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림복지 정책과 커뮤니티케어의 연계 활성화를 위한 산림복지 종사자 그룹 간 인식 차이 분석

        염동걸,류진석,배관표,김용하,박범진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3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제6차 산림기본계획(2018)에 제시된 ‘일상 속 산림복지체계 정착을 위한 지역사회 및 사회보장제도와의 연계’라는 정책적 목표(top-down)에 대한 산림복지 분야 종사자들의 구체적인 의견(bottom-up)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산림복지 정책과 커뮤니티케어(community care)의 연계 활성화’를 주제로 중앙부처(산림청-산림복지국) 공무원과 현장전문가(산림치유지도사)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일반 설문지와 AHP 설문지로 구분하여 작성하였으며, AHP 설문지는 사회복지 정책분석에 널리 활용되는 Gilbert and Terrell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일반 설문은 두 그룹의 응답자 총 58명의 응답내용을 IBM SPSS Statistic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그룹 간 응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였고, AHP 설문조사는 총 57명의 응답내용을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 설문조사에서는 중앙부처(산림청 산림복지국) 공무원 그룹과 현장전문가(산림치유지도사) 그룹 모두 커뮤니티케어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 산림복지 정책과 사회복지 정책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두 그룹 모두 산림복지 정책과 사회복지 정책의 연계 필요성에 대해 강하게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HP 설문결과로서, 1계층에서는 두 그룹 모두 ‘재원’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계층의 서비스 대상자 선정방법에 대해 현장전문가(산림치유지도사) 그룹에서는 ‘이용자집단의 공통적 욕구’를 고려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중앙부처(산림청 산림복지국) 공무원 그룹에서는 ‘자산조사 및 진단적 구분’을 고려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지원형태는 두 그룹 모두 ‘프로그램’이 1순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그룹 모두 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공공ㆍ민간부문 공동의 역할이 모두 고르게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재원을 마련하는 방법에 있어서 두 그룹 모두 ‘공공재정(국비)’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전략목표의 AHP 분석

        한승준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논총 Vol.24 No.-

        2016년 산림청은 체계적인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산림복지문화재단과 녹색사업단을 통합하여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을 설립하였다. 신설법인인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은 경영방식과 조직 설계 등 경영전략 전반에 관한 방향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산림복지의 개념과 기관의 현황분석을 수행하였다. 산림복지의 개념은 국민에게 산림을 기반으로 하는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복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경제적·사회적·정서적 지원을 하는 것이다. 산림복지의 범위는 산림휴양, 산림문화, 산림치유, 산림교육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의 전략체계의 우선순위를 제시하기 위해서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AHP 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전문가들은 4개의 전략목표 중에서 산림복지 진흥 기반 구축에 대한 전략목표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전략목표별로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산림복지 진흥기반 구축과 관련해서는 산림복지 서비스 인프라 구축에 대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산림복지 서비스 품질향상과 관련해서는 산림복지시설 운영 및 관리 체계화에 대한 우순순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산림복지 국민공감과 관련해서는 공공성 강화 방안 마련, 책임경영체제 구현에 대해서는 기관 경영 관리 체계화 및 고도화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공공성 강화 방안 마련, 고객중심 소통체계 구축, 고객체감형 홍보 강화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전문가들의 인식과 산림청/산하기관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괴산 산림복지단지조성에 따른 인식 및 요구분석에 대한 연구

