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듀이의 “사회적 지성” 개념의 교육적 함의

        홍남기 ( Nam Ki 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1

        현대 교육학 이론에서는 지적인 능력을 각 개인이 개별적으로 형성, 소유한 것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듀이에 의하면 지성은 각 개인에게 귀속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주관적으로 형성, 공유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지성이 활성화될 때 각 개인이 지적, 도덕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듀이가 말하는 ‘사회적 지성’은 집단적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주관적으로 공유되는 지성이라는 점에서 볼 때, 최근에 회자되는 집단 지성과 유사하다. 하지만 민주적 공동체라는 맥락에서 사회적 지성은 도구적 합리성에 머무르지 않고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지향하는 집단 지성이 된다. 이는 교육적 차원에서 각 개인의 지성을 고립시켜 경쟁하는 교육 목표가 아닌 공동의 지성을 협동적으로 구성하면서 상호 간의 이해를 추구하는 교육 목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듀이는 사회적 지성을 증진하는 방안으로서 공감적 의사소통의 활성화와 공적인 관심사에 대한 반성적 탐구의 강화를 제시한다. 이는 교육적 차원에서 논증적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공감적 의사소통을 활성화해 보다 확장적이고 창의적인 사회적 지성을 형성하는 방안으로, 그리고 공적인 관심사에 대한 즉각적이고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탐구를 강화해 학습자가 공동의 이해관심을 매개로 성장하게 하는 방안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Modern education theories often describe intellectual faculty as the one that each individual has formed and possessed for himself. But John Dewey argued that intelligence does not belong to each individual but has been formed and shared inter-subjectively. And individuals can attain to intellectual and moral growth as far as this intelligence is activated. Dewey`s ``social intelligence`` is similar to the concept of collective intelligence which is popular recently in that social intelligence is shared inter-subjectively through collective communication. But Dewey`s intelligence is accompanied by communicative rationality as well as instrumental rationality. In pedagogical dimension, social intelligence is embodied in educational objectives which reconstruct common intelligence cooperatively, not objectives which make each person`s intelligence isolated and competed each other. Moreover, according to Dewey the activation of empathetic communication and the reinforcement of reflective inquiry into public interests are the best ways which improve social intelligence. In pedagogical dimension, this argument can be embodied into the practice which activates empathetic communication as well as argumentative communication to form more expansive and creative social intelligence, and the practice which intensifies the immediate, continuous, systematic inquiry into public interests in order that learners should grow intellectually, morally by the medium of common interests.

