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면 산처리가 Ⅴ급 와동의 compomer 수복에서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문상희,이창섭,이상호 대한소아치과학회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2

        치면 산처리가 Ⅴ급 와동의 compomer 수복에서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180개의 발거된 건전한 치아에 생리적인 치수내압을 가한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CEJ 1mm 상방에 6 ×3 ×2mm의 상자형 Ⅴ급 와동을 형성하여 수복재료 및 산처리 시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30개씩 6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A : Dyract AP + Prime & Bond 2.1 1군 : 산처리 없음, 2군 : 15초간 산처리 시행, 3군 : 30초간 산처리 시행. B : F2000 + Single Bond adhesive 1군 : 산처리 없음, 2군 : 15초간 산처리 시행, 3군 : 30초간 산처리 시행. 산처리를 제외한 모든 수복과정은 제조회사의 지시에 따랐으며, 수복 후 시편은 5~55℃에서 500회의 thermocycling을 거쳐 5% methylene blue 용액에 5시간 동안 침적 후 교정용 투명레진에 매몰되었다. 저속용 경조직 절단기로 시편을 절단 후 20배율의 stereoscope 하에서 미세누출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교합벽에서 Dyract AP는 산처리를 시행한 군이 산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지만(p〈0.05), F2000에서는 산처리 여부가 미세누출 정도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2.치은벽에서 Dyract AP는 산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1군이 2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미세누출 정도를 보였지만(p=0.003), 3군과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고(p=0.99), F2000에서는 산처리가 미세누출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5). 3.교합벽과 치은벽의 비교에서, 두 재료 모두 교합벽에서 낮은 미세누출 정도를 보였지만, Dyract AP의 3군에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p=0.117). 4.두 재료 모두 2군과 3군 사이의 미세누출 정도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이를 종합해 볼 때, compomer 수복 시 산처리는 미세누출을 감소시키는 유효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주요어 : compomer, 5급와동, 미세누출, 산처리, 생리적인 치수내압

      • KCI등재

        치면 산처리가 V급 와동의 compomer 수복에서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문상희,이창섭,이상호,Moon, Sang-Hee,Lee, Chang-Seop,Lee, Sang-Ho 대한소아치과학회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2

        치면 산처리가 V급 와동의 compomer 수복에서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180개의 발거된 건전한 치아에 생리적인 치수내압을 가한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CEJ 1mm 상방에 $6\times3\times2mm$의 상자형 V급 와동을 형성하여 수복재료 및 산처리 시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30개씩 6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A : Dyract AP + Prime&Bond 2.1 1군 : 산처리 없음, 2군 : 15초간 산처리 시행, 3군 : 30초간 산처리 시행. B : F2000 + Single Bond adhesive 1군 : 산처리 없음, 2군 : 15초간 산처리 시행, 3군 30초간 산처리 시행. 산처리를 제외한 모든 수복과정은 제조회사의 지시에 따랐으며, 수복 후 시편은 $5\sim55^{\circ}C$에서 500회의 thermocycling을 거쳐 5% methylene blue용액에 5시간 동안 침적 후 교정용 투명레진에 매몰되었다. 저속용 경조직 절단기로 시편을 절단후 20배율의 stereoscope 하에서 미세누출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교합벽에서 Dyract AP는 산처리를 시행한 군이 산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지만 (p<0.05), F2000에서는 산처리 여부가 미세누출 정도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치은벽에서 Dyract AP는 산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1군이 2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미세누출 정도를 보였지만 (p=0.003), 3군과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고(p=0.99), F2000에서는 산처리가 미세누출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p<0.05). 3 교합벽과 치은벽의 비교에서, 두 재료 모두 교합벽에서 낮은 미세누출 정도를 보였지만, Dyract AP의 3군에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p=0.117). 4. 두 재료 모두 2군과 3군 사이의 미세누출 정도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이를 종합해 볼 때, compomer 수복 시 산처리는 미세누출을 감소시키는 유효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leakage of class V compomers according to acid etching treatment and treatment times. Extracted 180 sound human molar teeth were selected then prepared physiologic pulpal pressure far this experiment. In this study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buccal surface with gingival margin located in 1mm superior to CEJ under simulate physiological conditions. These specim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6 groups of 30 each and restored following methods : A: Dyract AP + Prime&Bond 2.1 Group 1 : No acid etching, according to manufacturer's instruction. Group 2 : 15 seconds acid etching and same method with Group 1. Group 3 : 30 seconds acid etching and same method with Group 1. B: F2000 groups + Single Bond adhesive Group 1 : No acid etching, according to manufacturer's instruction. Group 2 : 15 seconds acid etching and same method with Group 1 Group 3 : 30 seconds acid etching and same method with Group 1. After 500 thermocycling between $5^{\circ}C\;and\;55^{\circ}C$, the specimens were sealed with glass ionomer and nail varnish then placed in 5% methylene blue dye for 5 hours and rinsed with tab water. The specimens were embedded in orthodontic clear resin, then sectioned buccolingually through the center of restoration with a low speed diamond saw. The dye penetration on each of the specimens were then observed with a stereomicroscope at $\times20$ magn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indepe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occlusal walls, microleakage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acid etched group restored with Dyract AP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F2000 groups. 2. In gingival walls, microleakage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group 2 restored with Dyract AP, and group 2 and group 3 in F2000 groups. 3. All groups, except group 3 in Dyract AP, showed significantly less microleakage in occlusal wall than gingival wall. 4.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showed between group 2 and group 3 in both materials.

