon, and historical texts such as the "Samgukyusa(삼국유사)" and "Samguksagi(삼국사기)" in Korea,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nd "Nanji-seo(남제서)" in China, and the "Nihon Shoki(일본서기)" in Japan. Additionally, there are geographical works such as the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신증동국여지승람)" and "Daedongjiji(대동지지)," and epigraphs such as the "Gwanggaeto Stele(광개토왕릉비)" and the "Changnyeong Jinheung King's Boundary Stele(창녕진흥왕척경비)."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the lack of existing literary records left by the Gaya people and the sparse content in these records are hindering the study of Gaya history. In the 1970s, many cultural relics were excavated and their results became known, leading to significant progress in the study of Gaya history. With the active use of archaeological materials since then, it has been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literary records. The methodology of historiography has also begun to actively use the "Nihon Shoki," which was previously taboo. These changes in perspective have also led to research on Gaya's own development. As a result, the outlines of Gaya's appearance began to emerge. In addition,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interpret existing material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e look forward to further development in the study of Gaya history in the future. This article reflects on the content related to Gaya that is commonly recorded in the basic materials for understanding ancient Korean history, the "Samguksagi" and "Samgukyusa." What was recorded together in these two works was the reign of King Talhae and the war of Posangpalguk. In the records related to King Talhae, no special information was fou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Silla. In the records of the war of Posangpalguk, it was noted that after the war, Guya-guk(구야국) maintained its status while Anya-guk(안야국) rapidly grew. Additionally,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war of Posangpalguk should also be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maritime history. The war of Posangpalguk is presumed to have been of a considerable scale through the fact that there were 6,000 prisoners. In addition, if the eight countries had a fight over trade rights, naval battles would be more common sense than land, and at least the movement of troops using ship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Silla Bongi(신라본기) in 󰡔Samguksagi󰡕, there is a record that the Japanese brought over 100 warships in 14 CE (11th year of King Namhae), and the term battleship also appears. In Silla, there is a record that an officer was ordered to repair the 'battleship' in the spring of the 10th year of King Jabi (467), indicating that the battleship existed before that time. If exchanges with the Nakrang-gun(낙랑군) and Daebang-gun(대방군) were possible through the sea in the 3rd century, naval battles or movement through the sea would have been sufficiently possible. Since the Battle of Galhwaseong, which is a continuation of the war of Posangpalguk, would have been a battlefield on l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oldiers of the three countries located on the seashore, Golpo, Chilpo, and Gosapo, moved secretly by boat, so this aspect of the war must be revealed. The scale of the war of Posangpalguk can be seen as a large war, as evidenced by the record of 6,000 prisoners of war. If the Posangpalguk fought the war due to maritime trade rights, they would have fought more at sea than on land, and at least the movement of troops using ships is possible to consider. In the Silla period of the Samguksagi, there is a record that a battleship was repaired, indicating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battle ships. If maritime exchanges were possible between Nakrang-gun and Daebang-gun in the 3rd century, it is likely that battles at sea or movements through the sea were also possible. As the Battle of Galhwaseong, an extension of the War of Posangpalguk, took place on l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oldiers from Golpoguk(골포국), Chilpoguk(칠포국), and Gosapoguk(고사포국) located on the coast may have secretly moved by using ships, so the form of naval warfare should also be clarified in the future.