      • KCI등재후보

        상상력과 공감으로서의 공공성 ― 존 듀이(John Dewey)의 사회적 지성과 민주주의론을 중심으로

        김상현,김회용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6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magination and sympathy as The Public. For this goal, I examined Dewey’s concept of social intelligence, focusing on sympathy as communication and imagination as reflective thinking. In addition, I reviewed Edgar Morin’s theory of future education and Nussbaum’s recognition of sympathy and imagination while emphasizing Dewey’s social intelligence as the experience and democracy. First of all, any serious discussion of the public requires our critical understanding of current situation, which involves reconstructing the experience and theory of the past in respect to democracy. While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has been making the world one system beyond time and space, it has created more conflicts and divisions at different levels of society. Among the problems we see today are the increasing inequality among individuals and groups, the erosion of public spheres, and the paradox of democracy in the form of oligarchy. Using the method of literature analysis, I examined Dewey’s major books, focusing on sympathy and imagination while comparing the 1930s of America, when diagnosed of the “liberalism crisis” to the problems in our time. I also compared Dewey’s theory with Morin and Nussbaum’s ideas about future-oriented education, sympathy and imagination. Then I suggest to reframe Dewey’s social intelligence with sympathy and imagination in terms of the public. Following Dewey, in public judgment as moral judgment social intelligence can be improved by sympathy. Sympathy can make it possible for ego to recognize that he/she is facing complicated conflicts and problems in terms of other people. Moreover, sympathy can be combined with past experience and current experience through imagination. To sum up, Dewey’s social intelligence provides theoretical foundation to the recent diversity arguments that help us to solve the educational matters and seize the direction of future oriented education. Edgar Morin suggests to regard sympathy as understanding, as a starting point for future education. It means that we have to expand our knowledge of the world and humans beyond the level of recognition to understanding. Nussbaum argues that democracy is built upon respect and concern, and these in turn are built upon the ability to see other people as human beings, not simply as objects. Nussbaum emphasizes the need for citizens in a democracy to think critically, respect differences, and empathize with others--all characteristics. Nussbaum advocates for learning as a way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to encourage questioning,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listen and consider. In all, Dewey’s social intelligence, reframed with sympathy and imagination in respect of today, helps us to settle the problems of democracy and education in our current society. 본 연구는 듀이가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위기로 진단했던 1930년대의 미국적 상황을 오늘 우리가 처한 상황과 동일한 맥락 속에서, 듀이의 주요저작을 중심으로, 그의 철학의 기본토대인 경험철학과 정치론으로서의 민주주의론을 사회적 지성의 관점에서, 아울러 공감과 상상력에 대한 내용을 의사소통과 공공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듀이는 지성을 개인과 공동사회가 습관, 관습, 제도 그리고 신념과 새로운 조건들 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게 해주는 것으로 규정한다. 사회적 지성이란 공동체 구성원들의 의사소통을 통해 공유되는 지성으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해 더욱 강화되는 것이다. 즉 사회적 지성은 의사소통으로서의 공감과 반성적 사고로서의 상상력이 결합된 것이다. 듀이에 따르면, 공감은 사회적 지성의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공감적 판단을 통해 자아가 직면하는 복잡한 갈등과 문제 상황을 타인의 관점에서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도덕적 판단 기능을 활성화하는 틀이다. 아울러, 상상력을 통해서 과거에 규정된 의미들이 현재와 상호작용하면서 재의미되고 재규정될 수 있는 것이다.즉, 듀이의 경험에 근거한 경험철학과 정치론 속에서 사회적 지성은 공공성의 또 다른 측면으로 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듀이의 지식, 삶, 사회, 자연에 대한 총체적 인식의 결과라 볼 수 있다. 사회적 지성과 민주주의론, 공감과 상상력에 대한 듀이의 논의는, 최근 공감과 상상력을 통한 사회문제해결 가능성을 주장하는 다양한 논의들에 일차적 논거를 제공하고 있다. 에드가 모랭(Morin)은 공감을 이해(understanding)와 동일시하면서, 미래의 교육은 서로에게서 공통의 인간성을 발견하는 교육이며, 이와 동시에 모든 것에 내재한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는 방식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누스바움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들에게 필요한 것은 타인들의 모든 측면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차이에 대한 존중과 공감이라고 강조한다. 누스바움은 비판적 사고를 개발하고, 문제의식을 갖게 하며, 경청과 배려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교육방식으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듀이의 사회적 지성과 공공성, 민주주의론이 오늘날의 관점에서 공감과 상상력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재구성 된다면, 우리사회의 민주주의와 공공성 회복을 위한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더불어 미래 사회를 위한 교육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 유용한 이론적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 지성에 기초한 존 듀이의 사회개혁론 비판과 그 교육적 시사