      • KCI등재

        산 및 열처리 과정에 따른 주요 석면의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이진효(Jin Hyo Lee),이수현(Su Hyun Lee),강미혜(Mi Hye Kang),배일상(Il Sang Bae),김익수(Ik Soo Kim),한규문(Kyu Mun Han),어수미(Soo Mi Eo),정권(Kweon Jung),구자용(Ja Yong Koo) 大韓環境工學會 2015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7 No.6

        본 연구에서는 주로 건축자재에 많이 사용된 백석면과 갈석면을 대상으로 산 및 열처리 과정에 따른 두 석면의 특성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산처리 과정에 따른 백석면의 굴절률, 신장부호, 소광특성은 대체로 산처리하지 않은 백석면 초기특성과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pH 1.2의 강한 산성용액에서 8주 경과 후, 미지의 입자가 형성되는 등 백석면 고유의 특성이소실되었다. 산처리 과정에 따른 백석면 구성성분의 중량비(%)는 규소의 경우, 크게 변하진 않았지만, 산소와 마그네슘의 경우, 중량비(%)가 다소 변동하였다. 갈석면의 경우, 굴절률, 신장부호, 소광특성은 pH 및 경과시간과 상관없이 산처리하지 않은 갈석면과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갈석면 구성성분의 중량비(%)는 철의 경우, 산처리 과정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산소는 이와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규소와 마그네슘은 산처리 전·후 유사하게 나타났다. 열처리 과정에 따른 백석면 굴절률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평방향, 수직방향의 굴절률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신장부호는 1,100℃에서 10분간 가열했을 때 (+)에서 (-)로 변하였고, 소광특성은 변하지 않았다. 열처리 과정에 따른 백석면 구성성분의 중량비(%)는 규소의 경우, 중량비(%)는 크게 변하진 않았지만, 산소와 마그네슘의 경우, 온도별 열처리 과정에 따라 중량비(%)가 크게 변동하였다. 갈석면의 경우, 굴절률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평방향, 수직방향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열처리 과정에서 신장부호 및 소광특성은 변하지 않았다. 갈석면 구성성분의 중량비(%)는 산소와 철의 경우, 온도별 열처리 과정에 따라 중량비(%)가 크게 변동하였지만, 규소와 마그네슘은 전반적으로 온도 및 가열시간과 상관없이 열처리하지 않은 갈석면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seek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sbestos in accordance with acid and heat treatment for chrysotile and amosite used mainly as building materials. Results of acid treatment, the refractive index, the elongation sign, the extinction of acid-treated chrysotile were mostly similar to those of untreated chrysotile regardless of pH, elapsed time. But the characteristics of acid-treated chrysotile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untreated chrysotile after 8 weeks, at pH 1.2 acidic solution. When chrysotile treated with acid, weight ratio (%) of O and Mg fluctuated greatly in accordance with acid treatment unlike Si. But the change of constituents ratio (%) was small as time passed after acid treatment. The refractive index, the elongation sign and the extinction of acid-treated amosite were mostly similar to those of untreated amosite regardless of pH, elapsed time. When amosite was treated with acid, weight ratio (%) of Fe slightly increased. But in case of O, a contrary tendency was seen. Results of heat treatment,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more increased the refractive index of chrysotile. When chrysotile was heated for 10 minutes at 1,100℃, the elongation sign of chrysotile changed from positive(+) to negative(-). The extinction of chrysotile didn``t change apparently in accordance with heat treatment. Also weight ratio (%) of O and Mg fluctuated greatly in accordance with heat treatment unlike Si.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more increased the refractive index of amosite. The elongation sign and the extinction of amosite didn``t change apparently in accordance with heat treatment. Also weight ratio (%) of O and Fe fluctuated greatly in accordance with heat treatment. But weight ratio (%) of Si and Mg of heated amosite were mostly similar to those of untreated amosite regardless of temperature, heating time.

