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국제질서와 영국인의 백두산 등반 -영국인의 백두산 여행기를 중심으로-

        우명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roaden the horizons of researches on Mt. Baekdu, by investigating the backgrounds and aspects of the British’s Mt. Baekdu climbing in the 19th century. Mt. Baekdu, the highest mountain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mountain. It is the northernmost mountain that forms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China, along with the Yalu River to the west and the Tuman River to the east. It also has been worshipped as the birthplace of the Qing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Mt. Baekdu was not climbed only by Koreans, but also by Chinese, British, Russians and Japanese, who climbed Mt. Baekdu in different eras. Foreigners climbed Mt. Baekdu a total of 20 times, exceeding the 15 times that Koreans climbed Mt. Baekdu. Mt. Baekdu is the only mountain on the Korean Peninsula that has been climbed by foreigners more than once. In 1886, when Henry James and his party climbed Mt. Baekdu on their way to Manchuria, British people started climbing Mt. Baekdu. In 1889, Charles Campbell's team climbed Mt. Baekdu but failed, and in 1891, Goold Adams, a member of John Cavendish' team, succeed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Russians followed the British who competed in the Great Game to climb Mt. Baekdu, and in the 20th century, during the last five years of the Joseon Dynasty, the Japanese, who won the war against Russia, took the lead, ending the climbing of Mt. Baekdu by foreign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irst Westerner to climb Mt. Baekdu by an Englishman was made possible thanks to the British policy to advance to the Far East and the British post-Alps movement. The Britain entered Far East Asia and explored Manchuria and Joseon. Just in time, British mountaineers got out of the Alps and focused on climbing high mountains on other continents, such as the Himalia, but military officers and civil servants who worked in India, China, and Joseon began climbing Mt. Baekdu. The British climb of Mt. Baekdu seems to have been done as a part of The Great Game between the Britain and the Russia over Asia. After winning the two Opium Wars, Britain paid attention to the Manchuria region and worked hard to collect geographical and industrial information. The fact that the British climbed Mt. Baekdu in the 19th centur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Western mountain climbing in Korea and the first modern mountaineering combined with academic exploration. They attempted to climb Mt. Baekdu three times and succeeded in reaching the summit twice. Each time, they carried measuring instruments such as barometers and thermometers, and measured time, distance, temperature, weather, altitude, latitude, and longitude at each destination, including Mt. Baekdu. The British perceived the Chinese and Koreans negatively, saying that they were lazy and dirty. Modern mountaineering initiated by the British was succeeded by Choi Namseon and others who climbed Mt. Baekdu in the 192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본고는 19세기에 영국인들이 백두산을 등반한 배경과 양상을 구명해 백두산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목적이 있다. 백두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예부터 조종산(祖宗山)으로 인식되어 왔다. 백두산은 서쪽의 압록강 및 동쪽의 두만강과 더불어 한국과 중국의 국경선을 이루고 있는 최북방의 산이다. 조선의 조종산인 백두산은 청나라의 발상지로 숭앙받고 있다. 조선 후기에 들어 백두산은 조선인만 오른 것이 아니다. 청국인, 영국인, 러시아인과 일본인들이 연대를 달리하며 백두산을 올랐다. 외국인의 백두산 등반은 총 20회 실시되어 조선인의 백두산 등반 15회를 상회한다. 한반도에서 두 번 이상 외국인이 오른 산은 백두산이 유일하다. 1886년 헨리 제임스 일행이 만주 지역 여행길에 백두산을 등정하는 것으로써 영국인의 백두산 등반이 시작되었다. 1889년 찰스 캠벨이 백두산을 등반했으나 등정에 실패했고, 1891년 존 캐번디시 팀의 일원인 굿 애덤스가 등정에 성공했다. 19세기 종반에 들어 러시아인들은 그레이트 게임에서 경쟁한 영국인들을 이어 백두산을 등반했고, 20세기 들어 조선 왕조의 마지막 5년 동안은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인들이 주도하는 것으로써 조선 후기 외국인들의 백두산 등반은 종료되었다. 서구인 최초로 영국인이 백두산을 등반한 데는 영국의 극동 진출 정책과 영국인의 탈(脫) 알프스 운동에 힘입어 이루어졌다. 가장 먼저 산업혁명에 성공한 극동아시아에 진출하면서 만주와 조선 지역을 탐사했다. 때마침 영국의 산악인들은 알프스에서 벗어나 히말라야 등 다른 대륙의 고산 등반에 주력했는데 인도, 중국과 조선에 근무한 군 장교와 공무원들이 백두산 등반에 나섰다. 영국인의 백두산 등반은 영국과 러시아가 아시아를 두고 벌여온 그레이트 게임(The Great Game)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두 차례의 아편전쟁에서 승리한 영국은 만주 지역에 관심을 두고 지리정보와 산업정보 수집에 힘썼다. 19세기 영국인들이 백두산을 등반한 것이 의미를 갖는 것은 서구인 최초의 국내 산 등반으로, 학술탐사를 병행한 최초의 근대등산이라는 것이다. 영국인들은 3차례 백두산 등반을 시도해 두 차례 정상 등정에 성공했다. 그때마다 기압계와 온도계 등 측정 기구를 가지고 다니면서 백두산을 비롯한 여행지마다 시간, 거리, 기온, 날씨, 고도, 위도, 경도 등을 측정했다. 백두산 여행기에 나타난 청국인과 조선인들에 대한 영국인들의 인식은 게으르고 불결하다며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 KCI등재