      • KCI등재

        『삼국유사』 속의 『삼국사기』 - 국내외서적 인용사례를 중심으로 -

        김복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7 동국사학 Vol.62 No.-

        『삼국유사』는 많은 인용 서목을 보유한 것으로 육당 최남선이 『삼국유사』 해제에서 상세히 언급하여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그 가운데 『삼국유사』에서 『삼국사기』는 매우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는데, 그것은 『삼국유사』의 사관을 신이사관으로만 부각시킨 때문이었다. 일연은 전거 내용을 인용하면서 대부분 그 전거를 밝히고 있으나, 그 내용에 있어서는 많은 부분에서 윤색을 가하거나 첨삭 내지는 변개를 하였다. 본고에서는 고기(古記)류와 같이 거의 찾을 수 없는 내용은 제외하였고, 확실히 찾아서 대조해 볼 수 있는 인용서목을 찾아 비교 대조하였다. 일연이 인용한 전거의 형태는 첫째, 인용한 서목의 내용을 그대로 轉載한 사례로 『삼국사기』와 중국사서가 대부분이다. 둘째, 내용을 인용 서목 없이 서술한 예로 역시 『삼국사기』와 중국사서가 많은 편이다. 셋째, 인용한 전거의 내용을 축약한 것으로 불전류·문집류·금석문이 있으며, 제목만 언급한 경우(「성덕대왕신종명」)와 여러 인용 서목들을 뒤섞어 전재하기도 하였다. 일연이 가장 많은 전거로 이용한 것은 김부식의 『삼국사기』였다. 본고는 『삼국유사』 속에 내재되어 있는 『삼국사기』를 찾아보기 위해 서목을 밝히고 인용한 경우와 서목 없이 인용한 사례로 나누어 모두 86회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중국사서의 인용은 제목을 밝히고 쓴 경우가 18곳, 제목 없이 인용한 곳이 8곳을 합하여 26개의 사례를 찾았다. 이 가운데 『신당서』가 11개로 일연이 중국사서 가운데서는 『신당서』를 전거자료로 애용한 것을 알려준다. 다음 불전류는 『아함경』, 『화엄경』, 『관불삼매(해)경』등과 『삼보감통록』, 『양고승전』, 『당승전(속고승전)』, 『송고승전』, 『법현전』, 『대당서역기』, 『대당서역구법고승전』이 인용전거로 나오고 있다. 마지막으로 금석문류는 『대각국사문집』과 「賢首國師奇海東書」, 「황룡사찰주본기」, 「유사불산기」, 「감산사 미륵보살상조상기」, 「감산사 아미타여래조상기」, 「?藏寺阿彌陀如來造像事蹟碑」 등을 전거사례로 제시하였다. 이상에 의하면,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와 중국사서를 인용하여 그대로 전재한 사례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삼국유사』가 가지고 있는 역사서로서의 의미가 정사류의 기반 위에 신이사를 서술한 역사서로서의 가치를 보여주