        이병승(Lee, Byung-Se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1

        이 글은 듀이의 사회적 지성에 기반을 둔 사회개혁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그의 사회개혁 방안이 가지는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듀이의 후기 저서에 나타난 사회적 지성의 방법은 공동체의 문제를 전통, 권위, 관습에 따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관찰과 실험을 통해 해결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과학적인 방법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폭력이 아닌 참여와 협동과 의사소통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민주적인 방법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지성에 기반을 둔 듀이의 사회개혁 방안은 지나치게 낙관주의적이고 이상주의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과학적 방법론을 지나치게 일반화했다는 점, 사회개혁 주체의 위약함을 간과했다는 점, 개혁주체를 떠받칠 사회, 정치적 기반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그의 사회개혁 방안은 여전히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시점에서 그의 사회개혁 방안을 대신할 대안이 없다는 점에서 그의 개혁방안은 폐기되어야 할 과거의 지적 유산이 아니라 재해석되고 재음미되어야 할 가치를 지니고 있는 주제이다. 듀이가 제시했던 사회적 관심, 사회적 기술, 사회적 이해, 사회적 덕목들은 여전히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사회적 지성의 방법으로 재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firstly to analyze the concept of social intelligence in social philosophy of John Dewey, and then to criticise his discussion of social reform based on the method of social intelligence, and lastly to suggest its implications to Korean society.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concept of social intelligence is ambiguous or vague. Generally it can be defined as method of social reform. But it can be reorganized by four categories: (i) social method to realize social ideal, democracy, (ii) scientific method to solve social problems, (iii) cooperative or organized method to gather individual intelligence, (iv) controlled method to protect some social evils. Secondly, theory of social reform has partly some cruxes conceptually and methodologically. Cruxes are as following (i) ambiguity or vagueness of social intelligence, (ii) some optimism believe that all human can solve human and social problems by using intelligence, (iii) fallacy of generalization believe that scientific method is very effective mean to solve social problems, (iv) misunderstanding about dual or contradicted act founded in intelligent persons. Thirdly, although Dewey’s theory of social reform has some cruxes, it give possibility and hope to us to solve some social problems, and then strive to realize social ideal, democracy. According to Dewey, teachers in school or many educators in society should be interest with public affairs and participate actively to social activities, and must act as agent of social reform. For the reformational mind and attitude of teachers in school to social problems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social reform. Nowadays, Dewey’s strong belief and practical discussion about social reform through social intelligence is not passed academical legacy, but present treasure-house of practical wisdom to be researched continuously.

      • KCI등재

        자유주의, 사회적 실천, 사회적 지성: 존 듀이(John Dewy)의 『자유주의와 사회적 실천』에 나타난 자유주의적 가치와 실천의 방식

        김진희 한국미국사학회 2010 미국사연구 Vol.32 No.-

        John Dewey wrote Liberalism and Social Action in the midst of the Great Depression when political chaos, social movements, and ideological debates burst into the surface. At the time when the liberalism as a guiding principle was seeming to lose its strength and being discredited by both the left and the right, Dewey emphasized the renascent liberalism, requiring new definition, asking for new discipline to achieve important social goals, while retaining the kernel of the liberal tradition which is the spirit of free inquiry. For him, the cause of liberalism was going to be lost if it would have not prepared to socialize the forces of production, which at the time he perceived as a task at hand. But he disputed the premise that violent warfare was necessary means to achieve a more equitable society. He argued that the use of force could be replaced by what he called social intelligence, by which conflicting claims are settled in the interests of the majorities. While Dew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he warned that the educational task could not be accomplished merely by working upon people’s minds without action that impact real change in institutions. Tracing the arguments of advocates of liberalism back to John Locke and Adam Smith, Dewey separated adventitious elements from enduring values of liberalism. Enduring values included liberty, individuality, and the role of free intelligence. Adventitious element was an intellectual justification of the status quo. He detached liberalism from any connection with private property or with laissez faire and argued that a major transformation of American society was needed if Americans were to achieve the individuality that liberalism had always aimed at. 존 듀이의 『자유주의와 사회적 실천』이 나온 것은 1935년이었다. 당시 미국에서는 대공황의 여파로 새로운 정치적 실험 뉴딜이 시행되었고 좌·우의 이념 논쟁과 사회운동이 분출했다. 진보주의자들은 자유주의의 용도폐기를 선언했고, 소위 자유주의자들은 자유방임주의적 자유주의와 소유적 개인주의를 통하여 자본주의적 경제질서를 정당화하던 시대였다. 자유주의의 위기가 명백한 그 시점에서 듀이는 오히려 자유주의의 부활을 주창했고, 자유주의의 역할을 재정립할 것을 요청했다. 본 논문에서는 듀이가 되살리고자 했던 자유주의적 가치는 무엇이고, 그것이 어떤 중요성을 갖는가를 살펴본다. 듀이는 존 로크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자유주의 사상의 역사를 점검하면서 지켜야 할 가치와 우발적으로 결합되어 본래적인 자유주의적 가치를 훼손하는 요인을 구분했다. 지켜야 할 가치는 자유, 개별성, 그리고 자유로운 지성이었다. 우발적 요인은 자본주의에 대한 정당화였다. 듀이는 자유주의적 가치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급진적인 사회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경제의 사회화를 주창할 정도로 급진적이고 진보적인 제안을 하면서도, 그는 사회변화가 폭력적 방식이 아닌 오직 지성을 통해 가능하다고 하는 점진적 개혁을 선호했다. 듀이는 자유주의의 위기를 곧 사회적 지성의 위기로 규정했다. 자유주의가 사회적 실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지 못한 채 기존 질서에 대한 정당화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듀이는 사회적 실천의 방향을 설정하는 지성의 역할을 강조했다. 듀이는 구조변화를 중시했지만 구조변화 자체에 한정되거나 강압적이며 일방적인 방식에 의해 추진되는 변화는 거부했다. 그는 사회적 지성을 통하여 객관적 상황과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개별성을 창조하는 것이 그 시대의 중요한 과제라고 진단했다. 듀이가 제시한 것처럼 자유주의의 문제는 각 시대마다 자유가 가장 억압받는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자유주의의 재가치화를 요구했던 듀이의 주장은 현실화되지 못했다. 각 시대적 상황을 지성적으로 분석하고 사회적 실천에 대한 적절한 방향 제시를 하는 것에 실패한 자유주의는 한계에 봉착했고, 자유주의 담론은 “정당화에 의문을 제시하기 보다는 정당화”하는 구실로 남았다. 듀이의 시대에 그러했던 것처럼 자유주의의 이상과 현실에 심각한 간극이 있는 것은 자유주의의 실패와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다시 자유주의의 이상과 현실의 간극을 직시하고 듀이의 방식으로 돌아가 이 시대의 급진적이며 동시에 실용적인 자유주의의 원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John Dewey의 지성에 대한 개념분석과 교육적 논의