        최순남,신창섭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1

        In recent years, the increase in income levels and leisure time has diversified recreational activities, and the level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demand analysis of the prospective applicants for the Gösan Forest Welfare Complex, which is actively addressing this demand and is created for the realization of forest welfare by life cycle, to create a failure-free composition. To this end, 800 members of the public were surveyed in the over-20sin three regions: Cheongju, Chungju, and Goesan County. The survey showed 43.3% awareness of the Goesan Forest Welfare Complex. Also conducted surveys on facilities that hope will be introduced into natural recreation forest, healing forest, forest leisure sports facility, and forest campsite. An analysis of the introduced facilities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accommodation (22.8%) in natural recreation forest, healing forest path (24.2%) in healing forest, indoor forest leisure sports facilities (23.3%) in forest leisure sports facility, and cookroom (19.5%) in forest campsite. After the creation of the Goesan Forest Welfare Complex, it was found to be 75.6% willing to use it for the intention of use. The most family members(73.5%) wanted to use it together. The purpose of use was 34.0% health promotion. The use time was highest at 49.5% for 2 days or 3 days per night. 37.3% said they would use less than 50,000 won from 20,000 won. To date, there has been no cas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a forest welfare complex has been completed in Korea, and related research is also lacking.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actical research for the creation of forest welfare complex that are compatible with the increase in forest welfare services.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여가시간 증가로 휴양활동도 다양해지고,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이러한 수요에 적극 대처하고 생애주기별 산림복지 실현을 위해 조성되는 괴산 산림복지단지에 대하여 이용예정자들의 인식 및 요구분석을 파악하여 실패 없는 조성에 있다. 이를 위해 청주시, 충주시, 괴산군 3개 지역 20대 이상일반인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괴산 산림복지단지에 대한 인지도는 43.3%로 나타났다. 또한 괴산 산림복지단지 내 조성예정인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산림레포츠시설, 숲속야영장에 도입되기를희망하는 시설에 대한 설문도 실시하였다. 도입시설물 설문 분석 결과 자연휴양림에는 숙박시설(22.8%), 치유의 숲에는 치유숲길(24.2%), 산림레포츠시설에는 실내 산림레포츠 체험시설(23.3%), 숲속야영장에는 취사장(19.5%)이가장 높게 나타났다. 괴산 산림복지단지 조성 이후 이용의향에 대하여는 이용할 의향이 있다가 75.6%로 나타났다. 함께 이용하고 싶은 사람은 가족(73.5%)이 가장 많았다. 이용목적은 건강증진이 34.0%로 나타났다. 이용시간은 1박2일이나 2박3일이 49.5%로 가장 높았다. 소요경비는 2만원에서 5만원 미만을 사용하겠다는 응답이 37.3%로 가장많았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산림복지단지로 조성이 완료된 사례가 없으며, 관련연구 또한 부족하다. 본 연구는산림복지서비스 증대에 부합하는 산림복지단지 조성을 위한 실천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경기도 산림복지 휴양벨트 여건 분석 및 조성방향

        이양주,김한수,박미선,반수홍 경기연구원 2016 정책연구 Vol.- No.-

        Forest welfare is differ from social welfare, Forest is not the subject of welfare, is a good welfare resource. Forest welfare is not a universal word, is the political word that the Korea Forest Service(KFS) has used. KFS’s Forest Welfare Division conducts a research to enhance citizens’ quality of life and maximize added values of green resources. The act for forest welfare promotion was established in 2015, enforced in 2016. Forest welfare facilities were not defined newly, were taken from the parts of the existing recreation, healing, environment education, and recreational sports. This act is only the one more regulation! Local government is not easy to accept a good policy. What is worse, what is differ from nature park? So, a Gyeonggi-Do’s appropriate policy strategy is to select one site and make a forest welfare complex. KFS proposed the best sites would be forest service complex of culture, recreation, healing, care, leisure sports, environment education, and woodland burials. There are four possible sites in Gyeonggi-do, Our proposed site is Mt. Chukryung based on the best assessment scores, has had already good recreational and healing resources. Finally, Gyeonggi-do must will get the flexible policy, (1) show an example following the central forest welfare policy, (2) find out and define the problems of the act and policy, (3) find out and enforce now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We hopes that local nature park will be a forest welfare service provider.