      • KCI등재

        『삼국사기』 열전 속의 고구려인 반역 인물과 그 평가

        최일례(Choi, ilrye) 한국사학회 2024 史學硏究 Vol.- No.153

        본 논고는 『삼국사기』 열전 속의 고구려인 반역 인물과 그들에 대한삼국사기 편찬자의 평가를 검토한 것이다. 열전 속 인물 중 고구려인으로서 반역을 한 인물은 명림답부, 창조리, 연개소문이 있다. 3인 모두 반역에 해당하는 행위를 했지만 그 평가는 달랐다. 명림답부는 명신 유형에 해당하는 열전 5권에 입전되었다. 반면 창조리와 연개소문은 반역자 유형에 해당하는 열전 9권에 입전되었다. 그런데 특이한 점은 창조리와 연개소문의 행적에 대해서는 고구려본기와 열전에서 거의 차이가 없다. 연개소문의 경우에는 당나라와의 전쟁기록이 고구려본기에 자세하므로 적지 않는다고 할 정도이다. 같은 사실을 구태여 중복 서술하지 않겠다는 『삼국사기』 편찬자의 서술 태도이다. 반면 명림답부의 행적은 차이를 보인다. 즉 고구려본기에서는 명림답부가 차대왕을 시해했던 반역 행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열전에서는 차대왕 시해와 관련한 기록이 삭제되었다. 열전 인물 선정과 평가에서 『삼국사기』 편찬자의 주관이 개입되었기 때문이다. 『삼국사기』 편찬자는 명림답부가 신대왕대 국상으로서 한나라 군사의 침입을 맞아 크게 승리한 것을 주목하였다. 신대왕은 한나라 군대를 대응하는 방법을 두고 어느 것이 유리한지를 물었다. 여러 신하들은 나가 싸울 것을 주장하였지만 명림답부는 지키면서 그들의 군량이 떨어져 돌아갈 때 공격할 것을 주장하였다. 신대왕은 명림답부의 의견을 수용하였고 그 결과 크게 승리하였다. 명림답부가 한나라 군대를 대응했던 방식은 김부식이 유리한 때를 엿보아 서경의 반란군을 진압했던 것과 유사했다. 명림답부가 죽자 신대왕은 몸소 조문하고 애통해 하면서 7일간 조정 업무를 중지하였으며 수묘 20가를 배치하였다. 이렇듯 신대왕이 명림답부에게 보여준 무한한 신뢰와 예우는 일을 맡김에 있어 믿어 의심치 않는 군주와 신하의 이상적인 관계를 보여준 것이었다. 결국 『삼국사기』 편찬자는 명림답부를 통해 유리한 때를 엿보아 반란군을 진압했던 김부식의 공로와 생의 마지막까지 틈이 없이 무한한 신뢰를 보여준 군신의 예를 강조하고자 함이었다. 그런 마당에 명림답부가차대왕을 시해했다는 전적은 불가피하게 삭제되어야 할 행적이었던 것이다.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evaluations made by the compilers of the 『SamgukSagi』 regarding the Goguryeo traitorous figures found within its biographies. Among the characters featured in the biographies, there are three Goguryeo individuals who committed acts of treason: MyeongrimDapbu, Changsori, and YeongaeSomun. Although all three engaged in treasonous acts, their evaluations varied. MyeongrimDapbu’s deeds are chronicled in the 5th volume of the biographies, categorized under the righteous type. In contrast, Changsori and YeongaeSomun are depicted in the 9th volume as traitors. Interestingly, there is little disparity between the accounts of Changsori and YeongaeSomun in the Goguryeo Annals and the biographies. However, the records of YeongaeSomun’s involvement in battles against the Tang dynasty are more detailed in the Goguryeo Annals. This indicates the compilers’ tendency in the 『SamgukSagi』 not to redundantly elaborate on the same facts. On the other hand, MyeongrimDapbu’s deeds exhibit disparities. While the Goguryeo Annals document MyeongrimDapbu’s act of assassinating King Cha, such records are omitted in the biographies. This divergence can be attributed to the compilers’ subjective selection and evaluation process. The compilers of the 『SamgukSagi』 commended MyeongrimDapbu for his significant victory against the invading forces of Han, under the leadership of King Shin. When King Shin sought advice on how to confront the Han army, MyeongrimDapbu suggested waiting until their provisions were depleted before launching an attack. King Shin accepted this counsel, leading to a decisive victory. The way MyeongrimDapbu dealt with the invading forces of Han resembled Kim Busik’s strategy in suppressing the rebel forces in Seogyeong by anticipating a favorable moment. Upon MyeongrimDapbu’s death, King Shin mourned for seven days, suspended court duties, and arranged for a grand funeral procession. The boundless trust and respect shown by King Shin towards MyeongrimDapbu exemplified the ideal relationship between a sovereign and a trusted subject, demonstrating unwavering belief and loyalty in delegation of tasks. In the end, the compilers of the 『SamgukSagi』 aimed to emphasize through MyeongrimDapbu the merits of Kim Busik, who suppressed the rebel forces by anticipating a favorable moment, as well as to highlight the exemplary loyalty shown by Myeongrim Dapbu until his final moments, portraying him as a loyal subject who earned boundless trust.