        박준영(Park, Zoon 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4 敎育思想硏究 Vol.15 No.-

        본 연구의 목적은 Dewey의 지성 개념을 명료화하여, 교육현장에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Dewey는 지성을 과학적 사고방법이라 하였다. 과학적 사고방법으로서의 지성은 반성적 사고과정의 특징을 지닌다. 또한 지성은 자연 과학을 탐구하는 방법이지만 사회문제에도 적용될 수 있다. Dewey는 이것을 사회적 지성이라 하였다. 이러한 Dewey의 지성 개념은 오늘날 우리의 교육현장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 지성의 개념은 이성의 개념과는 달리 과학적 사고 방법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학습자는 자신의 지성을 계발시켜 삶의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계발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지성의 특성은 과학적 사고 방법에 기초한 반성적 사고과정이다. 교육자는 학습자에게 반성적 사고를 단계별로 실험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지성은 과학적 사고방법에서 출발하고, 반성적 사고과정의 특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성의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교육자는 학습자가 건전한 사회에 입문할 수 있도록 사회적 환경의 축소화된 개념 구조를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et suggestion to the field of education by clarification of Dewey's concept of intelligence. Dewey said that intelligence is a scientific thinking method. The characteristic of intelligence as a scientific thinking method is a reflective thinking process. The intelligence is a searching method for the natural science though it could be applied even in social problem. Dewey called it a social intelligence. Such Dewey's concept of intelligence gives following suggestion to the current education field. First, concept of intelligence should be recognized as a scientific thinking method, unlike concept of reason. Therefore, a student must develop his own intelligence and endeavor to develop the ability to solve by oneself the problem confronting with process of life.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intelligence is a reflective thinking process that is founded on a scientific thinking method. So, the teacher must endeavor in order to provide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tudent to test step by step the reflective thinking. Third, the intelligence start from the scientific thinking method, the quality of intelligence is a reflective thinking process and a social intelligence. Accordingly, the teacher must endeavor to provide the reduced concept structure of social environment to a student, who will be able to enter into the wholesome society.