        산사태지역 토층사면의 지질조건별 토질특성

        김경수 ( Kyeong Su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06 지질공학 Vol.16 No.4

        이 연구는 산사태가 발생한 편마암류, 화강암류 및 제3기퇴적암류지역 자연사면의 토층을 대상으로 여러 토질시험을 실시하여 산사태에 영향을 미치는 토층사면의 토질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같은 시기에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산사태들이 발생되었던 지역으로 편마암류인 장흥지역, 화강암류인 상주지역 및 제3기퇴적암류인 포항지역의 산사태현장 및 그와 대비되는 곳의 토층으로부터 채취한 시료에 대해 물성 및 공학시험을 실시하였다. 산사태자료와 시험결과를 토대로 산사태지역의 토질특성을 파악하고 발생지역과 미발생지역간의 차별성을 분석하였다. 지질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층은 미발생지역에 비해 균등계수와 곡률계수가 더 크고 세립자의 함유비율이 더 높다. 액성한계는 거의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나 소성한계는 다른 두 지질에 비해서 편마암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층이 더 낮은 연경도를 갖는다. 함수비는 다른 두 지질에 비해서 제3기퇴적암류가 훨씬 큰데, 이는 모암의 광물조성과 토층의 구조 및 풍화양상 등 다양한 토질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3개 지질조건 모두에서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층이 미발생지역에 비해서 대체로 큰 간극율과 작은 밀도특성을 갖는데, 이는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층이 미발생지역에 비해 더 불량한 입도분포와 느슨한 지반상태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간극율이 크고 밀도가 작은 토층에서 산사태가 더 쉽게 발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동일한 지질조건인 경우 투수성이 양호한 토층이 산사태에 더 취약한데, 투수성은 입도분포, 간극크기, 흙입자의 거칠기 및 구조 등의 토질특성과 풍화나 퇴적환경 등 지질성인에 영향을 받는다. 한편, 전단특성은 지질조건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특별하게 구분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모든 지질조건에서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층이 미발생지역에 비해 전단저항각이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동일한 지질조건인 경우 전단저항각이 큰 토층은 작은 토층에 비해 산사태에 더 안정한 지반으로 분류된다. In this study, the soi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using the result of various soil tests as an object of the soil layer of natural slopes in landslides areas composed with gneiss, granite, and the tertiary sedimentary rock. To investigate the soi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andslide and non landslide areas, soils are sampled from Jangheung, Sangju and Pohang. The landslides at three areas are occurred due to heavy rainfall in same time. The geology of Jangheung area, Sangju area and Pohang area is gneiss, granite, and the tertiary sedimentary rock,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landslide data and the result of soil test, the soil characteristics at the landslide area and the differentiation between landslide area and non landslide area are analyzed. However soil characteristics have a little differentiation to geological condition, the uniformity coefficient and the coefficient of gradation of soils at the landslide area is larger than those of soils at the non landslide area. Also, the proportion of fine particle of soils at the landslide area is higher. The plastic limit of soils sampled from the granite and the sedimentary rock regions is larger than that sampled from the gneiss region. However the liquid limit is irrelevant to the geological condition. Also, the consistency of soils at the landslide area is smaller. The natural moisture content of soils in the sedimentary rock regions is larger than that of the granite and gneiss. It is mainly influenced by mineral compo- sition, soil layer structure, weathering condition, and so on. The soils sampled from landslide area have higher porosity and lower density than those from non landslide area. It means that the soils of landslide area have po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loose density. Therefore, the terrain slope with poor distribution and loose density is vulnerable to occur in landslides. Also, landslides are occurred in the terrain slope with high permeability. The permeability is mainly influenced by the soil characteristics such as particle size distribution, porosity, particle structure, and the geological origins such as weathering, sedimentary environment. Meanwhile, the shear strength of soils is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But,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f soils sampled from the landslide area is lower than that of soils from the non landslide area. Therefore, the terrain slope with low internal friction angle is more vulnerable to the landslide.