      • KCI등재

        『삼국사기』 악지의 백제악에 관한 재고

        이용식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호남학 Vol.0 No.64

        『삼국사기』는 역사의 승자인 신라 중심의 역사서로서 역사의 패자인 백제에 관해서는 극히 소략한 정보를 싣고 있는 역사적 불평등의 결정판이다. 『삼국사기』를 주도적으로 편찬한 김부식은 신라 무열왕 후손으로 경주 사람이기 때문에 그의 역사관은 신라 중심을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런 그의 역사관에 의해 백제에 관한 기록은 왜곡과 축소의 과정을 밟는다. 예를 들어 『삼국사기』 악지의 백제악은 신라악에 비하여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매우 소략하고 부정확하다. 신라 중심의 역사관을 가진 『삼국사기』 악지의 편찬자는 중국 역사서인 『통전』과 『북사』를 인용하여 백제 음악을 소략하게 기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백제 음악에 관한 역사 기록이 극히 적기 때문에 음악사 서술에 『삼국사기』 악지의 정보를 전적으로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중국 역사서인 『통전』과 『북사』를 인용한 『삼국사기』 악지의 백제악은 실제 백제에서 연행되던 음악을 기록한 것이 아니다. 이는 7~8세기 당나라 궁중에서 연행되던 잡기 중의 하나인 백제악을 기록한 중국의 역사서를 그대로 인용하여 백제악의 항목에 수록한 것이다. 즉, 『삼국사기』 악지에 담긴 백제악에 관한 정보 대상들은 ‘객관적 사실’이 아니다. 『삼국사기』 악지의 편찬자들은 원전 자료의 ‘의도적 선택’을 통해 그들의 입맛에 맞는 역사를 기록하는 ‘의도적 왜곡’을 저지른 것이다. 역사의 패자인 백제인들은 이미 경험 주체로서의 자기 설명 기회를 잃었고, 표상된 역사에 자기 기억을 남기지 못하였다. 그리고 『삼국사기』 악지의 백제악에 관한 정보는 ‘대상의 진실’이 아니라 편찬자들이 선택한 중국 사료에 근거한 왜곡된 정보이다. 김부식과 『삼국사기』 편찬자들은 신라 중심의 역사관으로 역사를 기록했다. 그리고 이들은 역사적 패자인 백제의 음악사를 의도적으로 왜곡했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백제악을 백제의 음악으로 예단하는 현상은 역사서에 내포된 오류를 간과하고 무오류를 전제하는 우리 음악사학계의 맹목적 문헌주의의 결과로 왜곡된 정보를 수용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Samguk sagi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was written with the orientation towards the Silla dynasty, the winner of the history. Therefore, the history of the loser, the Baekje dyansty, is very brief compare than that of the winner. The main writer of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Kim Busik, is the descendent of the royal family of the Silla dynasty that he cannot but have his perspective towards the dominant power. In this sense, the history of the Baekje dynasty has been distorted and shortened. For example, the music of the Baekje dynasty is very brief in its quantity and is very poor in its quality. Nevertheless, we cannot but depend on the Samguk sagi because there is no written history about the music of the Baekje dynasty. The music of the Baekje dynasty recorded in Samguk sagi which referred to the Chinese histories such as Tongjeon (Encyclopedic History) and Buksa (The History of Norther Dynasties) are not the music practiced in the Baekje dynasty. It is one of the court musical repertories performed in the court of the Tang dynasty in the 7th and 8th centuries. In other words, the information of the music of the Baekje dynasty in Samguk sagi is not ‘historical fact’ at all. The compilers of Samguk sagi intentionally collected the Chinese sources and made intentional distortion to fit their world view. The losers of the history, the people of the Baekje dynasty, did not have a chance to speak in their own words who had experienced the past. They were not able to record their history. In this sense, the music of the Baekje dynasty recorded in Samguk sagi is not the objective reality but is based on the misinformation distorted by the writers of the history book. Kim Busik and the compilers of the Samguk sagi have strong tendency toward to the Silla dynasty, the winner of the history. In this way, they intentionally distorted the music history of the Baeje dynasty, the loser of the history. As long as we take the historical records in Samguk sagi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historical context of the compilers and their intention, we may perceive the wrong information without any hesitance.