      • KCI등재

        산림산업 특수분류에 따른 산림복지산업 업체수 현황 분석

        김기동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4

        Forestry, which is the primary industry, was only classified as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but in December 2020, the Statistic korea established a special classification of the agricultural, livestock and food industry and classified the forest industry included 130 sub-class industries. The forest industry can accurately identify the size of the industry and the status of the company through special classification, but a lot of budget and time are needed because the entire forest industry needs to be investigated. Of the 130 classification industries related to the forest industry, 94 industries were not related to the forest industry, and the population status of 94 industries was based on the national business survey statistics that surveyed the detailed industries of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However, if the entire industry linked to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is a forest industry, that is, wood and wood product manufacturing can be seen as 100% forest industry, but the classification mixed with other industries, such as seed and seed wholesale, is mixed with agriculture, 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much forest industry accounts for this classifi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5,000 samples based on the National Business Survey DB of the Statistic Korea, and the size of this sample is ±0.59%p at the 95% confidence level of the sample error. The sample distribution was distributed proportionally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workers by industry, and was investigated through a telephone survey.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number of companies operating in the forest industry in 130 sub-class industries was estimated to be 134,447. The forest welfare industry has 4,364 companies, accounting for 3.2% of the total number of forest industry companies. 산림산업은 1차 산업인 임업만 한국표준산업분류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통계청의 농림축산식품산업의 특수분류 제정으로 130개 산림산업의 세분류 산업이 특수분류로 제정되었다. 따라서 산림산업은 특수분류 제정으로 정확한 산업규모 및 업체 현황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산림산업 특수분류 130개 세분류 산업과 연계된 한국표준산업분류 산업 중 94개 산업은 분류 전체가 산림산업이 아닌 타산업이 혼재하여 산림산업만을 조사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94개 산업에 대한 모집단을 추정한 뒤 표본조사를 수행하여 산림산업 업체수를 추정하고 산림복지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94개 산업의 모집단 현황은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세세분류 산업을 전수조사하는 전국사업체조사 통계의 모집단을 기반으로 구축하였다. 조사는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총조사 Database를 기반으로 25,000개 표본으로 수행하였으며 이 표본의 크기는 95% 신뢰수준 표본오차 ±0.59%p이다. 표본배분은 산업별 총 종사자수에 따라 제곱근 비례 배분하였으며 전화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130개 세분류 산업에서 산림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수는 134,447개로 추정되었으며 산림복지산업은 업체수는 4,364개 업체로 전체 산림산업 업체수의 3.2%를 차지하여 산림산업 특수분류내 6대 대분류 중 임산물 생산업 다음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복지산업은 종사자수 4인 이하의 업체수 비율이 88.8%로 6대 대분류 중 임산물 도소매, 운송 및 관련 서비스업 다음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산림복지산업은 4인 이하의 영세 업체 비율이 타 산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산림복지산업 관련 정책은 영세업체 지원 정책과 산업발전을 위한 규모화 정책의 추진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숲체험활동과 산림복지정책의 과제

        조계중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1 南道文化硏究 Vol.- No.43

        정부는 2020년 1월 27일 코로나19 ‘경계’ 단계 발표 이후 2월 23일 ‘심각’ 단계로 격상하였으며, 누적 확진자가 1만여 명까지 증가하면서 코로나19 사태는 우리사회에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산림교육기관이나 산림 현장에서의 산림교육 및 숲체험활동은 처음 겪는 코로나 여파로 매우 혼란한 상황에 처해있다. 이 연구는 이처럼 코로나19로 인해 새롭게 경험하는 환경에서 숲체험활동에 대한 미래의 방향성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숲체험활동 현황과 다양한 문제점들을 분석 하고, 둘째, 코로나19 시대와 코로나19 이후 숲체험 활동과 현장체험지도, 산림복지정 책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관련 보고서들과 데이터의 세계 (Our World in Data)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숲체험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야외체험학습의 문제들에 대한 분석과 산림교육기관이 처한 어려운 상황에 대한 이해 및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산림복지정책 제언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비대면 산림교육 및 산림체험활동에서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던 것 은 디지털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실시된 정규 교육이 근간이 되어 산림교육 및 숲 체험활동에 대한 이해화 관련 프로그램에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이후 숲체험활동은 디지털 활동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이때 디지털 산림 및 숲체험 활동은 디지털 기기를 바탕으로 한 대면활동과 비대면 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산림 및 숲체험활동과 지도는 산림교육의 중요한 기능으로서의 역할 확장과 재개념화가 있어야 할 것이며, 정부 역시 산림 및 숲체험활동과 산림교육을 통한 산림복지정책 시행을 위한 예산 지원 및 정책적인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the country's Crisis Alert Level to 2 on January 27, 2020 and has increased it to ‘serious’ on February 23, 2020 against COVID-19.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has increased to 10,000, which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ur society as a whole. In particular, forest education and activities at the forest education institutions and forest are in a very chaotic situation due to COVID-19 aftereffect that they experienced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future direction of forest activities in this newly experienced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forest activities and various problems caused by COVID-19, and the second objective is to explore forest activities, field experience guidance, and forest welfare policies. To achieve the objectives,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s of forest activities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relevant reports and the website of “Our World in Data.” The research included analysis of the problems of outdoor learning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to difficult situations faced by forest education institutions, and suggesting forest welfare policies and sugges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In conclusion, it was possible to implement non-face-to-face system to the forest activities because the formal education had established a digital system. Forest activities after COVID-19 should be changed to digital activities, whereby using digital devices and including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 face activities. Forest activities need to be expanded and redefined as important functions of forest education, and the government also needs to set some budget and policy support to implement forest welfare policies through forest and forest education.