      • KCI등재

        한국의 산 연구전통에 대한 유형별 고찰

        최원석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0 No.36

        The mountain and mountain culture come to a head a paradigm shift in the 21th century. Korea has been deep relationship with the mountains in both aspects of the nature and culture historically, it come to be a background to produce the knowledge system on the mountain. This paper reviews on the research tradition of the mountain knowledge written in Joseon dynasty. I evaluate meanings and significances of the Korean creative results about the mountain knowledge system. I can classify the research tradition types of the mountain knowledge in Joseon dynasty as follows: topography, traveling record, encyclopedia, mountain family tree, cartography, fengshui document. The mountain knowledge system was reflected well in topographies in middle dynasty of Joseon. The information on the mountain traveling record, encyclopedia, fengshui document spread to the general public in late dynasty of Joseon. Korean description way on the system of the mountain lay, like as the mountain family tree and cartography, is a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ast Asian traditional research and knowledge system. 21세기에 ‘산과 산악(산지)문화’의 가치와 비전은 문명사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고 있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자연과 문화 양면에서 산과 큰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이는 산에 대한 연구와 지식정보를 생산하고 체계화한 배경이 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산 연구전통과 그 가치를 유형별로 검토하였고, 동아시아에서 한국의 독창적인 산에 대한 지식체계의 성과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에 걸쳐 이루어진 산에 대한 연구전통은 地理誌類, 遊覽記類, 百科全書類, (山)譜類, 地圖類, 風水錄類로 분류될 수 있다. 산에 대한 지식체계가 형식과 내용의 양면에서 체계적으로 정립된 것은 조선후기에 이르러서였다. 유형별로 보자면, 산에 대한 기록 및 지식정보는 조선시대의 地理誌類에 잘 반영되어 있고, 조선후기에는 遊覽記類, 地圖類, 風水錄類의 산 정보가 사회전반에 널리 확산되었으며 특히 百科全書類, (山)譜類에서 산에 대한 연구성과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었다. 산의 지리정보에 대한 지식 체계의 축적은 산줄기(山系)의 계통적이고 체계적인 파악과 이것을 재현한 지도의 표현방식에서 잘 드러났다. 山經 體系와 山譜의 서술방식, 산과 산줄기에 대한 지도 표현 방식 등은 동아시아의 산 문헌기록 및 연구전통에 비교해 보아서도 독창적이고 체계적인 성과로서 꼽을 수 있다.