      • KCI등재

        살리실 산 처리가 딸기 생육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최효길,황미란,최근수,강남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5

        저온기 시설딸기의 생산성 증대와 품질 향상을 위한 재배적 응용기술을 개발하고자 살리실 산 처리가 시설딸기 ‘매향’과 ‘설향’ 품종의 생육과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딸기 잎의 생장특성(엽장, 엽폭, 엽수 및 SPAD 값)을 조사한 결과 살리실 산 처리는 방법이나 농도에 상관없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딸기 과실의 무게와 당도는 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경도에서 살리실 산 처리를 했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월등한 차이가 나타났다. ‘매향’ 품종의 과실경도는 대조구 대비 엽면처리 시 처리농도에 따라 각각 36.8과 21.1% 증가하였고 관주처리가 처리농도에 따라 각각 31.6과 31.7% 증가하였다. ‘설향’ 품종의 과실경도는 대조구 대비 엽면처리가 처리농도에 따라 각각 47.1과 15.8% 증가하였으며 관주처리가 각각 15.8%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살리실 산 엽면 및 관주처리 시 ‘매향’과 ‘설향’ 품종 잎의 SOD와 POD 효소의 활성은 두 품종 모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엽 조직내 과산화수소와 환원산소종의 생성량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매향’의 SOD 활성은 대조구 대비 처리농도에 따라 엽면처리가 각각 30.0과 38.80% 증가하였고, 관주처리가 각각 10.0과 14.4% 증가하였다. ‘설향’의 SOD 활성은 대조구 대비 처리농도에 따라 엽면처리가 각각 23.6과 40.4% 증가하였고, 관주처리가 각각 12.4와 14.1% 증가하였다. POD 활성은 대조구 대비 살리실 산 처리에 의해 두 품종 모두 엽면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관주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매향’의 POD 활성은 대조구 대비 처리농도에 따라 엽면처리가 각각 77.8과 98.7% 증가한 반면 관주처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는 없었다. ‘설향’의 경우 대조구 대비 처리농도에 따라 엽면처리가 각각 76.6과 88.6%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살리실 산 처리는 딸기의 품질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용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exogenously applied salicylic acid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was investigated. Growing patterns of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based on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and SPAD values were generally unaffected by foliar or rootzone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The fruit weight and soluble solids in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have not been influenced by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However, firmness of frui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foliar and rootzone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The activities of SOD and POD in the leaves of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y foliar and rootzone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Plants were foliar- and rootzone-applied with exogenous salicylic acid(0.5 and 1.0 mM). The levels of H2O2 and superoxide anions in the leaves of ‘Maehyang’ and ‘Sulhyang’ strawberry plants were reduced by foliar or rootzone application of salicylic acid.