      • KCI등재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견훤・왕건의 攻防

        박순교(Park Soonkyo)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三國史記≫는 927년 한겨울 경애왕이 포석정에 遊行하여 酒興에 빠졌고, 때마침 신라에 침입한 견훤에게 체포되어 비극적 최후를 맞이했다고 한다. 당시 견훤은 경애왕을 죽인 것은 물론 경애왕의 왕비를 강간했으며 군사들을 풀어 궁중의 비빈들마저 집단 강간하는 등 일대난행을 일삼았다고 한다. 한데 경애왕 사인과 시해 주체, 죽음의 장소, 죽음의 시기 등이 특정되지 않는 등, ≪三國史記≫全篇의 기록에선 相異, 혼선이 있다. 경애왕 최후에 관한 한, 기록이 이처럼 난맥상을 보인다면 관련 기록 역시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하리라 여겨진다. 지금껏 경애왕 최후를 전한 기록이 等價的으로 해석되어 왔다면, ≪三國史記≫에서 全文에 가까운 형태로 인용되어 있는 왕건, 견훤의 書翰에 우선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三國史記≫를 저본으로 했으면서도≪三國遺事≫에서 加減한 대목 역시 일연의 해석이라 여겨지므로 눈여겨 볼 대목이다. 왕건, 견훤의 書翰에 따를 경우 경애왕 시해의 주범은 엇갈린다. 견훤 스스로는 경애왕을 시해한 적이 없다고 항변하고 있다. 이 점은 주목할 사안이며, 경애왕 시해 사건을 다시 검토할 까닭이다. 견훤의 악행 중 으뜸으로 거론되는 ‘견훤의 경애왕 왕비 강간’ 역시 미심쩍다. 왕건은 격문의 형태로 낱낱이 견훤의 죄상을 그악하게 공박하였다. 하지만, 왕건은 정작 대서특필해야 할 견훤의 경애왕 왕비 강간 항목, 다시 말해 견훤의 파렴치를 드러내어 천하의 공분을 일으킬 ‘왕비 강간 사건’, ‘비빈들에 대한 집단 윤간’에는 침묵하고 있다. 그럼에도 ≪三國史記≫는 왕건조차 언급하지 않은 견훤의 ‘왕비 강간’, ‘비빈에 대한 집단 윤간’을 기정사실로 기록하여 견훤을 ‘악의 화신’인 양 폄훼, 재단하고 있다. 견훤의 3대 거악, 이른바 ① 경애왕 시해, ② 경애왕 왕비 강간, ③ 집단 윤간(비빈들을 대상으로 한)의 문제를 재검토할 여지, 까닭이 새삼 존재한다. 요컨대 그간 회자, 신봉되어 온 경애왕의 죽음, 그에 대한 해석(견훤의 경애왕 시해, 견훤의 경애왕비 강간 등)은 재검토의 여지를 남긴다. Samkuksaki(≪三國史記≫) testifies that king Kyungae(景哀王) went to the Poseokjeong in the winter of 927, and got stuck into the booze, that king Kyungae(景哀王) met a tragic end by GyeonHwon(甄萱) to have broken into Silla. But, there are the differences, confusions between the recording of all the Samkuksaki(≪三國史記≫). type of death, murder subject, time of death, all specific place of death, and so on in relation to king Gyeongae of Silla can"t be specially fixed. In the letter of GyeonHwon(甄萱) and WangKeun(王建), near to primary historical records, the main culprits of murder varies from one person to the next. Rape of king Kyungae(景哀王)"s queen which has been told as one of GyeonHwon(甄萱)"s greatest evils, is also suspicious. In the form of a declaration, Wanggeun, in detail, continued persistent attack against GyeonHwon(甄萱)"s numerous crimes. But, As for Gyeon Hwon(甄萱)"s rape crime of Silla king Gyeongae"s queen, which must be made headlines of manifesto, namely, which must disclose GyeonHwon (甄萱)"s shameless, despicable, heinous human nature, Gyeon Hwon"s shameless of a positive to cause of all the indignation. Nevertheless, Samkuksaki(≪三國史記≫) took records GyeonHwon(甄萱)"s rape of the queen as to be an established fact, and then denounced him ‘the incarnation of evil’. In short, Silla"s king Gyeongae death, interpretations of king Gyeongae(eg, GyeonHwon(甄萱)"s assassination of king, GyeonHwon(甄萱)"s rape of the queen) leave room for questions, the scope of a radical review.