      • KCI등재

        백두산 관광을 통해 본 식민지 ‘진정성’의 구성 방식

        신진숙(Shin, Jin Sook)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1 No.-

        백두산은 현대 동아시아 특히 환동해지역 중에서도 한반도 고유의 역사적 경험과 결합된 장소로 재현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기억의 출발점은 근대 백두산에 대한 재현체계에서 살펴볼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근대 텍스트로서 백두산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식민지 지식인의 백두산 탐험 관광에 주목하였다. 본고에서는 식민지 시대 백두산 관광은 근대적 관광의 하나로서 이해하고, 이러한 관광행위가 식민지 진정성의 생산과 소비에 관한 담론과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살펴보았다. 1920년대와 30년대에는 백두산을 탐험하고 기행문을 남기는 행위는 진정한 식민지 자연을 체험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진정한 자아를 만나는 진정성 추구의 과정으로 이해된다. 일본 제국이 억압한 민족의 역사문화와 결합하는 주요한 방식이었다. 백두산은 금강산과 같은 다른 대중화된 관광지와 차별화되는 진정한 자연의 숭고미가 존재하는 곳, 즉 산 중의 산으로 인식되었다. 그 구체적인 과정은 백두산이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등 신문과 출판저작물의 생산을 통해 민족의 영지로 재현되는 과정으로서, 식민지 시대 백두산 관광은 단순히 관광상품으로 소비되는 인위적인 명승지와 구별되는 진정한 의미의 공간 체험으로 각광받는다. 상품화될 수 없는 신성한 장소로의 여행은 일본제국에 의해 박탈당한 실존적 진정성의 상상적 회복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식민지 억압이라는 환경 속에서 살아가야 했던 식민지인은 자신의 정신적 위기를 극복하고 자아를 회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자연관광을 선택하는데, 백두산 관광은 바로 이러한 문화적, 정치적 실천의 하나였다. 백두산 기행문에 나타난 신비화된 자연에 대한 재현이나 낭만주의적 미적 감수성들은, 바로 이러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상실된 공적 진정성의 회복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discourse of colonial authenticity and perception of Beakdusan, analyzing the travelogues of Baekdusan(白頭山) written by the intellectuals of colonial Joseon during the 1920"s and 1930"s. This article have concentrated on Min Taewon"s Baekdusan haeng (白頭山行) compiled in 1921, Choe Namseon"s Baekdusan geunchamgi (白頭山覲參記) in 1926, to An Chaehong"s Baekdusan deungcheokgi (白頭山登陟記) in 1931. Although each author exhibited certain descriptive differences, all of these travelogues share the commonality of searching for the colonial authenticity of the Korea Culture and Nature. Paying attention to representing upon the sacred vestiges of Dangun, these works focused on pursuing and culminating the authentic landscape of Korea that came from being a real sublime nature of Korea, Baekdusan. This paper focuses at a conceptual clarification of the meanings of authenticity in Baekdusan tourist experiences. In this paper, three approaches are discussed, object-related Authenticity, constructive authenticity, and existential authenticity, which are suggested by Ning Wang. This structure of authenticity of the colony is an alternative source in understanding the colonial intellectual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What is obvious is that the real nature and the imagined reality of the Korean nature found in the travelogues of Baekdusan not only helped construct the colonial authentic identity, but also simultaneously become a subversive discourse against the assimilationoriented policies of imperial Japan.

      • KCI등재

        조선 후기 문인들의 『山海經』 認識과 受容

        김광년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일본학연구 Vol.52 No.-

        중국의 오래된 지리지이자 신화집인『山海經』은 오랜 기간 동아시아 사상, 문학, 풍속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친 고전 작품이다. 『산해경』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1700여 년 가까이 우리 문인들에게 읽히고 해석되면서 다양한 양상으로 수용되어 왔다. 본 논문은 특히 『산해경』이 다방면으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생각되는 조선 후기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 후기 문인들이 『산해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수용하였는가를 검토하였다. 『산해경』은 이미 삼국시대에 우리나라에 전해져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시대 인물들의 작품에서 『산해경』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신, 괴수 등이 종종 등장하는 것을 그 증거로 들 수 있다. 조선 시대에 접어들게 되면 문인들은 이전 시대에 비해 더 적극적으로 『산해경』을 읽고 이에 대한 논의를 펼치며 관련 작품을 창작하는 등 활발하게 『산해경』을 수용하였다. 조선 후기 문인들은 『산해경』의 존재 의의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통해 그 가치를 적극적으로 인식하는 한편으로, 『산해경』을 문헌 고증을 위한 참고 자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성해응, 정약용, 홍양호 등 조선 후기에 훈고학과 고증학을 연구 방법으로 삼은 학자들에게서 『산해경』의 인용은 두드러지는 현상이었다. 한편, 문학적 측면에서 『산해경』은 ‘奇’와 ‘古’의 문체의 한 전범으로 인식되어 조선 후기 한문산문의 ‘기’와 ‘고’ 취향에 일조한 측면이 인정된다. Shanhaijing is an ancient classic with much influence on East Asia. It was introduced in the early stages of Korea, and accepted in various aspects as it has been read and interpreted over 1,700 years. This paper examined how the late Joseon Dynasty recognized and accepted Shanhaijing. Shanhaijing was introduced to Kore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is evidence that the characters, gods and monsters appearing in the Shanhaijing appeared in the writing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During the Joseon Dynasty, writers actively read and discussed Shanhaijing and created works related to i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people used to use Shanhaijing as references for historical research. In particular, scholars who studied bibliography and philology, such as Seong Hae-eung(成海應), Jeong Yak-yong(丁若鏞), Hong Yang-ho(洪良浩), cited it as a favorite quote. On the other hand, it was recognized as a model in the literary style of Qi(奇, strange) and Gu(古, Archaic), and thus contributed to the style of wri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일제강점기 산이름 표기변화의 조사 분석 및 의미 고찰