      • KCI등재

        패션 소셜 커뮤니티의 집단지성 속성과 구매동형화 연구

        나윤규(Youn-Kue Na),정혜연(Hye-Yeon Jeong)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4 e-비즈니스 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패션 상품정보 획득이라는 공동목표를 위해, 소셜 커뮤니티 참여자들의 중요도나 역할, 결합, 창조 등을 재조정하는 협업적 네트워크의 특성을 집단지성의‘공동창조형’ 관점으로 적용하여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이 협업적 네트워크 조직의 동형화 과정(집단정체성, 사회적 동조성)과 성과(구매동형화)로 이어지는 구조적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수집은 패션 소셜커뮤니티에서 정보 공동창조 활동 경험자를 분석단위로 선정하고, 패션 소셜 커뮤니티 게시판을 활용하여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420 표본을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타당도 검증을 진행하고, 나아가 AMOS를 이용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 분석과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소셜 커뮤니티에서의 집단지성 속성의 협력지성, 공통성, 다양성, 사회적 네트워킹은 집단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집단 기억체계는 집단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패션 소셜 커뮤니티에서의 집단정체성은 사회적 동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패션 소셜 커뮤니티에서의 사회적 동조성은 구매 동형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영향 관계를 통해 패션 소셜 커뮤니티에서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모방행동을 형성하는 통합의 구조적인 모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질 것이다. Research Purpose: In this study aimed to specifically understand the attributes of collective intelligence manifested in fashion social communities an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 homogenization processes(group identity, social conformity) of collaborative network organizations, as well as their outcomes. Research Methods: Data collection was selected as an analysis unit for members of fashion social community activities and 420 samples were finally collected. As an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validity verification, fitness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AMOS statistical tool. Results in Research: First, cooperative intelligence, commonality, diversity, and social networking of collective intelligence attributes in the fashion social commun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llective identity. Second, group identity in the fashion social commun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coordination. Third, social co-movement in the fashion social commun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ing isomorphism. Research Conclusion: It will have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a structural model of integration that forms social networks and imitative behaviors in the fashion social community.

      • KCI등재

        장용학 에세이에 관한 연구

        홍상언(Hong, Sangeon)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5 No.-

        본 연구자는 장용학의 특성과 한계를 동시에 살펴볼 수 있는 장용학 에세이에 관한 연구가 총체적인 장용학 연구에 있어 하나의 작업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비판적 성향과 함께 때로는 인간적 체취를 느낄 수 있는 장용학 에세이를 모색하는 것은 시대와 현실을 직시한 장용학의 세계관을 파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사회적 지성과 역사적 양심의 소재들을 담고 있는 장용학 에세이를 보다 면밀하게 살펴봄으로써 장용학 세계관의 새로운 해석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장용학 에세이는 인생 전반에 걸친 교양 · 체험 등에 의한 소규모의 自己顯示이면서, 비평적 지식인으로서의 그가 택한 윤리적 선택의 방향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그의 에세이를 통해 구현된 메시지가 민중의 애환과 사회구조적 모순의 실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장용학 에세이는 정치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장용학 에세이는 현실의 특수한 성격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에 따른 비판의식은 독자를 자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용학 소설의 주제와 관련시킨 에세이와 장용학 소설이 추구하는 주제밖에 산재하고 있는 인생과 세속의 현상들을 대상으로 한 에세이로 구분한다. 이러한 에세이에 관한 연구를 통해 본 장용학은 주체 의식과 역사적 양심을 지니고 있으며, 사회적 지성과 현실 비판을 갖춘 사람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독선적인 자기해석의 한계를 보여준 장용학의 어느 에세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그의 기질이 때로는 我執에 가까움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그의 본질은 인간의 惡이 아닌 善에 근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장용학 에세이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듯이, 그의 자존심이자 筆力의 지향점은 ‘正義’를 축으로 한 道德性(人間性)에 있다고 본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Yonghak Jang on the basis of his essay. This study is important as it is one of the few comprehensive studies of Yong-hak Jang. Yong-hak Jang’s essay can sometimes sense human body odor with a critical inclination. This essay serves as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ing the world view Yong-hak Jang adopts to face the prevailing times and its realities. Therefore, this study closely examines Yonghak Jang’s essay, which contains themes of social intelligence and historical conscience. Yong-hak Jang’s essay depicts a small, self-present moment by way of its culture and experience throughout life. It reveals people’s joys and sorrows as well as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society. Thus, this essay is political. Yong-hak Jang’s essay reveals the special character of reality, and his critical mind recognizes the reader. In this study, we divide the essay in terms of it either being related to the subject of Yong-hak Jang’s novel, or not being relevant to the subject of the novel. Yong-hak Jang is the owner of a sense of identity and historical conscience. He is a person of social intelligence and practical criticism. On the other hand, his singular personality shows the limits of his self-righteous self-interpretation. Nevertheless, the essence of his being is steeped in good rather than evil; in other words, Yong-hak Jang’s essay is based on the issue of morality (humanity) in pursuit of justice.