      • KCI등재

        폐기물처리업의 영업구역제한에 관한 일고찰 ― 폐관법 제25조 제7항 단서를 중심으로 ―

        한상운 한국환경법학회 2020 環境法 硏究 Vol.42 No.3

        폐기물관리법 제25조 제7항 단서는 폐기물 반입제한 등 영업구역을 제한할 수 없도록 하는 명시적 규정이다. 대법원은 이에 관한 직접적 판례는 없지만 폐기물관리법 제25조 제7항이 영업구역제한에 관한 규정이라는 점은 명시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최근 하급심판결에서 폐기물관리법 제25조는 폐기물처리업 허가에 관한 일반적 규정이라고 보고, 산집법상 관리권자는 산단운영관리에 관한 광범위한 재량을 가진다고 하여 폐기물관리법이 아닌 산집법 등을 우선 적용하였다. 산집법에 따라 산단 관리권자의 광범위한 관리행위에 따라서 산단내 폐기물처리업자도 규제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관련법령을 고려할 때 폐관법 제25조 7항 단서에 근거하여 “영업구역을 제한”하는 것만은 산단 관리권자라도 할 수 없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결과적으로 최근의 하급심 판례는 법적용의 오류로 인하여 실정법체계 혼란을 야기하여 법적 안정성을 훼손한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 이와 같은 법적용의 오류와 별개로, 영업구역제한금지의 정당성 여부에 관해서는 견해가 대립할 수 있다. 해당 처리시설의 인근 주민입장에서는 타지역 폐기물까지 반입이 되어 주변환경이 악화되는 등 불만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갈등은 전국에 걸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산단외 폐기물반입으로 인하여 쾌적한 환경을 향유할 환경권 침해는 물론 “폐기물 발생지 또는 근접지 처리원칙” 등 환경정의에도 부합되지 않는 측면이 있다. 현재까지 산단내 반입제한을 위한 시민단체등의 입법개정 시도는 지속되고 있지만 입법통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폐기물매립시설이 대부분 산업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는데, 산단외의 폐기물 반입을 제한하게 되면 처리용량의 약 70%에 해당하는 산단외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산단외 처리시설의 절대적 부족으로 폐기물처리에 커다란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현행법 해석상 산단외 폐기물반입을 제한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입법개선이 요구되며, 다만 산단외 폐기물처리시설의 부족 등 현실을 감안하여 산단외의 일정지역을 한정하여 폐기물 반입을 허용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본다. 즉 산단내 폐기물처리장의 운영과 관련하여 향후 대응방안으로서 폐기물발생지역에서의 우선처리원칙에 보다 충실하게 입법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타 시・도의 폐기물반입은 향후 법 개정을 통하여 금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최근에 제정된 공공폐자원법상의 공공폐자원관리시설의 운영 등 관련내용과 폐기물처리의 사회적 공공성 등을 고려하여 차제에 전면적인 폐기물처리시설의 공공운영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clues to Article 25, Paragraph 7 of the Waste Management Act are explicit regulations that prohibit restrictions on business areas, such as restrictions on carrying in waste. Although there is no direct precedent for this, the Supreme Court explicitly recognizes that Article 25, Paragraph 7 of the Waste Management Act is a regulation on business area restrictions. In a recent sub-judgment, Article 25 of the Waste Management Act was reported as a general regulation on permission for waste treatment business, and the management authority under the Industrial Cluster Act had broad discretion o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industrial complex. However, in consideration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aste treatment companies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may also be regulated according to the industrial complex management authority's extensive management practices according to the Industrial Collective Law. However,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that the industrial complex management authority cannot only limit the business area. Such lower-level trial precedents are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case that damaged legal stability by causing confusion in the actual legal system. However, the provisions of the proviso of Article 25, Paragraph 7 of the current Waste Management Act, which prohibits restrictions on business areas such as the prohibition of bringing in waste to the industrial complex, can no longer be justified on the basis of the reality of waste disposal such as lack of landfill.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s, they are filing civil complaints such as legislative improvement, claiming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deteriorating due to the introduction of waste from other areas. Nevertheless, attempts to amend the legislation to restrict entry into the industrial complex continue to date, bu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legislative passage. The reason is that even though most of the waste landfill facilities are located in the industrial complex, if the import of waste outside the industrial complex is restricted, there will be an absolute shortage of facilities that can treat the waste outside the industrial complex, which is about 70% of the treatment capacity.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waste treatment plants in the industrial complex,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gislation more faithfully to the principle of priority treatment in waste generating areas as a future countermeasure. However, it is a principle to limit the scope of the import of waste to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nd to prohibit the import of waste from other cities and provinces through future revision of the law. Furthermore, considering residents' complaints regarding waste disposal, such as bringing in waste, and social publicity of waste disposal,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the public operation plan of the waste disposal facility.