        박선영,정부매,최원석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4 문화 역사 지리 Vol.36 No.2

        이 연구는 HGIS 기법을 활용해 일제강점기의 산이름 표기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역사·문화·사 회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총 1,160개의 지명 중 882개의 산이름(산, 봉, 령, 치 등)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일제 강점기에 표기변화가 나타난 87개의 산이름 중 현재까지 유지되는 25개의 산이름을 확인했다. 이 중 충청남도 홍 성군의 일월산, 경상남도 함양군과 거창군의 남덕유산, 경상남도 창원시의 정병산을 사례로 심층 분석하였다. 연 구 결과, 산이름의 표기변화가 지역의 역사, 문화, 사회적 관계와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향후 산이름 복원과 표준화 작업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 동안의 산이름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 석하여 지명의 역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산이름의 공간 DB 구축과 국가적인 표준화에 기 여할 수 있으며, 일제강점기에 왜곡되거나 변화된 산이름의 복원 방향을 제시하는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사회적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진산과 주산에 해당하는 산이름만을 다룬 점, 대표지명과 이명칭 (별칭), 속칭의 취급 방식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포괄적인 자료 수집과 다양 한 명칭의 체계적 분석을 통해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야 하는 것이 과제이다 This study utilizes HGIS technique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hanges in mountain placename nota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their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significance. From 1,160 placenames, 882 mountain placenames were examined, identifying 87 that experienced chang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ith 25 still in use today. In-depth analysis of cases like Ilwolsan, Namdeogyusan, and Jeongbyeongsan reveals that these changes are closely tied to regional history, culture, and social dynamics, providing a foundation for future placename restoration and standardization efforts. However, the study is limited by its focus on “Jinsan” and “Jusan” mountain placenames and calls for further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and colloquial name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research offers cruci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placena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uture studies should address these limitations by collecting comprehensive data and analyzing various name types. The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a spatial database of mountain placenames, aiding national standardization efforts, and providing objective data for restoring mountain placenames alter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18세기 전반 홍중일(洪重一)의 백두산 기행문에 관한 연구