      • KCI등재

        효를 주제로 한 서사의 소통-조선전기까지의 서사를 중심으로

        문영진 한민족어문학회 2010 韓民族語文學 Vol.0 No.57

        이 논문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효를 주제로 한 서사를 다루었다. 조선초기까지의 역사서인『삼국사기』,『삼국유사』, 『고려사』에는 효를 주제로 한 서사가 포함되어 있다. 『삼국사기』의 서사들이 상대적으로 균형 잡힌 시각으로 효의 문제에접근하고 있다면 『삼국유사』에서는 희생 효 서사가 더 강렬하게 나타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고려사』에서는 두 책에서보다 효 문제에 대한 강조가 훨씬 더 강화된 모습으로나타난다. 이는 신유학의 효과일 것이다. 『삼강행실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삼강행실도』의 구조는 그림 → 한문 서사→ 찬시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삼강행실도』에는 자연스러운 감응보다는 교훈적인 태도가 이전보다 더욱 강조되어 있고, 이로 인해 독서 과정 중에 독자의 숭고한 정서가더욱 강조된다. 셋째, 신체 훼손과 신체 보존이라는 효 가치 체계상 모순이 노정된다. 넷째, 어른과 아동 사이의 이중 규범이 나타나며 이는 가학피학증(sado-majochism)의체계와도 관련된다. 다섯째, 주술적 사고방식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유교적 잔혹이 논문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효를 주제로 한 서사를 다루었다. 조선초기까지의 역사서인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에는 효를 주제로 한 서사가 포함되어 있다. 『삼국사기』의 서사들이 상대적으로 균형 잡힌 시각으로 효의 문제에접근하고 있다면 『삼국유사』에서는 희생 효 서사가 더 강렬하게 나타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고려사』에서는 두 책에서보다 효 문제에 대한 강조가 훨씬 더 강화된 모습으로나타난다. 이는 신유학의 효과일 것이다. 『삼강행실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삼강행실도』의 구조는 그림 → 한문 서사→ 찬시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삼강행실도』에는 자연스러운 감응보다는 교훈적인 태도가 이전보다 더욱 강조되어 있고, 이로 인해 독서 과정 중에 독자의 숭고한 정서가더욱 강조된다. 셋째, 신체 훼손과 신체 보존이라는 효 가치 체계상 모순이 노정된다. 넷째, 어른과 아동 사이의 이중 규범이 나타나며 이는 가학피학증(sado-majochism)의체계와도 관련된다. 다섯째, 주술적 사고방식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유교적 잔혹과도 관련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n the Hyo(孝) in the age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eon (Morning Calm) Dynasty. The Samguksagi(三國史記), the Samgukyusa(三國遺事) and the Koryeosa (高麗史) contain the various ‘Hyo(孝)’ subject narratives. While the narratives in the Samguk Sagi has relatively balanced attitude, the narratives in the Samgukyusa and the Koryeosa is a sort of the tendency narrative. Especially the Koryeosa is so, which probably is the effect of the Neo-Confusionism. The Samganghaengsildo(三綱行實圖) has the following charateristics:Firstly, its text structure composes of the picture, the narrative itself and the admiration(mostly poetry) in sequence. Secondly, it empasizes the dogmatic rather than natural emotional response. So enthusiasm(the sublime) appeared in the course of reading that narrative. Thirdly, it has the sado-majochism and the magic way of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