      • KCI등재

        김병익의 초기 대중문화론과 4.19 세대의 문화민주주의

        송은영 대중서사학회 2014 대중서사연구 Vol.20 No.3

        이 글은 1970년대를 대표하는 계간지 『문학과지성』의 동인이었던 김병익의 대중문화론을 중심으로, 1970년대 문단과 그 기반으로서의 4.19세대의 자의식과 감수성에 대한 기존의 논의구도를 극복하고자 했다. 김병익의 대중문화론은 지금까지 엘리트주의, 보수주의, 문학주의 등의 키워드와 함께 논의되었던 『문학과지성』의 감수성과 세대의식을 다른 각도에서 보여준다. 그는 기본적으로 대중문화를 저속하고 퇴폐적이라고 비판하는 당시의 지배적인 관점을 전복시키지 않으면서도, 대중문화의 퇴폐성과 저속성을 비판할 때조차 그 근원을 엘리트문화의 타락과 상업주의에서 찾음으로써 대중문화를 주류 엘리트의 문화와 결합시키는 새로운 관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대중문화를 근간으로 하는 청년문화에 대해 더 많은 자유와 평등을 가시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옹호하는 태도를 보였다. 무엇보다도 그가 대중문화에서 근대적 시민의식에 기반한 문화민주주의를 발전시킬 가능성을 찾았다는 사실은, 4.19세대의 문화적 감수성이 더 많은 자유와 평등을 사회적으로 실현시키고자 하는 지향성 속에서 정초되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고승(高僧)과 성사(聖師) 이해 ― 일연(一然)의 역사인식과 관련하여 ―

        고영섭 ( Ko Young-seop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8 한국불교사연구 Vol.13 No.-