        정우봉 ( Chung Woo-bo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4 No.-

        백두산은 한반도와 중국의 경계이며, 문화와 사상과 경제가 만나는 접경지이다. 한국과 중국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변방 지역이며, 미지의 영역, 신비의 장소이다. 또한 백두산은 청나라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지역으로서, 국경을 넘나드는 위험을 감수하면서 척박한 환경 속에 살아갔던 邊境民들의 삶의 터전이기도 하였다. 이 시기 犯越의 문제는 조선과 청나라 정부의 심각한 현안의 하나였다. 이러한 점에서 백두산 山水遊記는 백두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 대중국 관계 및 邊境 지역민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을 살피는 데에도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 이 점에 주목하여 이 논문에서는 洪重一(1700~1776)의 「白頭山日記」를 중심으로 작품에 나타난 타자 이해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현재 독립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 자료는 그동안 작가가 밝혀지지 않은 채 학계에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관련 문헌 자료들을 통해 작가를 풍산홍씨 추만공파의 후손인 洪重一로 고증하였으며, 그의 생애를 추적해 보았다. 홍중일에게 있어 백두산은 關防의 핵심적 기지이며 장대한 조망처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공간이었다. 關防의 핵심처로서 백두산을 바라보는 시각은 홍중일의 독특한 면모라고 하겠다. 국경을 맞대고 있는 청나라에 대해 작가가 어떠한 대외 인식을 가졌는가, 그리고 백두산 정계비 설치에 대해 비판적 견해가 어떤 것이었으며 그와 관련하여 조선 강역에 대한 영토 의식이 어떠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청나라를 방어하기 위해 백두산 및 그 인근 지역의 지정적학, 전략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방어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또한 「백두산일기」에는 접경 시대를 살아가는 변경민들의 생활과 풍속에 대한 작가의 이해를 살필 수 있다. 백두산 지역의 변경민들은 때로는 낯설고 이질적인 존재, 국가에서 정한 법률을 어기는 존재로 비쳐지기도 하고, 때로는 척박한 자연 환경 속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民의 존재로 그려지기도 하였다. 후자의 관련하여 작가는 하소연 할 곳 없는 변경민들의 참혹한 현실 앞에 무력할 수밖에 없는 자신의 모습을 대면하였다. 이를 통해 작가는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explored and showcased travel journals covering Mt. Baekdu in the 18th century. So far, about 10 types of travel journals covering Mt. Baekduhave been reported. The paper uncovered three new documents that were unknown to the academic world. It is written by three people, Namely Sin Gwang-ha, Hong Jung-il, Kim Jo-won. Mt. Baedu was the vorder between Chosun dynasty and Qing dynasty. Mt. Baedu Demarcation of Stone was established in 1712. Hong Jung-il climbed Mt. Baedu in 1740. He was interested a border area of Chosun and Qing dynasty. He argur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pronuciation of Tuman River. He instisted that Gando region can be included as Chosun's territory. The idea of Chosun's old territory recovery was expressed in this Baedusanilgi. Among them, the paper intensively analyzed the travel journals of Hong Jung-il. Before analyzing the travel journal to Mt. Baekdu, I studied the writer of Baekdusanilgi in detail. As a result the writer of Baekdusanilgi was turned out to be Hong Jung-il. These new material will greatly benefit from studies on Mt. Baekdu in the future. I believe that analyzing prototypes of wrting style in landscape essay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history of landscape essay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lso, I expect that this kind of approaching c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landscape essays.

      • KCI등재후보

        白頭山(長白山)和 中.韓(朝鮮) 國境線 問題

        양대언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8

        白頭山은 우리 韓民族에게는 영원한 고향과 같은 민족의 發祥地 이며 국가의 始原으로, 생명력을 지닌 민족의 聖山으로 崇仰 되어 왔다. 역사적으로 보면 고조선 이후 夫餘, 高句麗, 渤海 등의 나라들이백두산을 근거로 하여 발전의 동력을 삼았고 민족 기상의 發揚의 근본으로 여겨왔던 것이다. 한편 이 백두산 주변 을 생활 근거지로 삼았던 肅愼 ,靺鞨, 女眞, 滿洲族 등도 그네들의 發祥地 내지 根據地라 여겨왔고, 심지어 신격화 전설화 등 그들의 나름대로 崇仰 해 왔던 것도 사실이다. 이런 백두산은 풍수지리상 지세를 사람 몸에 비유하여 이해하기도 하는데, 백두산을 氣가 뭉쳐진 머리로 하여 韓半島가 형성되고 그 氣의 흐름이 낭림산맥-태백산맥-소백산맥- 노령산맥으로 이어져 백두산의 기가 전달되는 등뼈 의 역할을 하는 “白頭大幹” 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백두산은 기원926년에 契丹族에 의하여 발해가 멸망됨으로서 우리민족의 영역에서 벗어나 우리로부터 멀어져 갔다. 그 후로 부터는 故土回復의 전진 기지, 혹은 최전방 에 보이는 탈환의 고지 진지로 되어, 오랜 세월 우리민족의 마음속에만 간직된 잃어버린 터전에서, 되찾아야 될 옛 고향 땅이 되고 말았다. 한편 만주족의 淸도 이곳을 민족의 發祥地로 , 국가번영의 터전으로 하여 벼슬을 내리고 이름 마져 泰山,長白山이라 하면서 이 산의 정기를 받아 영원토록 번영의 길로 갈수 있다고 여겨 왔던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백두산은 우리 민족뿐 만 아니라 북방에서 明滅하던 東夷 諸國의 정신적 고향 땅으로 활동의 주 무대가 되어, 이곳에 대한 국경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17세기 중엽 청나라가 수도를 북경으로 옮긴 이후 이 지역을 자신들의 근거지라 하여 타 민족의 접근조차 금하는 封禁政策을 실시하여 200여 년 간 어느 누구도 출입을 하지 못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17세기후반 18세기 초 조선 사람들이 압록강, 두만강 을 넘어와 백두산 인근 지역과 두만강 북안 지역을 개척하기 시작 하자 청은 그 당시 국경도 확정 되지 못했던 백두산을 그들의 영역으로 귀속 시키려 했다. 1712년 白頭山 定界碑를 세워 백두산에 관한 언급 없이 천지를 포함하는 넓은 산지를 자기들의 영토로 삼았고, 심지어 土門江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국경분쟁의 산물인 間島問題가 야기되었다. 그 이후 日帝의 强占으로 우리의 국권이 상실된 시기에 독립운동의 據點으로 이용되기도 했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으로 국권이 회복된 후에도 우리민족의 분단과 조선(북한)과 중국이 1962년에 조,중 변계조약에 의하여 백두산이 반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백두산의 역사와 명칭문제를 보면 처음 문헌에 등장한 것이 중국의 전국시대인 BC475년~AD 221년 사이에 쓰여진 지리지(山海經) 이다. 여기에 不咸山으로 등장한 이래 漢代 單單大嶺으로, 남북조 시대 北魏에서는 개마대산, 당의 시대는 太白山이라 불렸고 , 고구려 시대 白山 여진족의 금나라 시대인 1115년경부터 장백산이라 불렸다. 우리나라 문헌에서는 <삼국유사>에 처음 그 기록이 나오는데 신라31대왕인 신문왕(681-692)시기에 白頭山이란 기록이 처음등장 했고 , 그 후 고려시대와 조선조 4대왕 세종시기에 압록강 두만강을 회복 하면서 백두산을 다시 거론 했다. 근세에 와서는 중국의 청조 시기인 1712년 백두산 정계비와 관련된 문서와 중화민국, 만주국, 중화인민공화국 초창기부터 1980년대 초까지 白頭 ...