      • KCI등재

        SWOT 분석을 통한 괴산 산림복지단지 활성화 방안 연구

        최순남,신창섭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3

        Due to the recent prolonged corona virus, a different lifestyle is appearing than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These changes have also changed the national leisure life, and it has become clear that there is a tendency to prefer safe, low-density outdoor activities with family in nature-friendly spaces rather than enclosed indoor tourism activities. Goesan Forest Welfare Complex aims to actively respond to the changing national leisure trend and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in the mountain villages, which are on the verge of extinction due to population decline. For this purpose, SWOT analysis was conducted on 30 related experts. As a result of the first questionnaire analysis for deriving SWOT factors, a total of 16 factors, 4 for each group, were derived to complete the SWOT Matrix. Afterwards, a secon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the 16 derived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condary questionnaire analysis, the top priority factors for each group were selected and strategie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deriving SWOT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strength of the highest priority was that most of Bakdal Mountain was a forest area of national and public forests, and the forest resources were abundant and there were no hindrance factors for private facilities, so the scenery was excellent. The weakness of the top priority is that the characterization factors of Goesan Forest Welfare Complex are weak. The top priority opportunity factor is that a synergy effect can be expected in connection with walking-oriented tourist attractions. In addition, the top priority threat factor is population decline due to the outflow of young and elderly people and securing local experts due to aging. appeared to be difficul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revitalize the Goesan Forest Welfare Complex, it is necessary to use the abundant forest resources of the Goesan Forest Welfare Complex to discover specialization factors that differentiate it from the surrounding tourist sites, and to secure professional manpower in the area. To this end, continuous feedback on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new businesses should be made by experts in other fields as well as experts in related fields. In addition, practical follow-up studies related to thi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최근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코로나-19 발생 이전과는 다른 생활방식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국민여가생활도 변화시켜 실내 여가활동보다는 자연친화적 공간에서 가족과 함께 안전한 저밀도 야외활동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괴산 산림복지단지는 변화하는 국민여가 트렌드에 적극 대처하고, 인구감소로 인하여 소멸의 위기에 처해있는 산촌지역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전문가 30인을 대상으로 SWOT 분석을 실시하였다. SWOT 요인 도출을 위한 1차 설문분석 결과 각 그룹별 4개 총 16개의 요인을 도출하여 SWOT Matrix를 완성하였다. 이후 도출된 16개 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2차 설문을 실시하였다. 2차 설문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그룹별 최우선 요인을 선정하여 전략을 도출하였다. SWOT 요인 도출 결과 최우선 순위의 강점은 빅달산 대부분이 국·공유림의 산림지역으로 산림자원이 풍부하고 사유시설 저해요인이 없어 경관이 우수하다로 나타났다. 최우선 순위의 약점으로는 괴산 산림복지단지 만의 특성화 요소가 미약하다는 것이다. 최우선 순위의 기회요인으로는 걷기 위주의 주변 관광지와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최우선 순위의 위협요인으로는 청·장년층의 인구유출로 인한 인구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지역 내 전문인력 확보가 어렵다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괴산 산림복지단지 활성화를 위해서는 괴산 산림복지단지만의 풍부한 산림자원을 활용하여 주변관광지와 차별화되는 특성화 요소를 발굴하고, 지역 내 전문 인력을 확보해 나가야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 관련분야 전문가 뿐만 아니라 타분야 전문가의 신규사업 도입과 운영에 대한 지속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와 관련된 실천적 후속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산림의 과학적 관리에 관한 법률 입법화 구상

        이경선,김준순,최태헌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3 江原法學 Vol.71 No.-