      • KCI등재후보

        법랑질 표면처리방법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재의 미세누출에 관한 비교연구

        현홍근,김정욱,이상훈 대한소아치과학회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3

        최근 air-abrasion기술이 새로운 법랑질 표면처리법으로 소개되고 있는데, 이것이 산부식 처리한 것보다 치면열구전색 전처리에 있어 더 나은 결과를 보이는지 연구할 목적으로.저자들은 표면처리법 및 재료에 따른 미세누출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9개의 군으로 나눈 시편치아에 산부식(1, 4, 7군). air-abrasion(2. 5, 8군). ail·-abrasion후 산부식(3. 6. 9군) 처리한 후, 3종의 치면열구전색재(1∼3군 : Teethmate-F.4∼6군 Ultraseal XT plus, 7∼9군 : DenSeal)로 전색, 중합하여 색소침투도를 관찰하였으며, 각 시편의 전색재를 분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면처리법에 따른 미세누출도는 air-abrasion군, 산부식군 air-abrasion 후 산부식군 순으로 작아졌다(p<0.05) . 단. 7군과 9군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2.미세누출도는 산부식군에서 7군, 4군, 1군, air-abl·asion군에서 8군, 5군, 2군, air-abrasion후 산부식군에서 9군, 3군. 6군 순으로 작아졌으나. 각각 4군과 7군 2군과 5군 3군과 6군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3. SEM상에서, 산부식군은 비교적 긴 레진돌기가 규칙적으로, air-abrasion군은 �裏�레진돌기가 불규칙적으로, air-abrasion후 산부식군에서는 이들이 혼재되어 있는 모습으로 관찰되었다. Recently, the reintroduction of air-abrasion technology in dentistry has added a new potential method of pre-treating teeth prior to placing sealants.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investigate microleakages of several pit and fissure sealants following various surface pre-treatment methods to the enamel , because there was a question concerning the validity of claim that this method wa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acid etching. Permanent molars were divided randomly into nine groups and treated accordingly: acid etching(group 1, 4, 7), airabrasion(group 2, 5. 8), acid etching after airabrasion(group 3, 6, 9). Then the authors placed and cured the three kinds of sealants(group 1∼3 : Teethmate-F, group 4∼6: Ultraseal XT plus, group 7~9: Denseal)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order. They were observ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microleakage . And these specimens were separated from the corresponding enamels and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comparing microleakage among tooth surface treatment methods. air-abrasion group (group 2, 5, 8) showed the greatest microleakage. while combination(air-abrasion + acid etching) group showed the least (p<0.05) .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 7 and 9. 2. The mean microleakages were ranked as follows(p<0.05) : In acid etching groups. group 7> group 4> group 1. In air-abrasive groups. group 8 > group 5 > group 2. In combination groups, group 9 > group 3 > group 6.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 4 and 7. between group 2 and 5, and be-tween group 3 and 6. 3. SEM showed that comparably longer resin tags were distributed regularly in acid etching groups and that shorter ones irregularly in airabrasion groups. It also showed that these two kinds of tags were distributed simultaneously in combination groups.

      • KCI우수등재

        탄산염암 저류층의 암체 산처리 공법 기술 특성 및 현장사례 분석

        유현상,이정환 한국자원공학회 2018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5 No.2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s of the matrix acidizing treatment in carbonate reservoirs were analyzed, and field applications for Middle East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o conduct a successful matrix acidizing, the length and feature of highly conductive channels known as wormhole, which is created when acid is injected to reservoir, should be optimized. It is revealed that the calculation of diffusion coefficient by acid-rock reaction experiments, selection of the optimum injection rate by acid coreflooding experiment, and forecasting model of wormhole are required to ascertain the optimum wormhole feature. In some field cases, the reaction system of acid-reservoir rock and scaling of wormhole forecasting model were not accurately reflected, thus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enhancement was low compared to estimated result. It is believed that the proposed results can be utilized as basic guides for the design of well productivity improvement project in carbonate reservoirs. 본 연구에서는 탄산염암 저류층의 암체 산처리 공법 기술 특성 및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중동지역에서 수행 된 현장사례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성공적인 암체 산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저류층 내 산을 주입 시 생성되는 고투 과성 통로인 웜홀(wormhole)의 길이 및 형태가 최적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산-암석 반응 실험을 통한 확산계수 (diffusion coefficient) 도출과 산처리 코어 유동실험을 통한 최적 주입률 선정 및 웜홀 예측 모델링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현장사례에서는 저류층 내 산과 저류암의 반응 시스템 및 웜홀 예측 모델의 스케일 보정 등이 정확히 반영되지 않아 예측 결과와 비교 시 생산증진 효율이 낮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제시된 결과는 향후 탄산염암 저류층에 서 산처리 공법을 적용한 유정의 생산성 개선 프로젝트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탄산염암 저류층의 암체 산처리 공법에서 최적 주입률 산출을 위한 실험적 연구