      • KCI등재

        토양함수지수를 이용한 국가 산사태 예보체계 구축 및 운영

        이창우,김동엽,우충식,김유승,서준표,권현정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background and methodology of the current operational national landslide forecast system in Republic of Korea and analyze its operational results in the past two years. Soil water index and tank model were employed as the national landslide forecast system with a goal of pre-1-hour forecast for landslide likelihood in a national scale. The tank model was parameterized with the past rainfall data inducing landslides in each divided eleven region after considering rainfal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whole country. The national landslide forecast system have provided local administrations with the information of predicted warnings calculated with observed and predicted rainfall data by Korea Weather Administration in a hour since 2013, and they issue landslide warnings including landslide watch and alert based on the information. As results of its two-year-operation, 420 and 248 predicted warnings were calculated in 2013 and 2014, respectively. But, 33 of 420 in 2013 and 17 of 248 in 2014 were not finally issued in reality, accounting for 7.9% and 6.9%, respectively. Also, predicted warnings were not calculated for 36 of 72 landslides occurred in 2014 compared to only one out of 212 landslides in 2013. Overall, improvement of input rainfall data accuracy, regular revision of tank model parameters, and relevant adjustment of landslide warning issuing level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landslide forecast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산사태 예보체계의 구축 배경 및 그 방법론을 소개하고, 지난 2년간의 운영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국가 산사태 예보체계는 전국 범위의 1시간 단위 산사태 위험 예보를 목표로 구축되었고, 이를 위하여 토양함수지수 개념과 탱크모델을 도입하였다. 강우 및 지질특성을 고려하여 구분된 11개 권역별로 탱크모델의 매개변수가 산사태 발생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되었다. 국가 산사태 예보체계는 2013년부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실황 및 예측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1시간 단위의 산사태 위험 예측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지자체에서는 산사태 주의보 및 경보를 발령하고 있다. 지난 2년간의 운영 결과, 2013년 420건, 2014년에는 248건의 산사태 위험 예측정보가 생산되었으며, 이 중에서 산사태 예보로 발령되지 않은 건수는 각각 33건(7.9%), 17건(6.9%)이었다. 또한, 2013년에는 발생한 212건의 산사태 중 1건만이 산사태 위험 예측정보 생산 및 예보 발령이 되지 않았던 반면, 2014년에는 72건의 산사태 중 36건에 대한 예측정보 생산 및 예보 발령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추후 현행 예보체계의 실효성 향상을 위해서는 입력 강우자료의 정확성 향상, 정기적인 매개변수 수정 및 예보 발령 수준의 적절한 조정 등이 필요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