        국제사회는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유일한 자연자원이자 다양한 형태로 편익을 제공하는 산림에 주목하고 있다. 산림의 공익적 기능은 사회 전 영역에 걸친 산업의 공익적 기능을 압도한다. 물론 산림을 여전히 사회 여러 영역 중 하나의 섹터(체육, 예술, 복지, 교통, 교육 등)에 불과한 것처럼 구분되고 취급되는 경향이 남아있다. 하지만, 산림은 오히려 사회 전 영역의 기반이자 전제가 되어야 한다. 산림은 향후 매우 체계적으로 계열화된 과학기술에 기반하여 보전되거나 활용되어야 한다. 과학기술에 기반한 산림관리는 산림의 지리와 입체공간 구조 파악, 산림의 생태자원 파악, 산림 수종이나 식생 분포 파악, 산림 임업의 과학기계장비 동원, 임업(산림경영)의 스마트경영화, 산림에 기반한 레저-의료-치유와 명상-요양-관광-숙박-연수-외식-오피스 등 각종의 문화활동 내지 산업활동에서의 과학기술 접목 확대, 산림 재해의 과학기술적 방재, 산림 복원 등의 과학기술 활용 등을 모두 아우른다. 현재 산림 분야 과학기술 관련 법적 준거점은 「산림기본법」의 산림정보화와 임업기계화 규정, 「산림기술 진흥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기술 영업자 규제 규정,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법」의 임업과 임산물에 대한 과학기술 육성 규정,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있는 산림과학기술발전 기본계획의 수립 규정 등 다수 법률 여기저기에 산개해 있다. 이와 같은 산림 분야 과학기술 관련 규정들을 체계적이면서도 통일적으로 규율하고, 「과학기술기본법」,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촉진법」등 관련 법률들과 적절히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녹색복지국가·녹색과학국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과학에 기반한 새로운 산림관리체계를 정립해야 한다.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산림의 과학적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언해 본다.

      • 자연휴양림을 통한 산림복지와 산림치유를 위한 탐색적 연구 수도권, 강원권 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김경회 ( Kim Kyung-hoe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0 사회복지경영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복지시설의 대표적인 형태인 자연휴양림을 통한 산림복지와 산림치유를 위하여 자연휴양림 별 치유프로그램의 영향성을 탐색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숲과 삼림은 인간에게 자연적, 환경생태적, 심리적 치유효과를 주고 있으며, 이에 따른 치유와 스트레스 경감 효과를 주고 있다. 특히 도시이용객들이 많이 찾는 수도권과 강원지역 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이용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여 심신치유와 사회적인 복지 개선을 위한 가치와 영향성을 연구하였다. 자연휴양림이 산림복지와 산림치유에 미치는 요인으로 피톤치트, 산림욕과 같은 물리적, 화학적 요소도 중요하지만 심리적 요인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healing programs for each natural recreation forest for forest welfare and forest healing through natural recreational forests, which are representative types of forest welfare facilities. Forests and forests give humans natural, environmental, ecological, and psychological healing effects, and accordingly, they have healing and stress relief effects. In particular, the value and impact for mental and physical healing and social welfare improvement were studi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use and cases centering on natural recreational forest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angwon area, which are frequently visited by urban users.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such as phytoncide and forest bathing are important as factors affecting forest welfare and forest healing of natural recreational forests, but psychological factors are also important.

      • 산림병해충 주요 이슈와 대응 연구

        이창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2017년은 산림청 개청 5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산림정책의 파트너인 국립산림과학원은 1922년 임업시험장 설립으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단일연구기관으로서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산림이 전 국토의63%인 대표적인 산림국가입니다. 지난 40년간 녹화성공으로 산림자원은 14배 이상 증가하였고 산림의 공익적가치는 126조원에 달하고 있습니다. 우리 과학원은 산림과학기술개발에 연구역량을 집중하여 세계가 인정하는치산녹화라는 국가브랜드를 만드는데 큰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산림관련 메가트렌드가 변화하고 있습니다.기후변화 대응 산림의 역할 확대, 친환경 소재인 목재자원 이용 활용 촉진, 과학적 산림재해 방지체계 구축, 산림생태계보호 및 기능 증진, 산림복지서비스 확충, 국제산림협력 강화 및 북한 산림복구 분야의 연구 강화가 필요합니다.산림의 사회적・경제적・생태적・문화적 그리고 정신적 수요를 충족시키는 한국형 산림경영 모델로 제2의 국가브랜드를만들겠습니다. 산림병해충 분야에 대한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