        이 논문은 『삼국유사』의 고승 중 성사에 대한 인각 일연(麟角一然, 1206~ 1289)의 이해를 탐구한 글이다. 일연은 고승으로서 성사의 삶을 보여준 이들을 발견하고 그들을 문화 영웅으로서 기리기 위해 헌신하였다. 그는 이상적인 삶의 모델을 보여준 성사들이 당대의 문화 영웅이었으며 그들은 사회적 리더로서 남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일연은 그들의 행장을 발굴하고 그들의 전기를 기술함으로써 『삼국유사』의 분량을 확장시켰으며, 『삼국사기』가 담아내지 못한 주체적 인간의 삶, 능동적 인간의 삶을 후세에 남겨주기 위해 노력하였다. 일연이 기술한 『삼국유사』에는 고승으로서 성사의 삶을 살았던 많은 이들이 실려 있다. 그 중에서도 지통(智通), 관기(觀機), 도성(道成), 반사(搬師), 첩사(師), 보덕(普德), 원효(元曉), 신림(神琳), 표훈(表訓), 연회(緣會), 정수(正秀) 등은 새로운 삶의 방식을 제시한 그 시대의 문화 영웅들이었으며 동시에 새로운 여론을 만들어내는 사회적 리더였다. 일연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삼국유사』 속의 붓다와 보살들의 현신으로서 고승과 성사의 삶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그는 문화 영웅이자 사회적 리더로서 고승과 성사의 은사 일사로서의 삶, 풍류 도인으로서의 삶, 국사 왕사로서의 삶을 조명해 냄으로써 『삼국사기』가 담아내지 못한 인간 이해의 깊이와 세계 인식의 넓이를 담아낼 수 있었다. 엄밀하지는 않지만 일연에게는 고승과 성사 및 대사/대덕/장로, 법사/화상, 선사/율사, 사문/사/승의 구분 의식이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삼국유사』에는 이러한 구분이 적지 않게 사용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문화 영웅이자 사회적 리더로서 승려상을 수립하고자 하는 일연의 역사관이 투영되어 되어 있다. 그는 신이사관(神異史觀)에 입각하여 『삼국사기』에 ‘빠진 일들을 기록하겠다’는 소극적인 의미만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 역사가 ‘남긴 일들을 기록하겠다’는 적극적인 의지를 담아 『삼국유사』를 찬술하였다. 그리하여 일연은 학덕이 높은 고승으로서 성사의 정의와 의미를 담아내면서 자신이 생각하는 불교와 불교인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일연은 김부식(金富軾)이 유교사관에 입각해 삼국 당시 가장 두드러진 활동을 한 고승들을 『삼국사기』의 전기에서 완전히 배제한 점, 역사의 전환점을 가져온 불교 관련의 주요 내용을 대부분 빠뜨리고 있는 점, 고구려, 백제, 신라 중심의 역사만을 기록했을 뿐 정작 우리 민족의 시원인 고조선과 부여 및 가야, 삼한, 옥저, 동예, 대발해 등의 역사를 기록하지 않았다는 점, 불교문화의 주역이었던 불교문화 영웅들을 인물 전기에 전혀 편입시키지 않은 점 등을 비판하면서 ‘대안사서’로서 『삼국유사』를 찬술하였다. 그리고 그는 그 안에다 집단 지성이자 문화 영웅인 성사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을 적극적으로 기록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monk Ingak Ilyeon’s (麟角一然, 1206-1289) understanding of enlightened monks among eminent monks in his book Overlooked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Ilyeon devoted his life to discovering enlightened monks among the eminent monks throughout history and honoring them as cultural heroes. He realized that those enlightened masters were the most influential people in their communities and were cultural heroes because they were models of an ideal human being during that era. In an effort to pass down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enthusiasm those heroes showed, he collected records of them and included their biographies in Overlooked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because Busik Kim’s History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had missed them. In Overlooked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there are many enlightened masters who were eminent in their era. Among them, Jitong, Kwangi, Dosung, Bansa, Chupsa, Boduk, Wonhyo, Sillim, Pyohoon, Yeonhoi, and Jungsu were cultural heroes of their eras who showed a new way of life and were the most influential people in their communities who affected public opinion. Ilyeon noticed this and directed his attention to these heroes’ lives, which he considered a manifestation of Buddha and Bodhisattvas. As a result, he put the life stories of the hermit Ilsa, of the elegance master, of national teacher and royal teacher of enlightened masters in his history record since History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did not include them. Although Ilyeon did not perform a thorough examination, he seems to have understood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enlightened great master/monk/an elder, master/eminent monk, dharma teacher/monk, meditation master/precept master, and sramana/bhikkhu/monk. In Overlooked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these terms were often used with careful consideration; this represents Ilyeon’s historic point of view in which he establishes enlightened masters as cultural heroes and the most influential people in society. He wrote Overlooked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not only to include the historical events History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overlooked, but also to actively record the important values passed down throughout history based on his mystic and magical historical point of view. In his view, the enlightened masters throughout history were the most influential people in their communities, and at the same time, models of an ideal Buddhist. Ilyeon criticized Busik Kim’s History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on many points: Kim did not write anything about enlightened monks who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country, he missed all the important Buddhist events that brought critical changes to the history of the nation, he wrote only about three Korean kingdoms ―Koguryo, Baekje, Silla ― without writing anything about Kojosun, Buyeo, Gaya, Samhan, Okjeo, Dongye, or Great Balhae that were the origins of our race, and he did not write any biographies of great Buddhist figures who were the most influential people in Buddhist countries. For these reasons, Ilyeon wrote Overlooked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as an alternative history in which he could actively include the value of the lives of enlightened monks who were cultural heroes and the most influential figures in society.

      • 문학, 사회, 사회적인 것

        김성호(Sung ho Kim)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논총 Vol.26 No.-

        In literature today, society is increasingly invisible. Apart from the neo-liberal drive to dismantle nation-states and prioritize economic efficiency, the disappearance of society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historical inability of literary theory to imagine 'the social.' Lukács, for instance, articulated persuasive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ic reflection of social reality, but he was inept at dealing with the social relations of artistic subjects. Žižek try to remind us of the sociality of art and literature while redefining the social. For him, the social presents itself as the Real that structures subjectivity. This implies an aesthetics which defies both reflectionism and expression-ism. A consideration of the collective agency, however, seems fatally missing. Rancière offers a plausible alternative when he holds that literature is about redistributing the sensible and rebuilding a common world. The social, in his perspective, is not so much a structure as a permanent process of reaffirming the 'intelligence of anybody.' The essence of the sociality of literature lies in its function ("liaison-function," as Leavis called it) of attaining what may be called an in-between universality of intelligence, as opposed to an overarching, homogenizing universality. In literature, our Mitsein is revealed; through literature, a community emer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