        유현상,이정환 한국자원공학회 2019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6 No.3

        This study presents the experimental apparatus, which is able to determine the optimum injection rate for matrix acidizing in carbonate reservoir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optimum injection rate, the experiment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HCl and permeability of 4 cases were performed. As the results, the optimum injection rate tended to increase with the permeability of rock, but the optimum injection rates according to the acid concentration were all the same. Thus it is revealed that the permeability of reservoir has a greater effect on the optimum injection rate compared to the concentration of acid. In the pore volume to breakthrough according to the optimum injection rate of each case, when the permeability of the rock and concentration of acid increased, the amount of acid consumed to generate the wormhole decreased,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efficiency of the matrix acidizing is superb. 본 연구에서는 탄산염암 저류층의 암체 산처리 공법(matrix acidizing)에서 최적 주입률 산출을 위해 산처리 코어유동실험 장치를 개발하고, 최적 주입률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염산의 농도와 암석의 투과도를 달 리하여 총 4 Case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암석의 투과도가 높을수록 최적 주입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 며, 산의 농도에 따른 최적 주입률은 모두 동일한 값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저류층의 투과도가 산의 농도보다 최적 주 입률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각 Case의 최적 주입률에서 무차원 돌파지수(pore volume to breakthrough)를 산출한 결과, 저류층의 투과도와 주입되는 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웜홀을 생성하는데 소모되는 산의 양이 감소하여 암체 산처리 공법의 효율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Cytocompatibility Evaluation of Etched Zirconia Ceramics Using Human Osteoblast-Like MG 63 Cells

        이지호,이영균,김경훈,허수복,김용건,박진우,서조영,김재영 대한치과재료학회 2016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43 No.4

        본 연구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티타늄에서 산 처리를 하였을 때 거친 면을 형성함으로써 골모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연구들을 근거로 니오 비움 옥사이드 (Nb2O5)가 첨가된 (Y, Nb)-TZP에 1.5시간, 2시간, 2.5시간 산 처리를 한 군과 산 처리를 하지 않은 군에서 표면특성 및 골모유사세포 (osteoblast-like MG 63 cells)의 세포 반응을 연구하였다. 산 처리되지 않은 (Y, Nb)-TZP와 산 처리된 (Y, Nb)-TZP 의 표면특성은 주사전자현미경, 엑스선 회절분석, 광학 형상측정법을 통해 평가하였고, 골모유사세포의 세포 활성도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세포부착양상, 세포증식 및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를 염색하여 비교 관찰하였다. 본 연구결과 엑스선 회절분석에서 불산/질산 혼합용액 에 지르코니아 시편을 산 처리한 후에도 대부분이 정방정계인 구조적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세포 활성도 분석은 생존력, 세포독성인 측면에서 (Y, Nb)-TZP가 적합한 기질임을 시사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Y-TZP의 저온열화현상에 대한 보상으로 니오비움옥사이드 (Nb2O5)를 안정화제로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시간 동안 산 처리를 한 (Y, Nb)-TZP는 골모유사세포 (MG 63)의 증식과 초기 분화를 위한 적절한 기질로 사료된다.

      • 열처리 및 산처리 개질을 통한 바나듐 레독스흐름전지용 그라파이트 펠트 전극의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

        문민호,박태순,서동조,최영일,김상득,백성현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에너지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의 생산 뿐 아니라 이의 저장 기술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다양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 중에서 최근 주목 받고 있는 바나듐 레독스흐름전지(VRFB)는 긴 수명과 높은 에너지 효율을 장점으로 가진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로써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 및 산처리 개질을 진행한 그라파이트 펠트를 VRFB의 양극전해질 전극으로 적용함으로써 이에 따른 전극의 성능향상을 평가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라파이트 펠트 전극은 각각 400℃, 500℃ 및 600℃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진행하였으며, 3M, 4M 및 5M 농도의 황산에서 산처리를 진행 하였다. 전극의 물성 분석으로써 XPS와 FT-IR로 표면에 도입된 작용기를 확인하였으며, 전극의 표면 형상은 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개질을 통한 전기화학적 성능 향상은 CV와 EIS를 통해 평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